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982B1 - 멀티폴리싱장치 - Google Patents

멀티폴리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982B1
KR101561982B1 KR1020150115090A KR20150115090A KR101561982B1 KR 101561982 B1 KR101561982 B1 KR 101561982B1 KR 1020150115090 A KR1020150115090 A KR 1020150115090A KR 20150115090 A KR20150115090 A KR 20150115090A KR 101561982 B1 KR101561982 B1 KR 101561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weight
polishing
rail
poli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민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민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민기공
Priority to KR1020150115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982B1/ko
Priority to PCT/KR2016/008259 priority patent/WO20170302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07Weight compensation; Temperature compensation; Vibration d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6Accessories, e.g.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폴리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프레임이 수평프레임의 후단부 상측으로 설치되고, 이동 가능한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구비되어 연마대상물을 연마시키기 위한 연마수단을 갖는 폴리싱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마수단을 연마대상물 방향으로 가압하여 연마대상물과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연마수단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조절함에 따라 연마수단과 연마대상물의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연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폴리싱장치{Polishing machine}
본 발명은 멀티폴리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마수단과 연마대상물의 접촉력을 향상시켜 연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체에 무리를 주지 않는 시스템을 적용한 멀티폴리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마장치인 폴리싱장치는 연마대상물인 콘크리트 및 석재 등의 면을 연마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폴리싱장치는 습식과 건식으로 구분되며, 습식은 물을 뿌리며 연마를 하는 방식이고, 건식은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집진하는 방식이다.
이 중 건식 폴리싱장치는 종래 등록특허 제10-0406324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연마석과 연마석 주변을 감싸는 가이드, 가이드에 존재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장치로 구성된다.
그러나 연마대상물의 상태에 따라 폴리싱장치에 얹어지는 무게추가 앞 부분에만 올려지는 과정에 연마 중 쏠림현상이 발생하고, 폴리싱장치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하지 못하여 연마수단이 연마대상물과의 접촉력이 낮아 연마효율이 저하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며, 이로 인하여 작업자에게 많은 피로감 주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무게추를 폴리싱장치 위에 올려놓고 연마대상물과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이 무게추는 각각 다른 중량을 갖는 다수 개로 준비되어야 함에 따라 별도의 준비과정이 필요하고, 작업장으로 운반해야됨에 따라 작업과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게추는 20kg 단위로 제작되어 사용됨에 따라 필요한 하중을 정밀하게 부가하지 못하여 정밀도가 떨어지고, 운반과정에서 분실될 우려가 있으며, 폴리싱장치에 싣을 경우, 작업자가 직접 들어 옮겨야됨에 따라 인체에 무리를 주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중을 정밀하게 부가함은 물론, 준비과정이나 운반과정의 번거러움을 제거하고,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방지 및 최소화시키며, 연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수직프레임이 수평프레임의 후단부 상측으로 설치되고, 이동 가능한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구비되어 연마대상물을 연마시키기 위한 연마수단을 갖는 폴리싱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마수단을 연마대상물 방향으로 가압하여 연마대상물과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연마수단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조절함에 따라 연마수단과 연마대상물의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연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연마석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폴리싱장치의 무게추를 장치몸체 뒤쪽으로 이동하여 폴리싱장치의 앞부분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음으로 작업자가 무리하지 않고도 폴리싱장치의 앞 부분을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폴리싱장치의 연마판 수리, 청소, 연마석 교체시 무게추에 의하여 앞부분이 90°로 들어 올려짐에 따라 작업자가 안정적인 자세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자중에 의하여 앞 부분이 전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이 수평프레임의 후단부 상측으로 설치되고, 이동 가능한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구비되어 연마대상물을 연마시키기 위한 연마수단 및 상기 연마수단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갖는 폴리싱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마수단을 연마대상물 방향으로 가압하여 연마대상물과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프레임은 한 쌍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각 수평프레임을 하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무게추, 및 상기 무게추를 해당 수평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에 의해 고정되는 무게추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연마수단을 연마대상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조절하여 연마대상물과의 접촉력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각 수평프레임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무게추에 형성되는 위치조절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위치조절손잡이를 파지하여 레일을 따라 무게추를 이동시켜 연마수단의 가압력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무게추를 레일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위치조작부,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작부는, 상기 레일에 닿아 무게추를 레일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레이크패드, 상기 브레이크패드를 레일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패드가압부, 및 상기 위치조절손잡이에 구비되어 상기 브레이크패드를 레일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패드조작레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는, 외주를 따라 나사산을 갖고, 상기 각 수평프레임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에 관통설치되도록 상기 무게추에 형성되되, 내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봉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설치공, 및 상기 회전봉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회전봉을 따라 이동되는 무게추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무게추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연마수단의 가압력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무게추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조절구동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구동부는, 구동실린더 또는 구동모터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상에서 상기 무게추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표시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의 수평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수평센서, 및 상기 수평센서에 의해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수단,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조절수단은, 상기 이동바퀴가 설치되기 위해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바퀴브래킷, 상기 바퀴브래킷에 상방향향으로 형성되며, 이동바퀴의 회전축이 설치되기 위한 이동홈, 및 상기 몸체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축을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센서의 측정치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한 수평제어부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수단의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수단, 및 상기 연마수단의 연마 시, 연마대상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마수단을 포집수단과 연동시키는 건식모드와 상기 연마수단을 물분사수단과 연동시키는 습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건식모드 또는 습식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폴리싱장치에 의하면, 연마수단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조절함에 따라 연마수단과 연마대상물의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연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체에 무리를 주지 않은 시스템을 적용한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폴리싱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가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수단에 위치조작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폴리싱장치에 수평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폴리싱장치에 포집수단과 물분사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폴리싱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수단에 위치조작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폴리싱장치에 수평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폴리싱장치에 포집수단과 물분사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폴리싱장치(10)는 몸체프레임(100)과 연마수단(200) 및 조작부(300), 가압수단(400)으로 구성된다.
몸체프레임(100)은 수직프레임(120)이 수평프레임(110)의 후단부 상측으로 설치되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다시 말해, 몸체프레임(100)은 수직프레임(120)이 수평프레임(110)의 후단부 상측으로 설치되고, 손잡이(132)를 갖는 손잡이프레임(130)이 수직프레임(12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수평프레임(110)의 후단 하측에 이동바퀴(140)가 설치되어 몸체프레임(100)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손잡이프레임(130)은 수직프레임(120)에서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키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또한 손잡이(132)는 손잡이프레임(13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파지하고 좋은 위치로 손잡이(132)를 위치시키며,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134)가 구비됨이 당연하다.
즉, 작업자의 체형이 큰 경우 손잡이(132)를 손잡이프레임(130)에서 상부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손잡이(132)의 위치를 손잡이프레임(130)에 고정하고, 작업자의 체형이 작은 경우 손잡이(132)를 손잡이프레임(130)에서 하부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손잡이(132)의 위치를 손잡이프레임(130)에 고정하면 작업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연마수단(200)은 몸체프레임(100)의 수평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연마대상물을 연마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 실시 예로, 다수의 연마패드(222)가 회전됨에 따라 연마대상물을 연마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연마수단(200)은 연마하우징(210)과 연마헤드(220) 및 연마구동부(230)로 구성된다.
연마하우징(210)은 몸체프레임(100)의 수평프레임(110) 전단부에 구비되고, 연마헤드(220)는 연마하우징(210)에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다수의 연마패드(2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연마구동부(230)는 연마헤드(220)를 회전시키도록 연마하우징(21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연마헤드(220)와 다수의 연마패드(222)가 회전된다.
여기서, 연마헤드(200)와 각 연마패드(222)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은 종래 폴리싱장치와 동일함이 당연하다.
또한 조작부(300)는 연마수단(200)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 돌발상황 발생 시, 연마수단(200)을 긴급 정지시키는 긴급정지버튼이 구비된다.
가압수단(400)은 연마수단(200)을 연마대상물 방향으로 가압하여 연마대상물과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마수단(200)의 하중을 조절하여 연마수단(200)과 연마대상물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수평프레임(110)은 한 쌍으로 일정간격 이격된다.
그리고 가압수단(40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게추(410)와 위치조절부(420)로 구성된다.
무게추(410)는 각 수평프레임(110)을 하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구비되고, 위치조절부(420)는 무게추(410)를 해당 수평프레임(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러한 위치조절부(420)에 의해 고정되는 무게추(410)의 위치에 따라 연마수단(200)을 연마대상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조절하여 연마대상물과의 접촉력을 조절한다.
여기서, 위치조절부(420)는 레일(422)과 위치조절손잡이(424)로 구성된다.
레일(422)은 각 수평프레임(110)을 따라 형성되고, 위치조절손잡이(424)는 무게추(410)에 형성된다.
무게추(410)는 레일(42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위치조절손잡이(424)를 파지하여 레일(422)을 따라 무게추(410)를 이동시켜 연마수단(200)의 가압력을 조절한다.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게추(410)를 레일(422)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위치조작부(43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위치조작부(430)는 브레이크패드(432)와 패드가압부(434) 및 패드조작레버(436)로 구성된다.
브레이크패드(432)는 레일(422)에 닿아 무게추(410)를 레일(422)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패드가압부(434)는 브레이크패드(432)를 레일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패드조작레버(436)는 위치조절손잡이(420)에 구비되어 브레이크패드(432)를 레일(422)에서 이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패드조작레버(436)를 조작하여 브레이크패드(432)를 레일(422)에서 이격시킬 경우, 패드가압부(434)가 압축되는 것으로, 무게추(41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패드조작레버(436)를 원위치시키면, 패드가압부(434)의 탄발력에 의해 브레이크패드(432)가 레일(422)에 닿아 무게추(410)가 고정된다.
그리고 위치조절구동부(440)이 더 구비된다.
이 위치조절구동부(440)는 무게추(410)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 실시 예로, 구동실린더이며, 공급 또는 배출되는 기체나 액체에 의해 동작함에 따라, 무게추(41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위치표시부(450)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 위치표시부(450)는 수평프레임(110)상에서 무게추(410)의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표시부(450)는 눈금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위치조절부(420')는 회전봉(422')과 설치공(424') 및 가이드봉(426')으로 구성된다.
회전봉(422')은 외주를 따라 나사산을 갖고, 각 수평프레임(1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설치공(424')은 회전봉(422')에 관통설치되도록 무게추(410)에 형성되되, 내주면을 따라 회전봉(422')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가이드봉(426')은 회전봉(422')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회전봉(422')을 따라 이동되는 무게추(41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봉(422')을 회전시킴에 따라 무게추(410)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연마수단(200)의 가압력을 조절한다.
이때, 위치조절구동부(440)이 더 구비된다.
이 위치조절구동부(440)는 무게추(410)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 실시 예로, 구동모터이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봉(422')을 회전시킴에 따라, 무게추(41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위치표시부(450)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 위치표시부(450)는 수평프레임(110)상에서 무게추(410)의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표시부(450)는 눈금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프레임(100)의 수평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수평센서(500)와 이 수평센서(500)에 의해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수단(600)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수평조절수단(600)은 바퀴브래킷(610)과 이동홈(620) 및 구동실린더(630)로 구성된다.
바퀴브래킷(610)은 이동바퀴(140)가 설치되기 위해 수평프레임(110)의 하측으로 형성되고, 이동홈(620)은 바퀴브래킷(610)에 상방향향으로 형성되며, 이동바퀴(140)의 회전축(142)이 설치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구동실린더(630)는 몸체프레임(100)에 구비되어 이동바퀴(140)의 회전축을 이동홈(620)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수평센서(500)는 몸체프레임(100)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수평센서(5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의 수평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평조절수단(600)을 조작하여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센서(500)는 전자수평센서이고, 일 실시 예로, 자이로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수평센서(500)의 측정치를 수신하여 구동실린더(630)를 제어하기 위한 수평제어부(510)가 더 구비된다.
이에, 몸체프레임(100)의 수평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마수단(200)의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수단(20)과 연마수단(200)의 연마 시, 연마대상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수단(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300) 연마수단(200)을 포집수단(20)과 연동시키는 건식모드와 연마수단을 물분사수단(30)과 연동시키는 습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레버가 더 구비될 수 있어 건식모드 또는 습식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이 조작부(300)의 조작에 의해 건식모드 또는 습식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가 더 구비된다.
이에, 제어부(40)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연마수단(200)과 포집수단(20) 또는 연마수단(200)과 물분사수단(30)을 제어하여 환경에 따라 효과적으로 연마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무게추(410)를 레일(422)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위치조작부(430)가 브레이크패드(432)와 패드가압부(434) 및 패드조작레버(436)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된 가압돌기가 이 상응되는 결합공에 삽입되어 무게추(410)를 레일(422)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를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마수단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조절함에 따라 연마수단과 연마대상물의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연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마석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멀티폴리싱장치의 무게추를 장치몸체 뒤쪽으로 이동하여 폴리싱장치의 앞부분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음으로 작업자가 무리하지 않고도 폴리싱장치의 앞 부분을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멀티폴리싱장치의 연마판 수리, 청소, 연마석 교체시 무게추에 의하여 앞부분이 90°로 들어 올려짐에 따라 작업자가 안정적인 자세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자중에 의하여 앞 부분이 전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멀티폴리싱장치 100 : 몸체프레임
200 : 연마수단 300 : 조작부
400 : 가압수단 410 : 무게추
420, 420' : 위치조절부 422 : 레일
424 : 위치조절손잡이 422' : 회전봉
424' : 설치공 426' : 가이드봉
430 : 위치조작부 440 : 위치조절구동부
450 : 위치표시부 500 : 수평센서
600 : 수평조절수단

Claims (13)

  1. 삭제
  2. 수직프레임이 수평프레임의 후단부 상측으로 설치되고, 이동 가능한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수평프레임에 구비되어 연마대상물을 연마시키기 위한 연마수단;
    상기 연마수단을 조작하는 조작부; 및
    상기 연마수단을 연마대상물 방향으로 가압하여 연마대상물과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멀티폴리싱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한 쌍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각 수평프레임을 하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무게추; 및
    상기 무게추를 해당 수평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에 의해 고정되는 무게추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연마수단을 연마대상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조절하여 연마대상물과의 접촉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폴리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각 수평프레임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무게추에 형성되는 위치조절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위치조절손잡이를 파지하여 레일을 따라 무게추를 이동시켜 연마수단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폴리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를 레일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위치조작부;가 더 포함되는 멀티폴리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작부는,
    상기 레일에 닿아 무게추를 레일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레이크패드;
    상기 브레이크패드를 레일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패드가압부; 및
    상기 위치조절손잡이에 구비되어 상기 브레이크패드를 레일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패드조작레버;를 포함하는 멀티폴리싱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외주를 따라 나사산을 갖고, 상기 각 수평프레임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에 관통설치되도록 상기 무게추에 형성되되, 내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봉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설치공; 및
    상기 회전봉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회전봉을 따라 이동되는 무게추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무게추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연마수단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폴리싱장치.
  7.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조절구동부;가 더 포함되는 멀티폴리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구동부는,
    구동실린더 또는 구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폴리싱장치.
  9.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상에서 상기 무게추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표시부;가 더 포함되는 멀티폴리싱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의 수평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수평센서; 및
    상기 수평센서에 의해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폴리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수단은,
    이동바퀴가 설치되기 위해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바퀴브래킷;
    상기 바퀴브래킷에 상방향향으로 형성되며, 이동바퀴의 회전축이 설치되기 위한 이동홈; 및
    상기 몸체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축을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폴리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센서의 측정치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한 수평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폴리싱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수단의 연마 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수단; 및
    상기 연마수단의 연마 시, 연마대상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마수단을 포집수단과 연동시키는 건식모드와 상기 연마수단을 물분사수단과 연동시키는 습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건식모드 또는 습식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폴리싱장치.
KR1020150115090A 2015-08-17 2015-08-17 멀티폴리싱장치 KR101561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090A KR101561982B1 (ko) 2015-08-17 2015-08-17 멀티폴리싱장치
PCT/KR2016/008259 WO2017030298A1 (ko) 2015-08-17 2016-07-28 멀티폴리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090A KR101561982B1 (ko) 2015-08-17 2015-08-17 멀티폴리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982B1 true KR101561982B1 (ko) 2015-10-20

Family

ID=5440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090A KR101561982B1 (ko) 2015-08-17 2015-08-17 멀티폴리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61982B1 (ko)
WO (1) WO201703029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997B1 (ko) 2019-07-08 2019-10-21 박서연 쌍발 피니셔를 이용한 폴리싱머신
KR20210006096A (ko) 2019-07-08 2021-01-18 박서연 안전기능이 추가된 쌍발 피니셔를 이용한 폴리싱머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166B1 (ko) * 2014-04-28 2014-08-29 주식회사 세민기공 다기능 폴리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8566A (ja) * 2004-03-31 2005-10-20 Tomosada Kenki:Kk ディスクサンダー
KR20070090322A (ko) * 2006-03-02 2007-09-06 김춘동 연마장치
KR20110096799A (ko) * 2010-02-23 2011-08-31 (주)경서글로텍 연마기
KR101392991B1 (ko) * 2011-07-27 2014-05-12 (주)성심 바닥 연마용 폴리싱 머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166B1 (ko) * 2014-04-28 2014-08-29 주식회사 세민기공 다기능 폴리싱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997B1 (ko) 2019-07-08 2019-10-21 박서연 쌍발 피니셔를 이용한 폴리싱머신
KR20210006096A (ko) 2019-07-08 2021-01-18 박서연 안전기능이 추가된 쌍발 피니셔를 이용한 폴리싱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0298A1 (ko)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40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uniform texture to a substantially vertical surface
CN106217206B (zh) 一种用于建筑钢筋打磨装置
JP6200308B2 (ja) レール錆取り機
KR101561982B1 (ko) 멀티폴리싱장치
JPWO2011013710A1 (ja) 研削盤及び計測装置
KR101545710B1 (ko) 성능이 향상된 폴리싱장치
JP2012176480A (ja) デッキ表面の研削・研磨装置
KR101973089B1 (ko) 철도 레일의 용접부위 연마장치
KR101020122B1 (ko) 다중의 연마패드를 구비한 폴리싱 장치
KR101312395B1 (ko) 연삭기용 연마휠
US9855638B2 (en) Dressing apparatus, polishing apparatus having the dressing apparatus, and polishing method
KR20190112390A (ko) 절삭휠 마모량 측정장치
CN209986722U (zh) 弧面抛光机
JPH11262846A (ja) 管の受口内面の研掃装置
CN106217192A (zh) 一种软辊砂打磨结构
CN113146391B (zh) 一种建筑装饰用的墙面处理装置
CN104708509B (zh) 弹簧端面磨床
CN207789381U (zh) 一种石材机械用万向轮
KR20170024352A (ko) 공압 방식을 이용한 회전 칼날 연마장치
CN206105563U (zh) 一种软辊砂打磨结构
JPH09184797A (ja) 実歩行対応型摩耗促進試験機
KR101962014B1 (ko) 인터록킹 블록용 표면연마장치
KR101906719B1 (ko) 디스크 랩핑장치
KR20090026920A (ko) 드레싱 장치를 구비한 유리 기판 연마 장치
JPH0647664A (ja) 砥石のドレッシング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ドレッシング用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