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945B1 - 냉동장치의 실외유닛 - Google Patents

냉동장치의 실외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945B1
KR101543945B1 KR1020137033681A KR20137033681A KR101543945B1 KR 101543945 B1 KR101543945 B1 KR 101543945B1 KR 1020137033681 A KR1020137033681 A KR 1020137033681A KR 20137033681 A KR20137033681 A KR 20137033681A KR 101543945 B1 KR101543945 B1 KR 101543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unit
electric component
air
ca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408A (ko
Inventor
다다시 사오
미키오 가가와
시게키 가미타니
후미아키 고이케
유스케 나카가와
도모히사 다케우치
가츠토시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1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4Cooling of electr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0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outlet air in upwar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실외유닛(10)은, 전장품(電裝品) 유닛(60)이, 실외 팬(40)의 분출 측에 연통하여 이 분출 측의 공기를 전장품 유닛(60)의 내부에 유입시키는 유입구(61)와, 실외 팬(40)의 흡입 측에 연통하여 전장품 유닛(60)의 내부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구(6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냉동장치의 실외유닛{OUTDOOR UNIT FOR REFRIGERATION DEVICE}
본 발명은, 냉동장치의 실외유닛에 관하며, 특히, 전장품(電裝品) 유닛 내 전기부품의 냉각수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내유닛 및 실외유닛을 구비하는 분리형 공기 조화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외유닛에서는, 케이싱 내에 송풍 팬과 압축기 등의 전기기기가 배치됨과 동시에, 이들 전기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판 등의 전기부품이 수용된 전장품 유닛이 배치된다.
그리고,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시에는, 전장품 유닛에 수용된 전기부품이 발열하므로, 이 발열에 의해 전장품 유닛 내부의 분위기 온도가 상승되어, 전기부품의 고장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내듯이, 케이싱 내부에 설치된 전장품 유닛의 측면에 개구부와 슬릿을 형성하여 내부에 공기의 통로를 확보함으로써, 전기부품의 냉각이 도모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송풍 팬에 의해 케이싱의 외부로 공기가 분출되므로, 케이싱내부의 공기압은 대기압보다 낮은 공기압(즉, 부압(負壓))이 된다. 또, 전장품 유닛은, 부압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장품 유닛 내부에서는, 송풍 팬 근방의 공기와, 송풍 팬 멀리 있는 공기와의 차압(差壓)에 의해 전장품 유닛 내부에 공기 흐름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일본 특허공개 2007-218534호 공보
그러나, 전장품 유닛은, 부압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싱 내에 배치되므로, 송풍 팬 근방의 공기와 멀리 있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차압이 작아진다. 때문에, 전장품 유닛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 풍량이 적어진다. 이에 따라, 전기부품을 충분하게 냉각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전장품 유닛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 풍량을 늘려 내부의 전기부품을 충분하게 냉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케이싱(20) 내부에, 실외 열교환기(30)와, 이 케이싱(20)의 외부에 공기를 분출하는 송풍기(40)와, 전기부품(70)이 수용된 전장품 유닛(60)이 배치된 냉동장치의 실외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60)은, 상기 송풍기(40)의 분출 측에 연통하여 이 분출 측의 공기를 전장품 유닛(60)의 내부에 유입시키는 유입구(61)와, 상기 송풍기(40)의 흡입 측에 연통하여 전장품 유닛(60) 내부의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구(62)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발명에서는, 케이싱(20) 내부에, 실외 열교환기(30), 송풍기(40) 및 전장품 유닛(60)이 배치된다.
전장품 유닛(60)에는, 송풍기(40)의 분출 측에 연통하는 유입구(61)와 송풍기(40)의 흡입 측에 연통하는 유출구(62)가 형성된다. 전장품 유닛(60)은, 송풍기(40)의 분출 측 공기를 유입구(61)로부터 유입시킨다. 그리고, 전장품 유닛(60)은, 유입시킨 공기를 유출구(62)로부터 송풍기(40) 흡입 측으로 유출한다.
송풍기(40)가 공기를 분출하면, 케이싱(20) 내부의 송풍기(40) 흡입 측의 공기압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즉, 부압(負壓))이 된다. 한편, 송풍기(40)의 분출 측 공기압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즉, 정압(正壓))이 된다.
이로써, 송풍기(40)의 분출 측 공기와 흡입 측 공기와의 차압에 의해, 전장품 유닛(60)의 유입구(61)로부터 송풍기(40)의 분출 측 공기가 유입한다. 유입한 공기는, 전장품 유닛(60)의 내부를 통과하여 유출구(62)로부터 송풍기(40)의 흡입 측으로 유출된다.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은 측면에 공기 흡입구(25)를 갖는 한편, 상기 실외 열교환기(30)는, 상기 공기 흡입구(25)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송풍기(40)는, 팬(41)과, 이 팬(41)의 외주(外周)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벨 마우스(bell mouth)(43)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20) 내부의 상기 공기 흡입구(25)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상방에 공기를 분출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케이싱(20) 내부에는, 상기 벨 마우스(43) 주변부에 위치하는 전장품 유닛(60)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발명에서는, 케이싱(20)의 측면에는, 공기 흡입구(25)가 형성된다. 케이싱(20)의 내부에는, 공기 흡입구(25)에 대향하여 실외 열교환기(30)가 배치된다. 또, 케이싱(20) 내부에는, 공기 흡입구(25)보다 상부에 송풍기(40)가 배치된다. 이 송풍기(40)는, 팬(41)과 벨 마우스(43)를 구비한다. 벨 마우스(43)는 팬(41)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팬(41)의 회전에 의해 공기 흡입구(25)로부터 케이싱(20)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실외 열교환기(30)에서 열교환되고, 벨 마우스(43)를 통과하여 케이싱(20) 외부로 분출된다.
케이싱(20) 내부에는 전장품 유닛(60)이, 벨 마우스(43) 주변부에 배치된다. 이로써, 케이싱(20) 내부에서는, 팬(41) 및 벨 마우스(43)보다 하방의 공간이 넓어진다.
제 3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6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벨 마우스(43)와 높이 방향에서 겹쳐지고, 또한 하단부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30)보다 상부가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발명에서는, 전장품 유닛(60)은, 적어도 일부가 벨 마우스(43)와 높이 방향에서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 전장품 유닛(60)의 하단부가 실외 열교환기(30)보다 상부가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 4 발명은, 상기 제 2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에는, 상기 송풍기(40) 및 전장품 유닛(60)이 배치되는 상부의 제 1 실(2b)과, 상기 실외 열교환기(30)가 배치되는 하부의 제 2 실(2a)과의 사이에 상기 전장품 유닛(60)의 저부(底部)를 지지하는 스테이(stay)(20a, 20d)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 4 발명에서는, 케이싱(20)에는, 상부의 제 1 실(2b)과, 이 제 1 실(2b)보다 하부의 제 2 실(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실(2b)에는, 송풍기(40) 및 전장품 유닛(60)이 배치되고, 제 2 실(2a)에는, 실외 열교환기(30)가 배치된다. 케이싱(20)에는, 제 1실(2b)과 제 2 실(2a)과의 사이에 스테이(20a, 20d)가 설치된다. 이 스테이(20a, 20d)는, 전장품 유닛(60)의 저부를 지지한다.
제 5 발명은, 상기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60)에는, 저부에 상기 유출구(62)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스테이(20a, 20d)에는, 상기 유출구(62)로부터 유출한 공기를 제 2 실(2a)로 유입시키는 공기구(空氣口)(28)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5 발명에서는, 전장품 유닛(60)에는, 저부에 유출구(62)가 형성된다. 또, 스테이(20a, 20d)에는, 공기구(28)가 형성된다.
송풍기(40)가 공기를 분출하면, 케이싱(20) 내의 제 2 실(2a)의 공기압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즉, 부압)이 된다. 한편, 송풍기(40)의 분출 측 공기압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즉, 정압)이 된다.
이로써, 제 1 실(2b)의 공기와 제 2 실(2a)의 공기와의 차압에 의해, 전장품 유닛(60)의 유입구(61)로부터 케이싱(20) 내의 제 1 실(2b)의 공기가 유입한다. 유입한 공기는, 전장품 유닛(60)의 내부를 통과하여 유출구(62)로부터 유출한다. 유출한 공기는, 스테이(20a, 20d)에 형성된 공기구(28)를 개재하여 케이싱(20)의 제 2 실(2a)로 유출한다.
제 6 발명은, 상기 제 4 또는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20a, 20d)에는, 상기 전장품 유닛(60)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배선을 통과시키는 배선 개구(29)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6 발명에서는, 스테이(20a, 20d)에는, 배선 개구(29)가 형성된다. 배선 개구(29)는, 전장품 유닛(60)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배선을 통과시킨다.
제 7 발명은, 상기 제 5 또는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60)의 유출구(62)와, 상기 스테이(20a, 20d)의 공기구(28)가, 서로 수평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상기 제 7 발명에서는, 전장품 유닛(60)의 유출구(62)와, 스테이(20a, 20d)의 공기구(28)를 서로 수평방향으로 어긋나도록 하여 배치한다. 즉, 상방에서 본 경우에, 유출구(62)와 공기구(28)의 개구끼리가 겹쳐지지 않도록 한다. 때문에, 예를 들어, 제 2 실(2a)측의 수분이 공기구(28)를 개재하여 제 1 실(2b)측으로 유입하여도, 유출구(62)는, 공기구(28)와 수평방향으로 어긋나므로, 유출구(62)를 개재하여 전장품 유닛(60)의 내부까지 수분이 도달하기 어렵다.
제 8 발명은, 상기 제 4∼제 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60)이, 케이싱(20) 외부에 인출 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외형이 인출방향 앞쪽에서 안쪽을 향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8 발명에서는, 전장품 유닛(60)은, 케이싱(20) 외부에 인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전장품 유닛(60)은, 인출방향 앞쪽에서 안쪽을 향해 외형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케이싱(20)의 외부에 전장품 유닛(60)을 인출하기 쉬워진다.
제 9 발명은, 상기 제 4∼제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60)은, 내측면이 상기 벨 마우스(43)의 외주(外周)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 9 발명에서는, 전장품 유닛(60)의 내측면이 벨 마우스(43)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벨 마우스(43)의 주위에 전장품 유닛(60)을 설치하기 쉬어진다.
상기 제 1 발명에 의하면, 전장품 유닛(60)에 송풍기(40) 흡입 측에 연통하는 유출구(62)와 송풍기(40)의 분출 측에 연통하는 유입구(61)를 형성하므로, 전장품 유닛(60)의 유입구(61) 입구의 공기와 유출구(62) 출구의 공기와의 사이의 차압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장품 유닛(60)을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장품 유닛(60) 내부의 전기부품(70) 등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및 제 3 발명에서는, 전장품 유닛(60)을 벨 마우스(43) 주변부에 배치하여 벨 마우스(43) 하방의 공간을 넓게 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전장품 유닛(60)을 케이싱(20)으로부터 떼어내는 일없이, 케이싱(20)의 벨 마우스(43)보다 하부에 설치된 기기류의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또, 케이싱(20)의 벨 마우스(43)보다 하부에, 예를 들어, 압축기 등의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장치의 실외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제 4 발명에 의하면, 스테이(20a, 20d)를 설치하므로, 전장품 유닛(60)의 저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전장품 유닛(60)을 안정되게 케이싱(20)에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5 발명에 의하면, 전장품 유닛(60)의 저부(底部)에 유출구(62)를 형성하는 한편, 스테이(20a, 20d)에 공기구(28)를 형성하므로, 전장품 유닛(60)의 유출구(62)로부터 유출한 공기를 공기구(28)를 개재하여 케이싱(20)의 제 2 실(2a)로 보낼 수 있다.
상기 제 6 발명에 의하면, 배선 개구(29)를 형성하므로, 전장품 유닛(60)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배선을 제 2 실(2a)측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20)의 송풍기(40)보다 하부에 설치한 부재의 전기부품을 전장품 유닛(60) 내에서 배선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제 7 발명에 의하면, 전장품 유닛(60)의 유출구(62)와 스테이(20a, 20d)의 공기구(28)를 상방에서 본 경우에 개구끼리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하므로, 제 2 실(2a)측으로부터 공기구(28)를 개재하여 수분이 제 1 실(2b)측으로 유입하여도, 전장품 유닛(60) 내부까지 수분이 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8 발명에 의하면, 전장품 유닛(60)을 케이싱(20)의 외부에 인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한 인출 방향의 앞쪽에서 안쪽을 향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하므로, 케이싱(20)의 외부에 전장품 유닛(60)을 인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장품 유닛(60)의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9 발명에 의하면, 전장품 유닛(60)의 내측면을 벨 마우스(43) 외주를 따라 형성하므로, 벨 마우스(43) 주위에 전장품 유닛(60)을 설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케이싱(20)의 벨 마우스(43)보다 하부에, 예를 들어, 압축기 등의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장치의 실외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실외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실외유닛을 그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실외유닛을 그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장품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장품 유닛을 그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실외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실외유닛을 그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실외유닛을 그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전장품 유닛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전장품 유닛을 그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전장품 유닛을 그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전장품 유닛을 그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실외유닛을 우측에서 본 도이다.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전장품 유닛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전장품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전장품 유닛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전장품 유닛을 전면(前面)측에서 본 도이다.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실외유닛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도 3에 나타내듯이, 제 1 실시형태의 실외유닛(10)은, 냉동장치인 공기 조화 장치에 이용되는 것이며, 도시하지 않으나, 실내유닛이 접속되어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을 구성한다.
상기 실외유닛(10)은, 예를 들어, 빌딩의 옥상 등에 설치되고, 케이싱(20), 실외 열교환기(30), 실외 팬(40) 및 압축기구(5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20)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4개의 지주(支柱)(21), 바닥판(22), 측면 패널(23) 및 천판(top board)(24)을 구비한다.
상기 4개의 지주(21)는, 네 모퉁이에 설치되고, 하부에 바닥판(22)이 고정된다.
상기 측면 패널(23)은, 케이싱(20)의 상반부(上半部) 네 면을 형성하는 상측면 패널(23a)과, 케이싱(20)의 하반부(下半部) 전면(前面)을 형성하며 또한 왼쪽 절반을 형성하는 전측면(前側面) 패널(23b)과, 케이싱(20)의 하반부 좌측의 횡측면(橫側面)을 형성하며 또한 앞쪽 절반을 형성하는 횡측면 패널(23c)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0) 측면에는, 하반부 전면의 오른쪽 절반과, 하반부 우측의 횡측면과, 하반부의 배면과, 하반부 좌측의 횡측면 뒤쪽 절반에 흡입구(25)가 형성된다. 이 흡입구(25)는, 본 발명에 관한 공기 흡입구를 구성한다.
또, 상기 천판(24)은, 지주(21) 상단에 고정되고, 분출구(26)가 형성됨과 동시에, 분출구(26)를 피복하는 그릴(24a)을 구비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30)는, 핀 앤 튜브형 열교환기이고,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30)는, 상하로 기립한 상태에서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20)의 전(全) 측면에 걸치는 절곡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외 열교환기(30)의 양 측단 사이에는, 케이싱(20) 전측의 왼쪽 코너부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개구(3a)가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싱(20)은, 실외 열교환기(30)의 개구(3a)에 대응하여 상기 전측면 패널(23b)과 횡측면 패널(23c)이 설치된다.
상기 바닥판(22)에는, 상기 압축기구(50), 오일 분리기(51) 및 어큐뮬레이터(52)가 장착되고, 상기 압축기구(50)는, 2대의 압축기(5a, 5b)로 구성된다.
또, 상기 케이싱(20)은, 실외 열교환기(30)가 수납되는 하부공간(2a)과, 실외 팬(40)이 수납되는 상부 공간(2b)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스테이(20a), 측부 스테이(20b, 20d) 및 후측 스테이(20c)가 네 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전측 스테이(20a)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상부공간(2b)은,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을 구성하고, 하부공간(2a)은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실을 구성한다.
상기 상부공간(2b)의 실외 팬(40) 분출 측을 흐르는 공기압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즉, 정압)이 된다. 한편, 하부공간(2a)은, 실외 팬(40)의 흡입 측 공기가 흐르는 공간이다. 이 하부공간(2a)을 흐르는 공기압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즉, 부압)이 된다.
상기 실외 팬(40)은, 2대 설치되고, 프로펠러 팬으로 구성되는 팬 본체(41), 팬 모터(도시 않음) 및 벨 마우스(43)를 구비한다. 팬 본체(41)와 팬 모터는, 상기 전측 스테이(20a) 및 후측 스테이(20c)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실외 팬(40)은, 본 발명에 관한 송풍기를 구성한다. 또, 팬 본체(41)는, 본 발명에 관한 팬을 구성한다.
상기 벨 마우스(4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44)와, 평면에서 보아 거의 직사각형의 판상(板狀)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45)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45)는, 그 외주의 네 변이 상기 각 스테이(20a∼20d)에 장착된다. 베이스부(45)는, 그 중앙에 상기 본체부(44)와 거의 동일 지름이 되는 통풍 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20)에는, 압축기구(5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전장품이 수납되는 전장품 유닛(60)이 장착된다.
상기 전장품 유닛(60)은, 실외 열교환기(30)의 전면(前面) 상방에 배치되고, 실외 열교환기(30) 상단 근처에 배치되며, 상측면 패널(23a)과 실외 팬(40)의 벨 마우스(43)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 전장품 유닛(60)은, 그 하단부가 실외 열교환기(30)보다 상부이며, 또한 그 일부가 벨 마우스(43)와 높이 방향에서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장품 유닛(60)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장품 유닛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상기 전장품 유닛(60)은, 거의 직사각형 평판상의 상자체로 형성되고, 전측 스테이(20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케이싱(20)에 장착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으나, 전장품 유닛(60)의 저부에는, 네 모퉁이에 다리부가 설치되고, 전장품 유닛(60)의 저부는 전측 스테이(20a)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배치된다.
전장품 유닛(60)의 배면에는, 후방을 향해 팽출하는 팽출부(64)가 형성된다. 팽출부(64) 내부에는, 발열부재인 리액터(71)가 설치된다. 또, 전장품 유닛(60)의 내부에는, 압축기(5a, 5b) 등을 제어하는 제어용 기판(70) 등이 수용된다.
또, 전장품 유닛(60)에는, 전장품 유닛(60)의 내부에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61) 및 외부에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구(62)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61)는, 개구를 가지며, 전장품 유닛(60)의 배면측에 형성된다. 이 유입구(61)는, 전장품 유닛(60)의 내부공간과 상부공간(2b)의 실외 팬(40) 분출 측을 연통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유입구(61)는, 전장품 유닛(60) 배면 팽출부(64)의 대략 하부에 형성된 슬릿(65)과, 상기 전장품 유닛(60) 본체의 배면 하부의 벽부에 형성된 개구(66)에 의해 구성된다. 이 슬릿(65)이 유입구(61)의 입구를 구성하고, 개구(66)가 유입구(61)의 출구를 구성함으로써, 유입구(61)를 래버린스(labyrinth) 구조로 할 수 있고, 케이싱(20) 내에 침입한 빗물이 전장품 유닛(60)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출구(62)는, 개구를 가지며, 전장품 유닛(60)의 저부에서 길이방향 타단측에 형성된다. 유출구(62)는, 전장품 유닛(60)의 내부공간을 향해 개구하는 한편, 전측 스테이(20a)을 향해 개구한다. 또한, 길이방향의 일단(一端) 측은 도 1의 정면에서 보아 좌측을 말하고, 상기 길이방향의 타단(他端) 측은 동 도면의 정면에서 보아 우측을 말한다.
상기 전측 스테이(20a)는, 케이싱(20) 전측에 장착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 관한 스테이를 구성한다. 전측 스테이(20a)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장방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된다. 전측 스테이(20a)는, 그 양 단부(端部)가 케이싱(20) 전면측 폭방향에 병립(竝立)하는 2개의 지주(21, 21)에 장착되어 수평으로 유지된다. 전측 스테이(20a)에는, 가이드(27), 노치(notch)부(29) 및 슬릿(2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27)는, 벨 마우스(43)의 외측면과의 사이에서 전장품 유닛(60)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가이드(27)는, 전측 스테이(20a)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고, 전측 스테이(20a) 상면의 후단부 측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노치부(29)는, 전장품 유닛(60)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배선(하니스, harness) 및 냉매배관을 하부 공간(2a)으로 연장시키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 관한 배선 개구를 구성한다. 노치부(29)는, 전측 스테이(20a)의 전단부 길이방향 일단 측을 평면에서 보아 거의 장방형상으로 절결(切缺)하여 형성된다. 또한, 냉매배관은,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관으로 형성되고, 전장품 유닛(60) 내부의 제어용 기판(70) 등과 히트 싱크(heat sink)에 접촉시켜 이들을 냉각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슬릿(28)은, 전장품 유닛(60)의 유출구(62)로부터 유출된 공기를 하부공간(2a)으로 유입하기 위한 개구이고, 본 발명에 관한 공기구를 구성한다. 슬릿(28)은, 전측 스테이(20a)의 전단부 측의 길이방향 타단측에 형성된다. 또한, 슬릿(28)과 전장품 유닛(60)의 유출구(62)는, 상방에서 본 경우에 개구끼리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된다. 즉, 슬릿(28)과 전장품 유닛(60)의 유출구(62)는, 서로 수평방향으로 어긋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하부공간(2a)으로부터 슬릿(28)을 개재하여 전측 스테이(20a)의 상부에 흘러들어간 수분이, 유출구(62)를 개재하여 전장품 유닛(60)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20) 내는, 상부공간(2b)과 하부공간(2a)이, 각 스테이(20a∼20d), 벨 마우스(43) 및 전장품 유닛(60)에 의해 구획된다. 이에 따라, 케이싱(20) 내는, 상부공간(2b)이 정압에 형성되고, 하부공간(2a)이 부압에 형성된다.
-실외유닛의 운전 중의 기류-
실외유닛(10)의 운전 중은, 실외 팬(40)의 운전에 의해, 흡입구(25)로부터 케이싱(20) 외부의 공기가 실외 열교환기(30)를 통과하여 내부의 하부공간(2a)에 유입된다. 유입되는 공기는, 실외 열교환기(30)를 통과할 시에, 실외 열교환기(30)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된다. 그리고, 하부공간(2a)을 흐르는 공기는, 상방으로 흘러 상부공간(2b)에 유입하고, 실외 팬(40)에 흡입되어 분출구(26)로부터 분출된다.
-전장품 유닛 내부의기류-
실외유닛(10)의 운전 중은, 실외 팬(40)의 운전에 의해, 전장품 유닛(60)의 내부에도 공기 흐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실외 팬(40)의 운전에 의해, 상부공간(2b) 실외 팬(40)의 분출 측 공기압은 대기압보다 높은 정압이 되는 한편, 하부공간(2a)의 공기압은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이 된다.
이로써, 전장품 유닛(60)의 유입구(61) 입구의 공기와, 유출구(62) 출구의 공기 차압에 의해, 실외 팬(40)의 분출 측 공기가 유입구(61)의 슬릿(65)으로부터 팽출부(64) 내부로 유입하고, 팽출부(64)를 통과하여 리액터(71)를 냉각시킨 후, 개구(66)로부터 전장품 유닛(60) 본체의 내부로 유입한다. 전장품 유닛(60) 본체에 유입한 공기는, 내부의 제어용 기판(70) 등을 냉각시키면서, 하방을 향해 흐른다. 그리고, 전장품 유닛(60)을 흐르는 공기는, 저부의 유출구(62)로부터 전장품 유닛(60)의 외부로 유출된다.
다음에, 유출구(62) 외부로 유출된 공기는, 일부가 전측 스테이(20a)의 노치부(29)로부터 하부공간(2a)으로 흐르는 한편, 나머지가 슬릿(28)을 개재하여 하부공간(2a)으로 유출된다.
하부공간(2a)으로 유출된 공기는, 실외 팬(40)에 흡입되어 상방으로 흘러 케이싱(20)의 외부로 분출된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장품 유닛(60)에 실외 팬(40)의 흡입 측에 연통하는 유출구(62)와 실외 팬(40)의 분출 측에 연통하는 유입구(61)를 형성하므로, 전장품 유닛(60)의 유입구(61) 입구의 공기와 유출구(62) 출구의 공기와의 사이의 차압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장품 유닛(60)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장품 유닛(60) 내부의 제어용 기판(70)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전장품 유닛(60)을 벨 마우스(43) 주변부에 배치하여 벨 마우스(43) 하방의 공간을 넓게 하도록 하였다. 때문에, 전장품 유닛(60)을 케이싱(20)으로부터 떼어내는 일없이, 케이싱(20)의 벨 마우스(43)보다 하부에 설치된 기기류의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또, 케이싱(20)의 벨 마우스(43)보다 하부에, 압축기(5a) 등의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장치의 실외유닛(10)을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전측 스테이(20a)를 설치하므로, 전장품 유닛(60)의 저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장품 유닛(60)을 안정되게 케이싱(20)에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전장품 유닛(60)의 저부에 유출구(62)를 형성하는 한편, 전측 스테이(20a)에 슬릿(28)을 형성하므로, 전장품 유닛(60)의 유출구(62)로부터 유출된 공기를 슬릿(28)을 개재하여 케이싱(20) 하부공간(2a)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 노치부(29)를 형성하므로, 전장품 유닛(60)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배선을 하부공간(2a)측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20)의 실외 팬(40)보다 하부에 설치한 부재의 전기부품을 전장품 유닛(60) 내에 배선 접속할 수 있다.
마지막에, 전장품 유닛(60)의 유출구(62)와 전측 스테이(20a)의 슬릿(28)을 상방에서 본 경우에 개구끼리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하므로, 하부공간(2a)측으로부터 슬릿(28)을 개재하여 수분이 상부공간(2b)측으로 유입하여도, 전장품 유닛(60)의 내부까지 수분이 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도 8에 나타내듯이, 제 2 실시형태의 실외유닛(10)은, 냉동장치인 공기 조화 장치에 이용되는 것이며, 도시하지 않으나, 실내유닛이 접속되어 증기 압축식 냉동 사이클을 구성한다.
상기 실외유닛(10)은, 예를 들어, 빌딩의 옥상 등에 설치되고, 케이싱(20), 실외 열교환기(30), 실외 팬(40) 및 압축기구(5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20)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4개의 지주(21), 바닥판(22), 측면패널(23) 및 천판(24)을 구비한다.
상기 4개의 지주(21)는, 네 모퉁이에 설치되고, 하부에 바닥판(22)이 고정된다.
상기 측면 패널(23)은, 케이싱(20)의 상반부 네 면을 형성하는 상측면 패널(23a)과, 케이싱(20) 하반부의 전면(前面)을 형성하고 또한 왼쪽 절반을 형성하는 전측면 패널(23b)과, 케이싱(20)의 하반부 좌측의 횡측면을 형성하며 또한 앞쪽 절반을 형성하는 횡측면 패널(23c)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0) 측면에는, 하반부 전면의 오른쪽 절반과, 하반부 우측의 횡측면과, 하반부의 배면과, 하반부 좌측의 횡측면 뒤쪽 절반에 흡입구(25)가 형성된다.
또, 상기 천판(24)은, 지주(21)의 상단에 고정되고, 분출구(26)가 형성됨과 동시에, 분출구(26)를 피복하는 그릴(24a)을 구비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30)는, 핀 앤 튜브형 열교환기이고,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도록 구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상기 실외 열교환기(30)는, 상하로 기립한 상태에서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20)의 전(全) 측면에 걸치는 절곡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외 열교환기(30)의 양 측단 사이에는, 케이싱(20) 전측의 왼쪽 코너부를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개구(3a)가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싱(20)은, 실외 열교환기(30)의 개구(3a)에 대응하여 상기 전측면 패널(23b)과 횡측면패널(23c)이 설치된다.
상기 바닥판(22)에는, 압축기구(50), 오일 분리기(51) 및 어큐뮬레이터(52)가 장착되고, 상기 압축기구(50)는, 1대의 압축기(5a)로 구성된다.
또, 상기 케이싱(20)은, 실외 열교환기(30)가 수납되는 하부공간(2a)과, 실외 팬(40)이 수납되는 상부 공간(2b)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스테이(20a), 우측 스테이(20b), 좌측 스테이(20d) 및 후측 스테이(20c)가 네 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좌측 스테이(20d)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상부공간(2b)은,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을 구성하고, 하부공간(2a)은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실을 구성한다.
상기 상부공간(2b)의 실외 팬(40) 분출 측을 흐르는 공기압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즉, 정압)이 된다. 한편, 하부공간(2a)은, 실외 팬(40)의 흡입 측 공기가 흐르는 공간이다. 이 하부공간(2a)을 흐르는 공기압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즉, 부압)이 된다.
상기 실외 팬(40)은, 프로펠러 팬으로 구성되는 팬 본체(41), 팬 모터 및 벨 마우스(43)를 구비한다. 팬 본체(41)와 팬 모터는, 상기 전측 스테이(20a) 및 후측 스테이(20c)에 장착된다.
상기 벨 마우스(4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44)와, 평면에서 보아 거의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45)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45)는, 그 외주의 네 변이 상기 각 스테이(20a∼20d)에 장착된다. 베이스부(45)는, 그 중앙에 상기 본체부(44)와 거의 동일 지름이 되는 통풍 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20)에는, 압축기구(5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전장품이 수납되는 전장품 유닛(60)이 장착된다. 전장품 유닛(60)은, 케이싱(20)을 정면에서 보아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스테이(20d) 상에 배치되고, 실외 열교환기(30) 상단 근처에 배치되며, 케이싱(20)을 정면에서 보아 좌측에 위치하는 상측면 패널(23a)과 실외 팬(40)의 벨 마우스(43)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 전장품 유닛(60)은, 그 하단부가 실외 열교환기(30)보다 상부이며, 또한 그 일부가 벨 마우스(43)와 높이 방향에서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9∼도 12에 나타내듯이, 상기 전장품 유닛(60)은, 약간 가늘고 거의 직방체형의 상자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일측면의 단면적이 반대측 타측면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전장품 유닛(60)은, 좌측 스테이(20d)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고, 벨 마우스(43)의 좌측 주변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으나, 전장품 유닛(60)의 저부에는, 각 모퉁이에 다리부가 설치되고, 전장품 유닛(60)의 저부(底部)는 좌측 스테이(20d)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배치된다. 여기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일측면은, 케이싱(20)에 전장품 유닛(60)이 설치된 상태의 전면측의 면임과 동시에, 타측면은, 배면측(후측) 면이다.
전장품 유닛(60)에는, 일측부쪽의 측면에 도 7의 오른쪽방향을 향해 팽출하는 제 1 팽출부(64a)가 형성되는 한편, 타측부 후방을 향해 팽출하는 제 2 팽출부(64b)가 형성된다. 제 1 팽출부(64a) 내부에는, 발열부재인 리액터(71)가 설치된다. 또, 전장품 유닛(60) 본체의 내부에는, 압축기(5a) 등을 제어하는 제어용 기판(70) 등이 수용된다.
또, 전장품 유닛(60)의 내측면은, 평면에서 보아 벨 마우스(43) 외주를 따라 원호(圓弧)형 오목부(63)로 형성된다.
전장품 유닛(60)의 내부에는, 압축기(5a) 등을 제어하는 제어용 기판(70) 등의 전장품이 수용된다. 또, 전장품 유닛(60)에는,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는 제 1 유입구(61a), 제 2 유입구(61b) 및 제 3 유입구(61c)와, 외부로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구(6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유입구(61a)는, 개구를 가지며, 전장품 유닛(60)의 일측면 쪽 내측부에 형성된다. 이 제 1 유입구(61a)는, 전장품 유닛(60)의 내부공간과 상부공간(2b) 실외 팬(40)의 분출 측을 연통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듯이, 제 1 유입구(61a)는, 전장품 유닛(60) 측면의 제 1 팽출부(64a) 하부에 형성된 슬릿(65)과, 전장품 유닛(60) 본체 측면의 벽부 상부에 형성된 개구(66)에 의해 구성된다. 이 슬릿(65)이 제 1 유입구(61a)의 입구를 구성하고, 개구(66)가 제 1 유입구(61a)의 출구를 구성함으로써, 제 1 유입구(61a)를 래버린스 구조로 할 수 있고, 분출구(26)로부터 케이싱(20) 내에 침입한 빗물이 전장품 유닛(60) 내로 침입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출구(62)는, 개구를 가지며, 전장품 유닛(60)의 저부에서 길이방향의 후단 쪽에 형성된다. 유출구(62)는, 전장품 유닛(60)의 내부공간을 향해 개구하는 한편, 좌측 스테이(20d)를 향해 개구한다.
상기 제 2 유입구(61b)는, 개구를 가지며, 전장품 유닛(60)의 타측부에 형성된다. 이 제 2 유입구(61b)는, 전장품 유닛(60)의 내부공간과 상부공간(2b)의 실외 팬(40) 분출 측을 연통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듯이, 제 2 유입구(61b)는, 전장품 유닛(60) 타측면의 제 2 팽출부(64b)의 하부에 형성된 슬릿(65)과, 전장품 유닛(60) 본체의 타측부에 형성된 개구(66)에 의해 구성된다. 이 슬릿(65)이 제 2 유입구(61b)의 입구를 구성하고, 개구(66)가 제 2 유입구(61b)의 출구를 구성함으로써, 제 2 유입구(61b)를 래버린스 구조로 할 수 있고, 분출구(26)로부터 케이싱(20) 내에 침입한 빗물이 전장품 유닛(60) 내로 침입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3 유입구(61c)는, 복수의 슬릿을 가지며, 도 7의 전장품 유닛(60) 좌측 측면의 대략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좌측 스테이(20d)는, 케이싱(20)의 좌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관한 스테이를 구성한다. 좌측 스테이(20d)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장방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된다. 좌측 스테이(20d)는, 그 전후 방향의 양 단부가 케이싱(20) 좌측의 전면측과 배면측에 병립(竝立)되는 2개의 지주(21, 21)에 장착되어 수평으로 유지된다. 좌측 스테이(20d)에는, 가이드(도시 않음), 노치부(29) 및 슬릿(2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는, 벨 마우스(43)의 외측면과의 사이에서 전장품 유닛(60)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가이드는, 좌측 스테이(20d)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좌측 스테이(20d) 상면의 좌단부쪽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노치부(29)는, 전장품 유닛(60)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배선(하니스) 및 냉매배관을 하부공간(2a)에 연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배선 개구를 구성한다. 노치부(29)는, 좌측 스테이(20d)의 길이방향 전단(前端) 쪽을 평면에서 보아 거의 직사각형으로 절결하여 형성된다. 또한, 냉매배관은,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관으로 형성되고, 전장품 유닛(60) 내부의 제어용 기판(70) 등과 히트 싱크에 접촉시켜 이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슬릿(28)은, 전장품 유닛(60)의 유출구(62)로부터 유출된 공기를 하부공간(2a)으로 유입하는 개구이고, 본 발명에 관한 공기구를 구성한다. 슬릿(28)은, 좌측 스테이(20d) 길이방향의 후단부 쪽에 형성된다. 또한, 슬릿(28)과 전장품 유닛(60)의 유출구(62)는, 상방에서 본 경우에 개구끼리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된다. 즉, 슬릿(28)과 전장품 유닛(60)의 유출구(62)는, 서로 수평방향으로 어긋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하부공간(2a)으로부터 슬릿(28)을 개재하여 좌측 스테이(20d)의 상부로 흘러들어간 수분이, 유출구(62)를 개재하여 전장품 유닛(60)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케이싱(20) 내는, 상부공간(2b)과 하부공간(2a)이, 각 스테이(20a∼20d), 벨 마우스(43) 및 전장품 유닛(60)에 의해 구획된다. 이에 따라, 케이싱(20) 내는, 상부공간(2b)이 정압에 형성되고, 하부공간(2a)이 부압에 형성된다.
-전장품 유닛의 착탈방법-
상기 전장품 유닛(60)의 케이싱(20)에 대한 착탈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전장품 유닛(60)을 케이싱(20)에 장착할 시, 전측의 상측면 패널(23a)을 떼어낸 상태에서, 좌측 스테이(20d)을 따라 전면측에서 배면측을 향해 밀어 넣도록 하여 장착된다.
한편, 전장품 유닛(60)을 케이싱(20)으로부터 떼어낼 시, 전측의 상측면 패널(23a)을 떼어낸 상태에서, 좌측 스테이(20d)를 따라 배면측에서 전면측을 향해 인출하도록 하여 떼어낸다.
-전장품 유닛의 내부 기류-
실외유닛(10)의 운전 중은, 실외 팬(40)의 운전에 의해, 전장품 유닛(60)의 내부에도 공기 흐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도 12에 나타내듯이, 실외 팬(40)의 운전에 의해, 상부공간(2b) 실외 팬(40)의 분출 측 공기압은 대기압보다 높은 정압이 되는 한편, 하부공간(2a)의 공기압은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이 된다.
이로써, 전장품 유닛(60)의 제 1 유입구(61a) 입구의 공기와 유출구(62) 출구의 공기의 차압에 의해, 실외 팬(40)의 분출 측 공기가 제 1 유입구(61a)를 개재하여 전장품 유닛(60)의 제 1 팽출부(64a) 내부로 유입하고, 이 제 1 팽출부(64a)를 통과하여 리액터(71)를 냉각시킨 후, 개구(66)로부터 전장품 유닛(60)의 본체 내부로 유입한다. 전장품 유닛(60) 본체에 유입한 공기는, 내부의 제어용 기판(70) 등을 냉각시키면서, 하방을 향해 흐른다. 그리고, 전장품 유닛(60)을 흐르는 공기는, 저부의 유출구(62)로부터 전장품 유닛(60)의 외부로 유출된다.
또, 제 2 유입구(61b) 입구의 공기와 유출구(62) 출구의 공기의 차압에 의해, 실외 팬(40)의 분출 측 공기가 제 2 유입구(61b)를 개재하여 전장품 유닛(60)의 제 2 팽출부(64b) 내부로 유입하고, 이 제 2 팽출부(64b)를 통과하여, 개구(66)로부터 전장품 유닛(60) 본체의 내부로 유입한다. 전장품 유닛(60) 본체로 유입한 공기는, 내부의 제어용 기판(70) 등을 냉각시키면서, 하방을 향해 흐른다. 그리고, 전장품 유닛(60)을 흐르는 공기는, 저부의 유출구(62)로부터 전장품 유닛(60)의 외부로 유출된다.
제 3 유입구(61c) 입구의 공기와 유출구(62) 출구의 공기의 차압에 의해, 실외 팬(40)의 분출 측 공기가 제 3 유입구(61c)를 개재하여 전장품 유닛(60) 본체의 내부로 유입하고, 내부의 제어용 기판(70) 등을 냉각시키면서, 하방을 향해 흐른다. 그리고, 전장품 유닛(60)을 흐르는 공기는, 저부의 유출구(62)로부터 전장품 유닛(60)의 외부로 유출된다.
유출구(62) 외부로 유출된 공기는, 일부가 좌측 스테이(20d)의 노치부(29)로부터, 나머지가 슬릿(28)을 개재하여 함께 하부공간(2a)으로 유출된다.
하부공간(2a)으로 유출된 공기는, 실외 팬(40)에 흡입되어 상방으로 흘러 케이싱(20) 외부로 분출된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좌측 스테이(20d)를 설치하므로, 전장품 유닛(60)의 저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장품 유닛(60)을 안정되게 케이싱(20)에 유지할 수 있다.
또, 전장품 유닛(60)의 저부에 유출구(62)를 형성하는 한편, 좌측 스테이(20d)에 슬릿(28)을 형성하므로, 전장품 유닛(60)의 유출구(62)로부터 유출된 공기를 슬릿(28)을 개재하여 케이싱(20)의 하부공간(2a)으로 보낼 수 있다.
또, 노치부(29)를 형성하므로, 전장품 유닛(60)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배선을 하부공간(2a)측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20)의 실외 팬(40)보다 하부에 설치한 부재의 전기부품을 전장품 유닛(60) 내에 배선 접속할 수 있다.
다음에, 전장품 유닛(60)의 유출구(62)와 좌측 스테이(20d)의 슬릿(28)을 상방에서 본 경우에 개구끼리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하므로, 하부공간(2a)측으로부터 슬릿(28)을 개재하여 수분이 상부공간(2b)측으로 유입하여도, 전장품 유닛(60)의 내부까지 수분이 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전장품 유닛(60)을 케이싱(20)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한 인출방향의 앞쪽에서 안쪽을 향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하므로, 케이싱(20)의 외부에 전장품 유닛(60)을 인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장품 유닛(60)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에, 전장품 유닛(60)의 내측면을 벨 마우스(43)의 외주(外周)를 따라 형성하므로, 벨 마우스(43) 주위에 전장품 유닛(60)을 설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케이싱(20)의 벨 마우스(43)보다 하부에, 공간을 마련하여 다른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장치의 실외유닛(10)을 소형화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작용·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와 상기 제 1 실시형태는, 전장품 유닛(60)의 구성이 다르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공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나타내듯이, 케이싱(20)에는, 압축기구(5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전장품이 수납되는 전장품 유닛(60)이 장착된다. 상기 전장품 유닛(60)은, 실외 열교환기(30)의 전면(前面) 상방에 배치되고, 실외 열교환기(30)의 상단(上端) 근처에 배치되며, 상측면 패널(23a)과 실외 팬(40)의 벨 마우스(43)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전장품 유닛(60)의 수직 상방에는, 케이싱(20)의 천판(24)이 배치된다. 또, 전장품 유닛(60)은, 그 하단부가 실외 열교환기(30)보다 상부이고, 또한 그 일부가 벨 마우스(43)와 높이방향에서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전장품 유닛(60)은, 그 높이가 벨 마우스(43)보다 높게 되도록 형성된다.
도 14∼도 16에 나타내듯이, 상기 전장품 유닛(60)은, 거의 직사각형 평판상 상자체로 형성되고, 전측 스테이(20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케이싱(20)에 장착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으나, 전장품 유닛(60)의 저부에는, 네 모퉁이에 다리부가 설치되고, 전장품 유닛(6)의 저부와 전측 스테이(20a) 표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배치된다.
상기 전장품 유닛(60)에는, 내부에 공기를 유입하는 제 1 유입구(61a) 및 제 2 유입구(61b)와, 외부에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구(6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유입구(61a) 및 제 2 유입구(61b)는, 각각 복수의 슬릿을 가지며, 도 15의 전장품 유닛(60) 전측면의 대략 상부에 형성된다. 제 1 유입구(61a)는, 5열로 나열된 복수의 슬릿을 가지며, 전장품 유닛(60)의 우측에 형성된다. 제 2 유입구(61b)는, 1열로 나열된 복수의 슬릿을 가지며, 전장품 유닛(60)의 좌측에 형성된다.
상기 유출구(62)는, 공기를 유통시키는 개구를 가지며, 전장품 유닛(60)의 저부에서 우측(길이방향 타단측)에 형성된다. 유출구(62)는, 전장품 유닛(60)의 내부공간을 향해 개구하는 한편, 케이싱(20)에 전장품 유닛(60)이 설치된 상태에서 좌측 스테이(20d)를 향해 개구한다.
상기 전장품 유닛(60)의 상면에는, 제 1∼제 3 단부 실링(81, 82, 83)과, 제 1 및 제 2 접촉부재(85, 85)가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접촉부재(84, 85)는, 진동 등에 의해, 천판(24)과 전장품 유닛(60)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 1 및 제 2 접촉부재(84, 85)는, 각각 단면에서 보아 거의 역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면이 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86)와, 본체부(86)의 양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플랜지부(87, 87)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접촉부재(84)는, 전장품 유닛(60)의 상면 우측에 있어서, 제 1 유입구(61a)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제 2 접촉부재(85)는, 전장품 유닛(60)의 상면 좌측에 있어서, 제 1 유입구(61a) 및 제 2 유입구(61b)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접촉부재(84, 85)는, 플랜지부(87)의 길이방향이 전장품 유닛(60)의 폭방향을 따른 방향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접촉부재(84, 85)는, 본체부(86) 상면에, 거의 직사각형 평면에 형성된 면 실링재(88)가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접촉부재(84, 85)는, 면 실링재(88, 88)를 개재하여 케이싱(20)의 천판(24)과 접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천판(24)과 전장품 유닛(60)이 직접 접촉함에 의한 소리(접촉음)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접촉부재(84, 85)에는, 본체부(86, 86) 내측면과 전장품 유닛(60)의 상면과의 사이에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실외 팬(40)의 분출 측 공기는, 이 공기통로를 통과하여 전장품 유닛(60)의 전측면 공간에 유입된다.
상기 제 1∼제 3 단부(端部) 실링(81, 82, 83)은, 제 1 및 제 2 유입구(61a, 61b)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1∼제 3 단부 실링(81, 82, 83)은, 각각 단면이 거의 "L"자형으로 형성된 실링 편(片)으로 구성된다. 각 단부 실링(81, 82, 83)은, 전장품 유닛(60) 상면의 전단(前端)부를 따라 형성된다. 각 단부 실링(81, 82, 83)은, 그 상면("L"자형 일변)이 천판(24)과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단부 실링(81)은, 전장품 유닛(60)의 우단부로부터 제 1 접촉부재(84)와의 사이에 대응하는 치수로 형성된다. 제 2 단부 실링(82)은, 제 1 유입구(61a)가 형성되는 범위에 대응하는 치수로 형성되고, 제 1 유입구(61a) 바로 위에 배치된다. 제 3 단부 실링(83)은, 제 2 유입구(61b)가 형성되는 범위에 대응하는 치수로 형성되고, 제 2 유입구(61b) 바로 위에 배치된다.
또, 전장품 유닛(60)의 내부에는, 압축기(5a) 등을 제어하는 제어용 기판(70) 등이 수용된다.
-전장품 유닛의 내부 기류-
실외유닛(10)의 운전 중은, 실외 팬(40)의 운전에 의해, 전장품 유닛(60)의 내부에도 공기 흐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듯이, 실외 팬(40)의 운전에 의해, 상부공간(2b) 실외 팬(40)의 분출 측 공기압은 대기압보다 높은 정압이 되는 한편, 하부공간(2a)의 공기압은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이 된다.
이로써, 전장품 유닛(60)의 제 1 및 제 2 유입구(61a, 61b) 입구의 공기와, 유출구(62) 출구의 공기 차압에 의해, 도 15에 나타내듯이, 실외 팬(40)의 분출 측 공기가, 제 1 및 제 2 접촉부재(84, 85)의 공기통로, 및 전장품 유닛(60)의 상면 좌측을 전장품 유닛(60)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을 향해 흐른다. 전장품 유닛(60) 전측에 흐른 공기는, 전장품 유닛(60)의 전면(前面)을 흘러 돌아 들어가고, 제 1 및 제 2 유입구(61a, 61b)로부터 전장품 유닛(60)의 내부에 유입한다. 전장품 유닛(60)의 내부로 유입한 공기는, 내부의 제어용 기판(70) 등을 냉각시키면서, 하방을 향해 흐른다. 그리고, 전장품 유닛(60)을 흐르는 공기는, 저부의 유출구(62)로부터 전장품 유닛(60)의 외부로 유출된다.
다음에, 유출구(62) 외부로 유출된 공기는, 일부가 전측 스테이(20a)의 노치부(29)로부터 하부공간(2a)으로 흐르는 한편, 나머지가 슬릿(28)을 개재하여 하부공간(2a)으로 유출된다.
하부공간(2a)으로 유출된 공기는, 실외 팬(40)에 흡입되어 상방으로 흘러 케이싱(20)의 외부로 분출된다. 그 밖의 구성, 작용·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그 밖의 실시형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된다.
상기 전장품 유닛(60)을 케이싱(20)에 장착할 시, 좌우의 지주(21, 21)를 따라 슬라이드시켜 상방으로부터 장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 1∼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제 1 및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전장품 유닛(60)은, 전측 스테이(20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측 스테이(20a)에 구멍부를 형성하고, 이 구멍부에 전장품 유닛(60)의 하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전측 스테이(20a)에 의해 전장품 유닛(60)을 유지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전장품 유닛(60)은, 그 하단부가 전측 스테이(20a)로부터 하방에 돌출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전장품 유닛(60)은, 좌측 스테이(20d)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측 스테이(20d)에 구멍부를 형성하여, 이 구멍부에 전장품 유닛(60)의 하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좌측 스테이(20d)에 전장품 유닛(60)을 유지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전장품 유닛(60)은, 그 하단부가 좌측 스테이(20d)로부터 하방에 돌출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상기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20) 내는, 상부공간(2b)과 하부공간(2a)을 각 스테이(20a∼20d), 벨 마우스(43) 및 전장품 유닛(60)에 의해 구획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케이싱(20) 내는, 상부공간(2b)과 하부공간(2b)을, 벨 마우스(43)만으로 구획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는, 냉매배관을 제어용 기판(70) 등과 히트 싱크에 접촉시켜 이들을 냉각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히트 싱크를 제어용 기판(70) 등의 전기부품에 접촉시켜 냉각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전장품 유닛(60)은, 스테이(20a, 20d)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장품 유닛(60)을 지주(21)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고,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장치의 실외유닛에 대해 유용하다.
2a: 하부공간 2b: 상부공간
20: 케이싱 20a: 전측 스테이
20d: 좌측 스테이 25: 흡입구
28: 슬릿 29: 노치부
30: 실외 열교환기 40: 실외 팬
41: 팬 본체 43: 벨 마우스
60: 전장품 유닛 61: 유입구
61a: 제 1 유입구 61b: 제 2 유입구
62: 유출구

Claims (9)

  1. 케이싱(20) 내부에, 실외 열교환기(30)와, 이 케이싱(20)의 외부에 공기를 분출하는 송풍기(40)와, 전기부품(70)이 수용된 전장품(電裝品) 유닛(60)이 배치된 냉동장치의 실외유닛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은, 측면에 공기 흡입구(25)를 갖는 한편, 상기 실외 열교환기(30)는, 상기 공기 흡입구(25)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송풍기(40)는, 팬(41)과, 이 팬(41)의 외주(外周)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벨 마우스(43)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20) 내부의 상기 공기 흡입구(25)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상방에 공기를 분출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벨 마우스(43)와 상기 케이싱(20)의 측면 패널(23) 사이에 상기 전장품 유닛(60)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20)의 내부는 상기 송풍기(40) 및 상기 전장품 유닛(60)이 배치되는 제1실(2b)과, 상기 실외 열교환기(30)가 배치되는 제2실(2a)로 구분되고,
    상기 전장품 유닛(60)은 상기 제1실(2b)의 공기를 전장품 유닛(6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61)와, 상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2실(2a)로 유출시키는 유출구(6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실외유닛.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6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벨 마우스(43)와 높이 방향에서 겹쳐지고, 또한 하단부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30)보다 상부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실외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에는, 상기 송풍기(40) 및 전장품 유닛(60)이 배치되는 상부의 제 1 실(2b)과, 상기 실외 열교환기(30)가 배치되는 하부의 제 2 실(2a)과의 사이에 상기 전장품 유닛(60)의 저부(底部)를 지지하는 스테이(stay)(20a, 20d)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실외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60)에는, 저부에 상기 유출구(62)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스테이(20a, 20d)에는, 상기 유출구(62)로부터 유출한 공기를 제 2 실(2a)로 유입하는 공기구(2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실외유닛.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20a, 20d)에는, 상기 전장품 유닛(60)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배선을 통과시키는 배선 개구(2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실외유닛.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60)의 유출구(62)와, 상기 스테이(20a, 20d)의 공기구(28)는, 서로가 수평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실외유닛.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60)은, 케이싱(20)의 외부에 인출 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외형이 인출방향 앞쪽에서 안쪽을 향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실외유닛.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유닛(60)은, 내측면이 상기 벨 마우스(43)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의 실외유닛.
KR1020137033681A 2011-05-20 2012-05-17 냉동장치의 실외유닛 KR101543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14215 2011-05-20
JPJP-P-2011-114215 2011-05-20
PCT/JP2012/003241 WO2012160788A1 (ja) 2011-05-20 2012-05-17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408A KR20140011408A (ko) 2014-01-28
KR101543945B1 true KR101543945B1 (ko) 2015-10-15

Family

ID=4721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681A KR101543945B1 (ko) 2011-05-20 2012-05-17 냉동장치의 실외유닛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273896B2 (ko)
EP (1) EP2711641B1 (ko)
JP (2) JP5218689B2 (ko)
KR (1) KR101543945B1 (ko)
CN (1) CN103502739B (ko)
BR (1) BR112013029142B1 (ko)
ES (1) ES2702236T3 (ko)
RU (1) RU2581554C2 (ko)
WO (1) WO2012160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4865B2 (ja) * 2011-09-29 2013-10-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5310829B2 (ja) * 2011-11-30 2013-10-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における室外機のケーシング
JP6188431B2 (ja) * 2013-06-05 2017-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2264725B1 (ko) * 2014-05-22 2021-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 펌프
JP2017053577A (ja) * 2015-09-11 2017-03-16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室外機
US10928080B2 (en) * 2015-11-09 2021-02-23 Carrier Corporation Climate control outdoor unit with inverter cooling
US10837656B2 (en) * 2016-05-17 2020-11-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JP6849938B2 (ja) * 2016-05-31 2021-03-3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EP3557150B1 (en) * 2016-12-16 2021-05-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ing device
JP6566060B2 (ja) 2018-02-19 2019-08-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ァン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WO2020208669A1 (ja) * 2019-04-08 2020-10-15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用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JP7025667B2 (ja) * 2020-03-06 2022-02-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輸送用冷凍装置、及び輸送用コンテ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565A (ja) * 2002-02-28 2003-09-10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用室外機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6381Y2 (ko) * 1979-02-20 1986-12-26
US4723419A (en) * 1986-08-07 1988-02-09 American Standard Inc. Outdoor heat exchanger section
JPS63101724U (ko) * 1986-12-22 1988-07-02
JPH0526476A (ja) * 1991-07-19 1993-02-02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インバータ冷却装置
US5294195A (en) * 1992-11-02 1994-03-15 Carrier Corporation Cover for the outside enclosure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0161717A (ja) 1998-11-27 2000-06-16 Sharp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
WO2001055649A1 (en) * 2000-01-28 2001-08-02 Toshiba Carrier Corporation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for mounting in the ceiling
KR100499492B1 (ko) * 2002-02-08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소형 공기조화기
US6705105B2 (en) * 2002-05-24 2004-03-16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Base pan and cabinet for an air conditioner
JP3742891B2 (ja) 2002-11-08 2006-0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ユニット
CN100425918C (zh) * 2003-09-25 2008-10-15 东芝开利株式会社 空调机的室外机单元
JP4735214B2 (ja) * 2005-11-30 2011-07-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用室外機
JP4715531B2 (ja) 2006-01-27 2011-07-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用電源箱および空気調和機
JP3960348B1 (ja) * 2006-02-03 2007-08-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061471B2 (ja) * 2006-02-17 2012-10-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CN100450335C (zh) * 2006-05-12 2009-01-07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制冷装置功率器件的散热冷却方法
JP4114703B2 (ja) * 2006-10-20 2008-07-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ユニット
JP2008128496A (ja) 2006-11-16 2008-06-05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1298404B1 (ko) 2007-09-21 2013-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4918901B2 (ja) 2007-09-27 2012-04-1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090053491A (ko) * 2007-11-23 200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1576291A (zh) * 2008-05-09 2009-11-1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的室外机
JP2011007407A (ja) 2009-06-25 2011-01-13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152154B2 (ja) 2009-11-04 2013-0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媒冷却構造
JP5523822B2 (ja) 2009-12-28 2014-06-18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5611605B2 (ja) 2010-01-28 2014-10-22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5505055B2 (ja) 2010-04-14 2014-05-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EP2711640B1 (en) 2011-05-20 2018-04-04 Daikin Industries, Ltd. Outdoor unit for refrigeration device
JP5304865B2 (ja) * 2011-09-29 2013-10-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565A (ja) * 2002-02-28 2003-09-10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用室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02739A (zh) 2014-01-08
EP2711641B1 (en) 2018-09-19
EP2711641A4 (en) 2015-03-11
JP2013015318A (ja) 2013-01-24
US20140047857A1 (en) 2014-02-20
EP2711641A1 (en) 2014-03-26
KR20140011408A (ko) 2014-01-28
RU2013156684A (ru) 2015-06-27
JP5510524B2 (ja) 2014-06-04
ES2702236T3 (es) 2019-02-28
US9273896B2 (en) 2016-03-01
JP2013007559A (ja) 2013-01-10
JP5218689B2 (ja) 2013-06-26
WO2012160788A1 (ja) 2012-11-29
BR112013029142A2 (pt) 2017-02-07
RU2581554C2 (ru) 2016-04-20
BR112013029142B1 (pt) 2021-03-23
CN103502739B (zh)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945B1 (ko) 냉동장치의 실외유닛
KR101368616B1 (ko) 냉동장치의 실외유닛
JP2013015318A5 (ko)
CN101297163B (zh) 电气安装件组件、具有该组件的空调装置的室外单元以及空调装置
CN101375109A (zh) 电气安装件组件及具有该组件的空调装置的室外单元
CN101297162A (zh) 电气安装件组件及具有该组件的空调装置的室外单元
JP591951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US9644853B2 (en) Packaged engine working machine
JP6107057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2012242017A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4391368B2 (ja) 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JP4835115B2 (ja) 電装品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WO2010097884A1 (ja) 同時給排形換気扇
JP2016121864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444114B2 (ja) コンバイン
CN114391081B (zh) 冷冻装置的室外机
CN116963472A (zh) 屏幕散热装置及显示装置
CN113614465A (zh) 空调机的室内机
JP2019145440A (ja) 蓄電装置
TW201704640A (zh) 空氣壓縮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