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545B1 -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545B1
KR101111545B1 KR1020100105134A KR20100105134A KR101111545B1 KR 101111545 B1 KR101111545 B1 KR 101111545B1 KR 1020100105134 A KR1020100105134 A KR 1020100105134A KR 20100105134 A KR20100105134 A KR 20100105134A KR 101111545 B1 KR101111545 B1 KR 101111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water tank
conveyor
charging system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인텍
Priority to KR1020100105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6Initial charging meas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12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05Acid electrolytes
    • H01M2300/0011Sulfuric acid-b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조 내에서 충전함으로써 자동차 배터리를 단시간에 안정적으로 충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와, 수조 내부에 위치하는 이송장치를 구비하는 수조장치; 상기 수조장치 내에 충전될 배터리를 공급하는 로더; 및 상기 수조장치에서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를 상기 수조장치 외부로 이송하는 언로더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장치는 배터리를 상기 이송장치의 이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업다운장치를 상기 이송장치의 연장 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CHARGING SYSTEM FOR CAR BATTERY}
본 발명은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조 내에서 충전함으로써 자동차 배터리를 단시간에 안정적으로 충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여러가지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예로서, 공랭식 배터리 충전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외부전원을 통해 강력한 충전전류를 배터리에 연결할 경우 배터리 내에 충진된 황산의 온도가 과열되어 파열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낮은 충전전류를 사용해야 한다. 그에 따라 결과적으로 충전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다른 종래의 자동차 배터리 충전방식으로는 배터리 충전라인에 배터리 이송용 컨베이어를 설치한 후 물탱크를 설치하되, 배터리의 충전 시스템에 대한 인입 및 인출을 수행하는 도어의 개폐장치를 사람이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방식이 있으나, 이 방식 또한 충전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고 동시에 작업인원이 항시 대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의 자동차 배터리 충전방식으로는 팰릿(pallet)에 배터리를 적재하여 체인 컨베이어로 이송 적재한 후 도어를 가마처럼 폐쇄하고 에어컨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냉각시키면서 충전시키는 방식이 있으나, 이 방식 또한 충전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수조와, 수조 내부에 위치하는 이송장치를 구비하는 수조장치; 상기 수조장치 내에 충전될 배터리를 공급하는 로더; 및 상기 수조장치에서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를 상기 수조장치 외부로 이송하는 언로더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장치는 배터리를 상기 이송장치의 이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업다운장치를 상기 이송장치의 연장 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이송장치는 컨베이어 벨트 구조이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벨트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업다운장치는 상기 다수의 벨트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지지다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업다운장치의 지지다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연장방향을 따라 다수의 배터리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배터리를 상기 수조장치에 공급하기 전에 다수의 배터리를 정위치에 정렬시키는 정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장치는 상기 언로더 쪽에 위치하며 개폐되는 출구측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구측 도어는 개방시에 상기 이송장치의 이송면과 이어지는 배출 컨베이어 롤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배출 컨베이어 롤러는 상기 이송장치의 이송면보다 이송 속도가 빠를 수 있다.
상기 로더는 상기 배터리를 들어올려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구비하는 제1 로딩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더는 상기 배터리를 밀어서 이송시키는 푸셔를 구비하는 제2 로딩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제2 로딩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배터리를 차례대로 한 스텝씩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로더는 상기 배터리를 들어올려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구비하는 제1 로딩장치와, 상기 배터리를 밀어서 이송시키는 푸셔를 구비하는 제2 로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로딩장치와 제2 로딩장치 중 하나를 선택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 벨트의 주행을 중지시키지 않더라도 충전 수조 장치에 배터리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자동차 배터리의 생산량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수조장치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정렬기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로더의 측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언로더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100)은 병렬로 배치된 다수의 수조장치(110)와, 정렬기(120)와, 로더(130)와, 언로더(140)와,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100)은 다수의 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신속한 충전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수조장치(110)는 수조(110a)와, 이송수단(111)와, 입구측 도어(101)와, 출구측 도어(112)와, 온도센서(113)와, 수위센서(114)와, 위치센서(115)와, 급수밸브(116)와, 배수밸브(117)와, 업다운장치(118)를 구비한다. 수조장치(110) 내에서 다수의 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진다.
수조(110a)는 배터리(B)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수조(110a) 내에는 물이 채워지며, 수조(110a) 내의 물에 의해 배터리(B)의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되므로 높은 충전전류에서도 배터리(B)가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충전된다. 수조(110a) 내의 물의 높이 및 온도는 제어부(150)에 의해 적절히 제어된다.
이송수단은(111)은 컨베이어 구조로서, 화살표로 표시된 이송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길게 연장된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와,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11b)를 구비한다.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는 수조(110a) 내에 위치하며, 수조(110a) 내에 채워진 물의 양에 따라 물에 잠기거나 물 위로 노출된다.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에는 이송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배터리 묶음이 놓여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배터리 묶음은 하나의 팰릿(pallet) 물량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의 폭방향으로 6개 길이방향으로 3개 총 18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에 22개의 배터리 묶음이 놓여지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는 이송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단위 벨트(113)를 구비한다. 각 단위 벨트(113)마다 배터리(B)가 일렬로 놓일 수 있으며, 각 단위 벨트(113) 사이는 이격되어 있다.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의 이송방향 일단부에는 입구측(1111a)이 마련되고 타단측에는 출구측(1111b)가 마련된다. 구동모터(111b)는 물에 잠기지 않도록 상부에 위치한다. 이송수단(111)은 제어부(15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며,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는 그 위에 놓인 배터리(B)를 이송방향으로 소정의 속도(본 실시예에서는 약 1m/s)로 이송시킨다.
입구측 도어(101)는 컨베이어 벨트(111a)의 입구측(1111a)에 위치하며, 수조(110)에 대체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입구측 도어(101)는 폐쇄되었을 때 상부에 위치하며 개방되었을 때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입구측 도어(10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입구측 도어(101)의 상단이 컨베이어 벨트(111a)와 대체로 동일 면에 위치하게 된다.
출구측 도어(112)는 컨베이어 벨트(111a)의 출구측(1111b)에 위치하며, 수조(110)에 대체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112)는 배터리(B)의 배출을 막는 폐쇄 위치와 배터리(B)의 배출을 허용하는 열림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그 작동은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도어(112)의 상단에는 열림 위치일 때 컨베이어 벨트(111a)와 동일 면에 위치하는 배출 컨베이어 롤러(112a)가 마련된다. 배출 컨베이어 롤러(112a)는 배출 컨베이어 구동모터(112b)에 의해 구동된다. 배출 컨베이어 롤러(112a)와 배출 컨베이어 구동모터(112b)는 배출 컨베이어(112c)를 구성한다. 배출 컨베이어(112c)의 작동은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며, 배출 컨베이어 롤러(112a)는 그 위에 놓인 배터리(B)를 이송방향으로 컨베이어 벨트(111a)의 이송속도보다 빠른 소정의 속도(본 실시예에서는 약 10m/s)로 이송시킨다.
온도센서(113)는 수조(110a) 내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마련되며, 온도센서(113)를 통해 검출된 수조(110a) 내 물의 온도에 대한 전기적 신호가 제어부(150)로 전달된다.
수위센서(114)는 수조(110a) 내 물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마련되며, 수위센서(114)를 통해 검출된 수조(110a) 내 물의 높이에 대한 전기적 신호가 제어부(150)로 전달된다.
위치센서(115)는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 상에서 이동하는 배터리 묶음의 이동방향에 따른 위치를 파악하여 그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급수밸브(116)는 수조(110a) 내에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라인 상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며, 제어부(15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배수밸브(117)는 수조(110a) 내의 물을 배출하도록 배수라인 상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며, 제어부(15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업다운장치(118)는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의 아래에 이송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다수개가 구비된다. 각 업다운장치(118)은 하나의 배터리 묶음에 대응한다. 업다운장치(118)는 대응하는 배터리 묶음을 필요에 따라 상승시켜서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와 이격시킨다. 각 업다운장치(118)는 구동기(118a)와, 받침부(118b)와, 다수의 지지다리(118c)를 구비한다. 구동기(118a)는 받침부(118b)를 상하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기(118a)로 공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받침부(118b)는 구동기(118a)와 연결되며 폭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수의 지지다리(118c)는 받침부(118b)로부터 위로 연장되며,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의 각 단위 벨트(1113) 사이의 간격에 배치된다. 지지다리(118c)의 상단은 배터리(B)의 바닥과 닿을 수 있다. 지지다리(118c)는 구동기(118a)의 작동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하게 되며, 지지다리(118c)가 아래에 위치할 때에는 지지다리(118c)의 끝단이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에 놓인 배터리(B)의 바닥과 이격된 상태이며, 지지다리(118c)가 상승하면 지지다리(118c)의 끝단이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에 놓인 배터리(B)를 위로 들어올려서 배터리(B)와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를 이격시킨다.
병렬로 배치된 다수의 수조장치(110)의 입구측(1111a)에는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반입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1)가 위치한다. 반입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1)을 통해 충전되어야 할 배터리(B)들이 일렬로 반입된다.
병렬로 배치된 다수의 수조장치(110)의 출구측(1111b)에는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반출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2)가 위치한다. 반출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2)를 통해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B)들이 일렬로 반출된다.
도 1 내지 도 2b,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정렬기(120)는 몸체(121)와, 몸체(121)에 대하여 직선이동하는 다수의 스토퍼(122)를 구비한다. 정렬기(120)는 반입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1)에 의해 일렬로 이송되는 배터리(B)를 수조장치(110)로 전달하기 전에 배터리(B) 사이가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터리(B)를 정렬시킨다. 몸체(121)는 반입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1)을 사이에 두고 수조장치(110)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반입 컨베이어 벨트(CV1)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스토퍼(122)는 반입 컨베이어 벨트(CV1)의 이송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된다. 각 스토퍼(122)는 막대형상으로서, 반입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1)의 이송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각 스토퍼(122)는 위치에 따라 반입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1) 상에 위치하거나 반입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1) 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스토퍼(122)의 수는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의 단위 벨트(1113)의 수와 동일하며(본 실시예에서는 6개), 각 스토퍼(122) 사이의 간격은 단위 벨트(1113)의 배치 간격과 일치한다. 따라서, 각 스토퍼(122)에 의해 정렬되는 배터리(B)는 각 단위 벨트(1113)에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정렬기(120)의 작동은 제어기(150)에 의해 제어된다.
도 1 내지 도 2b 및 도 5를 참조하면, 로더(130)는 제1 로딩장치(130a)와 제2 로딩장치(130b)를 구비한다. 제1 로딩장치(130a)는 지지체(131)와, 지지체(131)에 설치된 이송 로봇(132)을 구비한다. 제1 로딩장치(130a)는 정렬기(120)에 정렬된 배터리(B)를 수조장치(110)로 이송한다. 지지체(131)는 반입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1)를 따라 길게 연장된다. 이송 로봇(132)은 지지체(131)를 따라 반입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1)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이송 로봇(132)은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배터리(B)를 잡는 핸드부가 상하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다. 제1 로딩장치(130a)의 작동은 제어기(150)에 의해 제어된다. 도 1에서는 제1 로딩장치(130a)의 이송 로봇(132)이 정렬기(120)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제1 로딩장치(130a)의 이송 로봇(132)은 반입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1)의 이송방향 상에서 정렬기(120)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다. 제2 로딩장치(130b)는 푸셔(pusher)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정렬기(120)에 함께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로딩장치(130b)는 제어부(15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며, 정렬기(120)에 정렬된 배터리(B)를 입구측 도어(101)가 개방되었을 때 밀어서 수조장치(110)로 이송한다.
도 1 내지 도 2b,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언로더(140)는 몸체(141)와, 몸체(141)의 상부에 설치된 반송기(142)를 구비한다. 몸체(141)는 수조장치(110)의 출구측(1111b)과 반출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2)의 사이에 위치하며, 반출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2)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몸체(141)의 상면에는 다수의 롤러(141a)가 마련된다. 다수의 롤러(141a) 상에 수조장치(110)로부터 배출된 배터리(B)가 위치하게 된다. 다수의 롤러(141a)의 중간에는 걸림부(141b)가 마련되며, 걸림부(141b)가 롤러(141a)의 위로 올라온 상태에서는 배터리(B)가 반출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2)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어 배터리(B) 사이의 간섭을 방지한다. 반송기(142)는 수조장치(110a)의 도어(112) 쪽과 반출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2) 쪽 사이를 이동하는 반송판(142a)을 구비한다. 반송판(142a)은 다수의 롤러(141a) 상에 놓인 배터리(B)를 반출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2)로 밀어 이동시킨다. 언로더(140)는 배터리(B)를 상하 2단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반출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2)에 상하 2단으로 반출될 수 있다. 언로더(140)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150)는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장치와, 제어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앙처리장치(CPU)를 구비하는 통상적인 마이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150)는 관리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입출력 장치를 함께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온도센서(113)로부터 수조(110a) 내 물의 온도, 수위센서(114)로부터 수조(110a) 내 물의 높이, 위치센서(115)로부터 배터리 묶음의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 상의 위치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그에 따라, 이송장치(111), 도어(112), 급수밸브(116), 배수밸브(117), 업다운장치(118), 정렬기(120), 로더(130) 및 언로더(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에 주액기를 이용하여 소정량의 황산을 주입한 후, 소정 속도로 작동하는 반입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1)을 통해 충전될 다수의 배터리가 이송된다.
다음, 반입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1)을 통해 이송되는 배터리들은 정렬기(120)에 의해 수조장치(110)의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의 각 벨트 유닛(1113)에 하나씩 정확한 위치에 놓여 질 수 있도록 정렬된다. 이때 정렬은 정렬기(120)의 다수의 스토퍼(122) 중 하류 측에 위치하는 스토퍼 순으로 차례대로 반입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1) 상으로 위치하면서 이루어진다.
다음, 정렬된 배터리들은 로더(130)에 의해 수조장치(110)로 이송된다. 이때, 제1 로딩장치(130a)와 제2 로딩장치(130b)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제1 로딩장치(130a)가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정렬된 배터리들은 로더(130)에 의해 수조장치(110)의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의 입구측(1111a)에 위치하는 업로드장치에 놓여지게 된다. 이때, 대응하는 업로드장치는 지지다리(118c)를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 위로 위치시키기 때문에,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가 주행 중이더라도 배터리는 이송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1 로딩장치(130a)에 의한 배터리의 이송은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의 입구 측에 6X3의 배터리 묶음이 형성될 때까지 이루어지며, 배터리 묶음이 형성되면 업로드장치에 의해 배터리 묶음이 하강하여 주행하는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에 의해 출구측(1111b)으로 이송된다. 6X3의 배터리 묶음이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의 출구측(1111b)에 가깝게 업로드장치에 위치하게 되면 이 신호는 위치센서(115)에 의해 제어기(150)로 전달되며, 제어기(150)는 해당 업로드장치(118)에 배터리 묶음을 상승시킬 것을 명령하며, 그에 따라 배터리 묶음은 해당 위치에서 업로드장치(118)에 의해 상승하여 정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가 정지함이 없이 수조장치(110) 내에는 다수의 배터리(B)가 채워지게 된다. 이때, 물은 배터리(B)의 3/2 높이까지 채워지게 된다.
제2 로딩장치(130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입구측 도어(10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 로딩장치(130b)가 정렬된 배터리들을 밀어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 위로 이송시킨다. 이후,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가 한 스텝씩 이동하면서 제2 로딩장치(130b)에 의해 배터리들이 이송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로 공급된다.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가 스텝이동함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B)가 수조장치(110) 내에 채워지게 된다.
다음, 각 배터리(B)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며, 충전이 진행됨에 따라 소조(110a) 내의 물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는데, 적절한 수온이 유지되도록 제어부(150)는 온도센서(113)의 신호에 근거하여, 급수밸브(116) 및 배수밸브(117)를 제어한다. 배수된 가열된 물은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다시 그 온도가 낮아져서 급수밸브(116)를 통해 수조(110a) 내로 재 공급될 수 있다.
다음, 모든 배터리(B)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수조(110a) 내의 물은 수면이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의 아래로 내려가도록 제어된 후, 도어(112)가 개방되게 된다.
다음, 각 업로드장치(118)가 출구측(1111b) 쪽으로부터 차례대로 하강하면서 배터리(B)가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111a)에 의해 출구측(1111b)으로 이송된다. 이때, 도어(112)의 상단에 마련된 배출 컨베이어 롤러(112a)에 의해 빠르게 배출되며, 배출된 배터리(B)는 언로더(140)의 롤러(141a)에 놓이게 된다.
다음, 언로더(140)는 롤러(141a) 상에 위치하는 배터리(B)를 반송판(142a)을 이용하여 반출 컨베이어 플라스틱 벨트(CV2)로 이송시킨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배터리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가 컨베이어 벨트 구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컨베이어 벨트 구조 대신 체인 구조 등 다른 이송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는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110 : 수조장치
101 : 입구측 도어 111 : 이송장치
112 : 출구측 도어 113 : 온도센서
114 : 수위센서 115 : 위치센서
116 : 급수밸브 117 : 배수밸브
118 : 업다운장치 120 : 정렬기
130 : 로더 140 : 언로더
150 : 제어부

Claims (10)

  1. 수조와, 수조 내부에 위치하는 이송장치를 구비하는 수조장치;
    상기 수조장치 내에 충전될 배터리를 공급하는 로더; 및
    상기 수조장치에서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를 상기 수조장치 외부로 이송하는 언로더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장치는 배터리를 상기 이송장치의 이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업다운장치를 상기 이송장치의 연장 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컨베이어 벨트 구조이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벨트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업다운장치는 상기 다수의 벨트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지지다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장치의 지지다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연장방향을 따라 다수의 배터리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배터리를 상기 수조장치에 공급하기 전에 다수의 배터리를 정위치에 정렬시키는 정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장치는 상기 언로더 쪽에 위치하며 개폐되는 출구측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구측 도어는 개방시에 상기 이송장치의 이송면과 이어지는 배출 컨베이어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출 컨베이어 롤러는 상기 이송장치의 이송면보다 이송 속도가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더는 상기 배터리를 들어올려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구비하는 제1 로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더는 상기 배터리를 밀어서 이송시키는 푸셔를 구비하는 제2 로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제2 로딩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배터리를 차례대로 한 스텝씩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더는 상기 배터리를 들어올려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구비하는 제1 로딩장치와, 상기 배터리를 밀어서 이송시키는 푸셔를 구비하는 제2 로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로딩장치와 제2 로딩장치 중 하나를 선택가능한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1020100105134A 2010-10-27 2010-10-27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101111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134A KR101111545B1 (ko) 2010-10-27 2010-10-27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134A KR101111545B1 (ko) 2010-10-27 2010-10-27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545B1 true KR101111545B1 (ko) 2012-02-13

Family

ID=4584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134A KR101111545B1 (ko) 2010-10-27 2010-10-27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5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978A (ko) * 2014-02-19 2015-08-27 자동차부품연구원 전기차 전원공급 장치, 전원공급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20150113369A (ko) 2014-03-28 2015-10-08 세방전지(주) 연축전지 충전수조의 냉각장치
KR20230138746A (ko) 2022-03-24 2023-10-05 백종현 방화벽 겸용 방화수조형 전기자동차 방화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7055A (ja) * 1994-12-05 1996-06-18 Kubota Corp 板状ワーク搬送装置
JPH11191434A (ja) 1997-12-26 1999-07-13 Seiko Precision Inc 電池の充電再生装置
KR100217052B1 (ko) 1997-02-28 1999-10-01 전주범 패드인쇄기 언로딩/로딩시스템
KR200285950Y1 (ko) 2002-02-28 2002-08-22 주식회사 메인텍 자동차 배터리 충전시스템
KR20020085950A (ko) * 2001-05-10 2002-11-18 한상배 표면포기기를 이용한 간헐포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7055A (ja) * 1994-12-05 1996-06-18 Kubota Corp 板状ワーク搬送装置
KR100217052B1 (ko) 1997-02-28 1999-10-01 전주범 패드인쇄기 언로딩/로딩시스템
JPH11191434A (ja) 1997-12-26 1999-07-13 Seiko Precision Inc 電池の充電再生装置
KR20020085950A (ko) * 2001-05-10 2002-11-18 한상배 표면포기기를 이용한 간헐포기장치 및 방법
KR200285950Y1 (ko) 2002-02-28 2002-08-22 주식회사 메인텍 자동차 배터리 충전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978A (ko) * 2014-02-19 2015-08-27 자동차부품연구원 전기차 전원공급 장치, 전원공급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20150113369A (ko) 2014-03-28 2015-10-08 세방전지(주) 연축전지 충전수조의 냉각장치
KR20230138746A (ko) 2022-03-24 2023-10-05 백종현 방화벽 겸용 방화수조형 전기자동차 방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5335B2 (en) Conveyance system
US9773691B2 (en) Substrate conveying system
KR101965733B1 (ko) 물품 반송 설비
CN105083978A (zh) 搬运装置
KR102181281B1 (ko) 물품이송장치
CN206032636U (zh) 自动化设备
KR101111545B1 (ko) 자동차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20170057848A (ko) 용기 반송 설비
CN108100666A (zh) 基板供给装置的控制方法及基板供给回收装置的控制方法
JP5892651B2 (ja) 物品の移送方法及び物品の移送装置
KR101614314B1 (ko) 무인 운반차용 배터리 이송유닛 및 이를 갖는 무인 운반차의 배터리 자동 교환장치
CN103342217B (zh) 自动化物料输送系统及物料传送方法
CN103332426B (zh) 自动化物料传送系统
KR101614317B1 (ko) 무인 운반차용 배터리 이송유닛 및 이를 갖는 무인 운반차의 배터리 자동 교환장치
KR100974063B1 (ko) 창고용 박스 반입 및 반출 시스템
KR20170054605A (ko) 타이어용 수직이송 컨베이어벨트장치
KR20200083308A (ko) 반입장치, 반입방법 및 위치결정기구
JP2000353735A (ja) 半導体製品の製造設備
KR101576619B1 (ko) 연탄의 정렬 및 적재기구
CN219347194U (zh) 料框和电池的烘烤线
CN113458843B (zh) 具有双入口和双出口的机床以及相关使用方法
CN212355590U (zh) 一种并行上下料系统
KR100665956B1 (ko) 자동차용 몰딩 건조 및 이재장치
KR20110102792A (ko) 물품 이송라인의 버퍼시스템
JP4348622B2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