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247B1 - 에어벤트용 윙노브 - Google Patents

에어벤트용 윙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247B1
KR101534247B1 KR1020090065510A KR20090065510A KR101534247B1 KR 101534247 B1 KR101534247 B1 KR 101534247B1 KR 1020090065510 A KR1020090065510 A KR 1020090065510A KR 20090065510 A KR20090065510 A KR 20090065510A KR 101534247 B1 KR101534247 B1 KR 101534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wing
air vent
wing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855A (ko
Inventor
조성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2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7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78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the door plane, e.g. butterfly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에어벤트용 윙노브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에어벤트용 윙노브는: 전방윙부재를 감싸는 노브본체와, 노브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 및 회전부에 연결되며 전방윙부재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후방윙부재에 걸려서 노브본체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에어벤트용 윙노브를 공용으로 사용하므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에어벤트, 윙노브, 노브본체, 회전부, 연결부

Description

에어벤트용 윙노브{WING KNOB FOR AIR VENT}
본 발명은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델별로 구분된 에어벤트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에어벤트용 윙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센터페시아에는 공조유닛의 덕트와 연결되어 공조유닛에서 공기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제공하는 에어벤트가 구비된다.
에어벤트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수평윙 및 수평윙의 상류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수직윙과, 수평윙 중 하나에 고정되어 수평윙과 수직윙의 위치를 조절하는 윙노브를 포함한다.
수평윙은 윙노브의 상하 조작으로 동작되어 공기의 유동을 상하 방향으로 유도하며, 수직윙은 윙노브의 좌우 조작으로 동작되어 공기의 유동을 좌우 방향으로 유도한다.
윙노브는 수평윙에 장착되는 노브본체와, 노브본체에 고정되어 수직윙을 동 작시키는 노브바로 구성된다.
수직윙에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봉 형상의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지지부재의 외측을 파지하는 노브바는 2개의 조작봉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노브본체를 좌우 방향으로 조작하면, 노브본체에 고정된 노브바도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지지부재를 좌우로 이동시켜서 수직윙의 방향을 조절한다.
노브바와 노브본체는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노브본체가 설치된 수평윙과 노브바의 작동으로 동작되는 수직윙의 교차 각도가 90도인 상태로 노브바와 지지부재의 설계가 이루어진다.
수평윙과 수직윙의 교차 각도가 90도 이상인 경우, 노브바와 수직윙의 지지부재가 접하는 접촉면적이 달라지므로, 윙노브의 조작력이 수직윙으로 전달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브바와 연결되는 지지부재가 휘어지므로, 수평윙과 수직윙의 교차 각도가 90도 이상인 경우에도, 노브바와 지지부재의 교차 각도는 90도를 유지하므로, 윙노브의 조작력이 수직윙으로 전달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수평윙과 수직윙의 교차 각도가 90도 이상인 경우, 노브바를 따라 휘어지는 지지부재가 수직윙에서 돌출 형성되므로, 수직윙을 통하여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동작성능이 저하된다. 그리고 차량의 디자인이 변경될 때마다, 윙노브와 지지부재를 구비한 수평윙의 설계가 변경되므로 금형비를 포함한 생산비가 상승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윙노브와 연결되는 지지부재가 휘어져서 공기 유로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어벤트의 동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디자인이 변해도 윙노브를 공용으로 사용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에어벤트용 윙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용 윙노브는: 전방윙부재를 감싸는 노브본체와, 노브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 및 회전부에 연결되며 전방윙부재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후방윙부재에 걸려서 노브본체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부와 마주하는 노브본체에 절곡 형성되는 걸림턱 및 회전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는 회전부에 힌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에 구비된 힌지연결공 및 연결부와 힌지연결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와 연결부는 이중사출 방식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용 윙노브는, 후방윙부재의 지지부재가 변형되지 않아도, 전방윙노브와 후방윙노브의 교차 각도에 관계없이 윙노브의 조작력이 후방윙부재로 전달되어 공기 유로를 방해하지 않으므로 에어벤트의 동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디자인이 변경해도 윙노브를 공용으로 사용하므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용 윙노브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에 구비되는 에어벤트용 윙노브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용 윙노브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벤트용 윙노브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용 윙노브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본체와 회전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전방윙부재와 후방윙부재가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용 윙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전방윙부재와 후방윙부재가 둔각을 이루며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용 윙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용 윙노브(1)는, 전방윙부재(12)를 감싸는 노브본체(30)와, 노브본체(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40) 및 회전부(40)에 연결되며 전방윙부재(12)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후방윙부재(20)에 걸려서 노브본체(30)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연결부(50)를 포함한다.
자동차의 실내로 공기조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벤트(10)는, 수평으로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전방윙부재(12)와, 수직으로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후방윙부재(20)를 포함한다.
전방윙부재(12) 중 하나에는 노브본체(30)가 설치되며, 연결부(50)와 접하는 후방윙부재(20)에는 내측공간(22)을 형성하는 지지부재(24)가 설치된다.
연결부(50)를 통하여 전달되는 조작력으로, 연결부(50)와 연결된 후방윙부재(20)는 회전하며, 다른 후방윙부재(20)도 연결링크(26)로 연결되어 같이 회동된다.
노브본체(30)의 측면에는 전방윙부재(12)가 삽입되는 삽입홈부(32)가 통공되며, 노브본체(30)의 측면에는 원통 형상의 장착부(34)가 돌출된다.
회전부(40)가 장착부(34)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회전부(40)와 장착부(34)는 다양한 방식의 결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부(40)와 마주하는 노브본체(30)의 장착부(34)에 절곡 형성되는 걸림턱(36)이 구비되며, 걸림턱(36)에 걸리는 걸림돌기(42)가 회전부(40)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장착부(34)의 내측으로 걸림턱(36)이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회전부(40)의 외측면에 걸림돌기(42)가 구비되나, 장착부(34)의 외측으로 걸림턱(36)이 절곡 형성되고, 회전부(40)의 내측면에 걸림돌기(42)가 구비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
또한, 삽입홈부(32)의 내측에는 실리콘 부재가 설치되어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부(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착부(34)에 회전부(40)가 결합될 때 회전부(40)의 직경이 감소되었다가 원상태로 회복될 수 있도록, 회전부(40)의 일측에는 절개홈부(46)가 구비된다.
회전부(40)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부(50)는, 2개의 막대가 이격된 상태로 설 치되는 연결몸체(54)와, 연결몸체(54)와 회전부(40)를 힌지 연결시키는 축연결부재(52)를 포함한다.
연결부(50)는 회전부(40)에 힌지 연결되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의한 에어벤트용 윙노브(1)는, 회전부(40)에 구비되는 힌지연결공(44)과, 연결부(50)의 회전몸체와 힌지연결공(44)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연결부재(52)를 포함한다.
또는 회전부(40)와 연결부(50)는 이중사출 방식으로 성형이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다. 회전부(40)와 연결부(50)를 이중사출 방식으로 생산하는 경우, 연결부(50)를 먼저 사출성형 하고, 연결부(50)가 힌지 연결되는 회전부(40)를 나중에 사출성형 하는 방식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이중사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용 윙노브(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윙부재(12)와 후방윙부재(20)가 수직을 이루며 설치된 경우, 전방윙부재(12)에 장착된 노브본체(30)를 좌측이나 우측으로 조작하면, 노브본체(30)에 전달된 조작력은 회전부(40)를 통해 연결부(50)로 전달된다.
연결부(50)는 지지부재(24)와 직각을 이루며 접하므로, 지지부재(24)가 구비된 후방윙부재(20)를 회전시켜, 에어벤트(10)를 통하여 나오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절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윙부재(12)와 후방윙부재(20)가 수직을 이루 지 못하는 경우, 노브본체(30)와 연결된 회전부(40)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며, 회전부(40)와 힌지 연결된 연결부(50)도 기울어지는 동작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어벤트용 윙노브(1)는 전방윙부재(12)와 후방윙부재(20)의 이루는 각도에 상관없이 연결몸체(54)와 지지부재(24)는 직각을 이루며 접하므로, 노브본체(30)를 조작하는 조작력이 회전부(40)와 연결부(50)를 통해 후방윙부재(20)로 일정하게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의한 에어벤트용 윙노브(1)는, 후방윙부재(20)의 지지부재(24)가 변형되지 않아도 되므로, 전방윙노브와 후방윙노브의 교차 각도에 관계없이 윙노브의 조작력이 후방윙부재(2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윙노브에서 지지부재(24)가 돌출되지 않기에, 지지부재(24)가 공기 유로를 방해하지 않으므로 에어벤트(10)의 동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디자인 변경에 따른 에어벤트(10)의 설계가 변경되어도, 에어벤트용 윙노브(1)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윙노브와 관련된 금형비 등의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에 구비되는 에어벤트용 윙노브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양한 장치에 설치되는 에어벤트에도 본 발명의 에어 벤트용 윙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용 윙노브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벤트용 윙노브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용 윙노브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본체와 회전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전방윙부재와 후방윙부재가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용 윙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전방윙부재와 후방윙부재가 둔각을 이루며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용 윙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에어벤트용 윙노브
10: 에어벤트 12: 전방윙부재
20: 후방윙부재 22: 내측공간
24: 지지부재 30: 노브본체
32: 삽입홈부 34: 장착부
36: 걸림턱 40: 회전부
42: 걸림돌기 44: 힌지연결공
46: 절개홈부 50: 연결부
52: 축연결부재 54: 연결몸체

Claims (5)

  1. 전방윙부재를 감싸는 노브본체;
    상기 노브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방윙부재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후방윙부재에 걸려서 상기 노브본체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연결부;
    상기 회전부와 마주하는 상기 노브본체에 절곡 형성되는 걸림턱; 및
    상기 회전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용 윙노브.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부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용 윙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 구비된 힌지연결공;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힌지연결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용 윙노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연결부는 이중사출 방식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용 윙노브.
KR1020090065510A 2009-07-17 2009-07-17 에어벤트용 윙노브 KR101534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510A KR101534247B1 (ko) 2009-07-17 2009-07-17 에어벤트용 윙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510A KR101534247B1 (ko) 2009-07-17 2009-07-17 에어벤트용 윙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855A KR20110007855A (ko) 2011-01-25
KR101534247B1 true KR101534247B1 (ko) 2015-07-06

Family

ID=4361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510A KR101534247B1 (ko) 2009-07-17 2009-07-17 에어벤트용 윙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2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564A (ko)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에어벤트용 윙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9359B (zh) * 2021-10-12 2022-07-01 宁波四维尔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空调出风口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084Y2 (ja) * 1991-02-15 1995-08-2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風向変更調節装置
JP2002307939A (ja) * 2001-04-09 2002-10-23 Howa Kasei Kk レジスタ
JP2005008050A (ja) * 2003-06-19 2005-01-13 Howa Kasei Kk レジスタ
JP3958030B2 (ja) * 2000-11-20 2007-08-15 ティーアールダブリュー・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ド・コンポーネンツ・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換気システム用エアベン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084Y2 (ja) * 1991-02-15 1995-08-2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風向変更調節装置
JP3958030B2 (ja) * 2000-11-20 2007-08-15 ティーアールダブリュー・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ド・コンポーネンツ・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換気システム用エアベント
JP2002307939A (ja) * 2001-04-09 2002-10-23 Howa Kasei Kk レジスタ
JP2005008050A (ja) * 2003-06-19 2005-01-13 Howa Kasei Kk レジス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564A (ko)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에어벤트용 윙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855A (ko) 201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83222A1 (en) Air vent
US9278607B2 (en) Air outlet directional flow controller with integrated shut-off door
JP4322572B2 (ja) 空気通気装置
JP2017526579A (ja) 自動車用エアベント
CN106476563B (zh) 远程出口叶片控制系统
CN109203918A (zh) 调风器
KR102495610B1 (ko) 차량용 에어벤트
WO2023124764A1 (zh) 用于交通工具的通风口装置
KR101534247B1 (ko) 에어벤트용 윙노브
JP2002067679A (ja) 空調用吹出口装置
CN110997373B (zh) 汽车用的通风装置
KR101624573B1 (ko) 윙노브 일체형 댐퍼개폐장치
JP2018065471A (ja) レジスタ
JP6459935B2 (ja) 空調用レジスタの操作機構
JP2011102113A (ja) レジスタ
JP4150462B2 (ja) 空気吹出調整用レジスタ
KR101561568B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100728731B1 (ko) 차량용 에어벤트의 윙 노브 구조
KR20210107370A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
JP2013116645A (ja) 風向調整装置
CN110774869A (zh) 一种隐藏式的滚筒出风装置
KR102574918B1 (ko)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KR20130090659A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JP4132964B2 (ja) 車両用空調吹出装置
CN114454690A (zh) 车辆空调出风总成和具有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