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677B1 - 지면 평삭기 - Google Patents

지면 평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677B1
KR101150677B1 KR1020080090188A KR20080090188A KR101150677B1 KR 101150677 B1 KR101150677 B1 KR 101150677B1 KR 1020080090188 A KR1020080090188 A KR 1020080090188A KR 20080090188 A KR20080090188 A KR 20080090188A KR 101150677 B1 KR101150677 B1 KR 101150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pair
rotating body
groun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1209A (ko
Inventor
신운철
Original Assignee
신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운철 filed Critical 신운철
Priority to KR102008009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67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1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 평삭기에 관한 것으로, 굴삭기의 붐장치와 체결되는 결합부와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연결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지지축과, 상기 회전지지축의 중심부 양측 방향에 결합되는 수평지지축과, 한 쌍의 상기 수평지지축에 각각 연결되고, 회전모터와 결합되어 바닥면을 평삭하는 바닥회전체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회전지지축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가 상기 바닥면에 탄력적으로 가압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지지부의 하측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붐장치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한 쌍의 상기 수평지지축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한 쌍의 상기 바닥회전체가 각각 회전되어 상기 바닥면을 평삭한다.
본 발명의 지면 평삭기는, 하나의 지면 평삭기로 바닥면을 원형으로 평삭할 수 있고, 도로의 바닥면을 미끄럼접촉 하면서 넓은 영역의 바닥면을 평삭할 수 있다.
Figure R1020080090188
평삭, 지면, 아스팔트, 바닥면

Description

지면 평삭기{Planing Machine}
본 발명은 지면 평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원형으로 지면으로 평삭할 수 있으며, 바닥면에 미끄럼접촉되면서 일측 방향으로 지면을 평삭할 수 있는 지면 평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삭기는 신축현장의 제이턴스제거 및 클리닝작업을 수행하거나, 시멘트 돌출부위제거 또는 에록시 코팅 제거작업, 도로공사 후 도로면의 평활하지 못한 부위를 강제로 평활하게 가공처리하여 마무리 공정을 수행하거나, 건물축조 공사후 실내 바닥면의 마무리 공정을 위해 바닥면을 평활하게 하고 바닥 타일공사나 도료, 도장 공사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닥 평삭가공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녹이 슬거나 부식된 철판의 표면층을 면삭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평삭기는 첨부된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경칩이 다수개 부착되는 커터드럼(140)과, 상기 커터드럼(140)을 회전시켜 피가공체(200)를 평삭하기 위한 구동체 및 구동폴리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수단(120)과, 상기 구동수단(120)을 탑재하고 상기 커터드럼(140)이 내부에 장착되어지기 위한 작업대(110)와, 상기 작업대(110)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고정지지대(130), 그리고, 상기 커터드럼(140)을 하방으로 이송시키고 작업이 종료되면 상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승강수단(미도시)을 동작시키기 위한 핸들(152)이 상기 고정지지대(130)의 상단에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평삭기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면의 돌출부를 깍기 위한 용도이며, 현재까지 제공된 평삭기는 천편일률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 및 구성을 갖는다.
한편, 대형차량의 운행으로 인해서 맨홀 주위의 바닥면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파열되는데, 현재까지 이러한 맨홀 주위의 보수 및 보강 공사는 작업자가 수동적으로 균열된 바닥면을 제거하고 아스콘을 타설하고 있었다. 균열된 바닥면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곡괭이와 삽 등을 이용하게 되어 작업과정이 비효율적이고 보수공사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평삭기는 바닥면에 중심부가 지지된 상태로 맨홀뚜껑의 주변을 원형으로 평삭하고,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지면을 평삭하는 두 가지 형태의 평삭기가 제공되고 있었다.
따라서, 아스팔트 타설시와 맨홀보수 공사시 두 개의 평삭기를 현장으로 운반해야하고, 작업 또한 두 기기가 개별적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을 시공하기 위해 바닥면을 원형으로 평삭하거나 균열로 인해서 맨홀본체의 주변에 발생된 바닥면의 파열된 부분을 원형으로 제거하고, 도로의 포장 또는 보수 공사시 바닥면의 평삭을 하나의 기기로 평삭할 수 있는 지면 평삭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면 평삭기는, 굴삭기의 붐장치와 체결되는 결합부와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연결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지지축; 상기 회전지지축의 중심부 양측 방향에 결합되는 수평지지축; 한 쌍의 상기 수평지지축에 각각 연결되고, 회전모터와 결합되어 바닥면을 평삭하는 바닥회전체; 및 상기 지지부의 하측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붐장치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한 쌍의 상기 수평지지축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한 쌍의 상기 바닥회전체가 각각 회전되어 상기 바닥면을 평삭한다.
본 발명의 지면 평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바닥회전체는, 상기 수평지지축에 대하여 각각 상기 회전지지축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
본 발명의 지면 평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다수개의 압축스프링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지면 평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축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어 한 쌍의 상기 수평지지축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수평지지축; 및 상기 보조수평지지축에 결합되는 보조바닥회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면 평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바닥회전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이송이 안내되도록 다수개의 바퀴가 구비된 이송안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면 평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회전체 및 상기 보조바닥회전체는, 상기 바닥면 평삭시 발생되는 미세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물 분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지면 평삭기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의 하측면에 다수개의 고정체가 구비되어 지면을 평삭할 때 지면 평삭기가 바닥면에 대하여 유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체와 지지부 사이에 압축스프링이 구비되고, 지지부와 회전지지축 사이에 탄성스프링이 구비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수평 상태로 바닥면을 평삭할 수 있다.
또한, 굴삭기의 붐장치와 체결되는 결합부와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 사이에 구비된 회전지지축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한 쌍의 바닥회전체가 회전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맨홀주변의 바닥을 원형으로 평삭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송안내부를 회동시켜 바퀴를 바닥면에 미끄럼접촉되게 하고, 회전모터의 구동만으로 바닥면을 일측 방향으로 평삭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바닥면을 일측 방향으로 평삭할 때 한 쌍의 바닥회전체 사이에 보조바닥회전체를 보조수평지지축에 결합 또는 하측 방향으로 회동시켜 넓은 영역의 바 닥면을 동시에 평삭할 수 있다.
또한, 바닥회전체 및 보조바닥회전체가 구동될 때 물이 분사되어 지면 평삭시 발생되는 미세분진을 바닥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단면 표시 생략)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면 평삭기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면 평삭기(100)는 결합부(110), 지지부(120), 회전지지축(130), 수평지지축(140), 바닥회전체(150)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110)는 굴삭기 일명 '포크레인'의 붐장치(200)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부(110)를 상기 붐장치(200)와 결합하거나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10)의 하측부에는 베어링(B)에 의해 후술되는 회전지지축(130)의 상단과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120)는 바닥면에 가압되어 지지되는 역할을 하며, 상단부재(121)와 하단부재(122), 그리고 이 두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3) 및 상기 연결부재(123)의 외주면에 위치되어 상단부재(121)와 하단부재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스프링(124)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123)는 상기 상단부재(121)와 상기 하단부재(122)를 다수개로 연결하며 상기 탄성스프링(124)은 상기 연결부재(123)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하단부재(122)의 저면에는 바닥면에 가압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체(125)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체(125)는 첨부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스크류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고정체(125)는 상기한 붐장치(200)가 하측으로 가압되면 바닥면에 일부분이 관통되어 지면 평삭기(100)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축(130)은 상기한 결합부(110)와 상기 지지부(120)를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축(13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베어링(B)이 구비되어 상단은 상기 결합부(110)에 대하여 하단은 상기 지지부(120)에 대하여 상기 회전지지축(130)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축(130)의 상단부에는 기어(131)가 결합되고, 상기 기어(131)와 맞물리는 또 다른 기어(132)의 중심축이 구동모터(133)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33)가 회전하게 되면 한 쌍의 상기 기어(131,13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지지축(130)은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베어링(B)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지지축(130)은 다단으로 구비되어 유압실린더 또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된다.
상기 수평지지축(140)은 상기 회전지지축(130)의 중심부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이 수평지지축(140)은 평면에서 봤을 때 180˚의 각을 갖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축(140)에는 다수개의 관통홀 또는 장공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바닥회전체(150)를 위치 이동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축(130)에는 압축스프링(135)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압축스프링(135)은 전술되어진 지지부(120)와 상기 수평지지축(140)의 영역 내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지지축(130)을 탄력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축(130)에는 보조수평지지축(140')이 더 결합된다. 이 보조수평지지축(140')은 한 쌍의 상기 수평지지축(140)과 각각 90˚의 평면 각을 갖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보조수평지지축(140') 또한 다수개의 관통홀 또는 장공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회전체(150)는 상기 수평지지축(140)에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바닥면을 평삭하게 된다. 상기 바닥회전체(150)는 하측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모두 폐쇄된 상태의 형상을 갖는 커버(151)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151)의 상측 또는 횡측에 구비되어 물이 분사되는 물분사부(152)가 위치된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물분사부(152)를 상기 커버의 상측부에 위치시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 물분사부(152)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151) 내부에는 중심부가 회전모터(155)에 결합되는 회전체(153)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153)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평삭날(154)이 결합된다. 상기 평삭날(154)은 상기 회전체(153)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커버(151)의 외측부에는 이송안내부(16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이송안내부(160)는 상기 수평지지축(140)의 연장부에 고정되거나 탈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안내부(160)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바퀴(162)가 구비되어 바닥면에 미끄럼접촉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안내부(160)는 상기 바퀴(162)를 상측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전술되어진 보조수평지지축(140')에는 보조바닥회전체(150')가 위치되는데, 이 보조바닥회전체(150')는 상기 보조수평지지축(140')에 체결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바닥회전체(150')를 상측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지면 평삭기(100)는 바닥면을 원형으로 평삭하거나, 바닥면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평삭할 수 있다.
먼저, 바닥면을 원형으로 평삭할 경우, 지면평삭기(100)의 상측부에 위치된 결합부(110)를 굴삭기의 붐장치(200)에 결합한다. 이후 붐장치(200)를 구동하여 지면 평삭기(100)의 하측부에 구비된 지지부(120)를 바닥면에 가압한다.
이후, 상기 회전지지축(130)의 상단부에 결합된 구동모터(133)를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지지축(13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바닥회전체(150)에 결합된 회전모터(155)를 구동시키게 된다.
삭제
따라서, 상기 붐장치(200)가 하측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지지부(120)는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지지축(130)이 회전함과 동시에 한 쌍의 바닥회전체(15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바닥면을 평삭하게 된다.
한편, 바닥면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평삭할 경우, 보조수평지지축 (140')에 보조바닥회전체(150')를 결합하거나 보조바닥회전체(150')를 하강하여 바닥면에 닿게 한다.
또한, 한 쌍의 바닥회전체(150)의 외측부에 위치된 이송안내부(160)를 결합하거나 하강하여 바퀴(162)가 바닥면에 닿게 한다.
이후, 회전지지축(130)을 상승시켜 지지부(120)가 바닥면에서 약간 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모터(155)를 구동시켜 한 쌍의 바닥회전체(150) 및 이 두 바닥회전체(150) 사이의 후방에 위치된 보조바닥회전체(150')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그리고, 굴삭기를 일측 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이송안내부(160)에 위치된 다수개의 바퀴(162)가 바닥면에 미끄럼접촉되면서 바닥회전체(150)와 보조바닥회전체(150')가 지면을 평삭하면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구동모터(133)의 회전은 정지된 상태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지면 평삭기(100)는 도로의 바닥면을 원형으로 평삭하여 맨홀을 시공하거나 맨홀 주변의 바닥면을 보수할 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지면 평삭기(100)의 간단한 조작으로 도로의 넓은 영역을 일측 방향으로 평삭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지면 평삭기(100)로 도로의 바닥면을 원형으로 평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의 넓은 영역의 바닥면을 일측 방향으로 평삭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면 평삭기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면 평삭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면 평삭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면 평삭기에 구비된 지지부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면 평삭기의 다른 실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면 평삭기의 다른 실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면 평삭기 110 : 결합부
120 : 지지부 121 : 상단부재
122 : 하단부재 123 : 연결부재
124 : 탄성스프링 125 : 고정체
130 : 회전지지축 131,132 : 기어
133 : 구동모터 135 : 압축스프링
140 : 수평지지축 140' : 보조수평지지축
150 : 바닥회전체 150' : 보조바닥회전체
151 : 커버 152 : 물분사부
153 : 회전체 154 : 평삭날
155 : 회전모터 160 : 이송안내부
161 : 바퀴 B : 베어링
200 : 붐장치

Claims (6)

  1. 굴삭기의 붐장치와 체결되는 결합부와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연결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지지축;
    상기 회전지지축의 중심부 양측 방향에 결합되는 수평지지축;
    한 쌍의 상기 수평지지축에 각각 연결되고, 회전모터와 결합되어 바닥면을 평삭하는 바닥회전체; 및
    상기 지지부의 하측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붐장치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한 쌍의 상기 수평지지축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한 쌍의 상기 바닥회전체가 각각 회전되어 상기 바닥면을 평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평삭기.
  2.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바닥회전체는,
    상기 수평지지축에 대하여 각각 상기 회전지지축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평삭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축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어 한 쌍의 상기 수평지지축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수평지지축; 및
    상기 보조수평지지축에 결합되는 보조바닥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평삭기.
  5. 제 4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바닥회전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이송이 안내되도록 다수개의 바퀴가 구비된 이송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평삭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회전체 및 상기 보조바닥회전체는,
    상기 바닥면 평삭시 발생되는 미세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물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평삭기.
KR1020080090188A 2008-09-12 2008-09-12 지면 평삭기 KR101150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188A KR101150677B1 (ko) 2008-09-12 2008-09-12 지면 평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188A KR101150677B1 (ko) 2008-09-12 2008-09-12 지면 평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209A KR20100031209A (ko) 2010-03-22
KR101150677B1 true KR101150677B1 (ko) 2012-05-25

Family

ID=4218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188A KR101150677B1 (ko) 2008-09-12 2008-09-12 지면 평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381B1 (ko) * 2021-01-20 2021-07-16 나남열 원주상의 정원(正圓)절단을 위한 맨홀보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6540B (zh) * 2021-10-22 2024-02-09 李亚辉 一种道路桥梁工程路面修复装置
CN114833686B (zh) * 2022-01-12 2023-03-10 丽水匠研创精密制造有限公司 带有水平度测量预警机构的多工位滑块磨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316A (ja) * 1996-02-14 1997-08-19 Itoo:Kk 表面切削土木作業用のカッタ装置
JPH10266121A (ja) * 1997-03-25 1998-10-06 Itoo:Kk 路面切削機
KR0129855Y1 (ko) * 1995-01-14 1998-12-15 박근식 절삭 및 면다듬기 기능이 겸비된 콘크리트면삭기
KR100708627B1 (ko) * 2005-09-23 2007-04-18 신운철 회전식 지면 평삭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855Y1 (ko) * 1995-01-14 1998-12-15 박근식 절삭 및 면다듬기 기능이 겸비된 콘크리트면삭기
JPH09217316A (ja) * 1996-02-14 1997-08-19 Itoo:Kk 表面切削土木作業用のカッタ装置
JPH10266121A (ja) * 1997-03-25 1998-10-06 Itoo:Kk 路面切削機
KR100708627B1 (ko) * 2005-09-23 2007-04-18 신운철 회전식 지면 평삭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381B1 (ko) * 2021-01-20 2021-07-16 나남열 원주상의 정원(正圓)절단을 위한 맨홀보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209A (ko) 2010-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71254B2 (ja) 路面用カッター
CN101368362B (zh) 铲土装置以及建筑机械
KR200451361Y1 (ko) 선체 외판 고소 작업용 로봇의 전처리 작업 모듈
US20190240803A1 (en) Surface Treatment Apparatus
KR101150677B1 (ko) 지면 평삭기
EP3915727A1 (en) Floor grinding machine
KR101630346B1 (ko) 맨홀 보수공법
KR20110056610A (ko) 이동식 연마장치
CA2441988A1 (en) Vertical underground stump grinding apparatus
US9770801B2 (en) Grinding/milling machine for levelling of horizontal surfaces
KR101945610B1 (ko)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
KR100708627B1 (ko) 회전식 지면 평삭기
KR20140133188A (ko) 지게차용 바닥 연삭장치
CN104195931B (zh) 铣刨机及其支腿摆动装置
KR101081048B1 (ko) 스키드 로더 연결형 연삭기
EP2554748A1 (en) Road surface milling cutter
GB2489782A (en) Cutting tool for repairing pot holes by creating an area of repair in damaged road
KR102244981B1 (ko) 맨홀정비용 지면커팅장치
KR20140133486A (ko) 지게차용 바닥 연삭장치
CN206323767U (zh) 一种园林施工挖沟装置
KR100912647B1 (ko)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중장비용 커팅장치
US10584450B2 (en) Rotary mixer
CN111791376A (zh) 一种装配式预制墙体成型加工机械及成型加工工艺
JP2007023755A (ja) 舗装路面切削機
CN214783092U (zh) 一种公路施工用沙土刮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