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709B1 -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709B1
KR102324709B1 KR1020190116379A KR20190116379A KR102324709B1 KR 102324709 B1 KR102324709 B1 KR 102324709B1 KR 1020190116379 A KR1020190116379 A KR 1020190116379A KR 20190116379 A KR20190116379 A KR 20190116379A KR 102324709 B1 KR102324709 B1 KR 102324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ation
support part
edentulous
anchor p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750A (ko
Inventor
박숙규
이영만
공윤수
최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프덴토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프덴토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프덴토메디칼
Priority to KR1020190116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7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4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an ionising-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and a non-ionising 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e.g. X-ray and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2Modelling of surgical devices, implants or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66Radiopaque markers visible in an X-ray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91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having specific anchoring means to fixate the marker to the tissue, e.g. hoo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유도 수술 장치에 사용되는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구강내측에 식립부를 식립하는 식립단계, 상기 식립부에 콘빔시티 볼 마커부가 형성된 지지부를 결합하는 지지부 결합단계, 구강내에 상기 식립부와 상기 지지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CT 장치로 촬영하는 CT 촬영 단계, 상기 식립부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분리하는 지지부 분리단계, 상기 식립부에 임시 기둥부를 결합하고 잇몸모형 제작을 위한 인상채득하는 인상채득 단계, 인상채득한 결과에 의해 상기 식립부의 식립부 모형을 결합한 잇몸모형을 제작하는 잇몸모형 제작단계, 상기 잇몸모형의 식립부 모형에 상기 지지부를 결합하되, 상기 지지부를 피시술자의 구강내측에 결합했을 때의 상기 콘빔시티 볼 마커부의 위치에 대응하게 상기 콘빔시티 볼 마커부를 잇몸모형에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고 스캔 장치로 스캔하는 스캔 단계, 상기 CT 촬영 데이터와 상기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는 정합 단계 및 상기 정합 단계에서 정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지컬 가이드를 3D 프린트로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EDENTULOUS ANCHOR P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임플란트의 유도 수술 장치에 사용되는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 임플란트 시술은 임플란트 고정체를 치조골에 식립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데, 임플란트 고정체를 치조골에 제대로 간편하게 식립하기 위하여 흔히 '서지컬 가이드(surgical guide)'라고 불리고 있는 안내기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식립 안내기구의 한 예가 한국등록특허 제10-1473192호의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텐트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가이드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피시술자가 바이트 트레이를 물고, 치주조직의 3차원 이미지를 얻기 위해 CT 촬영을 하고,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얻기 위해 스캔 촬영을 하였다.
또한 종래의 가이드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치주조직의 CT 3차원 이미지와 3차원 외부형상 모형 이미지를 정합하는 작업을 거쳐야 하는 데, 이 작업은 정교함이 요구되었기 때문에, 시술자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이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피시술자에 딱 맞는 가이드 스텐트를 제조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제작에는 두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 번째는 피시술자의 치주조직의 CT(computed tomography) 촬영 데이터와 잇몸모형의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 데이터를 동일하게 매칭하는 이미지가 없기 때문에 정밀하게 정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그래서 종래에는 의치에 콘빔시티 볼 마커(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ball marker)를 형성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CT 촬영 시 의치는 구강 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유동적이므로 위치의 오차를 발생시켰다. 또한, 의치를 잇몸모형에서 스캔하는 과정에서도 의치 내부 언더컷(undercut) 때문에 잇몸모형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위치의 오차를 발생시켰다.
따라서, 피시술자의 치주조직의 CT 촬영 데이터와 잇몸모형의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 데이터를 정합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두 번째는 무치악에서 서지컬 가이드를 구강내 고정하는데 앵커핀으로 인한 오류가 발생하였다.
즉, 무치악인 경우 서지컬 가이드를 물렁물렁한 연조직 잇몸에 고정하는데 일측은 앵커핀을 세게 조이고 타측은 느슨하게 조이면 서지컬 가이드가 원위치에서 벗어나게 되고, 서지컬 가이드에 의해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안내받게 되는 임플란트 시술에서 임플란트를 원래 계획했던 위치와 다른 위치에 식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를 정교하게 제작할 수 있는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은 피시술자의 구강내측에 식립부를 식립하는 식립단계, 상기 식립부에 콘빔시티 볼 마커부가 형성된 지지부를 결합하는 지지부 결합단계, 구강내에 상기 식립부와 상기 지지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CT(computed tomography) 장치로 촬영하는 CT 촬영 단계, 상기 식립부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분리하는 지지부 분리단계, 상기 식립부에 임시 기둥부(fixture impression coping)를 결합하고 잇몸모형 제작을 위한 인상채득하는 인상채득 단계, 인상채득한 결과에 의해 상기 식립부의 식립부 모형(아나로그)을 결합한 잇몸모형을 제작하는 잇몸모형 제작단계, 상기 잇몸모형의 식립부 모형에 상기 지지부를 결합하되, 상기 지지부를 피시술자의 구강내측에 결합했을 때의 상기 콘빔시티 볼 마커부의 위치에 대응하게 상기 콘빔시티 볼 마커부를 잇몸모형에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고 스캔(scan) 장치로 스캔하는 스캔 단계, 상기 CT 촬영 데이터와 상기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는 정합 단계 및 상기 정합 단계에서 정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지컬 가이드(surgical guide)를 3D 프린트로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 결합단계에서 상기 지지부의 콘빔시티 볼 마커부는 피시술자의 구강 내 소정의 부분을 적어도 3포인트 이상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은 피시술자의 구개측에 식립되게 볼트 결합되는 식립부, 상기 식립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 이격되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를 형성한 지지부 및 상기 식립부에 상기 지지부를 고정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립부는 상부에 오목한 끼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홈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복수 개의 장방형면으로 배열된 제1 다각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결합부는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게 하부에 볼록한 끼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돌기는 둘레부에 상기 다각면부에 대응하게 복수 개의 장방형면으로 배열된 제2 다각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탄성을 갖는 소재일 수 있다.
상기 끼움홈의 저면에 오목하고, 내측 둘레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결합부를 관통하고, 상기 볼트홈과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볼트홈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복수 개의 연장부 각각에 천공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홀에 콘빔시티 볼 마커부를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지컬 가이드를 완전히 고정된 앵커핀에 고정할 수 있어 무치악 피시술자 구강내 임플란트 시술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핀에 형성된 콘빔시티 볼 마커부를 사용하여 피시술자의 구강내 CT 촬영 데이터와와 잇몸모형을 스캔한 스캔 데이터를 정밀하게 정합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피시술자의 임플란트 시술 위치를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서지컬 가이드를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치악 피시술자의 임플란트 시술 시 서지컬 가이드의 정밀성과 편리성을 증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치악 피시술자의 시술 시 시술 시간을 단축하고, 정확한 위치와 미리 계획된 이상적인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예지성 높은 임플란트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을 조립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을 피시술자의 잇몸에 결합한 것을 평면에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을 조립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은 피시술자의 구개측에 식립되게 볼트 결합되는 식립부(100), 상기 식립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210)와 상기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 이격되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220)를 형성한 지지부(200) 및 상기 식립부(100)에 상기 지지부(200)를 고정 결합하는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식립부(100)는 상부 상단에 오목한 끼움홈(110)을 형성하고 하부에 볼트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끼움홈(110)은 내측 둘레부를 따라 복수 개의 장방형면을 서로 연결하게 배열한 제1 다각면부(111)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200)의 결합부(210)는 하부에 볼록한 끼움돌기(211)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돌기(211)는 식립부(100)의 끼움홈(110)에 끼움 결합하기 위해 끼움홈(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끼움홈(110)의 둘레부에 형성된 제1 다각면부(111)에 대응되게 끼움돌기(211)의 둘레부에 복수 개의 장방형면으로 배열된 제2 다각면부(211a)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다각면부(111)와 제2 다각면부(211a)는 각지게 형성되어 끼움돌기(211)가 끼움홈(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부(200)가 임의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제1 다각면부(111)와 제2 다각면부(211a)가 적어도 10개 이상의 장방형면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장방형면과 장방형면 사이의 각도가 150° ~ 170°를 이루게 하여 지지부(200)에 소정 이상의 힘을 일정 회전 방향으로 가하면 지지부(200)를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지지부(200)는 탄성과 복원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지지부(200)가 식립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부(200)에 소정의 회전력을 가하면 지지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고정부(300)가 식립부(100)와 지지부(200)를 고정 결합하기 위해서 지지부(200)는 결합부(210)의 중앙에 결합부(210)를 관통하는 관통홀(210a)을 형성할 수 있고, 식립부(100)의 끼움홈(110)은 저면에 오목한 볼트홈(110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300)는 관통홀(210a)을 관통한 상태에서 볼트홈(110a)에 볼트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210a)과 볼트홈(110a)은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하고, 볼트홈(110a)는 내측 둘레부에 암나사산을 형성하며 고정부(300)는 하부 외측 둘레에 볼트홈(110a)의 암나사산과 볼트 결합하도록 대응하는 수나사산(320)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결합부(210)의 관통홀(210a) 상부에 오목한 안착홈(210b)을 형성하여 고정부(300)의 상부에 형성되는 헤드부(310)를 안착시킬 수 있다.
고정부(300)가 지지부(200)를 관통한 상태에서 식립부(100)에 결합되면 지지부(200)는 고정부(300)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200)의 복수 개의 연장부(220)는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방사형을 형성하거나 3개 이상의 연장부(220)가 서로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연장부(220)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연장부(220)에 각각 천공된 홀(221a)에 글라스 비드(glass bead) 등의 소재로 형성된 콘빔시티 볼 마커부(221)를 적어도 3개 이상 부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을 피시술자의 잇몸에 결합한 것을 평면에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은 지지부(200)를 구강내(T)의 잇몸 또는 구강내(T)의 모형인 잇몸모형에 결합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잇몸 또는 잇몸모형에 볼트 나사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지지부(200)를 잇몸 또는 잇몸모형에 결합하기 위해 지지부(200)에 복수 개로 형성된 연장부(220)를 볼트 나사로 관통한 상태에서 잇몸 또는 잇몸모형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할 수 있다.
연장부(220)는 지지부(200)의 결합부(210)로부터 서로 다른 3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서로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고 각각의 연장부(220)에 콘빔시티 볼 마커부(221)를 부착할 수 있다.
콘빔시티 볼 마커부(221)는 잇몸 또는 잇몸모형에서 특징적인 부분을 이용해 3포인트 이상을 표시하여 피시술자의 잇몸과 잇몸모형을 서로 정밀하게 정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을 사용하여 임플란트 시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은 식립단계(S1), 지지부 결합단계(S2), CT 촬영 단계(S3), 지지부 분리단계(S4), 인상채득 단계(S5), 잇몸모형 제작단계(S6), 스캔 단계(S7), 정합 단계(S8) 및 출력 단계(S9)를 포함한다.
식립 단계(S1)는 피시술자의 구강내(T) 구개측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의 식립부(100)를 식립할 수 있다.
지지부 결합 단계(S2)는 피시술자의 구강내(T) 구개측에 식립된 식립부(100)에 콘빔시티 볼 마커부(221)가 형성된 지지부(200)를 고정부(300)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지지부 결합 단계(S2)는 지지부(200)를 식립부(100)에 결합 할 시 지지부(200)의 콘빔시티 볼 마커부(221)가 시술자의 구강내(T) 특징적인 부분인 소정의 부분을 적어도 3포인트 이상 표시하게 할 수 있다.
CT 촬영 단계(S3)는 피시술자의 구강내(T)에 식립부(100)와 지지부(200)를 결합한 상태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을 피시술자의 구강내(T)에 식립한 상태에서 CT(computed tomography) 장치로 CT 촬영을 할 수 있다.
지지부 분리 단계(S4)는 고정부(300)를 제거하여 식립부(100)로부터 지지부(200)를 분리할 수 있다.
인상채득 단계(S5)는 식립부(100)에 임플란트 임시 기둥부(fixture impression coping)를 결합하고 잇몸모형 제작을 위한 인상채득을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잇몸모형 제작 단계(S6)는 인상채득한 결과에 의해 식립부(100)의 형상을 본 뜬 식립부 모형(아나로그)을 결합한 후 석고를 인상체에 부어서 잇몸모형을 제작할 수 있다.
스캔 단계(S7)는 잇몸모형의 식립부 모형에 지지부(200)를 결합하되, 지지부(200)를 피시술자의 구강내(T)에 결합했을 때의 콘빔시티 볼 마커부(221)가 시술자의 구강내(T) 소정의 부분을 표시한 부위에 대응하게 콘빔시티 볼 마커부(221)를 잇몸모형에 위치시켜 피시술자의 구강내(T)와 잇몸모형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부(200)를 고정하고 스캔(scan) 장치를 사용하여 잇몸모형을 스캔할 수 있다.
정합 단계(S8)는 CT 촬영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를 일치시키도록 정합할 수 있다.
정합 단계(S8) 이후에 피시술자를 촬영한 CT 촬영 데이터와 잇몸모형을 스캔한 스캔 데이터를 공통 분모인 콘빔시티 볼 마커부(221)를 이용하여 일치시킨 상태에서 잇몸모형을 사용하여 모의 임플란트 수술을 할 수 있다.
출력 단계(S9)는 모의 임플란트 수술 이후 정합 단계(S8)에서 정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지컬 가이드(surgical guide)를 3D 프린트로 출력하여 서지컬 가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출력 단계(S9)는 서지컬 가이드를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된 서지컬 가이드는 언더컷(under cut)이 형성되는 부분을 피시술자의 구강내(T)에 안착할 시 안정감이 높아 구강내(T)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출력 단계(S9)에서 제작된 서지컬 가이드를 피시술자의 구강내(T) 장착한 상태에서 서지컬 가이드의 가이드에 의해 피시술자의 임플란트 수술을 정밀하고 쉽게 진행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은 무치악 환자의 CT 촬영 데이터(CBCT DICOM)와 잇몸모형의 스캔 데이터(모델 스캔 STL 파일)와의 정합 시 의치에 콘빔시티 볼 마커부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정확도를 현저히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치악 환자의 구강내 물렁물렁한 연조직 잇몸에 앵커핀을 고정할 시 앵커핀의 일측의 고정 볼트와 타측의 고정 볼트의 고정력이 다르게 되어 앵커핀에 의해 고정되는 서지컬 가이드의 위치를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설정된 위치로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는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은 무치악 환자의 경우에도 잇몸모형에서 제작한 서지컬 가이드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에서도 동일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치악용 앵커핀을 가이드 제작시와 동일한 위치에 구강 내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잇몸모형을 앵커핀에 고정하여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시술자의 잇몸을 CT 촬영하여 임플란트 시술 위치를 측정한 데이터와 잇몸모형을 스캔하여 임플란트 시술 위치를 측정한 데이터를 정합할 수 있어 잇몸모형에서의 임플란트 시술 위치를 실제 피시술자의 잇몸에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위치와 정밀하게 정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식립부
110: 끼움홈
110a: 볼트홈
111: 제1 다각면부
200: 지지부
210: 결합부
210a: 관통홀
210b: 안착홈
211: 끼움돌기
211a: 제2 다각면부
220: 연장부
221: 콘빔시티 볼 마커부
221a: 홀
300: 고정부
310: 헤드부
320: 수나사산
T: 구강내

Claims (9)

  1. 식립부(100)를 식립하는 식립단계(S1);
    상기 식립부(100)에 콘빔시티 볼 마커부(221)가 형성된 지지부(200)를 결합하되, 콘빔시티 볼 마커부(221)는 상기 지지부(200) 상에 적어도 3포인트 이상 표시하는 지지부 결합단계(S2);
    상기 식립부(100)와 상기 지지부(200)를 결합한 상태에서 CT(computed tomography) 장치로 촬영하는 CT 촬영 단계(S3);
    상기 식립부(100)로부터 상기 지지부(200)를 분리하는 지지부 분리단계(S4);
    상기 식립부(100)에 임시 기둥부(fixture impression coping)를 결합하고 잇몸모형 제작을 위한 인상채득하는 인상채득 단계(S5);
    인상채득한 결과에 의해 상기 식립부(100)의 식립부 모형(아나로그)을 결합한 잇몸모형을 제작하는 잇몸모형 제작단계(S6);
    상기 잇몸모형의 식립부 모형에 상기 지지부(200)를 결합하되, 상기 지지부(200)를 상기 콘빔시티 볼 마커부(221)의 위치에 대응하게 상기 콘빔시티 볼 마커부(221)를 잇몸모형에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지지부(200)를 고정하고 스캔(scan) 장치로 스캔하는 스캔 단계(S7);
    상기 CT 촬영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는 정합 단계(S8); 및
    상기 정합 단계(S8)에서 정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지컬 가이드(surgical guide)를 3D 프린트로 출력하는 출력단계(S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
  2. 삭제
  3. 피시술자의 구개측에 식립되게 볼트 결합되는 식립부(100);
    상기 식립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210)와 상기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 이격되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220)를 형성한 지지부(200); 및
    상기 식립부(100)에 상기 지지부(200)를 고정 결합하는 고정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00)의 복수 개의 연장부(220) 각각에 천공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홀(221a)에 콘빔시티 볼 마커부(221)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용 앵커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식립부(100)는 상부에 오목한 끼움홈(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용 앵커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10)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복수 개의 장방형면으로 배열된 제1 다각면부(11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용 앵커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의 결합부(210)는 상기 끼움홈(110)에 끼움 결합되게 하부에 볼록한 끼움돌기(211)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돌기(211)는 둘레부에 상기 다각면부(111)에 대응하게 복수 개의 장방형면으로 배열된 제2 다각면부(211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용 앵커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10)의 저면에 오목하고, 내측 둘레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홈(110a)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00)의 결합부(210)를 관통하고, 상기 볼트홈(110a)과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관통홀(210a)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관통홀(210a)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볼트홈(110a)에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용 앵커핀.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탄성을 갖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용 앵커핀.
  9. 삭제
KR1020190116379A 2019-09-20 2019-09-20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 KR102324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379A KR102324709B1 (ko) 2019-09-20 2019-09-20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379A KR102324709B1 (ko) 2019-09-20 2019-09-20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750A KR20210034750A (ko) 2021-03-31
KR102324709B1 true KR102324709B1 (ko) 2021-11-12

Family

ID=7523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379A KR102324709B1 (ko) 2019-09-20 2019-09-20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7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5431A1 (en) 2008-11-18 2011-02-24 Groscurth Randall C Bone screw linking device
US20140038122A1 (en) * 2011-01-17 2014-02-06 Okada Medical Supply Co. Orthodontic connection tool
KR101534622B1 (ko) * 2014-02-19 2015-07-09 박숙규 구강용 고정나사와 고정판, 및 그 고정나사와 구강판을 포함하는 구강용 고정장치
KR101797155B1 (ko) 2016-09-02 2017-11-14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711A (ko) * 2017-09-18 2019-03-27 장경하 무치악 시술용 가이드 및 무치악 시술용 가이드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5431A1 (en) 2008-11-18 2011-02-24 Groscurth Randall C Bone screw linking device
US20140038122A1 (en) * 2011-01-17 2014-02-06 Okada Medical Supply Co. Orthodontic connection tool
KR101534622B1 (ko) * 2014-02-19 2015-07-09 박숙규 구강용 고정나사와 고정판, 및 그 고정나사와 구강판을 포함하는 구강용 고정장치
KR101797155B1 (ko) 2016-09-02 2017-11-14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750A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7941B (zh) 製作牙科手術導板之方法
US6382975B1 (en)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drill guide and a dental implant superstructure
ES2287389T3 (es) Metodo de fabricacion de una guia de taladrado para implante dental.
US5725376A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drill guide and a dental implant superstructure
KR101554157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마커 및 그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스탠트 제조방법
KR102114015B1 (ko) 맞춤형 치료용 지대치의 가상 설계
KR101273386B1 (ko) 영상정보 정합을 위한 마커
US101369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tooth restoration
JP2012500671A (ja) 上部構造物および対応テンプレート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トランスファ部材
TWI634874B (zh) 用於植體之掃描體以及包含其之植體組件
US20110045431A1 (en) Bone screw linking device
KR101631258B1 (ko) 디지털 스캔바디를 이용한 3차원 구강컨펌모델 제조방법
KR101883958B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2246985B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
KR101970746B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덴처홀가이더 및 제조방법
KR101731541B1 (ko) 치유 어버트먼트
KR101550369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KR101452718B1 (ko) 영상매칭 바이트 트레이
KR102324709B1 (ko)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
EP3375401B1 (en) Template and method for planning the surgery of dental implants and/or guided placement of a prosthesis on implants
KR101675503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337417B1 (ko) 영상정보 정합을 위한 골 고정형 표지물
KR101347258B1 (ko) 고정원 시술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KR102212408B1 (ko) 오버덴쳐 구조물 및 오버덴쳐 구조물의 구축방법
KR101544776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이중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