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322A -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322A
KR20070090322A KR1020060019899A KR20060019899A KR20070090322A KR 20070090322 A KR20070090322 A KR 20070090322A KR 1020060019899 A KR1020060019899 A KR 1020060019899A KR 20060019899 A KR20060019899 A KR 20060019899A KR 20070090322 A KR20070090322 A KR 20070090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otating shaft
shaft
plat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동
Original Assignee
김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동 filed Critical 김춘동
Priority to KR1020060019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0322A/ko
Publication of KR20070090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46Clamp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 to the wall opening; Fastening frames by tightening or drawing them against a surface parallel to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 시멘트 바닥 등을 연마하는 연마장치에 한 동력으로 연마재를 지지하는 연마판 회전의 신속한 회전과 연마판을 포함하는 본체 회전의 완만한 회전을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연마시 연마재와 피 연마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틸팅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연마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완충재를 형성하고, 건식 연마시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탈진 장치로 구성된 연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마재, 메인회전축, 연마판,

Description

연마장치{Grind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마장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마장치의 본체 단면도.
도 3은 본체 저면 구조도
도 4는 분진제거기의 상세도.
도 5는 분진제거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본체 12 : 프레임
13 : 연마판 14 : 회전축(a,b,c)
15 : 동력 16 : 회전기어(a,b,c,d,e)
18 : 연마재 21 : 고정지지판
22 : 턱 23 : 하부구조
24 : 상부구조 25 : 홀
26 : 지지핀 27 : 스프링
28 : 베어링 29 : 분진함
31 : 블로아 32 : 필터
33 : 호스 34 : 커버
35 : 본체 내주 36 : 프레임외주
37 : 차대 38 : 배기구
39 : 휠 40 : 손잡이
41 : 장공
본 발명은 석재, 시멘트 바닥 등을 연마하는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마장치가 연마를 할 때는 다수개로 형성된 연마판이 자전에 의한 연마와 본체가 회전하여 연마판이 이동하면서 연마하는 2개의 작업을 1개의 동력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연마 작업을 할 때, 피 연마재의 거친 표면에 의해 연마판의 틸팅에 의한 장치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장치가 구성되며, 건식 연마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한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마장치는 연마판의 회전과 본체 회전에 각각 동력이 설치되어 동력 설치비용의 부담이 있고, 전력이 많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연마장치에 동력의 무게 만큼 중량이 커지므로 연마장치의 운전에 어려움이 있으며, 피 연마재의 표면 거칠기에 의한 진동으로 연마장치의 조기훼손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연마장치를 작동하는 동력을 절약하는데 목적이 있고, 연마를 처음 시작할 때, 거친 피 연마재 때문에 연마재의 틸팅에 의한 장치의 조기 훼손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집진장치를 장착하여 건식으로 연마 작업을 할 때, 발생하는 분진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동력 회전의 기어가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의 기어에 결합하고, 프레임의 회전축 기어에 연마판 기어를 결합하고, 동력 회전축의 회전시 프레임의 회전축과 연마판의 회전축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고 각 회전축의 기어수를 조절하여 각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고 각 연마판은 동심원을 가지고 이동하면서 회전하도록 한다.
동력 회전축의 기어수와 프레임의 회전축 기어수를 조절하여 동력 회전축의 회전과 프레임의 회전 비를 조절하도록 한다.
프레임 회전축 기어수와 연마판의 회전축 기어수를 조절하여 프레임의 회전과 연마판의 회전비를 조절하도록 한다.
동력과 회전축과 연마판은 기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연마판의 충격은 그대로 동력까지 전달되어 연결구조 및 기어의 훼손이 조기에 발생하므로 연마판의 회전축에 충격 완화 장치를 구성하여 기어 및 연결구조의 조기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연마 작업은 습식과 건식으로 구분하고 건식은 분진이 발생하므로 분진 제거장치를 장착하여 대기 오염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회전기어(16a)가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14a)을 포함하는 동력(15)과 상기 회전기어(16a)와 결합되는 하부 기어(16b)와 회전축(14b)의 상 단부에 형 성되는 기어(16d)가 고정지지판(21)의 외경에 형성된 기어(16e)와 결합되어 회전축(14b)이 회전할 때, 본체(11)의 고정지지판(21)의 외경을 공전하는 프레임(12)과 상기 회전축(14b)의 하부 기어(16b)와 결합된 기어(16c)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연마판(13)으로 구성되고 연마판(13)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가 형성된 연마판(13)의 회전축(14c)과 연마판(13)의 작업으로 발생하는 분진을 탈진시키는 분진함(27)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마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마장치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회전기어의 결합상태를 평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분진제거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연마판의 지지대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 내주(35)와 프레임 외주(36)가 베어링을 연계하고 결합되어 프레임(12)은 본체(11)의 내주를 따라 회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2)은 본체 내주(35) 하 단부에 형성된 턱(22)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턱(22)은 볼트(도시되지않음)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본체(11)와 프레임(12)을 결합할 때 용이하도록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동력(15)은 본체(11)의 상부에 거치되며 동력(15)의 회전축(14a)은 본체(11) 중앙으로 인입되어 회전축(14a)의 하 단부에 형성된 회전기어(16a)는 회전축(14b)의 하단부 기어(16b)와 결합되어 있고 동시에 회전축(14b)의 하부 기어(16b)는 연마판(13)의 회전축(14c)의 기어(16c)와 결합되어 있다.
회전축(14b)의 상부 기어(16d)는 고정지지판(21)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16e)와 결합되어 있다.
연마판(13)의 회전축(14c)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2개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연마판(13)이 고정된 회전축(14c)은 아랫부분은 하부구조(23)로 구분되고 상부는 상부구조(24)로 구분되어 내경에 걸처 요. 철 모양으로 형성된 하부구조(23)의 홀(25)에 그 외경이 요. 철 모양으로 형성된 상부구조(25)의 하 단부가 삽입되어 하부구조(24)의 요부가 상부구조(24)의 철부가 결합되는 방법으로 결합되며 홀(25)의 저부에는 스프링(27)이 내재되어 연마판(13)이 회전하면서 작동할 때 연마판(13)에 고정된 연마재(18)의 회전과 피 연마재의 거칠기에 의해 발생하는 하부구조(23)의 진동 충격이 상부구조(24)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하부구조(23)의 진동충격에 유격을 주기 위해 하부구조(23)와 상부구조(24)에 장공을 형성하여 지지핀(26)을 체결함으로써 하부구조(23)가 상부구조(24)에 지지되면서 진동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된다.
하부구조(23)의 하단부에는 연마판(13)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고조(24)의 상단부에는 회전 기어(16c)가 형성된 회전축(14b)으로 형성되고 하부구조(23) 상 단부에는 상부구조(24)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홀(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25)의 내주는 홀(25)의 깊이에 걸처 요.철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부구조(24)의 회전축의 단부는 하부구조(23)의 홀(25)의 깊이와 같은 길이로 외경에 걸처 요.철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부구조(24)가 하부구조(23)의 홀(25)로 삽입되면 하부구조(23)의 요부는 상부구조(24)의 철부와 결합되는 방법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구조 홀(25)의 저부에는 스프링이(27) 배치 고정되어 있어 홀(25)에 삽입되는 상부구조(24)의 단부와 스프링(27)이 접촉되어 연마판(13)의 진동이 상부구조(24)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구조(23)가 상부구조(24)에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핀(26)으로 하부구조(23)와 상부구조(24)가 고정된다. 상기 지지핀(26)은 하부구조(23)와 상부구조(24)의 장공에 삽입되어 유격을 가지므로 연마판(13)에서 발생하는 충격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11) 하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원주를 따라 커버(34)가 고정되어 있고 어느 한 지점에 구멍(도시되지않음)이 천공되어 연마판(13)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이동시키기 위한 호스(33)가 고정되고 분진함(29)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진함(29)에는 분진의 흡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블로워(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진함(29)에는 필터(32)가 배치되어 블로워(31)에 의해 분진함(29)으로 유입된 분진은 필터(32)에서 필터링 되어 배기구(37)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
본 발명은 종래의 연마장치에서 효율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연마판(13)과 프레임(12)을 작동시키는 동력(15)을 각각 장착하여 비용이 클 뿐 아니라 무게가 커서 운전에 어려움이 있고, 작업시 연마판(13)에서 발생하는 진동충격에 의한 조기 마모와 작업시 분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도록 구성한 것 이다.
일반적으로 연마장치는 연마판(13)에 고정된 연마재(18)의 마쇄 기능에 의해 석판의 표면을 연마하거나 콘크리트 바닥을 연마하여 표면 거칠기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회전하는 다수개의 연마판(13)에 다수개의 연마재(18)를 장착하여 균일한 연마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연마장치의 실시 예에서 피 연마재(18)는 콘크리트 바닥을 대상으로 하고 건식 연마로 실시한다.
콘크리트 바닥은 색상이 다양한 작은 돌들을 시멘트와 혼합하여 바닥을 형성하고 그 표면을 연마하여 돌들의 다양한 색상들을 표현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마판(13)에는 다수개의 연마재(18)가 고정되는 구조이고 연마재(18)의 종류는 피 연마재의 종류에 따라 선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대(37)에 거치 고정되는 구조이고 차대(37)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구조이다.
차대(37)에는 휠(39)이 형성되어 연마장치를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차대(37)에는 연마작업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분진함(29)이 거치 고정되어 있다. 상기 차대(37)에는 손잡이(40)가 형성되어 수동으로 운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연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의 동력(15)과 본체(1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력(15)의 회전축(14a)은 본체(11)의 중앙에 위치 하며 베아링(28)과 연계하여 회동이 용이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회전축(14a)의 하단부에는 회전기어(16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12)은 본체 내주연(35)에 베어링(28)과 연계하여 회동이 용이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프레임(12)은 본체 내주연(35)에 지지되도록 돌출되게 턱(22)을 형성하되 상기 턱(22)은 본체의 내주연(35)에 탈착식으로 형성하여 프레임(12)을 결합할 때 용이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동력(15)의 회전축(14a)의 회전기어(16a)에 결합되는 회전기어(16b)의 회전축(14b)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12)에 베어링(28)과 결합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되며 회전축(14b)의 상단부에는 그 외경에 걸처 기어(16d)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16d)는 본체(11)의 고정지지판(21)의 외주연에 형성된 기어(16e)와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동력(15)의 회전축(14a)이 회전하면 회전축(14a)과 일체로 형성된 기어(16a)와 결합된 기어(16b)가 회전하게 되고 기어(16b)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14b)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14b)의 상단부에 형성된 기어(16d)가 고정지지판(21)의 기어(16e)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축(14b)은 자전하면서 고정지지판(21)의 외주연을 따라 공전하게 된다.
회전축(14b)은 프레임(12)에 지지되는 구조이므로 회전축(14b)이 회전하면서 기어(16d)가 고정지지판(21)의 기어(16e)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회전축(14b)은 프레임(1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프레임은(12)은 본체 내주연(35)을 축으로 회전하 게 된다.
상기 회전축(14b)의 하단부 기어(16b)는 회전축(14c)의 상단부 기어(16c)와 결합되어 회전축(14b)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14c)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14c) 하단부에 형성된 연마판(13)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결합으로 동력(15)이 작동하게 되면 동력(15)의 회전축(14a)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14a)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16a)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기어(16a)에 결합된 기어(16b)가 회전하게 되며 동시에 기어(16b)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14b)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14b)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14b)의 상단부에 형성된 기어(16d)가 고정지지판(21)의 외주연의 기어(16e)와 결합된 상태로 자전하면서 고정지지판(21)의 외주연을 공전하게 되어 프레임(12)이 회전하면서 연마판(13)을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기 각 결합된 기어(16a,16b,16c,16d,16e)의 숫자를 조절하여 각 회전축(14a,14b,14c)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연마판(13)의 회전수는 크게 하고 프레임(12)의 회전수는 적게 하여 연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건식연마를 전제로 한 것이므로, 건식 연마를 할 때, 분진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본 발명에서는 본체(11) 하단부에 하단부의 외주를 따라 커버(34)가 형성되어 연마판(13)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분산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확산되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게 위해 커버(34)의 어느 지점에 구멍(도시되지않음)을 천공하고 그 구멍에 호스(33)를 연결하고 분진함(29)에 연결하여 미세 먼지가 분진함(29)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분진함(29)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로아(31)가 형성되고 필터(32)가 형성되어 먼지가 강제로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먼지는 필터(32)를 통과하면서 먼지가 제거되고 깨끗한 공기가 배기구(38)로 배출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마판(13)을 회전시키는 회전축(14c)은 하부구조(23)와 상부구조(24)로 구분되고 하부구조(23)의 하 단부에 연마판(13)이 고정되고 상부구조(24)의 상단부는 기어(16d)가 형성되어 회전축(14b)의 기어(16b)와 결합된 구조이다.
하부구조(23)에 형성된 홀(25)에 상부구조(24)의 하단부가 삽입되면 상부구조의 요.철이 형성된 하단부는 홀(25)의 요.철과 결합된 상태로 홀(25)의 저부에 배치된 스프링(27)에 접촉한 상태로 안착하게 된다.
상기 하부구조(23)와 상부구조(24)가 결합되면 하부구조(23)와 상부구조(24)를 관통하는 장공(41)에 지지핀(26)을 끼워 상부구조(24)에서 하부구조(23)가 탈리되지 않도록 하면 연마판(13)에서 발생하는 진동충격이 상기 스프링(27)과 장공(41)에 의해 상부구조(24)에 전달되지 않게 함으로써 연마장치의 조기 훼손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마장치는 연마판과 프레임을 1개의 동력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동력 구입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1개의 동력을 이용하게 되므로 전체 중량이 경량이 되는 효과가 있으며, 연마판 회전축을 하부구조와 상부구조로 분리하고 스프링을 적용하게 함으로써 작업하는 연마판에서 발생하는 진동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연마판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분진함의 필터에서 여과하게 되므로 작업환경과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본체는 동력과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차대에 거치 고정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마장치에 있어서,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기어(16a)가 형성된 회전축(14a)이 본체(11)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동력(15)과, 상단부와 하단부에 기어(16d,16b)가 형성되어 하단부 기어(16b)는 동력(15)의 회전축(14a)의 기어(16a)와 결합되고 상단부 기어(16d)는 고정지지판(21)의 기어(16e)와 결합되는 회전축(14b)과, 회전축(14b)의 하단부 기어(16b)와 결합되어 연마판(13)을 회전시키는 회전축(14c)과, 본체(11)의 내주연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프레임(12)과 연마판(13)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여과하는 분진함(2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동력(15) 회전축(14a)의 기어(16a)는 회전축(14b)의 하단부 기어(16b)와 결합되고 회전축(14b)의 상단부 기어(16d)는 고정지지판(21)의 기어(16e)와 결합되고, 회전축(14b)의 하단부 기어(16b)는 회전축(14c)의 상단부 기어(16c)와 결합되어 동력(15)이 작동하여 회전축(14a)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14a)과 일체로 형성된 기어(16a)가 결합된 기어(16b)를 회전시켜 회전축(14b)이 회전하고 회전축(14b)의 상단부에 형성된 기어(16d)는 고정지지판(21)의 기어(16e)와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고정지지판(21)의 외주연을 공전하면서 프레임(12)과 같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회전축(14b)의 하단부 기어(16b)와 결합된 기어(16c)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4c)이 회전하고 회전축(14c)과 일체로 형성된 연마판(13)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14c)은 하부구조(23)와 상부구조(24)로 구분되며 하부구조(23)의 상 단부에는 홀(25)이 형성되고 홀(25)의 내주에는 내주연과 깊이에 걸처 요.철이 깊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구조(24)의 하단부에는 외주연과 길이에 걸처 요.철이 형성되어 상부구조(24)의 하단부가 하부구조(23) 홀(25)에 삽입될 때 요.철이 결합되면서 삽입되고 홀(25)의 저부에는 상부구조(24)의 단부에 탄성을 제공하도록 스프링(27)이 배설되며 하부구조(23)와 상부구조(24)를 관통하는 장공(41)에 지지핀(26)이 고정되어 연마판(13)에서 발생하는 진동충격이 상부구조(24)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하부구조(23)가 상부구조(24)에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분진함(29)은 본체(11)의 커버(34)에서 호스(33)로 연결되고 필터(32)가 내장되며 블로아(31)가 형성되어 연마판(13)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블로아(31)의 흡인력으로 호스(33)를 통하여 분진함(29)에 유입되고 유입된 분진은 필터(32)를 통과하면서 배기구(38)로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KR1020060019899A 2006-03-02 2006-03-02 연마장치 KR20070090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899A KR20070090322A (ko) 2006-03-02 2006-03-02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899A KR20070090322A (ko) 2006-03-02 2006-03-02 연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322A true KR20070090322A (ko) 2007-09-06

Family

ID=3868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899A KR20070090322A (ko) 2006-03-02 2006-03-02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032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224B1 (ko) * 2008-05-22 2009-01-07 (주)성심 추력방지 및 회전속도검출 기능이 구비된 폴리싱 머신용기어툴 박스 구조
KR200449656Y1 (ko) * 2008-02-21 2010-07-28 박병선 연삭기
KR101240609B1 (ko) * 2010-06-15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마장치
KR101435166B1 (ko) * 2014-04-28 2014-08-29 주식회사 세민기공 다기능 폴리싱장치
KR101627567B1 (ko) * 2015-03-25 2016-06-13 김학천 분진 비산방지를 위한 바닥면 연마장치용 집진커버
WO2017030298A1 (ko) * 2015-08-17 2017-02-23 주식회사 세민기공 멀티폴리싱장치
KR20190140594A (ko) * 2018-06-12 2019-12-20 신영상 핸드그라인더 홀더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656Y1 (ko) * 2008-02-21 2010-07-28 박병선 연삭기
KR100877224B1 (ko) * 2008-05-22 2009-01-07 (주)성심 추력방지 및 회전속도검출 기능이 구비된 폴리싱 머신용기어툴 박스 구조
KR101240609B1 (ko) * 2010-06-15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마장치
KR101435166B1 (ko) * 2014-04-28 2014-08-29 주식회사 세민기공 다기능 폴리싱장치
KR101627567B1 (ko) * 2015-03-25 2016-06-13 김학천 분진 비산방지를 위한 바닥면 연마장치용 집진커버
WO2017030298A1 (ko) * 2015-08-17 2017-02-23 주식회사 세민기공 멀티폴리싱장치
KR20190140594A (ko) * 2018-06-12 2019-12-20 신영상 핸드그라인더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0322A (ko) 연마장치
US6752707B1 (en) Wood floor sanding machine
KR100931641B1 (ko) 폴리싱 머신용 기어툴 박스 구조
US7261623B1 (en) Wood floor sanding machine
US3098329A (en) Cement floor finishing machine
WO2007093874A1 (en) Sanding disc, apparatus and method
EA028073B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вертикальный измельчительный станок
US4155596A (en) Terrazzo floor surfacing machine
CA2595028A1 (en) Apparatus for grinding a surface comprising two movably arranged hoods
KR100820726B1 (ko) 건식 연마기의 구동장치
CN109333305B (zh) 一种金属材料加工用打磨装置
KR101772289B1 (ko) 선박 작업용 스위핑 머신
KR101003908B1 (ko) 스키드 로더 연결형 연삭기
KR200401367Y1 (ko) 곡면 연마가 가능한 연마휠
KR101842214B1 (ko) 도로 난간대와 콘크리트벽 사이 틈새 공간부 면삭용 콘크리트벽 면삭기
CN102039550A (zh) 一种新型振动抛光机
CN215140288U (zh) 一种石粉下料喷淋防尘吸尘一体装置
CN109290929A (zh) 一种机械齿轮件加工用可以无死角旋转的抛光打磨机械手
CN110370114A (zh) 一种研磨机
KR101150677B1 (ko) 지면 평삭기
CN208826288U (zh) 一种稳定性能强的混凝土抛光机
KR101195203B1 (ko) 강재 연삭기
KR100569242B1 (ko) 집진구조를 갖는 그라인더
KR20110045836A (ko) 공압형 오비탈 샌더
CN201841466U (zh) 一种新型振动抛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