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426B1 - 함께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구성품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함께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구성품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426B1
KR101544426B1 KR1020137035001A KR20137035001A KR101544426B1 KR 101544426 B1 KR101544426 B1 KR 101544426B1 KR 1020137035001 A KR1020137035001 A KR 1020137035001A KR 20137035001 A KR20137035001 A KR 20137035001A KR 101544426 B1 KR101544426 B1 KR 101544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omponents
opening
receiving port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5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1687A (ko
Inventor
요아킴 칼
클라우스 함펠
랄프 게르스트라우어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Publication of KR2014002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4Locking by means of elastic deform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one on top of the other and distanced from each other, e.g. by using protrusions to keep contact and d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4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arranged one on top of the other and in full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5Joints and connections having a joining piece extending through aligned openings in plura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이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이 경우, 복수의 리벳(N1 ∼ N4))에 의해 함께 고정되는 적어도 제 1 구성품(T, FA, FB) 및 제 2 구성품(FS, G), 예컨대, 창문 리프터의 캐리어 및 안내 레일을 포함한다. 체결 요소(N1 ∼ N4)가 두 개구(72, 82, 92; 62; 62')에 결합되며, 이들 개구 중 한 개구는 제 1 구성품(T; FA; FB)의 수용부(7.1 ∼ 7.4; 8.3, 8.3*, 8.4; 9.3, 9.4)에 형성되고 다른 한 개구는 제 2 구성품(FS; G)의 돌출부(6.1 ∼ 6.4; 6.3', 6.4')에 형성되며, 돌출부(6.1 ∼ 6.4; 6.3', 6.4')는 관련된 수용부(7.1 ∼ 7.4; 8.3, 8.3*, 8.4; 9.3, 9.4)에 들어가게 되며, 수용부(7.1 ∼ 7.4; 8.3, 8.3*, 8.4; 9.3, 9.4)의 가요적인 또는 탄성적인 가장자리 부분(70, 80, 90)이 관련된 돌출부(6.1 ∼ 6.4; 6.3', 6.4')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가요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부분(70, 80, 90)은 제조 공차를 보상하도록 설계 및 제공되며, 따라서 두 구성품(T, FS; FA, G; FB, G)이 체결 과정 중에 가요성 가장자리 부분(70, 80, 90)의 영역에서 자동적으로 서로 정렬되고 또한 견고한 연결을 의도한 대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돌출부(6.1 ∼ 6.4; 6.3', 6.4')는, 변위되어 그 돌출 부분(6.1 ∼ 6.4; 6.3', 6.4')에 밀리는 가장자리 부분(70, 80, 90)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잠금된다.

Description

함께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구성품을 포함하는 어셈블리{ASSEMBLY COMPRISING AT LEAST TWO COMPONENTS THAT ARE FIXED TOGETHER}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적어도 제 1 구성품과 제 2 구성품을 포함하는 차량용 어셈블리 및 차량 어셈블리의 두 구성품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어셈블리의 구성품들을 연결하기 위해 체결 요소(예컨대, 스크류 또는 리벳)가 보통 사용되는데, 이 체결 요소는 두 구성품들을 서로에 대해 지탱시키며 그리하여 두 구성품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통과) 개구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그러한 체결 요소는 두 구성품을 서로에 대한 상대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그들 두 구성품에 있는 각각의 개구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예컨대, 제 1 개구가 제 1 구성품에 통과 개구로서 형성되어 있고 제 2 개구는 제 2 구성품에 통과 또는 포켓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일 구성품에 있는 개구는 단지 체결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데, 이는 체결 요소로서 예컨대 셀프 커팅 스크류를 사용할 때의 경우이다.
두 구성품을 그렇게 고정하는 경우, 적어도 국부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인장 및 변형이 체결 요소를 통해 두 구성품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생길 수 있다는 문제가 실제로 종종 발생된다. 특히, 차량 분야에서 중량을 줄이기 종종 제공되는 바와 같은 얇은 벽의 구성품의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로딩이 일어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E 198 47 268 A1이 제안하는 바로, 서로 연결될 두 구성품 중의 하나에 있는 (통과) 개구를 갖는 연결부가 다른 구성품에 대해 뒤로 물러나 있고 변형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언로드 상태에 대한 이 연결부의 거리는 체결 요소의 부착으로 감소된다. 이렇게 해서, 상기 연결부가 언로드/비긴장 상태에서 다른 구성품과 거리를 두면서, 두 구성품을 서로에 인장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상기 구성품들 상으로 더 양호하게 분산되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체결 요소가 안으로 결합되는 개구의 영역에서 연결될 구성품들의 풀림 및/또는 아치형 구부러짐을 피하기 위해, 제공된 부분에서 변위가 목표한 대로 허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은 두 금속 구성품들을 연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그리하여, 서로 연결되는 두 구성품들 중의 하나에서 상기 뒤로 물러난 연결부를 갖는 DE 198 47 268 A1에 기재된 장치는 어떤 한계내에서 인장을 억제할 것인데, 각각의 두 개구를 갖는 복수의 유사한 체결 지점이 두 구성품에 제공되는 경우, 상기 인장이 발생되면, 두 구성품의 개구들(서로 맞아야 한다)은 제조 공차 때문에 서로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DE 198 47 268 A1는, 예컨대 체결 요소가 두 구성품들을 함께 인장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전에 두 구성품들이 미리 규정된 상대 위치에서 어떻게 서로 정렬될 것인가에 대한 여지는 남기고 있다.
위와 같은 점에서 출발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2개의 구성품들이 함께 고정되는 차량용 어셈블리를 더 개선하고 또한 차량의 그러한 구성품들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구성품들의 연결 과정 중에 연결 대상 구성품들의 공차 관련 위치 편차 또는 작용하는 연결력의 공차로 인한 플라스틱부에 대한 손상을 염려할 필요가 없는 금속부와 플라스틱부 사이의 안전한 연결을 또한 제공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의 어셈블리로 달성된다.
이리하여, 청구항 1 에 따른 차량용 어셈블리는 제 1 및 2 구성품을 포함하며, 이들 두 구성품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예컨대, 스크류 또는 리벳)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상기 구성품 각각은 두 구성품을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 요소가 결합하는 개구를 갖는다. 제 1 구성품에 있는 제 1 개구는 제 1 구성품의 변위가능한 가요성 가장자리 부분에 의해 경계져 있으며, 그 가장자리 부분은 제 1 구성품이 제 2 구성품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원래의 언로드 상태에 대하여 상기 체결 요소로부터 변위된다. 이리하여, 상기 제 1 개구와 경계를 이루는 상기 가장자리 부분과 함께 그 제 1 개구는 제 1 구성품의 수용부 내에 형성되며, 이 수용부는 상기 제 2 구성품에 대해 뒤로 물러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2 구성품으로부터 상기 제 1 구성품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제 1 구성품의 상기 수용부 안으로 들어가며, 상기 부분은 제 2 구성품의 상기 제 2 개구와 경계를 이룬다.
따라서, 제 2 구성품의 돌출 부분(돌출부)은 그 제 2 구성품의 일 부분이 제 1 구성품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제 1 구성품의 수용부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어서 두 구성품은 이 둘레에 서로에 대한 상대 위치에 있게 되며(형상 끼워맞춤을 통해), 예컨대 수용부와 돌출 부분의 크기 또는 각각의 형상에 따라 한 구성품이 다른 구성품에 대해 여전히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요소가 돌출 부분의 개구 안으로 의도한 대로 결합하고 또한 수용부의 개구 안으로도 결합하기 전에 한 구성품이 여전히 (적어도 약간) 회전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구성품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 부분이 수용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의 구성으로, 개구와 경계를 이루는 가장자리 부분의 가능한 변위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은 로딩이 감소되고 또한 제조 공차가 보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 요소를 통해 서로에 연결될 두 개구를 포함하는 부분들에 의해, 두 구성품의 서로에 대한 상대 위치가 체결 요소의 부착 또는 조임 전에 이미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 1 개구와 경계를 이루는 상기 제 1 구성품의 가장자리 부분은 가요적으로(소성적으로) 변위가능하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개구와 경계를 이루고 바람직하게는 그 제 1 개구를 완전히 둘러싸는(개구를 위쪽에서 볼 때) 상기 가장자리 부분은 할당된 체결 요소에 의해 원래의 언로드 상태에서 시작하여 복원력에 대항해 변위될 수 있으며 또한 원래의 언로드 상태로 복귀하려는 경향이 있다. 제 1 개구의 영역에서 수용부에 탄성을 목표한 방식으로 도입함으로써, 수용부 안으로 삽입되는 돌출 부분(돌출부)에 가장자리 부분을 배치하는 것이 쉽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가요적인(탄성적인) 가장자리 부분은 체결 요소를 통해 제 2 구성품의 돌출부에 특히 바싹 접하여 안착되어 그 돌출부에 눌려질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돌출부는 제 1 구성품의 수용부 내에 있는 가요적인(탄성적인)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과의 상호 작용으로 그 수용부 내에 잠금된다. 수용부 안으로 들어가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 이미 제공되는 두 구성품 사이의 형상 끼워맞춤은, 그러한 실시 형태에서는 힘 잠금으로 체결 요소를 부착함으로써(또한 조여서) 잠금되며, 그 힘 잠금은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이 돌출부에 밀리거나 눌림으로써 생긴다.
제 1 구성품에 있는 수용부는 예컨대 원추형, 우묵한 형태 또는 그릇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개구는 우묵한 부분의 최저 위치에서 중심부에 제공된다. 제 2 구성품에 있는 돌출부는 예컨대 수용부에 대응하는 윤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특히 원추형, 우묵한 형태 또는 그릇 모양의 곡면으로 제 2 구성품의 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 2 구성품 쪽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져 계속되어 있는 벽을 포함한다. 그래서, 제 2 구성품의 돌출 부분 또는 돌출부가 수용부 안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수용부는 (절두)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특히 깔대기형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돌출부가 수용부 안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부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절두) 원추형으로 설계된 경우에는, 두 개구의 서로에 대한 간단한 중심맞춤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한편으로 돌출부 및 다른 한편으로는 수용부의 두 원추 형상이 서로 일치하여, 두 원추 및 그래서 두 개구의 중심 축선이 이들 두 개구에 결합하는 체결 요소에 의해 서로 중심맞춤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의 가요적인(탄성적인)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은 원추 형상의 적어도 일 부분을 이룰 수 있으며, 따라서, 체결 요소를 부착하여(또한 조여서) 수용부의 원추형부가 돌출부의 원추형부와 (마찰) 접촉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체결 요소가 의도한 대로 부착되어 조여지면, 치수 편차가 있는 경우에도(미리 정해진 공차 내에서) 돌출부(돌출 부분) 및 할당된 수용부의 정확한 끼워맞춤이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 2 구성품은 뒤로 물러나 있는 상기 수용부의 외부에 제공되어 있는 제 1 구성품의 지지 영역에 안착되거나 그 안착 영역에서 제 1 구성품에 의해 지지된다. 이 지지 영역은 예컨대 제 2 구성품 쪽의 방향으로 융기 돌출되어 있는 수용부의 가장자리 및/또는 제 1 구성품의 (평평한) 영역일 수 있으며, 제 2 구성품은 돌출부 또는 그와 거리를 두고 제 1 구성품에 있는 부분을 통해 제 1 구성품에 안착되거나 그 구성품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의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 1 구성품의 가장자리 부분은 약화 영역을 통해 상기 수용부의 일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그 가장자리 부분이 가요적으로 되거나 또는 상기 수용부의 가장자리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리하여, 제 1 구성품의 제 1 개구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경계를 이루는 가장자리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수용부 내의 상기 약화 영역을 통해 힌지되며, 따라서 그 가장자리 부분은 체결 요소를 통해 가요적으로 되거나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고 또한 수용부 안으로 이미 들어가 있는 돌출 부분에 안착(마찰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체결 요소가 돌출 부분에 의도한 대로 결합하면, 가요적인 또는 탄성적인 상기 부분은 예컨대 제 2 구성품의 돌출 부분 쪽의 방향으로 목표한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그래서 가장자리 부분이 마찰력에 의해 돌출 부분에 (바싹 접하여) 안착되게 된다.
상기 약화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수용부 내에서 가장자리 부분과 경계를 이루 는 영역에서의 재료 감소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약화 영역은 인접하는 가장자리 부분 및 그에 인접하는 수용부의 가장자리 보다 작은 재료 두께를 포함한다.
다른 변형예에서, 상기 약화 영역은 본질적으로 상기 제 1 개구에 동심으로 계속되어 있는 경로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약화 영역에 의해 규정되는 축선(가장자리 부분이 그 축선의 둘레에서 변위될 수 있음)은 제1 구성품의 제 1 개구의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계속되어 있다. 이리하여, 가장자리 부분은, 특히 개구에 결합하는 또는 그 개구를 통과하는 체결 요소의 길이 방향 또는 길이 방향 축선에 평행한 방향 성분을 갖고 변위될 수 있거나 변위될 것이다.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기부 영역을 갖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약화 영역은 그 개구에 동심으로 원형 경로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원칙적으로, 공간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약화 영역이 수용부 내에 제공될 수 있는데, 그들 약화 영역은 가요적인 또는 탄성적인 가장자리 부분에 할당되거나 또는 복수의 가요적인 또는 탄성적인 가장자리 부분들 중의 하나에 각각 할당된다.
예컨대, 개별적이고 연속적이며 가요적이거나 탄성적인 힌지식 가장자리 부분이 수용부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 가장자리 부분은 복수의 세그먼트형 약화 영역을 통해 수용부의 가장자리에 대해 가요적으로 또는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형 약화 영역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개구 둘레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개구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서로 (견고히) 연결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세그먼트들이 수용부 내에 개별적인 가장자리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개별적인 가장자리 부분들은 각 경우에 적절한 할당된 약화 영역을 통해 수용부의 가장자리에 가요적으로 또는 탄성적으로 힌지된다. 수용부는 본질직으로 원형 기부 영역을 갖는 예컨대 (절두)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 요소를 위한 개구가 그 수용부의 최저 지점에 제공된다. 그리고, 이 원추형 수용부의 내벽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개별적인 가장자리 부분들로 형성되며, 이들 개별적인 가장자리 부분은 위쪽에서 볼 때 원호 또는 원 부분의 일 부분으로 나타나며 또한 각 경우 복수의 약화 영역의 할당된 일 약화 영역(또는 공통의 원주 방향 약화 영역)을 통해 수용부의 가장자리에 가요적으로 또는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변형예에서, 연속적인 약화 영역(하나 또는 복수의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에 대한 약화 영역)은 상기 제 1 개구 주위에 환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대안적인 변형예서는, 복수의 약화 영역들이 제공되며, 이들 약화 영역은 각 경우에 제 1 개구 주위에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의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두 구성품 중의 하나는 다른 구성품에 대해 뒤로 물러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용부를 포함하며, 이 다른 수용부는 적어도 하나의 변위가능한 가요성 가장자리 부분을 가지며, 상기 다른 수용부 안으로는 다른 구성품의 다른 돌출 부분이 들어가게 된다. 제 2 수용부와 제 2 돌출부로 형성되는 이 쌍은 반드시 체결 요소를 위한 두개의 개구를 가질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 쌍은 예컨대 두 구성품의 서로에 대한 상대 위치를 의도한 대로 특정하기 위해서만 제공될 수 있으며, 가요적인/탄성적인 가장자리 부분은 공차 보상을 제공하게 되며, 따라서 두 구성품은 결국에 상기 (다른, 제 2) 수용부의 영역에서도 서로에 안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수용부와 돌출부의 다른(기능적으로 동일한) 쌍이 물론 (다른) 체결 요소를 위해 두 구성품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의 구성은, 특히 한 구성품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고 다른 구성품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져 있는 경우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요적인 또는 탄성적인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을 갖는 수용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 1) 구성품이 플라스틱으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구성품은 특히 차량용 창문 리프터 어셈블리일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수용부를 갖는 제 1 구성품은 예컨대 차량 창문 리프트를 갖는 캐리어 요소(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짐)의 기능적 구성품일 수 있고 다른 구성품은 창문 리프터에 의해 조절될 창문 유리를 위한 조절 경로를 특정하기 위한 안내 레일(금속으로 만들어짐)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는 차량 어셈블리의 다른 구성품, 예컨대 하우징부 및 하우징부가 고정되는 캐리어부에도 실시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체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리벳이고, 이에 따라 두 구성품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형상 및 마찰 잠금식) 리벳 연결이 그 리벳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리벳을 위한 두 개구가 두 구성품에 통과 개구로서 가각 제공되며, 리벳이 그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이미 서두에서 간단히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부의 가요적인(또는 심지어 탄성적인)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은, 돌출부가 대응하는 수용부 안으로 결합되어 상기 두 구성품이 이미 서로에 대한 특정의 상대 위치에 있을 때 바람직하게 제조 공차를 보상해 주는 역할을 하여, 따라서 상기 두 구성품들이 가요성 가장자리 부분의 영역에서 서로에 대해 (적어도 여전히 약간)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 안으로 들어가는 부분(돌출부)는 돌출 부분에 밀리는 변위된 가장자리 부분에 의해 수용부 내부에 의도한대로 (단지) 잠금된다. 따라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두 구성품이 체결 과정 중에 상기 가요성 가장자리 부분의 영역에서 자동적으로 서로 정렬되고 또한 지속가능한 연결을 의도한 대로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이 형성되며, 돌출 부분은 이 돌출 부분에 밀리는 변위된 가장자리 부분에 의해 수용부 안에 잠금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차량 어셈블리의 두 구성품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개선된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차량 어셈블리의 제 1 및 2 구성품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그러한 방법에서, 체결 요소가 각 경우에 한쌍의 두 개구(한 개구는 제 1 구성품에 제공되어 있고 다른 개구는 제 2 구성품에 제공됨)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두 구성품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2 체결 요소를 통해 함께 고정된다. 이렇게 해서, 체결 요소를 위한 한쌍의 개구들 중의 한 개구는, 한 구성품에서 다른 구성품에 대해 뒤로 물러나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개구와 경계를 이루는 수용부의 가장자리 부분은 가요적으로(또는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하게 형성되며, 따라서 그 가장자리 부분은 대응하는 개구에 결합하는 체결 요소로부터 변위될 수 있다. 체결 요소를 위한 한쌍의 개구들 중의 다른 개구는 일 구성품에 있어서 다른 구성품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 제공된다. 이 돌출 부분(돌출부)은 다른 구성품의 할당된 수용부 안으로 (완전히) 들어갈 수 있다.
본 방법의 세팅 내에서, 각 경우 한 개구를 갖는 돌출 부분이 다른 개구를 포함하는 수용부 안으로 들어가도록, 두 구성품은 또한 서로에 대한 상대 위치에 배치된다. 두 구성품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해, 이 수용부의 가요적인(탄성적인) 가장자리 부분을 돌출 부분에 (바싹 접하여) 안착시키고 또한 대응하는 체결 요소를 통해 가장자리 부분과 돌출 부분을 서로에 밀어서, 돌출 부분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할당된 수용부 안에 잠금된다.
수용부 안으로 들어가 있는 부분에 상기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을 밀면, 두 구성품들 사이에 이미 존재하는 형상 잠금이 마찰 또는 힘 잠금에 의해 잠금된다. 이러한 이유로, 예컨대 리벳으로 된 체결 요소가 상기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에 직접 작용하거나 또는 체결 요소가 돌출 부분(돌출부)를 갖는 구성품에 힘을 가하게 되고, 그 힘에 의해 돌출부가 가장자리 부분에 밀리게 되고 이에 의해 그 가장자리 부분이 변위된다.
이리하여, 두 수용부가 본질적으로 (절두)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할당된 돌출 부분에는 대응하는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 원추 형상이 제공되며, 따라서 (최종) 고정이 적어도 2개의 체결 요소를 통해 얻어지기 전에, 고정될 두 구성품이 본질적으로 원추형인 두쌍의 수용부와 돌출부를 통해 서로에 대한 특정의 상대 위치에 이미 있게 된다. 수용부와 돌출부의 원추 형상으로 인해, 할당된 (제 1) 체결 요소를 부착하면 두 원추 축선과 두 개구의 중심 축선이 간단하게 중심맞춤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수용부에 있어서 체결 요소가 가장 먼저 부착되는(또한 조여지는) 영역에서 두 구성품이 의도한 대로 서로에 정렬되고 또한 서로에 고정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가요적인(탄성적인) 가장자리 부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용부에서, 다음에 부착되는 (제 2) 체결 요소를 통해 바람직하지 않은 인장 또는 적어도 높은 인장이 그 (제 2) 수용부의 영역에서 서로 연결될 두 구성품에 발생되는 일이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또한 기재되어 있다.
또한,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도면을 참조로 하는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 1c 는 캐리어 및 이 캐리어에 부착될 안내 레일을 갖는 창문 리프터 어셈블리 형태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다른 도들을 나타낸다.
도 2a 및 2b 는 도 1a ∼ 1c 의 안내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떨어져 있는 두 체결부의 두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안내 레일은 상기 체결부 내에서 캐리어에 고정되어 있다.
도 3a 는 서로 고정될 캐리어부 및 하우징부를 갖는 차량용 어셈블리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3b 는 서로 고정된 상태에 있는 도 3a의 두 구성품을 나타낸다.
도 3c 는 도 3a 및 3b의 캐리어부를 개별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a ∼ 4c 도 3b 의 상태에 따른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는 대안적으로 형성된 캐리어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대안적으로 설계된 캐리어부를 도 3a ∼ 3c 및 도 4a ∼ 4c 에 따른 수용부의 영역에서 확대한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1a ∼ 1c 및 2a ∼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셈블리에 대한 제 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데, 그 어셈블리는 (집합적) 캐리어(T)의 형태로 된 제 1 구성품 및 차량 창문 리프터(미도시)의 일 구성품인 안내 레일(FS)의 형태로 된 제 2 구성품을 갖는다. 그래서 안내 레일(FS)은 두쌍의 체결 지점(B1, B2; B3, B4)의 영역에서 총 4개의 체결 지점에서 상기 캐리어(T)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 지점들은 안내 레일(FS)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간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따라서 한쌍의 체결 지점(B1, B2)은 안내 레일(FS)의 일 단부(상단부) 영역에 있고, 다른 한쌍의 체결 지점(B3, B4)은 안내 레일(FS)의 반대쪽 단부(하단부) 영역에 있다.
각 경우에 돌출 부분 또는 돌출부(6.1, 6.2, 6.3 또는 6.4)가 체결 지점(B1 ∼ B4)에 제공되어 있는데, 각 경우 이들 돌출부는 안내 레일(FS)에서 캐리어(T)의 방향으로 안내 레일(FS)의 일 측(하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리하여 돌출부(6.1 ∼ 6.4)는 각 경우 본질적으로 원추형이거나 절두 원추형인 또는 깔대기형인 외형을 가지며 중심부에는 (제 2) 통과 개구(62)가 제공되어 있다.
안내 레일(FS)의 이 (제 2) 통과 개구(62)는 각 경우 체결 지점(B1, B2, B3, B4)에서 체결 요소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며, 여기서 이 체결 요소는 리벳(N1, N2, N3)의 형태로 되어 있다. 대조적으로, 체결 지점(B1)에서는 체결 요소가 부착되지 않는다.
각 경우 안내 레일(FS)의 체결 지점(B1 ∼ B4)에 대응하는 체결 지점(1 ∼ 4)이 서로 떨어져 있는 두 체결부(TA, TB)에서 캐리어(T)에 제공되어 있고, 그 두 체결부는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기부 영역을 갖는다. (제 1) 통과 개구가 마찬가지로 4개의 체결 지점(1 ∼ 4) 중의 3개에 체결 개구(72)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체결 지점(1, 2, 4)에서, 할당된 리벳(N1, N2 또는 N3)이 캐리어(T)의 (제 1) 체결 개구(72) 및 이에 대응하는 안내 레일(FS)의 (제 2) 개구(62)를 통과하고 두 구성품(T, FS)을 여기서 서로 긴장시켜 함께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체결부(TA 또는 TB)에 있는 한쌍의 체결 지점(1, 2; 3, 4)은 각 경우 역시 본질적으로 원추형이거나 또는 절두 원추형인 수용부(7.1 ∼ 7.4)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용부는 각 체결부(TA 또는 TB)의 평평한 (상) 측면(100)에 대하여 뒤로 물러나 형성되어 있으며, 그 평평한 측에는 안내 레일(FS)의 하측면(200)이 안착된다. 상기 안내 레일이 캐리어(T)에 고정되면, 상기 수용부(7.1 ∼ 7.4)의 경사진 내벽은 안내 레일(FS)의 방향으로 계속 졍사져 있다(수용부(7.1 ∼ 7.4)의 중심점에서 볼 때). 따라서, 수용부(7.1 ∼ 7.4)는 캐리어(T)에 고정될 안내 레일(FS)에 대하여 역시 뒤로 물러나 형성된다.
체결 지점(1, B1; 3, B3; 4, B4)의 영역에서 개별 리벳(N1, N2, N3)이 안내 레일(FS)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평평한 캐리어(T)의 후방면으로부터 서로 정렬되어 있는 한쌍의 미리 만들어진 (통과) 개구(62, 72)를 통해 안내되며, 그래서 리벳(N1, N2, N3)이 각 경우 양 개구(62, 72)를 통과하게 된다. 리벳(N1, N2, N3)의 리벳 머리부(NK)는 리벳을 위해 제공되어 있는 오목부(H1, H3, H4) 안에서 캐리어(T)에 맞대어 그 캐리어(T)의 후방면에 안착되고 조여진 상태에서 상기 할당된 체결 지점(B1, B3 또는 B4)의 영역에서 안내 레일(FS)을 캐리어(T)에 밀게 되며, 그래서 안내 레일(FS)이 캐리어(T) 상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3개의 리벳(N1 ∼ N3)을 통해 캐리어(T)에 고정된다.
캐리어(T)에 있는 체결 지점(1, 2, 3, 4)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 리브가 캐리어(T)의 후방면에 제공되어 있다. 이 보강 리브는 각 경우 수용부(7.1 ∼ 7.4)의 중심점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계속되어 있으며, 그래서 체결 지점(1 ∼ 4)의 영역에서 안내 레일(FS)로부터 작용하는 힘을 캐리어(T)에 더 잘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해서, 도 1c 에서 "A" 및 "B"로 강조된 영역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강 리브(VR)의 대부분은 각 경우 수용부(7.1 ∼ 7.4)의 중심점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별 모양으로 계속되어 있다.
수용부(7.2)를 갖는 체결 지점(2)의 영역에서는, 캐리어(T)의 후방면에 이어진 통과 개구가 수용부(7.2)의 기부, 즉 그 수용부(7.2)의 최저 지점에 제공되어 있지 않다. 오히려 수용부(7.2)의 기부 또는 바닥부는 폐쇄형 기부(71*)로 형성되는데, 이 기부는 수용부(7.2) 안에 안착되는 안내 레일(FS)의 돌출부(6.2)와 약간의 거리를 두고 대향한다.
돌출부(6.2)를 수용부(7.2) 내부에 잠금시키기 위한 체결 요소가 이 수용부(7.2)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마찰 잠금). 따라서, 삽입 영역(62)을 규정하는 돌출부(6.2)는 수용부(7.2) 안에 단지 형상 잠금되어 결합된다.
돌출부(6.2)의 삽입 영역(61)에 인접하는 그 돌출부(6.2)의 경사진 연속 벽(원추 형상 또는 절두 원추 형상을 이룸)은 또한 평평한 안착 영역(60)을 포함한다. 이 안착 영역(60)은 수용부(7.2)의 내벽과 대면하는데, 하지만 (여기서는) 그 내벽에 바싹 접하여 안착되지는 않는다. 특히, 안내 레일(FS)이 수용부(7.2)의 영역에서 캐리어(T)의 방향으로 밀리면, 여기서 돌출부(6.2)는 수용부(7.2)의 내벽에 의해 지지된다.
연속적인 체결 개구(72)(캐리어(T)의 양측을 서로 연결함)가 제공되어 있는 캐리어(T)의 체결 지점(1,3 및 4)에 있는 수용부(7.2, 7.3 및 7.4)는 기부(71*)(그러한 연속적인 체결 개구(72)가 제공되어 있지 않음)에 있는 일 수용부(7.2)와 동일하게 가능한 한 멀리 형성된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수용부(7.2)와는 대조적으로, 이들 수용부(7.1, 7.3, 7.4)는 각 경우 체결 요소(N1, N2 또는 N3)를 위한 체결 개구(72) 및 탄성 가장자리 부분(70)을 포함하며, 캐리어(T) 또는 각 수용부(7.1, 7.3 또는 7.4)가 예컨대 체결 요소(N1, N2 또는 N3)에 의한 고정 중에 캐리어(T) 쪽으로 (더 강하게) 밀리면, 상기 탄성 가장자리 부분은 안내 레일(FS)의 각 돌출부(6.1, 6.3 또는 6.4)의 방향으로 그리고 안내 레일(FS)과 대면하는 캐리어(T)의 기부(71)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기부(71)는 캐리어(T)에 있어서 수용부(7.1, 7.3 및/또는 7.4)를 둘러싸는 부분으로 형성된다.
탄성적인 또는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한 상기 부분(70)은 비교적 얇은 벽으로 형성되며, 각 수용부(7.1, 7.3, 7.4)의 가장자리로부터 체결 개구(72)의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가장자리 부분(70)은 각각의 체결 개구(72)로 인해 자유 단부를 포함하며 비교적 얇은 벽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과정에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짐), 그 가장자리 부분은 본래 탄성적이게 되고, 그래서 상기 거리 만큼 상기 기부(7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고 그래서 또한 각 수용부(7.1, 7.3, 7.4)에 대해서도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하다. 따라서, 돌출부(6.1, 6.3 또는 6.4)가 힘 충격에 의해 할당된 수용부(7.1, 7.3 또는 7.4) 안으로 더 강하게 밀리거나 캐리어(T)가 돌출부(6.1, 6.3, 6.4)의 영역에서 안내 레일(FS)의 방향으로 더 강하게 밀리면, 탄성적인 가장자리 부분(70)가 특히 각각의 돌출부(6.1, 6.3 또는 6.4)의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기부(70)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다.
이는, 개별 돌출부(6.1 ∼ 6.4)가 이미 각각의 할당된 수용부(7.1 ∼ 7.4) 안으로 삽입되어 있고 또한 그래서 캐리어(T) 및 안내 레일(FS)이 리벳(N1 ∼ N3)을 통해 고정되기 전에 서로에 대한 특정된 상대 위치에 이미 배치되어 있으면, 안내 레일(FS)을 캐리어(T)에 고정시킬 때 최종 제조 공차를 보상하고 또한 두 구성품(FS, T)을 여전히 서로에 대해 적어도 약간 정렬시킬 수 있게 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리벳(N1, N2, N3) 형태의 체결 요소가 3쌍의 이용가능한 개구(62, 72)를 통과하거나 또는 최종적으로 조여지기 전에 돌출부(6.1 ∼ 6.4)가 할당된 수용부(7.1 ∼ 7.4)에 형상 잠금되어 수용되도록 개별 돌출부(6.1 ∼ 6.4) 및 개별 수용부(7.1∼ 7.4)가 각 경우 형성되므로, 그러한 창문 리프터 어셈블리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수용부(7.1 ∼ 7.4)가 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또한 이에 대응하여 돌출부(6.1 ∼ 6.4)도 원추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에 대한 이 부분의 중심 맞춤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개별 탄성 가장자리 부분(70)에 의해 제조 공차를 보상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인장을 가능한 한 많이 피하여 (금속) 안내 레일(FS)을 (플라스틱) 캐리어(T)에 고정시킬 수 있다. 개별 체결 요소(N1, N2, N3)는 바람직하게는 차례 대로 부착되거나, 또는 각각의 할당된 개구(62, 72) 안으로 결합하고(또는 통과하고) 다만 차례 대로 조여지거나 고정되도록 이미 모두 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리벳(N1, N2, N3)을 조이면, 두 구성품(T, FS)을 통해 안내되고 리벳 머리부(NK)로부터 돌출되는 리벳의 핀형 부분이 변형되어, 두 구성품(T, FS)은 리벳의 그 변형된 부분과 리벳 머리부 사이에서 형상 잠금되어 둘러싸인다.
현재 수용부(7.1)의 (제 1) 리벳(N1)이 먼저 조여지는데, 그 수용부는 (제 2) 수용부(7.2)(체결 요소가 제공되지 않음)에 인접해 있다. 다음, 상기 제 2 수용부(7.2)까지 가장 작은 거리를 갖는 상기 제 1 수용부(7.1)로 시작되며, 상기 제 2 수용부에서는 체결 요소에 대한 체결 가능성이 제공되지 않는다.
리벳(N1)을 조이거나 체결하면, 돌출부(6.1)가 탄성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70)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할당된 수용부(7.1)에 (더) 접근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돌출부(6.1)의 원추 형상을 또한 규정하는 그 돌출부(6.1)의 외측 표면이 안착 영역(60)을 통해 탄성 가장자리 부분(70)에 바싹 접하여 안착된다. 가장자리 부분(70)의 탄성 변위가능성으로 인해, 그 가장자리 부분은 서로를 덮도록 모인 두 개구(62, 72)의 정확한 중심 맞춤을 가능케 해주며 또한 한편으로 수용부(71)와 다른 한편으로는 돌출부(6.1)에 의해 규정되는 두 원추 또는 절두 원추의 정확한 중심맞춤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리하여, 가장자리 부분(70)은 할당된 돌출부(6.1)에 (바싹 접하여) 안착되도록 변위되거나, 또는 그 돌출부로부터 적어도 최소 거리를 두게 된다. 따라서, 안내 레일(FS)을 캐리어(T)에 고정시킬 때 리벳(N1)이 제일 먼저 조여지는 제 1 수용부(7.1)의 영역에서, 안내 레일(FS)이 캐리어(T)에 대해 정확하게 정렬되며 또한 돌출부(6.1)는 마찰 잠금되어 탄성 부분(70)에 안착되며 또한 연장부를 통해 수용부(7.1)와 체결 개구(72)에 안착되고 형상 잠금된다.
그러나, 제 1 수용부(7.1)에 인접해 있고(동일한 체결부(TA)에서) 체결 요소가 제공되지 않는 수용부(7.2)에서, 돌출부(6.2)는 어떤 경우에도 할당된 수용부(7.2) 내에 형상 잠금되어 수용되며, 또한 탄성 부분(70)에 의해 상기 돌출부가 그의 안착 영역(60)을 통해 탄성 가장자리 부분(70)에 (바싹 접하여) 안착된다.
(제 2 및 3) 리벳(N2, N3)이 차례 대로 조여지는 다른 두 수용부(7.3, 7.4)의 경우에, 결국에는 제조 공차 때문에, 각 돌출부(6.3 또는 6.4)의 두 원추부가 상기 할당된 제 3 또는 4 수용부(7.3 또는 7.4)에 정확하게 중심 맞춤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수용부(7.1)에서는 탄성 가장자리 부분(70)을 통해 정확한 끼워맞춤이 적어도 가능하게 되며 또한 나머지 두 수용부(7.2, 7.4)에서는 여기에 또한 제공되어 있는 각각의 탄성 가장자리 부분(70)이 각 경우 리벳(N2, N3)이 작은 정도로 인장만 야기하도록 추가 공차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a 및 2b 의 확대 상세도에서 알 수 있듯이, 가장자리 부분(70)은 리벳(N2, N3)에 의해 각각의 안착 영역(60)에 더 강하게 접근되어 있으며, 그래서 각각의 돌출부(6.3, 6.4)로부터의 거리는 각 경우, 체결 요소가 안내 통과되지 않는 상기 제 2 수용부(7.2)의 안착 영역(60)과 탄성 가장자리 부분(70) 사이의 거리(b) 보다 적어도 다소 작게 되어 있다.
또한, 리벳으로 형성된 개별 체결 요소(N1, N2, N3)는, 각기 캐리어(T)의 후방면에 제공되어 있는 그릇 모양의 오목부(H1, H2 또는 H3) 안에서 각각의 리벳 머리부(NK)로 캐리어(T)에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안착된다.
또한, 돌출부(6.1 ∼ 6.4)의 안착 영역(60) 및 할당된 탄성 가장자리 부분(70)에 있는 원추형 안착 영역으로 인해, 리벳(N1, N2, N3)의 지지 응력이 급격히 감소된다.
캐리어(T)의 체결부(TA, TB)에서 안내 레일(FS)을 규정대로 지지하기 위해, 각 경우 안내 레일(FS)의 방향으로 돌출 융기되어 있는 지지 영역(5)이 체결부(TA, TB)의 평평한 상측면(100)에 더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 안내 레일(FS)은 규정된 방식으로 수용부(7.1 ∼ 7.4)의 가장자리 및 다른 한편으로는 그 수용부(7.1 ∼ 7.4)의 외부에 제공되어 있는 캐리어(T)의 지지 영역(5)에 안착된다. 이렇게 해서, 개별 수용부(7.1 ∼ 7.4)와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상기 (추가적인) 지지 영역(5)(또는 다음에 설명하는 변형예에서는 지지 영역(5.1, 5.2))으로 인해, 길이 방향으로 뻗은 안내 레일(FS)이 캐리어(T)에 고정되는 중에 회전되거나 비틀리는 일이 일어나지 않으며 또한 그래서 바람직지 않은 전단력이 수용부(7.1 ∼ 7.4)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지지 영역(여기서 또한 상측면(100)에 있는 길이 방향으로 뻗은 융기된 영역의 형태로 되어 있음)은 도 3a ∼ 3c 및 4a ∼ 4c의 실시 형태의 캐리어부(FA)를 포함한다. 다른 (제 2) 구성품(여기서는 쉘형 하우징부(G)의 형태로 되어 있음)이 리벳(N3, N4) 형태의 두 체결 요소를 통해 상기 캐리어부(FA)에 고정된다. 캐리어부(FA)(또는 여기서 도면에서 볼 수 있는 상기 캐리어부(FA)의 부분) 또한 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캐리어 부분(FA) 및 하우징부(G)는 측면들이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함께 고정되며, 따라서 각 경우 쉘 형태를 규정하는 외부 벽이 다른 구성품에 연결된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본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부(G)의 평평한 하측면(200)은 캐리어부(FA)의 평평한 상측면(100)과 대면한다.
상기 두 구성품(FA, G)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6.3', 6.4')가 한 구성품(하우징부(G))에서 체결 지점(B3', B4')에 또한 제공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6.3', 6.4')는 하우징부(G)의 하측면(200)에서 캐리어부(FA) 쪽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두 구성품(FA, G)이 의도한 대로 서로에 배치될 때, 제공되어 있는 캐리어부(FA)의 체결 지점(3', 4')에 있는 수용부(8.3 또는 8.4) 안으로 각각 들어가게 된다.
수용부(8.3, 8.4)는 서로 동일하고 하우징부(G)에 대해 뒤로 물러나 있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수용부(8.3, 8.4)는 (한쌍의 수용부(7.1, 7.2; 7.3, 7.4) 처럼) 공간적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8.3, 8.4)는 여기서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가상의 원추 팁의 영역에서, 캐리어부(FA)의 두 상호 반대 측면들을 서로 연결해 주는 (제 1) 체결 개구(관통 구멍(82))가 중심부에 제공되어 있다.
하우징부(G)에 있는 각각의 할당된 돌출부(6.3', 6.4')는 그에 대응하는 원추형의 상대 형태를 형성하는데, 여기서 마찬가지로 가상의 원추 팁의 영역에서, 하우징부(G)의 두 측면들을 서로 연결해 주는 연속적인 (제 2) 개구(관통 구멍(62'))가 중심부에 제공되어 있다. 두 구성품을 의도한 대로 함께 배치하면, 두 개구(62', 82)는 서로를 덮게 되며, 따라서 리벳(N3 또는 N4)이 두 구성품(FA, G)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개구를 통과해 안내되어 조여질 수 있다.
돌출부(6.3', 6.4') 각각은 원추형을 규정하는 경사진 연속 외측 코트 영역으로 형성된 안착 영역(60')을 포함한다. 이 안착 영역(60')은 현재 할당된 수용부(8.3, 8.4)의 탄성 가장자리 부분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돌출부(6.3', 6.4') 및 수용부(8.3, 8.4)는 각 경우 서로에 동기화되며, 따라서 리벳(N3, N4)이 수용부(8.3, 8.4)에 부착되어 조여질 때까지는 돌출부(6.3', 6.4')가 그 수용부 내부에 안착되지 않는다.
하우징부(G)가 캐리어부(FA)에 배치되면 돌출부(6.3', 6.4)가 할당된 수용부(8.3 또는 8.4) 안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하우징부(G)는 그의 하측면(200) 만으로, 캐리어부(FA)의 상측면(100)에 제공되어 있는 융기된 지지 영역(5.1, 5.2) 및 2개의 좁은 밴드형 지지부(84)(각 경우 수용부(8.3 또는 8.4)의 가장자리를 순환함)에 (먼저) 안착된다. 그리하여, 상기 지지부(84)는 동일한 방식으로 지지 영역(5.1, 5.2) 처럼 캐리어부(FA)의 상측면(100)으로부터 하우징부(G)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수용부(8.3, 8.4)의 체결 개구(82)는 또한 전체 둘레에서 탄성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80)에 의해 경계져 있다. 이리하여, 개구(82) 둘레에 환형으로 연속되어 있는 약화 영역(83)을 통해 탄성이 제공된다. 이 약화 영역(83)에서, 수용부(8.3, 8.4)의 재료 두께는 약화 영역(83)의 일측에 반경 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수용부(8.3, 8.4)의 일 가장자리에 대해(또한 약화 영역(83)의 다른 측에 반경 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가장자리 부분(80)과 대조적으로) 감소되어 있으며, 따라서 가장자리 부분(80)은 약화 영역(83)을 통해 수용부(8.3, 8.4)의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힌지되어 있다. 또한, 이렇게 해서, 개구(82)를 통해 안내되는 리벳(N3, N4)이 리벳 핀의 축방향으로 쉽게 지지되지 못하도록 그래서 두 구성품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리벳의 변형 중에 일어나는 힘으로 인해 파손되는 일이 없도록, 가장자리 부분(80)의 재료 강도가 선택된다.
도 4b 및 4c의 단면도에서 볼 때 노치로 나타나는 상기 약화 영역(83)으로 인해, 현재 특히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80)이 (리벳 핀의 축방향으로) 상기 수용부(8.3, 8.4) 안으로 각각 삽입되는 돌출부(8.3' 또는 8.4') 쪽으로 변위될 수 있다. 그러한 탄성 가장자리 부분(80)은 리벳(N3, N4) 형태로 된 체결 요소에 의해 돌출부(6.3' 또는 6.4')의 안착 영역에 (바싹 접하여) 밀릴 수 있다. 이리하여, 하우징부(G)와 캐리어부(FA)이 함께 고정되면, (제 1) 수용부(8.3)에 항상 형상 잠금되어 결합하는 돌출부(6.3')의 잠금이 특히 (제 1) 체결 요소 또는 리벳(N3)의 경우에 정지 마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리벳(N3)을 조일 때 탄성 가장자리 부분(80)이 기존의 제조 공차를 보상할 수 있다.
두 체결 요소 또는 리벳(N3, N4)을 연속적으로 부착하거나 또는 적어도 그들을 연속적으로 조이면, 제일 먼저 부착되거나 조여지는 리벳(N3)을 통해, 두 개구(62', 82')의 중심 또는 보어(bore) 축선이 중심 맞춤되고 또한 수용부(8.3) 안으로 삽입된 돌출부(6.2')에 탄성 가장자리(80)가 완전히 바싹 접하여 마찰 접촉되어 안착될 수 있다(도 4b 참조요). 이에 따라, 하우징부(G)를 캐리어부(FA)에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부(6.3')가 수용부(8.3)에 정확하게 끼워맞춤되며, 이때 탄성 가장자리 부분(80)은 돌출부(6.3')에 직접 안착되거나 또는 그 돌출부에 대하여 적어도 최소 거리를 두게 된다. 하우징부(G)의 나머지 제 2 체결 지점(B4') 및 캐리어부(FA)의 체결 지점(4')에서, 수용부(8.4)의 탄성 가장자리 부분(80)은 다음에 조여지는 리벳(N4)을 통해 작은 거리(b)(이상적으로는 0.2 ∼ 0.4 mm)까지 상기 삽입된 돌출부(6.4')에 또한 접근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부(8.3, 8.4) 및 돌출부(6.3', 6.4')의 치수에 있어 있을 수 있는 공차 관련 편차의 경우에도, 체결 지점(3', B3' 및 4', B4') 영역에서 두 구성품(FA, G)에 단지 작은 인장만 도입하여, 원하는 대로 두 구성품을 특정한 정렬로 서로에 고정시킬 수 있다.
캐리어부(FA)의 경우에도, 리벳(N3, N4)의 리벳 머리부(NK)는 하우징부(G) 및 상측면(10))의 반대쪽에 있는 캐리어부(FA)의 후방면에 있는 오목부(H3, H4) 안에 각기 수용된다. 이들 오목부(H3, H4)는 여기서 하측의 평평한 영역에 존재하는데, 이 영역은 캐리어부(FA)의 측벽에 의해 경계져 있다.
또한, 가장자리 부분(80)은 복수의 개별 세그먼트로 분할된 코스로 형성될 수 있다. 가장자리 부분의 세그먼트는 원 세그먼트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조여진 리벳(N3, N4)을 통해 각각의 돌출부(6.3, 6.3', 6.4')의 방향으로 플랜지처럼 변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설계된 캐리어부(FB)를 도 5 의 사시도에서 볼 수 있는데, 이 캐리어부는 도 3a ∼ 3c 및 4a ∼ 4c의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수정된 두개의 수용부(9.3, 9.5)를 포함하지만, 그외는 동일하다.
여기서도 원추형으로 되어 있는 상기 수용부(9.3, 9.4)는 마찬가지로 하우징부(G)의 돌출부(6.3', 6.4')(도 5 에는 미도시)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각 경우 캐리어부(FB)에서 수용부(9.3, 9.4)를 통해 규정되는 체결 지점(3", 4")은 앞의 실시 형태에 따라, 각각의 수용부(9.3, 9.4)를 환형으로 둘러싸는 지지 영역(94)을 포함한다. 각각의 원추형 수용부(9.3, 9.4)에는 연속적인 (제 1) 체결 개구(92)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개구는 탄성 변위가능한(그리고 선택적으로는 개별적인 순서로 분리되어 있는) 가장자리 부분(90)에 의해 경계져 있다.
여기서는, 각각의 수용부(9.3 또는 9.4)의 가장자리에 대한 가장자리 부분(90)의 변위가능성은, 도 3a ∼ 3c 및 4a ∼ 4c의 실시 형태와는 대조적으로, 약화 영역(체결 개구(92)를 환형으로 둘러쌈)에 의해 얻어지지 않고, 복수의(여기서는 4개) 약화 영역(93a, 93b, 93c, 93d)에 의해 제공되는데, 이들 복수의 약화 영역은 각 경우 체결 개구(92)를 원호 형태로 둘러싸며 공간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따라서, 개별적인 약화 영역(93a ∼ 93d)은 또한 체결 개구(92) 둘레의 원형 경로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그 약화 영역들은 서로 거리를 두고 있는 개별적인 세그먼트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세그먼트는 수용부(9.3, 9.4) 및 인접하는 가장자리 부분(90)에 대하여 감소된 벽 강도 또는 재료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각 경우 연결 바아(95)가 약화 영역(93a, 93b; 93g, 93c; 93c, 93d 또는 93d, 93a) 사이에 있다. 따라서 현재 약화 영역(93a ∼ 93d)은 연결 바아(95)를 통해 쌍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현재 이들 연결 영역(95)은 주 로딩 방향들(서로 수직하게 또한 개구(92)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함)을 따라 있다. 이렇게 해서 그들 연결 바아는 힘 전달을 위한 보강부서 역할한다. 도 1a ∼ 1c의 캐리어(T)에 있는 수용부(9.4, 9.5)의 구성에서는 연결 바아(95)가 본질적으로 안내 레일(FS)의 길이 방향(Z 방향 및 - Z 방향) 따라 그리고 그 방향에 대한 가로 방향(Y 방향 및 - Y 방향)으로 있게 될 것이다. 캐리어(T)와 안내 레일(FS)을 의도한 대로 차량 구조물에 결합할 때 또한 대응하는 창문 리프터를 의도한 대로 사용할 때, 가장 큰 힘이 이렇게 해서 규정되는 두개의 주 로딩 축선을 따라 발생되며, 그 힘은 캐리어(T)에 안전하게 전달될 것이다.
국부적인 재료 보강부인 그러한 연결 바아(9)는 물론 대안적으로 설계된 수용부(4개의 원호형 약화 영역(93a ∼ 93d)를 포함하지 않음) 내부에도 제공될 수 있다.
이리하여, 앞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설명한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90)의 기능성은 유지된다. 다만 수용부(9.3, 9.4)의 가장자리에 대한 가장자리 부분(90)의 더 큰 체결 안정성이 얻어진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서도, 두 구성품(FB, G)(앞 실시 형태에서는 두 요소(T, FS 또는 FA, G))이 체결 과정 중에 가요성 가장자리 부분(90)(70 또는 80)의 영역에서 자동적으로 서로에 정렬되며 지속가능한 연결을 의도한 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 부분(6.3')(6.1)에 밀리는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90)(70 또는 8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분(6.3')(6.1)이 수용부(9.3)(8.3 또는 7.1) 안에 잠금된다.
도 6 에는 수용부에 대한 가능한 변형예(8.3*)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변형예는 앞 실시 형태의 수용부(8.3, 8.4 또는 9.3, 9.4)에 본질적으로 상당한다. 따라서 대응하는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어 있다.
변형 리브(D)(선택적으로 체결 개구(82) 주위를 환형으로 둘러쌈)가 수용부(8.3*)에서 탄성 가장자리 부분(80)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변형 리브(D)는 가장자리 부분(80)의 재료 두께에 비해 많이 작은 재료 강도를 가지며, 삽입될 돌출부의 방향으로(또한 결합 또는 연결 방향으로) 융기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부의 안착 영역(60')은 탄성 가장자리 부분(80)에 위치된다.
상기 변형 리브(D)는 가장자리 부분(80)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8.3*) 안으로 삽입되는 돌출부의 경우에 이 돌출부와 가장자리 부분(80) 사이에서 (먼저) 조절될 거리를 국부적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상기 리브는, 상기 수용부(8.3*) 안으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항상) 적어도 국부적으로 변형 리브(D)에 안착되도록,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너무 큰 공차를 보상해주는 역할을 한다. 과도한 체결력이 변형 리브(D)의 변형으로 목표한 대로 감소될 수 있으며, 그래서 제 1 구성품(캐리어(T) 또는 캐리어부(FA 또는 FB))의 플라스틱 연결 영역의 지지 영역의 바람직하지 않은 큰 변형 또는 손상이 안전하게 회피될 수 있다.
함께 고정될 두 구성품 사이의 절연은 상기 변형 리브(D)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 변형 리브(D)는, 조여진 체결 요소(예컨대 리벳)에 의해 탄성 가장자리 부분(80)이 수용부(8.3*) 안으로 삽입된 돌출부의 안착 영역(60')에 충분한 힘으로 밀리면 목표한 방식으로 파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압착되는 절연 리브(D)는 습기에 대한 방벽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예컨대 습기가 캐리어부(FA)의 일 측으로부터 체결 개구(82)를 통과하여 두 구성품(FA, G) 사이에 들어가거나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가는 것을 상기 방벽으로 막을 수 있다.
변형 리브(D)는 특히 탄성 가장자리 부분(80)에 따라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장자리 부분(80)에 있는 파손가능한 변형 리브(D) 대신에, 예컨대 고무로 만들어진 압축가능한 절연 요소가 물론 제공될 수 있다.
반영된 도에서 볼 수 있는 수용부와 돌출부 쌍들은 원한다면 물론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동시에, 복수의 수용부를 단지 하나의 구성품에만 항상 제공하고 또한 대응하는 돌출부를 다른 구성품에 제공하는 것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히, (제 1 또는 2) 구성품은 돌출부 및 수용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 3a ∼ 3c 및 4a ∼ 4c 또한 도 5 및 6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수용부(8.3, 8.3*, 8.4, 9.3, 9.4) 및 돌출부(6.3', 6.4')의 조합이 물론 도 1a ∼ 1c 및 2a ∼ 2b 에 따른 창문 리프터 어셈블리의 구성품과 관련하여 또한 사용될 수 있다.
1 체결 지점(통과 개구를 가짐)
100 (상)측면
2 체결 지점(막힌 구멍을 가짐)
200 (하)측면
3, 3', 3" 체결 지점(통과 개구를 가짐)
4, 4', 4" 체결 지점(통과 개구를 가짐)
5 지지 영역
5.1, 5.2 지지 영역
6.1 ∼ 6.4 돌출부
6.3', 6.4' 돌출부
6, 60' 안착 영역
61 삽입 영역
62, 62' (제 2) 개구
7.1 ∼ 7.4 수용부
70 (탄성적인) 가장자리 부분
71, 71* 기부
72 (제 1) 체결 개구
8.3, 8.3* 수용부
8.4 수용부
80 (탄성적인) 부분
82 (제 1) 체결 개구
83 약화 영역
84 지지부
9.3, 9.4 수용부
90 (탄성적인) 부분
92 (제 1) 체결 개구
93a, 93b 약화 영역
93c, 93d 약화 영역
94 지지부
95 연결 바아
A, B 거리
B1 ∼ B4 체결 지점
B3', B4' 체결 지검
D 변형부
FA, FB 캐리어부
FS 안내 레일
G 하우징부
H1, H2 오목부
H3, H4 오목부
N1, N2 리벳(체결 요소)
N3, N4 리벳(체결 요소)
NK 리벳 머리부
T 캐리어
TA, TB 체결부
VR 보강 리브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에 의해 함께 고정되는 적어도 제 1 구성품과 제 2 구성품을 포함하는 차량용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 1 구성품은 제 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성품은 제 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요소가 상기 제 1 및 제 2 구성품들을 함께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와 각각 결합하며,
    상기 제 1 구성품의 제 1 개구의 외주에는 신축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체결 요소에 의해 상기 제 1 구성품과 제 2 구성품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원래의 언로드(unloaded) 상태로부터 변위되며,
    상기 가장자리 부분을 갖는 상기 제 1 개구는 제 1 구성품의 수용부 내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 2 구성품에 대해 뒤로 물러나 있으며,
    상기 제 2 구성품(FS, G)은 상기 제 1 구성품(T; FA; FB)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용부(7.1 ∼ 7.4; 8.3, 8.3*, 8.4; 9.3, 9.4) 안으로 연장되는 돌출부(6.1 ∼ 6.4; 6.3', 6.4')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제 2 구성품(FS; G)의 상기 제 2 개구(62; 62')의 외주에 구비된, 차량용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72; 82; 92)의 외주에 배치된 상기 제 1 구성품(T; FA; FB)의 가장자리 부분(70; 80; 90)이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한, 차량용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성품(FS; G)의 돌출부(6.1 ∼ 6.4; 6.3', 6.4')는 제 1 구성품(T; FA; FB)의 상기 가장자리 부분(70; 80; 90)에 안착되는 차량용 어셈블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성품(FS; G)은 제 1 구성품(FA; FB)의 상기 뒤로 물러나 있는 수용부(7.1 ∼ 7.4; 8.3, 8.3*, 8.4; 9.3, 9.4)의 외부에서, 제 1 구성품(T; FA; FB) 상에 제공되어 있는 지지 영역(5; 5.1, 5.2, 84, 94)에 안착되는 차량용 어셈블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7.1 ∼ 7.4; 8.3, 8.3*, 8.4; 9.3, 9.4)는 상기 제 2 구성품(FS; G)의 돌출부(6.1 ∼ 6.4; 6.3', 6.4')와 마주하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차량용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7.1 ∼ 7.4; 8.3, 8.3*, 8.4; 9.3, 9.4)는 원추형 또는 깔대기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어셈블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연결 바아(95)들이 상기 수용부(7.1 ∼ 7.4; 8.3, 8.3*, 8.4; 9.3, 9.4)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바아들은 일 구성품(FS, G; T; FA; FB)으로부터 다른 구성품(T, FA, FB,; FS, G)로의 힘 전달을 위한 보강부로서 제공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연결 바아들은 적어도 하나의 주 로딩 방향(Y, Z)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차량용 어셈블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품(T; FA; FB)의 가장자리 부분(70; 80; 90)은 약화 영역(83; 93a, 93b, 93c, 93d)을 통해 상기 수용부(8.3, 8.3*, 8.4; 9.3, 9.4)의 일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장자리 부분(70; 80; 90)이 상기 수용부(8.3, 8.3*, 8.4; 9.3, 9.4)의 가장자리에 대해 신축 또는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한 차량용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약화 영역(83; 93a, 93b, 93c, 93d)은 인접하는 가장자리 부분(80, 90) 및 그에 인접하는 수용부(8.3, 8.3*, 8.4; 9.3, 9.4)의 가장자리보다 작은 재료 두께를 갖는 차량용 어셈블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약화 영역(83; 93a, 93b, 93c, 93d)은 상기 제 1 개구(82; 92)에 동심을 이루는 경로, 또는 상기 제 1 개구(82; 92) 둘레의 원형 경로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차량용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약화 영역(83)은 상기 제 1 개구(82) 주위에 환형으로 연장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약화 영역(93a, 93b, 93c, 93d)은 상기 제 1 개구(92) 주위에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차량용 어셈블리.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성품(T, FA, FB; FS, G) 중 하나의 구성품은 상기 제 1 및 제 2 구성품(T, FA, FB; FS, G) 중 다른 하나의 구성품에 대해 뒤로 물러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수용부(7.1 ∼ 7.4,; 8.3, 8.3*, 8.4; 9.3, 9.4)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수용부(7.1 ∼ 7.4,; 8.3, 8.3*, 8.4; 9.3, 9.4)에는 적어도 하나의 신축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70; 80; 90)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다른 하나의 구성품은 상기 추가 수용부 안으로 연장되는 추가 돌출부(6.1 ∼ 6.4; 6.3', 6.4')를 포함하는, 차량용 어셈블리.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변형 리브(D)가 상기 신축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70; 80; 90)에 제공되어 있고, 그 변형 리브는 상기 돌출부(6.1 ∼ 6.4; 6.3', 6.4')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문턱값을 넘는 힘에 의해 상기 가장자리 부분(70; 80; 90)과 돌출부(6.1 ∼ 6.4; 6.3', 6.4')가 서로에 대해 가압되면 상기 변형 리브는 파손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어셈블리.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성품(T, FS; FA, G; FB, G) 중의 하나는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고 다른 구성품(FS, T; G, FA; G, FB)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차량용 어셈블리.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성품(T, FS; FA, G; FB, G)이 차량용 창문 리프터 어셈블리의 구성품인 차량용 어셈블리.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요소는 리벳(N1, N2, N3, N4)인 차량용 어셈블리.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성품(T, FS; FA, G; FB, G)이 체결 과정 중에 상기 신축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70, 80, 90)의 영역에서 자동적으로 서로 정렬되고 또한 견고한 연결을 의도한 대로 형성할 수 있도록 제조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축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70, 80, 90)이 형성되어 제공되며, 상기 돌출부(6.1 ∼ 6.4; 6.3', 6.4')는, 변위되어 상기 돌출부(6.1 ∼ 6.4; 6.3', 6.4')를 압박하는 상기 신축 변위가능한 가장자리 부분(70, 80, 90)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잠금되는 차량용 어셈블리.
KR1020137035001A 2011-07-13 2012-07-07 함께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구성품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KR101544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1103327.2 2011-07-13
DE202011103327U DE202011103327U1 (de) 2011-07-13 2011-07-13 Baugruppe mit mindestens zwei aneinander fixierten Bauteilen
PCT/EP2012/002871 WO2013007368A1 (de) 2011-07-13 2012-07-07 Baugruppe mit mindestens zwei aneinander fixierten bautei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687A KR20140021687A (ko) 2014-02-20
KR101544426B1 true KR101544426B1 (ko) 2015-08-13

Family

ID=4650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5001A KR101544426B1 (ko) 2011-07-13 2012-07-07 함께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구성품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920784B2 (ko)
EP (1) EP2732170B1 (ko)
JP (1) JP5807114B2 (ko)
KR (1) KR101544426B1 (ko)
CN (1) CN103649564B (ko)
BR (1) BR112014000700A2 (ko)
DE (1) DE202011103327U1 (ko)
MX (1) MX339550B (ko)
RU (1) RU2549229C1 (ko)
WO (1) WO20130073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5608B3 (de) * 2014-08-06 2015-11-1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Fensterheberbaugruppe mit unterschiedlichen Befestigungsstellen für eine Führungsschiene
US20160053797A1 (en) * 2014-08-20 2016-02-25 Emerson Network Power, Energy Systems, North America, Inc. Assemblies and methods for coupling components having slots and/or deformable stakes
CN105882554B (zh) * 2015-09-17 2018-12-11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车门板和汽车
DE102016118138B4 (de) 2016-09-26 2020-04-16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Toleranzausgleichselement zum Ausgleichen eines Abstandes zwischen einem Instrumententräger und einem Karosseriebauteil eines Fahrzeugs
DE102016118452A1 (de) * 2016-09-29 2018-03-2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tür mit Türverkleidung
DE102017116858A1 (de) * 2017-07-26 2019-01-31 Fischerwerke Gmbh & Co. Kg Befestiger für eine Befestigung an einer Montageschiene
DE102019203906A1 (de) * 2019-03-21 2020-09-2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Trägerbauteil mit Befestigungsbereich aus einem Faserverbundwerkstoff und mindestens einem ein Befestigungselement arretierenden Stützelement
DE102021213879A1 (de) 2021-12-07 2023-06-07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lektronikanordn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07687A1 (de) 1996-02-29 1997-09-04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bindung von dünnwandigen Teilen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6981A (en) * 1933-06-12 1935-01-08 Rostone Inc Means for fastening metal shapes
US3362737A (en) * 1965-06-17 1968-01-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Fastening arrangement
JPS5256924Y2 (ko) * 1972-12-08 1977-12-23
JPS4996804U (ko) * 1972-12-13 1974-08-21
CA1001473A (en) 1972-12-22 1976-12-14 Eastman Kodak Company Lithographic printing plate
JPS4995460A (ko) 1973-01-16 1974-09-10
JPS6216371Y2 (ko) * 1980-09-19 1987-04-24
JPS5755673A (en) 1980-09-20 1982-04-02 Fujitsu Ltd Picture information recorder
JPS6024615U (ja) * 1983-07-28 1985-02-20 橋本フオ−ミング工業株式会社 車両窓用コ−ナ−カバ−
JPS60180656U (ja) * 1984-05-14 1985-11-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ウトサイドミラ−
DE3540329A1 (de) * 1985-11-11 1987-05-14 Siemens Ag Aus blechteilen zusammensetzbares tragwerk
JPH01113041U (ko) * 1988-01-27 1989-07-28
JPH01157082U (ko) * 1988-04-22 1989-10-30
DE4134937C2 (de) * 1991-10-23 1995-02-02 Freudenberg Carl Fa Abdeckvorrichtung
DE4140574A1 (de) * 1991-12-10 1993-06-17 Brose Fahrzeugteile Selbstzentrierende verbindung zur montage einer vorjustierten funktionseinheit
JPH09502241A (ja) * 1992-07-30 1997-03-04 スプリットファースト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溶接可能な締着部材、締着部材溶接用装置および組立体部材を締着部材に締着するための装置
US5385433A (en) 1993-05-14 1995-01-31 Jennmar Corporation Bearing plate
GB9501849D0 (en) * 1995-01-31 1995-03-22 Avdel Systems Ltd Method of fastening members of an assembly
US5628581A (en) * 1995-02-17 1997-05-13 Pace Company Sheet metal construction system
DE19847268A1 (de) 1998-10-07 2000-04-27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Bauteilen
DE19939655C1 (de) 1999-08-13 2000-12-14 Brose Fahrzeugteile Fensterheber mit einer an einem Basisteil befestigten Führungsschiene
DE10126047C5 (de) 2001-01-29 2010-05-20 Küster Automotive Door Systems GmbH Verbindung zweier Bauteile von Kraftfahrzeugen, insbesondere eines Aggregateträgers einer Kraftfahrzeugtür mit Aggregaten
DE10230073A1 (de) 2002-07-01 2004-01-22 Sai Automotive Sal Gmbh Kraftfahrzeugtür
DE10231774A1 (de) * 2002-07-13 2004-01-2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Bauteil mit Befestigungsloch
JP3096672U (ja) * 2003-03-25 2003-09-26 船井電機株式会社 チューナーに対するリアパネルの取付構造
ES1054896Y (es) 2003-05-30 2003-12-16 Castellon Melchor Daumal Carril regulable para elevalunas de automoviles.
DE102004021887A1 (de) 2004-05-04 2005-12-01 Lanxess Deutschland Gmbh Verbundbauteil
US8448324B2 (en) * 2010-11-23 2013-05-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Joining magnesium with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fasteners
DE102011113362A1 (de) * 2011-09-15 2013-03-21 Newfrey Llc Blindniet und Werkstückanordnung
JP5893955B2 (ja) * 2012-02-27 2016-03-2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発泡樹脂芯材複合板の締結構造の製造方法
US9457845B2 (en) * 2013-10-02 2016-10-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bular elastic tube alignment and retention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alignment of components
TWM475787U (en) * 2013-11-20 2014-04-01 Wistron Corp Resilient fixing pillar
US9447806B2 (en) * 2013-12-12 2016-09-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lf-retaining alignment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alignment and retention of compon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07687A1 (de) 1996-02-29 1997-09-04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bindung von dünnwandigen Tei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32170B1 (de) 2016-01-06
JP5807114B2 (ja) 2015-11-10
DE202011103327U1 (de) 2012-10-24
JP2014527140A (ja) 2014-10-09
CN103649564B (zh) 2015-11-25
WO2013007368A1 (de) 2013-01-17
US9920784B2 (en) 2018-03-20
RU2549229C1 (ru) 2015-04-20
BR112014000700A2 (pt) 2017-02-14
US20140152036A1 (en) 2014-06-05
CN103649564A (zh) 2014-03-19
MX339550B (es) 2016-05-31
MX2014000396A (es) 2014-02-27
EP2732170A1 (de) 2014-05-21
KR20140021687A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426B1 (ko) 함께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구성품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US8572818B2 (en) Connecting assembly for fastening an add-on element on a carrier
US6594870B1 (en) Panel fastener
EP2233755B1 (en) Fastening clip and associated fastener
JPH08238961A (ja) シート要素を自動車に取付けるシステム
KR101728847B1 (ko) 푸시인 패스너 조립체
EP1878925A2 (en) Pin and bush fastener, and airbag attached to vehicle body by such a fastener
KR101589859B1 (ko) 부품과, 판형 지지 부재 상에 부품을 탄성 결합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EP2546106B1 (de) Adapter, Baugruppe mit Adapter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r solchen Baugruppe
US20040016087A1 (en) Low insertion effort U-base retainer
CN103038102B (zh) 紧固件和包括紧固件的紧固件组件
US7267385B2 (en) Vehicle trim locating and attachment system
KR102178026B1 (ko) 유지장치
WO2006101878A2 (en) Panel fastener with spring retaining ring
US10137845B2 (en) Tether clip and structure for coupling the tether clip to a pillar garnish
US20160069364A1 (en) Captured fastener device
EP3444485B1 (en) Fastener and fastening arrangement
EP3364051B1 (en) A method for mounting a sheet like member onto a mounted member by utilizing a fastening device and mounting structure
US10486619B2 (en) Connection assemblies in a vehicle
CA2970001C (en) Frame for a movable furniture part
EP2628961B1 (en) Clip and fastening arrangement with a clip
US10328834B2 (en) Retention clips for vehicle console assembly
US20220220988A1 (en) Device for attaching a first part to a second part
US20040042873A1 (en) Bushing
CN115388071A (zh) 用于将构件紧固到载体构件上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