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228B1 -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 - Google Patents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228B1
KR101540228B1 KR1020090062995A KR20090062995A KR101540228B1 KR 101540228 B1 KR101540228 B1 KR 101540228B1 KR 1020090062995 A KR1020090062995 A KR 1020090062995A KR 20090062995 A KR20090062995 A KR 20090062995A KR 101540228 B1 KR101540228 B1 KR 101540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hain
toothed plate
plates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735A (ko
Inventor
다카히사 안도
토시히코 다카시마
다케시 콘도
미치오 오이타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0002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4Toothed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 B66F3/06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with racks comprising pivotable toothed sections or segments, e.g. arranged in p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2Lazy-tongs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6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 F16H19/0636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the flexible member being a non-buckling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인 전체의 중량 밸런스의 조정을 도모하여 피승강물의 중량 등에 대한 체인 폭 방향에서의 하중 밸런스를 향상시키고, 피승강물을 보다 높은 위치까지 안정되게 상승시키며, 체인 내구성의 향상, 구동 소음의 저감, 체인 사이즈의 소형화를 실현하고, 중간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가 체인 폭 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억제하는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은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와 부시(120)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와 연결핀(160)을 구비하고,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 및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가 동일 형상의 금형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부터 각각 타발 가공되며,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의 적어도 1장이 나머지 플레이트와 안과 밖이 반대로 된 상태로 연결된다.
승강, 체인, 치형 플레이트, 중량 밸런스,

Description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 {HOISTING AND LOWERING DRIVING ENGAGEMENT MULTI-ROW CHAIN}
본 발명은 각종 제조 분야의 제조 설비, 운반 분야의 이송 설비, 의료 복지 분야의 개호 설비, 예술 분야의 무대 설비 등에 이용하여 승강 테이블을 설치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진퇴 이동시키는 승강 장치에 조합되는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승강 장치로 상호 맞물려 일체적으로 승강하는 한 쌍의 치합 체인, 소위 척 체인을 이용하여 중량물 등의 피승강물을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그리고, 이와 같은 치합 체인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내부 플레이트(510)에 전후 한 쌍의 부시(520)를 압입 감합하여 이루어진 내부 링크 유닛(530)을 체인 폭 방향으로 중간 플레이트(540)를 개재하여 복수 배치한 다열 형상의 치합 체인(500)이 고안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다열 형상의 치합 체인(500)에서는, 일반적으로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블랭크재를 이용하여 동일 형상의 금형을 통해 동일 방향으로부터 타발 가공하여 내측 플레이트(510)와 중간 플레이트(540) 및 외측 플레이트(550)를 성형하고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내측 플레이트(510)와 중간 플레이트(540) 및 외측 플레이트(550)의 플레이트 절단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활면 형상의 전단면(X)이 타발 방향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조면(粗面) 형상의 파단면(Y)이 타발 방향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특허 제3370928호 공보(특허청구의 범위, 도 1)
그러나, 종래의 다열 형태의 치합 체인(500)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플레이트(510)와 중간 플레이트(540) 및 외측 플레이트(550)에 각각 형성된 훅부(511, 541, 551)를 동일 플레이트 길이 방향으로 향한 상태, 또한 동일 플레이트 높이 방향으로 향해 연장시킨 상태로 내측 플레이트(510)와 중간 플레이트(540) 및 외측 플레이트(550)를 각각 배치하고 있으며, 그 결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플레이트 내에서의 전단면(X) 및 파단면(Y)의 플레이트 두께 방향으로의 나열 순서가 모든 플레이트에서 공통되어 같은 나열 순서가 되기 때문에 중량이 가벼운 파단면(Y)측과 중량이 무거운 전단면(X)측과의 사이에 생긴 중량 차이에 기인하여 플레이트 두께 방향, 즉 체인 폭 방향에 걸친 체인 전체의 중량 밸런스에 치우침이 발생하고, 이와 같이 중량 밸런스의 치우침이 발생함으로써 치합 체인(500)의 상승 구동시에 피승강물의 중량에 대한 체인 폭 방향에서의 하중 밸런스가 악화되어 체인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구동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히 치합 체인(500)을 체인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하여 피승강물의 상승 고도를 높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치합 체인(500)의 하중 밸런스의 악화에 따라 상승 구동시에 치합 체인(500)이 일정 방향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한 쌍의 치합 체인(500)의 내부 플레이트(510)끼리와 중간 플레이트(540)끼리와 외부 플레이트(550)끼리가 분리되어 좌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체인 폭 방향에 걸친 체인 전체의 하중 밸런스의 조정을 도모하여 피승강물의 중량 등에 대한 하중 밸런스를 향상시키고, 피승강물을 보다 높은 위치까지 안정되게 상승시키는 동시에 체인 내구성의 향상, 구동 소음의 저감, 체인 사이즈의 소형화를 실현하고, 게다가 중간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가 체인 폭 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억제하는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으로 이간 배치되며 훅부를 갖는 내부 치형 플레이트에 전후 한 쌍의 부시를 압입 감합시켜 이루어진 내부 링크 유닛이 훅부를 갖는 중간 치형 플레이트를 체인 폭 방향으로 개재하여 병렬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내부 링크 유닛이 체인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고 훅부를 갖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의 전후 한 쌍의 핀 구멍에 압입 감합되는 전후 한 쌍의 연결핀에 의해 체인 길이 방향으로 다수 연결되며, 상기 부시와 맞물리는 한 쌍의 승강용 스프로킷에 각각 대향 배치시켜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상호 마주보는 내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끼리 각각 맞물리게 하여 일체로 자립 상태로 상승되도록 하는 동시에 한 쌍의 승강용 스프로킷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내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끼리 각각 분리되어 분기하도록 하는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에 있어서, 상기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 및 중간 치형 플레이트가 동일 블랭크재를 이용하여 동일 형상의 금형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부터 각각 타발 가공되는 동시에, 상기 체인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 및 중간 치형 플레이트의 적어도 1장이 나머지 플레이트와 안과 밖이 반대로 된 상태로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1장의 플레이트의 상기 훅부가 상기 나머지 플레이트의 상기 훅부와 반대 방향으로 뻗는 것에 따라 전술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2에 따른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체인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 및 중간 치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나의 플레이트군 내에서 절반이 되는 수가 나머지 플레이트와 안과 밖이 반대로 된 상태로 상기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절반의 수의 상기 플레이트들의 상기 훅부가 상기 나머지 플레이트들의 상기 훅부와 반대 방향으로 뻗는 것에 따라 전술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3에 따른 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중간 치형 플레이트가 상기 연결핀에 압입 감합됨에 따라 전술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4에 따른 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중간 치형 플레이트가 상기 연결핀에 헐거운 끼워 맞춤 됨에 따라 전술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5에 따른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체인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가 나머지 플레이트보다 큰 플레이트 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전술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으로 이간 배치되며 훅부를 갖는 내부 치형 플레이트에 전후 한 쌍의 부시를 압입 감합시켜 이루어진 내부 링크 유닛이 훅부를 갖는 중간 치형 플레이트를 체인 폭 방향으로 개재하여 병렬 배치되는 동시에 내부 링크 유닛이 체인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고 훅부를 갖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의 전후 한 쌍의 핀 구멍에 압입 감합되는 전후 한 쌍의 연결핀에 의해 체인 길이 방향으로 다수 연결되며, 부시와 맞물리는 한 쌍의 승강용 스프로킷에 각각 대향 배치시켜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상호 마주보는 내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끼리 각각 맞물리게 하여 일체로 자립 상태로 상승되도록 하는 동시에 한 쌍의 승강용 스프로킷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내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끼리 각각 분리되어 분기하도록 함으로써, 승강용 스프로킷의 회전에 맞추어 피승강물의 승강 동작을 등속 또한 신속하게 달성하고, 게다가 체인 폭 방향으로 내부 링크 유닛을 병렬 배치함으로써 외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끼리를 체인 방향의 복수 열에 걸쳐 각각 다중 또한 강고하게 맞물리도록 하여 체인 폭 방향으로 발생하기 쉬운 좌굴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동시에 체인 폭 방향에서의 승강용 스프로킷과의 치합 밸런스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이하와 같은 특유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에 따르면,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가 동일 블랭크재를 이용하여 동일 형상의 금형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부터 각각 타발 가공되는 동시에 체인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의 적어도 1장이 나머지 플레이트와 안과 밖이 반대로 된 상태로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어 적어도 1장의 플레이트의 훅부가 나머지 플레이트의 훅부와 반대방향으로 뻗음에 따라 내부 치형 플레이트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가 타발 방향 후방에 형성되는 전단면측과 타발 방향 전방에 형성되는 파단면측 사이에서 생기는 중량 차이에 기인하여 플레이트 두께 방향으로 중량의 치우침이 각각 발생하는 경우에도 체인 폭 방향에 걸친 체인 전체의 중량 밸런스를 조정하기 때문에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의 체인 폭 방향으로의 경사를 억제하여 피승강물의 중량 등에 대한 하중 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체인 폭 방향으로의 하중 밸런스를 향상시킴으로써,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의 체인 폭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나 좌굴을 일으키지 않고 피승강물을 보다 높은 위치까지 안정되게 상승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에 대하여 부분적인 과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회피하여 체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체인 가동시에 발생하기 쉬운 구동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나아가 전술된 바와 같이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의 좌굴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체인 사이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본 발명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체인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나의 플레이트군 내에서 절반이 되는 수가 나머지 플레이트와 안과 밖이 반대로 된 상태로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절반의 수의 플레이트들의 상기 훅부가 상기 나머지 플레이트들의 상기 훅부와 반대방향으로 뻗음에 따라 체인 폭 방향에 걸친 체인 전체의 중량 밸런스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피승강물의 중량 등에 대한 하중 밸런스를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본 발명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중간 치형 플레이트가 연결핀에 압입 감합됨에 따라 연결핀에 대한 중간 치형 플레이트의 체인 폭 방향에서의 위치가 체인 폭 방향 중앙에 고정되기 때문에 중간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가 체인 폭 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억제하여 체인 폭 방향의 하중 밸런스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에 피승강물 등의 중량에 기인하는 부하가 작용하였을 때에도 중간 치형 플레이트의 핀 구멍과 연결핀 사이의 간극을 없앰으로써 연결핀의 만곡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연결핀이 만곡됨에 따라 발생하기 쉬운 피로 파괴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연결핀의 만곡을 억제함으로써 중간 치형 플레이트측에 배치된 각 플레이트, 예를 들면 중간 치형 플레이트와 상기 중간 치형 플레이트에 인접한 내부 치형 플레이트 등도 피승강물 등의 중량에 기인하는 높은 부하를 부담하므로, 체인 폭 방향의 하중 밸런스가 현저히 향상되어 체인의 피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이 중간 치형 플레이트의 핀 구멍과 연결핀 사이의 간극을 없앰으로써, 피승강물 등의 중량에 의한 부하에 기인하여 중간 치형 플레이 트가 연결핀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연결핀에 대하여 부분적인 과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본 발명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중간 치형 플레이트가 연결핀에 헐거운 끼워 맞춤 됨에 따라 체인 제조시에 중간 치형 플레이트의 핀 구멍에 대하여 연결핀을 유감, 소위 유동 가능하게 끼우면 되어 중간 치형 플레이트의 핀 구멍 직경과 연결핀의 핀 직경을 고정밀도로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체인 이음 절단 등의 분해 조립 작업을 간단히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본 발명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체인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가 나머지 플레이트보다 큰 플레이트 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중간 치형 플레이트와 상기 중간 치형 플레이트에 인접한 내부 치형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플레이트 장수가 많은 체인 폭 방향의 내측으로 치우친 플레이트군의 총 중량과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상기 외부 치형 플레이트에 인접한 내부 치형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플레이트 장수가 적은 체인 폭 방향의 외측으로 치우친 플레이트군의 총 중량과의 사이의 중량 차이가 감소하기 때문에 체인 폭 방향 내측으로 중량이 치우치는 것을 회피하여 체인 폭 방향으로의 중량 밸런스의 조정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은, 좌우 한 쌍으로 이간 배치되며 훅부를 갖는 내부 치형 플레이트에 전후 한 쌍의 부시를 압입 감합시켜 이루어진 내부 링크 유닛이 훅부를 갖는 중간 치형 플레이트를 체인 폭 방향으로 개재하여 병렬 배치되는 동시에 내부 링크 유닛이 체인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고 훅부를 갖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의 전후 한 쌍의 핀 구멍에 압입 감합되는 전후 한 쌍의 연결핀에 의해 체인 길이 방향으로 다수 연결되며, 부시와 맞물리는 한 쌍의 승강용 스프로킷에 각각 대향 배치시켜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상호 마주보는 내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끼리 각각 맞물리게 하여 일체로 자립 상태로 상승되도록 하는 동시에
한 쌍의 승강용 스프로킷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내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끼리 각각 분리되어 분기하도록 하고,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가 동일한 블랭크재를 이용하여 동일 형상의 금형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부터 각각 타발 가공되는 동시에 체인 폭 방향에 배치되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의 적어도 한 장이 나머지 플레이트와 안과 밖이 반대로 된 상태로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며, 체인 폭 방향에 걸친 체인 전체의 중량 밸런스의 조정을 도모하여 피승강물의 중량 등에 대한 하중 밸런스를 향상시켜 피승강물을 보다 높은 위치까지 안정되게 상승시키는 동시에 체인 내구성의 향상, 구동 소음의 저감, 체인 사이즈의 소형화를 실현하고, 게다가 중간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가 체인 폭 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어떠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에서 이용되는 내부 치형 플레이트, 외부 치형 플레이트 및 중간 치형 플레이트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상호 마주보는 동종의 플레이트끼리를 상호 맞물리게 하여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일체로 자립 상태로 상승시키는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상호 분리되어 분기되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에 있어서, 체인 폭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내부 링크 유닛의 열 수는 통상 2열 내지 3열이지만, 그 이상이어도 지장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에서 이용되는 부시는 통상 형상의 부시나, 내부 치형 플레이트에 압입 감합되는 플레이트측 압입부와 상기 플레이트측 압입부보다 직경이 큰 스프로킷 치합부를 일체 성형하는 것으로 얻어지는 부시 등 어떠한 것이어도 되는데, 플레이트측 압입부와 스프로킷 치합부로 이루어진 부시를 채용하는 경우에 스프로킷 치합부의 특정된 외주면에서 승강용 스프로킷과 안정되게 접촉하기 때문에 롤러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승강용 스프로킷과의 치합시에 연결핀 혹은 부시의 중심축에 대하여 롤러의 중심축이 편재되어 승강용 스프로킷과의 사이에서 발생하기 쉬운 접촉 진동이나 접촉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롤러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스프로킷 치합부가 부시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충분한 두께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중량물 등의 피승강물을 상승시킬 때에 걸리는 부하에 대하여 높은 내 부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이 조합되는 치합 체인식 승강 장치는 설치면이 거치 설치 형태가 되는 바닥면이어도, 현수 설치 형태가 되는 천장면이어도 승강 동작에 아무런 지장은 없으며, 나아가 외팔보 지지 형태가 되는 수직 벽면이어도 전술된 승강 동작에 상당하는 진퇴 동작에 아무런 지장은 없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을 이용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도1에서 승강 테이블과 팬토그래프 아암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이고, 도 4는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을 도시한 조립 분해도이며, 도 5는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의 체인 폭 방향으로의 중량 밸런스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 등의 피승강물(도시 않음)이 탑재되는 승강 테이블(T)을 설치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승강시키기 위하여, 작업 바닥면에 거치 상태로 설치되는 치합 체인식 승강 장치(E)에 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전술된 치합 체인식 승강 장치(E)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승강 테이블(T)이 평행하게 승강하는 설치면에 거치된 베이스 플레이트(P)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P)에 대하여 평행하게 병설된 한 쌍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면 내에서 상호 마주보고 반대 방향으로 정역 회전하는 한 쌍의 승강용 스프로킷(S)과, 이들 한 쌍의 승강용 스프로킷(S)과 치합, 이탈함으로써 승강 테이블(T)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과, 이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의 상단에 고착되어 일체로 승강하는 전술된 승강 테이블(T)과, 한 쌍의 승강용 스프로킷(S)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M)를 기본적인 장치 구성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부호 D는 구동 모터(M)의 출력축 측에 동축 배치된 한 쌍의 구동측 스프로킷이고, 부호 C는 구동측 스프로킷(D)으로부터 한 쌍의 승강용 스프로킷(S)측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롤러 체인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동력 전달 체인이며, 부호 G는 한 쌍의 동력 전달 체인(C)으로부터 일측 방향의 회전을 변속시키는 동시에 한 쌍의 승강용 스프로킷(S)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정역 회전하도록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기 기어군이고, 부호 A는 승강 테이블(T)과 설치면측의 베이스 플레이트(P)와의 사이에 설치된 X자 형태의 팬토그래프 아암이라 불리는 이너 암(A1)과 아우터 암(A2)으로 이루어진 상하 2단 연결 형태의 승강 보조 가이드 수단이며, 부호 R은 이너 암(A1)의 하단이 승강 동작에 따라 미끄러짐 작동하는 슬라이드 레일이고, 부호 B는 상호 분리되어 분기된 한 쌍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의 일측을 수납하는 권취 형식의 체인 수납 박스이다.
또한, 치합 체인식 승강 장치(E)에서 한 쌍으로 이용되는 본 실시예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으 로 이간 배치되며 훅부(111)를 갖는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에 전후 한 쌍의 부시(120)를 압입 감합시켜 이루어진 내부 링크 유닛(130)이 체인 폭 방향으로 훅부(141)를 갖는 2장의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를 통해 병렬 배치되는 동시에 내부 링크 유닛(130)이 체인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고 훅부(151)를 갖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의 전후 한 쌍의 핀 구멍에 압입 감합되는 전후 한 쌍의 연결핀(160)에 의해 체인 길이 방향으로 다수 연결된 것이다.
그리고, 부시(120)의 외주에는 롤러(170)가 외감(外嵌)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은, 내부 링크 유닛(130)을 체인 폭 방향으로 병렬 배치함으로써, 한 쌍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의 일측을 구성하는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 및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가 이에 대향하는 타측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을 구성하는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 및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에 대하여 체인 방향의 복수 열에 따라 각각 훅형, 소위 척형으로 다중 또한 강고하게 맞물려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의 체인 폭 방향으로 발생하기 쉬운 좌굴을 확실하게 억제하며, 또한 체인 폭 방향에서의 승강용 스프로킷(S)과의 치합 밸런스를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한 쌍의 승강용 스프로킷(S)에 각각 대향 배치되며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상호 마주보는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끼리 및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끼리 및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끼리 각각 맞물리게 되어 일체로 자립 상태로 상승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전술한 한 쌍의 승강용 스프로킷(S)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끼리 및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끼리 및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끼리 각각 분리되어 분기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이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 및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 및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블랭크재를 이용하여 동일 형상의 금형을 통해 동일 방향으로부터 각각 타발 가공되는 동시에 체인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 및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를 포함하는 하나의 플레이트군 내에서 절반이 되는 수가 나머지 플레이트와 안과 밖이 반대로 된 상태로 연결핀(160)에 의해 연결되어 절반이 되는 수의 상기 플레이트들의 훅부가 상기 나머지 플레이트들의 훅부와 반대 방향으로 뻗도록 되어 있다.
즉,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에 인접한 2장의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와 2장의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가 동일한 방향으로 훅부(141, 151)를 연장시킨 상태, 또한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에 인접한 2장의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와 2장의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에 대하여 체인 폭 방향에서 안과 밖이 반대로 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의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 및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의 플레이트 절단면에 관해서는 그 전단면(X) 및 파단 면(Y)에 기인하여 발생한 경사를 대폭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핀(160)에 압입 감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실시예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은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 및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가 동일한 블랭크재를 이용하여 동일 형상의 금형을 통해 동일 방향으로부터 각각 타발 가공되는 동시에 체인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 및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를 포함하는 플레이트군 내에서 절반이 되는 수가 나머지 플레이트와 안과 밖이 반대로 된 상태로 연결핀(16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150) 및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가 타발 방향 후방에 형성되는 전단면(X)측과 타발 방향 전방에 형성되는 파단면(Y)측 사이에서 발생하는 중량 차이에 기인하여 플레이트 두께 방향으로 중량의 치우침을 각각 일으키는 경우에도 체인 폭 방향에 걸친 체인 전체의 중량 밸런스를 조정하여 균일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의 체인 폭 방향으로의 경사를 억제하여 피승강물의 중량 등에 대한 하중 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체인 폭 방향으로의 하중 밸런스를 향상시킴으로써,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의 체인 폭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나 좌굴을 일으키지 않고 피승강물을 보다 높은 위치까지 안정되게 상승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에 대하여 부분적인 과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회피하여 체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체인 가동시에 발생하기 쉬운 구동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의 좌굴 강도를 향상시켜 체인 사이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가 연결핀(160)에 압입 감합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핀(160)에 대한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의 체인 폭 방향에서의 위치가 체인 폭 방향 중앙에 고정되기 때문에,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가 체인 폭 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억제하여 체인 폭 방향의 하중 밸런스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에 피승강물 등의 중량에 기인하는 부하가 작용하였을 때에도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의 핀 구멍과 연결핀(160)과의 간극을 없앰으로써 연결핀(160)의 만곡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연결핀(160)이 만곡됨에 따라 발생하기 쉬운 피로 파괴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연결핀(160)의 만곡을 억제하여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측에 배치된 각 플레이트, 예를 들면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나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에 근접한 내부 치형 플레이트(110) 등도 피승강물 등의 중량에 기인하는 높은 부하를 부담하게 하므로써 체인 폭 방향의 하중 밸런스가 현저히 향상되어 체인의 피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이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의 핀 구멍과 연결핀(160) 사이의 간극을 없앰으로써, 피승강물 등의 하중에 의한 부하에 기인하여 중간 치형 플레이트(140)가 연결핀(160)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핀(160)에 대하여 부분적인 과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심대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200)에 대하여 도 7에 의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200)의 내부 치형 플레이트(210)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250) 이외의 구성은 전술된 제1 실시예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과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100)에 관한 명세서 및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100번 대의 부호를 200번 대의 부호로 대체함으로써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200)이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 내부 치형 플레이트(210)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250)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250)와 상기 외부 치형 플레이트(250)에 인접한 내부 치형 플레이트(210)가 나머지 플레이트보다 큰 플레이트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본 실시예의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200)은, 체인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배치된 내부 치형 플레이트(210)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250)가 나머지 플레이트보다 큰 플레이트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 치형 플레이트(240)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240)에 인접하는 내 부 치형 플레이트(210)로 구성되며 플레이트 장수가 많은 체인 폭 방향 내측의 플레이트군(Pi)의 총 중량과 외부 치형 플레이트(250)와 상기 외부 치형 플레이트(250)에 인접하는 내부 치형 플레이트(210)로 구성되며 플레이트 장수가 적은 체인 폭 방향 외측의 플레이트군(Po)의 총 중량과의 사이의 중량 차이가 감소하기 때문에 체인 폭 방향 내측으로 중량이 치우치는 것을 회피하여 체인 폭 방향으로의 중량 밸런스의 조정을 도모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심대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을 이용한 사용 상태도
도 2는 도 1에서 승강 테이블과 팬토그래프 아암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
도 4는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을 도시한 조립 분해도
도 5는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6은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의 중량 밸런스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치합 체인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치합 체인의 체인 폭 방향으로의 중량 밸런스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
110 : 내부 치형 플레이트
111 : 훅부
120 : 부시
130 : 내부 링크 유닛
140 : 중간 치형 플레이트
141 : 훅부
150 : 외부 치형 플레이트
151 : 훅부
160 : 연결핀
170 : 롤러
E : 치합 체인식 승강 장치
S : 승강용 스프로킷
T : 승강 테이블
P : 베이스 플레이트
M : 구동 모터
D : 구동측 스프로킷
C : 동력 전달 체인
G : 동기 기어군
A : 승강 보조 가이드 수단
A1 : 이너 암
A2 : 아우터 암
R : 슬라이드 레일
B : 체인 수납 박스
X : 전단면
Y : 파단면

Claims (7)

  1. 좌우 한 쌍으로 이간 배치되며 훅부를 갖는 내부 치형 플레이트에 전후 한 쌍의 부시를 압입 감합시켜 이루어진 내부 링크 유닛이 훅부를 갖는 중간 치형 플레이트를 체인 폭 방향으로 개재하여 병렬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내부 링크 유닛이 체인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고 훅부를 갖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의 전후 한 쌍의 핀 구멍에 압입 감합되는 전후 한 쌍의 연결핀에 의해 체인 길이 방향으로 다수 연결되며, 상기 부시와 맞물리는 한 쌍의 승강용 스프로킷에 각각 대향 배치시켜 수평 방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상호 마주보는 내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끼리 각각 맞물리게 하여 일체로 자립 상태로 상승되도록 하는 동시에 한 쌍의 승강용 스프로킷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내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외부 치형 플레이트끼리와 중간 치형 플레이트끼리 각각 분리되어 분기하도록 하는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에 있어서,
    상기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 및 중간 치형 플레이트가 동일 블랭크재를 이용하여 동일 형상의 금형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부터 각각 타발 가공되는 동시에,
    상기 체인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 및 중간 치형 플레이트의 적어도 1장이 나머지 플레이트와 안과 밖이 반대로 된 상태로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1장의 플레이트의 상기 훅부가 상기 나머지 플레이트의 상기 훅부와 반대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 및 중간 치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나의 플레이트군 내에서 절반이 되는 수가 나머지 플레이트와 안과 밖이 반대로 된 상태로 상기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절반의 수의 상기 플레이트들의 상기 훅부가 상기 나머지 플레이트들의 상기 훅부와 반대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치형 플레이트가 상기 연결핀에 압입 감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치형 플레이트가 상기 연결핀에 헐거운 끼워 맞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
  5.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가 나머지 플레이트보다 큰 플레이트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가 나머지 플레이트보다 큰 플레이트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치형 플레이트와 내부 치형 플레이트가 나머지 플레이트보다 큰 플레이트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
KR1020090062995A 2008-08-22 2009-07-10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 KR101540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14193 2008-08-22
JP2008214193A JP5340670B2 (ja) 2008-08-22 2008-08-22 昇降駆動用噛合多列チェー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735A KR20100023735A (ko) 2010-03-04
KR101540228B1 true KR101540228B1 (ko) 2015-07-29

Family

ID=4156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995A KR101540228B1 (ko) 2008-08-22 2009-07-10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21986B2 (ko)
JP (1) JP5340670B2 (ko)
KR (1) KR101540228B1 (ko)
CN (1) CN101654214B (ko)
DE (1) DE102009027993A1 (ko)
FR (1) FR2935137B1 (ko)
TW (1) TWI4616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9165B2 (ja) * 2007-11-01 2010-07-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昇降駆動用噛合多列チェーン
JP4662500B2 (ja) * 2008-09-09 2011-03-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式駆動装置
JP4662503B2 (ja) * 2008-12-09 2011-03-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
KR101487803B1 (ko) * 2010-07-09 2015-01-2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대차식 반송 장치
JP4860772B1 (ja) 2011-01-05 2012-01-2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用ストッパ
JP5079892B2 (ja) 2011-01-12 2012-11-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式進退作動装置
JP4897093B1 (ja) 2011-01-27 2012-03-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式進退作動装置
JP4897094B1 (ja) 2011-02-10 2012-03-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式進退作動装置
JP4865923B1 (ja) * 2011-04-20 2012-02-0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
JP4875216B1 (ja) * 2011-05-12 2012-02-1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
JP5501394B2 (ja) * 2012-02-24 2014-05-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搬送用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及び噛合チェーン式搬送装置
JP5791660B2 (ja) * 2013-05-20 2015-10-0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
CN104555803B (zh) * 2013-10-11 2017-04-12 斯毕士舞台设备技术(杭州)有限公司 丝杠螺母传动的推拉链顶升机构
JP6078672B1 (ja) 2016-02-22 2017-02-0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及び可動体移動装置
CN110406418B (zh) * 2019-09-24 2020-01-10 国创新能源汽车能源与信息创新中心(江苏)有限公司 一种刚度柔性可变的运动机构
CN113955389A (zh) * 2021-09-09 2022-01-21 江苏聚核高分子功能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移动板材自动提升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6265A (en) * 1991-01-03 1991-11-19 Wu Chia L Chain
JP2000035089A (ja) * 1998-07-17 2000-02-02 Sugiyama Chain Seisakusho:Kk 伝動用ローラチェーン
JP2001132799A (ja) * 1999-11-02 2001-05-18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昇降用リフトチェーン
JP2007309489A (ja) * 2006-05-22 2007-11-29 Tsubakimoto Chain Co 伝動用多列チェーン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23795B (ko) * 1968-11-13 1970-05-11 Kockum Soederhamn Ab
US3951282A (en) * 1973-10-24 1976-04-20 Alex Jacques Keller Method for feeding fibers
JPS51131060A (en) * 1975-05-06 1976-11-15 Tsubakimoto Chain Co Interlocking chain device
JPS5323726Y2 (ko) * 1976-08-12 1978-06-19
US4219057A (en) * 1978-05-30 1980-08-26 Falk David C Timber to firewood processing machine
SE420673B (sv) 1980-02-06 1981-10-26 Sikob Ab Forfarande och maskin for hantering av fellda klena tred eller liknande vexter
SE8304633L (sv) 1983-08-26 1985-02-27 Osa Ab Buntkvistningsanordning
JPH07115112B2 (ja) * 1988-03-10 1995-12-13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リンクプレートの製造方法
US4915675B1 (en) * 1989-02-28 1998-12-29 Borg Warner Automotive Pitch equalized chain with frequency modulated engagement
JP3370928B2 (ja) 1998-03-30 2003-01-2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いチェーンを用いた昇降装置
US6138820A (en) * 1998-05-15 2000-10-31 Westar Mfg. Corp. Conveyor chain link
JP3199241B2 (ja) * 1999-07-09 2001-08-1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サイレントチェーン
JP3905322B2 (ja) * 2001-03-05 2007-04-1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サイレントチェーン
CN2547944Y (zh) * 2002-05-24 2003-04-30 宣碧华 一种链条
JP4751599B2 (ja) * 2004-11-11 2011-08-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自動車ボディ組立ライン用昇降装置
WO2006084407A1 (de) * 2005-02-10 2006-08-17 Robert Bosch Gmbh Kurvenbandförderer
US7267222B2 (en) * 2005-08-09 2007-09-11 Habasit Ag Low cost flight attachment for modular belts
JP5022060B2 (ja) 2007-02-28 2012-09-12 森永乳業株式会社 インターロイキン−10産生促進剤
JP4723538B2 (ja) * 2007-06-21 2011-07-1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US7731013B2 (en) * 2008-02-27 2010-06-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chanical workstation skillet lift
US7500555B1 (en) * 2008-06-20 2009-03-10 Miaw Yeou Metal Industry Co., Ltd Link plate for a metal waste convey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6265A (en) * 1991-01-03 1991-11-19 Wu Chia L Chain
JP2000035089A (ja) * 1998-07-17 2000-02-02 Sugiyama Chain Seisakusho:Kk 伝動用ローラチェーン
JP2001132799A (ja) * 1999-11-02 2001-05-18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昇降用リフトチェーン
JP2007309489A (ja) * 2006-05-22 2007-11-29 Tsubakimoto Chain Co 伝動用多列チェ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09216A (en) 2010-03-01
JP5340670B2 (ja) 2013-11-13
DE102009027993A1 (de) 2010-02-25
US20100044190A1 (en) 2010-02-25
US7921986B2 (en) 2011-04-12
KR20100023735A (ko) 2010-03-04
FR2935137B1 (fr) 2013-06-28
CN101654214B (zh) 2013-08-21
CN101654214A (zh) 2010-02-24
JP2010047384A (ja) 2010-03-04
FR2935137A1 (fr) 2010-02-26
TWI461614B (zh) 201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228B1 (ko) 승강 구동용 치합 다열 체인
JP4509165B2 (ja) 昇降駆動用噛合多列チェーン
EP2320109B1 (en) Engagement chain
US7442139B2 (en) Conveyance system
JP4662504B2 (ja) 昇降駆動用噛合チェーン
US8585015B2 (en) Engagement chain
EP2700844B1 (en) Engagement chain unit
JP4662499B2 (ja) 噛合チェーン
US8276738B2 (en) Drive system for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JP4641548B2 (ja)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JP5197155B2 (ja)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JP2009113872A (ja) 昇降駆動用噛合チェーン
US20090247340A1 (en) Chain transmission device
JP5046899B2 (ja) 昇降駆動用噛合チェーン
JP5822703B2 (ja) 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
JP2009249129A (ja)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JP4681022B2 (ja) 昇降駆動用噛合チェーン
JP2010078120A (ja) 昇降駆動用噛合チェーン
JP2013199970A (ja) 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
WO2012046491A1 (ja) 噛合チェ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