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273B1 -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273B1
KR102061273B1 KR1020180033027A KR20180033027A KR102061273B1 KR 102061273 B1 KR102061273 B1 KR 102061273B1 KR 1020180033027 A KR1020180033027 A KR 1020180033027A KR 20180033027 A KR20180033027 A KR 20180033027A KR 102061273 B1 KR102061273 B1 KR 102061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got
plating bath
pivot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1211A (ko
Inventor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유플리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플리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플리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3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27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atch coating of substrate
    • C23C2/00322Details of mechanisms for immersing or removing substrate from molten liquid bath, e.g. basket or lifting mechanis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욕조로 근접하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이동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에 장착하여 도금욕조의 외측 및 내측으로 피벗 회전하는 회동유닛; 상기 회동유닛에 장착하여 잉곳을 집어서 도금욕조의 내부로 공급하는 잉곳 공급유닛;을 포함하는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도금욕조의 협소한 공간으로 잉곳을 원활하게 투입하여 주변설비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넓은 면적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설치환경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잉곳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유닛의 작동반경을 최소화하여 작업공간을 폭넓게 확보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Ingot feeder device of zinc pot}
본 발명은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을 갖는 도금욕조의 내부로 잉곳을 간섭없이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곳 공급장치는 도금욕조의 내부에 저장된 도금액을 보충하기 위한 잉곳을 순차적으로 투입(입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잉곳 공급장치는 도금욕조 및 스나우트의 협소한 공간 사이로 잉곳을 간섭없이 투입할 수 없는 구조상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
특히 도금욕조의 주변에 설치하는 드로스 제거설비 등과 장비들과의 간섭으로 지정한 위치로 잉곳을 공급할 수 없으므로 잉곳의 용융시간 및 효율을 저하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잉곳을 집어서 운반하기 위한 집게의 이동반경이 너무 크고 주변설비와 간섭이 발생하여 작업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92143호(2000.09.0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04804호(2000.12.01)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17667호(2005.02.23) 한국등록특허 제10-0792747호(2008.01.11) 한국등록특허 제10-0907401호(2009.07.10) 한국등록특허 제10-1201478호(2012.11.14) 한국등록특허 제10-1425130호(2014.08.13) 한국등록특허 제10-1523216호(2015.05.29) 한국등록특허 제10-1536938호(2015.07.2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을 갖는 도금욕조의 일측으로 잉곳을 원활하게 투입할 수 있는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반경을 최소화하여 잉곳을 공급할 수 있는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는,
도금욕조로 근접하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이동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에 장착하여 도금욕조의 외측 및 내측으로 피벗 회전하는 회동유닛; 상기 회동유닛에 장착하여 잉곳을 집어서 도금욕조의 내부로 공급하는 잉곳 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유닛은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의 양측에 형성하는 롤러;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동몸체의 상부 일측에 회동유닛과 맞닿아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이동몸체의 하부 일측에 회동유닛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돌출부와 맞닿아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의 하부에 형성하는 피벗축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되, 선단에 상기 잉곳 공급유닛이 항상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유도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잉곳 공급유닛은 구동부재의 작동으로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회동축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동유닛을 지정각도로 피벗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은 이동유닛의 일측에 설치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하는 제1회전체;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에 상기 제1회전체와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제2회전체 상기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체; 상기 제2회전체의 일측에 연결하는 제3회전체; 상기 회동축과 연결하여 상기 제3회전체와 맞물리도록 형성하는 제4회전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금욕조의 협소한 공간으로 잉곳을 원활하게 투입하여 주변설비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넓은 면적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설치환경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잉곳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유닛의 작동반경을 최소화하여 작업공간을 폭넓게 확보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금욕조(B)로 근접하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이동하는 이동유닛(110); 상기 이동유닛(110)에 장착하여 도금욕조(B)의 외측 및 내측으로 피벗 회전하는 회동유닛(120); 상기 회동유닛(120)에 장착하여 잉곳(A)을 집어서 도금욕조(B)의 내부로 공급하는 잉곳 공급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유닛(110)은 협소한 도금욕조(B)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도금욕조(B)의 주변에 설치하는 레일(10)을 따라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레일(10)은 도금욕조(B)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 및 다양한 방향을 갖도록 형성하여 도금욕조(B)에서 떨어진 외측에 위치한 잉곳(A)을 도금욕조(B)의 근접위치로 운반할 수 있는 통로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이동유닛(110)은 이동몸체(111); 상기 이동몸체(111)의 양측에 형성하는 롤러(111a); 상기 롤러(111a)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12);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111a)와 구동모터(112)의 사이에는 감속기 및 기어를 설치하여 원활한 이동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12)의 작동으로 상기 롤러(111a)가 회전하면서 레일(10)을 따라서 상기 이동몸체(1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몸체(111)는 상기 회동유닛(120)이 도금욕조(B)의 외측 및 내측으로 피벗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때 상기 이동몸체(111)의 상부 일측에 회동유닛(120)의 일측과 맞닿아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지지부(113); 상기 이동몸체(111)의 하부 일측에 회동유닛(120)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돌출부(123)와 맞닿아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지지부(114);를 포함함으로써,
잉곳(A)을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해서 피벗 회전하는 상기 회동유닛(120)이 수직방향을 유지한 상태에서 더 이상 후방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제1지지부(113)와 맞닿아 정지하고, 또 상기 회동유닛(120)이 도금욕조(B)의 내부로 위치한 상태에서 더 이상 하부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상기 제2지지부(114)와 맞닿아 정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회동유닛(120)과 제1지지부(113)의 사이에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스프링(미 도시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유닛(120)은 상기 이동유닛(110)에 장착하여 도금욕조(B)의 외측 및 내측으로 피벗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상기 회동유닛(120)은 상기 이동유닛(110)의 하부에 형성하는 피벗축(121)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되, 선단에 상기 잉곳 공급유닛(130)이 항상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유도하는 회동축(12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피벗축(121) 및 회동축(122)은 베어링 또는 부시 등을 포함하여 원활한 회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유닛(120)은 평소에는 상기 이동유닛(1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위치하여 주변설비와 간섭 및 충돌을 방지하면서 부피를 최소화하고, 반대로 잉곳(A)을 도금욕조(B)의 내부로 공급할 경우에는 피벗 회전하여 회전반경을 최소화하면서 도금욕조(B)의 내부로 잉곳(A)을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동유닛(120)을 지정각도로 피벗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140)은 이동유닛(110)의 일측에 설치하는 모터(141); 상기 모터(141)의 회전축과 연결하는 제1회전체(142); 상기 이동몸체(111)의 일측에 상기 제1회전체(142)와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제2회전체(143); 상기 제1회전체(142)와 제2회전체(143)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체(144); 상기 제2회전체(143)의 일측에 연결하는 제3회전체(145); 상기 회동축(131)과 연결하여 상기 제3회전체(145)와 맞물리도록 형성하는 제4회전체(146);로 구성한다.
특히 상기 제1회전체(142), 제2회전체(143), 제3회전체(145), 제4회전체(146)는 다양한 형태와 규격을 갖는 스프로킷 또는 기어, 풀리를 적용하여 원활하게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체(144)는 상기 제1회전체(142)와 제2회전체(143)를 서로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체인 또는 벨트를 적용하였다.
따라서 상기 모터(141)의 구동력이 상기 제1회전체(142), 제2회전체(143), 제3회전체(145), 제4회전체(146)를 통해서 순차적으로 전달하여 증속 또는 감속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회동유닛(120)의 피벗 각도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잉곳 공급유닛(130)은 잉곳(A)을 집어서 도금욕조(B)의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잉곳 공급유닛(130)은 구동부재(132)의 작동으로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특히 상기 잉곳 공급유닛(130)은 내열재질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여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잉곳(A)을 집어서 들어올릴 경우에 고리부분이 내측으로 회전하여 잉곳(A)의 외측에 맞닿게 되고, 반대로 잉곳(A)을 도금욕조(B)의 내부로 공급할 경우에는 고리부분이 외측으로 회전하여 잉곳(A)을 분리한다.
여기서 상기 잉곳 공급유닛(130)은 상기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잉곳(A)을 집어서 들어올릴 경우 발생하는 작동공간의 증가와 복잡한 추가 구성이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132)는 상기 잉곳 공급유닛(130)은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 또는 모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곳(A)의 보관위치로 상기 이동유닛(110)이 이동한 후, 상기 회동유닛(120)이 하부방향으로 피벗 회전하여 상기 잉곳 공급유닛(130)이 잉곳(A)의 외측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잉곳 공급유닛(130)이 내측으로 회전하여 잉곳(A)의 외측을 걸어서 들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유닛(120)을 상부방향으로 피벗 회전시켜 상기 잉곳 공급유닛(130) 및 잉곳(A)을 상기 이동유닛(11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들어올려 도금욕조(B)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잉곳 공급유닛(130) 및 잉곳(A)은 상기 이동유닛(110)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주변설비와 충돌 및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유닛(120)이 하부방향으로 피벗 회전하면서 상기 잉곳 공급유닛(130)이 도금욕조(B)의 내부로 들어간 후 상기 잉곳 공급유닛(130)이 외측으로 회전하면서 잉곳(A)을 분리하여 공급작업을 완료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레일
100: 본 발명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110: 이동유닛 111: 이동몸체
111a: 롤러 112: 구동모터
113: 제1지지부 114: 제2지지부
120: 회동유닛 121: 피벗축
122: 회동축 123: 돌출부
130: 잉곳 공급유닛 131: 회동축
132: 구동부재
140: 구동유닛
141: 모터 142: 제1회전체
143: 제2회전체 144: 연결체
145: 제3회전체 146: 제4회전체
A: 잉곳 B: 도금욕조

Claims (7)

  1. 도금욕조로 근접하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이동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에 장착하여 도금욕조의 외측 및 내측으로 피벗 회전하는 회동유닛; 상기 회동유닛에 장착하여 잉곳을 집어서 도금욕조의 내부로 공급하는 잉곳 공급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유닛은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의 양측에 형성하는 롤러;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로 구성하고, 상기 이동몸체의 상부 일측에 회동유닛과 맞닿아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이동몸체의 하부 일측에 회동유닛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돌출부와 맞닿아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의 하부에 형성하는 피벗축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되, 선단에 상기 잉곳 공급유닛이 항상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유도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곳 공급유닛은 구동부재의 작동으로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회동축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을 지정각도로 피벗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7. 삭제
KR1020180033027A 2018-03-22 2018-03-22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KR102061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027A KR102061273B1 (ko) 2018-03-22 2018-03-22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027A KR102061273B1 (ko) 2018-03-22 2018-03-22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211A KR20190111211A (ko) 2019-10-02
KR102061273B1 true KR102061273B1 (ko) 2019-12-31

Family

ID=6842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027A KR102061273B1 (ko) 2018-03-22 2018-03-22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1986A (zh) 2020-03-31 2022-11-18 株式会社大协精工 医疗用注射器芯杆以及医疗用指托
KR102452449B1 (ko) * 2020-11-18 2022-10-11 주식회사 포스코 드로스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130B1 (ko) * 2013-11-05 2014-08-13 주식회사 리배산업 생산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융아연 도금장치
KR101523216B1 (ko) * 2014-08-14 2015-05-29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투입장치
KR101536938B1 (ko) * 2014-08-14 2015-07-20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143Y1 (ko) 1996-09-24 2000-09-01 이구택 아연 도금조의 잉고트 투입 유도장치
KR200204804Y1 (ko) 2000-06-28 2000-12-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트립 선,후단 불량시트 처리장치
KR100792747B1 (ko) 2001-09-27 2008-01-11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아연도금 액 보충장치
KR100907401B1 (ko) 2002-09-05 2009-07-10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아연도금공정의 인고트 투입장치
KR20050017667A (ko) 2003-08-01 2005-02-23 주식회사 포스코 교체가 용이한 잉고트 투입장치
KR101201478B1 (ko) 2010-12-28 2012-11-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마그네슘 잉곳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130B1 (ko) * 2013-11-05 2014-08-13 주식회사 리배산업 생산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융아연 도금장치
KR101523216B1 (ko) * 2014-08-14 2015-05-29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투입장치
KR101536938B1 (ko) * 2014-08-14 2015-07-20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211A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273B1 (ko)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EP2353797B1 (en) Substrate transfer robot and system
KR100964493B1 (ko) 축적식 이송장치
KR20100125034A (ko) 자동차 차체 조립 공정용 리프트
JP6128085B2 (ja) 昇降装置および補助駆動ユニット
CN204872632U (zh) 一种钢管平移装置
JP3600861B2 (ja) 搬送装置及びローラコンベア装置
EP2722139A2 (en) Apparatus equipped with phase maintenance means
KR101536938B1 (ko)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
KR101388804B1 (ko)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KR20130130135A (ko) 벨트의 사행방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석탄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JP2012223861A (ja) ワーク移載装置
JP5320963B2 (ja) チルトハンガーを備えた搬送車
CN107635718B (zh) 一种焊枪角度调整机构及具有该机构的切割装置
JP2010228027A (ja) ねじ締め機
CN208648214U (zh) 一种管片翻转装置及管片翻片机
JP3664415B2 (ja) 地下式駐車装置用ターンテーブル
KR20160122296A (ko) 손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관절 로봇
JP4122794B2 (ja) 吊り下げ搬送設備
KR101489203B1 (ko) 코일 변형방지 이송대차
KR200385908Y1 (ko) 차량 적재 운반용 자동차의 탑재프레임 이송장치
KR102633123B1 (ko)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
KR200321578Y1 (ko) 후크의 수동 이송장치를 갖는 지브 크레인
KR102122939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이송장치의 틸팅동작 진동억제 장치
CN110065799B (zh) 用在自动攻丝前的医疗恒温箱用短轴自动排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