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938B1 -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938B1
KR101536938B1 KR1020140106171A KR20140106171A KR101536938B1 KR 101536938 B1 KR101536938 B1 KR 101536938B1 KR 1020140106171 A KR1020140106171 A KR 1020140106171A KR 20140106171 A KR20140106171 A KR 20140106171A KR 101536938 B1 KR101536938 B1 KR 101536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ingots
rail
ingo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호
최현석
서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배산업
Priority to KR102014010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공급하는 다수의 잉곳(B)을 상부에 적층하여 이동할 수 있는 공급부재(110)와; 상기 공급부재(110)의 상부에서 도금욕조(A)의 상부까지 연결하도록 지면에서 일정높이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레일(120)과; 상기 레일(120)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130)와; 상기 이동부재(130)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재(150)와; 상기 높이조절부재(150)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공급부재(110)의 상부에 적층된 잉곳(B)을 들어올려 도금욕조(A)의 내부로 집어넣기 위한 운반부재(160)를 포함하는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수의 잉곳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잉곳을 들어올려서 공중을 통과하여 도금욕조로 운반 및 공급할 수 있으므로 주변설비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넓은 면적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설치환경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잉곳을 집어서 도금욕조의 도금액 상부에 대기하면서 예열할 수 있으므로 용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잉곳을 도금액에 담그는 깊이를 조절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Apparatus supply automatic ingot of Zinc pot}
본 발명은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잉곳을 순차적으로 도금욕조의 내부로 자동으로 공급하되 관련설비의 전용면적을 최소화하여 공간활용 및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곳 자동 공급장치는 도금욕조의 내부에 저장된 도금액을 보충하기 위해서 잉곳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다수의 잉곳을 순차적으로 올려놓아야 하므로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는 지면에 설치한 컨베이어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협소한 장소 및 위치에는 적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넓은 면적이 필요하므로 설치환경이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는 잉곳을 도금욕조의 내부에 바로 공급하는 구조이므로 도금액과 잉곳의 온도차이로 용융효율 및 생산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는 도금액의 저장량 또는 용융효율에 따라서 잉곳을 도금액에 담그는 깊이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17667호(2005.02.23) 한국등록특허 제10-0792747호(2008.01.11) 한국등록특허 제10-0907401호(2009.07.10) 한국등록특허 제10-1201478호(2012.11.1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면에서 일정높이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잉곳을 주변설비의 간섭 및 충돌없이 도금욕조의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잉곳을 집어서 도금욕조의 도금액 상부에 대기하면서 예열할 수 있으므로 용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잉곳을 도금액에 담그는 깊이를 조절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100)는,
외부에서 공급하는 다수의 잉곳(B)을 상부에 적층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급부재(110)와; 상기 공급부재(110)의 상부에서 도금욕조(A)의 상부까지 연결하도록 지면에서 일정높이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레일(120)과; 상기 레일(120)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130)와; 상기 이동부재(130)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재(150)와; 상기 높이조절부재(150)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공급부재(110)의 상부에 적층된 잉곳(B)을 들어올려 도금욕조(A)의 내부로 집어넣기 위한 운반부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재(110)는 지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하는 이동레일(111b)과, 상기 이동레일(111b)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의 바퀴(111a)를 구비하여 이동할 수 있는 운반대차(111)와, 상기 운반대차(111)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바퀴(111a)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11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130)는 상기 레일(12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몸체(131)와; 상기 이동몸체(131)의 양측에 형성하는 보조몸체(132)와; 상기 이동몸체(131)와 보조몸체(132)의 사이에 형성하는 힌지부(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재(150)는 상기 이동부재(130)의 이동몸체(131)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겹치거나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다수의 링크(151)와; 상기 링크(151)의 하부에 형성하는 지지몸체(152)와; 상기 이동몸체(131)의 상부에 일측 설치하는 구동부(153)와; 상기 이동몸체(131)의 상부에 타측 설치하는 제1회전체(154)와; 상기 지지몸체(152)의 상부에 타측 설치하는 제2회전체(155)와; 상기 구동부(153)의 작동으로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제1회전체(154)와 제2회전체(155)를 순환하여 상기 이동몸체(131)의 하부에 연결하는 연결체(15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운반부재(160)는 상기 높이조절부재(150)의 지지몸체(152) 상부 양측에 설치하는 실린더(161)와; 상기 지지몸체(152)의 양측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상기 실린더(161)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잉곳(B)을 집어서 들어올리거나 도금욕조(A)의 내부로 집어넣기 위한 운반체(16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잉곳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잉곳을 들어올려서 공중을 통과하여 도금욕조로 운반 및 공급할 수 있으므로 주변설비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넓은 면적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설치환경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잉곳을 집어서 도금욕조의 도금액 상부에 대기하면서 예열할 수 있으므로 용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잉곳을 도금액에 담그는 깊이를 조절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공급하는 다수의 잉곳(B)을 상부에 적층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급부재(110)와; 상기 공급부재(110)의 상부에서 도금욕조(A)의 상부까지 연결하도록 지면에서 일정높이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레일(120)과; 상기 레일(120)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130)와; 상기 이동부재(130)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재(150)와; 상기 높이조절부재(150)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공급부재(110)의 상부에 적층된 잉곳(B)을 들어올려 도금욕조(A)의 내부로 집어넣기 위한 운반부재(16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공급부재(110)는 외부에서 크레인 또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다수의 잉곳(B)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상태로 상기 운반부재(160)가 잉곳(B)을 순차적으로 집을 수 있도록 좌우 위치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재(110)는 지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하는 이동레일(111b)과, 상기 이동레일(111b)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의 바퀴(111a)를 구비하여 이동할 수 있는 운반대차(111)와, 상기 운반대차(111)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바퀴(111a)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11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운반대차(111)는 지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하는 이동레일(111b)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의 바퀴(111a) 또는 LM블록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운반대차(111)의 일측에는 모터 및 감속기 등과 같은 구동부(1112)를 마련하여 상기 이동레일(111b)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도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상기 공급부재(110)는 상기 운반대치(111)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공급부재(110)가 쉽게 잉곳(B)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유도한다.
아울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재(110)의 지면에 일정넓이와 깊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설치공간(112)과; 상기 설치공간(112)의 지면에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대차(113)와; 상기 이동대차(113)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겹치거나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다수의 링크(114)와; 상기 이동대차(113)의 상부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실린더(115)와; 상기 링크(114)의 상부와 실린더(115)의 상부에 형성하여 상기 운반대차(111)의 하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받침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공간(112)은 상기 운반대차(111)의 위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들이 지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일정넓이와 깊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주변설비와 간섭 및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였다.
여기서 상기 설치공간(112)의 바닥에는 상기 이동대차(113)가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레일(113b)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대차(113)의 하부에 다수의 바퀴(111a) 또는 LM블록 등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레일(113b)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대차(113)의 일측에는 모터 및 감속기 등과 같은 구동부를 마련하여 상기 보조레일(113b)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링크(114)는 상기 실린더(115)의 작동으로 상기 받침부(116)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서로 겹치거나 펼쳐지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15)는 상기 받침부(116)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운반대차(111)의 하부를 맞닿아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운반부재(160)가 잉곳(B)을 집을 수 있도록 지정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운반대차(111)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공급부재(110)가 잉곳(B)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일(120)은 종래와 같이 지면에 설치하는 컨베이어의 구조에 발생하는 주변설비와 간섭 및 설치공간의 협소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잉곳(B)을 간섭없이 공중을 통해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급부재(110)의 상부에서 도금욕조(A)의 상부까지 연결하도록 지면에서 일정높이 떨어지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레일(120)은 도금욕조(A)의 위치에 따라서 잉곳(B)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직선 및 곡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130)는 잉곳(B)을 도금욕조(A)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서 이동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130)는 상기 레일(12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몸체(131)와; 상기 이동몸체(131)의 양측에 형성하는 보조몸체(132)와; 상기 이동몸체(131)와 보조몸체(132)의 사이에 형성하는 힌지부(140)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이동몸체(131) 또는 보조몸체(132)는 상기 레일(12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 양측에 바퀴(133)를 구비하고, 상기 바퀴(133)의 일측에 모터 또는 감속기 등과 같은 구동부(134)를 마련하였다.
아울러 상기 힌지부(140)는 곡선의 레일(130)을 통과할 경우 상기 이동몸체(131) 및 보조몸체(132)가 힌지부(140)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쉽게 꺾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힌지부(140)는 중심축 또는 베어링 등을 사용하여 과부하 및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재(1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운반부재(160)의 높이를 조절하여 잉곳(B)을 도금욕조(A)의 도금액 상부에 대기시켜 예열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잉곳(B)을 도금액에 담그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높이조절부재(150)는 상기 이동부재(130)의 이동몸체(131)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겹치거나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다수의 링크(151)와; 상기 링크(151)의 하부에 형성하는 지지몸체(152)와; 상기 이동몸체(131)의 상부에 일측 설치하는 구동부(153)와; 상기 이동몸체(131)의 상부에 타측 설치하는 제1회전체(154)와; 상기 지지몸체(152)의 상부에 타측 설치하는 제2회전체(155)와; 상기 구동부(153)의 작동으로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제1회전체(154)와 제2회전체(155)를 순환하여 상기 이동몸체(131)의 하부에 연결하는 연결체(156)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링크(151)는 상기 구동부(153)의 작동으로 상기 지지몸체(15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겹치거나 펼쳐지도록 유도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151)는 도금욕조(A)의 내부에 잉곳(B)을 공급하거나 대기시키고 또는 담그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도록 제작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몸체(152)의 하부에는 상기 운반대차(111) 또는 잉곳(B)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57)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부(153)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운반부재(160)가 충돌하지 않고 안전하게 잉곳(B)을 들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53)는 모터 및 감속기 또는 윈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체(156)를 감서나 풀어서 상기 지지몸체(15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회전체(154)와 제2회전체(155) 및 연결체(156)는 풀리 및 벨트 또는 스프로킷 및 체인 또는 풀리 및 로프 등의 조합으로 상기 구동부(153)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지지몸체(15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반부재(160)는 잉곳(B)을 들어올려 도금욕조(A)의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운반부재(160)는 상기 높이조절부재(150)의 지지몸체(152) 상부 양측에 설치하는 실린더(161)와; 상기 지지몸체(152)의 양측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상기 실린더(161)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잉곳(B)을 집어서 들어올리거나 도금욕조(A)의 내부로 집어넣기 위한 운반체(16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61)는 후진작동으로 상기 운반체(162)를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잉곳(B)의 상부에 위치한 후 상기 실린더(161)의 전진작동으로 상기 운반체(162)가 내측으로 회전하면서 잉곳(B)의 하부를 집어서 운반할 수 있다.
삭제
특히 상기 운반체(162)는 고온의 도금액 및 열기에 쉽게 손상되지 않는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잉곳(A)을 주변설비의 간섭없이 공중으로 이동하면서 도금욕조(A)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고 잉곳(B)을 도금욕조(A)의 상부에 대기시켜 예열할 수 있음은 물론 잉곳(B)을 도금욕조(A)의 내부로 담가서 용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
110: 운반부재 111: 운반대차
111a: 바퀴 111b: 이동레일
111c: 구동부
112: 설치공간 113: 이동대차
114: 링크 115: 실린더
116: 받침부
120: 레일
130: 이동부재 131: 이동몸체
132: 보조몸체
140: 힌지부
150: 높이조절부재 151: 링크
152: 지지몸체
153: 구동부 154: 제1회전체
155: 제2회전체 156: 연결체
157: 감지센서
160: 공급부재 161: 실린더
162: 운반체
A: 도금욕조 B: 잉곳

Claims (5)

  1. 외부에서 공급하는 다수의 잉곳(B)을 상부에 적층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급부재(110)와; 상기 공급부재(110)의 상부에서 도금욕조(A)의 상부까지 연결하도록 지면에서 일정높이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레일(120)과; 상기 레일(120)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130)와; 상기 이동부재(130)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재(150)와; 상기 높이조절부재(150)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공급부재(110)의 상부에 적층된 잉곳(B)을 들어올려 도금욕조(A)의 내부로 집어넣기 위한 운반부재(160)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부재(110)는 지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하는 이동레일(111b)과, 상기 이동레일(111b)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의 바퀴(111a)를 구비하여 이동할 수 있는 운반대차(111)와, 상기 운반대차(111)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바퀴(111a)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11c)와, 상기 공급부재(110)의 지면에 일정넓이와 깊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설치공간(112)과; 상기 설치공간(112)의 지면에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대차(113)와; 상기 이동대차(113)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겹치거나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다수의 링크(114)와; 상기 이동대차(113)의 상부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실린더(115)와; 상기 링크(114)의 상부와 실린더(115)의 상부에 형성하여 상기 운반대차(111)의 하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받침부(116)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130)는 상기 레일(12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 양측에 바퀴(133)를 구비하고 상기 바퀴(133)의 일측에 모터 또는 감속기를 포함한 구동부(134)를 마련하는 이동몸체(131)와; 상기 이동몸체(131)의 양측에 형성하여 상기 레일(12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 양측에 바퀴(133)를 구비하고 상기 바퀴(133)의 일측에 모터 또는 감속기를 포함한 구동부(134)를 마련하는 보조몸체(132)와; 상기 이동몸체(131)와 보조몸체(132)의 사이에 곡선의 레일(130)을 통과할 경우 상기 이동몸체(131) 및 보조몸체(132)가 힌지부(140)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쉽게 꺾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힌지부(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조절부재(150)는 상기 이동부재(130)의 이동몸체(131)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겹치거나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다수의 링크(151)와; 상기 링크(151)의 하부에 형성하는 지지몸체(152)와; 상기 이동몸체(131)의 상부에 일측 설치하는 구동부(153)와; 상기 이동몸체(131)의 상부에 타측 설치하는 제1회전체(154)와; 상기 지지몸체(152)의 상부에 타측 설치하는 제2회전체(155)와; 상기 구동부(153)의 작동으로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제1회전체(154)와 제2회전체(155)를 순환하여 상기 이동몸체(131)의 하부에 연결하는 연결체(156)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반부재(160)는 상기 높이조절부재(150)의 지지몸체(152) 상부 양측에 설치하는 실린더(161)와; 상기 지지몸체(152)의 양측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상기 실린더(161)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잉곳(B)을 집어서 들어올리거나 도금욕조(A)의 내부로 집어넣기 위한 운반체(16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06171A 2014-08-14 2014-08-14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 KR101536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171A KR101536938B1 (ko) 2014-08-14 2014-08-14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171A KR101536938B1 (ko) 2014-08-14 2014-08-14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938B1 true KR101536938B1 (ko) 2015-07-20

Family

ID=5387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171A KR101536938B1 (ko) 2014-08-14 2014-08-14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9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211A (ko) 2018-03-22 2019-10-02 유플리드주식회사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KR102038483B1 (ko) 2019-09-11 2019-10-30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도금액 농도 및 레벨 관리 시스템
KR20210078645A (ko) 2019-12-18 2021-06-29 유플리드주식회사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804Y1 (ko) * 2000-06-28 2000-12-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트립 선,후단 불량시트 처리장치
KR20010017274A (ko) * 1999-08-10 2001-03-05 이구택 스트립 아연도금용 잉고트의 도금조 투입장치
KR20050017667A (ko) * 2003-08-01 2005-02-23 주식회사 포스코 교체가 용이한 잉고트 투입장치
KR101425130B1 (ko) * 2013-11-05 2014-08-13 주식회사 리배산업 생산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융아연 도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274A (ko) * 1999-08-10 2001-03-05 이구택 스트립 아연도금용 잉고트의 도금조 투입장치
KR200204804Y1 (ko) * 2000-06-28 2000-12-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트립 선,후단 불량시트 처리장치
KR20050017667A (ko) * 2003-08-01 2005-02-23 주식회사 포스코 교체가 용이한 잉고트 투입장치
KR101425130B1 (ko) * 2013-11-05 2014-08-13 주식회사 리배산업 생산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융아연 도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211A (ko) 2018-03-22 2019-10-02 유플리드주식회사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KR102061273B1 (ko) * 2018-03-22 2019-12-31 유플리드주식회사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KR102038483B1 (ko) 2019-09-11 2019-10-30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도금액 농도 및 레벨 관리 시스템
KR20210078645A (ko) 2019-12-18 2021-06-29 유플리드주식회사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4041B2 (ja) 物品搬送設備
JP5472209B2 (ja) 物品搬送設備
JP4666213B2 (ja) 物品収納設備
CN1468767A (zh) 无人搬运车系统
US8340851B2 (en) Autonomous mobile robot
KR101536938B1 (ko)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
CN110831873B (zh) 搬运系统以及搬运方法
JP2013177242A (ja) 板材搬出入棚装置
WO2018003287A1 (ja) 搬送システム
KR101307993B1 (ko) 워크지지이송장치
WO2019003753A1 (ja)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JP6128085B2 (ja) 昇降装置および補助駆動ユニット
JP2008063033A (ja) 物品搬送装置
CN110391475B (zh) 一种小物料循环倾倒系统
KR101149499B1 (ko) 컨테이너 하역시스템 및 하역방법
KR20190111211A (ko)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JP4941713B2 (ja) 物品搬送装置
JP4626812B2 (ja) 物品搬送設備
JP4716403B2 (ja) 移載装置
JP2007254045A (ja) 移載装置
JP4666224B2 (ja) 物品搬送設備
KR101975776B1 (ko) 편중 방지 기능을 갖는 석재 적재 장치
CN211361545U (zh) 自动上下料机和自动上下料装备
JPH0710240Y2 (ja) 真空炉
JP4984175B2 (ja) 単結晶棒育成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