KR101562259B1 - 레버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식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259B1
KR101562259B1 KR1020137034746A KR20137034746A KR101562259B1 KR 101562259 B1 KR101562259 B1 KR 101562259B1 KR 1020137034746 A KR1020137034746 A KR 1020137034746A KR 20137034746 A KR20137034746 A KR 20137034746A KR 101562259 B1 KR101562259 B1 KR 101562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ever
hole
stat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998A (ko
Inventor
토모히코 시미즈
아키노리 타시로
아키히로 츠루타
카즈야 테라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레버식 커넥터(1)는 이너 하우징(110)과, 이너 하우징(110)을 덮는 프레임(120)을 구비한다. 프레임(120)은 본체부(121)와, 본체부(121)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직행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플랜지부(122)를 구비한다. 플랜지부(122)는 본체부(121)측에 위치하는 전면(122A)에 설치됨과 아울러 가요성을 가지는 걸음부(123)를 구비한다. 레버(300)는 정규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걸음부(123)와 걸리는 피걸음부(330)를 구비한다. 걸음부(123)는 피걸음부(330)와 걸린 상태에서는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지 않고, 피걸음부(330)와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는다.

Description

레버식 커넥터{LEVER-TYPE CONNECTOR}
본 발명은 패널에 부착하는 레버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패널에 부착하는 타입의 레버식 커넥터로서는, 암형 커넥터(제1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수형 커넥터(제2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에 설치되고 회전동작(回動)에 의해 양 커넥터를 끼워맞추는 레버를 구비한다. 이 레버식 커넥터는 양 커넥터가 끼워맞춤 상태에서 패널에 형성된 부착 구멍에 부착된다.
이러한 레버식 커넥터에서는, 패널의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와 간섭 가능한 간섭부가 레버의 회전동작 방향 후면측이 되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간섭부는 양 커넥터가 정규 끼워맞춤 상태일 때에는 패널의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와는 비간섭이 되고, 양 커넥터가 반끼워맞춤 상태일 때에는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와 간섭한다. 이것에 의해, 양 커넥터를 패널의 부착 구멍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간섭부가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와 간섭하는지 여부에 따라 양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59037호
그러나, 상기 서술한 종래의 레버식 커넥터에서는, 간섭부가 레버의 회전동작 방향 후면측이 되는 측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레버가 양 커넥터의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수평 방향에 가깝게 되면, 간섭부와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의 간섭이 작아지고, 양 커넥터가 반끼워맞춤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이 반끼워맞춤 상태를 검지하는 것이 곤란했다. 덧붙여서, 이 반끼워맞춤 상태의 검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간섭부를 레버의 회전동작 방향 바깥쪽으로 튀어나오게 하는 것이 고려되는데, 레버식 커넥터가 대형화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는 레버식 커넥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패널에 형성된 부착 구멍에 부착되는 레버식 커넥터로서,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어느 일방에 설치됨과 아울러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를 끼워맞추는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식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패널에 형성된 상기 부착 구멍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덮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직행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본체부측에 위치하는 전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가요성을 가지는 걸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정규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음부와 걸리는 피걸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음부는, 상기 피걸음부와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지 않고, 상기 피걸음부와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랜지부는 본체부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종래와 같은 간섭부를 레버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간섭부가 레버의 회전동작 방향 바깥쪽으로 튀어나오지 않아, 레버식 커넥터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걸음부는 피걸음부와 걸린 상태에서는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지 않고, 피걸음부와 맞닿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는다. 즉, 걸음부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정규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지 않고,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반끼워맞춤 상태에서는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반끼워맞춤 상태인 것을 검지할 수 있고, 즉,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걸음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전면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 부분과, 상기 돌출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레버의 회전동작 방향의 안쪽을 향하여 굴곡하는 굴곡 부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피걸음부에는, 상기 굴곡 부분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굴곡 부분은 레버의 삽입 구멍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걸음부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정규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피걸음부에 확실하게 걸리고,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반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피걸음부에 삽입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반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걸음부와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맞닿음부는 걸음부와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걸음부의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로의 맞닿음에 의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반끼워맞춤 상태를 검지하는 것에 더해, 맞닿음부의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로의 맞닿음에 의해서도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반끼워맞춤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는 레버식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에 있어서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의 임시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걸음부 및 피걸음부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에 있어서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의 정규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걸음부 및 피걸음부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1)레버식 커넥터(1)의 구성, (2)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상태의 설명, (3)작용·효과, (4)그 밖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1)레버식 커넥터(1)의 구성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1)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1)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1)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임(120)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식 커넥터(1)는 암형 커넥터(100)(제1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100)와 끼워맞춤 가능한 수형 커넥터(200)(제2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100)에 설치됨과 아울러 회전동작에 의해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를 끼워맞추는 레버(300)를 구비하고,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가 끼워맞춤 상태에서 패널(P)에 형성된 부착 구멍(H)에 부착된다.
암형 커넥터(100)는 이너 하우징(110)과, 이너 하우징(110)을 덮는 프레임(120)을 구비한다. 이너 하우징(110)은 2개의 광체(筐體) 부재를 상하에 2단 겹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너 하우징(110)은 복수의 암형 단자(111)(도 4 및 도 5 참조)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실(112)이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 수용실(112)의 후측(도면에서는 우측)으로부터는 암형 단자(111)에 접속되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이 도출된다. 이러한 이너 하우징(110)은 프레임(120) 내에 수용된다.
프레임(120)은 레버(300)가 설치되는 본체부(121)와, 본체부(121)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직행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플랜지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21)는 암형 커넥터(100)가 장착되고, 암형 커넥터(100)에 수형 커넥터(200)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를 수용한다. 이 본체부(121)에는 패널(P)에 형성된 부착 구멍(H)에 걸리는 복수의 패널 로크(12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부(121)는 플랜지부(122)와 일체로 형성된다.
플랜지부(122)는 패널(P)에 형성된 부착 구멍(H)보다 직행 방향을 향하여 크게 돌출되어 있고, 프레임(120)이 부착 구멍(H)에 부착될 때에 부착 구멍(H)을 덮도록 형성된다.
또, 플랜지부(12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21)측에 위치하는 전면(122A)에 설치됨과 아울러, 가요성을 가지는 걸음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걸음부(123)는 갈고리 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걸음부(123)는 플랜지부(122)의 전면(122A)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 부분(123A)과, 돌출 부분(123A)의 선단으로부터 레버(300)의 회전동작 방향의 안쪽을 향하여 굴곡하는 굴곡 부분(123B)을 구비한다.
또한, 레버(300)의 회전동작 방향의 안쪽은 레버(300)의 회전동작에 의해 그려지는 궤적에 대한 안쪽을 나타낸다. 즉, 여기서는 레버(300)의 회전동작 방향의 안쪽이 레버(300)의 회전동작의 궤적으로부터 레버(300)의 축지지부(310)를 향하는 방향이 되고, 레버(300)의 회전동작 방향의 바깥쪽이 레버(300)의 회전동작의 궤적으로부터 외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이 된다.
이러한 걸음부(123)는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정규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걸음부(123)는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정규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지 않고,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반끼워맞춤 상태에서는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는다. 이 걸음부(123)는 레버(300)의 회전동작 조작의 후반에 있어서 레버(300)의 피걸음부(330)에 맞닿고, 레버(300)의 회전동작 조작의 종료시에 있어서 피걸음부(330)에 걸리게 된다.
또, 플랜지부(122)는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반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는 맞닿음부(124)를 구비한다. 이 맞닿음부(124)는 걸음부(123)와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122)의 상면에 설치된다.
수형 커넥터(200)는 이너 하우징(110)보다 큰 2개의 광체 부재를 상하에 2단 겹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수형 커넥터(200)는 암형 단자(111)가 접속되는 복수의 수형 단자(211)(도 4 및 도 5 참조)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실(212)이 끼워맞춤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 수용실(212)의 후측(도면에서는 좌측)으로부터는 수형 단자(211)에 접속되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이 도출된다.
또, 수형 커넥터(200)의 양측면에는 레버(300)의 캠 홈(311)에 삽입되는 캠 팔로워(213)가 각각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수형 커넥터(200)는 캠 팔로워(213)가 캠 홈(311)에 삽입되고, 레버(300)의 회전동작에 의해 이너 하우징(110)과 끼워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암형 단자(111)와 복수의 수형 단자(211)가 서로 접속된다.
레버(300)는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축지지부(310)로 프레임(120)에 회전동작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레버(300)는 수형 커넥터(200)의 캠 팔로워(213)가 캠 홈(311)에 삽입된 상태, 즉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임시 끼워맞춤 상태에서, 조작부(320)를 압압 조작함으로써 회전동작한다. 그리고, 레버(300)는 지레 작용에 의해 암형 커넥터(100)와 수형 커넥터(200)를 정규 끼워맞춤 상태로 한다. 이러한 레버(300)는 프레임(120)의 걸음부(123)에 걸리는 피걸음부(330)를 구비하고 있다.
피걸음부(330)는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정규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걸음부(123)와 걸린다. 이 피걸음부(330)에는 걸음부(123)(굴곡 부분(123B))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331)이 형성된다. 또, 피걸음부(330)에는 정점부(頂點部)로부터 경사지는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피걸음부(330)는 레버(300)의 회전동작 조작에 의해 걸음부(123)에 맞닿으면, 걸음부(123)를 레버(300)의 회전동작 방향 바깥쪽으로 휘게 한다. 이 상태로부터 더욱 레버(300)의 회전동작 조작이 계속되면, 걸음부(123)는 피걸음부(330)를 타넘어 레버(300)의 회전동작 방향 안쪽을 향하여 복원되고, 피걸음부(330)에 걸린다. 이 걸음부(123)와 피걸음부(330)의 걸음에 의해,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정규 끼워맞춤 상태가 유지된다.
(2)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상태의 설명
다음에, 상기 서술한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상태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1)에 있어서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임시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걸음부(123) 및 피걸음부(330)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1)에 있어서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정규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걸음부(123) 및 피걸음부(330)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한, 레버식 커넥터(1)는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가 미리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패널(P)에 형성된 부착 구멍(H)에 부착된다.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임시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식 커넥터(1)를 패널(P)에 부착할 때, 걸음부(123)는 패널(P)에 형성된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하단 가장자리)에 맞닿는다. 바꾸어 말하면, 걸음부(123)는 피걸음부(330)와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반끼워맞춤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반끼워맞춤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레버식 커넥터(1)를 패널(P)에 형성된 부착 구멍(H)에 대하여 우측으로 옮겨 걸음부(123)와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와의 맞닿음을 회피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맞닿음부(124)가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상단 가장자리)에 맞닿기 때문에,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반끼워맞춤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한편,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정규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음부(123)는 피걸음부(330)가 피걸음부(330)를 타넘어, 레버(300)의 회전동작 방향 안쪽으로 복원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레버식 커넥터(1)를 패널(P)에 부착할 때, 걸음부(123)가 패널(P)에 형성된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하단 가장자리)에 맞닿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걸음부(123)는 피걸음부(330)와 걸린 상태에서는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지 않는다. 그리고, 패널(P)에 형성된 부착 구멍(H)에 패널 로크(121A)가 걸림으로써, 레버식 커넥터(1)가 패널(P)에 부착된다.
(3)작용·효과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122)는 본체부(121)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종래와 같은 간섭부를 레버(300)의 회전동작 방향바깥쪽으로 튀어나오게 하지 않기 때문에, 레버식 커넥터(1)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걸음부(123)는 피걸음부(330)와 걸린 상태에서는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지 않고, 피걸음부(330)와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는다. 즉, 걸음부(123)는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정규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지 않고,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반끼워맞춤 상태에서는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반끼워맞춤 상태인 것을 검지할 수 있고, 즉,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상태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굴곡 부분(123B)은 레버(300)의 삽입 구멍(331)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걸음부(123)는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정규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피걸음부(330)에 확실하게 걸린다. 이 때문에,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맞닿음부(124)는 걸음부(123)와 상이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걸음부(123)에 있어서의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로의 맞닿음에 의한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반끼워맞춤 상태를 검지하는 것에 더해, 맞닿음부(124)에 있어서의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로의 맞닿음에 의해서도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반끼워맞춤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음부(123)는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의 정규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암형 커넥터(100) 및 수형 커넥터(200)가 패널(P)에 형성된 부착 구멍(H)에 부착되면, 걸음부(123)가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에 의해 레버(300)의 회전동작 방향의 바깥쪽을 향하여 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걸음부(123)가 부착 구멍(H)의 구멍 가장자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는데,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하게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암형 커넥터(100)는 이너 하우징(110)과 프레임(120)이 별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너 하우징(110)과 프레임(1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레버(300)는 암형 커넥터(100)(프레임(1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형 커넥터(20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플랜지부(122)는 맞닿음부(124)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맞닿음부(124)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는 다양한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서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범위에 따른 발명특정사항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1…레버식 커넥터
100…암형 커넥터(제1 커넥터)
110…이너 하우징
120…프레임
121…본체부
122…플랜지부
122A…전면
123…걸음부
123A…돌출 부분
123B…굴곡 부분
124…맞닿음부
200…수형 커넥터(제2 커넥터)
300…레버
330…피걸음부
331…삽입 구멍

Claims (3)

  1. 패널에 형성된 부착 구멍에 부착되는 레버식 커넥터로서,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어느 일방에 설치됨과 아울러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를 끼워맞추는 레버,
    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식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패널에 형성된 상기 부착 구멍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덮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방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직행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본체부측에 위치하는 전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가요성을 가지는 걸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정규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음부와 걸리는 피걸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음부는, 상기 피걸음부와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지 않고, 상기 피걸음부와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음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전면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 부분과,
    상기 돌출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레버의 회전동작 방향의 안쪽을 향하여 굴곡하는 굴곡 부분,
    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피걸음부에는, 상기 굴곡 부분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반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부착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걸음부와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KR1020137034746A 2011-07-01 2012-06-29 레버식 커넥터 KR101562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7249A JP5793358B2 (ja) 2011-07-01 2011-07-01 レバー式コネクタ
JPJP-P-2011-147249 2011-07-01
PCT/JP2012/066644 WO2013005658A1 (ja) 2011-07-01 2012-06-29 レバー式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998A KR20140016998A (ko) 2014-02-10
KR101562259B1 true KR101562259B1 (ko) 2015-10-21

Family

ID=47437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746A KR101562259B1 (ko) 2011-07-01 2012-06-29 레버식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71017B2 (ko)
JP (1) JP5793358B2 (ko)
KR (1) KR101562259B1 (ko)
CN (1) CN103636079B (ko)
DE (1) DE112012002783T5 (ko)
WO (1) WO20130056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7610B2 (en) * 2014-01-16 2017-1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vehicle service disconnect position indicator
JP2017027698A (ja) * 2015-07-17 2017-02-02 住友電装株式会社 パネル取付型コネクタ
JP6564750B2 (ja) * 2016-09-07 2019-08-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6978278B2 (ja) * 2017-10-30 2021-12-08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2182A (ja) 2002-03-26 2003-10-03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3282183A (ja) 2002-03-26 2003-10-03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8027787A (ja) 2006-07-24 2008-02-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1181A (ja) * 1987-12-09 1989-06-13 Yazaki Corp 低挿抜力多極コネクタ
US5230635A (en) * 1991-06-25 1993-07-27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with lever
JP2605189B2 (ja) * 1991-08-27 1997-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装置
JPH11260468A (ja) * 1998-03-10 1999-09-24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02359037A (ja) 2001-05-30 2002-12-13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EP2063499A3 (en) * 2002-09-19 2009-11-1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ssembly, connector, connector assembling construction and method of assembling them
JP5080313B2 (ja) * 2007-11-09 2012-11-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4989502B2 (ja) * 2008-02-08 2012-08-0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2009259442A (ja) * 2008-04-14 2009-11-05 Molex Inc コネクタ
JP2011081951A (ja) * 2009-10-05 2011-04-21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2182A (ja) 2002-03-26 2003-10-03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3282183A (ja) 2002-03-26 2003-10-03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8027787A (ja) 2006-07-24 2008-02-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2783T5 (de) 2014-03-20
JP5793358B2 (ja) 2015-10-14
CN103636079B (zh) 2016-01-20
KR20140016998A (ko) 2014-02-10
US9071017B2 (en) 2015-06-30
WO2013005658A1 (ja) 2013-01-10
US20140106600A1 (en) 2014-04-17
CN103636079A (zh) 2014-03-12
JP2013016304A (ja)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4688B (zh) 杆式连接器
JP449703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8251761B2 (en) Connector
JP540796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8215970B2 (en) Connector
KR101562259B1 (ko) 레버식 커넥터
JP2011146249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711544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130316579A1 (en) Lock mechanism of shield connector
JP2018067379A (ja) コネクタ
CN108780969B (zh) 杆式连接器
JP2007059153A (ja) コネクタ
US20140148031A1 (en) Lever-type connector
JP5707256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103484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789139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2146445A (ja) レバー付きコネクタ
JP2020126826A (ja) 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
TWI815026B (zh) 限制構件及連接器組合件
JP2009272239A (ja) コネクタ
JP7319184B2 (ja) 途中嵌合検知構造及びコネクタ
JP2010062077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2004349121A (ja) コネクタ
JP6513409B2 (ja) コネクタ
JP2021180144A (ja) 防水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