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787B1 -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모듈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787B1
KR102020787B1 KR1020160113192A KR20160113192A KR102020787B1 KR 102020787 B1 KR102020787 B1 KR 102020787B1 KR 1020160113192 A KR1020160113192 A KR 1020160113192A KR 20160113192 A KR20160113192 A KR 20160113192A KR 102020787 B1 KR102020787 B1 KR 102020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lter
water treatment
filtration
filter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682A (ko
Inventor
한경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ublication of KR20170027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fil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01D63/0821Membrane plate arrangements for submerged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01D63/0822Plate-and-fram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03Membrane bonding or s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15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15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 B01D2201/0423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not in the inner side of the cylindrical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2Specific tightening or locking mechanisms
    • B01D2313/025Specific membran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4Specific spa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01D2313/203Open housings
    • B01D2313/2031Frame or cage-lik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Abstract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 측에 결합되고,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모듈{Flat type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ilter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모듈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의 발전과 인구의 도시 집중 등으로 인하여 생활공간 및 산업설비로부터 배출되는 오폐수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폐수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오폐수 처리시설이 개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오폐수 처리시설은 오폐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부재가 포함된 복수 개의 필터가 설치되는데, 오폐수를 여과시킨 여과부재의 표면에는 오폐수에서 걸러진 오염물질들이 잔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여과부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 측으로 깨끗한 물을 강제로 투입시켜 여과부재에 부착된 오염물질들을 제거함으로써 여과부재를 재사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오염물질 제거 방식의 경우 상기 여과부재에 부착된 오염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과부재로부터 탈리된 오염물질들이 원활하게 낙하할 수 있도록 필터들 사이에 낙하공간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설치 과정에서 복수 개의 필터들이 서로 적절한 간격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조립과정에서 작업자의 눈대중에 의해 필터 간의 간격을 조절한 후 고정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필터 간의 간격이 정확하지 못하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수작업에 의하여 필터들이 서로 적정 거리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 여과부재로부터 탈리된 오염물질을 떨어뜨릴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함으로써 오염물질들의 효율적인 제거가 불가능하여 여과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KR 10-1242080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조립과정에서 서로 이웃하는 필터 사이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 측에 결합되고,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유로에 유입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취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 측이 삽입되는 몸체; 및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체결바가 통과하는 체결공을 갖는 간격조절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구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는 연장판; 및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의 주위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 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은 제1판과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판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2판 및 상기 여과부재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2판의 대향면 상에 형성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은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단부 측에는 상기 유로를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는 여과수가 만나는 수집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집공간은 상기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취구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측에 결합되어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프레임의 양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는, 판상의 제1지지체; 및 상기 제1지지체의 양면에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나노섬유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은 제2지지체을 매개로 상기 제1지지체의 일면에 열융착을 통하여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은 상기 열융착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높은 용융온도를 갖고 상기 제2지지체는 상기 열융착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낮은 용융온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는 부직포 또는 직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체는 상기 제1지지체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복수 개의 필터가 체결바를 매개로 일체화된 필터조립체; 및 상기 복수 개의 필터에 각각 구비되는 수취구와 일대일로 매칭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수를 포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수취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또한, 상기 공통수취부재는, 상기 수취구로부터 유입된 여과수가 저장되는 본체; 상기 수취구로부터 배출된 여과수를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유입구; 및 상기 본체에 저장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수취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에 각각 구비되는 수취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유입구는 튜브를 매개로 각각의 수취구와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필터에 각각 구비되는 수취구는 상기 공통수취부재에 형성된 유입구 측에 직접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격조절부재를 통하여 서로 이웃하는 필터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고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분리도,
도 3은 도 1에 적용되는 프레임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적용되는 간격조절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서 간격조절부재와 지지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에서 여과수가 수취구 측으로 유입되는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에서 수취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서 간격조절부재와 체결바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이 적용된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도 11에 적용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과 메인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1에서 복수 개의 수처리용 필터모듈 중 어느 하나가 메인프레임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재(110), 지지프레임(120) 및 간격조절부재(130,130')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부재(110)는 오수나 폐수와 같은 여과대상액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여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공지의 여과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제1지지체(111)의 양면에 나노섬유웹(112)이 배치된 판상의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섬유웹(112)은 상기 여과대상액이 흡입압력에 의해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여과대상액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지지체(111)는 상기 나노섬유웹(112)을 지지하고 상기 나노섬유웹(112)에 의해 생산된 여과수가 이동하는 이동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여과부재(110)는 상기 나노섬유웹(112)이 상기 제1지지체(111)의 양면에 직접 부착되는 3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상기 나노섬유웹(112)이 제2지지체(113)를 매개로 상기 제1지지체(111)의 양면에 각각 부착되는 5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도 2 참조).
여기서, 상기 제2지지체(113)는 상기 여과부재(110)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체(111)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체(111)의 일면에 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나노섬유웹(112)이 제1지지체(111)에 직접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2지지체(113)를 통해 부착됨으로써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나노섬유웹(112)은 열융착, 초음파 융착, 고주파 융착 등을 통하여 상기 제2지지체(113)를 매개로 상기 제1지지체(111)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체(113)는 부착과정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용융되어 상기 제1지지체(111)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섬유웹(112)은 열에 의하여 용융되지 않도록 융착과정에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높은 용융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체(113)는 융착과정에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낮은 용융온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여과부재(110)는 상기 제2지지체(113)가 완전히 용융되어 3층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지지체(113)의 일부만이 용융되어 나노섬유웹(112)과 제1지지체(111) 사이에 잔존함으로써 5층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여과부재(110)의 구조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나노섬유웹(112) 사이에 하나 이상의 지지체가 개재되는 형태라면 무방함을 밝혀둔다.
더불어, 상기 제1지지체(111) 및 제2지지체(113)는 상기 나노섬유웹(112)에 의해 생산된 여과수가 이동하는 이동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공성의 기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지지체(111) 및/또는 제2지지체(113)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물은 직물에 포함되는 섬유가 종횡의 방향성이 있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조직은 평직, 능직 등일 수 있으며, 경사와 위사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편물은 공지의 니트조직일 수 있으며, 위편물, 경편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더불어, 상기 부직포는 케미컬본딩 부직포, 써멀본딩 부직포, 에어레이 부직포 등의 건식부직포나 습식부직포, 스판레스 부직포, 니들펀칭 부직포 또는 멜트블로운와 같은 공지된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부직포의 공경, 기공율, 평량 등은 목적하는 수투과도, 여과효율, 기계적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지지체(111) 및/또는 제2지지체(113)는 그 재질에 있어서 제한이 없으며, 일례로써,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섬유 또는 셀룰로오스계를 포함하는 천연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나노섬유웹(112)과의 결속력 향상을 통한 수처리 공정 적용 중 제1지지체(111) 및/또는 제2지지체(113)와 나노섬유웹(112) 간의 분리를 방지하고, 별도의 접착성분의 사용에 따른 수투과도 저하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지지체(111) 및 제2지지체(113)는 열융착이 가능한 공지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저융점 폴리에틸렌 등 저융점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초부로 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심부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복합섬유 및/또는 저융점 폴리에틸렌을 초부로 하고 폴리프로필렌을 심부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저융점 복합섬유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융점 고분자화합물의 융점은 60 ~ 180℃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체(111)의 두께는 2 ~ 2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지지체(113)는 상기 제1지지체(111)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상기 제1지지체(11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합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지지체(111)와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웹(112)은 여과대상액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나노섬유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섬유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섬유형성성분 및 상기 섬유형성성분의 혼화성을 향상시키는 에멀젼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섬유형성성분은 친수성이 큰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이하 PAN으로 호칭함)과 소수성이 매우 큰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이하 PVDF로 호칭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VDF는 재질의 특성상 나노섬유의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을 담보시킬 수 있으며, 상기 PAN은 친수성이 커서 상기 PVDF로 인한 나노섬유의 소수성화를 방지하고 나노섬유의 친수성을 향상시켜 여과부재에 나노섬유가 부착되었을 때 향상된 수투과도를 발현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나노섬유웹(112)은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나노섬유웹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섬유형성성분 및 에멀젼화제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는 방사면에 대해 수직하여 적층되는데, 방사 중에 공기중에 휘발/증발되지 못한 용매로 인하여 적층된 나노섬유 중 섬유 표면간에 맞닿는 부분에서 융착이 발생하여 3차원 네크워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나노섬유웹(112)은 단층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층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측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0)가 판상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지지프레임(120)은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 측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거나 부분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지만, 복수 개의 프레임(120a, 120b)이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 측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120a,120b)은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부재(110)의 모서리 측에 배치되는 간격조절부재(130,130')를 통하여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프레임(120a,120b)의 단부측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프레임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여과부재(110)의 형상에 따라 원형, 호형, 다각형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가 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여과부재(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함께 상기 여과부재(110)에 의해 생산된 여과수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통해 수취구(133) 측으로 이동시키는 유동경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120a,120b)은 일측이 개방된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측에 상기 여과부재(110)로부터 유입된 여과수가 이동하는 유로(125)가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120a,120b)은 판상의 제1판(121)과, 상기 제1판(121)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판(122,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110)는 테두리 측이 상기 한 쌍의 제2판(122,123) 사이에 형성된 공간 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22,12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2판(122,123) 사이에 형성된 공간측으로 삽입되는 여과부재(110)의 테두리측은 상기 제1판(12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즉,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22,123)의 대향면 상에는 상기 여과부재(11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구속부재(125)가 구비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측이 각각의 프레임(120a,120b)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속부재(125)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110)의 삽입 깊이가 제한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측 단부와 상기 제1판(121)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여과부재(110)와 프레임(120a,120b)의 결합시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가 항상 상기 제1판(121)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여과수 또는 세척수와 같은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12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속부재(125)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22,123)의 대향면 상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한 쌍의 제2판(122,123)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구속부재(125)는 각각의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속부재(125)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22,123)의 대향면 상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구속부재(125)는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배치됨으로써 여과수가 상기 간격을 통해 유로(124)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재(130,13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모서리측에 결합되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프레임(120a,120b)을 체결하는 동시에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1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간격조절부재(130,13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모서리측에 결합되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프레임(120a,120b)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간격조절부재(130,130')는 서로 이웃하는 프레임(120a,120b)의 단부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몸체(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120a,120b)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프레임(120a,120b)은 단부측이 각각 상기 몸체(13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몸체(13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프레임(120a,120b)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120a)의 단부는 상기 몸체(131)의 제1방향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하나의 프레임(120b)의 단부는 상기 몸체(131)의 제2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삽입된 프레임(120a)의 단부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이때, 상기 제1방향으로 삽입된 프레임(120a)에 형성된 유로(124)와 상기 제2방향으로 삽입된 프레임(120b)에 형성된 유로(124)는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프레임(120a,120b)에 각각 형성된 유로가 모두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도 있고, 동일 평면상에서 하나의 직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진 방향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는 복수 개의 필터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경우, 각각의 여과부재(110)가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구(1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간격조절구(132)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120a,12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간격조절부재(130,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간격조절구(132)는 체결공(132b)이 형성된 연장판(132a) 및 이격부재(132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간격조절부재(130,13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판(132a)은 상기 간격조절부재(130,130')의 몸체(13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체결바(240)가 통과되는 체결공(132b)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체결공(132b)이 상기 연장판(132a)에 원형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체결바(24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공(132b)은 원형, 호형, 다각단면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부재(132c)는 상기 연장판(132a)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일정 높이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부재(132c)는 상기 체결공(132b)의 테두리를 전체적으로 둘러싸거나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격부재(132c)는 상기 연장판(132a)의 양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연장판(132a)의 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연장판(132a)의 일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단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여과부재(110) 사이의 간격은 3mm 이상의 간격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격부재(132c)의 높이 또는 두께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다양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가 체결바(24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경우 각각의 평판형 필터(100)를 완전히 밀착시키더라도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여과부재(110)는 상기 이격부재(132c)를 통해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도 9 참조).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를 평행하게 배치한 후 각각의 체결공(132b)을 통과하도록 체결바(240)를 체결하고 각각의 평판형 필터(100)를 서로 밀착시키게 되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각각의 여과부재(110)는 상기 이격부재(132c)를 통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를 사용하여 평판형 필터모듈(200)을 구성하는 경우 체결바(240)에 연결된 각각의 평판형 필터(100)들을 서로 밀착시키면 작업자가 일일이 상기 평판형 필터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상기 이격부재(132c)에 의해 여과부재(110) 사이에 균일한 간격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바(240)의 양측에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체결시키게 되면 각각의 여과부재(110)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평판형 필터모듈(200)은 각각의 여과부재(110) 양측에 여과대상액이 존재할 수 있음으로써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110)의 양측에서 여과부재(11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다.
더불어, 반복적인 여과수의 생산작업이 수행된 후 상기 여과부재(1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역세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와 같은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110)에 부착된 이물질들이 분리된 후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110)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격조절부재(130,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130)는 각각의 프레임(120a,120b)에 형성된 유로(124)를 따라 이동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취구(133)가 구비될 수 있다(도 4 참조).
즉,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간격조절부재(130,130') 중 상기 수취구(133)가 형성되지 않은 간격조절부재(130')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반면, 상기 수취구(133)가 형성된 간격조절부재(130)는 상기 수취구(133)를 통하여 생산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의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수취구(133)는 후술할 공통수취부재(230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취구(133)는 복수 개의 간격조절부재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있지만, 두 개의 간격조절부재(130)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0) 측으로 균등한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수취구(133)는 상기 간격조절부재(130)의 몸체(13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도 4 참조), 몸체(131')에 결합공(135')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35')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취구(133')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취구(133')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131') 에 형성된 결합공(135')에 나사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과정 중에 상기 수취구(133')의 변경이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수취구(133')만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취구(133)가 형성된 간격조절부재(130)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프레임(120a,120b)과의 결합시 상기 두 개의 프레임(120a,120b)에 각각 형성되는 유로(124)들과 연통되는 수집공간(13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집공간(134)은 상기 수취구(133)와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집공간(134)은 상기 수취구(133)가 형성된 간격조절부재(130)와 두 개의 프레임(120a,120b) 간의 결합시 상기 간격조절부재(130)에 삽입되는 두 개의 프레임(120a,120b)의 단부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집공간(134)은 상기 간격조절부재(130)에 삽입되는 두 개의 프레임(120a,120b) 중 어느 하나(120a)의 단부를 절개하여 서로 형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에 따라, 상기 두 개의 프레임(120a,120b)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120a)에 형성된 유로(124)를 따라 이동한 여과수와 다른 하나의 프레임(120b)에 형성된 유로(124)를 따라 이동한 여과수는 상기 수집공간(134)에서 서로 만나게 되며, 상기 수집공간(134)과 연통된 수취구(1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로 인해, 펌프(320)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110)의 외측에서 내부로 이동하면서 생산된 여과수는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120a,120b)에 형성된 각각의 유로(124)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유로(124)를 따라 수집공간(134) 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수취구(1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반대로, 역세 공정에서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세척수와 같은 유체가 상기 수취구(133)를 통해 유입된 후 수집공간(134)을 경유하여 복수 개의 프레임(120a,120b)에 형성된 각각의 유로(124)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는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체결바(240)를 매개로 서로 고정됨으로써 모듈화된 하나의 수처리용 필터모듈(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처리용 필터모듈(2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조립체(210), 고정프레임(220) 및 공통수취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조립체(210)는 상술한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하나의 체결바(240)를 통해 일체화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는 여과부재(110), 지지프레임(120) 및 간격조절부재(130,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부재(110), 지지프레임(120) 및 간격조절부재(130,130')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필터조립체(210)는 각각의 필터(100)에 구비되는 이격부재(132c)를 통하여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110)가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됨으로써 서로 대면하는 여과부재(11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필터 중 어느 하나의 필터(100a)(이하, '제1필터'라함)의 후면에 다른 하나의 필터(100b)(이하, '제2필터'라함)를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제1필터(100a)에 구비되는 간격조절부재(130,130')의 이격부재(132c)와 상기 제2필터(100b)에 구비되는 간격조절부재(130,130')의 이격부재(132c)와 서로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필터(100a)의 여과부재(110) 및 제2필터(100b)의 여과부재(110) 사이에는 서로 접하는 한 쌍의 이격부재(132c)에 의해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필터(100)가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체결바(240)에 체결하게 되면 서로 이웃하게 배열되는 각각의 필터(100)는 상기 체결바(240)와의 조립과정에서 이격부재(132c)에 의해 소정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일일이 필터(100) 간의 간격을 조절할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으며, 이격부재(132c)에 의해 필터 사이의 간격이 형성되므로 복수 개의 필터를 밀착시키게 되면 각각의 필터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체결바(240)의 양측에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242)를 체결시키게 되면 각각의 필터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20)은 상기 체결바(240)의 양단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조립체(2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프레임(220)은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여과대상액이 상기 필터조립체(21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프레임구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프레임(220)은 필터조립체(2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되는 전면프레임(221)과 후면프레임(2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바(240)의 양 단부측이 전면프레임(221)과 후면프레임(22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조립체(210) 및 고정프레임(220)은 체결바(240)를 통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프레임(221) 및 후면프레임(221) 측에는 상기 체결바(240)의 단부측이 삽입되는 체결홀(미도시)이 구비되어 끼움방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전면프레임(221) 및 후면프레임(221)을 관통하는 관통공(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바(240)의 양단부가 통과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220)의 일측에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모듈화된 평판형 필터모듈(200)을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손잡이(22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221) 및 후면프레임(221)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일 수도 있고, 'I'빔, 'ㄱ'자 빔일 수도 있으며 각관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200)은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00)가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각각의 평판형 필터(100)에 구비되는 여과부재(110)가 이격부재(134c)를 통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 일례로 하나의 펌프(320)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이 각각의 수취구(133)를 통해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00) 측으로 전달됨으로써 한 번의 공정으로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00)에서 개별적으로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00)를 통해 동시에 여과수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여과수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공통수취부재(230)는 한 번의 흡입공정을 통하여 각각의 필터에서 여과수가 동시에 생산될 수 있도록 각각의 필터 측으로 흡입력을 전달하고 각각의 필터에서 생산된 여과수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공통수취부재(230)는 각각의 필터(100)에 구비되는 수취구(133)와 서로 연결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이 각각의 필터 측으로 동시에 전달되고, 전달된 흡입력을 통해 각각의 필터(100)에서 여과수가 개별적으로 생산되며, 각각의 필터(100)에서 생산된 여과수가 흡입력에 의해 상기 수집공간(134) 및 수취구(133)를 경유하여 공통수취부재(230) 측으로 유입되어 통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공통수취부재(230)는 역세 공정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세척수 또는 고압의 공기와 같은 고압의 유체를 각각의 필터(100) 측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통수취부재(230)는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각각의 필터에 수취구(133)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수취구(133)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각각의 수취구(133)와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필터(100)에 두 개의 수취구(133)가 상부측과 하부측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공통수취부재(230) 역시 두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두 개의 공통수취부재(230) 중 어느 하나는 상측에 위치하는 수취구(133)와 연결될 수 있고 나머지 공통수취부재(230)는 하측에 위치하는 수취구(133)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통수취부재(230)는 상기 수취구(133)로부터 유입된 여과수가 일시적으로 모이는 저장공간(234)을 갖는 본체(231)와, 상기 수취구(133)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수를 상기 저장공간(234)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232) 및 상기 저장공간(234)에 유입된 여과수를 외부(일례로, 여과수 저장탱크(350))로 배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상기 수취구(133) 측으로 제공하는 배출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과부재(1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역세 공정시 상기 유입구(232)는 고압의 유체를 필터(100) 측으로 공급하는 배출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233)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압의 유체를 상기 공통수취부재(230) 측으로 유입하는 유입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구(232)는 각각의 필터(100)에 구비되는 수취구(133)와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232)와 수취구(133)는 서로 일대일로 매칭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 개의 유입구(2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취구(133)와 튜브(240)를 매개로 일대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취구(133)가 공통수취부재(230')에 형성된 유입구(232')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수취구(133)가 상기 공통수취부재(230')의 유입구(232')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상기 유입구(232')는 상기 수취구(133)로부터 유입된 여과수가 일시적으로 모이는 저장공간(234)을 갖는 본체(231')의 일면에 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소정의 길이로 돌출형성되는 수취구(133)가 상기 유입구(232')에 직접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구(232')와 상기 수취구(133)의 접촉면 상에는 여과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구(232) 및 수취구(133)가 튜브(240)를 매개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공통수취부재(230)는 상기 수취구(133)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220)의 높이 중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취구(133)와 유입구(232) 간의 간격이 너무 좁게 되면 튜브(24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튜브(240)가 구부러져 여과수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200)은 상기 공통수취부재(230)가 각각의 필터(100)에 구비되는 수취구(133)와 연결됨으로써 한 번의 흡입공정을 통하여 각각의 필터에서 여과수가 동시에 생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여과부재(1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역세 공정 역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간격조절부재(130,130')를 통하여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필터(100)가 일체화되어 모듈화됨으로써 설치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모듈 단위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수처리용 필터모듈(200)은 오폐수 처리 시스템(300)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폐수 처리 시스템(300)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모듈(200), 메인프레임 및 펌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모듈(200)은 상기 펌프(320)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통하여 각각의 필터(100)로부터 여과수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필터(100)가 체결바(240)를 매개로 결합된 필터조립체(210), 고정프레임(220) 및 공통수취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모듈(200)은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통하여 지지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모듈(200)을 구성하는 필터조립체(210), 고정프레임(220) 및 공통수취부재(230)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필터모듈(2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메인유로(311)를 갖는 중공형의 프레임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인프레임은 상기 필터모듈(2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필터모듈(200)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상부 메인프레임(311)과, 필터모듈(200)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하부 메인프레임(312)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메인프레임(311)과 하부 메인프레임(312)은 복수 개의 지지바(313)를 매개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모듈(200)을 삽입배치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메인프레임(311)과 하부 메인프레임(312)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필터모듈(200)의 삽입시 상기 필터모듈(200)의 모서리 측을 지지하여 상기 필터모듈(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314)이 구비될 수 있다(도 13 참조)
일례로, 상기 가이드레일(314)는 대략 'ㄴ'자 형상의 앵글타입의 바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필터모듈(200)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모듈(200)의 삽입시 상기 필터모듈(200)의 모서리 측이 지지됨으로써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레일(314)은 필터모듈(200)의 상부모서리 및 하부모서리가 동시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메인프레임(311) 및 하부 메인프레임(312)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메인프레임(311) 및 하부 메인프레임(3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모듈(200)로부터 유입된 여과수가 통합되는 메인유로(315)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유로(315)는 하부 메인프레임(312)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부 메인프레임(312)에는 상기 메인유로(315)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피팅구((316a,316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피팅구(316a,316b)는 여과수의 유,출입을 위한 유입구와 유출구의 역할을 수행하며, 복수 개의 피팅구(316a,316b) 중 일부(316a)는 상기 공통수취부재(230)의 배출구(233)와 연결관(371)을 매개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관(371)은 강성을 갖는 관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고, 유연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공지의 튜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피팅구(316a,316b) 중 나머지(316b)는 여과수 저장탱크(33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펌프(320)를 통해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각각의 필터로부터 생산된 여과수가 여과수 저장탱크(33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모듈(200)이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310)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공통수취부재(230)의 배출구(233)가 상기 여과수 저장탱크(35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펌프(320)는 상기 메인프레임(310)의 피팅구(316a,31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316b)와 연결되어 각각의 필터모듈(200)에 구비되는 필터(100)가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펌프(320)를 통해 제공된 흡입력은 메인유로(215), 공통수취부재(230) 및 수취구(133)를 통하여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120a,120b)에 형성된 유로(124)를 거쳐 상기 여과부재(11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100) 주위의 존재하는 오수 또는 폐수와 같은 여과대상액이 상기 흡입력에 의해 여과부재(110) 측으로 이동하여 나노섬유웹(112)을 통해 여과되고, 상기 나노섬유웹(112)을 통과하여 제1지지층(111)로 이동된 여과수는 흡입력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유로(124) 측으로 유입되어 수집공간(134) 측으로 이동된 후 수취구(133)를 통해 공통수취부재(230)로 이동하여 취합되고 메인프레임의 메인유로(315)를 거쳐 여과수 저장탱크(330) 측으로 수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시스템(300)은 펌프(320)에서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복수 개의 필터가 동시에 작동하여 여과수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오폐수 처리시스템(300)은 반복적인 여과작업을 통해 상기 여과부재(110)의 표면, 더욱 자세하게는 나노섬유웹(112)의 표면에 오염물질이 부착된 경우 상기 오염물질을 나노섬유웹(122)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펌프(320)를 통해 세척수 또는 공기와 같은 유체를 각각의 필터(100) 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유체의 공급압력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110)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들을 탈리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 개의 피팅구(316a,316b) 중 적어도 일부(316b)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탱크(34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340)와 연결되는 피팅구(316b)는 상기 여과수 저장탱크(330)와 연결되는 피팅구(316b)일 수 있으며, 연결관(360) 상에 유로조절밸브(350)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360)과 상기 여과수 저장탱크(330) 및 세척수 저장탱크(340)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부재(110)의 청소가 필요한 경우 상기 펌프(320)를 통해 세척수 저장탱크(340)에 저장된 세척수를 각각의 필터(100) 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세척수의 공급압력에 의해 여과부재(110)에 부착된 오염물질들이 탈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척수 저장탱크(340)에 저장된 세척수는 펌프(320)를 통하여 각각의 필터(100) 측으로 소정의 압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100)에 구비되는 수취구(133)는 양 모서리 측에 두 개로 구비되어 지지프레임(120)에 형성된 유로(125)를 통해 양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여과부재(110) 전체로 균등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취구(133)를 통해 지지프레임의 유로 측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여과부재(110) 측으로 이동되고 세척수의 공급압력에 의해 여과부재(110)의 표면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이 탈리됨으로써 여과부재(110)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과부재(110)로부터 탈리된 오염물질은 이격부재(132c)를 통해 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400)의 다른 형태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수처리용 필터모듈(400)은 서로 이웃하는 복수 개의 필터(100')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끼움결합부재(430)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처리용 필터모듈(400)은 복수 개의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210'), 고정프레임, 공통수취부재(230) 및 끼움결합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필터(100')는 상술한 여과부재(110) 및 복수 개의 프레임(120b)으로 구성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별도의 연결부재(140)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프레임(120b)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필터(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구(도 1의 132)의 역할은 상기 끼움결합부재(430)가 대체한다.
더불어, 상기 필터(10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필터(100)에서 간격조절구(132)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필터에 형성되는 수취구(133)는 연결부재(140) 측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120b)의 길이 중간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유로(124)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 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40)는 단순히 서로 이웃하는 프레임(120b)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게 되며,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필터모듈(400)은 상기 수취구(133)가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120b)의 길이 중간에 구비되고 각각의 필터(100')가 끼움결합부재(430)를 통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형태일 수 있으며, 각각의 필터(100')에 형성된 수취구(133)가 공통수취부재(230)의 유입구(232)와 튜브(240)를 매개로 일대일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수취부재(230)는 상기 수취구(133)로부터 유입된 여과수가 일시적으로 모이는 저장공간(234)을 갖는 본체(231)와, 상기 수취구(133)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수를 상기 저장공간(234)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232) 및 상기 저장공간(234)에 유입된 여과수를 외부(일례로, 여과수 저장탱크(350))로 배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상기 수취구(133) 측으로 제공하는 배출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통수취부재(230)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끼움결합부재(430)는 복수 개의 필터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끼움결합부재(430)는 양 단부측이 상기 고정프레임을 구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221,222)에 접하도록 연결바(431)와, 상기 연결바(431)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며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편(4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지지편(432) 사이에는 상기 필터(100')를 삽입할 수 있는 끼움홈(433)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이웃하는 지지편(432) 사이의 간격은 상기 필터(100')의 두께,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120b)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지지편(432)은 상기 연결바(431)의 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끼움홈(433) 측으로 각각의 필터(100')를 삽입하게 되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필터(100')는 균등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결합부재(430)는 양단부측이 상기 고정프레임(4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단순 접촉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모듈(400) 역시 상술한 오폐수 처리 시스템의 필터모듈을 대체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펌프에 의한 흡입력을 제공하여 여과수를 생산하는 과정과 여과부재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100' :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110 : 여과부재 130 : 간격조절부재
200,400 : 수처리용 필터모듈 300 : 오폐수 처리 시스템

Claims (17)

  1.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 측에 결합되고,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 측이 삽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된 연장판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체결바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판에 관통 형성된 체결공을 구비한 간격조절구;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는 연장판; 및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의 주위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유로에 유입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취구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3. 삭제
  4. 삭제
  5.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 측에 결합되고,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 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은 제1판과,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판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2판 및 상기 여과부재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2판의 대향면 상에 형성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은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단부 측에는 상기 유로를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는 여과수가 만나는 수집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집공간은 상기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취구와 서로 연통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측에 결합되어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프레임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판상의 제1지지체; 및
    상기 제1지지체의 양면에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나노섬유웹;을 포함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웹은 제2지지체을 매개로 상기 제1지지체의 일면에 열융착을 통하여 부착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웹은 상기 열융착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높은 용융온도를 갖고 상기 제2지지체는 상기 열융착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낮은 용융온도를 갖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는 부직포 또는 직물 중 어느 하나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는 상기 제1지지체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14. 청구항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 개의 필터가 체결바를 매개로 일체화된 필터조립체; 및
    상기 복수 개의 필터에 각각 구비되는 수취구와 일대일로 매칭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수를 포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수취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수취부재는,
    상기 수취구로부터 유입된 여과수가 저장되는 본체;
    상기 수취구로부터 배출된 여과수를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유입구; 및
    상기 본체에 저장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수취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에 각각 구비되는 수취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유입구는 튜브를 매개로 각각의 수취구와 일대일로 연결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필터에 각각 구비되는 수취구는 상기 공통수취부재에 형성된 유입구 측에 직접 삽입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KR1020160113192A 2015-09-02 2016-09-02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모듈 KR102020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24486 2015-09-02
KR1020150124486 2015-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682A KR20170027682A (ko) 2017-03-10
KR102020787B1 true KR102020787B1 (ko) 2019-09-11

Family

ID=5818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192A KR102020787B1 (ko) 2015-09-02 2016-09-02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589195B2 (ko)
KR (1) KR102020787B1 (ko)
CN (1) CN108025260B (ko)
WO (1) WO20170393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0885A4 (en) * 2016-09-29 2020-04-29 Amogreentech Co., Ltd. FLAT PLATE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LAT PLATE FILTER MODULE COMPRISING SAME
KR101966759B1 (ko) * 2017-04-17 2019-04-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US11247153B2 (en) 2016-10-27 2022-02-15 Amogreentech Co., Ltd. Filter module for gravity-type water purifier and gravity-type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USD928279S1 (en) * 2018-01-10 2021-08-17 Kubota Corporation Membrane cartridge for submerged membrane separation
KR102103849B1 (ko) * 2019-10-22 2020-04-23 박미선 수도관로 직결식 필터 시스템
KR20220034591A (ko) * 2020-09-11 2022-03-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Mbr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037B1 (ko) * 2004-02-04 2004-12-03 주식회사 코레드 수처리용 평막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0808A1 (en) * 2001-02-16 2003-08-14 Hirofumi Morikawa Separating film, separating film element, separating film module, sewage and waste water treatment device, and separat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JP2005205382A (ja) * 2004-01-23 2005-08-04 Gohda Mizushori Gijutsu Kenkyusho:Kk 浸漬型平膜分離装置
KR100621483B1 (ko) 2004-08-27 2006-09-14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평막 모듈
KR100729444B1 (ko) * 2005-12-16 2007-06-15 문화숙 내시경 수술용 엔도백
WO2007122839A1 (ja) * 2006-03-27 2007-11-01 Toray Industries, Inc. 膜エレメント、膜ユニット及び多段積み膜ユニット
JP5369278B2 (ja) * 2007-07-03 2013-12-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濾過用平膜エレメント及び平膜濾過モジュール
CN102333581B (zh) * 2009-02-24 2014-02-26 三菱丽阳株式会社 膜组件单元、其装配、解体、保养方法及水处理装置
KR20120020333A (ko) 2010-08-30 201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림형 멤브레인 패키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침지식 막분리장치
KR101242080B1 (ko) 2010-12-03 2013-03-11 이소라 수처리장치
CN202061554U (zh) * 2011-04-12 2011-12-07 杭州凯宏膜技术有限公司 中空纤维帘式膜组件
KR101594197B1 (ko) * 2011-05-11 201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정기능을 갖는 일체형 여과장치
ES2851206T3 (es) * 2012-11-27 2021-09-03 Toray Industries Módulo de membrana de separación
KR101734120B1 (ko) * 2013-02-18 2017-05-1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 여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필터 장치
CN104226119B (zh) * 2014-09-04 2017-01-11 周保昌 一种分体式平板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037B1 (ko) * 2004-02-04 2004-12-03 주식회사 코레드 수처리용 평막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89195B2 (en) 2020-03-17
US20180339247A1 (en) 2018-11-29
US11202975B2 (en) 2021-12-21
KR20170027682A (ko) 2017-03-10
US20200171413A1 (en) 2020-06-04
CN108025260A (zh) 2018-05-11
CN108025260B (zh) 2021-03-16
WO2017039387A1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787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모듈
KR102274249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101966759B1 (ko)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KR102455788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필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CN109890487B (zh) 用于重力式净水装置的过滤器模块和包括其的重力式净水装置
US11471833B2 (en) Flat-plate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lat-plate filter module comprising same
KR102164890B1 (ko) 중력식 정수장치
KR102593603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평판형 필터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JP7292759B2 (ja) Mbrシステム
KR102602671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102602669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102602668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102602664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20180046210A (ko) 중력식 정수장치
KR102565050B1 (ko) 염색폐수 내 섬유형 미세플라스틱 여과용 필터여재,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및 필터장치
KR102603560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KR101796775B1 (ko) 수처리 장치
KR20220091967A (ko) 중력식 정수장치
KR20210132921A (ko)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