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550B1 - 치과용 오븐 - Google Patents

치과용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550B1
KR101555550B1 KR1020120080830A KR20120080830A KR101555550B1 KR 101555550 B1 KR101555550 B1 KR 101555550B1 KR 1020120080830 A KR1020120080830 A KR 1020120080830A KR 20120080830 A KR20120080830 A KR 20120080830A KR 101555550 B1 KR101555550 B1 KR 101555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firing chamber
valve arrangement
control devic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567A (ko
Inventor
주셀 루돌프
Original Assignee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filed Critical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130012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2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specially designed for laboratory use
    • F27B17/025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specially designed for laboratory use for dental work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0Methods or devices for soldering, casting, moulding or mel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uffle Furnaces And Rotary Kil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복원 부품들의 열처리를 위한 소성 챔버를 포함하는 치과용 오븐에 관한 것이다. 소성 챔버는 흡입관을 통하여 부압원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 배열체는 소성 챔버와 흡입관 사이에 배열되고 흡입관은 밸브 배열체의 도움을 받아서 소성 챔버에 부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성 챔버쪽으로 패쇄될 수 있다. 밸브 배열체와 부압원 사이에 있는 흡입관은 특히 주변공기 연결부를 통하여 환기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오븐 {Dental Oven}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치과용 오븐에 관한 것이며, 또한 청구항 13의 전제부에 따른 치과용 오븐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위 소성 사이클로 치과용 복원 부품들을 소성하는 이러한 치과용 오븐이 오랜 동안 알려져 왔다.
그래서, DE 1 160 777 A는 부압 펌프로서 피스톤 펌프의 형태를 갖는 부압원을 포함하는 전기로 열처리할 있는 치과용 오븐을 개시한다. 펌프는, 그의 설계에 따라, 심각한 수준의 동작 소음을 일으키기 때문에, 펌프는 바람직하게는 여러 미터 길이를 갖는 부압 또는 흡입관을 거쳐서 동작된다, 즉 펌프는 공간적으로 치과용 오븐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흡입관이 부압에 견디고 어느 정도로 플렉시블한 호스로서 적절하게 형성된다. 또한, 이 호스는 오븐의 벽을 통과할 때 냉각될 지라도 치과용 오븐의 소성 챔버에 의해 방출되는 공기가 상당히 고온이기 때문에 온도에 저항성이 있어야 한다.
전형적으로, 약 300℃ 까지는 열적 안정성이 있어야 하는 데, 사실은 첫번째 근사치로서 그 사실로 무관하게 치과용 오븐은 예를 들면 1200℃ 의 소성온도에서 동작되든지 또는 1600℃ 의 상당히 높은 소성온도에서 동작된다.
최근에, 소위 머플 오븐들이 치과용 복원 부품들의 제조를 위하여 치과용 오븐들로서 사용되어 왔다. 이것의 하나의 예가 DE 40 02 358 C1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치과용 오븐들에서, 형상화/제조될 세라믹 부품이 블랭크 또는 "그린 바디(green body)"로서 도입된다. 머플은, 그것이 소위 예열로에서 예를 들면 700℃ 의 출발온도로 이미 예열되고 나서, 사실은 대부분의 경우에 치과용 복원 부품과 함께 가열된다. 치과용 오븐의 소성 챔버는 부압 즉 소위 "진공"을 발생시키는 부압 펌프에 의한 부압 하에 놓여있다. 그리고나서, 프레스 플런저는 블랭크를 압착하고 증가하는 온도로 인해 치과용 복원 재료가 연화되었을 때, 전체의 소성 챔버에 존재하는 부압에 의해 유리하게 된 그 복원 재료는 무기공 방식으로 모울트 캐비티에 이르게 되며, 그의 형상은 제조될 치과용 복원 부품의 형상에 대응한다.
이 방법은 오랫동안 알려져 왔으며 시간의 테스트를 유지하여 왔으며, 반면에 물론, 치과용 복원 부품들의 성공적인 제공의 조건은 충분한 부압이 전체의 소성 챔버, 즉 또한 머플 그자체에서 존재하는 것이다.
석고 또는 유사한 캐스팅 화합물들은 기밀성이 없고 액밀성이 없으나, 어느 정도의 흐름저항성을 가지며 따라서 소성 챔버내의 완전히 균형이 잡힌 부압의 형성은 부압원을 형성하는 흡입 펌프의 적어도 수 초 또는 분의 작동을 필요로 한다. 특히 예열된 머플들에서, "출발온도"는 그리고 실온보다 이미 상당히 더 높으며, 고온 공기는 흡입펌프가 턴온된 직후에 흡입관 안으로 흐른다.
흡입 펌프가 오염될 수도 있는 고온공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펌프의 제조업자 또는 치과용 오븐의 제조업자는 부압 라인은 일정한 길이, 예를 들면 3 미터의 길이보다 더 짧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명기하여야 한다. 부압라인의 원하는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내경 - 및 그래서 외경 - 은 제조에 유리하고, 또한 표준 부압라인들의 사용을 가능케하는 측정치들을 제한한다. 이러한 부압 라인들의 길이는, 부압라인들이 또한 조각(piece)으로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치과용 실험실의 공간환경에 맞추어 질 수 있다.
약간 더 긴 흡입관의 추가적인 잇점은 "압력탄성(pressure elasticity)" 이 제공된다는 점이며; 부압 라인은 버퍼로서 작용하고 동시에 부압 펌프의 구조에 따라 부업 펌프에 도입될 수 있는 부압 피크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원하는 길이의 부압 라인의 원하는 설계를 막았던 심각한 단점은 이 라인들의 막힘의 경향이었고 그의 경향이다. 소성 챔버와 주변공기 사이의 큰 온도 구배로 인하여, 소성 챔버의 습기(챔버를 따라 운반되지 않는)가 부압 라인에서 응축한다. 이것은 흐름저항성의 증가를 일으키며 또한 부압 라인에 있는 물방울들의 증발온도가 부압이 증가함에 따라서 낮아지기 때문에 부압의 질의 악화를 초래한다.
이러한 사실에 비추어, 치과용 오븐의 제조업자는 부압라인들에 놓여있는 물방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들을 하는 특정한 습기제거 프로그램들을 규칙적으로 실현하여 왔다.
물방울의 형성이 아주 놓을 때 추가 변형 없이 여러 가지 부압 라인들을 제공하고, 그것들을 간단히 교환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은 비실용적이고 부가적인 저장을 필요로 하며, 또한 이것은 새로운 부압 라인을 재조립할 때 밀봉 문제들을 초래할 수 있다.
머플 그 자체 및/또는 치과용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치과용 복원 재료에는 상당한 정도의 잔류 습기가 제공되어 있다는 것은 오랜기간동안 알려져 왔다.
잔류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치과용 오븐은 부압 하에서 습기제거온도에서 작동된다. 이 습기제거 프로그램 동안에, 치과용 오븐의 밸브들은 외부 부압원쪽으로 열려서 수증기로 부유된 공기는 흡입관을 통하여 부압원으로 흐른다. 이 방식으로, 흡입관은 과도하게 적셔지고, 이것은 치과용 세라믹이 이후에 가열되는 경우에 그리고 프레싱 공정동안에 부압이 반드시 원하는 품질로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수분의 퇴적이 긴 흡입관에서 너무 많을 때, 이것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으며, 복원의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치과용 오븐에 특별한 투자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치과용 복원 부품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청구항1의 전제부에 따른 치과용 오븐 및 청구항 13의 전제부에 따른 치과용 오븐을 동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하여 청구항 1 및 13에 의해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개량들은 종속항들에서 청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편으로 라인을 세척하며, 즉 흐름저항성을 최초의 정도로 되돌리며, 또한 다른 한편으로 물방울 형태의 현재 수분을 제거하는 흡입관 또는 부압라인을 위한 특정 플러싱 프로그램(flushing program)의 제공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플러싱 프로그램 동안에, 소성 챔버 내의 부압은 본 발명에 따라 유지되며, 또한 이것은 치과용 오븐에서 또는 치과용 오븐 내에 어쨌든 제공되는 밸브 배열체를 통하여 일어난다.
이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 프로그램은 치과용 오븐의 위의 습기제거 프로그램 동안에도 수행될 수 있으나, 임의의 다른 시점에서도 즉 소성 공정동안에도 또는 소성 오븐이 턴오프되었을 때, 또는 부압시험 프로그램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흡입관을 형성하는 냉 흡입 호스가 완전히 플러싱되고 습기제거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소성 오븐 자체의 영역에서, 즉 밸브 배열체와 소성 챔버 사이에서, 흡기호스 또는 흡입관은 비교적 고온이기 때문에, 어떠한 퇴적도 거기서 일어나지 않는다. 흡입 호스가 치과용 오븐을 떠날 때, 흡입 호스는 물방울의 퇴적을 초래하는 흡입관내의 뜨껍고 축축한 공기를 위한 냉 트랩을 형성하는 대기온도에 노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압하에 있는 부압 펌프의 재시동을 가능하지 않게 하는 펌프들을 포함하여, 비용면에서 경제적인 부압 펌프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를 재시동하기 위하여, 펌프는 일시적으로 및 추가적인 변경없이 플러싱으로 변환될 수 있기 때문에, 펌프는 재시동될 수 있다. 그러나, 펌프의 새로운 재시동 동안에, 본 발명에 따라 소성 챔버내에 부압이 유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과용 오븐의 밖으로 연장하는 부압원 및 흡입 호스의 요소들은 소성 챔버를 밀봉하는 밸브 배열체를 통하여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압력 면에서 그것을 분리함으로써, 소성 챔버내의 부압이 유지되면서 정비 작업이 추가적인 변경을 하지 않고, 예를 들면 펌프를 교환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부압 펌프의 재시동은 추가적인 변경없이도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고가인 집적된 프리-휘일링을 갖는 펌프들을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제안되었던 이러한 진공 펌프들은 부압 라인에 영향을 주지 않고 펌프 자체의 플러싱을 가능케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점들이 어쨌든 그것들의 도움을 가지고는 얻을 두 없다.
이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라 냉 트랩으로서 특히 응축을 겪는 특히 흡입관 또는 부압라인은 펌프를 사용하여 세척될 수 있거나 플러싱될 수 있다. 분당 14 리터와 분당 20 리터 사이의 펌프 용량에서, 1 분보다 약간 더 긴 시간동안에 1 몰의 물이 흡입관으로부터 결국 제거될 수 있어, 소성 챔버에의 펌핑력의 짧은 중단은-여기서 그러나 소성 챔버내에 부압이 유지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원하는 플러싱을 확보하는 데 충분하다.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서, 위에 기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밸브(들)을 턴온하는 제어 장치가 밸브 배열체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온/오프 밸브는 흡입관과 소성 챔버 사이로 연장하며 플러싱 프로그램이 시동될 때 닫히는 플러싱 프로그램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밸브에 인접하여, 즉 흡입관의 전반부에, 밸브 배열체의 일부를 형성하며 그리고 흡입관 입력을 플러싱 입력과 연결하는 추가적인 온-/오프-밸브가 본 실시예에 제공된다. 플러싱 입력은 주변공기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주변공기내의 오염물질들을 흡입관으로부터 제거하는 공기필터를 통하여 주변공기에 연결될 수 있다.
두개의 온-/오프-밸브를 사용하는 대신에,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고 실용적으로는 "주변공기" 연결부들과 소성 "챔버" 사이에 흡입관을 변환시키는 단일 변환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소성 챔버 연결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소성 챔버의 외피에 직접적으로-자연적으로 밀봉되고-플랜지-마운트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단열재는 상당히 다공성이기 때문에 단열재를 관통하는 분리선이 불필요하다. 게다가, 다공성 단열재, 예를 들면 경량 내화 블록들이 흡입관의 부가적인 입력 필터로서 역할을 한다.
변형 실시예에서, 흡입 입력 (18)의 단열재에는 교환가능한 특정 필터 요소가 제공된다. 소성 챔버의 배출 공기는 그리고 이 필터 요소를 통과하여 화학 오염물질들이 아마 그 필터에 이미 트랩될 수 있다 설계에 따라서, 이 필터 요소는 동시에 단열로서 역할을 할 수 있어 경량 내화벽돌과 비교하여, 어떠한 추가적인 열손실도 일어나지 않는다. 필요하다면, 필터요소는 또한 촉매작용을 받게 되는 화합물들을 위한 촉매를 구비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경량내화벽돌 보다 더 흡습성이 있는 단열재로서 섬유재를 사용할 때, 흡입 연결부가 본 발명에 따라 오븐의 벽에 부착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단열재는 필라멘트 모양으로 형성되었다 하더라도 상당히 높게 가열되어 어떠한 수분 퇴적물이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소성 챔버의 외피와 치과용 오븐의 하우징 사이에 본 발명에 따라 밸브 배열체 및 개개의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1.600℃의 소성 챔버 온도에서 조차도,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 배열체는 과열될 수 없다. 밸브 배열체는 전형적으로 파이프의 짧은 조각을 통하여 소성 챔버의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주변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 배열체들을 갖는 치과용 오븐들이 이미 알려져 있었다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이 이유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오븐은 개조를 통하여, 예를 들면 단지 하나의 추가적인 밸브를 부가함으로써, 또는 제어를 변경함으로써,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장치를 통하여 소성 챔버의 내부압을 기록할 수 있고 플러싱 프로그램을 턴온하기 위해 얻어진 측정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소성 챔버의 내부압이 너무 서서히 감소한다는 것이 소성 챔버내의 부압의 발생동안에 결정되었을 때, 즉 흡입관이 막혀 발생물방울이 흡입관에서 응축되었기 때문에 펌프가 충분한 유효 전력을 발생시키기 못할 때, 플러싱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부가될 수 있다.
부압의 측정은, 전에 언급하였듯이, 소성 챔버의 외피의 동일한 연결부에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필요하다면, 독립적인 측정 연결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개량 실시예에서, 두 흡입 연결부들이 부압이 분리하여 적용될 수 있는 소성 챔버의 외피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환은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된 변환 밸브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부들 중 하나는 오븐의 바닥부에 그리고 다른 하나는 오븐의 상부 또는 오븐 헤드에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량에 있어서, 밸브 배열체용 제어 장치는 환기 프로그램을 선택함으로써 예정된 시간동안, 특히 1 분 동안 흡입관을 환기시키며, 플러싱 프로그램을 반복 사이클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밸브 배열체는 변환 밸브를 구비하며, 밸브 배열체의 출력 연결부는 흡입관에 연결되고 밸브 배열체의 하나의 변환 연결부는 주변공기 연결부이고, 밸브 배열체의 다른 하나의 변환 연결부는 소성 챔버 흡입 연결부이며, 변환 밸브는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치과용 오븐의 제어 장치는 또한 특히 부압 펌프를 구비한 부압원상에서 작동하며, 부압원은 제어 장치를 턴온 및 턴오프하기 위하여 제어라인을 통하여 또는 무선으로 제어 장치에 연결되며, 제어 장치는 흡입관이 환기될 예정일 때 특히 부압원을 턴온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량에서, 밸브 배열체는 밸브를 구비하며, 밸브를 통하여 밸브를 열었을 때, 밸브 배열체의 소성 챔버 연결부가 주변 공기에 연결될 수 있고 그리고 특히 치과용 오븐의 제어 장치는 밸브 배열체의 이 상태에서 부압원을 턴오프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량에서, 부압 센서는 소성 챔버에 연결되고 소성 챔버내의 압력 또는 부압을 측정하며, 부압 센서의 출력 신호는 치과용 오븐의 제어 장치에 의해 기록되며, 여기서 제어 장치는 부압원을 턴온하여 소성 챔버의 원하는 부압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량에서, 소성 챔버내의 부압은 연속적으로 기록되며 부압원은 부압이 너무 낮을 때, 특히 부압원의 턴온에도 불구하고 부압이 충분히 증가하지 않는다면, 부압원이 턴온되고 밸브 배열체가 제어되고 청구항 1의 플러싱 프로그램이 턴온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량에서, 플러싱 프로그램은 소성 사이클 동안에, 치과용 오븐의 특정 서비스 프로그램 동안에, 또는 소성 사이클들 사이에 턴온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량에서, 제어 장치는 치과용 오븐의 부압 센서의 출력신호를 연속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기록하고, 부압원이 턴온되어 있는 동안에 압력강하구배, 즉 단위시간당 압력의 강하를 기록하며, 압력강하구배가 예정된 임계값 아래로 떨어졌을 때 플러싱 프로그램을 턴온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량에서, 치과용 오븐의 소성 챔버는 제 2 흡입관을 통하여 부압원에 연결되고, 양 흡입관들은 언제라도 흡입관들중 하나는 턴온되고 다른 하나는 닫히도록 변환 밸브를 통하여 임의적으로 턴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량에서, 알려진 치과용 오븐 자체는 적어도 두개의 밸브 또는 제어 장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 배열체를 사용하여 개량될 수 있으며, 그것은 청구항들 중 어느 항에 따른 플러싱 프로그램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유리한 개량에서, 부압원이 밸브 배열체 연결 흡입관을 통하여 턴온되었을 때, 소성 챔버내의 부압의 발생이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 반복적으로 측정되고, 소성 챔버내의 부압이 예정된 임계값에 대응하는 것보다 더 느리게 감소할 때 플러싱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추가적인 잇점들, 상세한 설명 및 특징들이 도면을 참고한 본 발명의 두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에 기재된다.
도1은 제 1 실시예의 본 발명의 치과용 오븐의 개략도이다.
도2는 제 2 실시예의 본 발명의 치과용 오븐의 개략도이다.
도1에 예시된 치과용 오븐 (10)은 치과용 복원 부품들의 열처리를 위해 만들어진 소성 챔버 (12)를 구비한다. 알려진 방식으로, 소성 챔버는 도어를 사용하거나 또는 소성 챔버의 바닥부와 오븐 헤드부 사이의 구분체(a division)를 통하여 개방될 수 있으며, 이것이 도2에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소성 챔버 (12)는 주변에 대하여 밀봉되어 있다. 소성 챔버는 우수한 정도의 단열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당히 두꺼운 벽들의 단열재 (14)로 공지의 방식으로 라이닝되어 있다. 단열재는 공지된 방식으로 가스들에 통기성이 있으며, 단열재는 기밀성의 소성 챔버 외피 (16)으로 둘러싸여 있다.
소성 챔버의 외피는 흡입관 연결부 (18)를 구비하며, 이 연결부는 흡입 파이프 형태의 흡입관에 연결되어 있다. 흡입 파이프는 소성 챔버의 외피 (16) 와 밸브 배열체 (22)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하며, 밸브 배열체의 기능은 이후에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또한, 흡입 파이프 (20)로부터 스터브가 압력 게이지 (24)쪽으로 배향되어 있다. 압력 게이지 (24) 또는 부압 게이지는 소성 챔버 (12)의 내부의 압력을 흡입 파이프 (20)를 통하여 측정한다. 흡입 파이프 (20)는 상당히 높은 열적 안정성을 가지며 상당히 짧으며, 예를 들면 5 cm 내지 20 cm이다. 흡입 파이프는 밸브 배열체 (22)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소성 챔버 (12), 압력 게이지 (24), 밸브 배열체 (22) 및 개개의 관 열결부들이 치과용 오븐 (10)의 하우징 (26)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 소성 챔버 (12)는 소성 챔버 (12)내에 수용된 치과용 복원 부품 (28)을 가열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가열 유닛 (27)을 구비한다. 상당히 두꺼운 단열재 (14)에도 불구하고, 가열 유닛 (27)을 턴온하였을 때, 하우징 (26)의 내부를 약간 가열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이것은 흡입 파이프 (20)에도 적용되며, 어느 정도는 하우징 (26)에 또한 놓여 있는 밸브 배열체 (22)에 적용된다. 그러나, 온도는 소성 챔버 (12)까지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그러나 여전히 밸브 배열체 (22)는 소성 챔버 (12)가 장시간 동안 1.600℃ 까지 가열되었을 때 예를 들면 최대 100℃ 이상 가열될 수 있다. 이것이 밸브 배열체 (22)가 예를 들면 200℃ 에서도 어떠한 문제 없이 작용하도록 온도저항성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이유이다.
삭제
밸브 배열체 (22)는 소성 챔버 흡입관 연결부 (30), 주변공기 연결부(32) 및 출력 연결부 (34)를 구비하며, 출력 연결부는 플랜지 (36)를 통하여 흡입관 (38)과 흐름 연결의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흡입관 (38)은 수 미터, 예를 들면 2m 내지 10m의 길이를 가진다. 하우징 (26)과 대면하지 않는 흡입관의 끝에는 부압원으로 역할을 하는 피스톤 펌프 (40)가 제공되어 있다.
피스톤 펌프 대신에, 멤브레인 펌프 또는 어떤 다른 펌프도 이것저것 할 것 없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펌프는 어떤 특정한 정도의 열적 안정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 그 이유는 주변온도에 노출된 흡입관 (38)의 길이 때문에 소성 챔버 (12)로부터 빨아들여진 흡입관 공기는 심하게 예를 들면 50℃ 로 냉각되기 때문이며, 사실상은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된 모든 펌프는 이러한 환경을 견딜 수 있다.
이하에 밸브 배열체 (22)의 기능이 기재된다.
소성사이클을 개시시에는 피스톤 펌프 (40)는 턴온되어 있지 않으며 밸브 배열체 (22)는 소성 챔버 흡입관 연결부 (30)과 출력 연결부 (34)사이의 연결을 형성한다. 주변공기 연결부 (32)는 그러나 막혀있다.
이 상태에서, 소성 챔버 (12)는 대기압 하에 있고 치과용 복원 부품 (28)을 도입하기 위하여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과용 복원 부품 (28)은 도시되지 않은 예열된 머플에 의해 수용되어 지고, 치과용 오븐 (10)은 프레스 오븐으로 형성된다. 소성 전용으로 사용되는 오븐은 치과용 복원 부품이 순간적으로 소성되는 본 발명에 따라 변형예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성 사이클을 개시하기 위하여, 가열 유닛 (27)이 턴온되고 동시에 피스톤 펌프 (40)가 턴온된다. 이 상태에서, 밸브 배열체 (22)는, 고온공기가 소성 챔버 (12)로부터 점점 더 펌프에 의해 퍼내어지고 부압이 서서히 발생되도록, 소성 챔버 흡입관 연결부 (30)와 출력 연결부 (34)사이에 또한 연결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머플들과 치과용 복원 부품들에는 어느 정도의 잔류습기가 제공되어 있다. 이 정도의 잔류습기가 실제로 적기 않은 경우에, 소위 습기제거 프로그램이 실제 소성 사이클을 시작하기 전에 규칙적으로 사용되며, 이 프로그램이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가열 유닛은 소성 챔버 (12)의 내부의 온도가 예를 들면 140℃ 가 되도록 턴온된다. 수증기로 부유된 공기는 드레인되어 피스톤 펌프 (40)을 통해 외부에 도달된다.
흡입관 (38)은 그러나 100℃ 보다 뚜렷하게 더 낮기 때문에, 적어도 피스톤 펌프와 대면하는 끝에서 함유된 수분은 응축되어 흡입관 (38)의 내부에 물방울들을 형성한다. 한편으로, 이 물방울들은 흐름의 단면적을 수축시켜 흐름 저항은 증가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물방울들은-더 악화되면-생성된 부압의 품질에 영향을 준다. 이에 대한 이유는 물의 증발온도가 압력이 감소할 때, 즉 진공이 증가할 때 크기 감소되어, 물방울들이 서서히 증발하고 이 방식으로 생성된 수증기가 소개될 공기 대신에 제거되기 때문이다.
습기제거 프로그램이 완료되었을 때, 전형적으로 실제 소성사이클은 증가된 온도에서 수행되고 반면에 동시에 피스톤 펌프 (40)는 동작상태에 있고 소성 챔버 (12)내의 압력이 따라서 계속적으로 감소한다. 전형적으로 실제 소성 온도는 1000℃ 보다 훨씬 높으며 예를 들면 이규산리튬 세라믹의 경우에 대략 1150℃ 이거나 또는 이산화 지르코늄(지르코니아) 세라믹의 경우에 1600℃ 이다.
소성 사이클의 가열단계 동안에, 압력 게이지 (24)로 측정되는 소성 챔버 (12) 내부의 압력은 더욱더 감소될 것이다. 이것은 압력 게이지 (24)에 의해 기록된다. 소성 챔버 내의 압력의 감소가, 피스톤 펌프 (40)의 등급된 동력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한, 밸브 배열체 (22)는 위에서 언급된 위치에 머물게 된다.
압력 게이지 (24)는 압력 게이지 (24)의 출력신호를 평가하는 제어 장치 (50)에 연결된다. 제어 장치 (50)는 밸브 배열체 (22)를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제어 장치 (50)가 압력 기울기가 너무 낮다, 즉 소성 챔버 (12)내의 압력이 너무 천천히 떨어진다고 결정한다면, 제어 장치 (50)는 밸브 배열체 (22)를 전환시킨다. 이 연결부에서, 본 발명의 플러싱 프로그램이 수행된다. 밸브 배열체 (22)의 이 상태에서 소성 챔버 흡입관 연결부 (30)가 닫혀진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주변공기 연결부 (32)와 출력 연결부 (34) 사이에 연결부가 존재한다. 주변공기가 공기필터 (52)를 통해 끌어 들어진다. 이 상태에서, 즉 플러싱 프로그램 동안에, 피스톤 펌프 (40)는 예를 들면 분당 20 리터의 최고의 펌프용량에서 동작한다. 흡입관 (38)의 유속은 따라서 높다. 이것과 흡입관 (38)으로 들어오는 건조한 주변 공기 때문에, 흡입관 (38)이 플러싱된다. 플러싱 프로그램은 흡입관 (38)의 내부가 건조될 때, 예를 들면 수 분 동안 수행된다. 대안으로서, 피스톤 (40)의 속도가 또한 기록될 수 있으며, 플러싱 프로그램은, 피스톤 펌프 (40)의 속도가 흡입관 (38)이 완전히 플러싱되었다는 것을 보일 때, 멈추어질 수 있다.
그 경우에, 공기를 소성 챔버 (12)로부터 끌어내는 것이 계속된다. 소성 챔버 흡입관 연결부 (30)가 그 사이에 닫혀 있었기 때문에, 발생되었던 부압이 손실되지 않으며 압력이 다시 더욱더, 피스톤 펌프 (40)의 전속력으로, 즉 막힌 흡입관 (38)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낮추어진다.
기능에 있어서, 밸브 배열체 (22)의 기능은 변환 밸브의 기능에 해당한다.
소성 챔버 (12)에 부압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그러나 주변공기 연결부는 처음에 닫히고 흡입관 연결부 (30)는 피스톤 펌프 (40)가 또한 여러 미터 길이의 흡입관 (38) 및 출력 연결부 (34)를 적절한 부압 하에 놓였을 때 단지 열릴 정도로, 플러싱 위치로부터 밸브 배열체의 통상 위치로 변환하는 것이 지연될 때에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으면, 피스톤 펌프 (40)가 다시 충분히 신속하게 부압을 증강시킬 수 없기 때문에 플러싱 프로그램으로 인해 흡입관 (38) 내에 있는 공기가 뒤쪽으로 소성 챔버 (12) 안으로 흐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밸브 배열체 (22)의 "변환 밸브"가 위에 기재된 방식으로 제어 장치 (50)에 의해 제어되는 두개의 개개의 밸브들로 구성된다면 더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플러싱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의해, 언제든지 수행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이것은 또한 습기제거 프로그램 동안에 그러나 실제 소성 사이클이 흡입관 (38)으로부터 먼저, 습기제거프로그램에서 시작하는(생기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소성 프로그램과 함께 개시되었을 때 바람직하게 가능하다.
그러나, 치과용 오븐의 특정 서비스 프로그램 동안에 또는 소성 사이클들 사이에, 즉 치과용 오븐 (10)이 어떻든지 개방되었을 때, 플러싱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오븐 (10)의 개량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1에 보여진 것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요소들에는 이 실시예에서 동일한 도면번호가 부여된다.
도2에서 알 수 있듯이, 치과용 오븐 (10)에는 그의 소성 챔버 (12)와 관련하여 분할 면(56)이 제공된다. 분할 면에서 오븐 탑부로도 일컬어지는 오븐 헤드부 (58)는 오븐 바닥부 (60)과 분리될 수 있다. 이것은 오븐 바닥부 (60)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오븐 헤드부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작은 각도로 오븐 헤드부를 위쪽으로 기울임으로써, 일어난다. 이 실시예는 소성 챔버 (12)에 놓여있는 치과용 복원 부품들이 어떠한 진동도 겪지 않을 때, 유리하다. 변형예로서, 오븐 탑부 (58)를 고정된 상태로 놓고 오븐 바닥부 (60)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설계는 가열 유닛 (27)도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더 저가로 제조될 수 있다.
양 경우에 분할 면 (56)이 충분히 밀봉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설계예에서, 소성 챔버 (12)에는 두개의 흡입 연결부 (18 및 62)가 제공되며 흡입 연결부 (62)는 오븐 헤드부 (58)에 부착되고 흡입 연결부 (18)는 오븐 바닥부 (60)에 부착된다.
양 흡입 연결부는 흡입 파이프들 (20)을 거쳐서 밸브 배열체 (22)에 이른다. 밸브 배열체 (22)에는 제 1 삼방향/이방향 밸브 (64) 및 제 2 삼방향/이방향 밸브 (66)가 제공된다. 밸브 (66)가 흡입 연결부까지 상당한 거리를 보인다 할 지라도 실제는 거기에 단지 하나의 짧은 흡입 파이프 (20)가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피스톤 펌프 (40)까지 수 미터에 걸쳐서 연장하는 흡입관 (38)이 모든 밸브 (64 및 66)의 하류에, 연결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밸브들 (64 및 66)의 출력 흡입관들 (38)은 공지의 방식으로 합쳐진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밸브들 (64 및 66)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 (50)에 의해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서로 무관하게 변환될 수 있다. 밸브들은, 이 지점까지 사용되어 온 흡입관 (38)이 막힌다면 변환이 수행될 수 있도록, 주변공기가 흡입관들 (38)을 통하여 교번적으로 끌어들여지게,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흡입관들 (38)중 하나가 여분 라인으로서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플러싱 프로그램들이 더 드물게 수행되어야 한다는 잇점을 가진다. 예를 들면, 습기제거 프로그램은 흡입 연결부 (62)를 통하여, 즉 상호연결 밸브 (66)에서 구현될 수 있다. 흡기제거 프로그램이 완료되자 마자, 밸브 (66)는 닫힐 것이다. 당분간, 그 다음에 오히려 습한 상태가 될 개개의 라인 (38)은 그 상태대로 남게 되게 되고 밸브 (64)는 닫힐 것이다. 밸브 (64)로부터 펌프 (40)까지 연장하는 흡입관 (38)은 아직 막히지 않아서 부압이 전 펌프 용량에서 소성 챔버 (12)에 발생될 수 있다.
실제 소성 사이클을 완료하고 나서, 그 다음에 양 흡입관들 (38)은 그것들이 다음의 소성 사이클에 이용될 수 있도록, 플러싱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세척될 수 있다.
10: 치과용 오븐
12: 소성 챔버
14: 단열재
16: 소성 챔버 외피
18: 흡입관 연결부
20: 흡입파이프
22: 밸브 배열체
24: 압력 게이지
26: 하우징
27: 가열 유닛
30: 소성 챔버 흡입관 연결부
32: 주변공기 연결부
34: 출력 연결부
36: 플랜지
38: 흡입관
40: 피스톤 펌프
50: 제어 장치
52: 공기 필터
58: 오븐 헤드부
60: 오븐 바닥부
64, 66: 삼방-/-이방 밸브

Claims (20)

  1. 치과용 복원 부품들을 열처리하는 소성 챔버를 포함하며, 소성챔버가 흡입관을 통하여 부압원에 연결되는 치과용 오븐에 있어서, 밸브 배열체 (22)는 소성 챔버 (12)와 흡입관 (38)사이에 배열되며 밸브 배열체 (22)의 도움을 받아서 흡입관 (38)이 소성 챔버 (12)에 부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성 챔버 (12)쪽에서 폐쇄될 수 있으며, 밸브 배열체 (22)와 부압원 사이에 있는 흡입관 (38)이 환기될 수 있으며, 또한 밸브 배열체 (22)에는 플러싱 프로그램을 턴온하여 사용되는 제어 장치 (50)가 제공되며 플러싱 프로그램에서 밸브 배열체 (22)는 소성 챔버 흡입관 연결부 (30)를 닫고 주변공기 연결부를 흡입관 (38)에 연결하며 부압원이 흡입관 (38)을 통하여 주변공기를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밸브 배열체 (22)의 제어 장치 (50)는 예정된 시간 동안, 환기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흡입관 (38)을 환기시키고 플러싱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3. 제 1 항에 있어서, 밸브 배열체 (22)에는 변환 밸브가 제공되며 변환 밸브의 출력 연결부 (34)는 흡입관 (38)에 연결되고 변환 밸브의 하나의 변환 연결부는 주변공기 연결부 (32)이고 그의 다른 하나의 변환 연결부는 소성 챔버 흡입 연결부 (30)이며, 변환 밸브는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4. 제 1 항에 있어서, 치과용 오븐 (10)의 제어 장치 (50)는 또한 부압원상에서 작동하며 부압원은 제어 라인을 통하여 또는 무선으로 제어 장치를 턴 온 및 턴 오프하기 위한 제어 장치 (5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5. 제 1 항에 있어서, 밸브 배열체 (22)에는 밸브가 제공되며, 밸브를 통하여 밸브가 열렸을 때, 밸브 배열체 (22)의 소성 챔버 연결부 (30)는 주변 공기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6. 제 1 항에 있어서, 부압 센서 (24)는 소성 챔버 (12)에 연결되고 소성 챔버 (12)내에 압력 또는 부압을 측정하며, 그의 출력신호는 치과용 오븐 (10)의 제어 장치 (50)에 의해 기록되며, 제어 장치는 부압원을 턴 온하여 소성 챔버 (12)내의 원하는 부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7. 제 1 항에 있어서, 소성 챔버 (12)내의 부압이 연속적으로 기록되며 부압이 너무 낮을 때, 부압원이 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8. 제 1 항에 있어서, 플러싱 프로그램은 소성 사이클 동안에, 치과용 오븐 (10)의 특정 서비스 프로그램 동안에, 또는 소성 사이클들 사이에 턴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9.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치과용 오븐 (10)의 부압 센서의 출력신호를 연속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기록하고, 부압원이 턴온되어 있는 동안에 압력강하구배, 즉 단위시간당 압력의 강하를 기록하며, 압력강하구배가 예정된 임계값보다 아래로 떨어질 때는 플러싱 프로그램을 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10. 제 1 항에 있어서, 치과용 오븐 (10)의 소성 챔버 (12)는 제 2 흡입관 (38)을 통하여 부압원에 연결되며, 흡입관들 (38)은 언제라도 흡입관들 (38) 중의 하나가 턴온되고 다른 것이 닫히도록, 변환 밸브를 통하여 임의로 턴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11. 제 1 항에 있어서, 치과용 오븐 (10)은 제어 장치와 함께 적어도 두 개의 밸브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 배열체 (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항에 따른 플러싱 프로그램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12. 치과용 복원 부품들이 열처리되고 부압 하에 있는 치과용 오븐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흡입관은 소성 챔버 (12)와 부압원 사이에서 연장되고 부압원의 도움으로 소성 챔버 (12)내에 부압이 생성되는 치과용 오븐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소성 챔버 (12)와 흡입관 (38)사이의 밸브 배열체 (22)가 소성 챔버 (12)내에 부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성 챔버 (12)측의 흡입관 (38)을 닫고, 밸브 배열체 (22)와 부압원 사이의 흡입관 (38)이 환기되며, 밸브 배열체 (22)용 제어 장치는 플러싱 프로그램을 턴온시키며, 이 플러싱 프로그램에서 밸브 배열체 (22)는 밸브 배열체 (22)의 출력 연결부 (34)와 주변공기 사이를 연결시키고,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흡입관 (38)이 플러싱될 수 있으며, 부압원은 흡입관을 통하여 공기를 끌어들이고 동시에 밸브 배열체 (22)는 밸브 배열체 (22)의 소성 챔버 (12)까지의 연결부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동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부압원이 턴온되었을 때, 즉 밸브 배열체 (22)와 서로 연결된 흡입관 (38)을 통하여, 소성 챔버 (12)에서의 부압의 발생은 연속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측정되며, 플러싱 프로그램은 소성 챔버 (12)내의 부압이 예정된 임계값에 대응하는 것 보다 더 느리게 감소할 때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동작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배열체 (22)와 부압원 사이에 있는 흡입관 (38)이 주변공기 연결부(32)를 통하여 환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15. 제 1 항에 있어서, 밸브 배열체 (22)의 제어 장치 (50)는 예정된 시간 동안 환기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흡입관 (38)을 환기시키고 플러싱 프로그램을 순환 사이클들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16. 제 1 항에 있어서, 치과용 오븐 (10)의 제어 장치 (50)는 또한 부압원상에서 작동하며 부압원은 부압 펌프를 구비하고, 부압원은 제어 라인을 통하여 또는 무선으로 제어 장치를 턴 온 및 턴 오프하기 위한 제어 장치 (5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17. 제 1 항에 있어서, 치과용 오븐 (10)의 제어 장치 (50)는 또한 부압원상에서 작동하며 부압원은 제어 라인을 통하여 또는 무선으로 제어 장치를 턴 온 및 턴 오프하기 위한 제어 장치 (50)에 연결되며, 제어 장치 (50)는 흡입관 (38)이 환기될 예정일 때 부압원을 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18. 제 1 항에 있어서, 밸브 배열체 (22)에는 밸브가 제공되며, 밸브를 통하여 밸브가 열렸을 때, 밸브 배열체 (22)의 소성 챔버 연결부 (30)는 주변공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치과용 오븐 (10)의 제어 장치는 밸브 배열체 (22)의 이 상태에서 부압원을 턴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19. 제 1 항에 있어서, 소성 챔버 (12)내의 부압이 연속적으로 기록되며 부압이 너무 낮을 때, 부압원이 턴 온되며, 부압원의 턴 온에도 불구하고 부압이 충분히 증가하지 않는다면, 밸브 배열체 (22)는 제어되고 청구항 1에 따른 플러싱 프로그램이 턴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배열체 (22)와 부압원 사이의 흡입관 (38)이 주변공기 연결부 (32)를 통하여 환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오븐 동작 방법.
KR1020120080830A 2011-07-25 2012-07-24 치과용 오븐 KR101555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75194.7A EP2551620B1 (de) 2011-07-25 2011-07-25 Dentalofen
EP11175194.7 2011-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567A KR20130012567A (ko) 2013-02-04
KR101555550B1 true KR101555550B1 (ko) 2015-09-24

Family

ID=4458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830A KR101555550B1 (ko) 2011-07-25 2012-07-24 치과용 오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51993B2 (ko)
EP (1) EP2551620B1 (ko)
JP (1) JP5389233B2 (ko)
KR (1) KR101555550B1 (ko)
CN (1) CN102901356B (ko)
ES (1) ES2438721T3 (ko)
RU (1) RU260635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7327C2 (en) * 2011-09-01 2013-03-04 Nyambe B V Heating apparatus for thermoplastic obturator.
EP2792332B1 (de) 2013-04-18 2015-03-11 Amann Girrbach AG Anordnung mit zumindest einem zu sinternden Werkstück
EP2792985B1 (de) * 2013-04-18 2014-11-26 Amann Girrbach AG Sintervorrichtung
CN104154749A (zh) * 2013-05-15 2014-11-19 苏州先端稀有金属有限公司 立式真空气氛高温炉
DE102015202600A1 (de) * 2015-02-12 2016-08-18 Sirona Dental Systems Gmbh Sinterofen für Bauteile aus Sinterwerkstoff, insbesondere Dentalbauteile
ES2754701T3 (es) * 2017-04-12 2020-04-20 Ivoclar Vivadent Ag Dispositivo de tratamiento dental
EP3457064B1 (de) * 2017-09-18 2024-05-15 Ivoclar Vivadent AG Dentalofen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dentalofe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6915A (en) 1952-04-07 1953-04-28 Nu Dent Porcelain Studios Inc Apparatus for vacuum firing of porcelain dental articles
JP2011088026A (ja) 2009-10-20 2011-05-06 Shimadzu Corp 脱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60777B (de) 1959-05-15 1964-01-02 Dr Karl Hintenberger Elektrisch beheizbarer Vakuumbrennofen fuer keramisches Gut
US3109911A (en) * 1960-02-17 1963-11-05 David Feinson Inc Vacuum furnace for dental laboratories
US3694122A (en) * 1970-09-08 1972-09-26 Albert J Macdonald Apparatus for molding and firing dental porcelain
DE2119563B1 (de) * 1971-04-22 1972-10-12 Hintenberger, Karl, Dr., 6000 Frankfur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Ofens zum Brennen dentalkeramischer Verblendungen und Brennofen zu seiner Durchführung
US3909590A (en) * 1975-01-10 1975-09-30 Howmedica Furnace assembly for firing dental products
AT352863B (de) * 1975-07-31 1979-10-10 Pfaffenbauer Ludwig Ing Vakuumbrennofen, insbesondere fuer dentalkeramische zwecke
US4445012A (en) * 1978-07-24 1984-04-24 Liston Scientific Corporation Moisture sensor for purging system
JPH0280164A (ja) * 1988-06-27 1990-03-20 Toshiba Mach Co Ltd 真空ダイカストにおけるガス抜き流路異常検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259168A (ja) * 1988-08-25 1990-02-28 Reiichi Okuda 精密鋳造方法
DE4002358C1 (en) 1990-01-26 1991-10-24 Ivoclar Ag, Schaan, Li Oven control for dental material pressing and hardening - detects degree of filling of shaping space by speed of movement of piston in pressure cylinder
DE4121277C2 (de) * 1991-06-27 2000-08-03 Ald Vacuum Tech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elbsttätigen Überwachung der Betriebssicherheit und zur Steuerung des Prozeßablaufs bei einem Vakuum-Wärmebehandlungsofen
RU2063727C1 (ru) * 1992-02-24 1996-07-20 Долбнев Игорь Борисович Печь для обжига керамических зубных протезов
IL101306A (en) 1992-03-19 2000-01-31 Indig Baruch High temperature furnace for heat treatment and sintering in a controlled atmosphere
US5219409A (en) * 1992-04-27 1993-06-15 Outboard Marine Corporation Vacuum die casting process
JP2587759B2 (ja) * 1992-10-09 1997-03-05 リョービ株式会社 鋳造機の排気ライン欠陥検出装置及び方法
JPH06277236A (ja) * 1993-03-26 1994-10-04 Olympus Optical Co Ltd 歯科用鋳造装置
JPH08109412A (ja) * 1994-10-12 1996-04-30 Hitachi Cable Ltd 光輝連続ガス熱処理炉
JP3662990B2 (ja) * 1995-12-15 2005-06-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真空電気炉
JP3739287B2 (ja) * 2001-02-14 2006-01-2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減圧乾燥方法及び塗布膜形成装置
JP5186684B2 (ja) * 2007-08-02 2013-04-17 Sumco Techxiv株式会社 半導体単結晶の製造装置
CN201500774U (zh) * 2009-03-17 2010-06-09 天津市爱鑫医疗设备有限公司 齿科压力精密铸造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6915A (en) 1952-04-07 1953-04-28 Nu Dent Porcelain Studios Inc Apparatus for vacuum firing of porcelain dental articles
JP2011088026A (ja) 2009-10-20 2011-05-06 Shimadzu Corp 脱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29279A1 (en) 2013-01-31
JP2013027703A (ja) 2013-02-07
RU2606355C2 (ru) 2017-01-10
CN102901356A (zh) 2013-01-30
ES2438721T3 (es) 2014-01-20
EP2551620B1 (de) 2013-09-11
EP2551620A1 (de) 2013-01-30
RU2012131736A (ru) 2014-01-27
CN102901356B (zh) 2015-05-13
US9951993B2 (en) 2018-04-24
JP5389233B2 (ja) 2014-01-15
KR20130012567A (ko)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550B1 (ko) 치과용 오븐
US8161870B2 (en) Heating cooker
CN104929897B (zh) 低温泵及低温泵的再生方法
CN209300841U (zh) 烹饪器具
CN109984563A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JP7069527B2 (ja) 洗浄装置
CN205870819U (zh) 一种异型陶瓷制品的胚体成型模具
CN210425809U (zh) 制药热风循环烘箱
CN110470105A (zh) 一种木材快速烘干设备及烘干方法
CN113332459A (zh) 一种脉动蒸汽灭菌工艺及其蒸汽灭菌器
CN107062824B (zh) 一种均匀烘干的玄参烘干房
JP3227409B2 (ja) 食器洗い乾燥機およびその乾燥制御方法
CN204880201U (zh) 一种排烟排湿装置
CN208671667U (zh) 一种便于排灰和提高升温速度的箱式电窑炉
CN209300757U (zh) 烹饪器具
CN112178619A (zh) 一种蒸汽发生装置及其控制方法
CN207299927U (zh) 一种裂解煅烧清洗炉
CN210492434U (zh) 一种滚筒式茶叶杀青机
JP6924410B2 (ja) 蒸気釜
CN207428982U (zh) 烹饪器具
CN209655771U (zh) 一种新型烘干房用电磁辅助加热系统
CN215523948U (zh) 一种洁具用烘干房
CN114766701B (zh) 一种装配移动烤房烘烟的方法及结构
CN109124447A (zh) 一种便携式无水马桶及其排泄物处理方法
CN211424872U (zh) 一种高效率的真空干燥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