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358B1 -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358B1
KR101704358B1 KR1020160112614A KR20160112614A KR101704358B1 KR 101704358 B1 KR101704358 B1 KR 101704358B1 KR 1020160112614 A KR1020160112614 A KR 1020160112614A KR 20160112614 A KR20160112614 A KR 20160112614A KR 101704358 B1 KR101704358 B1 KR 101704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llet
bar
transf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덕호
Original Assignee
(주)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경 filed Critical (주)보경
Priority to KR1020160112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2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where the stop device is adaptable to the size of the article or ar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속적으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팔레트를 이동시키는 제1 유닛에 제2 유닛이 팔레트를 들어올리되, 제3 유닛이 팔레트의 전방측 단부를 정지시키고 제4 유닛이 팔레트의 후방측 단부를 정지시킴으로써,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이 특정 위치에 정지될 때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정확한 위치에 정지되도록 한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TRANSFERRING APPARATUS WITH ANTI-ROLLING FUNCTION}
본 발명은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이 특정 위치에 정지될 때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정확한 위치에 정지되도록 한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자동화 라인인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반송되는 물품(이하 '반송물품')은 팔레트에 실려서 팔레트와 함께 반송된다.
또한, 이러한 컨베이어 시스템에서는 이송과정에서 물품의 조립, 검사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팔레트를 일시 정지시키는 작업이 필요하고, 이러한 반송물품 또는 팔레트의 정지는 스토퍼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등록실용 제20-0425828호의 "댐퍼 스토퍼장치"(이하 '선행기술')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감속모터의 회전구동력을 나사공을 가지는 로드봉과 스크류가 직선운동으로 변환 작동하도록 하여 스톱 작동부를 승강 제어하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나사공을 가진 로드봉과 스크류의 반복적인 정, 역회전으로 인한 나사산의 마모가 우려됨에 따라 장시간 경과후 정확한 위치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행기술은 전술한 마모 현상으로 인하여 중량물인 엔진 등과 작업 대상물이 탑재된 팔레트의 스토핑 동작에 적용하기에는 무리인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등록실용 제20-04258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작업 대상물이 특정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되도록 함은 물론, 정지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측에 복수의 이송 롤러가 일렬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제1 이송 어레이와, 우측에 상기 복수의 이송 롤러가 일렬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제2 이송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 어레이 및 상기 제2 이송 어레이에 계속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작업 대상물이 탑재된 팔레트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유닛; 상기 제1, 2 이송 어레이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가 이송되어 오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팔레트를 들어올리는 제2 유닛; 상기 제2 유닛의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가 상기 제2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기 전에 상승함으로써, 상기 팔레트가 상기 제2 유닛의 상부를 지나 상기 이송 방향을 따라 계속 이송되는 것을 규제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유닛이 상기 팔레트의 전방측 단부를 차단하면 회동하여 상기 팔레트의 후방측 단부를 상기 팔레트의 이송 방향으로 밀어 상기 팔레트의 요동을 방지하는 제4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및 상기 제4 유닛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는 상기 제4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및 상기 제3 유닛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팔레트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과, 상기 제2 유닛중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팔레트의 저면과 접촉 가능한 승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고정홈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결정 돌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팔레트의 저면은, 상기 제3 유닛과 상기 제4 유닛이 순차적으로 가동되면, 상호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제2 유닛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된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2 유닛 상에 상기 팔레트가 위치하기 전인 평상시에는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바와, 상기 제1 바와 일체로 상기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1 바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바와, 상기 제1 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유닛 위에 상기 팔레트가 위치하는 작동시에는, 상기 제1 바 및 상기 제2 바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팔레트의 후방측 단부에 접촉되는 스토핑 롤러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바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유체 압력으로 신축하며 상기 제2 바의 단부와 접촉되는 규제 로드를 구비한 규제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2 이송 어레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유닛에 장착되고, 상기 제3 유닛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팔레트의 전방 양측을 안내하며, 상기 제3 유닛에 상기 팔레트의 전방측 단부가 접촉되게 상기 팔레트 후방의 양측 단부를 클램핑하는 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팔레트는 상기 위치 결정부에 클램핑되면 상기 제2 유닛의 바로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1 이송 어레이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지지축과, 상기 제2 이송 어레이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2 지지축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가까워지는 타단부를 각각 형성하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전방 안내편과, 상기 전방 안내편 각각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멀어지는 타단부를 각각 형성하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후방 연장편과, 상기 후방 연장편 각각의 단부로부터 상호 마주보게 볼록한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팔레트 후방의 양측 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 후크편을 포함하며,
상기 팔레트의 전방 양측이 상기 전방 안내편 사이에 접촉 안내됨에 따라, 상기 후방 연장편의 단부는 상호 근접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지속적으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팔레트를 이동시키는 제1 유닛에 제2 유닛이 팔레트를 들어올리되, 제3 유닛이 팔레트의 전방측 단부를 정지시키고 제4 유닛이 팔레트의 후방측 단부를 정지시킴으로써, 중량물인 엔진이나 대면적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작업 대상물이 탑재된 팔레트가 일정 위치에 정지할 때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 유닛과 제4 유닛의 협력에 의하여 팔레트의 전, 후방을 정지시킴으로써,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이 특정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되도록 하므로, 제2 유닛에 의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량 발생률을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4 유닛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에 의한 팔레트의 정지 과정을 나타낸 평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4 유닛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에 의한 팔레트의 정지 과정을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속적으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팔레트(500)를 이동시키는 제1 유닛(100)에 제2 유닛(200)이 팔레트(500)를 들어올리되, 제3 유닛(300)이 팔레트(500)의 전방측 단부를 정지시키고 제4 유닛(400)이 팔레트의 후방측 단부를 정지시키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유닛(100)은 좌측에 복수의 이송 롤러(101)가 일렬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제1 이송 어레이(101a)와, 우측에 복수의 이송 롤러(101)가 일렬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제2 이송 어레이(101b)를 포함하며, 제1 이송 어레이(101a) 및 제2 이송 어레이(101b)에 계속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작업 대상물(510)이 탑재된 팔레트(500)를 일방향(투명한 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제2 유닛(200)은 제1, 2 이송 어레이(101a, 101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팔레트(500)가 이송되어 오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팔레트(500)를 들어올리는 것이다.
제3 유닛(300)은 제2 유닛(200)의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팔레트(500)가 제2 유닛(200)의 상부에 위치하기 전에 상승함으로써, 팔레트(500)가 제2 유닛(200)의 상부를 지나 이송 방향을 따라 계속 이송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제4 유닛(400)은 제2 유닛(200)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3 유닛(300)이 팔레트(500)의 전방측 단부를 차단하면 회동하여 팔레트(500)의 후방측 단부를 팔레트(500)의 이송 방향으로 밀어 팔레트(500)의 요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3 유닛(300)과 제2 유닛(200) 및 제4 유닛(40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팔레트(500)는 제4 유닛(4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이송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실시예에 의하여, 중량물인 엔진이나 대면적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작업 대상물(510)이 탑재된 팔레트(500)가 일정 위치, 즉 제2 유닛(200)의 바로 위에 정지할 때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 유닛(300)과 제4 유닛(400)의 협력에 의하여 팔레트(500)의 전, 후방을 정지시킴으로써,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500)이 특정 위치, 즉 제2 유닛(200)의 바로 위에 정확하게 정지되도록 하므로, 제2 유닛(200)에 의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량 발생률을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제1, 2 이송 어레이(101a, 101b)를 형성하는 복수의 이송 롤러(101)들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10, 110)과, 한 쌍의 지지 프레임(110, 110)에 장착되어 복수의 이송 롤러(10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부(이하 미도시)를 포함한다.
구동전달부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2 이송 어레이(101a, 101b)와 기어 연결, 벨트와 풀리 연결, 체인과 스프라켓 연결 등 실시 및 적용 가능한 어떠한 응용 및 변형 설계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말해, 제1 유닛(100)은 제2, 3, 4 유닛(200, 300, 400)의 작동과는 별개로 항상 팔레트(500)가 일방향(이하 투명한 화살표 방향)으로 항상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즉, 제1 유닛(100)을 상시 구동시키는 것은, 제2, 3, 4 유닛(200, 300, 400)의 가동에 연동하여 이송 및 이송 정지를 교대로 반복하는 제어에 따른 극심한 동력 및 에너지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제1 이송 어레이(101a)와 제2 이송 어레이(101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복수의 유체압 실린더(이하 미도시) 각각으로부터 동시에 유체 압력을 전달받아 승강하여 출입 가능한 승강 로드(210)와, 복수의 승강 로드(210) 각각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팔레트(500)의 저면을 들어 올리는 일정 면적의 승강 플레이트(22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승강 플레이트(220)가 하강한 상태에서, 제3 유닛(300)은 승강 플레이트(2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4 유닛(400)은 승강 플레이트(2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정확한 위치에 팔레트(500)가 고정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상승 동작이 가능하도록, 승강 플레이트(220)의 상면으로부터 팔레트(500)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이하 미도시)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위치결정 돌편(23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3 유닛(300)은, 승강 플레이트(220)의 전방에 유체 압력으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격편(310)을 포함하며, 승강 격편(310)의 상단부 가장자리가 최대로 상승한 높이는, 제1 이송 어레이(101a) 및 제2 이송 어레이(101b)를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이송 롤러(101)들의 외주면보다 높아야 할 것이다.
승강 격편(310)의 상단부 가장자리가 최대로 상승한 높이가 복수의 이송 롤러(101)들 각각의 외주면보다 높아야 함은 팔레트(500)의 전방측 단부가 승강 격편(310)에 의하여 멈춰짐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팔레트(500)의 후방측 단부를 밀어 팔레트(500)를 정지시키는 제4 유닛(400)의 말단부 높이는, 복수의 이송 롤러(101)들의 외주면보다 높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할 제4 유닛(400)의 말단부 높이가 복수의 이송 롤러(101)들 각각의 외주면보다 높아야 함은 팔레트(500)의 후방측 단부가 승강 격편(310)에 의하여 멈춰짐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승강 플레이트(220)의 상면과 팔레트(500)의 저면은, 제3 유닛(300)과 제4 유닛(400)이 순차적으로 가동되면, 상호 접촉됨에 따라 제2 유닛(200)에 의한 팔레트(500)의 다음 공정 이송용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한편, 제4 유닛(400)은, 도 2와 같이, 제2 유닛(20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본체(410)와, 본체(410)에 구비된 회동축(411)에 회동 가능하며, 제2 유닛(200) 상에 팔레트(500)가 위치하기 전인 평상시에는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바(421)와, 제1 바(421)와 일체로 회동축(411)에 회동 가능하며, 제1 바(421)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바(422)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4 유닛(400)은, 제1 바(42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2 유닛(200) 위에 팔레트(500)가 위치하는 작동시에는, 제1 바(421) 및 제2 바(422)의 회동에 의하여 팔레트(500)의 후방측 단부에 접촉되는 스토핑 롤러(43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4 유닛(400)은, 본체(410)에 장착되어 제1 바(42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유체 압력으로 신축하며 제2 바(422)의 단부와 접촉되는 규제 로드(441)를 구비한 규제 실린더(44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4 유닛(400)은, 회동축(411)에 장착되고, 규제 로드(441)가 규제 실린더(440)에서 최대한 수축된 상태에서, 제2 바(422)가 규제 로드(441)를 규제 실린더(440)측으로 밀어붙이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작용하면서, 제1 바(421)가 지면과 평행을 유지토록 하는 바이어싱 수단(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어싱 수단(450)은 도 2(a)와 같은 평상시의 제1 바(421) 배치 상태에서, 도 2(b)와 같은 스토핑 롤러(430)에 의한 팔레트(500) 후방측 단부의 정지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즉, 도 2(b)에서 도 2(a) 상태로의 복귀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즉, 바이어싱 수단(450)은, 회동축(411)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453)을 포함한다.
그리고, 바이어싱 수단(450)은, 회동축(411)으로부터 제1 바(421)의 형성 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제1 단턱(421s)에 걸림 고정되고, 코일 스프링(453)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 걸림핀(451)을 포함한다.
또한, 바이어싱 수단(450)은, 회동축(411)으로부터 제2 바(422)의 형성 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제2 단턱(422s)에 걸림 고정되고, 코일 스프링(453)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걸림핀(451)과 일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제2 걸림핀(452)을 포함한다.
이때, 제2 걸림핀(452)의 단부는 규제 로드(441)의 단부와 접촉되는 것이다.
따라서, 규제 로드(441)가 도 2(a)와 같이 최대한으로 수축된 상태에서도, 규제 로드(441)의 단부는 제2 단턱(422s)에 걸림 고정된 제2 걸림핀(452)과 맞닿아 있는 상태에 있으면서, 팔레트(500)가 승강 플레이트(220)의 상면 바로 위에 위치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이다.
이후, 제2 유닛(200)에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컨트롤러(이하 미도시)와 연결되는 위치감지 센서(이하 미도시)가, 팔레트(500)가 제3 유닛(300)에 의하여 정지되면서 승강 플레이트(220)의 바로 위에 위치함을 감지하면, 규제 로드(441)는 규제 실린더(440)로부터 신장되어 제2 바(422)를 밀게 되고, 제1 바(421) 단부에 회전 가능한 스토핑 롤러(430)는 팔레트(500)의 후방측 단부에 접촉하면서 팔레트(500)를 도 2(b)와 같이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제1, 2 이송 어레이(101a, 101b)를 포함하는 제1 유닛(100)에 장착되고, 제3 유닛(300)측으로 이송되는 팔레트(500)의 전방 양측을 안내하며, 제3 유닛(300)에 팔레트(500)의 전방측 단부가 접촉되게 팔레트(500) 후방의 양측 단부를 클램핑하는 위치 결정부(6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3(a)와 같이 일방향(투명한 화살표 참조)으로 이송되는 팔레트(500)가 위치 결정부(600)에 도 3(b)와 같이 클램핑되면 제2 유닛(200), 즉 승강 로드(210)와 연결된 승강 플레이트(220)의 바로 위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위치 결정부(600)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이송 어레이(101a)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지지축(601)과, 제2 이송 어레이(101b)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2 지지축(602)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일단부와,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가까워지는 타단부를 각각 형성하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전방 안내편(610)을 포함한다.
즉, 전방 안내편(610)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일종의 판 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면서, 중량물인 작업 대상물(510)이 탑재된 팔레트(500)의 전방측 단부가 제3 유닛(300), 즉 승강 격편(310)에 접촉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위치 결정부(600)는, 전방 안내편(610) 각각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멀어지는 타단부를 각각 형성하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후방 연장편(6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후방 연장편(620)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일종의 판 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면서, 전방 안내편(610)이 팔레트(500)의 전방 양측 가장자리를 안내함에 따라 상호 근접하게 회동하는 동작과, 팔레트(500)의 후방 양측 가장자리에 접촉하며 탄성 변형을 허용하며, 후술할 걸림 후크편(630)에 팔레트(500)의 후방 양측 단부가 걸리도록 안내하게 된다.
또한, 위치 결정부(600)는, 후방 연장편(620) 각각의 단부로부터 상호 마주보게 볼록한 형상으로 연장되어 팔레트(500) 후방의 양측 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 후크편(63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팔레트(500)의 전방 양측이 전방 안내편(610) 사이에 접촉 안내됨에 따라, 후방 연장편(620)의 단부는 상호 근접하게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위치 결정부(600)는, 도 3(a)에서 도 3(b)로의 형상 변경과 함께, 도 3(b)에서 도 3(a)로의 형상 복원이 가능하도록, 토션 스프링(64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토션 스프링(640)은 제1 지지축(601)과 제2 지지축(602)에 각각 장착되어 전방 안내편(610) 및 제1, 2 이송 어레이(101a, 101b)의 내측에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고, 전방 안내편(610)이 각각 제1, 2 이송 어레이(101a, 101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에 따른 작업 대상물(510)이 탑재된 팔레트(500)의 이송 과정에 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지속적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유닛(100)의 제1, 2 이송 어레이(101a, 101b)를 따라 일방향으로 팔레트(500)가 이송되어 오다가, 제2 유닛(200)의 상측에 구비된 특정한 공정용의 장치(이하 미도시)측으로 작업 대상물(510)을 이송시킬 필요가 발생하면, 우선적으로 제3 유닛(300)의 승강 격편(310)이 도 1의 점선 부분과 같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규제 로드(441)는 도 2(a)와 같이 최대한으로 수축된 상태에 있으며, 규제 로드(441)의 단부는 제2 단턱(422s)에 걸림 고정된 제2 걸림핀(452)과 맞닿아 있는 상태에 있으면서, 팔레트(500)가 승강 플레이트(220)의 상면 바로 위에 위치할 때까지 대기하고 있다.
이후, 팔레트(500)의 전방측 단부가 승강 격편(310)에 접촉하게 되어, 팔레트(500)가 제3 유닛(300)에 의하여 정지되면서 승강 플레이트(220)의 바로 위에 위치함을 위치감지 센서가 감지하게 된다.
이때, 규제 로드(441)는 도 2(b)와 같이 규제 실린더(440)로부터 신장되어 제2 바(422)를 밀게 되고, 제1 바(421) 단부에 회전 가능한 스토핑 롤러(430)는 팔레트(500)의 후방측 단부에 접촉하면서 팔레트(500)를 정지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승강 로드(210)는 신장되어 승강 플레이트(220)를 상승시키되, 이미 제3 유닛(300) 및 제4 유닛(400)에 의하여 위치결정 돌편(230)과 고정홈이 맞물리는 위치는 정확하게 맞춰진 상태이므로, 승강 플레이트(220)의 상면이 팔레트(500)의 저면과 접촉될 때 덜컹거림에 따른 추가적인 요동 발생 없이 부드럽게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계속하여, 승강 로드(210)가 신장되면서 팔레트(500)를 상승시켜 특정한 공정용의 장치측으로 작업 대상물(510)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작업 대상물(510)이 탑재된 팔레트(500)의 이송 과정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제3 유닛(300)의 승강 격편(310)에 팔레트(500)의 전방측 단부가 접촉되기 전에, 위치 결정부(600)의 전방 안내편(610)이 팔레트(500)의 전방 양측 단부와 접촉하면서 팔레트(500)의 전방측 단부를 승강 격편(310)에 접촉되게 안내한다.
이때, 팔레트(500)의 전방측 단부가 승강 격편(310)에 접촉되면, 후방 연장편(620) 각각의 단부에 구비된 걸림 후크편(630)이 팔레트(500)의 후방 양측 단부를 클램핑하게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제4 유닛(400)의 가동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팔레트(500)의 확실한 위치 결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작업 대상물이 특정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되도록 함은 물론, 정지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1...이송 롤러
101a...제1 이송 어레이
101b...제2 이송 어레이
110, 110...지지 프레임
200...제2 유닛
210...승강 로드
220...승강 플레이트
230...위치결정 돌편
300...제3 유닛
310...승강 격편
400...제4 유닛
410...본체
411...회동축
421...제1 바
421s...제1 단턱
422...제2 바
422s...제2 단턱
430...스토핑 롤러
440...규제 실린더
441...규제 로드
450...바이어싱 수단
451...제1 걸림핀
452...제2 걸림핀
453...코일 스프링
500...팔레트
600...위치 결정부
601...제1 지지축
602...제2 지지축
610...전방 안내편
620...후방 연장편
630...걸림 후크편
640...토션 스프링

Claims (6)

  1. 좌측에 복수의 이송 롤러가 일렬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제1 이송 어레이와, 우측에 상기 복수의 이송 롤러가 일렬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제2 이송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 어레이 및 상기 제2 이송 어레이에 계속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작업 대상물이 탑재된 팔레트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유닛;
    상기 제1, 2 이송 어레이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가 이송되어 오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팔레트를 들어올리는 제2 유닛;
    상기 제2 유닛의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가 상기 제2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기 전에 상승함으로써, 상기 팔레트가 상기 제2 유닛의 상부를 지나 상기 이송 방향을 따라 계속 이송되는 것을 규제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유닛이 상기 팔레트의 전방측 단부를 차단하면 회동하여 상기 팔레트의 후방측 단부를 상기 팔레트의 이송 방향으로 밀어 상기 팔레트의 요동을 방지하는 제4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및 상기 제4 유닛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는 상기 제4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및 상기 제3 유닛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이송되고,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제2 유닛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된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2 유닛 상에 상기 팔레트가 위치하기 전인 평상시에는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바와,
    상기 제1 바와 일체로 상기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1 바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바와,
    상기 제1 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유닛 위에 상기 팔레트가 위치하는 작동시에는, 상기 제1 바 및 상기 제2 바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팔레트의 후방측 단부에 접촉되는 스토핑 롤러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바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유체 압력으로 신축하며 상기 제2 바의 단부와 접촉되는 규제 로드를 구비한 규제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과,
    상기 제2 유닛중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팔레트의 저면과 접촉 가능한 승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고정홈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결정 돌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팔레트의 저면은, 상기 제3 유닛과 상기 제4 유닛이 순차적으로 가동되면, 상호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회동축에 장착되고, 상기 규제 로드가 상기 규제 실린더에서 최대한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가 상기 규제 로드를 상기 규제 실린더측으로 밀어붙이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작용하면서, 상기 제1 바가 지면과 평행을 유지토록 하는 바이어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회동축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과,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제1 바의 형성 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제1 단턱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 걸림핀과,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바의 형성 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제2 단턱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걸림핀과 일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제2 걸림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걸림핀의 단부는 상기 규제 로드의 단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 이송 어레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유닛에 장착되고, 상기 제3 유닛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팔레트의 전방 양측을 안내하며, 상기 제3 유닛에 상기 팔레트의 전방측 단부가 접촉되게 상기 팔레트 후방의 양측 단부를 클램핑하는 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팔레트는 상기 위치 결정부에 클램핑되면 상기 제2 유닛의 바로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1 이송 어레이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지지축과, 상기 제2 이송 어레이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2 지지축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가까워지는 타단부를 각각 형성하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전방 안내편과,
    상기 전방 안내편 각각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멀어지는 타단부를 각각 형성하며,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후방 연장편과,
    상기 후방 연장편 각각의 단부로부터 상호 마주보게 볼록한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팔레트 후방의 양측 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 후크편을 포함하며,
    상기 팔레트의 전방 양측이 상기 전방 안내편 사이에 접촉 안내됨에 따라, 상기 후방 연장편의 단부는 상호 근접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KR1020160112614A 2016-09-01 2016-09-01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KR101704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614A KR101704358B1 (ko) 2016-09-01 2016-09-01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614A KR101704358B1 (ko) 2016-09-01 2016-09-01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358B1 true KR101704358B1 (ko) 2017-02-08

Family

ID=58155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614A KR101704358B1 (ko) 2016-09-01 2016-09-01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3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923A (ja) * 1991-09-05 1993-03-23 Murata Mach Ltd パレツトのセンタリング装置
JP2001039505A (ja) * 1999-07-29 2001-02-13 Itoki Crebio Corp 荷物のプッシャー装置
KR200425828Y1 (ko) 2006-06-12 2006-09-13 윤을상 댐퍼 스토퍼장치
KR20090104571A (ko) * 2008-03-31 2009-10-06 김재형 팔레트 위치결정장치
JP2011111273A (ja) * 2009-11-26 2011-06-09 Murata Machinery Ltd 物品位置決め装置および物品位置決め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923A (ja) * 1991-09-05 1993-03-23 Murata Mach Ltd パレツトのセンタリング装置
JP2001039505A (ja) * 1999-07-29 2001-02-13 Itoki Crebio Corp 荷物のプッシャー装置
KR200425828Y1 (ko) 2006-06-12 2006-09-13 윤을상 댐퍼 스토퍼장치
KR20090104571A (ko) * 2008-03-31 2009-10-06 김재형 팔레트 위치결정장치
JP2011111273A (ja) * 2009-11-26 2011-06-09 Murata Machinery Ltd 物品位置決め装置および物品位置決め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993B1 (ko) 워크지지이송장치
KR102310157B1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2605917B1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1725871B1 (ko) 오버헤드 호이스트 이송장치의 그립퍼 유닛
KR101559349B1 (ko) 타이어의 이송을 위한 타이어 정렬 장치
WO2010082313A1 (ja) 搬送装置
KR101784660B1 (ko) 허브 부재용 이송장치
KR102231482B1 (ko) 지그 플레이트 프리플로우 컨베이어 장치
KR101197954B1 (ko) 타워 버퍼 장치
KR101704357B1 (ko)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KR101704358B1 (ko)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KR101068221B1 (ko) 고속 트랜스퍼 원자재 공급시스템
JP7265336B2 (ja) 搬送装置、成膜装置、有機el素子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JP3163939U (ja) 搬送装置
CN109415177B (zh) 堆叠件准备单元
KR100681500B1 (ko) 기판의 자동 언로딩 장치
CN210557728U (zh) 多向重载输送机
KR101776580B1 (ko) 목재 적재 장치
JP2008265907A (ja) 作業装置
KR200368857Y1 (ko) 타이어 센터링 정렬장치
KR920006660B1 (ko) 프레스의 소재 자동공급 장치
CN113213378A (zh) 新型货叉升降输送机构及无人叉车
US20220002086A1 (en) Orientation switching apparatus
KR20090004548A (ko) 반송 시스템
JP2020155629A (ja) 基板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