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586B1 -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 - Google Patents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586B1
KR101540586B1 KR1020137021229A KR20137021229A KR101540586B1 KR 101540586 B1 KR101540586 B1 KR 101540586B1 KR 1020137021229 A KR1020137021229 A KR 1020137021229A KR 20137021229 A KR20137021229 A KR 20137021229A KR 101540586 B1 KR101540586 B1 KR 101540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crew
engaging
hexagonal
eng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426A (ko
Inventor
야수히로 이츠키
노리히사 오카다
준이치 고노
Original Assignee
야수히로 이츠키
오카다이자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수히로 이츠키, 오카다이자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수히로 이츠키
Publication of KR20130131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루(2, 2A, 2B)를 구강 내의 뼈에 매립하고, 그 스크루에 치열 교정용 지그가 고정되는 상부 구조체(4)를 장착하기 위한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로서, 상기 스크루에 계합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임의의 위치에 계합됨과 함께, 상기 상부 구조체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구조체 장착구(30, 30A, 30B, 30C, 30D)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ORTHODONTIC CONNECTION TOOL}
본 발명은 구강 내의 뼈에 매립한 스크루를 고정원으로 하고, 치아를 이동시키는 교정을 행하기 위한 상부 구조체와 스크루를 연결시키기 위한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1년 1월 17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1-006980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의 치열 교정에서는 고정된 치아와 교정하기 위한 치아(이동시키는 치아)를 접속시켜, 고정된 치아를 축으로 교정하는 치아를 잡아 당겨 움직이게 하는 교정 방법이 있다. 이 경우, 2개의 치아가 서로 잡아 당기기 때문에, 고정된 치아도 이동하는 치아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나사부를 형성한 나사식 스크루 등의 임플란트를 악부의 뼈에 매립하여 고정시키고, 이 스크루에 플레이트나 와이어 등의 상부 구조체를 납땜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시켜, 그 상부 구조체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치아에 고정시키는 치열 교정 치료가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는 임플란트 바디의 헤드부에 홈을 형성한 앵커 헤드를 고정시킴과 함께, 이 앵커 헤드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임플란트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임플란트 구조에 있어서는, 임플란트 바디(스크루에 상당)를 악부의 뼈에 매립하여 고정시키고, 홈에 일단을 치아에 고정시킨 와이어를 걸고, 나사 구멍에 나사를 나합(螺合)시킴으로써, 그 나사의 선단부에서 와이어를 고정시킨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57729호
그러나, 종래의 임플란트 구조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종래, 뼈에 매립한 스크루에 플레이트 등의 상부 구조체를 납땜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시키거나, 특허문헌 1과 같이 뼈에 매립한 스크루에 와이어를 나사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고정원이 되는 스크루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나, 상이한 형상의 상부 구조체로 교환하여 치열 교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한 번 매립한 스크루를 빼내고, 새로운 스크루를 원하는 위치에 매립해야 한다. 이 때문에, 상부 구조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없다. 또한, 스크루에 상부 구조체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구조는 복잡해지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크루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상부 구조체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음과 함께, 상부 구조체의 위치나 수량의 변경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는 스크루를 구강 내의 뼈에 매립하고, 그 스크루에 치열 교정용 지그가 고정되는 상부 구조체를 장착하기 위한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로서, 스크루에 계합(係合)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임의의 위치에 계합됨과 함께, 상부 구조체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구조체 장착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치열 교정에 사용되는 임플란트 구조인 상부 구조체를 구강 내에 배치하는 처치를 행하는 경우, 구강 내의 뼈에 매립한 스크루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강 내에 고정시키고, 그 베이스 플레이트의 소정 위치에 구조체 장착구를 계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연결 지그가 배치되고, 구조체 장착구에 상부 구조체를 장착할 수 있다. 즉, 상부 구조체의 장착 위치가 되는 구조체 장착구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크루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상부 구조체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상부 구조체의 위치나 수량의 변경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루를 다른 위치에 다시 고정시킬 필요가 없는 간이한 착탈 구조가 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에서는, 상부 구조체는 내주면에 요철부를 갖는 감합(嵌合) 구멍을 갖고, 구조체 장착구는 감합 구멍에 감합하는 외주면에 요철부를 갖는 감합 볼록 형상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조체 장착구의 외주 요철면에 대해서, 상부 구조체의 내주 요철면이 감합 구멍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에 자유로운 방향으로 계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부 구조체의 방향(회전 각도)을 임의의 방향을 향하게 하여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에서는, 스크루는 스크루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이루는 각 형상 헤드부를 갖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스크루의 각 형상 헤드부에 계합하는 복수의 배열된 각 형상 걸림 구멍을 갖고, 구조체 장착구는 각 형상 걸림 구멍에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측으로부터 계합하는 각 형상 계합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 형상 걸림 구멍 중, 일방의 스크루가 계합되어 있지 않은 다른 각 형상 걸림 구멍을 적절히 선택하고, 그 선택한 각 형상 걸림 구멍에 각 형상 계합부를 계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구조체 장착구가 고정되고, 또한 그 구조체 장착구에 상부 구조체를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루의 각 형상 헤드부와 베이스 플레이트 각 형상 걸림 구멍의 계합부가 서로 각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스크루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 형상 걸림 구멍에 구조체 장착구의 각 형상 계합부를 계합하기 때문에, 스크루를 다른 위치에 다시 고정시킬 필요가 없는 간단한 착탈 구조가 된다. 이 때문에, 구조체 장착구를 다른 각 형상 걸림 구멍에 계합시키고, 상부 구조체의 위치나 수량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 형상 걸림 구멍의 수량은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일방의 스크루의 각 형상 헤드부가 계합되어 있지 않은 다른 복수의 각 형상 걸림 구멍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구조체 장착구를 1개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구강 내에 복수의 상부 구조체를 바람직하게 배치할 수 있어, 복수의 상부 구조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필요 이상의 갯수의 스크루를 뼈에 매립할 필요가 없다. 또한, 스크루의 각 형상 헤드부와 구조체 장착구의 각 형상 계합부가 동일 형상이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복수의 각 형상 걸림 구멍이 상기 각 형상 헤드부 및 각 형상 계합부에 공통된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조가 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해짐과 함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는 장척이고, 구조체 장착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계합되어 이루어지며, 복수의 각 형상 걸림 구멍 중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각 형상 걸림 구멍이 길이 방향으로 긴 걸림 장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2개의 스크루를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구강 내의 뼈에 매립할 때에, 2개의 스크루의 간격이 소정 거리 이하이면, 일방의 스크루를 복수의 각 형상 걸림 구멍 중 어느 하나에 계합시켰을 때, 반드시 타방의 스크루를 걸림 장공에 계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강 내의 뼈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소정 거리란, 일방의 스크루의 각 형상 헤드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걸림 장공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위치하는 각 형상 걸림 구멍에 계합되고, 타방의 스크루의 각 형상 헤드부가 걸림 장공 내에서 상기 일방의 스크루와 가장 떨어지는 위치에서 그 내주면에 계합하는 경우의 2개의 스크루의 간격을 가리킨다. 즉, 2개의 스크루의 간격이 상기 소정 거리 이하이면, 서로의 간격에 관계없이 2개의 스크루를 뼈에 매립할 수 있으므로, 스크루의 매립시에 정밀도가 높은 위치 결정이 불필요해져, 작업이 효율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에서는, 구조체 장착구는 이 각 형상 계합부가 각 형상 걸림 구멍에 대해서 빠져 나오는 방향에 대한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형상 계합부를 각 형상 걸림 구멍에 계합시킨 상태로, 구조체 장착구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걸림 수단에 의해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에서는, 걸림 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측으로부터 유지하는 협지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탄성력을 갖게 한 협지 부재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측으로부터 유지하기 때문에, 구조체 장착구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동작이 규제되어 구조체 장착구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에서는, 구조체 장착구는 통형상을 이루고,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갖고, 걸림 수단은 각 형상 계합부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슬릿과, 암나사부에 나합하는 수나사를 갖고, 수나사를 암나사부에 나합시킨 상태로, 각 형상 계합부가 확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나사가 암나사부에 나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각 형상 계합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 형상 걸림 구멍을 통과 가능할 정도로 직경 방향 중심측을 향해 축경시켜 두고, 각 형상 계합부를 각 형상 걸림 구멍에 계합시킨 상태로, 수나사를 암나사부에 나합시키면, 슬릿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각 형상 계합부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대된다. 이 때, 각 형상 계합부가 각 형상 걸림 구멍의 내면에 맞닿은 상태로 걸리기 때문에, 구조체 장착구의 상방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어 구조체 장착구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에서는, 걸림 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구조체 장착구를 일체적으로 감는 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와 구조체 장착구를 와이어에 의해 일체적으로 감기 때문에, 구조체 장착구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동작이 규제되어 구조체 장착구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에 의하면, 복수의 각 형상 걸림 구멍 중 적절한 위치를 선택하여 스크루의 각 형상 헤드부와, 구조체 장착구의 각 형상 계합부를 계합시키만 하는 간단한 구조이므로, 상부 구조체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스크루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구조체 장착구의 장착 위치나 수량의 변경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크루의 각 형상 헤드부와 구조체 장착구의 각 형상 계합부에 공통되는 복수의 각 형상 걸림 구멍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한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임플란트 구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임플란트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임플란트 구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A-A선 화살표도로서, 임플란트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임플란트 구조의 하면도이다.
도 6a는 스크루와 이 스크루에 장착되는 수나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나타내는 B-B선 화살표도이다.
도 7은 연결 지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에서 상부 구조체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연결 지그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C-C선 화살표도로서, 연결 지그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내는 연결 지그의 하면도이다.
도 11은 구조체 장착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나타내는 D-D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구조체 장착구의 상면도로서, 스프링 부재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14는 구조체 장착구의 측면도로서, 스프링 부재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15는 구조체 장착구의 상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E-E선 화살표도이다.
도 17은 구조체 장착구의 하면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연결 지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내는 F-F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구조체 장착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구조체 장착구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연결 지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연결 지그의 상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G-G선 단면도이다.
도 25는 구조체 장착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사선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6은 구조체 장착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사선 하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7은 구조체 장착구의 상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나타내는 H-H선 화살표도로서, 구조체 장착구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에 나타내는 I-I선 화살표도로서, 구조체 장착구의 측면도이다.
도 30은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연결 지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나타내는 연결 지그의 측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나타내는 J-J선 단면도이다.
도 33은 구조체 장착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4a는 도 33에 나타내는 K-K선 화살표도로서, 날개 부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b는 도 33에 나타내는 K-K선 화살표도로서, 날개 부재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제5 실시형태에 의한 연결 지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나타내는 L-L선 단면도이다.
도 37은 구조체 장착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와이어를 생략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연결 지그(10)는 치열 교정에 사용되는 임플란트 구조(1)의 일부로서 채용되고, 구강 내의 악부의 뼈에 매립하여 고정된 한 쌍의 스크루(2)(2A, 2B)와, 구강 내에 배치하는 상부 구조체(4)를 연결한다. 이 임플란트 구조(1)는 상부 구조체(4)에 도시하지 않은 교정용 브래킷 등을 납땜에 의해 고착시키고, 그것에 교정용 와이어, 엘라스틱스, 스프링 등 교정용 지그를 개재하여 소정 치아에 접속함으로써, 치아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처치 등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즉, 연결 지그(10)는 교정용 지그를 악부의 뼈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여기서, 구강 내에 배치되는 임플란트 구조(1)에 있어서, 뼈측을 하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상측으로 하여 이하 통일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구조체(4)는 장척의 박판 형상을 이루고, 플레이트 본체(41)와, 이 플레이트 본체(41)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감합 구멍(42)을 갖고 있다. 이 감합 구멍(42)에는, 내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후술하는 제1 감합 볼록부(12) 및 제2 감합 볼록부(31)에 감합하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구조체(4)는 예를 들면, 납땜 가능한 스테인리스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스크루(2A, 2B)는 예를 들면 티탄, 티탄 합금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떨어져, 거의 평행이 되도록 악부의 뼈에 매립된 상태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스크루(2)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나사부(21)와, 헤드부측의 단면에 형성된 암나사부(22)와, 헤드부에 있어서 축선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 형상이 육각형을 이루는 육각 헤드부(23)(각 형상 헤드부)와, 스크루 축과 동일한 축에서 육각 헤드부(23)의 선단측에 형성된 걸림 링(24)을 갖고 있다. 육각 헤드부(23)는 걸림 링(24)의 기단측면(상면(24a))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스크루(2A, 2B)가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악부의 뼈에 매립된 상태일 때, 2개의 스크루(2A, 2B)는 서로 평행한 상태가 아니어도 된다.
수나사부(21)는 하단에 첨형을 갖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축선 방향의 전체에 걸쳐 형성된 나선상의 홈부를 구비한다. 스크루(2)는 이 수나사부(21)를 회전시킴으로써, 악부의 뼈에 매립된다. 이 때, 걸림 링(24)이 뼈(점막)의 표면에 맞닿아 고정되고, 걸림 링(24)으로부터 상방 부분이 구강 내에 노출된다.
걸림 링(24)은 링 형상을 이루고, 스크루(2)의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걸림 링(24)의 외경은 육각 헤드부(23)의 외경보다 크다. 즉, 육각 헤드부(23)가 후술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걸림 장공(13)이나 육각 걸림 구멍(14)에 계합한 상태로, 걸림 링(24)의 상면(24a)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면(11b)에 맞닿음과 함께, 암나사부(22)에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측으로부터 수나사(5)가 나합된다.
도 1,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지그(10)는 뼈에 고정된 스크루(2A)와 스크루(2B) 사이의 거리에 관계없이, 이 2개의 스크루(2A, 2B)의 장착이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측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고, 상부 구조체(4)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체 장착구(30)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스테인리스나 티탄 등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일단에 형성된 상부 구조체(4)의 감합 구멍(42)에 계합하는 제1 감합 볼록부(12)와, 이 제1 감합 볼록부(12)의 길이 방향의 타단측에 형성된 걸림 장공(13)(긴 구멍 형상의 관통공)과, 이 걸림 장공(13)으로부터 길이 방향의 타단측을 향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여기에서는 8지점)의 육각 형상의 걸림 구멍(14, 14,…)(각 형상 걸림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제1 감합 볼록부(12)는 상술한 상부 구조체(4)의 감합 구멍(42)에 감합하고,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감합 구멍(42)에 대응하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감합 볼록부(12)의 외주면이 감합 구멍(42)의 내주면의 임의의 위치에서 감합 구멍(42)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교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감합 볼록부(12)에 상부 구조체(4)의 방향(회전 각도)을 바꾸어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1 감합 볼록부(12)는 두께 방향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수나사(5)(도 2 참조)가 나합하는 암나사부(12a)를 구비한다. 즉, 제1 감합 볼록부(12)가 감합 구멍(42)에 감합되어 상부 구조체(4)를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장착한 상태로, 암나사부(12a)에 수나사(5)를 나합시킴으로써, 상부 구조체(4)를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육각 걸림 구멍(14)은 스크루(2)의 육각 헤드부(23)에 계합 가능한 육각 형상의 내주면을 구비하고 있다. 걸림 장공(13)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길이 방향에 평행으로 연장되는 변이 긴 육각 형상의 내주면을 구비하고 있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1)는 한 쌍의 스크루(2A, 2B)의 간격에 맞추어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스크루(2A, 2B)의 간격이 소정 거리(일방의 스크루(2)를 걸림 장공(13)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위치하는 육각 걸림 구멍(14)에 계합시키고, 타방의 스크루(2)를 걸림 장공(13) 내의 제1 감합 볼록부(12) 가까이에 계합시켰을 때의 2개의 스크루(2) 사이의 거리) 이하이면, 일방의 스크루(2)(여기에서는 부호 2B)를 복수의 육각 걸림 구멍(14) 중 어느 하나에 계합시켰을 때, 반드시 타방의 스크루(2A)가 걸림 장공(13)에 계합시킬 수 있다. 즉, 한 쌍의 스크루(2A, 2B)의 간격이 상기 소정 거리 이하이면, 양자 간격에 관계없이, 한 쌍의 스크루(2A, 2B)를 매립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조체 장착구(30)는 제2 감합 볼록부(31)와, 기판부(32)와, 육각 계합부(33)(각 형상 계합부)와, 스프링 부재(35)(걸림 수단, 협지 부재)를 구비한다. 이 제2 감합 볼록부(31)와, 기판부(32)와, 육각 계합부(33)(각 형상 계합부)는 축선 방향(베이스 플레이트(11)에 장착한 상태로 상하 방향)을 따라서, 그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2 감합 볼록부(31)와, 기판부(32)와, 육각 계합부(33)에는 암나사부(34)가 형성된 내주면을 구비하고,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32)의 상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도 12)에 걸리는 스프링 부재(35)(걸림 수단, 협지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감합 볼록부(31), 기판부(32), 육각 계합부(33)는 각각의 중심 축선이 공통되는 1축 상에 위치된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공통되는 1축을 중심축(O)으로 하고, 구조체 장착구(30)에 있어서, 기판부(32)에 대해서 중심축(O)을 따른 제2 감합 볼록부(31)측을 상측, 육각 계합부(33)측을 하측으로 한다. 또한, 중심축(O)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으로 한다.
제2 감합 볼록부(31)는 상술한 제1 감합 볼록부(12)와 동일하게, 상부 구조체(4)의 감합 구멍(42)에 계합하고,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감합 구멍(42)에 대응하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감합 구멍(42)의 요철부와 제2 감합 볼록부(31)의 요철부가 임의의 위치에서 교합 가능하기 때문에, 제2 감합 볼록부(31)에 대해서 상부 구조체(4)의 방향(회전 각도)을 바꾸어 장착할 수 있다.
기판부(32)는 중심축(O)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2 감합 볼록부(31) 및 육각 계합부(33)보다 큰 대략 정방 형상을 이루고 있다. 육각 계합부(33)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복수의 육각 걸림 구멍(14)의 각각에 계합 가능하고, 또한 중심축(O)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이 육각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암나사부(34)에는 수나사(5)가 나합된다. 제2 감합 볼록부(31)에 상부 구조체(4)의 감합 구멍(42)을 계합시킨 상태로, 암나사부(34)에 수나사(5)를 나합시킴으로써, 상부 구조체(4)가 고정된다.
도 11, 도 12 및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내는 스프링 부재(35)는 베이스 플레이트(11)를 감싸 안도록 하여 기판부(32)의 상면에 올려지고, 기판부(32)의 대향하는 2변의 주연부에 걸리는 고정 컬부(35a)와, 타방의 대향하는 2변의 양 주연부의 각각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만곡시켜 하방으로 연장된 스프링 본체(35b)와, 그 하단에서 중심축(O)측을 향해 굴절시킨 후크부(35c)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조체 장착구(30)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육각 걸림 구멍(14, 14, …) 중 어느 것에 육각 계합부(33)를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11a)측으로부터 계합시킨 상태로, 스프링 부재(35)는 한 쌍의 스프링 본체(35b, 35b)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폭방향으로부터 협지하면서, 그 스프링의 탄성에 따라, 후크부(35c, 35c)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면(11b)에 걸린다(도 7 참조).
다음으로, 상술한 연결 지그(10)를 사용한 임플란트 구조(1)의 장착 방법과, 연결 지그(10)의 작용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치열 교정을 행해야 할 환자의 구강 내의 턱뼈(예를 들면, 상악의 구개골의 중앙부 등)에 대해서 임플란트 구조(1)의 앵커 위치(즉, 스크루(2A, 2B)의 매립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전용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2개의 스크루(2A, 2B)를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평행이 되도록 회전시키면서 매립한다. 또한, 스크루(2)의 매립 위치는 걸림 링(24)의 하면(24b)이 점막 표면(도 6a에 나타내는 2점 쇄선(H))에 접촉하는 위치로 한다. 이 때, 걸림 링(24)이 점막 표면(H)에 맞닿은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스크루(2A, 2B)가 점막 내에 파고드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2개의 스크루(2A, 2B)를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회전시키면서 매립할 때, 2개의 스크루(2A, 2B)는 서로 평행한 상태가 아니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립한 2개의 스크루(2A, 2B)에 연결 지그(10)의 베이스 플레이트(11)를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스크루(2A, 2B)의 간격이 소정 거리 이하이면, 일방의 스크루(2B)를 복수의 육각 걸림 구멍(14) 중 어느 하나에 계합시켰을 때, 반드시 타방의 스크루(2A)를 걸림 장공(13)에 계합시킬 수 있으므로, 베이스 플레이트(11)를 구강 내의 뼈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소정 거리란, 일방의 스크루(2)(여기에서는 부호 2B)의 육각 헤드부(23)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걸림 장공(13)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위치하는 육각 걸림 구멍(14)에 계합되고, 타방의 스크루(2)(여기에서는 부호 2A)의 육각 헤드부(23)가 걸림 장공(13) 내에서 상기 일방의 스크루(2B)와 가장 떨어지는 위치에서 그 내주면에 계합하는 경우의 2개의 스크루의 간격을 가리킨다. 그리고,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루(2A, 2B)의 암나사부(22)에 수나사(5)를 나합시킴으로써, 스크루(2A, 2B)와 베이스 플레이트(11)가 고정된다. 즉, 2개의 스크루(2A, 2B)가 소정 간격 이하이면, 서로의 간격에 관계없이, 2개의 스크루(2A, 2B)를 매립할 수 있으므로, 스크루(2A, 2B) 매립시에 정밀도가 높은 위치 결정이 불필요해져,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다. 또한, 각 스크루(2)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계합부(육각 헤드부(23), 육각 걸림 구멍(14))가 서로 각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대한 스크루(2)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복수의 육각 걸림 구멍(14, 14, …) 중 적절한 지점에 구조체 장착구(30)를 장착한다. 즉, 구조체 장착구(30)에 있어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걸림 스프링(35)의 양 스프링 본체(35b, 35b)를 탄성에 저항하여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넓히면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외측에 위치시키고, 육각 계합부(33)를 소정 육각 걸림 구멍(14)에 계합시킨다. 그리고, 기판부(32)의 하면(32A)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11a)에 맞닿았을 때, 걸림 스프링(35)의 후크부(35c)가 스프링 본체(35b)의 탄성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면(11b)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구조체 장착구(30)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확실히 고정된다.
이어서, 상부 구조체(4)의 감합 구멍(42)을 구조체 장착구(30)의 제2 감합 볼록부(31)에 삽입 통과시키고 나서, 수나사(5)를 암나사부(34)에 나합시킴으로써, 상부 구조체(4)를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고정시킨다. 이 때,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고정되는 상부 구조체(4)는 감합 구멍(42)과 제2 감합 볼록부(31)가 서로의 요철부에 의해 교합되어 있으므로, 구조체 장착구(30)에 대해서 상부 구조체(4)의 제2 감합 볼록부(31)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 규제된다.
또한, 본 연결 지그(10)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제1 감합 볼록부(12)에도 상부 구조체(4)를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구조체(4)의 감합 구멍(42)을 제1 감합 볼록부(12)에 삽입 통과시키고 나서, 수나사(5)를 암나사부(12a)에 나합시킨다.
이와 같이, 뼈에 고정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복수의 육각 걸림 구멍(14, 14, …) 중 상기 일방의 스크루(2B)가 계합되어 있지 않은 다른 육각 걸림 구멍(14)을 적절히 선택하고, 선택한 육각 걸림 구멍(14)에 육각 계합부(33)를 계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구조체 장착구(30)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고정되고 연결 지그(10)가 배치되게 되어, 그 구조체 장착구(30)에 상부 구조체(4)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스크루(2)의 육각 헤드부(23)와 구조체 장착구(30)의 육각 계합부(33)가 동일 형상이고,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형성되는 복수의 육각 걸림 구멍(14)이 육각 헤드부(23) 및 육각 계합부(33)에 공통된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조가 되어, 제조가 용이해짐과 함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육각 걸림 구멍(14)에 구조체 장착구(30)의 육각 계합부(33)를 계합하기 때문에, 스크루(2)를 다른 위치에 다시 고정시키는 등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착탈 구조가 된다. 이 때문에, 구조체 장착구(30)를 다른 육각 걸림 구멍(14)에 걸어 맞춰 상부 구조체(4)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육각 걸림 구멍(14)의 수량은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일방의 스크루(2B)의 육각 헤드부(23)가 계합되어 있지 않은 다른 복수의 육각 걸림 구멍(14)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구조체 장착구(30)를 1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장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구강 내에 복수의 상부 구조체(4)를 바람직하게 배치할 수 있어, 복수의 상부 구조체(4)를 고정하기 위해서 필요 이상의 갯수의 스크루(2)를 뼈에 매립할 필요가 없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에서는, 복수의 육각 걸림 구멍(14) 중 적절한 위치를 선택하여 스크루(2)의 육각 헤드부(23)와 구조체 장착구(30)의 육각 계합부(33)를 계합시키기만 하는 간단한 구조이다. 이 때문에, 상부 구조체(4)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음과 함께, 스크루(2)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대한 구조체 장착구(30)의 장착 위치나 수량의 변경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크루(2)의 육각 헤드부(23)와 구조체 장착구(30)의 육각 계합부(33)에 공통되는 복수의 육각 걸림 구멍(14)을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형성한 간단한 구조로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에 의한 다른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이하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루(2), 상부 구조체(4),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
도 18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10A)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구조체 장착구(30)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35)가 생략됨과 함께, 육각 계합부(33)(도 8 등 참조)의 구성을 바꾼 것이다.
도 18 내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조체 장착구(30A)의 육각 계합부(33A)는 구조체 장착구(30A)를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육각 걸림 구멍(14)에 계합시킨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면(11b)보다 하방에 돌출됨과 함께,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슬릿(33a)이 복수(여기에서는 3지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육각 계합부(33A)의 외주면은 몸통부(33c)보다 하단측 부분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불거져 나온 팽출부(33b)(걸림 수단)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암나사부(34)(도 19 참조)는 구조체 장착구(30A)의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육각 계합부(33A)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나사(5)가 암나사부(34)에 나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팽출부(33b)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육각 걸림 구멍(14)을 통과 가능할 정도로 직경 방향 중심측을 향해 축경되어 있다. 그리고, 육각 계합부(33A)를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육각 걸림 구멍(14)에 계합시킨 상태로, 수나사(5)를 암나사부(34)에 나합시키면, 슬릿(33a)(도 20, 도 21)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육각 계합부(33A)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대된다. 이 때, 몸통부(33c)가 육각 걸림 구멍(14)의 내면에 맞닿은 상태가 되고, 팽출부(33b)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면(11b)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구조체 장착구(30A)의 상방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어 구조체 장착구(30A)와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구조체(4)(도 1 참조)를 구조체 장착구(30A)에 장착할 때는 육각 걸림 구멍(14)에 육각 계합부(33A)를 계합시킨 후, 제2 감합 볼록부(31)에 상부 구조체(4)의 감합 구멍(42)(도 2 참조)을 교합시키고 나서, 수나사(5)를 암나사부(34)에 나합시킨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구조체 장착구(30A)는 수나사(5)를 제거함으로써, 몸통부(33c) 및 팽출부(33b)가 원래의 축경 상태로 돌아온다. 이 때문에, 육각 계합부(33A)를 육각 걸림 구멍(14)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빼낼 수 있어, 베이스 플레이트(11)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2 내지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10B)는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측방(베이스 플레이트(11)의 폭방향)으로부터 코킹하여 협지함으로써 고정시킨다. 즉, 도 22 내지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의한 구조체 장착구(30B)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프링 부재(35)가 생략됨과 함께, 제2 감합 볼록부(31)와, 기판부(32)와, 육각 계합부(33)와, 암나사부(34)를 구비하고, 육각 계합부(33)를 육각 걸림 구멍(14) 내에 감합시킨 상태로, 기판부(32)의 가장자리 끝에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양측면(11c, 11c)(도 24 참조)의 각각에 겹치도록 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36)이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각 측벽(36)은 횡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부(36a)가 기판부(32)에 연이어 설치되고, 그 중앙부(36a)로부터 양측을 향해 불거져 나온 코킹부(36b, 36b)(걸림 수단)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부(36a)와 코킹부(36b)의 경계에는, 측벽(36)의 외면에 있어서 한 쌍의 세로홈(36c, 36c)이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세로홈(36c)을 지지점으로 하여 중앙부(36a)를 사이에 끼운 코킹부(36b)가 내측(베이스 플레이트(11)측)을 향해 절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코킹부(36b)에는 도 25, 도 26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36d)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36d)가 코킹부(36b)를 절곡한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계합시킨다.
본 제3 실시형태에 의한 구조체 장착구(30B)에서는 육각 계합부(33)를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육각 걸림 구멍(14)에 계합시킨 상태로, 각 코킹부(36b)를 베이스 플레이트(11)측에 가압하여 세로홈(36c)을 지지점으로 하여 절곡한다. 이것에 의해, 그 코킹부(36b)의 오목부(36d)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계합되고, 구조체 장착구(30B)의 상방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어, 구조체 장착구(30B)와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구조체(4)(도 1 참조)를 구조체 장착구(30B)에 장착할 때는, 육각 걸림 구멍(14)에 육각 계합부(33)를 계합시킨 후, 제2 감합 볼록부(31)에 상부 구조체(4)의 감합 구멍(42)(도 2 참조)을 교합시키고 나서, 수나사(5)를 암나사부(34)에 나합시킨다.
(제4 실시형태)
도 30 내지 도 32에 나타내는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10C)는 상술한 제3 실시형태의 측벽(36)(도 22 등 참조)을 대신하여, 날개 부재(37)(걸림 수단)를 형성한 것이다.
즉, 도 30 내지 도 34a 및 도 3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 의한 구조체 장착구(30C)는 기판부(32)의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폭방향에 위치하는 대향 배치된 양 가장자리 끝의 각각에 평판 형상의 날개 부재(37)가 회전축(37a)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날개 부재(37)의 회전축 방향은 구조체 장착부(30C)가 육각 걸림 구멍(14)에 계합된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이 되어 있다.
날개 부재(37)는 일단에 상기 회전축(37a)을 갖는 날개 본체(37b)와, 날개 본체(37b)의 타단(선단)에 연이어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단에 고정 가능한 걸림편(37c)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37c)은 날개 본체(37b)를 상하 방향을 향하게 했을 때에, 내측(베이스 플레이트(11)측)을 향해 연장됨과 함께, 추가로 그 선단에 후크부(37d)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 부재(37)는 날개 부재(37)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걸린 상태로, 걸림편(37c)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면(11)에 접하는 위치가 되고, 이 때 후크부(37d)가 육각 걸림 구멍(14) 내에 들어간 상태로 걸리게 된다.
여기서, 날개 부재(37)에 있어서, 도 3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 본체(37b)의 면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는 위치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대한 걸림 상태이고, 도 3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 본체(37b)의 면방향이 경사지게 되는 위치가 상기 걸림 상태를 해방시키는 열린 상태이다.
본 제4 실시형태에 의한 구조체 장착구(30C)에서는, 날개 부재(37)를 연 상태로 육각 계합부(33)를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육각 걸림 구멍(14)에 계합시키고, 날개 부재(37)를 도 34b의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걸림편(37c)이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계합한다. 즉, 걸림편(37c)의 선단의 후크부(37d)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단에서 육각 걸림 구멍(14)에 걸리고, 구조체 장착구(30C)의 상방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어, 구조체 장착구(30C)와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날개 본체(37b)와 기판부(32)의 연결부를 절삭하여 떼어냄으로써, 구조체 장착구(30C)를 베이스 플레이트(11)(육각 걸림 구멍(14))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거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날개 부재(37)를 펼쳐 후크부(37d)의 베이스 플레이트(11)와의 계합을 해제함으로써, 구조체 장착구(30C)를 제거하도록 해도 된다.
(제5 실시형태)
도 35 내지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10D)는 상술한 제3 실시형태의 측벽(36)(도 22 등 참조)이나 제4 실시형태의 날개부(37)를 대신하여, 와이어(38)를 감는 것에 의한 걸림 수단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즉, 제5 실시형태에 의한 구조체 장착구(30D)는 육각 계합부(33)의 하단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노치면(33d)이 형성되고, 이 노치면(33d)에 와이어(38)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33e)이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대향하는 관통공(33e)끼리에 삽입 통과된 육각 걸림 구멍(14) 내에 위치하는 와이어(38)의 방향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또한, 육각 계합부(33)가 육각 계합 구멍(14)에 계합한 상태에 있어서, 노치면(33d)과 육각 계합 구멍(14)의 간격은 적어도 와이어(38)가 배치되는 치수, 즉 와이어(38)의 외경보다 큰 치수로 되어 있다.
본 제5 실시형태에 의한 구조체 장착구(30D)에서는, 미리 와이어(38)를 한 쌍의 관통공(33e, 33e)에 삽입 통과시킨 상태로, 육각 계합부(33)를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육각 걸림 구멍(14)에 계합시킨다. 그리고, 와이어(38)의 양단을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측면을 따라서 아래에서 위로 연장시키고, 또한 구조체 장착부(30D)의 기판부(32)의 하측에서 육각 걸림 구멍(14)의 주연부를 따라서 감는다. 이것에 의해, 구조체 장착구(30D)가 베이스 플레이트(11)(육각 걸림 구멍(14))에 와이어(38)에 의해 감겨진 상태가 되어, 구조체 장착구(30D)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확실히 고정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육각 걸림 구멍(14)에, 스크루(2)의 육각 헤드부(23)와 구조체 장착부(30)의 육각 계합부(33)가 계합되지만,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육각 걸림 구멍(14)이나 걸림 장공(13)을 형성하지 않고, 스크루(2)에 육각 헤드부(23)가 없고, 또한 구조체 장착부(30)에 육각 계합부(33)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즉, 다른 고정 수단을 채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를 그 임의의 위치에 직접 스크루를 관통시켜 뼈에 고정시키고, 그 베이스 플레이트의 임의의 위치에 구조체 장착부를 고정시킬 수 있으면 된다. 그리고, 스크루(2) 및 구조체 장착부(30)의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대한 계합부의 형상으로서 육각형인 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정다각형의 각 형상이면 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걸림 장공(13)의 장공의 길이나 육각 걸림 구멍(14)의 수량은 본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부 구조체(4)의 형상, 크기 등도 변경 가능하다.
또한, 구조체 장착구(30, 30A∼30D)에 형성되는 걸림 수단으로서 스프링 부재(35)(제1 실시형태), 팽출부(33b)(제2 실시형태), 코킹부(36b)(제3 실시형태), 날개 부재(37)(제4 실시형태), 와이어(38)(제5 실시형태)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들 형태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 형상 걸림 구멍에 대해서 구조체 장착구의 각 형상 계합부가 빠져 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걸림 수단이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척의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십자 형상, Y자 형상, T자 형상 등 사용 조건에 따른 임의의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에 대해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된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다.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에 의하면, 복수의 각 형상 걸림 구멍 중 적절한 위치를 선택하여, 스크루의 각 형상 헤드부와 구조체 장착구의 각 형상 계합부를 계합시키기만 하는 간단한 구조이므로, 상부 구조체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스크루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구조체 장착구의 장착 위치나 수량의 변경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크루의 각 형상 헤드부와 구조체 장착구의 각 형상 계합부에 공통되는 복수의 각 형상 걸림 구멍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한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1: 임플란트 구조
2, 2A, 2B : 스크루
4: 상부 구조체
5: 수나사
10, 10A, 10B, 10C, 10D: 연결 지그
11: 베이스 플레이트
11b: 하면
12: 제1 감합 볼록부
13: 걸림 장공
14: 육각 걸림 구멍(각 형상 걸림 구멍)
23: 육각 헤드부(각 형상 헤드부)
30, 30A, 30B, 30C, 30D: 구조체 장착구
31: 제2 감합 볼록부(감합 볼록 형상부)
32: 기판부
33, 33A: 육각 계합부(각 형상 계합부)
33a: 슬릿
33b: 팽출부(걸림 수단)
33d: 노치면
33e: 관통공
34: 암나사부
35: 스프링 부재(걸림 수단, 협지 부재)
35c: 후크부
36: 측벽(협지 부재)
36b: 코킹부(걸림 수단)
36c: 세로홈
36d: 오목부
37: 날개 부재(걸림 수단, 협지 부재)
37c: 걸림편
37d: 후크부
38: 와이어(걸림 수단)
41: 본체 플레이트
42: 감합 구멍

Claims (8)

  1. 스크루를 구강 내의 뼈에 매립하고, 그 스크루에 치열 교정용 지그가 고정되는 상부 구조체를 장착하기 위한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로서,
    상기 스크루에 계합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임의의 위치에 계합됨과 함께, 상기 상부 구조체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구조체 장착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크루는 스크루축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이루는 각 형상 헤드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스크루의 각 형상 헤드부에 계합하는 복수의 배열된 각 형상 걸림 구멍을 갖고,
    상기 구조체 장착구는 상기 각 형상 걸림 구멍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측으로부터 계합하는 각 형상 계합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장척이고,
    상기 구조체 장착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계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각 형상 걸림 구멍 중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각 형상 걸림 구멍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긴 걸림 장공인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체는 내주면에 요철부를 갖는 감합 구멍을 갖고,
    상기 구조체 장착구는 상기 감합 구멍에 감합하는 외주면에 요철부를 갖는 감합 볼록 형상부를 갖는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장착구는 이 각 형상 계합부가 상기 각 형상 걸림 구멍에 대해서 빠져 나오는 방향에 대한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 수단을 갖는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측으로부터 유지하는 협지 부재인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장착구는 통형상을 이루고,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갖고,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각 형상 계합부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슬릿과, 상기 암나사부에 나합하는 수나사를 갖고,
    상기 수나사를 상기 암나사부에 나합시킨 상태로, 상기 각 형상 계합부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대되는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구조체 장착구를 일체적으로 감는 와이어인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
KR1020137021229A 2011-01-17 2012-01-17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 KR101540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06980 2011-01-17
JP2011006980A JP5753691B2 (ja) 2011-01-17 2011-01-17 歯列矯正用の連結冶具
PCT/JP2012/050810 WO2012099103A1 (ja) 2011-01-17 2012-01-17 歯列矯正用の連結冶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426A KR20130131426A (ko) 2013-12-03
KR101540586B1 true KR101540586B1 (ko) 2015-07-30

Family

ID=4651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229A KR101540586B1 (ko) 2011-01-17 2012-01-17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31992B2 (ko)
EP (1) EP2666436B1 (ko)
JP (1) JP5753691B2 (ko)
KR (1) KR101540586B1 (ko)
CN (1) CN103402454B (ko)
HK (1) HK1188705A1 (ko)
WO (1) WO2012099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525B1 (ko) 2011-05-13 2018-10-05 어드밴스드 오쏘돈틱스 앤드 에듀케이션 어소시에이션 엘엘씨 치아 움직임을 유발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184948A1 (en) * 2012-06-07 2013-12-12 Propel Orthodontics, Llc Temporary anchorage device with external plate
JP2014200430A (ja) * 2013-04-04 2014-10-27 康寛 斉宮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治具
CN103190947B (zh) * 2013-04-18 2015-11-11 方玉树 滑动钢板
WO2016185018A1 (de) * 2015-05-21 2016-11-24 Seemann Maximilian Knochenanker für einen kieferorthopädischen appara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iefermodells
JP6786202B2 (ja) * 2015-08-18 2020-11-18 康寛 斉宮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構造、及び、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治具
KR101833808B1 (ko) 2016-01-28 2018-03-02 권순용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및 이를 위한 교정 서포터
DE202017003132U1 (de) 2016-06-17 2017-07-30 Alexander Hohensee Kieferorthopädisches Verankerungselement zur Anordnung und/oder zur Befestigung an einem Kieferknochen
DE202016003920U1 (de) 2016-06-17 2016-08-01 Alexander Hohensee Kieferorthopädisches Verankerungselement zur Anordnung und/oder zur Befestigung an einem Kieferknochen
CN106073914B (zh) * 2016-08-18 2018-08-24 山西医科大学 微种植体万向定位仪
WO2018135567A1 (ja) * 2017-01-19 2018-07-26 康寛 斉宮 歯科矯正用インプラント装置に用いられるベース部材
TWI682772B (zh) * 2019-03-21 2020-01-21 博美股份有限公司 矯正釘延伸板
KR102324709B1 (ko) * 2019-09-20 2021-11-12 주식회사 라이프덴토메디칼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4973A (ja) * 2002-01-11 2003-07-22 Hiromitsu Soeda 歯科矯正装置
JP2007097987A (ja) * 2005-10-07 2007-04-19 Fandesu:Kk 歯科矯正器具
JP2008183016A (ja) * 2007-01-26 2008-08-14 Yasuhiro Saimiya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6937A (en) * 1983-11-30 1985-05-14 Hans Bosker System for denture support using a transmandibular implant
US5427906A (en) 1993-05-27 1995-06-27 Hansen; Gorm P. System for bracing dental implants or natural tooth roots to secure artificial teeth
US5853291A (en) * 1997-10-10 1998-12-29 Devincenzo; John Subperiosteal bone anchor
JP3869543B2 (ja) * 1997-12-05 2007-01-17 デンツプライ三金株式会社 歯科矯正用支持体
JP4125922B2 (ja) * 2002-07-31 2008-07-30 株式会社プラトンジャパン 歯列矯正インプラント
US7094238B2 (en) * 2002-11-22 2006-08-22 Sdgi Holdings, Inc. Variable angle adaptive plate
US6896514B2 (en) * 2003-02-20 2005-05-24 John Devincenzo Orthodontic implant
JP3928173B2 (ja) * 2003-12-26 2007-06-13 堀田 康記 歯科矯正用支持体
US7559764B2 (en) * 2004-01-06 2009-07-14 John Devincenzo Orthodontic bone anchor
JP2005270175A (ja) * 2004-03-23 2005-10-06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支持体
DE102004046414B4 (de) * 2004-09-24 2006-10-12 Stryker Leibinger Gmbh & Co. Kg Chirurgische Verankerungsvorrichtung
US7806691B2 (en) * 2005-03-30 2010-10-05 Bio Dental Solution Ltd Method and system for fixing removable dentures
US7281923B1 (en) * 2006-05-01 2007-10-16 John Devincenzo Orthodontic anchor appliance
EP1872740B9 (de) * 2006-06-21 2012-03-28 Cendres + Métaux SA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r Zahnprothese an einer Stegpatrize
US20080118892A1 (en) * 2006-11-22 2008-05-22 Curtis Adams Dental implant
DE102007027606A1 (de) * 2007-06-11 2008-12-18 Geist, Cornelius Kieferorthopädische Verankerungsschraube
US8496665B2 (en) * 2008-02-13 2013-07-30 Biomet C.V. Drill sleeve
CA2639721A1 (en) * 2008-09-22 2010-03-22 Eric Allaire Dental bar implan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4973A (ja) * 2002-01-11 2003-07-22 Hiromitsu Soeda 歯科矯正装置
JP2007097987A (ja) * 2005-10-07 2007-04-19 Fandesu:Kk 歯科矯正器具
JP2008183016A (ja) * 2007-01-26 2008-08-14 Yasuhiro Saimiya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38122A1 (en) 2014-02-06
EP2666436A4 (en) 2015-11-18
CN103402454A (zh) 2013-11-20
EP2666436A1 (en) 2013-11-27
KR20130131426A (ko) 2013-12-03
WO2012099103A1 (ja) 2012-07-26
US9131992B2 (en) 2015-09-15
HK1188705A1 (zh) 2014-05-16
JP5753691B2 (ja) 2015-07-22
CN103402454B (zh) 2016-03-02
EP2666436B1 (en) 2018-10-17
JP2012147844A (ja)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586B1 (ko) 치열 교정용 연결 지그
US8303299B2 (en) Orthodontic implant structure
US7101177B2 (en) Screw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US8690925B2 (en) Locking device for locking a rod-shaped element in a receiving part of a bone anchor and bone anchor with such a locking device
ES2905117T3 (es) Réplica de implante dental
US20140303674A1 (en) Parallel rod connector
JP6662891B2 (ja) 脊椎固定用保持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脊椎固定システム
AU2014370789B2 (en) Dental implant
US20120028212A1 (en) Stopper housing case
JP2010220700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アバットメントスクリュー緩み止め方法
KR20180064384A (ko)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및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
KR101598495B1 (ko) 치과용 멀티 픽스쳐 드라이버
TWI533846B (zh) 上部構造可拆卸的假牙裝置及相關的螺絲
JP5116117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EP3219288B1 (en) Osseointegrated dental crown
WO2020058419A1 (en) Retaining interface for dental parts
KR101060725B1 (ko) 뼈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