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308A - 반입장치, 반입방법 및 위치결정기구 - Google Patents

반입장치, 반입방법 및 위치결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308A
KR20200083308A KR1020190175779A KR20190175779A KR20200083308A KR 20200083308 A KR20200083308 A KR 20200083308A KR 1020190175779 A KR1020190175779 A KR 1020190175779A KR 20190175779 A KR20190175779 A KR 20190175779A KR 20200083308 A KR20200083308 A KR 20200083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along
carrying
position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하루 쿠라모치
히데키 사키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마에가와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마에가와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마에가와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20008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eparate article supports or holder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B65G1/13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eparate article supports or holder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the circuit being confined in a horizont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식품이 배치된 트레이를 자동적으로 트롤리 매단 선반에 반입하는 것이 가능한 반입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반입장치(1)는, 트레이(T)를 최하부에 위치하는 재치부(52)의 Y방향의 연장선 상에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10)와, 트레이를 연장부(51) 쪽으로 이동시켜서, 재치부에 반입하는 반입 컨베이어(20)와, 트레이가 배치된 반입 컨베이어를, 재치부의 사이를 개재해서 승강시키는 리프터(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입장치, 반입방법 및 위치결정기구{LOADING DEVICE, LOADING METHOD AND POSITIONING MECHANISM}
본 발명은 반입장치, 반입방법 및 위치결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컵라면에 혼입되어 있는 새우 등의 건조 식품은, 동결건조(freeze dry) 처리에 의해서 제조된다.
그리고, 이러한 건조 식품은, 우선 처리 전의 식품이 배치된 트레이를 트롤리 매단 선반에 배치하고, 트롤리 매단 선반을 처리고에 반입하고, 처리고에 있어서 동결건조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제조된다. 그리고, 처리고에 있어서 동결건조 처리가 행해진 후, 건조 식품은 다음 공정으로 운반된다.
이러한 건조 식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종래부터 작업자에 의해서, 트레이를 트롤리 매단 선반에 반입하거나, 동결건조 처리가 행해진 후에, 트롤리 매단 선반으로부터 트레이를 반출하거나 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의 어깨보다도 높은 개소에서 트레이를 지탱할 경우가 있어, 작업자에게는 부담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동결건조 처리 전의 식품이 배치된 트레이를 자동적으로 트롤리 매단 선반에 반입하는 것이 가능한, 반입장치 또는 반입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입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쌍의 연장부와, 상기 1쌍의 연장부로부터, 상기 상하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설치되고, 트레이가 재치(載置)되는 1쌍의 재치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처리고 내에 반입되는 트롤리 매단 선반에 대해서, 상기 트레이를 반입하는 반입장치이다. 반입장치는, 상기 트레이를, 상기 재치부의 상기 제2 방향의 연장선 상에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와,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상기 재치부에 반입하는 반입 컨베이어와, 상기 트레이가 배치된 상기 반입 컨베이어를, 상기 1쌍의 재치부의 사이를 개재해서 승강시키는 리프터(lifter)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입방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쌍의 연장부와, 상기 1쌍의 연장부로부터, 상기 상하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설치되고, 트레이가 재치되는 1쌍의 재치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처리고 내에 반입되는 트롤리 매단 선반에 대해서, 상기 트레이를 반입하는 반입방법이다. 반입방법은, 상기 트레이를, 상기 재치부의 상기 제2 방향의 연장선 상에 공급하고, 상기 재치부의 연장선 상에 공급된 상기 트레이를, 상기 1쌍의 재치부의 사이를 개재해서 소정의 높이의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2 방향의 상기 재치부 쪽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재치부에 반입한다.
전술한 반입장치 및 반입방법에 따르면, 동결건조 처리 전의 식품이 배치된 트레이는, 공급 컨베이어에서, 재치부의 제2 방향의 연장선 상에 공급된 후, 리프터에 의해서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되어서, 반입 컨베이어에 의해서 재치부에 재치된다. 이 때문에, 동결건조 처리 전의 식품이 배치된 트레이를 자동적으로 트롤리 매단 선반에 반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장치 및 트롤리 매단 선반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트롤리 매단 선반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 컨베이어 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트레이를 재치부에 반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 컨베이어 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트레이를 재치부에 반입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공급 컨베이어에 의해서, 트레이를 재치부의 Y방향의 연장선 상에 공급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리프터에 의해서, 트레이가 재치된 반입 컨베이어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반입 컨베이어에 의해서, 트레이를 재치부에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반입 컨베이어가 아래쪽으로 이동해서, 트레이를 재치부에 재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영역(A1)에 있어서의 트레이를 제1 위치결정부 및 제1 스토퍼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영역(A2)에 있어서의 트레이를 제2 스토퍼에 접촉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영역(A1)에 있어서의 트레이를 제1 위치결정부 및 제1 스토퍼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영역(A2)에 있어서의 트레이를 제2 스토퍼에 접촉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영역(A1) 및 영역(A2)에 있어서의 트레이를 재치부 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영역(A1) 및 영역(A2)에 있어서의 트레이를 재치부 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영역(A1)에 있어서의 트레이를 제1 위치결정부에 의해서 X방향의 마이너스 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영역(A2)에 있어서의 트레이를 제2 위치결정부에 의해서 X방향의 플러스 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영역(A1)에 있어서의 트레이를 제1 위치결정부에 의해서 X방향의 마이너스 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영역(A2)에 있어서의 트레이를 제2 위치결정부에 의해서 X방향의 플러스 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영역(A1) 및 영역(A2)에 있어서의 트레이를 재치부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영역(A1) 및 영역(A2)에 있어서의 트레이를 재치부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의 치수비율은, 설명의 형편상 과장되어 있고, 실제의 비율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장치(1) 및 트롤리 매단 선반(5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트롤리 매단 선반(50)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 컨베이어(20) 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트레이(T)를 재치부(52)에 반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 컨베이어(20) 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트레이(T)를 재치부(52)에 반입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공급 컨베이어(10)에 의해서, 트레이(T)를 재치부(52)의 Y방향의 연장선 상에 공급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리프터(30)에 의해서, 트레이(T)가 재치된 반입 컨베이어(20)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반입 컨베이어(20)에 의해서, 트레이(T)를 재치부(52)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반입 컨베이어(2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트레이(T)를 재치부(52)에 재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장치(1)는, 동결건조 처리 전의 식품이 배치된 트레이(T)를, 트롤리 매단 선반(50)에 반입한다. 동결건조 처리하는 식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컵라면에 혼입되는 새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공급 컨베이어(10)가 트레이(T)를 이동시키는 방향을 X방향(제1 방향에 상당), 재치부(52)가 연장되는 방향을 Y방향(제2 방향에 상당), 반입장치(1)의 상하 방향을 Z방향이라 칭한다.
<트롤리 매단 선반(50)>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서, 트롤리 매단 선반(5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트롤리 매단 선반(50)은, 동결건조 처리고(도시 생략) 내에 반입되어서, 동결건조 처리고에 대해서, 공중에 매달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트롤리 매단 선반(50)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Z방향으로 연장되고, X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연장부(51)와, Y방향으로 연장되도록 Z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설치되고, 트레이(T)가 재치되는 1쌍의 재치부(52)를 포함한다.
연장부(51)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개 설치된다. 6개의 연장부(51) 중, 도 1, 도 2의 우측 밑 및 좌측 밑에 위치하는 2개의 연장부(51)로부터, Y방향의 하향을 향해서, 재치부(52)가 연장된다. 또한, 6개의 연장부(51) 중, 도 1, 도 2의 우측 상부 및 좌측 상부에 위치하는 2개의 연장부(51)로부터, Y방향의 상향을 향해서, 재치부(52)가 연장된다. 또한, 6개의 연장부(51) 중, 도 1, 도 2의 중앙 아래에 위치하는 연장부(51)로부터, Y방향의 하향을 향해서 2개의 재치부(52)가 연장된다. 또한, 6개의 연장부(51) 중, 도 1, 도 2의 중앙 상부에 위치하는 연장부(51)로부터, Y방향의 상향을 향해서 2개의 재치부(52)가 연장된다.
재치부(52)는,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자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X방향으로 이웃하는 재치부(52)에, 트레이(T)가 재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트롤리 매단 선반(50)에 있어서, 위쪽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4군데의 영역(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영역(A1), 영역(A2), 영역(A3) 및 영역(A4)이라 칭함)에 트레이(T)를 재치할 수 있다(도 2 참조). 각 영역(A1, A2, A3, A4)에 있어서, Z방향을 따라서 재치부(52)는 16단 설치된다. 또, 재치부(52)가 Z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개수는, 16단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도 4는 영역(A1)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최상단에 있어서의 재치부(52)의 위쪽에는, 아래쪽으로 지스러기가 혼입하지 않도록 천장판(도시 생략)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영역(A1, A2, A3, A4)에 있어서, 16개의 트레이를 재치 가능하다.
<반입장치(1)>
다음에,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장치(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장치(1)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T)를 재치부(52)의 Y방향의 연장선 상에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10)와, 트레이(T)를 연장부(51) 쪽으로 이동시키는 반입 컨베이어(20)와, 반입 컨베이어(20)를 승강시키는 리프터(30)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공급 컨베이어(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에 2개 설치되어 있다. 공급 컨베이어(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으로부터 흘러나온 트레이(T)를, 도 1의 트롤리 매단 선반(50)의 위쪽 및 아래쪽(재치부(52)의 Y방향의 연장선상)에 공급한다(도 1의 화살표 참조). 공급 컨베이어(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Y방향으로 연장되는 봉부재(10a)가, 간극을 개재해서 X방향으로 복수 설치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봉부재(10a)가 도 1의 아래로부터 위를 보아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트레이(T)가 도 1의 오른쪽으로 반송된다.
공급 컨베이어(10)의 봉부재(10a)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입 컨베이어(20)의 상승 시에 봉부재(10a)와 반입 컨베이어(20)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반입 컨베이어(20)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영역(A1, A2, A3, A4)에 1개씩 설치된다. 반입 컨베이어(20)는,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T)를 트롤리 매단 선반(50)의 재치부(52)에 반입할 수 있다. 반입 컨베이어(20)는, X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1쌍의 수지 벨트(21)와, 수지 벨트(21)가 감기는 권회부(卷回部)(22, 23)와, 권회부(23)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구동 모터가 구동함으로써 권회부(23)가 회전하고, 수지 벨트(21)가 회전한다.
1쌍의 수지 벨트(21)는, 구동 모터에 의해서, 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수지 벨트(21)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트레이(T)는 Y방향의 마이너스 쪽으로 이동한다.
X방향으로 이웃하는 1쌍의 반입 컨베이어(20)의 간극을 포함한 X방향의 폭(X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X방향으로 이웃하는 1쌍의 재치부(52) 사이의 폭(X2)보다도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반입 컨베이어(20)가 리프터(30)에 의해서 상승할 때에, 반입 컨베이어(20) 및 트롤리 매단 선반(50)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프터(30)는, 반입 컨베이어(20)에 접속되어, 반입 컨베이어(20)를 Z방향으로 상승시킨다. 리프터(30)는 영역(A1, A2, A3, A4)에 있어서의 트레이(T)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4개 설치되어 있다. 리프터(30)로서는, 공지의 리프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는 공급 컨베이어(10), 반입 컨베이어(20) 및 리프터(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예를 들면 PLC이다.
다음에,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장치(1)의 반입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반입장치(1)의 각종 구성의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된다.
우선, 동결건조 처리하기 위한 식품이 배치된 트레이(T)를 반입장치(1)에 반송한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 컨베이어(10)에 의해서, 트레이(T)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트레이(T)를 재치부(52)의 Y방향의 연장선 상에 공급한다. 이때, 예를 들어, 처음에는 도 1의 아래쪽(영역(A1, A2)에 상당)으로부터 먼저 트레이(T)를 공급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의 아래쪽의 2개의 반입 컨베이어(20)에 의해서, 2개의 트레이(T)를 동시에 반입한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터(30)에 의해서, 트레이(T)가 재치된 반입 컨베이어(20)를 최상부의 재치부(52)까지 상승시킨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입 컨베이어(20)에 의해서, 트레이(T)를 트롤리 매단 선반(50)의 재치부(52)로 이동시킨다. 이때, 재치부(52)의 상부면에 대해서, 트레이(T)를 약간 높은 개소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입방법에 따르면, 재치부(52)의 상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트레이(T)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트레이(T)와 재치부(52)의 접촉에 의한 지스러기가 트레이(T) 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터(30)에 의해서, 반입 컨베이어(20)가 하강하고, 이때, 트레이(T)는 재치부(52)에 재치된다.
한편, 도 1의 아래쪽에 있어서, 2개의 반입 컨베이어(20)에 의해서, 트롤리 매단 선반(50)의 재치부(52)에 트레이(T)를 재치하고 있는 동안에, 도 1의 위쪽(영역(A3, A4)에 상당)에 있어서, 2개의 반입 컨베이어(20)에 의해서, 트롤리 매단 선반(50)의 재치부(52)에 트레이(T)를 재치한다. 이 반입방법에 따르면, 보다 효율적으로 트레이(T)를 반입할 수 있다.
그리고, 영역(A1, A2, A3, A4)에 있어서, 위에서부터 차례차례로 16단의 재치부(52)에 트레이(T)를 반입한 후, 처리고에 있어서 동결건조 처리가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장치(1)는, Z방향으로 연장되고, X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쌍의 연장부(51)와, 1쌍의 연장부(51)로부터, Y방향으로 연장되도록 Z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설치되고, 트레이(T)가 재치되는 재치부(52)를 구비하는 동시에, 처리고 내에 반입되는 트롤리 매단 선반(50)에 대해서, 트레이(T)를 반입하는 반입장치(1)이다. 반입장치(1)는, 트레이(T)를, 재치부(52)의 Y방향의 연장선 상에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10)와, 트레이(T)를 Y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재치부(52)에 반입하는 반입 컨베이어(20)와, 트레이(T)가 배치된 반입 컨베이어(20)를, 1쌍의 재치부(52)의 사이를 개재해서 승강시키는 리프터(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입장치(1)에 따르면, 동결건조 처리 전의 식품이 배치된 트레이(T)는, 공급 컨베이어(10)에 의해, 재치부(52)의 Y방향의 연장선 상에 공급된 후, 리프터(30)에 의해서 소정의 높이의 위치까지 상승되어서, 반입 컨베이어(20)에 의해서 재치부(52)에 재치된다. 이 때문에, 식품이 배치된 트레이(T)를 자동적으로 트롤리 매단 선반(50)에 반입할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방법은, Z방향으로 연장되고, X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쌍의 연장부(51)와, 1쌍의 연장부(51)로부터, Z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설치되고, 트레이(T)가 재치되는 1쌍의 재치부(52)를 포함하는 동시에, 처리고 내에 반입되는 트롤리 매단 선반(50)에 대해서, 트레이(T)를 반입하는 반입방법이다. 반입방법에서는, 트레이(T)를, 재치부(52)의 Y방향의 연장선 상에 공급하고, 재치부(52)의 연장선 상에 공급된 트레이(T)를, 1쌍의 재치부(52)의 사이를 개재해서 소정의 높이의 위치까지 상승시켜, 트레이(T)를 Y방향의 재치부(52) 쪽으로 이동시켜서, 재치부(52)에 반입한다. 이 반입방법에 따르면, 식품이 배치된 트레이(T)를 자동적으로 트롤리 매단 선반(50)에 반입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장치(2)의 구성 및 반입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영역(A1)에 있어서의 트레이(T)를 제1 위치결정부(61) 및 제1 스토퍼(62)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영역(A2)에 있어서의 트레이(T)를 제2 스토퍼(66)에 접촉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영역(A1)에 있어서의 트레이(T)를 제1 위치결정부(61) 및 제1 스토퍼(62)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영역(A2)에 있어서의 트레이(T)를 제2 스토퍼(66)에 접촉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영역(A1) 및 영역(A2)에 있어서의 트레이(T)를 재치부(52) 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영역(A1) 및 영역(A2)에 있어서의 트레이(T)를 재치부(52) 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영역(A1)에 있어서의 트레이(T)를 제1 위치결정부(61)에 의해서 X방향의 마이너스 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영역(A2)에 있어서의 트레이(T)를 제2 위치결정부(65)에 의해서 X방향의 플러스 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영역(A1)에 있어서의 트레이(T)를 제1 위치결정부(61)에 의해서 X방향의 마이너스 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영역(A2)에 있어서의 트레이(T)를 제2 위치결정부(65)에 의해서 X방향의 플러스 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영역(A1) 및 영역(A2)에 있어서의 트레이(T)를 재치부(52)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영역(A1) 및 영역(A2)에 있어서의 트레이(T)를 재치부(52)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고, 제2 실시형태에만 특징이 있는 개소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해서, 위치결정기구(60)가 설치되는 점 및 리프터(30)가 설치되는 개수가 다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장치(2)는, 도 9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 컨베이어(10)와, 반입 컨베이어(20)와, 리프터(30)와, 제어부와, X방향을 따르는 트레이(T)의 재치부(52)에 대한 위치결정을 행하는 위치결정기구(60)를 구비한다. 공급 컨베이어(10), 반입 컨베이어(20), 리프터(30) 및 제어부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장치(1)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프터(3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A1, A2)에 있어서의 트레이(T)를 한꺼번에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터(30) 및 영역(A3, A4)에 있어서의 트레이(T)를 한꺼번에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터(30)의 2개로 구성된다.
이하, 위치결정기구(6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위치결정기구(60)는, 도 9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결정부(위치결정부에 상당)(61)와, 제1 스토퍼(스토퍼에 상당)(62)와, 제1 압출부(압출부에 상당)(63)와, 제1 근접 센서(64)와, 제2 위치결정부(위치결정부에 상당)(65)와, 제2 스토퍼(스토퍼에 상당)(66)와, 제2 압출부(압출부에 상당)(67)와, 제2 근접 센서(68)를 포함한다. 또, 도 9, 도 11, 도 13, 도 15에서는, 제1 근접 센서(64) 및 제2 근접 센서(68)의 도시는 생략한다.
제1 위치결정부(61)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X방향의 플러스 측에 설치되는 제1 연장부(61A)와, X방향의 마이너스 측에 설치되는 제2 연장부(61B)와, 제1 연장부(61A)와 제2 연장부(61B)를 연결하는 2개의 연결부(61C, 61D)를 구비한다.
제1 연장부(61A)는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있다. 제2 연장부(61B)는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있다.
연결부(61C, 61D)는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있다. 연결부(61C, 61D)는 반입 컨베이어(20)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부(61C, 61D)의 반입 컨베이어(20)에 대해서 고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볼트에 의한 체결이다. 이 때문에, 제1 위치결정부(61)와 반입 컨베이어(20)는 연동해서 이동한다.
제1 위치결정부(61)의 제1 연장부(61A)의 Y방향의 위쪽에는, 제1 접촉부(61E)가 설치된다. 제1 접촉부(61E)의 좌측 단부는, 제1 연장부(61A)의 좌측 단부보다도 오른쪽이 되도록 설치된다. 제1 접촉부(61E)의 좌측 단부와 제1 연장부(61A)의 좌측 단부 사이의 간극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접촉부(61E)가 재치부(52)에 접촉했을 때에, 트레이(T)가 X방향의 목적하는 위치가 되도록 설정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목적하는 위치"란, Y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1쌍의 재치부(52)의 내부에 트레이(T)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제1 접촉부(61E)는 제1 위치결정부(61)의 제1 연장부(61A)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제1 접촉부(61E)의 제1 연장부(61A)에 대한 고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접촉부(61E)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치부(52)에 대해서 접촉한다.
제1 스토퍼(62)의 좌측 단부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Y방향에서 보아서, 제1 연장부(61A)의 좌측 단부와 같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트레이(T)가 공급 컨베이어(10)에 의해서 X방향의 플러스 쪽으로 공급되었을 때에, 트레이(T)는 제1 연장부(61A) 및 제1 스토퍼(62)에 접촉해서 정지한다. 제1 스토퍼(62)는 공급 컨베이어(10)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스토퍼(62)의 공급 컨베이어(10)에 대한 고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압출부(63)는,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결정부(61)를 X방향의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제1 압출부(63)는, 공지의 실린더이며, 전동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압출부(63)로서 전동 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공압실린더를 이용할 경우와 비교해서,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기 때문에, 적합하게 제1 위치결정부(6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근접 센서(64)는,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촉부(61E)가 재치부(52)에 접촉했을 때에, 접촉한 것을 검지한다. 제1 근접 센서(64)로서는 공지의 근접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위치결정부(65)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X방향의 마이너스 측에 설치되는 제3 연장부(65A)와, X방향의 플러스 측에 설치되는 제4 연장부(65B)와, 제3 연장부(65A)와 제4 연장부(65B)를 연결하는 2개의 연결부(65C, 65D)를 구비한다.
제3 연장부(65A)는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있다. 제4 연장부(65B)는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있다.
연결부(65C, 65D)는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65C, 65D)는 반입 컨베이어(20)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부(65C, 65D)의 반입 컨베이어(20)에 대해서 고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볼트에 의한 체결이다. 이 때문에, 제2 위치결정부(65) 및 반입 컨베이어(20)는 연동해서 이동한다.
제2 위치결정부(65)의 제3 연장부(65A)의 Y방향의 위쪽에는, 제2 접촉부(65E)가 설치된다. 제2 접촉부(65E)의 우측 단부는, 제3 연장부(65A)의 우측 단부보다도 좌측이 되도록 설치된다. 제2 접촉부(65E)의 우측 단부와 제3 연장부(65A)의 우측 단부 간의 간극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접촉부(65E)가 재치부(52)에 접촉했을 때에, 트레이(T)가 X방향의 목적하는 위치가 되도록 설정된다.
제2 접촉부(65E)는 제2 위치결정부(65)의 제3 연장부(65A)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제2 접촉부(65E)의 제3 연장부(65A)에 대한 고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접촉부(65E)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치부(52)에 대해서 접촉한다.
제2 스토퍼(66)의 좌측 단부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Y방향에서 보아서, 제4 연장부(65B)의 좌측 단부로부터 약간 좌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트레이(T)가 공급 컨베이어(10)에 의해서 X방향의 오른쪽으로 공급되었을 때에, 트레이(T)는 제2 스토퍼(66)에 접촉해서 정지한다. 제2 스토퍼(66)는 공급 컨베이어(10)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스토퍼(66)의 공급 컨베이어(10)에 대한 고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압출부(67)는,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위치결정부(65)를 X방향의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제2 압출부(67)는 공지의 실린더이며, 전동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근접 센서(68)는,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접촉부(65E)가 재치부(52)에 접촉했을 때에, 접촉한 것을 검지한다. 제2 근접 센서(68)로서는 공지의 근접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장치(2)의 반입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반입장치(2)의 각종 구성의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된다.
우선, 식품이 배치된 트레이(T)를 반입장치(2)에 반송한다.
다음에,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 컨베이어(10)에 의해서, 트레이(T)를 X방향의 오른쪽을 향해서 이동시킨다. 여기서, 공급 컨베이어(10)는, 트레이(T)를 우선 영역(A1)으로 이동시켜서, 트레이(T)를 제1 연장부(61A) 및 제1 스토퍼(62)에 접촉시킨다. 이때, 제2 스토퍼(66)는, 트레이(T)에 접촉하지 않도록, 아래쪽으로 퇴피되어 있다. 그리고, 트레이(T)가 영역(A1)으로 이동한 후, 제2 스토퍼(66)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다음의 트레이(T)를 영역(A2)으로 이동시켜서, 트레이(T)를 제2 스토퍼(66)에 접촉시킨다.
다음에, 리프터(30)에 의해서, 트레이(T)가 재치된 반입 컨베이어(20), 제1 위치결정부(61) 및 제2 위치결정부(65)를, 최상부의 재치부(52)까지 상승시킨다(도시 생략).
다음에,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A1), 영역(A2)의 트레이(T)를 트롤리 매단 선반(50)의 재치부(52)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T)가 재치부(52)에 접촉하기 직전까지, 트레이(T)를 재치부(52) 쪽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결정부(61)는 영역(A1)의 트레이(T)를 위치결정하고, 제2 위치결정부(65)는 영역(A2)의 트레이(T)를 위치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위치결정부(61)는,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압출부(63)에 의해서, 제1 위치결정부(61)를 X방향의 마이너스 쪽으로 이동시켜, 제1 접촉부(61E)를 재치부(52)에 접촉시킨다(도 12, 도 14의 2점 쇄선(A) 참조). 이 결과, 영역(A1)의 트레이(T)는, X방향에 있어서, 목적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때, 제1 위치결정부(61)는 제2 연장부(61B)를 지니므로, 트레이(T)가 수지 벨트(21)를 의도치 않게 미끄러져서, 목적하는 위치보다도 X방향의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 위치결정부(65)는,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압출부(67)에 의해서, 제2 위치결정부(65)를 X방향의 플러스 측(도 14의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제2 접촉부(65E)를 재치부(52)에 접촉시킨다(도 12, 도 14의 2점 쇄선(B) 참조). 이 결과, 영역(A2)의 트레이(T)는, X방향에 있어서, 목적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때, 제2 위치결정부(65)는, 제4 연장부(65B)를 지니므로, 트레이(T)가 수지 벨트(21)를 의도치 않게 미끄러져서, 목적하는 위치보다도 X방향의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입 컨베이어(20)에 의해서, 트레이(T)를 재치부(52)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리프터(30)에 의해서, 반입 컨베이어(20)가 하강해서, 이때에, 트레이(T)는 재치부(52)에 재치된다.
한편, 영역(A3, A4)에 대해서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재치부(52)에 트레이(T)를 재치한다.
그리고, 영역(A1, A2, A3, A4)에 있어서, 위에서 차례로 15단의 재치부(52)에 트레이(T)를 반입한 후, 처리고에 있어서 동결건조 처리가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반입장치(2)는 X방향을 따르는 트레이(T)의 재치부(52)에 대한 위치결정을 행하는 위치결정기구(60)를 더 포함한다. 위치결정기구(60)는, 공급 컨베이어(10)에 의해서 트레이(T)가 X방향을 따라서 공급될 때에, X방향의 목적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62, 66)와, 스토퍼(62, 66)에 의해서 정지된 트레이(T)를 X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트레이(T)를 목적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는 위치결정부(61, 65)와, 위치결정부(61, 65)를 X방향을 따라서 압출하는 압출부(63, 67)와, 위치결정부(61, 65)에 부착되고, 압출부(63, 67)에 의해서 위치결정부(61, 65)가 X방향을 따라서 압출되었을 때에 재치부(52)에 접촉하는 접촉부(61E, 65E)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입장치(2)에 따르면, 재치부(52)의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트레이(T)의 X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때문에, 재치부(52)가 변형되어 있었을 경우더라도, 트레이(T)가 재치부(52)에 접촉하는 일 없이, 트레이(T)를 적합하게 재치부(52)에 재치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반입장치(1)는 반입용으로서 이용되었다. 그러나, 반출에 이용되어도 된다.
또,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반입 컨베이어(20)에 의해서, 트레이(T)를 트롤리 매단 선반(50)의 재치부(52)로 이동시킬 때에, 재치부(52)의 상부면에 대해서, 트레이(T)를 약간 높은 개소에서 이동시켰다. 그러나, 반입 컨베이어(20)에 의해서, 트레이(T)를 트롤리 매단 선반(50)의 재치부(52)로 이동시킬 때에, 트레이(T)를 재치부(52)에 접촉시키면서 이동시켜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공급 컨베이어(10)는, 트레이(T)를 X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트레이(T)를 재치부(52)의 Y방향의 연장선 상에 공급했다. 그러나, 공급 컨베이어는, 트레이(T)를 Y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트레이(T)를 재치부(52)의 Y방향의 연장선 상에 공급해도 된다. 이때, 위치결정기구는 스토퍼가 불필요해진다.
1: 반입장치 10: 공급 컨베이어
20: 반입 컨베이어 21: 수지 벨트
22: 권회부 23: 권회부
30: 리프터 50: 트롤리 매단 선반
51: 연장부 52: 재치부
60: 위치결정기구 61: 제1 위치결정부
61E: 제1 접촉부 62: 제1 스토퍼
63: 제1 압출부 64: 제1 근접 센서
65: 제2 위치결정부 65E: 제2 접촉부
66: 제2 스토퍼 67: 제2 압출부
68: 제2 근접 센서 T: 트레이

Claims (5)

  1.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쌍의 연장부와,
    상기 1쌍의 연장부로부터, 상기 상하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설치되고, 트레이가 재치(載置)되는 1쌍의 재치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처리고 내에 반입되는 트롤리 매단 선반에 대해서, 상기 트레이를 반입하는 반입장치로서,
    상기 트레이를 상기 재치부의 상기 제2 방향의 연장선 상에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와,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상기 재치부에 반입하는 반입 컨베이어와,
    상기 트레이가 배치된 상기 반입 컨베이어를, 상기 1쌍의 재치부의 사이를 개재해서 승강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하는, 반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르는 상기 트레이의 상기 재치부에 대한 위치결정을 행하는 위치결정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결정기구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에 의해서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공급될 때에, 상기 제1 방향의 목적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의해서 정지된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상기 트레이를 상기 목적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는 위치결정부와,
    상기 위치결정부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압출하는 압출부와,
    상기 위치결정부에 부착되고, 상기 압출부에 의해서 상기 위치결정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압출되었을 때에 상기 재치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반입장치.
  3.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쌍의 연장부와,
    상기 1쌍의 연장부로부터, 상기 상하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설치되고, 트레이가 재치되는 1쌍의 재치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처리고 내에 반입되는 트롤리 매단 선반에 대해서, 상기 트레이를 반입하는 반입방법으로서,
    상기 트레이를 상기 재치부의 상기 제2 방향의 연장선 상에 공급하고,
    상기 재치부의 연장선 상에 공급된 상기 트레이를, 상기 1쌍의 재치부의 사이를 개재해서 소정의 높이의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2 방향의 상기 재치부 쪽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재치부에 반입하는, 반입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를 상기 재치부에 반입하기 전에,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공급될 때에, 상기 제1 방향의 목적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트레이를 정지시키고,
    접촉부가 상기 재치부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트레이를 상기 목적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는, 반입방법.
  5. 위치결정기구로서,
    공급 컨베이어에 의해서 트레이가 제1 방향을 따라서 공급될 때에, 상기 제1 방향의 목적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의해서 정지된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상기 트레이를 상기 목적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는 위치결정부와,
    상기 위치결정부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압출하는 압출부와,
    상기 위치결정부에 부착되고, 상기 압출부에 의해서 상기 위치결정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압출되었을 때에 상기 재치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위치결정기구.
KR1020190175779A 2018-12-28 2019-12-26 반입장치, 반입방법 및 위치결정기구 KR202000833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47251 2018-12-28
JP2018247251A JP2020105006A (ja) 2018-12-28 2018-12-28 搬入装置、搬入方法、および位置決め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308A true KR20200083308A (ko) 2020-07-08

Family

ID=7122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779A KR20200083308A (ko) 2018-12-28 2019-12-26 반입장치, 반입방법 및 위치결정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0105006A (ko)
KR (1) KR20200083308A (ko)
CN (1) CN1113771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7717B (zh) * 2020-10-29 2022-11-18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物料盘自动取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5756B2 (en) * 2004-04-12 2010-08-17 Yuyama Mfg. Co., Ltd. Bucket transfer apparatus
JP4208906B2 (ja) * 2006-07-24 2009-01-14 学校法人慶應義塾 移動体
JP2009062153A (ja) * 2007-09-06 2009-03-26 Asyst Technologies Japan Inc 保管庫
IT1398335B1 (it) * 2010-03-01 2013-02-22 System Logistics S P A Impianto per lo stoccaggio di prodotti.
CN202389860U (zh) * 2011-12-22 2012-08-22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物料存放设备
CN204110899U (zh) * 2014-09-24 2015-01-21 慈溪市西西那提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轴承滚子无磕碰上料机
CN205221717U (zh) * 2015-12-30 2016-05-11 内蒙古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物流管理货物分类装置
CN206384527U (zh) * 2017-01-07 2017-08-08 昆山联捷机电有限公司 全自动检测包装机出料机构
CN207046208U (zh) * 2017-08-10 2018-02-27 深圳市海能达通信有限公司 一种自动补料的供料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77178A (zh) 2020-07-07
JP2020105006A (ja)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1389B2 (ja) 搬送システム
KR102276842B1 (ko) 층간 반송 설비
US20120093620A1 (en) Stocker
CN110831873B (zh) 搬运系统以及搬运方法
KR102346976B1 (ko) 물품 반송 설비
KR20080105754A (ko) 완성타이어 출하장치
KR101307993B1 (ko) 워크지지이송장치
WO2017033739A1 (ja) パレット搬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パレット搬送方法
CA3223747A1 (en) Automated warehouse systems, assemblie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mixed pallets and facilitating order picking
KR20200083308A (ko) 반입장치, 반입방법 및 위치결정기구
CN111483739A (zh) 存储系统和相关的平台送料机
KR101068221B1 (ko) 고속 트랜스퍼 원자재 공급시스템
KR101111545B1 (ko)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JP3715341B2 (ja) 平板瓦の焼成システムにおける白地又は焼成品の積込・降ろし方法及び積込・降ろし装置
KR20130100568A (ko) 표준금속플레이트 제조용 양면 연속 가공장치
KR101489271B1 (ko) 물류운반장치
KR20050036430A (ko) 컨베이어 시스템
KR102268943B1 (ko) 부품 제조 공정용 부품 이송 장치
US11613433B2 (en) Palletis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palletising device
TW202419361A (zh) 物品搬送設備
JP7472538B2 (ja) コンベヤ
JP2564683B2 (ja) ストレージ装置
JP6315982B2 (ja) 搬送装置
JP2782652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JPH09255143A (ja) 板状体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