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993B1 - 워크지지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워크지지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993B1
KR101307993B1 KR1020117015002A KR20117015002A KR101307993B1 KR 101307993 B1 KR101307993 B1 KR 101307993B1 KR 1020117015002 A KR1020117015002 A KR 1020117015002A KR 20117015002 A KR20117015002 A KR 20117015002A KR 101307993 B1 KR101307993 B1 KR 101307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op position
transfer
work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9290A (ko
Inventor
분고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65G47/54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at least one of which is a roller-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Relays Between Conveyors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워크지지이송장치는 워크를 제 1 반송라인과 제 2 반송라인과의 사이에서 이송할 수 있음과 함께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도록 제 1 반송라인으로부터 워크를 들어올려서 지지할 수 있도록, 제 1 반송라인의 하방에 설치되는 베이스(10), 베이스 상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워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유닛(20), 베이스 상에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이송할 수 있는 이송유닛(30),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지지유닛 및 이송유닛을 각각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 1 반송라인에 대하여 출몰이 자유롭게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유닛(40)을 포함한다. 이것에 따르면, 워크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는 처리에리어와, 제 1 반송라인으로부터 제 2 반송라인으로의 이송 및 제 2 반송라인으로부터 제 1 반송라인으로의 이송을 행하는 공통의 이송에리어를 하나의 에리어에서 확보할 수 있어서, 설비의 간소화, 설치면적의 공간절약, 생산성의 향상 등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워크지지이송장치{WORK HOLDING AND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기계부품이나 전자기기 등의 생산라인에서, 메인반송라인에 의해 반송되는 워크(work)를 처리스테이션에서 지지(保持)하여 소정의 처리를 시행함과 함께 불량품의 경우에는 리페어라인과 메인반송라인과의 사이에서 워크의 이송(移載)을 행하는 워크지지이송(保持移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계부품이나 전자기기 등의 생산라인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반송라인(ML)에 의해 반송되는 워크(W)는 처리스테이션(WS)에서 정지되어 소정의 처리가 시행된다. 그리고, 워크(W)가 양품(OK품)의 경우에는 그 워크(W)는 메인반송라인(ML)에 의해 하류 측의 다음 공정으로 반송되고, 한편, 워크(W)가 불량품(NG품)의 경우에는 그 워크(W)는 이송장치(TM1)에 의해 메인반송라인(ML)의 반송면 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서브라인(SL)으로 이송되어 리페어스테이션(RS)까지 반송되어 소정의 수정작업이 시행된 후, 이송장치(TM2)에 의해 다시 메인반송라인(ML)으로 복귀되어 하류 측의 다음 공정으로 반송되는 수법이 채용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이송장치(TM1. TM2)로서는 베이스, 베이스에 대하여 승강이 자유롭게 지지된 승강프레임, 승강프레임에 설치된 이송유닛, 구동모터, 원웨이클러치, 및 캠기구 등을 구비하여, 구동모터의 정회전에 의해 캠기구가 작동하여 워크(W)의 리프트동작이 행해지고, 구동모터의 역회전에 의해 이송유닛이 작동하여 워크(W)를 반출할 수 있는 컨베이어용 분기(分岐)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한, 다른 이송장치(TM1, TM2)로서는 하나의 구동모터, 워크(W)를 지지할 수 있는 무단(無端)체인, 무단체인을 장설(張設)하여 회전구동하는 2개의 스프로켓, 스프로켓을 편심시켜서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편심베어링 등을 구비하여, 구동모터를 정회전시키면, 편심베어링 및 스프로켓이 편심회전하고, 무단체인이 상승하여 워크(W)를 지지하여 반출하고, 한편, 구동모터를 역회전시키면, 편심베어링 및 스프로켓이 역방향으로 편심회전하고, 무단체인이 워크(W)를 반입하면서 하강하여 이송하는 컨베이어이송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생산라인에서는, 처리스테이션(WS)에서 소정의 처리만이 행해지고, 불량품의 워크(W)를 서브라인(SL)으로 주고받기 또는 수정완료의 워크(W)를 받기 위해서 전용의 이송장치(TM1, TM2)가 설치되고, 또한, 서브라인(SL)은 이송장치(TM1)로부터 리페어스테이션(RS)을 경유하여 처리스테이션(WS)보다도 상류 측에 위치하는 이송장치(TM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설비가 복잡하고, 설비의 설치면적이 넓어지고, 또한, 워크(W)의 리페어스테이션(RS)의 송출로부터 수정된 워크(W)를 다시 메인반송라인(ML)으로 반입하기까지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져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곤란했다.
일본 특허 공개 평07 - 315562 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 3022763 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설비의 간소화, 구조의 간소화, 공간절약 등을 도모하면서, 특히 리페어 작업을 위한 반송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워크지지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워크지지이송장치는 제 1 반송라인과 제 1 반송라인에 교차하도록 인접하는 제 2 반송라인의 사이에서 워크를 이송할 수 있음과 함께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도록 제 1 반송라인으로부터 워크를 들어올려서 지지할 수 있는 워크지지이송장치에 있어서, 제 1 반송라인의 하방에 설치되는 베이스, 베이스 상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워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유닛, 베이스 상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워크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유닛,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지지유닛 및 이송유닛을 각각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 1 반송라인에 대하여 출몰이 자유롭게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 1 반송라인에 의해 반송되어 온 워크는 이 장치의 베이스 상방에 도달하면, 지지유닛에 의해 들어올려져서 지지되고, 작업자에 의해 소정의 처리가 시행된다. 그리고, 처리를 마친 양품(OK품)은 지지유닛의 하강에 의해 제 1 반송라인으로 복귀되어 하류 측으로 반송된다. 한편, 불량품(NG품)은 지지유닛의 하강에 의해 이송유닛으로 주고받고, 제 2 반송라인으로 향하여 이송된다. 그리고, 소정의 수정작업을 마친 워크는 제 2 반송라인에 의해 반입되어, 이송유닛에 의해 제 1 반송라인으로 이송되어 하류 측으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워크지지이송장치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워크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는 처리에리어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제 1 반송라인으로부터 제 2 반송라인으로의 이송 및 제 2 반송라인으로부터 제 1 반송라인으로의 이송을 행하는 공통의 이송에리어를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설비의 간소화, 설치면적의 공간절약, 생산성의 향상 등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지지유닛은 승강구동유닛에 의해 승강구동됨과 함께 워크를 지지하는 지지테이블을 포함하며, 이송유닛은 지지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양 외측에 배열되고 또한 승강구동유닛에 의해 승강구동됨과 함께 워크를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가동(可動)체를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지지유닛의 지지테이블과 이송유닛의 한 쌍의 이송가동체가 이레꼬(入れ子)형상으로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승강구동될 수 있기 때문에, 각각 점유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경우에 비하여, 공간절약을 달성할 수 있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지지유닛은 워크를 지지하는 지지테이블, 지지테이블로부터 하방으로 신장(伸長)하여 베이스에 승강이 자유롭게 가이드되는 다리부, 승강구동유닛에 계합(係合)하여 승강구동력을 받는 계합부를 포함하고, 이송유닛은 지지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양 외측에 배열된 한 쌍의 이송가동체, 한 쌍의 이송가동체를 구동 또는 워크를 압압(押壓)구동하는 구동기구, 한 쌍의 이송가동체 및 구동기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승강구동유닛에 계합하여 승강구동력을 받는 계합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지지유닛에 있어서는, 승강구동유닛에 의해 계합부를 거쳐서 승강구동력이 미치게 되면, 다리부가 베이스로 승강이 자유롭게 가이드되면서, 지지테이블이 상승하여 워크를 지지하고, 한편, 지지테이블이 하강하여 워크로부터 이탈한다.
또한, 이송유닛에 있어서는 승강유닛에 의해 계합부를 거쳐서 승강구동력이 미치면, 한 쌍의 이송가동체가 상승하여 워크를 지지하고, 구동기구의 구동에 의해 워크의 이송동작이 행해진다. 여기서, 한 쌍의 이송가동체로는 한 쌍의 롤러열 또는 한 쌍의 무단벨트 등을 적용할 수 있고, 구동기구로는 한 쌍의 롤러열 또는 한 쌍의 무단벨트를 회전구동하는 기구 또는 한 쌍의 롤러열이 단지 롤링하는 유전(遊轉)롤러의 경우에 워크를 압압하는 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유닛이 지지테이블, 다리부, 및 계합부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이송유닛이 한 쌍의 이송가동체, 구동기구, 지지프레임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고, 또한, 한 쌍의 이동가동체의 내측에서 지지테이블이 승강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의 집약화에 따른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이송유닛은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다리부를 관통시키는 관통공부를 포함하고, 광통공부는 다리부에 의해 지지프레임이 승강이 자유롭게 가이드되는 피가이드부를 획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관통공부가 피가이드부로서 다리부에 의해 승강이 자유롭게 가이드되기 때문에, 이송유닛을 승강이 자유롭게 가이드하는 전용의 가이드기구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점수의 삭감에 따른 구조의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한 쌍의 이송가동체는 지지프레임에 배열된 한 쌍의 롤러열로 이루어지고, 구동기구는 한 쌍의 롤러열에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전달부와,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구동력전달부에 회전구동력을 미치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한 쌍의 롤러열, 구동력전달부, 및 동력원이 지지프레임에 의해 함께 승강됨과 함께, 구동원의 구동력이 구동력전달부(예를 들면, 치차열, 무단체인 또는 무단벨트, 양측에 있는 롤러를 연결하는 연결샤프트 등)를 거쳐서 한 쌍의 롤러열이 회전구동되어, 워크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승강구동유닛은 베이스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전축, 회전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지지유닛의 계합부에 캠작용을 미치는 지지용 캠, 회전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이송유닛의 계합부에 캠작용을 미치는 이송용 캠. 회전축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구동모터에서 회전축을 적절히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각각 소망의 타이밍으로 지지용 캠의 캠작용에 의해 지지테이블을 승강시키고, 또한, 이송용 캠작용에 의해 한 쌍의 이송가동체를 승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지지용 캠과 이송용 캠은 각각 전용의 캠부재에 형성되어도 되고, 또는, 하나의 캠부재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승강구동유닛이 캠기구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만으로, 지지유닛(지지테이블)과 이송유닛(한 쌍의 이송가동체)을각각 소정의 타이밍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이송용 캠은 회전축의 정회전에 의해 한 쌍의 이송가동체를 제 1 반송라인보다도 하방에서 워크를 이송하지 않는 비이송정지위치로부터 제 1 반송라인보다도 상방에서 워크를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이송정지위치까지 상승시키고, 또한, 회전축의 역회전에 의해 한 쌍의 이송가동체를 이송정지위치로부터 비이송정지위치까지 하강시키는 프로필을 획정하도록 형성되고, 지지용 캠은 회전축의 정회전에 의해 지지테이블을 제 1 반송라인보다도 하방에서 워크를 지지하지 않는 비지지정지위치로부터 이송정지위치보다도 하방의 중간정지위치를 거쳐서 이송정지위치보다도 상방에서 워크를 지지하는 지지정지위치까지 상승시키고, 또한, 회전축의 역회전에 의해 지지테이블을 지지정지위치로부터 중간정지위치를 거쳐서 비지지정지위치까지 하강시키는 프로필을 획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회전축이 소정각도만큼 정회전하면, 한 쌍의 이송가동체가 비이송정지위치로부터 이송정지위치까지 상승하여 워크를 이송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지지테이블이 비지지정지위치로부터 중간정지위치까지 상승하고, 회전축이 다시금 소정각도만큼 정회전하면, 한 쌍의 이송가동체가 이송정지위치에 정류한 상태로, 지지테이블이 지지정지위치까지 상승하여 워크를 지지한다. 한편, 지지정지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회전축이 소정각도만큼 역회전하면, 지지테이블이 하강하여, 워크를 이송정지위치에 있는 한 쌍의 이송가동체로 주고받고, 회전축이 다시금 소정각도만큼 역회전하면, 한 쌍의 이송가동체가 비이송정지위치까지 하강하여 워크를 제 1 반송라인으로 주고받고 또한 지지테이블이 비지지정지위치까지 하강한다. 이와 같이, 회전축의 정회전 및 역회전만으로 한 쌍의 이송가동체 및 지지테이블을 각각 소정의 타이밍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지지용 캠은 회전축의 정회전에 의해, 지지테이블을 제 1 반송라인보다도 하방에서 워크를 지지하지 않는 비지지정지위치로부터 제 1 반송라인보다도 상방에서 워크를 지지하는 지지정지위치까지 상승시키고, 회전축의 역회전에 의해 지지테이블을 지지정지위치로부터 비지지정지위치까지 하강시키는 프로필을 획정하도록 형성되고, 이송용 캠은 회전축의 정회전에 의해 한 쌍의 이송가동체를 제 1 반송라인보다도 하방에서 워크를 이송하지 않는 비이송정지위치에 정류시키고, 또한, 회전축의 역회전에 의해 지지테이블이 비지지정지위치까지 하강한 후에, 한 쌍의 이송가동체를 제 1 반송라인보다도 상방에서 워크를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이송정지위치까지 상승시키는 프로필을 획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회전축이 정회전하면, 한 쌍의 이송가동체가 비이송정지위치에 정류한 상태로, 지지테이블이 비지지정지위치로부터 지지정지위치까지 상승하여 워크를 지지한다. 한편, 지지정지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회전축이 소정각도만큼 역회전하면, 지지테이블이 하강하여 워크를 제 1 반송라인으로 주고받고, 회전축이 추가로 소정각도만큼 역회전하면, 지지테이블이 비지지정지위치까지 하강한 후에, 한 쌍의 이송가동체가 비이송정지위치로부터 이송정지위치까지 상승하여 워크를 이송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와 같이, 회전축의 정회전 및 역회전만으로 한 쌍의 이송가동체 및 지지테이블을 각각 소정의 타이밍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승강구동유닛은 베이스에 고정되어 지지유닛의 계합부에 승강구동력을 미치는 지지용 액츄에이터, 베이스에 고정되어 이송유닛의 계합부에 승강구동력을 미치는 이송용 액츄에이터, 지지용 액츄에이터 및 이송용 액츄에이터를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지지용 액츄에이터의 승강구동에 의해 지지테이블을 승강시키고, 또한, 이송용 액츄에이터의 승강구동에 의해 한 쌍의 이송가동체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구동유닛이 액츄에이터기구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제어수단에 의해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만으로, 지지유닛(지지테이블)과 이송유닛(한 쌍의 이송가동체)을 각각 소정의 타이밍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수단이 지지테이블을 제 1 반송라인보다도 하방에서 워크를 지지하지 않는 비지지정지위치와 제 1 반송라인보다도 상방에서 워크를 지지하는 지지정지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지지용 액츄에이터를 구동제어하고, 한 쌍의 이송가동체를 제 1 반송라인보다도 하방에서 워크를 이송하지 않는 비이송정지위치와 제 1 반송라인보다도 상방에서 워크를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이송정지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이송용 액츄에이터를 구동제어하는 것에 의해, 지지테이블에서 워크를 지지하는 경우는 지지용 액츄에이터의 상승구동에 의해 지지테이블을 비지지정지위치로부터 지지정지위치까지 상승시켜서 워크를 지지하고, 한편, 워크를 이송하는 경우는 이송용 액츄에이터의 상승구동에 의해 한 쌍의 이송가동체를 비이송정지위치로부터 이송정지위치까지 상승시켜서 이송가능하게 워크를 지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수단에 의해, 지지용 액츄에이터 및 이송용 액츄에이터를 구동제어하는 것만으로, 한 쌍의 이송가동체 및 지지테이블을 각각 소정의 타이밍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워크지지이송장치에 따르면, 워크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는 처리에리어와 이송에리어를 공통으로 할 수 있어서, 설비의 간소화, 구조의 간소화, 공간절약 등을 달성하면서, 특히 리페어 작업을 위한 반송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생산라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를 설치한 생산라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생산라인에서, 워크지지이송장치가 설치된 영역에서 메인반송라인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워크지지이송장치에 포함되는 지지용 캠 및 이송용 캠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워크지지이송장치에 포함되는 승강구동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지지용 캠 및 이송용 캠의 프로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지지용 캠 및 이송용 캠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A는 도 13에 도시하는 지지용 캠 및 이송용 캠을 적용한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4B는 도 13에 도시하는 지지용 캠 및 이송용 캠을 적용한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4C는 도 13에 도시하는 지지용 캠 및 이송용 캠을 적용한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5A는 도 13에 도시하는 지지용 캠 및 이송용 캠을 적용한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5B는 도 13에 도시하는 지지용 캠 및 이송용 캠을 적용한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5C는 도 13에 도시하는 지지용 캠 및 이송용 캠을 적용한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를 적용한 생산라인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를 적용한 생산라인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A는 도 18에 도시하는 생산라인에서의 워크지지이송장치 및 메인반송라인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9B는 도 18에 도시하는 생산라인에서의 워크지지이송장치 및 메인반송라인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9C는 도 18에 도시하는 생산라인에서의 워크지지이송장치 및 메인반송라인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20A는 도 18에 도시하는 생산라인에서의 워크지지이송장치 및 메인반송라인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20B는 도 18에 도시하는 생산라인에서의 워크지지이송장치 및 메인반송라인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20C는 도 18에 도시하는 생산라인에서의 워크지지이송장치 및 메인반송라인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워크지지이송장치(M)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방향(T1)으로 워크(W)를 반송하는 제 1 반송라인으로서의 메인반송라인(ML), 메인방송라인(ML)에 교차하도록 인접하여 배치되어 반송방향(T2)으로 워크(W)를 반송하는 서브라인(SL), 서브라인(SL)의 단부영역에 배치된 리페어스테이션(RS, RS') 등을 구비하는 생산라인에 있어서, 메인반송라인(ML)에 서브라인(SL)이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메인반송라인(ML)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방향(T1)으로 신장하는 기부(基部, ML1), 기부(ML1)에 직립하는 다리부(ML2), 다리부(ML2)에 지지되어 반송방향(T1)으로 신장하는 프레임(ML3), 프레인(ML3)에 지지됨과 함께 반송면(Sm)을 획정하는 롤러열(ML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서브라인(SL)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방향(T2)으로 신장하는 기부(SL1), 기부(SL1)에 직립하는 다리부(SL2), 다리부(SL2)에 지지되어 반송방향(T2)으로 신장하는 프레임(SL3), 프레임(SL3)에 지지됨과 함께 메인반송라인(ML)의 반송면(Sm)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반송면(Ss)을 획정하는 롤러열(SL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워크(W)로서는 메인반송라인(ML)에 의해 직접 반송되어 소정의 처리가 시행되는 기계 또는 전자기기 등의 부품, 또는, 트레이에 재치(載置)한 상태로 메인반송라인(ML)에 의해 반송되어 소정의 처리가 시행되는 기계 또는 전자기기 등의 부품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워크지지이송장치(M)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반송라인(ML)의 하방에 설치되는 베이스(10), 베이스(10) 상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워크(W)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유닛(20), 베이스(10) 상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워크(W)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유닛(30), 베이스(10) 상에 설치되어 지지유닛(20) 및 이송유닛(30)을 각각 소정의 타이밍으로 메인반송라인(ML)(의 반송면(Sm))에 대하여 출몰이 자유롭게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유닛(40), 워크(W)를 정지시키는 스토퍼기구(5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1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대(基臺, 11), 2개의 측벽(12), 상벽(13), 4개의 가이드통(14) 등을 구비하고 있다.
기대(1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 사각형을 이루는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반송라인(ML)의 기부(ML1)에 재치되어 위치결정하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용의 설치구를 바닥면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장치(M)를 메인반송라인(ML)에 대하여 용이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2개의 측벽(12)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선(L)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소정간격을 두고서 기대(11)에 입설(立設)되어 있고, 후술하는 로드스토퍼(25b)가 통과하는 위치결정공(12a)을 가지며, 승강구동유닛(40)의 회전축(41)을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측벽(12)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41)의 회전각도위치를 검출하는 복수(여기서는 4개)의 위치센서(45, 46, 47, 48)를 고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벽(13)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륜곽이 약 사각형을 이루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2개의 측벽(12)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벽(13)은 4개의 가이드통(14)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원형개구(13a), 약 대각선상의 2개소의 위치에 형성된 사각형의 관통공(13b)을 구비하고 있다.
4개의 가이드통(14)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대(11)와 상벽(13)의 사이에 설치된 약 사각형의 커버부(14a), 커버부(14a)의 내측에 배치됨과 함께 상벽(13)의 원형개구(13a)에 감합되어 상하방향(V)으로 신장하는 원통형의 가이드통로를 획정하는 원통가이드부(1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가이드통(14)은 지지유닛(20)의 다리부(22)를 원통가이드부(14b)에 의해 승강이 자유롭게 받아들여서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4개의 원통가이드부(14b)가 상벽(13)의 원형개구(13a)에 각각 감합하여 고정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직립도(서로의 평행도)를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지지유닛(20)은 워크(W)에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기 위해 워크(W)를 들어올려서 지지하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 사각형의 평판형을 이루는 지지테이블(21), 지지테이블(21)로부터 하방으로 신장하여 가이드통(14)에 의해 승강이 자유롭게 가이드되는 4개의 다리부(22), 지지테이블(21)의 축선(L) 방향의 양단부 근방으로부터 수하(垂下)하여 (축선(L)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2개의 수하부(23), 수하부(23)의 하단영역에서 축선(L)과 평행한 수평축선 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계합부로서의 2개의 팔로워(24), 지지테이블(21)의 2개소의 모리서부로부터 하방으로 신장하는 2개의 장척부재(長尺部材, 25) 등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테이블(21)은 워크(W)(부품의 위치결정공 또는 팰릿 등의 위치결정공)에 인입하여 워크(W)를 수평방향에서 위치결정하는 4개의 위치결정부(21a)를 가진다.
다리부(22)는 원형단면을 이루는 로드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통(14)에 접동(摺動)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승강이 자유롭게 가이드되도록 되어 있다,
수하부(2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테이블(2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신장하고, 그 하단영역에 팔로워(24)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팔로워(24)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동유닛(40)에 포함되는 지지용 캠부재(42)의 지지용 캠(캠면)(42a)에 회전이 자유롭게 접촉하여, 상하방향(V)으로 승강되는 캠작용을 받도록 형성되어 있다.
장척부재(25)는 약 사각형을 이룸과 함께, 이송유닛(30)의 지지프레임(33)(의 관통공(33a) 및 상벽(13)의 관통공(13b))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척부재(25)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12)의 위치결정공(12a)으로 통과된 로드스토퍼(25b)가 통과하도록, 상하방향(V)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서 3개의 위치결정공(2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3개의 위치결정공(25a) 중, 상방의 위치결정공(25a)에 로드스토퍼(25b)가 통과된 때, 지지테이블(21)은 메인반송라인(ML)의 반송면(Sm)보다도 하방의 비지지정지위치에 위치결정되며, 중간의 위치결정공(25a)에 로드스토퍼(25b)가 통과된 때, 지지테이블(21)은 메인반송라인(ML)의 반송면(Sm)보다도 하방에서 비지지정지위치보다도 상방의 중간정지위치에 위치결정되고, 하방의 위치결정공(25a)에 로드스토퍼(25b)가 통과된 때, 지지테이블(21)은 반송면(Sm)보다도 상방의 지지정지위치에 위치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유닛(20)에서는, 승강구동유닛(40)에 의해 팔로워(24)를 거쳐서 승강구동력이 미치면, 다리부(22)가 베이스(10)(의 가이드통(14))에 승강이 자유롭게 가이드되면서, 지지테이블(21)이 상승하여 워크(W)를 지지하고, 한편, 지지테이블(21)이 하강하여 워크(W)로부터 이탈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유닛(20)이 지지테이블(21), 다리부(22), 및 팔로워(계합부)(2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 장치(M)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테이블(21)은 워크(W)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작업)를 시행하기 쉽게 하기 위해, 경사가능한 틸트구조를 구비해도 된다.
이송유닛(3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테이블(21)을 사이에 두는 양 외측에 배열된 한 쌍의 이송가동체로서의 한 쌍의 롤러열(31), 한 쌍의 롤러열(31)을 회전구동하는 구동기구(32), 한 쌍의 롤러열(31) 및 구동기구(32)를 지지하는 약 사각형 평판형의 지지프레임(33), 지지프레임(33)에 설치되어 다리부(22)를 접동이 자유롭게 통과시키는 피가이드부로서의 4개의 관통공부(34), 지지프레임(33)으로부터 수하하여 축선(L)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2개의 수하부(35), 수하부(35)의 하단영역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계합부로서의 2개의 팔로워(36), 지지프레임(33)의 2개소의 모서리부로부터 하방으로 신장하는 2개의 장척부재(37) 등을 구비하고 있다.
롤러열(31)은, 각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스프로켓에 무단체인이 감겨 걸쳐져서 회전구동이 전달되는 4개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일방 측의 롤러열(31)에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면, 연결샤프트(31a)를 거쳐서 타방 측의 롤러열(31)에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동기구(32)는 일방 측의 롤러열(31)에 인접하여 배치된 구동모터(32a), 구동모터(32a)에 의해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는 전달부(32b) 등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프레임(33)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척부재(25)를 승강이 자유롭게 통과시키는 2개의 관통공(33a), 팔로워(24) 및 수하부(23)를 승강이 자유롭게 통과시키는 2개의 개구부(33b)를 가진다.
관통공부(3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부(22)를 상하방향(V)으로 접동이 자유롭게 받아들이는 감합공(嵌合孔)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송유닛(30)이 지지유닛(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하도록 가이드되는 피가이드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수하부(35)는,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3)의 축선(L) 방향의 양단부 근방으로부터 수하하여 소정 길이만큼 신장하고, 그 하단영역에서 축선(L)과 평행한 수평축선 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팔로워(36)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팔로워(36)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동유닛(40)에 포함되는 이송용 캠부재(43)의 이송용 캠(캠면)(43a)에 회전이 자유롭게 접촉하여, 상하방향(V)으로 승강되는 캠작용을 받도록 형성되어 있다.
장척부재(37)는 약 사각형 단면을 이룸과 함께, 지지유닛(20)의 장척부재(25)에 인접하여, 상벽(13)의 관통공(13b)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척부재(37)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12)의 위치결정공(12a)으로 통과된 로드스토퍼(25b)가 통과하도록, 상하방향(V)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서 2개의 위치결정공(3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위치결정공(37a) 중, 상방의 위치결정공(37a)에 로드스토퍼(25b)가 통과된 때, 롤러열(31)은 메인반송라인(ML)의 반송면(Sm)보다도 하방의 비이송정지위치에 위치결정되고, 하방의 위치결정공(37a)에 로드스토퍼(25b)가 통과된 때, 롤러열(31)은 반송면(Sm)보다도 상방의 이송정지위치에 위치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이송유닛(30)에서는 승강구동유닛(40)에 의해 팔로워(36)를 거쳐서 승강구동력이 미치면 한 쌍의 롤러열(31)이 상승하여 워크(W)를 지지하고, 구동기구(32)의 회전구동에 의해 워크(W)의 이송동작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이송유닛(30)이 한 쌍의 롤러열(31), 구동기구(32), 관통공부(34)를 가지는 지지프레임(33)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고, 또한, 한 쌍의 롤러열(31)의 내측에서 지지테이블(21)이 승강이 자유롭게 되도록, 이레꼬형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의 집약화에 따른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한 쌍의 이송가동체로서 한 쌍의 롤러열(31)을 채용했지만, 한 쌍의 롤러열(31) 대신에 한 쌍의 무단벨트를 적용해도 된다, 또한, 구동기구로서는, 한 쌍의 롤러가 단지 롤링하는 유전롤러의 경우에 있어서, 워크(W)를 반송방향(T2)으로 압출 또는 압입하도록 압압구동하는 기구(압압기구 등)를 적용해도 된다.
상기 지지유닛(20) 및 이송유닛(30)을 구비하는 구성에서, 로드스토퍼(25b)를 이용하여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은, 통상의 작업시가 아니라, 메인티넌스작업 등의 특정의 작업을 행할 때에, 지지테이블(21)이나 이송유닛(30)의 롤러열(31)을 상하방향(V)에 있어서의 특정의 위치에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승강구동유닛(40)은, 도 4, 도 5,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41), 회전축(41)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2개의 지지용 캠부재(42), 회전축(41)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2개의 이송용 캠부재(43), 회전축(41)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44), 회전축(41)의 회전각도위치를 검출하는 4개의 위치센서(45, 46, 47, 48), 다양한 구동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41)은,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신장하는 축선(L)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베이스(10)의 2개의 측벽(12)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41)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일단부에 일체적으로 회전함과 함께 4개의 위치센서(45 ~ 48)와 각각 근접하여 대향할 수 있는 검출편(41a)을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지지용 캠부재(42)는 축선(L)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회전축(41)에 고착(固着)되어 있고, 각각 지지유닛(20)의 팔로워(24)와 접촉하여 캠작용을 미치는 지지용 캠(42a), 지지유닛(20)이 소정 높이보다도 하강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재(42b)를 가진다.
지지용 캠(42a)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41)의 정회전(도 5에서는 반시계방향, 도 8에서는 시계방향)에 의해, 지지테이블(21)을 메인반송라인(ML)보다도 하방에서 워크(W)를 지지하지 않는 비지지정지위치(P1)로부터 후술하는 이송용 캠(43a)에 따른 이송정지위치(P4)보다도 하방의 중간정지위치(Pm)를 거쳐서 이송정지위치(P4)보다도 상방에서 워크(W)를 지지하는 지지정지위치(P2)까지 상승시키고, 또한, 회전축(41)의 역회전(도 5에서는 시계방향, 도 8에서는 반시계방향)에 의해, 지지테이블(21)을 지지정지위치(P2)로부터 중간정지위치(Pm)를 거쳐서 비지지정지위치(P1)까지 하강시키는 프로필을 획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용 캠(42a)의 프로필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어서 설명하는 (10개소의) 캠영역(A1 ~ A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각각의 캠영역(A1 ~ A10)은,
A1 : 비지지정지위치(P1)의 근방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으로,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서 거의 일정한 캠높이로 형성되며, 경사가 완만한 캠영역,
A3 : 메인반송라인(ML)의 반송면높이위치(Po)의 근방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으로,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서 거의 일정한 캠높이로 형성되며, 경사가 완만한 캠영역,
A5 : 중간정지위치(Pm)의 근방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으로,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서 거의 일정한 캠높이로 형성되며, 경사가 완만한 캠영역,
A7 : 이송정지위치(P4)의 근방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으로,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서 거의 일정한 캠높이로 형성되며, 경사가 완만한 캠영역,
A9 : 지지정지위치(P2)의 근방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으로,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서 거의 일정한 캠높이로 형성되며, 경사가 완만한 캠영역,
A2 : 캠영역(A1)과 캠영역(A3)의 사이에 위치하고, 캠영역(A1) 및 캠영역(A3)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경사가 가파른 캠영역,
A4 : 캠영역(A3)과 캠영역(A5)의 사이에 위치하고, 캠영역(A3) 및 캠영역(A5)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경사가 가파른 캠영역,
A6 : 캠영역(A5)과 캠영역(A7)의 사이에 위치하고, 캠영역(A5) 및 캠영역(A7)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경사가 가파른 캠영역,
A8 : 캠영역(A7)과 캠영역(A9)의 사이에 위치하고, 캠영역(A7) 및 캠영역(A9)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경사가 가파른 캠영역,
A10 : 캠영역(A9)에 연속하며 또한 소정의 각도에 걸쳐서 일정의 캠높이에 형성된 캠영역이다.
그리고, 지지유닛(20)은 캠영역(A1, A3, A5, A7, A9)에서 서서히 감속되어 상승(또는 하강)하고, 위치(P1, Po, Pm, P4, P2)에 정지하여 위치결정되고, 또한, 캠영역(A1, A3, A5, A7, A9)에서 서서히 증속(增速)되어 상승(또는 하강)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규제부재(42b)는 지지용 캠부재(42)가 역회전하여 지지유닛(20)이 지지정지위치(P2)로부터 비지지정지위치(P1)에 근접하면, 도 8의 (P1, P3)의 각도위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3)의 하면에 당접하여, 지지프레임(33)이 추가로 하강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2개의 이송용 캠부재(43)는 축선(L)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2개의 지지용 캠부재(42)의 외측에 배치되어 회전축(41)에 고착되어 있고, 각각 이송유닛(30)의 팔로워(36)와 접촉하여 캠작용을 미치는 이송용 캠(43a)을 가진다.
이송용 캠(43a)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41)의 정회전(도 5에서는 반시계 방향, 도 8에서는 시계방향)에 의해, 한 쌍의 롤러열(31)을 메인반송라인(ML)보다도 하방에서 워크(W)를 이송하지 않는 비이송정지위치(P3)로부터 메인반송라인(ML)보다도 상방에서 워크(W)를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이송정지위치(P4)까지 상승시키고, 또한, 회전축(41)의 역회전(도 5에서는 시계방향, 도 8에서는 반시계방향)에 의해, 한 쌍의 롤러열(31)을 이송정지위치(P4)로부터 비이송정지위치(P3)까지 하강시키는 프로필을 획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송용 캠(43a)의 프로필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어서 설명하는 (6개소의) 캠영역(B1 ~ B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각각의 캠영역(B1 ~ B6)은,
B1 : 비이송정지위치(P3)의 근방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으로,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서 거의 일정한 캠높이로 형성되며, 경사가 완만한 캠영역,
B3 : 메인반송라인(ML)의 반송면높이위치(Po)의 근방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으로,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서 거의 일정한 캠높이로 형성되며, 경사가 완만한 캠영역,
B5 : 이송정지위치(P4)의 근방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으로,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서 거의 일정한 캠높이로 형성되며, 경사가 완만한 캠영역,
B2 : 캠영역(B1)과 캠영역(B3)의 사이에 위치하고, 캠영역(B1) 및 캠영역(B3)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경사가 가파른 캠영역,
B4 : 캠영역(B3)과 캠영역(B5)의 사이에 위치하고, 캠영역(B3) 및 캠영역(B5)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경사가 가파른 캠영역,
B6 : 캠영역(B5)에 연속하며, 또한 소정의 각도에 걸쳐서 일정한 캠높이에 형성된 캠영역이다.
그리고, 이송유닛(30)은 캠영역(B1, B3, B5)에서 서서히 감속되어 상승(또는 하강)하고, 위치(P1, Po, P4)에 정지하여 위치결정되고, 또한, 캠영역(B1, B3, B5)에서 서서히 증속되어 상승(또는 하강)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용 캠(42a)과 이송용 캠(43a)의 캠면 높이의 관계에 있어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센서(45)의 위치로부터 위치센서(47)의 위치까지의 각도영역에서는, 지지용 캠(42a)이 이송용 캠(43a)의 캠면 높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위치센서(47)의 위치로부터 위치센서(48)의 위치까지의 각도영역에서는, 지지용 캠(42a)이 이송용 캠(43a)의 캠면 높이 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더욱이 위치센서(47)의 위치에서는, 지지용 캠(42a)과 이송용 캠(43a)의 캠면 높이는 동일(높이 P4)하게 된다.
구동모터(44)는, 도 4, 도 5,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기대(1))에 고정되어 있고, 감속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회전축(41)에 회전구동력을 미치도록 되어 있다.
위치센서(45, 46, 47, 48)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측벽(12)에 대하여 원주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또한, 회전축(41)의 검출편(41a)과 근접하여 대향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위치센서(45)는 회전축(41)이 초기위치, 즉, 지지유닛(20)이 비지지정지위치(P1)에 위치하고 및 이송유닛(30)이 비이송정지위치(P3)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위치센서(46)는 회전축(41)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 각도위치, 즉, 지지유닛(20)이 중간정지위치(Pm)에 위치하고 및 이송유닛(30)이 이송정지위치(P4)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위치센서(47)는 회전축(41)이 추가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 각도위치, 즉, 지지유닛(20)이 이송유닛(30)의 이송정지위치(P4)와 동일의 높이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위치센서(48)는 회전축(41)이 추가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 각도위치, 즉, 이송유닛(30)이 이송정지위치(P4)에 정류한 상태로, 지지유닛(20)이 지지정지위치(P2)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44)에서 회전축(41)을 적절히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각각 소망의 타이밍으로 지지용 캠(42a)의 캠작용에 의해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을 승강시키고, 또한, 이송용 캠(43a)의 캠작용에 의해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을 승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지지용 캠(42a)과 이송용 캠(43)은 각각 전용의 캠부재(지지용 캠부재(42), 이송용 캠부재(43))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하나의 캠부재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승강구동유닛(40)이 캠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모터(44)의 회전(정회전, 역회전)을 제어하는 것만으로,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과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을 각각 소정의 타이밍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스토퍼기구(5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상벽(13)에 설치되어 있고, 메인반송라인(ML)의 반송면(Sm)에 대하여 상하방향(V)으로 출몰이 자유로운 스토퍼(51), 스토퍼(51)를 상하구동하는 구동액츄에이터(52), 메인반송라인(ML)에 의해 반송되어 온 워크(W)가 워크지지이송장치(M)(베이스(10))의 바로 위의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위치센서(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스토퍼기구(50)는 워크(W)가 위치센서에 의해 검출되면, 구동액츄에이터(52)가 작동하여, 스토퍼(51)가 메인반송라인(ML)의 반송면(Sm)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워크(W)를 정지시킨다. 한편, 소정의 지령신호에 의해, 구동액츄에이터(52)가 스토퍼(51)를 메인반송라인(ML)의 반송면(Sm)으로부터 하방으로 투입시키면, 워크(W)의 하류 측으로의 반송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이 워크지지이송장치(M)의 동작에 대해서, 도 10A 내지 도 12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워크지지이송장치(M)가 설치된 생산시스템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반송라인(ML)의 반송면(Sm)보다도 서브라인(SL)의 반송면(Ss)이 높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먼저,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은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하방의 비지지재정지위치(P1)에 정지하고 있다. 이 대기상태에서, 워크(W)가 메인반송라인(ML)에 의해 반송되어 장치(M)의 바로 위에 도달하면, 스토퍼기구(50)의 정지동작에 의해 워크(W)가 정지한다.
이어서,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동유닛(40)의 상승구동에 의해,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이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상방의 이송정지위치(P4)까지 상승하여 워크(W)를 메인반송라인(ML)으로부터 들어올려서 이송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이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상방에서 또한 이송정지위치(P4)보다도 하방의 중간정지위치(Pm)까지 상승하여 정지한다.
이어서,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동유닛(40)의 상승구동에 의해,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이 이송정지위치(P4)에 정류한 상태로,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이 이송정지위치(P4)보다도 상방의 지지정지위치(P2)까지 상승하여, 워크(W)를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으로부터 받아서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워크(W)에 대해서 소정의 처리가 시행된다. 또한, 지지테이블(21)이 틸트기구를 구비하는 경우는 지지테이블(21)을 적절히 경사시켜서 소정의 처리를 시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동유닛(40)의 하강구동에 의해,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이 지지정지위치(P2)로부터 이송정지위치(P4)보다도 하방의 중간정지위치(Pm)까지 하강하여, 워크(W)를 이송정지위치(P4)에 정지한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으로 주고받는다.
여기서, 워크(W)가 양품(OK품)의 경우에는,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동유닛(40)의 하강구동에 의해,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0)이 이송정지위치(P4)로부터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하방의 비이송정지위치(P3)까지 하강하여 워크(W)를 메인반송라인(ML)으로 주고받음과 함께,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이 중간정지위치(Pm)로부터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하방의 비지지정지위치(P1)까지 하강한다. 그리고, 스토퍼기구(50)의 해제동작에 의해, 워크(W)는 메인반송라인(ML)을 따라서 하류 측으로 반송된다.
한편, 워크(W)가 불량품(NG품)의 경우에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송정지위치((P4)에서 워크(W)를 받은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이,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워크(W)를 서브라인(SL)을 향하여 반출한다.
그 후, 승강구동유닛(40)의 하강구동에 의해,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이 이송정지위치(P4)로부터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하방의 비이송정지위치(P3)까지 하강하고,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이 중간정지위치(Pm)로부터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하방의 비지지정지위치(P1)까지 하강한다.
이어서,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페어스테이션(RS)에서 수정작업이 시행된 워크(W)가 서브라인(SL)에 의해 다시 반입되어 오면,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동유닛(40)의 상승구동에 의해,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이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상방의 이송정지위치(P4)까지 상승하여 워크(W)를 서브라인(SL)으로부터 받아서 지지함과 함께,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이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상방에서 또한 이송정지위치(P4)보다도 하방의 중간정지위치(Pm)까지 상승하여 정지한다.
이어서,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동유닛(40)의 하강구동에 의해,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이 이송정지위치(P4)로부터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하방의 비이송정지위치(P3)까지 하강하여 워크(W)를 메인반송라인(ML)으로 주고받음과 함께,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이 중간정지위치(Pm)로부터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하방의 비지지정지위치(P1)까지 하강한다. 그리고, 스토퍼기구(50)의 해제동작에 의해, 워크(W)는 메인반송라인(ML)을 따라 하류 측으로 반송된다.
또한, 별도의 동작시쿼스로서,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페어스테이편(RS)에서 수정작업이 시행된 워크(W)가 서브라인(SL)에 의해 다시 반입된 후에, 수작업 등을 시행하는 경우는,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동유닛(40)의 상승구동에 의해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이 이송정지위치(P4)에 정류한 상태로,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이 이송정지위치(P4)보다도 상방의 지지정지위치(P2)까지 상승하여 워크(W)를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으로부터 받아서 지지한다. 그리고, 워크(W)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가 시행된다.
그 후, 도 12B로부터 도 12C의 동작을 거쳐서, 수작업이 시행된 워크(W)는 메인반송라인(ML)을 따라서 하류 측으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워크지지이송장치(M)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워크(W)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는 처리에리어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메인반송라인(ML)으로부터 서브라인(SL)으로의 이송 및 서브라인(SL)으로부터 메인반송라인(ML)으로의 이송을 행하는 공통의 이송에리어를 확보할 수 있어서, 설비의 간소화, 설치면적의 공간절약, 생산성의 향상 등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지지용 캠부재(지지용 캠) 및 이송용 캠부재(이송용 캠)를 변경한 이외에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워크지지이송장치(M)는 상술한 지지용 캠부재(42) 및 이송용 캠부재(43) 대신에 지지용 캠부재(42') 및 이송용 캠부재(43')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용 캠부재(42')는 지지유닛(20)의 팔로워(24)에 접촉하여 상하방향(V)으로 승강시키는 캠작용을 미치는 지지용 캠(42a')을 가진다.
이송용 캠부재(43')는 이송유닛(30)의 팔로워(36)에 접촉하여 상하방향(V)으로 승강시키는 캠작용을 미치는 이송용 캠(43')을 가진다.
지지용 캠(42')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41)의 정회전(도 13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기점 θo으로부터 θ1를 거쳐서 θ2까지의 회전)에 의해, 지지테이블(21)을 메인반송라인(ML)보다도 하방에서 워크(W)를 지지하지 않은 비지지정지위치(P1)로부터 메인반송라인(ML)보다도 상방에서 워크(W)를 지지하는 지지정지위치(P2)까지 상승시키고, 회전축(41)의 역회전(도 13에서는 시계방향으로 θ2로부터 θ1 및 기점 θo을 거쳐서 θ3까지의 회전)에 의해, 지지테이블(21)을 지지정지위치(P2)로부터 비지지정지위치(P1)까지 하강시키는 프로필을 획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용 캠(42a')의 프로필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지지정지위치(P1)를 설정하도록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서 일정의 캠높이를 이루는 캠영역(C1), 메인반송라인(ML)의 반송면높이위치(Po)의 근방 영역에서 경사가 완만한 완화곡선을 이루는 캠영역(C2), 지지정지위치(P2)를 설정하도록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서 일정의 캠높이를 이루는 캠영역(C3)을 획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송용 캠(43a')은 회전축(41)의 정회전(도 13에서는 반시계반시계방향으로 기점 θo으로부터 θ1를 거쳐서 θ2까지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롤러열(31)을 메인반송라인(ML)보다도 하방에서 워크(W)를 이송하지 않는 비이송정지위치(P3)에 정류시키고, 또한, 회전축(41)의 역회전(도 13에서는 시계방향으로 θ2로부터 θ1 및 기점 θo을 거쳐서 θ3까지의 회전)에 의해, 지지테이블(21)이 비지지정지위치(P1)까지 하강한 후에, 한 쌍의 롤러열(31)을 메인반송라인(ML)보다도 상방에서 워크(W)를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이송정지위치(P4)까지 상승시키는 프로필을 획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이송용 캠(43a')의 프로필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이송정지위치(P3)를 설정하도록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일정의 캠높이를 이루는 캠영역(D1), 이송정지위치(P4)를 설정하도록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서 일정의 캠높이를 이루는 캠영역(D2), 캠영역(D1)과 캠영역(D2)의 사이에서 경사를 이루는 캠영역을 획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41)이 정회전(도 13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기점 θo으로부터 θ1를 거쳐서 θ2까지의 회전)하면, 한 쌍의 롤러열(31)이 비이송정지위치(P3)에 정류한 상태로, 지지테이블(21)(팔로워(24))이 비지지정지위치(P1)로부터 지지정지위치(P2)까지 상승하여 워크(W)를 지지하고, 한편, 지지정지위치(P2)에 있는 상태로부터, 회전축(41)이 소정각도만큼 역회전하면, 지지테이블(21)이 하강하여 워크(W)를 메인반송라인(ML)으로 주고받고, 회전축(41)이 추가로 소정각도만큼 역회전(도 13에서는 시계방향으로 θ2로부터 θ1 및 기점 θo을 거쳐서 θ3까지의 회전)하면, 지지테이블(21)이 비지지정지위치(P1)까지 하강한 후에, 한 쌍의 롤러열(31)이 비이송정지위치(P3)로부터 이송정지위치(P4)까지 상승하여 워크(W)를 이송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이 워크지지이송장치(M)의 동작에 대해서, 도 14A 내지 도 1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은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하방의 비지지정지위치(P1)에 정지하고, 이송유닛(30)은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하방의 비이송정지위치(P3)에 정지하고 있다. 이 대기상태에서, 워크(W)가 메인반송라인(ML)에 의해 반송되어 장치(M)의 바로 위에 도달하면, 스토퍼기구(50)의 정지동작에 의해 워크(W)가 정지한다.
이어서,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동유닛(40)의 상승구동에 의해,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이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상방의 지지정지위치(P2)까지 상승하여 워크(W)를 메인반송라인(ML)으로부터 받아서 지지한다. 또한, 이송유닛(30)(한 쌍이 롤러열(31))은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하방의 비이송정지위치(P3)에 정류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워크(W)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가 시행된다. 또한, 지지테이블(21)이 틸트기구를 구비하는 경우는, 지지테이블(21)을 적절히 경사시켜서 소정의 처리를 시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동유닛(40)의 하강구동에 의해,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이 지지정지위치(P2)로부터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하방의 비지지정지위치(P1)까지 하강하여, 워크(W)를 메인반송라인(ML)으로 주고받는다.
여기서, 워크(W)가 양품(OK품)의 경우에는, 도 1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기구(50)의 해제동작에 의해, 워크(W)는 메인반송라인(ML)을 따라서 하류 측으로 반송된다.
한편, 워크(W)가 불량품(NG품)의 경우에는, 도 1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이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하방의 비지지정지위치(P1)까지 하강하여, 메인반송라인(ML) 위에 워크(W)를 재치한 상태로부터 승강구동유닛(40)의 상승(역회전)구동에 의해,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이 비이송정지위치(P3)로부터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상방의 이송정지위치(P4)까지 상승하여, 워크(W)를 메인반송라인(ML)으로부터 받아서 이송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페어스테이션(RS)에서 수정작업이 시행된 워크(W)가 서브라인(SL)에 의해 다시 반입되어 오면, 이송정지위치(P4)에 정류하고 있던 또는 승강구동유닛(40)의 상승(역회전)구동에 의해 이송정지위치(P4)에 위치하는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이 워크(W)를 서브라인(SL)으로부터 받아서 지지한다.
이어서, 도 1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동유닛(40)의 하강구동에 의해,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이 이송정지위치(P4)로부터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하방의 비이송정지위치(P3)까지 하강하여 워크(W)를 메인반송라인(ML)으로 주고받는다. 그리고, 스토퍼기구(50)의 해제동작에 의해, 워크(W)는 메인반송라인(ML)을 따라 하류 측으로 반송된다.
또한, 별도의 동작 시쿼스로서,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페어스테이편(RS)에서 수정작업이 시행된 워크(W)가 서브라인(SL)에 의해 다시 반입된 후에, 수작업 등을 시행하는 경우는,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동유닛(40)의 상승구동에 의해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이 이송정지위치(P4)에 정류한 상태로,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이 이송정지위치(P4)보다도 상방의 지지정지위치(P2)까지 상승하여 워크(W)를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으로부터 받아서 지지한다. 그리고, 워크(W)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가 시행된다.
그 후, 도 14C의 동작을 거쳐서, 수작업이 시행된 워크(W)는 메인반송라인(ML)을 따라서 하류 측으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워크지지이송장치(M)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워크(W)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는 처리에리어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메인반송라인(ML)으로부터 서브라인(SL)으로의 이송 및 서브라인(SL)으로부터 메인반송라인(ML)으로의 이송을 행하는 공통의 이송에리어를 확보할 수 있어서, 설비의 간소화, 설치면적의 공간절약, 생산성의 향상 등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승강구동유닛을 변경한 이외에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이 실시형태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M)는 베이스(10'), 지지테이블(21) 및 계합부(24')를 포함하는 지지유닛(20'), 한 쌍의 롤러열(31) 및 구동기구(32)와 함께 계합부(36')를 포함하는 이송유닛(30'), 지지유닛(20')과 이송유닛(30')을 승강구동하는 승강구동유닛(14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구동유닛(140)은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지지유닛(20')의 계합부(24')에 승강구동력을 미치는 지지용 액츄에이터(142),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이송유닛(30')의 계합부(36')에 승강구동력을 미치는 이송용 액츄에이터(143), 지지용 액츄에이터(142) 및 이송용 액츄에이터(143)를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용 액츄에이터(142)는 그 승강구동에 의해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을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송용 액츄에이터(143)는 그 승강구동에 의해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을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용 액츄에이터(142) 및 이송용 액츄에이터(143)로서는, 공기압 또는 유압, 혹은 전자구동력 등을 이용하는 액츄에이터를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수단에 의해, 지지테이블(21)을 메인반송라인(ML)보다도 하방에서 워크(W)를 지지하지 않는 비지지정지위치(P1)와 메인반송라인(ML) 보다도 상방에서 워크를 지지하는 지지정지위치(P2)에 위치시키도록, 지지용 액츄에이터(142)가 구동제어되고, 또한, 한 쌍의 롤러열(31)을 메인반송라인(ML)보다도 하방에서 워크(W)를 이송하지 않는 비이송정지위치(P3)와 메인반송라인(ML) 보다도 상방에서 워크(W)를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이송정지위치(P4)에 위치시키도록 이송용 액츄에이터(143)가 구동제어된다.
이와 같이, 승강구동유닛(40)이 액츄에이터기구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제어수단에 의해, 지지용 액츄에이터(142) 및 이송용 액츄에이터(143)를 구동제어하는 것만으로, 한 쌍의 롤러열(31) 및 지지테이블(21)을 각각 소정의 타이밍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M)를 적용한 다른 생산시스템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생산시스템에서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반송라인(ML), 메인반송라인(ML)에 교차하도록 서로 대향하도록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서브라인(SL) 및 리페어스테이션(RS), 워크지지이송장치(M)가 배치된 영역에서, 자동적으로 소정의 작업을 시행하도록 배치된 자동처리기(AM)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생산시스템에서는, 메인반송라인(ML)에 의해 워크(W)가 장치(M)의 바로 위로 반송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유닛(20)이 작동하여 워크(W)의 지지동작이 행해져서 자동처리기(AM)에 의해 소정의 작업이 시행되고, OK품의 경우에는 워크(W)는 다시 메인반송라인(ML)으로 복귀하여 하류 측으로 반송되고, 한편, NG품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유닛(30)이 작동하여 워크(W)를 서브라인(SL)으로 이송하는 이송동작이 행해지고, 그 후 소정의 수정작업이 시행된 후, 워크(W)는 서브라인(SL)으로부터 다시 메인반송라인(ML)으로 이송되어, 하류 측으로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워크(W)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는 처리에리어와 이송에리어를 공통으로 할 수 있어서, 설비의 간소화, 구조의 간소화, 공간절약 등을 달성하면서, 특히 리페어작업을 위한 반송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지지이송장치(M)를 적용한 또 다른 생산시스템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생산시스템에서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가능하게 분할하여 형성된 분할반송라인(ML')을 포함하는 메인반송라인(ML), 메인반송라인(ML)(의 분할반송라인(ML'))에 교차하도록 인접하여 배치된 서브라인(SL), 서브라인(SL)의 선단영역에 배치된 리페어스테이션(RS)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분할반송라인(ML')의 하방에 워크지지이송장치(M)가 배치되어 있고, 분할반송라인(ML')은 소정의 승강구동기구에 의해 승강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 생산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도 19A 내지 도 2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은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하방의 정지위치에 정지하고, 이송유닛(30)은 반송면높이위치(Po)보다도 하방의 정지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이 대기상태에서 워크(W)가 메인반송라인(ML)에 의해 반송되어 분할반송라인(ML') 위에 도달하면, 분할반송라인(ML')에 설치된 스토퍼기구의 정지동작에 의해 워크(W)가 정지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은 이송유닛(30)(한 쌍의 롤러열(31)) 보다도 높은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이어서,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반송라인(ML')이 하강하면, 워크(W)가 지지유닛(20)(지지테이블(21))에 의해 이송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워크(W)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가 시행된다. 또한, 지지테이블(21)이 틸트기구를 구비하는 경우는, 지지테이블(21)을 적절히 경사시켜서 소정의 처리를 시행할 수 있다.
그리고, 워크(W)가 양품(OK품)의 경우에는, 도 1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반송라인(ML')이 초기의 높이위치(메인반송라인(ML)의 반송면높이위치)까지 상승하여, 워크(W)를 지지유닛(20)으로부터 들어올려서 받는다. 그 후, 스토퍼기구(50)의 해제동작에 의해, 워크(W)는 메인반송라인(ML)을 따라서 하류 측으로 반송된다.
한편, 워크(W)가 불량품(NG품)의 경우에는, 도 19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2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송유닛(30)이 상승하여, 워크(W)를 지지유닛(20)으로부터 받음과 함께 서브라인(SL)의 반송면높이위치까지 들어올려서, 서브라인(SL)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리페어스테이션(RS)에서 수정작업이 시행되면, 워크(W)는 서브라인(SL)에 의해 다시 이송유닛(30)에 의해 지지되어,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송유닛(30)이 소정의 높이위치까지 하강함과 함께 분할반송라인(ML')이 상승하여 워크(W)를 받는다.
그 후, 도 2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반송라인(ML')이 초기의 높이위치(메인반송라인(ML)의 반송면높이위치)까지 상승하여, 워크(W)를 지지유닛(20)으로부터 들어올려서 받는다. 그 후, 스토퍼기구(50)의 해제동작에 의해, 워크(W)는 메인반송라인(ML)을 따라서 하류 측으로 반송된다.
한편, 지지유닛(20) 및 이송유닛(30)은, 도 2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기의 높이위치까지 하강하여 정지한다.
이 경우도,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워크지지이송장치(M)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워크(W)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는 처리에리어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메인반송라인(ML)(의 분할반송라인(ML'))으로부터 서브라인(SL)으로의 이송 및 서브라인(SL)으로부터 메인반송라인(ML)(의 분할반송라인(ML'))으로의 이송을 행하는 공통의 이송에리어를 확보할 수 있어서, 설비의 간소화, 설치면적의 공간절약, 생산성의 향상 등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반송라인으로서 메인반송라인(ML), 제 2 반송라인으로서 서브라인(SL)을 도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반송라인으로서 서브라인 또는 별도의 메인반송라인을 적용하고, 제 2 반송라인으로서 메인반송라인 또는 별도의 서브라인을 적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승강구동유닛(40)에 포함되는 계합부로서 회전이 자유로운 팔로워(24, 36)를 도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용 캠(42a, 42a') 및 이송용 캠(43a, 43a')에 각각 미끄럼 접촉하는 핀부재 또는 그 외의 돌기부재 등을 채용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워크지지이송장치는 워크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는 처리에리어와 이송에리어를 공통으로 할 수 있어서, 설비의 간소화, 구조의 간소화, 공간절약 등을 달성하면서, 특히 리페어작업을 위한 반송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계부품 또는 전기부품 등의 생산라인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그 외의 분야의 생산라인에서도 유용하다.
ML 메인반송라인(제 1 반송라인)
ML' 분할반송라인
ML1 기부
ML2 다리부
ML3 프레임
ML4 롤러열
Sm 반송면
SL 서브라인(제 2 반송라인)
SL1 기부
SL2 다리부
SL3 프레임
SL4 롤러열
Ss 반송면
RS, RS' 리페어스테이션
W 워크
M 워크지지이송장치
T1 메인반송라인의 반송방향
L 축선
V 상하방향
T2 서브라인의 반송방향
Po 메인반송라인의 반송면높이위치
P1 비지지정지위치
Pm 중간정지위치
P2 지지정지위치
P3 비이송정지위치
P4 이송정지위치
10, 10' 베이스
11 기대
12 측벽
12a 위치결정공
13 상벽
13a 원형개구
13b 광통공
14 가이드통
14a 커버부
14b 원통형 가이드부
20, 20' 지지유닛
21, 21' 지지테이블
21a 위치결정부
22 다리부
23 수하부
24 팔로워(계합부)
24' 계합부
25 장척부재
25a 위치결정공
25b 로드스토퍼
30, 30' 이송유닛
31 한 쌍의 롤러열(한 쌍의 이송가동체)
31a 연결샤프트
32 구동기구
32a 구동모터
33b 전달부
33, 33' 지지프레임
33a 관통공
33b 개구부
34 관통공부(피가이드부)
35 수하부
36 팔로워(계합부)
36' 계합부
37 장척부재
37a 위치결정공
40 승강구동유닛
41 회전축
41a 검출편
42, 42' 지지용 캠부재
42a, 42a' 지지용 캠
A1, A2, A3, A4 캠영역
42b 규제부재
43, 43' 이송용 캠부재
43a, 43a' 이송용 캠
B1, B2, B3 캠영역
44 구동모터
45, 46, 47, 48 위치센서
50 스토퍼기구
51 스토퍼
52 구동액츄에이터
140 승강구동유닛
142 지지용 액츄에이터
143 이송용 액츄에이터

Claims (9)

  1. 워크를 반송하는 제 1 반송라인과 상기 제 1 반송라인에 교차하여 배치되는 제 2 반송라인의 교차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반송라인 및 상기 제 2 반송라인 사이에서 워크를 이송할 수 있음과 함께 워크에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도록 상기 제 1 반송라인으로부터 워크를 들어올려서 지지할 수 있는 워크지지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라인 및 제 2 반송라인의 교차영역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하나의 구동원, 상기 하나의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각각 승강작용을 미치는 제 1 승강부재 및 제 2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승강구동유닛,
    상기 베이스 상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워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유닛,
    상기 베이스 상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워크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제 1 승강부재에 계합하여 상기 제 1 반송라인에 대하여 출몰이 자유롭게 승강구동됨과 함께 워크를 지지하는 지지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지지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2 승강부재에 계합하여 상기 제 1 반송라인에 대하여 출몰이 자유롭게 승강구동됨과 함께 워크를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가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지지이송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테이블과, 상기 지지테이블로부터 하방으로 신장하여 상기 베이스에 승강이 자유롭게 가이드되는 다리부와, 상기 제 1 승강부재에 계합하여 승강구동력을 받는 계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한 쌍의 이송가동체와, 상기 한 쌍의 이송가동체를 구동 또는 워크를 압압구동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한 쌍의 이송가동체 및 구동기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승강부재에 계합하여 승강구동력을 받는 계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지지이송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다리부를 관통시키는 관통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부는 상기 다리부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이 승강이 자유롭게 가이드되는 피가이드부를 획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지지이송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송가동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배열된 한 쌍의 롤러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한 쌍의 롤러열에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전달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력전달부에 회전구동력을 미치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지지이송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유닛의 계합부에 캠작용을 미치도록 상기 제 1 승강부재를 이루는 지지용 캠, 상기 회전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송유닛의 계합부에 캠작용을 미치도록 제 2 승강부재를 이루는 이송용 캠.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상기 하나의 구동원을 이루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지지이송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캠은 상기 회전축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송가동체를 상기 제 1 반송라인보다도 하방에서 워크를 이송하지 않는 비이송정지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반송라인보다도 상방에서 워크를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이송정지위치까지 상승시키고, 또한, 상기 회전축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송가동체를 상기 이송정지위치로부터 상기 비이송정지위치까지 하강시키는 프로필을 획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용 캠은 상기 회전축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테이블을 상기 제 1 반송라인보다도 하방에서 워크를 지지하지 않는 비지지정지위치로부터 상기 이송정지위치보다도 하방의 중간정지위치를 거쳐서 상기 이송정지위치보다도 상방에서 워크를 지지하는 지지정지위치까지 상승시키고, 또한, 상기 회전축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테이블을 상기 지지정지위치로부터 상기 중간정지위치를 거쳐서 상기 비지지정지위치까지 하강시키는 프로필을 획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지지이송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캠은 상기 회전축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테이블을 상기 제 1 반송라인보다도 하방에서 워크를 지지하지 않는 비지지정지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반송라인보다도 상방에서 워크를 지지하는 지지정지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회전축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테이블을 상기 지지정지위치로부터 상기 비지지정지위치까지 하강시키는 프로필을 획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송용 캠은 상기 회전축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송가동체를 상기 제 1 반송라인보다도 하방에서 워크를 이송하지 않는 비이송정지위치에 정류시키고, 또한, 상기 회전축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테이블이 상기 비지지정지위치까지 하강한 후에, 상기 한 쌍의 이송가동체를 상기 제 1 반송라인보다도 상방에서 워크를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이송정지위치까지 상승시키는 프로필을 획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지지이송장치.
  9. 삭제
KR1020117015002A 2009-01-29 2009-01-29 워크지지이송장치 KR101307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1445 WO2010086980A1 (ja) 2009-01-29 2009-01-29 ワーク保持移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290A KR20110099290A (ko) 2011-09-07
KR101307993B1 true KR101307993B1 (ko) 2013-09-13

Family

ID=4239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002A KR101307993B1 (ko) 2009-01-29 2009-01-29 워크지지이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85922B2 (ko)
KR (1) KR101307993B1 (ko)
CN (1) CN102300790B (ko)
WO (1) WO20100869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0468B2 (ja) * 2013-02-12 2017-05-31 株式会社岡村製作所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JP2014152025A (ja) * 2013-02-12 2014-08-25 Okamura Corp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FI2968346T3 (fi) 2013-03-15 2024-05-06 Cancer Research Tech Llc Menetelmiä ja koostumuksia gamma-glutamyylisyklin muokkaamiseksi
CN105858168B (zh) * 2016-06-12 2017-11-24 嵊州北航投星空众创科技有限公司 一种保温装饰板的输送中转装置
JP6696477B2 (ja) * 2017-05-18 2020-05-20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DE102018204644A1 (de) * 2018-03-27 2019-10-02 Robert Bosch Gmbh Hub- und Fördervorrichtung und Streckenförderer mit der Hub- und Fördervorrichtung
CN108639728A (zh) * 2018-05-30 2018-10-12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移载机
CN117326311B (zh) * 2023-11-13 2024-02-23 广州载德自动化智能科技有限公司 横移换向装置、输送线及输送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19U (ko) * 1988-06-16 1990-01-09
JPH0486625U (ko) * 1990-11-30 1992-07-28
JPH0667436U (ja) * 1993-03-05 1994-09-22 三機工業株式会社 クロスコンベヤ
JPH07315562A (ja) * 1994-05-20 1995-12-05 Aimu:Kk コンベア用分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55965Y (zh) * 1995-09-04 1997-06-1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输送机移载装置
JP2003226422A (ja) * 2002-02-06 2003-08-12 Hirata Corp 移送装置
JP2007217078A (ja) * 2006-02-14 2007-08-30 Asyst Shinko Inc 方向転換装置
CN201276355Y (zh) * 2008-08-05 2009-07-22 上海邮政科学研究院 双向移载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19U (ko) * 1988-06-16 1990-01-09
JPH0486625U (ko) * 1990-11-30 1992-07-28
JPH0667436U (ja) * 1993-03-05 1994-09-22 三機工業株式会社 クロスコンベヤ
JPH07315562A (ja) * 1994-05-20 1995-12-05 Aimu:Kk コンベア用分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290A (ko) 2011-09-07
JPWO2010086980A1 (ja) 2012-07-26
JP5385922B2 (ja) 2014-01-08
CN102300790B (zh) 2013-10-16
CN102300790A (zh) 2011-12-28
WO2010086980A1 (ja)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993B1 (ko) 워크지지이송장치
KR101784660B1 (ko) 허브 부재용 이송장치
KR101727117B1 (ko) 대형프레스의 소재 이송시스템
KR101727118B1 (ko) 소재 반송 시스템
CN111422627B (zh) 一种上料设备
KR20200107103A (ko) 지그 플레이트 프리플로우 컨베이어 장치
KR101068221B1 (ko) 고속 트랜스퍼 원자재 공급시스템
KR102172226B1 (ko) 무인 물류 이송장치
CN211732887U (zh) 一种具有定位功能的板材输送机构
JPH09328227A (ja) 板状体段積み装置
CN211664004U (zh) 一种卫浴陶瓷坯体输送机
KR100614208B1 (ko) 컨베이어 시스템
KR101704357B1 (ko)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KR20170021581A (ko) 목재 적재 장치
KR20200083308A (ko) 반입장치, 반입방법 및 위치결정기구
KR200368857Y1 (ko) 타이어 센터링 정렬장치
KR20210058915A (ko) 자세 전환 장치
KR101704358B1 (ko)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CN215885085U (zh) 一种自动运输机构
JP7172643B2 (ja) 搬送装置
CN211361545U (zh) 自动上下料机和自动上下料装备
KR200296902Y1 (ko) 골판지 적재장치
KR101975776B1 (ko) 편중 방지 기능을 갖는 석재 적재 장치
JPH0133243Y2 (ko)
CN117485835A (zh) 循环输送装置和工件托盘运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