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204B1 - 막 모듈 유닛, 그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보수 방법 및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막 모듈 유닛, 그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보수 방법 및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204B1
KR101533204B1 KR1020147011213A KR20147011213A KR101533204B1 KR 101533204 B1 KR101533204 B1 KR 101533204B1 KR 1020147011213 A KR1020147011213 A KR 1020147011213A KR 20147011213 A KR20147011213 A KR 20147011213A KR 101533204 B1 KR101533204 B1 KR 101533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module
module unit
hollow fiber
members
conn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4965A (ko
Inventor
마나부 사사까와
요시히또 나까하라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4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6Wafer type modules or flat-surface typ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B01D63/043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with separate tub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10Testing of membranes or membrane apparatus;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 B01D65/106Repairing membrane apparatus or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6External membrane module supporting or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6Specific mechanisms for loading the membrane in a modu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막 모듈이 병렬된 상태에서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막 모듈 유닛이며, 상기 막 모듈이, 시트 형상의 여과막과, 상기 여과막의 주연의 대향하는 2변에서 상기 여과막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를 갖는 것이고,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여과막의 동일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로 끼움 지지하는 것인, 막 모듈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 해체 및 보수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막 모듈을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막 모듈 유닛, 그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보수 방법 및 수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막 모듈 유닛, 그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보수 방법 및 수처리 장치{MEMBRANE MODULE UNIT AND ASSEMBLY METHOD, DISASSEMBLY METHOD, AND MAINTENANCE METHOD FOR SAME, AND WATER-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막 모듈 유닛, 그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보수 방법 및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9년 2월 24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041015호에 기초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고액(固液) 분리를 행하는 수처리에는 막 모듈이 사용된다. 막 모듈로서는, 예를 들어 복수의 중공사막이 일방향으로 가지런히 맞추어진 중공사막 다발과, 상기 중공사막 다발을 중공사막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를 갖는 중공사막 모듈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처리되는 원수량(原水量)의 증대에 따라, 복수의 막 모듈을 유닛화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복수의 막 모듈을 유닛화한 막 모듈 유닛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의 막 모듈 유닛이 알려져 있다.
(1) 대략 직육면체인 프레임에 고정된 집수 헤더에,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의 양단부를 접속하여 유닛화한 막 모듈 유닛(특허 문헌 1, 2).
(2) 대략 직육면체인 프레임 내에,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을 수납하고, 그들의 양단부를 프레임에 보유 지지하여 유닛화한 막 모듈 유닛(특허 문헌 3).
그러나 (1) 및 (2)의 유닛에는 하기의 문제가 있다.
(i) 우선, 프레임을 조립할 필요가 있다.
(ii) 프레임에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을 하나씩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유닛의 조립이 번잡하고, 또한 유닛으로부터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을 하나씩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해체 및 보수(세정 및 점검 등)가 번잡하다.
(iii) 집수 헤더나 프레임과 중공사막 모듈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의 시일성이나 진동 및 응력 등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거나, 중공사막 모듈 자체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 유닛의 구조가 복잡해진다.
특히 최근에는, 처리되는 원수량의 가일층의 증대에 따라, 막 모듈 및 그 유닛이 대형화되고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취급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또한, 대형화에 수반하여, 프레임이나 막 모듈이 치수에 오차를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변형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복수의 막 모듈을 확실하게 연결 및 고정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296432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100137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표 제2007-531624호 공보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 해체 및 보수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막 모듈을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막 모듈 유닛, 그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보수 방법, 수처리 장치 및 연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 유닛의 일 형태는, 복수의 막 모듈이 병렬된 상태에서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막 모듈 유닛이며, 상기 막 모듈이, 시트 형상의 여과막과, 상기 여과막의 주연의 대향하는 2변에서 상기 여과막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를 갖는 것이고,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여과막의 동일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로 끼움 지지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막 모듈이, 시트 형상의 여과막과, 상기 여과막의 주연의 대향하는 2변에서 상기 여과막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와,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그 양단부 부근에서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재를 갖는 것이고,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여과막의 동일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 또는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의 동일 단부에 있어서의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로 끼움 지지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 유닛은, 자립하는 프레임을 더 갖는 막 모듈 유닛이며,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끼움 지지하는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 중, 그 적어도 한쪽의 끼움 지지 부재와, 상기 프레임이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과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된 한쪽 또는 양쪽의 끼움 지지 부재가, 그 끼움 지지 부재 각 양단부 부근에 있어서, 상기 끼움 지지 부재와 상기 프레임이 체결 수단에 의해 각각 체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 유닛의 다른 형태는, 복수의 막 모듈이 병렬된 상태에서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막 모듈 유닛이며, 상기 막 모듈이, 시트 형상의 여과막과, 상기 여과막의 주연의 대향하는 2변에서 상기 여과막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와,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그 양단부 부근에서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재를 갖는 것이고,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여과막의 동일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 및/또는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의 동일 단부에 있어서의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로 끼움 지지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여과막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어느 한쪽의 동일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로 끼움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 지지 부재에는,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재가 끼워 맞추어지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2개의 끼움 지지 부재를 연결하는 체결 수단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막 모듈의 건조 질량은,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여과막의 동일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 및 또는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의 동일 단부에 있어서의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그들의 편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로 끼움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의 조립 방법은, 상기 복수의 막 모듈을 병렬시킨 상태에서 매달아 올려,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의 해체 방법은, 상기 막 모듈 유닛을 매달아 올려, 상기 연결 수단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의 보수 방법은, 상기 막 모듈 유닛을 매달아 올려, 세정 및/또는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된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과, 상기 막 모듈 유닛의 하방에 배치된 산기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 수단은, 시트 형상의 여과막과, 상기 여과막의 주연의 대향하는 2변에서 상기 여과막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와,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그 양단부 부근에서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재를 갖는 복수의 막 모듈을 병렬시킨 상태에서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며, 상기 여과막의 동일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 또는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의 동일 단부에 있어서의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로 끼움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막 모듈이,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그 양단부 부근에서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재를 더 갖고, 상기 여과막의 동일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 및/또는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의 동일 단부에 있어서의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로 끼움 지지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은,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 해체 및 보수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막 모듈을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의 조립 방법에 따르면, 막 모듈 유닛의 조립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의 해체 방법에 따르면, 막 모듈 유닛의 해체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의 보수 방법에 따르면, 막 모듈 유닛의 보수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는, 막 모듈 유닛의 설치, 제거 및 보수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 수단에 따르면, 막 모듈 유닛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그 조립, 해체 및 보수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막 모듈을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막 모듈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b는 막 모듈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a는 복수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를 연결 수단에 의해 끼움 지지한 모습을 도시하는 막 모듈 유닛의 일례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b는 복수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를 연결 수단에 의해 끼움 지지한 모습을 도시하는 막 모듈 유닛의 다른 일례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c는 복수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를 연결 수단에 의해 끼움 지지한 모습을 도시하는 막 모듈 유닛의 또 다른 일례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을 연결 수단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막 모듈 유닛의 일례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의 일례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의 일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의 일례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의 일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의 일례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의 일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가 설치된 수처리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막 모듈 유닛>
도 1a는,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은,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20)과, 이들을 병렬시킨 상태에서 연결하는 연결 수단(30)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의 유닛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중공사막 모듈 유닛(101)은,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201)과, 이들을 병렬시킨 상태에서 연결하는 연결 수단(30)과, 대략 직육면체의 자립하는 프레임(240)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의 유닛이며, 상기 연결 수단(30)과 상기 프레임(240)은, 상기 연결 수단(3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각각 측방으로 연장된, 단면 형상이 ㄷ자형 또는 L자형인 서포트부(34)의 양단부의 각각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30)과 상기 프레임(240)이 체결 수단(350)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상기 체결 수단(350)은, 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부에 형성된, 상기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관통시키는 구멍은, 그 개구부의 형상이 타원이거나, 진원이라도 좋고, 상기 연결 수단의 상하 위치의 조정을 위해, 적어도 한쪽은 타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 수단 대신에, 용접 등을 포함하는 결합 수단에 의해, 상기 연결 수단(30)과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도 1b의 중공사막 모듈 유닛(101)에서는, 중공사막 모듈(201)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가, 각각 상기 연결 수단(30)에 의해 끼움 지지되고, 각 연결 수단(30)이, 그 양단부의 각각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40)과 체결되어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중공사막 모듈 유닛(102)은,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20)과, 이들을 병렬시킨 상태에서 연결하는 연결 수단(30)과, 대략 직육면체의 자립하는 프레임(240)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의 유닛이며, 상기 연결 수단(30)과 상기 프레임(240)은, 상기 연결 수단(3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각각 측방으로 연장된, 단면 형상이 ㄷ자형 또는 L자형인 서포트부(34)의 양단부의 각각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30)과 상기 프레임(240)이 체결 수단(350)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상기 체결 수단(350)은, 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부에 형성된, 상기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관통시키는 구멍은, 그 개구부의 형상이 타원이거나, 진원이라도 좋고, 상기 연결 수단의 상하 위치의 조정을 위해, 적어도 한쪽은 타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 수단 대신에, 용접 등을 포함하는 결합 수단에 의해, 상기 연결 수단(30)과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도 1c의 중공사막 모듈 유닛(102)에서는, 중공사막 모듈(20)의 상측 단부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가 상기 연결 수단(30)에 의해 끼움 지지되고, 상기 연결 수단(30)이, 그 양단부의 각각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40)과 체결되어 있다. 또한, 중공사막 모듈(20)의 하측 단부의 복수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는, 프레임(240)에 설치된 빗살부(241)의 오목부에, 각각 담지되어 있다.
빗살부(241)의 재료로서는, 중공사막 모듈 유닛(102)의 사용 조건하에 있어서의 내구성을 갖는 것이면 되고, 스테인리스강,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올레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섬유 강화 수지 및 탄성체(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빗살부(241)를 수지로 제작하고, 그 표면에 탄성체를 부착해도 된다. 탄성체로서는, NBR, EPDM, 불소계 고무 및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도 1c의 중공사막 모듈 유닛(102)의 예에서는, 중공사막 모듈(20)의 상부에 연결 수단(30)을 갖지만, 연결 수단(30)은, 중공사막 모듈(20)의 하부에 있어도 되고, 상부와 하부 양쪽에 있어도 된다.
적어도 취수구(26)가 구비된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를, 연결 수단(30)에 의해 끼움 지지하고, 당해 연결 수단(30)과 상기 프레임이 체결 수단(350)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사막 모듈)
도 2a의 중공사막 모듈(20)은, 복수의 중공사막이 일방향으로 가지런히 맞추어진 시트 형상의 중공사막 다발(22)과, 상기 중공사막 다발(22)을, 중공사막의 길이 방향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즉, 시트 형상의 중공사막 다발(22)의 주연의 대향하는 2변]의 각각에서 보유 지지하는 합계 2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와,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를, 중공사막 다발(22)의 측방으로 돌출된 그 양단부의 각각의 근방에서 연결하는 합계 2개의 지지 프레임재(24)를 갖는 것이다.
지지 프레임재(24)와 중공사막 다발(22)의 간극 A는, 후술하는 매달아 올림 기구를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편단부에 첨가시키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도록,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극 A는, 지나치게 길면 불필요한 스페이스가 증가하기 때문에,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유 지지 프레임재(23)가 지지 프레임재(24)보다도 측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길이 B는, 연결 수단(30)을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편단부에 첨가시키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도록,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길이 B는, 지나치게 길면 불필요한 스페이스가 증가하기 때문에,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의 중공사막 모듈(201)은, 상기 도 2a의 중공사막 모듈(20)로부터, 2개의 지지 프레임재(24)를 철거한 구조를 갖는다.
보유 지지 프레임재(23)가 중공사막 다발(22)의 양 측단부보다도 측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길이 B'는, 연결 수단(30)을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편단부에 첨가시키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도록,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길이 B'는, 지나치게 길면 쓸데없는 스페이스가 증가하기 때문에,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사막 다발)
중공사막 다발(22)은, 단층 시트여도 되고, 복층 시트여도 된다.
단층 시트로서는, 복수의 중공사막을 단순히 일방향으로 가지런히 맞춘 시트 ; 복수의 중공사막을 일방향으로 가지런히 맞추고, 체인 스티치[쇄편(鎖編)]의 구속 사조(絲條)(멀티 필라멘트사, 방적사 등)에 의해 각 중공사막을 결속한 시트 ; 중공사막을 지그재그로 복수 회 되접어 시트 형상으로 하고, 되접은 부분을 체인 스티치의 구속 사조로 결속한 시트(러셀편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복층 시트로서는, 단층 시트를 U자형으로 1회 이상 되접은 시트 ; 단층 시트를 복수 포갠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중공사막의 재료로서는,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술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불화에틸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세라믹스 및 이들의 복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중공사막은, 여과막으로서 사용 가능하면 되고, 구멍 직경, 공공률, 막 두께 및 외경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보유 지지 프레임재)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는, 장척(長尺)의 각기둥 형상 또는 각통 형상의 부재이며, 적어도 한쪽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내부에는, 중공사막의 원수측으로부터 투과물측으로 여과된 처리수를 모으기 위한 집수로(25)가 형성된다.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에는, 중공사막 다발(22)의 편단부가, 중공사막의 내부와 집수로가 연통된 상태에서 포팅부(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측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적어도 한쪽의 편단부에는, 집수 헤더(도시 생략)에 접속되는 배출구(26)가 형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재료로서는, 원수에 대한 내구성을 갖고, 또한 여과 시의 압력에 견딜 수 있으면 되고,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올레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ABS 수지 및 폴리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는, 중공사막 모듈(20 또는 201)의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달아 올리기 위한 훅 등을 거는 걸이부 ; 매달아 올리기 위한 와이어나 적대(吊帶)를 권취하기 위한 스페이스 ; 또는 그립 등의 미끄럼 방지부 등을 갖고 있어도 된다.
포팅부의 재료로서는, 중공사막 다발(22)의 편단부를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에 고정할 수 있고, 원수측과 투과수측을 액밀하게 구획할 수 있고, 또한 원수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면 되며,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물 및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포팅부는, 예를 들어 중공사막 다발(22)의 편단부를, 그 개구를 유지한 상태에서, 블록 형상으로 일체화한 후, 상기 블록 형상물을, 중공사막의 내부와 집수로가 연통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에, 포팅부와 마찬가지의 재료로 접착 고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재)
지지 프레임재(24)는, 중공사막 모듈(20) 및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의 형상을 유지하여, 중공사막 모듈(20) 및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의 자립성 및 취급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하다.
지지 프레임재(24)는, 장척의 각기둥 형상 또는 각통 형상의 부재이며,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를 지지할 수 있고,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의 사용 조건하에 있어서의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 된다.
지지 프레임재(24)의 내부에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내부의 집수로(25)에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사막의 원수측으로부터 투과수측으로 여과되어, 하측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집수로에 모아진 처리수를, 지지 프레임재(24)의 유로를 통해 상측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집수로(25)에 모아,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재(24),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를 유로로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에, 집수를 위한 여분의 구조, 또는 기능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지지 프레임재(24)의 재료로서는, 충분한 강도, 내구성을 가지면 되고, 스테인리스강,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올레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및 섬유 강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지지 프레임재(24)는, 중공사막 모듈(20)의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달아 올리기 위한 훅 등을 거는 걸이부, 또는 그립 등의 미끄럼 방지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프레임)
프레임(240)은, 지지 프레임재(24)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중공사막 모듈(201) 및 중공사막 모듈 유닛(101 또는 102)의 형상을 유지하여, 중공사막 모듈(201) 및 중공사막 모듈 유닛(101 또는 102)의 자립성 및 취급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지지 프레임재(24)가 존재하는 구조를 갖는 경우에 프레임이 존재해도 되고, 중공사막 모듈(2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쪽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가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지 않을 때는, 중공사막 모듈 유닛은 프레임을 갖고,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지 않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빗살부의 오목부에, 각각 담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은, 그 자체가 자립하여, 장척의 각기둥 형상 또는 각통 형상의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연결 수단(30)에 의해 끼움 지지된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201)을 지지할 수 있고, 중공사막 모듈 유닛(101 또는 102)의 사용 조건하에 있어서의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 된다.
프레임(240)에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내부의 집수로(25)에 연통되는 유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사막의 원수측으로부터 투과수측으로 여과되어, 하측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집수로에 모아진 처리수를, 상기 유로를 통해 상측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집수로(25)에 모아,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프레임(240)의 재료로서는, 충분한 강도, 내구성을 갖는 것이면 좋고, 스테인리스강,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올레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섬유 강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연결 수단)
연결 수단(30)은, 중공사막 다발(22)의 동일 단부[즉, 중공사막 다발(22)의 주연의 동일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를, 지지 프레임재(24) 또는 중공사막 다발(22)의 양 측단부보다도 측방으로 돌출된 그들의 편단부에서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31)로 끼움 지지함으로써,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20 또는 201)을 병렬시킨 상태에서 연결하는 것이다.
연결 수단(30)은, 중공사막 다발(22)의 상측 단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양단부 및 중공사막 다발(22)의 하측 단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양단부의 합계 4개소에서, 복수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를 끼움 지지할 수 있다.
끼움 지지 부재(31)는,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유 지지 프레임재(23)가 끼워 맞추어지는 복수의 홈(32)이 형성된 빗살부(33)와, 단면 형상이 ㄷ자형 또는 L자형인 서포트부(34)를 적어도 대향하는 끼움 지지 부재(31)의 어느 한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살부(33)와 서포트부(34)는, 일체화되어 있어도 되고, 분할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 프레임재를 갖는 중공사막 모듈(20)을 끼움 지지할 때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23) 혹은 지지 프레임재에 끼워 맞추어지는 복수의 홈(32)이 형성된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끼움 지지 부재(31)는, 하측의 서포트부(34)가 측방으로 연장되어, 체결 수단(350)에 의해 프레임(240)과 체결되어 있어도 된다. 체결 수단(350)을 관통시키기 위해 서포트부(34)에 설치되는 관통구의 형상은, 타원이거나, 정원이라도 좋고, 프레임과의 체결 시에, 서포트부(34)의 상하 위치의 조정을 위해, 그 적어도 어느 한쪽이 타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빗살부(33)의 재료로서는,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의 사용 조건하에 있어서의 내구성을 가지면 좋고, 스테인리스강,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올레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섬유 강화 수지 및 탄성체(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서포트부(34)에 충분한 강도가 있고, 빗살부(33)가 기능을 다하는 내성을 갖는 경우, 빗살부(33)의 재료로서는 탄성체가 바람직하다.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20 또는 201)을 배열하였을 때 각각의 중공사막 모듈(20 또는 201)의 치수차에 기인하여, 연결 수단(30)과 중공사막 모듈(20 또는 201)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거나 한 경우에, 빗살부(33)가 탄성체인 쪽이, 중공사막 모듈(20 또는 201)의 보유 지지 안정성을 높인다. 또한, 빗살부(33)를 수지로 제작하고, 그 표면에 탄성체를 부착해도 된다. 탄성체로서는, NBR, EPDM, 불소계 고무 및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서포트부(34)의 재료로서는, 스테인리스강,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올레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및 섬유 강화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대형의 중공사막 모듈(20)을 지지하는 강도가 요구되는 경우는, 강도가 높고, 취급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하고, 저렴한 점으로부터, 스테인리스강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리스강의 규격품 중, 30㎜×30㎜ 사이즈의 스테인리스의 L강은, 두께의 베리에이션이 많고, 중공사막 모듈 유닛의 용도에 적합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연결 수단(30)은,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31)를 연결하는 복수의 체결 수단(35)을 더 갖는다. 체결 수단(35)은,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진다. 볼트 및 너트의 대신에, 밴드 클램프 등을 사용해도 된다.
연결 수단(30)은,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의 상부에 집수 헤더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수단 ;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의 하부에 산기 수단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수단 ;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을 매달아 올리기 위한 훅 등을 거는 걸이부 ; 또는 매달아 올리기 위한 와이어나 적대를 권취하기 위한 스페이스 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조립 방법)
최근에는, 처리되는 원수량의 증대에 따라, 대형의 중공사막 모듈(20 또는 201)이 다수 사용되고, 그것에 수반하여 중공사막 모듈(20 또는 201) 및 중공사막 모듈 유닛(10, 101 또는 102)의 질량도 증대되고 있다. 그로 인해, 이들을 인력으로 취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중공사막 모듈 유닛(10, 101 또는 102)을 조립할 때는, 중공사막 모듈을 매달아 올려 취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사막 모듈 유닛(10, 101 또는 102)은, 예를 들어 하기의 수순으로 조립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20)을,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 및 지지 프레임재(24)끼리가 병렬되도록, 또한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길이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되고, 지지 프레임재(24)의 길이 방향이 대략 수직 방향으로 되도록 배열시킨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공사막 다발(22)의 동일 측부에 있어서의 중공사막 다발(22)과 지지 프레임재(24)의 간극 모두에 막대 형상의 매달아 올림 기구(40)를 삽입 관통시키고, 중공사막 다발(22)의 상측 단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양단부의 각각의 하측에 매달아 올림 기구(40)를 따르게 한다.
계속하여, 매달아 올림 기구(40)의 양단부에, 매달아 올림 수단(크레인, 활차 등, 도시 생략)으로부터 신장되는 와이어(41)를 접속하고, 상기 매달아 올림 수단에 의해, 매달아 올림 기구(40)째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20)을 병렬시킨 상태에서 매달아 올린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달아 올려진 상태 그대로,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20)을 소정의 간격으로 정렬시켜, 중공사막 다발(22)의 상측 단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양단부 및 중공사막 다발(22)의 하측 단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양단부의 합계 4개소에서, 복수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를 연결 수단(30)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20)을 연결한다.
또한, 막대 형상의 매달아 올림 기구(40) 대신에 아암 형상의 매달아 올림 기구를 사용해도 되고, 또한 매달아 올림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매달아 올림 수단으로부터 신장되는 와이어나 적대를 중공사막 다발(22)과 지지 프레임재(24)의 간극에 삽입 관통시켜도 된다.
중공사막 모듈 유닛(101 또는 102)은, 중공사막 모듈(20)을 대신하여, 중공사막 모듈(201)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의 조립 방법에 준하여 조립할 수 있다. 즉, 적당한 매달아 올림 수단(크레인, 활차 등)을 사용하여, 매달아 올린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201)의 복수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를 연결 수단(30)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20)을 연결하고, 연결 수단(30)과 프레임(240)을 체결 수단으로 체결하거나, 또는 그 밖의 결합 수단으로 결합한다.
(해체 방법)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은, 예를 들어 하기의 수순으로 해체할 수 있다.
중공사막 다발(22)의 동일 측부에 있어서의 중공사막 다발(22)과 지지 프레임재(24)의 간극 모두에 막대 형상의 매달아 올림 기구(40)를 삽입 관통시키고, 중공사막 다발(22)의 상측 단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양단부의 각각의 하측에 매달아 올림 기구(40)를 따르게 한다.
계속하여, 매달아 올림 기구(40)의 양단부에, 매달아 올림 수단으로부터 신장되는 와이어를 접속하고, 상기 매달아 올림 수단에 의해, 매달아 올림 기구(40)째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을 매달아 올린다.
매달아 올려진 상태 그대로, 중공사막 다발(22)의 상측 단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양단부 및 중공사막 다발(22)의 하측 단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양단부의 합계 4개소로부터, 복수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를 끼움 지지하고 있는 연결 수단(30)을 제거한다.
중공사막 모듈 유닛(101 또는 102)은, 상기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의 해체 방법에 준하여 해체할 수 있다. 즉, 연결 수단(30)과 프레임(240)의 체결 또는 결합을 해제하고 나서 연결 수단(30)에 의해 끼움 지지된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201)을 적당한 매달아 올림 수단을 사용하여 매달아 올리고, 복수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를 끼움 지지하고 있는 연결 수단(30)을 제거한다.
(보수 방법)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은, 예를 들어 하기의 수순으로 세정, 또는 점검할 수 있다.
중공사막 다발(22)의 동일 측부에 있어서의 중공사막 다발(22)과 지지 프레임재(24)의 간극 모두에 막대 형상의 매달아 올림 기구(40)를 삽입 관통시키고, 중공사막 다발(22)의 상측 단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양단부의 각각의 하측에 매달아 올림 기구(40)를 따르게 한다.
계속하여, 매달아 올림 기구(40)의 양단부에, 매달아 올림 수단으로부터 신장되는 와이어를 접속하고, 상기 매달아 올림 수단에 의해, 매달아 올림 기구(40)째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을 매달아 올린다.
이 상태 그대로,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의 세정, 또는 점검을 행해도 되고, 중공사막 모듈(20)의 간격이 좁은 경우는, 복수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를 끼움 지지하고 있는 연결 수단(30)을 제거한 후, 매달아 올림 기구(40)에 의해 매달아 올려진 상태 그대로, 각 중공사막 모듈(20)의 세정, 또는 점검을 행해도 된다.
(작용 효과)
이상 설명한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에 있어서는, 하기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i) 중공사막 다발(22)을 양단부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와,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를 그 양단부에서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재(24)와, 중공사막 다발(22)의 동일 단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를 그들의 편단부에서 끼움 지지하는 연결 수단(30)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보유 지지 프레임재(23), 지지 프레임재(24) 및 연결 수단(30)이 대략 직육면체의 프레임의 대신으로 되어, 종래의 중공사막 모듈 유닛에 설치되어 있었던 중공사막 모듈을 삽입하기 위한 프레임을 설치하는 일 없이,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을 일체화하여, 자립시킬 수 있다. 그 결과, (i-1) 종래와 같은 프레임이 불필요해져,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의 구조가 단순해진다. 또한, (i-2) 종래와 같은 프레임을 조립할 필요가 없어져,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의 조립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i-3) 중공사막 모듈(20)의 연결, 해체 시에 방해가 되는 종래와 같은 프레임이 없어져,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의 조립, 해체 및 보수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i-4) 종래와 같은 프레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의 질량을 가볍게 할 수 있다.
(ii)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20)의 연결을, 중공사막 다발(22)의 동일 단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를 그들의 편단부에서 끼움 지지하는 연결 수단(30)만으로 행하고 있다. 그 결과, (ii-1)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의 구조가 단순해진다. 또한, (ii-2)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의 조립, 해체 및 보수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ii-3) 중공사막 모듈(20)이 대형화되어 치수의 오차나 변형이 커졌다고 해도,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편단부에 있어서의 치수의 오차나 변형은 그다지 커지지 않아,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20)을 확실하게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다.
(iii) 연결 수단(30)에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23)가 끼워 맞추어지는 복수의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iii-1) 중공사막 모듈(20)이 옆으로 어긋나기 어려워져, 집수 헤더와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의 시일성이나 진동, 또는 응력 등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거나, 중공사막 모듈(20) 자체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iii-2) 홈(32) 사이의 볼록부가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여, 중공사막 모듈(20)의 간격이 유지되기 때문에, 중공사막 다발(22)을 세정하기 쉽다.
(iv) 연결 수단(30)이, 2개의 끼움 지지 부재(31)를 연결하는 체결 수단(35)을 더 갖기 때문에,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20)을 더욱 확실하게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질량이 큰 중공사막 모듈(20)을 연결할 경우에 유효하고, 건조 질량 25㎏ 이상의 중공사막 모듈을 취급할 때에 특히 유효하다.
(v) 지지 프레임재(24)의 사용 대신에, 프레임(240)을 사용한 중공사막 모듈 유닛(101)에 있어서는, 상기 (i)의 작용 효과를 제외하고, (ii), (iii) 및/또는 (iv)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갖는다.
(다른 형태)
또한,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의 일 형태로서는, 복수의 막 모듈이 병렬된 상태에서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막 모듈 유닛이며, 상기 막 모듈이, 시트 형상의 여과막과, 상기 여과막의 주연의 대향하는 2변에서 상기 여과막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와,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그 양단부에서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재를 갖는 것이고,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여과막의 동일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 또는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의 동일 단부에 있어서의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그들의 편단부에서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로 끼움 지지하는 막 모듈 유닛이면 되고, 도시예의 중공사막 모듈 유닛(10)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여과막은, 중공사막 다발에 한정되지는 않고, 평막 등이어도 된다. 평막 등의, 시트 형상의 여과막의 4변으로부터 투과수를 토출시킬 수 있는 타입의 여과막의 경우, 보유 지지 프레임재에서 보유 지지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2변을 지지 프레임재에서 보유 지지하고, 지지 프레임재에 보유 지지 프레임재로서의 역할을 겸하게 해도 된다.
또한, 연결되는 막 모듈의 수도, 2개 이상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끼움 지지 부재의 강도가 충분하면, 10개 이상의 막 모듈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막 모듈 유닛끼리를 더 연결해도 된다.
또한, 보유 지지 프레임재, 지지 프레임재 및 프레임의 형상도, 각기둥 형상 또는 각통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고, 원기둥 형상, 원통 형상, 단면 U자형 통 형상, 또는 판 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한, 연결 수단(30)에 의한 각 프레임재의 끼움 지지의 형태도, 도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중공사막 다발(22)의 상측 단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 또는 중공사막 다발(22)의 하측 단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 중 어느 한쪽만을 그들의 양단부에서 연결 수단(30)에 의해 끼움 지지해도 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재(24)를, 상측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상방 및 하측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하방으로 돌출시키고,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동일 단부에 있어서의 지지 프레임재(24)끼리를,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보다도 돌출시킨 그들의 편단부에서 연결 수단(30)에 의해 끼움 지지해도 된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를 끼움 지지하고 있는 연결 수단(30)이 수평 방향으로 빠져버리는 경우가 상정되기 때문에, 빠짐 방지를 위해,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연결 수단에 의해 끼움 지지하는 동시에 동일한 연결 수단에 의해 지지 프레임재끼리도 동시에 끼움 지지해도 되고,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양단부에 있는 연결 수단(30)끼리를 더 연결해도 된다.
또한, 연결 수단(30)은,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 또는 지지 프레임재(24)끼리를 그들의 편단부에서 끼움 지지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중공사막 다발(22)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 영역 사이에, 중공사막 다발(22)이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에 보유 지지되어 있지 않은 공극이 존재하는 경우는, 상기 공극에 있어서 보유 지지 프레임재(23)끼리를 끼움 지지해도 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재(24)끼리의 끼움 지지에 대해서는, 임의의 부분에서 가능하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길이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하고, 지지 프레임재(24)의 길이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하고 있지만,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길이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하고, 지지 프레임재(24)의 길이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체결 수단(35)은,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31)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연결하고 있지만, 끼움 지지 부재(31)의 형상, 배치 등에 따라서는 좌우로부터 연결하도록 해도 된다.
<수처리 장치>
도 8은,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가 설치된 수처리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상기 수처리 시스템은, 막 분리 활성 오니법(MBR)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일례이며, 원수 중의 비교적 큰 고형분을 제거하는 스크린(51)과 ; 스크린(51)으로부터 배출된 원수를 저류하고, 하류로 흐르는 원수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조(52)와 ; 공급 펌프(53)에 의해 유량 조정조(52)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혐기 상태로 하여 탈질을 행하는, 교반 모터(54) 및 이것에 접속되는 교반 날개(55)를 구비한 탈질용 수조(56)와 ; 탈질용 수조(56)로부터 공급된 원수와 공기를 접촉시켜, 호기성 생물에 의해 유기물 등을 분해 처리하는, 막 침지 수조(57)와 ; 막 침지 수조(57) 내에 설치되어, 원수를 탈질용 수조(56)로 반송하는 순환 펌프(58)와 ; 막 침지 수조(57) 내에 설치된 중공사막 모듈 유닛(10, 101 또는 102)과 ; 막 침지 수조(57) 내에, 또한 중공사막 모듈 유닛(10, 101 또는 102)의 하방에 배치되어, 블로워(59)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산기하는 산기관(60)(산기 수단)과 ; 여과 펌프(61)에 의한 압력차에 의해 중공사막 모듈(20)의 원수측으로부터 투과수측으로 여과되어, 중공사막 모듈(20)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23)의 배출구(26)로부터 배출된 투과수를 저류하는 투과 수조(62)와 ; 역세정용의 투과수를 투과 수조(62)로부터 중공사막 모듈 유닛(10, 101 또는 102)으로 공급하는 역세정 펌프(63)와 ; 순환 펌프(58)의 하류측에 설치된 순환 수량계(64)와 ; 블로어(59)의 하류측에 설치된 블로워 공급 밸브(65) 및 공기 유량계(66)와 ; 여과 펌프(61)의 상류에 설치된 여과 밸브(67) 및 압력계(68)와 ; 여과 펌프(61)의 하류에 설치된 투과 수량계(69)와 ; 탈질용 수조(56)에 설치된 탈질용 수조 드레인(70)과 ; 막 침지 수조(57)에 설치된 막 침지 수조 드레인(71)과 ; 역세정 펌프(63)의 하류측에 설치된 역세정수 밸브(72)를 갖는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중공사막 모듈 유닛의 설치, 제거 및 보수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막 모듈 유닛은, 정수 처리, 산업 폐수 처리, 또는 배수 처리 등의 고액 분리를 행하는 수처리에 사용되는 막 모듈 유닛으로서 유용하고, 특히 대형의 막 모듈을 구비한 막 모듈 유닛으로서 유용하다.
10 : 중공사막 모듈 유닛(막 모듈 유닛)
101 : 중공사막 모듈 유닛(막 모듈 유닛)
102 : 중공사막 모듈 유닛(막 모듈 유닛)
20 : 중공사막 모듈(막 모듈)
22 : 중공사막 다발(여과막)
23 : 보유 지지 프레임재
24 : 지지 프레임재
30 : 연결 수단
31 : 끼움 지지 부재
32 : 홈
35 : 체결 수단
350 : 체결 수단

Claims (17)

  1. 복수의 막 모듈이 병렬된 상태에서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막 모듈 유닛이며,
    상기 막 모듈이, 시트 형상의 여과막과, 상기 여과막의 주연의 대향하는 2변에서 상기 여과막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를 갖는 것이고,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가, 상기 여과막의 양측단부보다도 측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여과막의 동일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로 끼움 지지하고,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를 연결하는 체결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여과막의 양측단부보다도 측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의 편단부에 첨가되어, 상기 편단부에서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끼움 지지하고,
    적어도 한쪽의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의 내부에 집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지지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가 끼워 맞추어지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 빗살부와, 서포트부를 갖는, 막 모듈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자립하는 프레임을 더 갖는 막 모듈 유닛이며,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끼움 지지하는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 중, 그 적어도 한쪽의 끼움 지지 부재와, 상기 프레임이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막 모듈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된 한쪽 또는 양쪽의 끼움 지지 부재가, 그 끼움 지지 부재 각 양단부 부근에 있어서, 상기 끼움 지지 부재와 상기 프레임이 체결 수단에 의해 각각 체결되어 있는, 막 모듈 유닛.
  4. 복수의 막 모듈이 병렬된 상태에서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막 모듈 유닛이며,
    상기 막 모듈이, 시트 형상의 여과막과, 상기 여과막의 주연의 대향하는 2변에서 상기 여과막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와,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그 양단부 부근에서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재를 갖는 것이고,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가, 상기 여과막의 양측단부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재보다도 측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여과막의 동일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로 끼움 지지하고,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를 연결하는 체결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여과막의 양측단부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재보다도 측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의 편단부에 첨가되어, 상기 편단부에서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끼움 지지하고,
    적어도 한쪽의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의 내부에 집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지지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재가 끼워 맞추어지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 빗살부와, 서포트부를 갖는, 막 모듈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재의 내부에,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재의 내부의 집수로에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막 모듈 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여과막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어느 한쪽의 동일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로 끼움 지지하는, 막 모듈 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여과막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어느 한쪽의 동일변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 프레임재끼리를 대향하는 2개의 끼움 지지 부재로 끼움 지지하는, 막 모듈 유닛.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 모듈의 건조 질량이, 25㎏ 이상인, 막 모듈 유닛.
  11. 삭제
  12.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막 모듈 유닛을 조립하는 방법이며,
    상기 복수의 막 모듈을 병렬한 상태에서 매달아 올려,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하는, 막 모듈 유닛의 조립 방법.
  13.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막 모듈 유닛을 해체하는 방법이며,
    상기 막 모듈 유닛을 매달아 올려, 상기 연결 수단을 제거하는, 막 모듈 유닛의 해체 방법.
  14.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막 모듈 유닛의 보수 방법이며,
    상기 막 모듈 유닛을 매달아 올려, 세정 및/또는 점검하는, 막 모듈 유닛의 보수 방법.
  15.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막 모듈 유닛과,
    상기 막 모듈 유닛의 하방에 배치된 산기 수단을 갖는, 수처리 장치.
  16. 삭제
  17. 삭제
KR1020147011213A 2009-02-24 2010-02-24 막 모듈 유닛, 그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보수 방법 및 수처리 장치 KR101533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41015 2009-02-24
JP2009041015 2009-02-24
PCT/JP2010/001243 WO2010098089A1 (ja) 2009-02-24 2010-02-24 膜モジュールユニット、その組み立て方法、解体方法、保守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21819A Division KR20110139692A (ko) 2009-02-24 2010-02-24 막 모듈 유닛, 그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보수 방법 및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965A KR20140074965A (ko) 2014-06-18
KR101533204B1 true KR101533204B1 (ko) 2015-07-02

Family

ID=426653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213A KR101533204B1 (ko) 2009-02-24 2010-02-24 막 모듈 유닛, 그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보수 방법 및 수처리 장치
KR20117021819A KR20110139692A (ko) 2009-02-24 2010-02-24 막 모듈 유닛, 그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보수 방법 및 수처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21819A KR20110139692A (ko) 2009-02-24 2010-02-24 막 모듈 유닛, 그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보수 방법 및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46970B2 (ko)
EP (1) EP2402070A4 (ko)
JP (1) JP5274552B2 (ko)
KR (2) KR101533204B1 (ko)
CN (1) CN102333581B (ko)
SG (1) SG173759A1 (ko)
WO (1) WO20100980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591B1 (ko) * 2018-08-28 2020-02-19 한국전력공사 가스분리용 평판형 분리막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6166B2 (ja) * 2010-06-09 2014-10-15 株式会社クボタ 水処理設備および水処理機器の吊り上げ装置
KR101453231B1 (ko) 2010-09-16 2014-10-22 미쓰비시 레이온 컴퍼니, 리미티드 중공사막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중공사막 모듈의 제조 방법 및 중공사막 시트상물의 제조 장치
KR101240957B1 (ko) 2010-12-31 2013-03-11 허준혁 막모듈 체결 장치
JP5583036B2 (ja) * 2011-01-18 2014-09-03 株式会社クボタ 膜分離装置
US20140027360A1 (en) * 2011-03-16 2014-01-30 Kolon Industries, Inc. Filtration apparatus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erefor
WO2013038954A1 (ja) * 2011-09-12 2013-03-2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平型中空糸膜エレメント及び浸漬型水処理装置
HUE049097T2 (hu) 2012-04-02 2020-09-28 Mitsubishi Chem Corp Üreges szál membrán modul és üreges szál membrán egység üreges szál membrán modullal
KR101364362B1 (ko) * 2012-12-28 2014-02-1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여과장치
KR102370290B1 (ko) * 2013-02-22 2022-03-04 비엘 테크놀러지스 인크. 바이오필름 지지용 맴브레인 조립체
JP6198423B2 (ja) * 2013-03-27 2017-09-20 株式会社クボタ 吊り上げ装置、吊り上げセット及び水処理設備
KR101538772B1 (ko) * 2013-12-23 2015-07-22 주식회사 에코니티 자유말단을 가지는 침지형 중공사막 유닛 모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형 중공사 막 모듈과 간헐/연속포기가 가능한 산기장치를 포함하는 침지형 수처리 장치 및 이의 포기 방법
US9447911B2 (en) * 2014-03-07 2016-09-20 Pall Corporation Adjustable frame assemblies, methods for assembling a filter apparatus, and filter apparatuses
EP3119724A2 (en) 2014-03-20 2017-01-25 General Electric Company Wastewater treatment with primary treatment and mbr or mabr-ifas reactor
CN107530634A (zh) * 2015-06-08 2018-01-02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过滤装置
KR102020787B1 (ko) * 2015-09-02 2019-09-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모듈
JP6649185B2 (ja) * 2016-06-06 2020-02-19 株式会社東芝 膜分離活性汚泥装置
US11471833B2 (en) 2016-09-29 2022-10-18 Amogreentech Co., Ltd. Flat-plate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lat-plate filter module comprising same
KR101966759B1 (ko) * 2017-04-17 2019-04-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WO2018080219A1 (ko) * 2016-10-27 2018-05-0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CN108187496B (zh) * 2018-03-02 2024-01-12 博天环境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ehbr膜组件保护装置
CN109647213A (zh) * 2018-12-31 2019-04-19 上海佐水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单片更换的软片式平板膜过滤单元及组件
CN109731476B (zh) * 2019-03-08 2022-01-04 湖北聚孚膜科技有限公司 一种层流式中空纤维过滤膜片
CN110683638B (zh) * 2019-10-17 2022-04-26 江苏大学 一种基于针状膜和珊瑚砂的膜生物反应器
JP6897832B1 (ja) * 2020-03-23 2021-07-07 株式会社明電舎 支持構造および膜濾過装置
KR102418770B1 (ko) * 2020-08-18 2022-07-11 옥수금속(주)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게이트형 분리막 유니트
CN112844051B (zh) * 2020-12-18 2022-09-16 成都合达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医用中空纤维膜过滤器自动组装拉膜设备
WO2023220132A1 (en) * 2022-05-12 2023-11-16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Singapore Pte. Ltd. Membrane bioreactor module
KR20230161714A (ko) * 2022-05-19 2023-11-2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무동력 급수 시스템
CN115159670A (zh) * 2022-05-25 2022-10-11 宁波建嵘科技有限公司 一种圆柱膜组件与安装有圆柱膜组件的膜单元及运行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669A (ja) * 1996-04-17 1997-10-28 Mitsubishi Rayon Co Ltd 中空糸膜モジュールユニット及び濾過装置
JPH1157424A (ja) * 1997-08-08 1999-03-02 Kubota Corp 膜分離装置
KR200268096Y1 (ko) * 2001-12-05 2002-03-1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침지형 분리막 인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5127A (en) * 1943-09-28 1947-02-04 Derryberry Benjamin Franklin Dipping board
JPH0275683A (ja) * 1988-09-13 1990-03-15 Japan Carlit Co Ltd:The 紫外線及び赤外線吸収剤及びその処理方法
JPH0563632U (ja) 1992-01-31 1993-08-24 三機工業株式会社 中空糸膜濾過器
JPH06143251A (ja) * 1992-10-30 1994-05-24 Tokin Corp セラミックスの切断用固定装置と切断方法
JPH0716591A (ja) 1993-06-30 1995-01-20 Nitto Denko Corp 散気式曝気槽
JPH07299339A (ja) * 1994-05-09 1995-11-14 Kubota Corp 平板型膜分離装置
JPH08332356A (ja) 1995-06-07 1996-12-17 Kubota Corp 濾過膜板保持装置
JPH0914514A (ja) * 1995-06-30 1997-01-1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ホースクランプ
US7037426B2 (en) * 2000-05-04 2006-05-02 Zenon Environmental Inc. Immersed membrane apparatus
JP3542206B2 (ja) 1995-09-07 2004-07-14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中空糸膜モジュール積層体
JP3522038B2 (ja) 1996-03-22 2004-04-26 株式会社クボタ 浸漬型膜分離装置における散気管の取付構造
JPH10180052A (ja) * 1996-12-27 1998-07-07 Inax Corp 膜分離装置
JP3606735B2 (ja) 1998-04-21 2005-01-05 株式会社クボタ 活性汚泥用膜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005571A (ja) 1998-06-29 2000-01-11 Kubota Corp 浸漬型膜分離装置
JP2000126558A (ja) 1998-10-28 2000-05-09 Nitto Denko Corp 浸漬型膜分離装置及び汚水の浄化方法
CA2290053C (en) * 1999-11-18 2009-10-20 Zenon Environmental Inc. Immersed membrane module and process
AU781443B2 (en) * 2000-12-04 2005-05-26 Kubota Corporation Multistage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or and high-concentration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using same
JP2002248323A (ja) 2001-02-23 2002-09-03 Katsumi Sugimoto 濾過装置
JP4261082B2 (ja) * 2001-05-21 2009-04-30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集水管ヘッダ用部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集水管ヘッダならびに集水管ヘッダを備えた分離膜ユニット
US7279215B2 (en) * 2003-12-03 2007-10-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mbrane modules and integrated membrane cassettes
KR100534526B1 (ko) 2004-04-07 2005-12-07 주식회사 코오롱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
KR200402163Y1 (ko) 2005-08-29 2005-11-28 대한통운 주식회사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JP5438879B2 (ja) * 2005-12-01 2014-03-1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膜ろ過ユニット
CN2890030Y (zh) * 2006-02-07 2007-04-18 姜英杰 一种节水型纯净水器
JP2007209949A (ja) * 2006-02-13 2007-08-23 Mitsubishi Rayon Eng Co Ltd 固液混合処理液のろ過液回収装置
JP2007296432A (ja) 2006-04-28 2007-11-15 Daicel Chem Ind Ltd 浸漬濾過方式の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2008100137A (ja) 2006-10-17 2008-05-01 Daicel Chem Ind Ltd 浸漬濾過方式の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2008237960A (ja) 2007-03-26 2008-10-09 Toray Ind Inc 膜エレメントおよび膜分離装置
CA2686056A1 (en) * 2007-05-11 2008-11-20 Zenon Technology Partnership Membrane module with multiple bottom headers and filtration process
KR100856385B1 (ko) 2007-06-26 2008-09-04 에이네스트(주) Mbr용 분리막 모듈 지지프레임
US7812064B2 (en) 2007-08-07 2010-10-12 Xerox Corporation Phase change ink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669A (ja) * 1996-04-17 1997-10-28 Mitsubishi Rayon Co Ltd 中空糸膜モジュールユニット及び濾過装置
JPH1157424A (ja) * 1997-08-08 1999-03-02 Kubota Corp 膜分離装置
KR200268096Y1 (ko) * 2001-12-05 2002-03-1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침지형 분리막 인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591B1 (ko) * 2018-08-28 2020-02-19 한국전력공사 가스분리용 평판형 분리막 모듈
WO2020045773A1 (ko) * 2018-08-28 2020-03-05 한국전력공사 가스분리용 평판형 분리막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33581B (zh) 2014-02-26
KR20110139692A (ko) 2011-12-29
SG173759A1 (en) 2011-09-29
US9446970B2 (en) 2016-09-20
JPWO2010098089A1 (ja) 2012-08-30
JP5274552B2 (ja) 2013-08-28
EP2402070A4 (en) 2013-07-10
KR20140074965A (ko) 2014-06-18
EP2402070A1 (en) 2012-01-04
CN102333581A (zh) 2012-01-25
WO2010098089A1 (ja) 2010-09-02
US20120012514A1 (en)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204B1 (ko) 막 모듈 유닛, 그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보수 방법 및 수처리 장치
US20070029258A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unit, membrane filtr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on the same
EP2873650B1 (en) Element unit, separation membrane module, and method for connecting/disconnecting separation membrane element
WO2006126833A1 (en) Immers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JP6060273B2 (ja) ろ過装置
JPH07275665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H07136470A (ja) 散気管付き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組立体
KR100646001B1 (ko)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침지형 여과장치 및 시스템
JP2010194434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水処理装置
JPH0999222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ユニット及び濾過装置
KR101434731B1 (ko) 분리막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1559122B1 (ko) 조립분해 용이한 수처리용 멤브레인 장치
KR100624154B1 (ko)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
KR100856385B1 (ko) Mbr용 분리막 모듈 지지프레임
WO2004054692A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ombined with air diffuser
KR20100051947A (ko) 정수용 필터 하우징
EP1810740B1 (en) Hollow fibre module for sludge separation systems
JP4183161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ユニット
KR20090089776A (ko) 양방향 유로관 및 그를 이용한 블록형 정수 장치
JPH09276669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ユニット及び濾過装置
JPH08131783A (ja) 膜分離装置
JP3455589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組立体
KR102073039B1 (ko)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CN220520217U (zh) 一种浸没式超滤净水装置
JP4818508B2 (ja) 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