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249B1 -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249B1
KR102274249B1 KR1020190010618A KR20190010618A KR102274249B1 KR 102274249 B1 KR102274249 B1 KR 102274249B1 KR 1020190010618 A KR1020190010618 A KR 1020190010618A KR 20190010618 A KR20190010618 A KR 20190010618A KR 102274249 B1 KR102274249 B1 KR 102274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lter
pair
water treatm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030A (ko
Inventor
한경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ublication of KR20190014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01D63/0822Plate-and-fram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01D63/0821Membrane plate arrangements for submerged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6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6Three or more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2Specific tightening or l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2Specific tightening or locking mechanisms
    • B01D2313/025Specific membran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6External membrane module supporting or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B01D2313/203Open housings
    • B01D2313/2031Frame or cage-lik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4Modularity of membrane modu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6Specific mechanisms for loading the membrane in a modu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16Di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7/00Membrane module arrangements within a plant or an apparatus
    • B01D2317/06Use of membrane modules of the same k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9/00Membrane assemblies within one housing
    • B01D2319/04Elements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4Mechanical properties, e.g.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 측에 끼움결합되어 접착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및 서로 마주하는 지지프레임의 내면과 여과부재의 일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접착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제1판과, 상기 제1판으로부터 서로 마주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2판과, 상기 한 쌍의 제2판을 통해 형성되는 유로 및 상기 한 쌍의 제2판의 대향면 상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구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구속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측 단부와 상기 제1판의 일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판에 의해 규정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재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면서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상기 유로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상기 한 쌍의 제2판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각각 돌출형성된다.

Description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Filter for flat type water treatment and filter modu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이 급속한 발전과 인구의 도시 집중 등으로 인하여 도시 하수 및 산업폐수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오폐수의 증가는 현대 사회에 커다란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오폐수 처리시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오폐수 처리시설에는 오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필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필터에 포함되는 여과부재를 통하여 오폐수가 여과된다.
이때, 여과부재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평판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측에는 상기 여과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이 체결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프레임은 접착부재를 매개로 여과부재의 테두리 측에 고정되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구조적으로 여과부재와 프레임간의 접착면적이 좁기 때문에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KR 10-1242080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여과부재와 지지프레임의 대향면 사이에 충분한 양의 접착부재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기밀성을 높이고 역세압력에 대한 구조적인 강성을 높일 수 있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 측에 끼움결합되어 접착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및 서로 마주하는 지지프레임의 내면과 여과부재의 일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접착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제1판과, 상기 제1판으로부터 서로 마주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2판과, 상기 한 쌍의 제2판을 통해 형성되는 유로 및 상기 한 쌍의 제2판의 대향면 상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구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구속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측 단부와 상기 제1판의 일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판에 의해 규정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재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면서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상기 유로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상기 한 쌍의 제2판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제2판의 단부와 상기 구속부재 사이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판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는, 상기 구속부재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부재의 일면과 접하는 돌출높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여과부재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판의 단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돌출부보다 낮은 돌출높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접착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되어 상기 여과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를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자유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더 큰 돌출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여과부재는 앙면이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 중 상대적으로 가장 큰 돌출높이를 갖는 돌출부와 밀착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다른 예로써,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측 내면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되는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측 내면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차면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단차면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자유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깊이를 갖는 다단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여과부재는 단부측이 상기 복수 개의 단차면 중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깊이를 갖는 단차면을 통과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은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단부 측에는 유로를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는 여과수가 만나는 수집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집공간은 상기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취구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 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 측에 결합되는 몸체; 및
소정의 길이를 갖는 체결바가 통과하는 체결공을 갖는 간격조절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구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는 연장판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여과부재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판의 적어도 일면에 일정높이 돌출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유로의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취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는, 제1지지체; 및 상기 제1지지체의 양면에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나노섬유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 및 제1지지체 사이에는 제2지지체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여과부재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취구를 포함하고 평행하게 배열되는 상술한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상기 복수 개의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를 적어도 하나의 체결바를 매개로 고정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에 각각 구비되는 수취구와 일대일로 매칭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수취구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수가 포집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수취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과부재와 지지프레임 사이의 대향면에 충분한 양의 접착부재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기밀성을 높이고 역세압력에 대한 구조적인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분리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에 적용되는 지지프레임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부분 절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에 적용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에 적용되는 연결부재와 지지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a는 연결부재와 지지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연결부재와 지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에서 수취구 측으로 유입되는 여과수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에 적용되는 수취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모듈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9는 도 8에서 고정프레임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재(110), 지지프레임(120) 및 수용공간(127)을 포함한다.
상기 여과부재(110)는 오폐수와 같은 여과대상액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여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공지의 여과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제1지지체(111)의 양면에 나노섬유웹(112)이 배치된 판상의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섬유웹(112)은 상기 여과대상액이 흡입압력에 의해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여과대상액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지지체(111)는 상기 나노섬유웹(112)을 지지하고 상기 나노섬유웹(112)에 의해 생산된 여과수가 이동하는 이동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110)는 상기 나노섬유웹(112)이 상기 제1지지체(111)의 양면에 직접 부착되는 3층 구조일 수도 있지만, 상기 나노섬유웹(112)이 제2지지체(113)를 매개로 상기 제1지지체(111)의 양면에 각각 부착되는 5층 구조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체(113)는 상기 여과부재(110)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체(111)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체(111)의 일면에 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나노섬유웹(112)이 상기 제1지지체(111)에 직접 부착되지 않고 상기 제2지지체(113)를 통해 부착됨으로써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나노섬유웹(112)은 열융착, 초음파 융착, 고주파 융착 등을 통하여 상기 제2지지체(113)를 매개로 상기 제1지지체(111)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체(113)는 부착과정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용융되어 상기 제1지지체(111)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섬유웹(112)은 열에 의하여 용융되지 않도록 융착과정에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높은 용융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체(113)는 융착과정에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낮은 용융온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여과부재(110)는 상기 제2지지체(113)가 완전히 용융되어 3층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지지체(113)의 일부만이 용융되어 나노섬유웹(112)과 제1지지체(111) 사이에 잔존함으로써 5층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여과부재(110)의 구조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나노섬유웹(112) 사이에 하나 이상의 지지층이 개재되는 형태라면 무방함을 밝혀둔다.
더불어, 상기 제1지지체(111) 및 제2지지체(113)는 상기 나노섬유웹(112)에 의해 생산된 여과수가 이동하는 이동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공성의 기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지지체(111) 및/또는 제2지지체(113)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물은 직물에 포함되는 섬유가 종횡의 방향성이 있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조직은 평직, 능직 등일 수 있으며, 경사와 위사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편물은 공지의 니트조직일 수 있으며, 위편물, 경편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더불어, 상기 부직포는 케미컬본딩 부직포, 써멀본딩 부직포, 에어레이 부직포 등의 건식부직포나 습식부직포, 스판레스 부직포, 니들펀칭 부직포 또는 멜트블로운와 같은 공지된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부직포의 공경, 기공율, 평량 등은 목적하는 수투과도, 여과효율, 기계적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지지체(111) 및/또는 제2지지체(113)는 그 재질에 있어서 제한이 없으며, 일례로써,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섬유 또는 셀룰로오스계를 포함하는 천연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나노섬유웹(112)과의 결속력 향상을 통한 수처리 공정 적용 중 제1지지체(111) 및/또는 제2지지체(113)와 나노섬유웹(112) 간의 분리를 방지하고, 별도의 접착성분의 사용에 따른 수투과도 저하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지지체(111) 및 제2지지체(113)는 열융착이 가능한 공지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저융점 폴리에틸렌 등 저융점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초부로 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심부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복합섬유 및/또는 저융점 폴리에틸렌을 초부로 하고 폴리프로필렌을 심부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저융점 복합섬유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융점 고분자화합물의 융점은 60 ~ 180℃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체(111)의 두께는 2 ~ 2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지지체(113)는 상기 제1지지체(111)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상기 제1지지체(11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합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지지체(111)와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웹(112)은 여과대상액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나노섬유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섬유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섬유형성성분 및 상기 섬유형성성분의 혼화성을 향상시키는 에멀젼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섬유형성성분은 친수성이 큰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이하 PAN으로 호칭함)과 소수성이 매우 큰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이하 PVDF로 호칭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VDF는 재질의 특성상 나노섬유의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을 담보시킬 수 있으며, 상기 PAN은 친수성이 커서 상기 PVDF로 인한 나노섬유의 소수성화를 방지하고 나노섬유의 친수성을 향상시켜 여과부재에 나노섬유가 부착되었을 때 향상된 수투과도를 발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나노섬유웹(112)은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나노섬유웹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섬유형성성분 및 에멀젼화제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는 방사면에 대해 수직하여 적층되는데, 방사 중에 공기중에 휘발/증발되지 못한 용매로 인하여 적층된 나노섬유 중 섬유 표면간에 맞닿는 부분에서 융착이 발생하여 3차원 네크워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나노섬유웹(112)은 단층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층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측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110)는 판상의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프레임(120)은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 측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거나 부분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지만, 복수 개의 프레임(120a,120b)이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 측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120a,120b)은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부재(110)의 모서리 측에 배치되는 연결부재(130,130')를 통하여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프레임(120a,120b)의 단부측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도 2 참조).
그러나 상기 지지프레임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여과부재(110)의 형상에 따라 원형, 호형, 다각형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가 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여과부재(110)를 판상의 형태로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여과부재(110)에 의해 생산된 여과수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통해 수취구(133) 측으로 이동시키는 유동경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120a,120b)은 일측이 개방된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측에 상기 여과부재(110)로부터 유입된 여과수가 이동하는 유로(123)가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120a,120b)은 판상의 제1판(121)과, 상기 제1판(121)으로부터 상기 제1판(121)과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제2판(122a,122b)을 포함할 수 있다(도 3a 내지 도 3c 참조).
이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110)는 테두리 측이 상기 한 쌍의 제2판(122a,122b) 사이에 형성된 공간 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22a,122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2판(122a,122b) 사이에 형성된 공간측으로 삽입되는 여과부재(110)의 테두리측은 상기 제1판(12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즉,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22a,122b)의 대향면 상에는 상기 여과부재(11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구속부재(124)가 구비될 수 있다(도 3a 내지 도 3c 참조).
이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측이 각각의 프레임(120a,120b)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속부재(124)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110)의 삽입 깊이가 제한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측 단부와 상기 제1판(121)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여과부재(110)와 프레임(120a,120b)의 결합시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가 항상 상기 제1판(121)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여과수 또는 세척수와 같은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12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속부재(124)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22a,122b)의 대향면 상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한 쌍의 제2판(122a,122b)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구속부재(124)는 각각의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속부재(124)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22a,122b)의 대향면 상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구속부재(124)는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배치됨으로써 여과수가 상기 간격을 통해 유로(123)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 측에 접착부재(A)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는 여과부재(110)와 지지프레임(120) 간의 결합력을 높여 구조적인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20) 측에 수용공간형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120) 측에는 상기 수용공간형성부를 통하여 상기 접착부재(A)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27)이 마련됨으로써 충분한 양의 접착부재(A)가 지지프레임(120)과 여과부재(1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는 상기 수용공간(127)에 수용된 접착부재(A)와 여과부재(110) 및 지지프레임(120)과의 접착면적을 넓혀줌으로써 결합력을 높이고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부재(110) 측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역세공정시 외부로부터 고압의 세척수와 같은 유체가 상기 여과부재(110) 측으로 제공된다 하더라도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 측에 결합된 지지프레임(120)이 여과부재(110)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역세공정시 상기 여과부재(110)와 지지프레임(120)의 향상된 결합력을 통해 더 높은 압력의 세척수와 같은 유체의 공급이 가능하므로 상기 여과부재(110)에 부착된 이물질을 더욱 신속하고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여과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고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접착부재(A)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27)은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120a,120b)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25a,125b)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25a,125b)는 상기 프레임(120a,120b)을 구성하는 제2판(122a,122b)의 단부와 구속부재(124)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20a,12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판(122a,122b)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22a,122b) 사이로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측이 삽입되면 상기 여과부재(110)의 일면은 상기 돌출부(125b)의 단부와 선접촉되며, 상기 제2판(122a,122b)의 내면에는 상기 돌출부(125b)의 높이에 해당하는 여유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착부재(A)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120a,12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25b)는 상기 여과부재(110)의 일면과 선접촉하여 여과부재(110)를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외부로부터 공급된 접착부재(A)가 상기 유로(123)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25a,125b)의 형성위치는 상기 구속부재(124)와 제2판(122a,122b)의 단부 사이에 위치한다면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125a,125b)가 제2판(122a,122b)의 단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울수록 상기 수용공간(127)에 수용되는 접착부재(A)의 양이 늘어남으로써 접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125a,125b)는 상기 제2판(122a,122b)의 내면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돌출부(125a,125b)는 상기 프레임(120a,120b)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이격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125a,125b)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판(122a,122b)의 단부로부터 상기 구속부재(124) 측으로 갈수록 더 큰 돌출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125a,125b) 중 상기 구속부재(124)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돌출부(125b)가 가장 큰 돌출높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0)의 삽입시 여과부재(110)의 일면과 접하게 되며, 나머지 돌출부(125a)는 상기 여과부재(110)의 일면과 접하지 않고 수용공간(127)에 수용된 접착부재(A)에 의해 파묻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125a, 125b) 중 상기 구속부재(124)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돌출부(125b)는 제1돌출부(125b)로 지칭된다. 이 때, 상기 제1돌출부(125b)는 상기 구속부재(124)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부재(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부재(110)의 일면과 접하는 돌출높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0)의 일면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나머지 돌출부(125a)는 제2돌출부(125a)로 지칭된다. 이 때, 상기 제2돌출부(125a)는 상기 제1돌출부(125b)와 상기 제2판(122a, 122b)의 단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돌출부(125b)보다 낮은 돌출높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27)에 수용된 접착부재(A)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되어 상기 여과 부재(11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나머지 돌출부(125a)는 상기 접착부재(A)와 일체화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프레임(120a,120b)이 이탈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접착부재(A)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27)은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120a',120b',120a",120b")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형성되는 단차면(126,126a,126b)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20a',120b')은 단차면(126)이 상기 프레임(120a,120b)을 구성하는 제2판(122a,122b)의 단부측 내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20a,120b)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22a,122b) 사이로 상기 여과부재(110)의 테두리측이 삽입되면 상기 여과부재(110)의 일면은 상기 제2판(122a,122b)의 일면 중 상기 단차면(126)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면접촉되며, 상기 제2판(122a,122b)의 내면에는 상기 단차면(126)의 깊이에 해당하는 여유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착부재(A)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120a",120b")은 단차면이 상기 제2판(122a,122b)의 내면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단차면(126a,126b)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추고 서로 연결된 다단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판(122a,122b)의 단부로부터 상기 구속부재(124) 측으로 갈수록 더 작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3c 참조).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단차면(126a,126b) 중 상기 구속부재(124)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단차면(126b)은 가장 작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판(122a,122b)의 단부측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단차면(126a)은 가장 큰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수용공간(127) 측으로 접착부재(A)의 주입시 상기 수용공간(127) 측으로 접착부재(A)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모서리 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30,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130,13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모서리측에 결합되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프레임(120a,120b)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130,130')는 서로 이웃하는 프레임(120a,120b)의 단부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몸체(131)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내지 도 5b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120a,120b)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프레임(120a,120b)은 단부측이 각각 상기 몸체(13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몸체(13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프레임(120a,120b)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120a)의 단부는 상기 몸체(131)의 제1방향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하나의 프레임(120b)의 단부는 상기 몸체(131)의 제2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삽입된 프레임(120a)의 단부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5b 참조).
이때, 상기 제1방향으로 삽입된 프레임(120a)에 형성된 유로(123)와 상기 제2방향으로 삽입된 프레임(120b)에 형성된 유로(123)는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프레임(120a,120b)에 각각 형성된 유로는 모두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도 있고, 동일 평면상에서 하나의 직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진 방향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는 복수 개의 필터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경우, 각각의 여과부재(110)가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구(1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간격조절구(134)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120a,12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연결부재(130,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간격조절구(134)는 체결공(134b)이 형성된 연장판(134a) 및 이격부재(134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30,13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판(134a)은 상기 연결부재(130,130')의 몸체(13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체결바(240)가 통과되는 체결공(134b)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체결공(134b)이 상기 연장판(134a)에 원형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체결바(24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공(134b)은 원형, 호형, 다각단면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부재(134c)는 상기 연장판(134a)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일정 높이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부재(134c)는 상기 체결공(134b)의 테두리를 전체적으로 둘러싸거나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격부재(134c)는 상기 연장판(134a)의 양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연장판(134a)의 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연장판(134a)의 일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단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여과부재(110) 사이의 간격은 3mm 이상의 간격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격부재(134c)의 높이 또는 두께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다양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00)가 체결바(24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경우 각각의 평판형 필터(100)를 완전히 밀착시키더라도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여과부재(110)는 상기 이격부재(134c)를 통해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00)를 평행하게 배치한 후 각각의 체결공(134b)을 통과하도록 체결바(240)를 체결하고 각각의 평판형 필터(100)를 서로 밀착시키게 되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각각의 여과부재(110)는 상기 이격부재(134c)를 통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도 9 참조).
즉,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00)를 사용하여 평판형 필터모듈(200)을 구성하는 경우 체결바(240)에 연결된 각각의 평판형 필터(100)들을 서로 밀착시키면 작업자가 일일이 상기 평판형 필터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상기 이격부재(134c)에 의해 여과부재(110) 사이에 균일한 간격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바(240)의 양측에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체결시키게 되면 각각의 여과부재(110)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평판형 필터모듈(200)은 각각의 여과부재(110) 양측에 여과대상액이 존재할 수 있음으로써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110)의 양측에서 여과부재(11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다.
더불어, 반복적인 여과수의 생산작업이 수행된 후 상기 여과부재(1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역세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와 같은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110)에 부착된 이물질들이 분리된 후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110)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30,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의 프레임(120a,120b)에 형성된 유로(123)를 따라 이동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취구(133)가 구비될 수 있다(도 4 참조).
즉,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130,130') 중 상기 수취구(133)가 형성되지 않은 연결부재(130')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반면, 상기 수취구(133)가 형성된 연결부재(130)는 상기 수취구(133)를 통하여 생산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의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취구(133)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있지만, 두 개의 연결부재(130)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0) 측으로 균등한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수취구(133)는 상기 연결부재(130)의 몸체(13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도 4 참조), 상기 연결부재(130)의 몸체(131)에 결합공(131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31a)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취구(133)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도 7 참조).
이때, 상기 수취구(133)가 형성된 연결부재(130)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프레임(120a,120b)과의 결합시 상기 두 개의 프레임(120a,120b)에 각각 형성되는 유로(123)들과 연통되는 수집공간(1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집공간(132)은 상기 수취구(133)와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집공간(132)은 상기 수취구(133)가 형성된 연결부재(130)와 두 개의 프레임(120a,120b) 간의 결합시 상기 연결부재(130)에 삽입되는 두 개의 프레임(120a,120b)의 단부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집공간(132)은 상기 연결부재(130)에 삽입되는 두 개의 프레임(120b) 중 어느 하나의 단부를 절개하여 서로 형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도 5a 및 도 5b 참조).
이에 따라, 상기 두 개의 프레임(120a,120b)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120a,120b)에 형성된 유로(123)를 따라 이동한 여과수와 다른 하나의 프레임(120a,120b)에 형성된 유로(123)를 따라 이동한 여과수는 상기 수집공간(132)에서 서로 만나게 되며, 상기 수집공간(132)과 연통된 수취구(1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로 인해, 펌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110)의 내부로 이동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는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120a,120b)에 형성된 각각의 유로(123)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유로(123)를 따라 수집공간(132) 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수취구(1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반대로, 역세 공정에서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세척수와 같은 유체가 상기 수취구(133)를 통해 유입된 후 수집공간(132)을 경유하여 복수 개의 프레임(120a,120b)에 형성된 각각의 유로(123)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는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되고 체결바(240)를 매개로 서로 체결됨으로써 모듈화된 하나의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모듈(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모듈(2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 고정프레임(220) 및 공통수취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는 여과부재(110), 지지프레임(120) 및 수용공간(127)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과대상액이 상기 여과부재(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걸러짐으로써 여과수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는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20)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1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프레임(220)은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여과대상액이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00)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프레임구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프레임(220)은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00) 중 최외곽 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평판형 필터(100)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전면프레임(221)과 후면프레임(2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0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체결바(240)의 양 단부가 상기 전면프레임(221) 및 후면프레임(222)에 상기 각각 결합될 수 있다(도 9 참조).
여기서, 상기 전면프레임(221) 및 후면프레임(222) 측에는 상기 체결바(240)의 단부측이 삽입되는 체결홀(미도시)이 구비되어 끼움방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전면프레임(221) 및 후면프레임(222)을 관통하는 관통공(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바(240)의 양단부가 통과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220)의 일측에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모듈화된 평판형 필터모듈(200)을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손잡이(22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221) 및 후면프레임(222)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의 바일 수도 있고, 'I'빔, 'ㄱ'자 빔일 수도 있으며 각관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모듈(200)은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00)가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각각의 평판형 필터(100)에 구비되는 여과부재(110)가 이격부재(134c)를 통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 일례로 하나의 펌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이 각각의 수취구(133)를 통해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00) 측으로 전달됨으로써 한 번의 공정으로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00)에서 개별적으로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 개의 평판형 필터(100)를 통해 동시에 여과수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여과수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모듈(200)은 상기 평판형 필터(10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평판형 필터(100)에 구비되는 수취구(133) 측으로 동시에 흡입력을 제공하고 각각의 평판형 필터(100)에서 생산된 여과수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한 공통수취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도 9 참조).
즉, 상기 공통수취부재(230)는 튜브(250)를 매개로 각각의 수취구(133)와 연결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이 상기 공통수취부재(230)를 통해 각각의 평판형 필터(100) 측으로 전달되고, 전달된 흡입력을 통해 각각의 평판형 필터(100)에서 여과수가 개별적으로 생산되며, 각각의 평판형 필터(100)에서 생산된 여과수가 흡입력에 의해 상기 수집공간(132) 및 수취구(133)를 경유하여 공통수취부재(230) 측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통수취부재(230)는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각각의 평판형 필터(100)에 수취구(133)가 2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수취구(133)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두 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수취구(133)와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통수취부재(230)는 각각의 수취구(133)와 튜브(250)를 매개로 연결되는 유입구(232)를 갖는 본체(231)와, 각각의 평판형 필터(100)들로부터 상기 본체(231)로 유입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상기 수취구(133) 측으로 제공하는 배출구(23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31)는 각각의 평판형 필터(100)에 구비되는 수취구(133)들로부터 유입되는 여과수가 일시적으로 모일 수 있도록 저장공간(2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32)는 상기 수취구(133)와 연결되어 상기 수취구(133)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수를 상기 본체(231)의 저장공간(234) 측으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유입구(232)는 복수 개의 수취구(133)와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유입구(232)는 상기 복수 개의 수취구(133)와 서로 일대일로 매칭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유입구(232)는 상기 수취구(133)와 튜브(250)를 매개로 일대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상기 복수 개의 수취구(133)가 공통수취부재(230)에 직접 연결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입구(232) 및 수취구(133)가 튜브를 매개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공통수취부재(230)는 상기 고정프레임(220)의 길이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취구(133)와 유입구(232) 간의 간격이 너무 좁을 경우 튜브(25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튜브(250)가 구부러져 여과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출구(233)는 상기 유입구(232)를 통하여 상기 저장공간(234)으로 유입된 여과수를 외부, 일례로 여과수 저장탱크(미도시) 측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모듈(200)은 공지의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110 : 여과부재
111 : 제1지지체 112 : 나노섬유웹
113 : 제2지지체 120 : 지지프레임
120a,120b,120a',120b',120a",120b" : 프레임
121 : 제1판 122a,122b : 제2판
123 : 유로 124 : 구속부재
125a,125b : 돌출부 126,126a,126b : 단차면
127 : 수용공간 130,130' : 연결부재
131 : 몸체 132 : 수집공간
133 : 수취구 134 : 간격조절구
134a : 연장판 134b : 체결공
134c : 이격부재 200 :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모듈
220 : 고정프레임 221 : 전면프레임
222 : 후면프레임 223 : 손잡이
230 : 공통수취부재 231 : 본체
232 : 유입구 233 : 배출구
234 : 저장공간 240 : 체결바
250 : 튜브

Claims (15)

  1.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 측에 끼움결합되어 접착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및
    서로 마주하는 지지프레임의 내면과 여과부재의 일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접착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제1판과,
    상기 제1판으로부터 서로 마주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2판과,
    상기 한 쌍의 제2판을 통해 형성되는 유로 및
    상기 한 쌍의 제2판의 대향면 상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구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구속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측 단부와 상기 제1판의 일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판에 의해 규정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재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면서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상기 유로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상기 한 쌍의 제2판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제2판의 단부와 상기 구속부재 사이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판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는,
    상기 구속부재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부재의 일면과 접하는 돌출높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여과부재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판의 단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돌출부보다 낮은 돌출높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접착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되어 상기 여과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 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은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단부 측에는 유로를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는 여과수가 만나는 수집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집공간은 상기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취공과 서로 연통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제1지지체; 및
    상기 제1지지체의 양면에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나노섬유웹;을 포함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웹 및 제1지지체 사이에는 제2지지체가 배치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9. 복수 개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여과부재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취구를 포함하는 청구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상기 복수 개의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를 적어도 하나의 체결바를 매개로 고정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에 각각 구비되는 수취구와 일대일로 매칭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수취구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수가 포집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수취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모듈.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90010618A 2016-08-11 2019-01-28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102274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02330 2016-08-11
KR1020160102330 2016-08-11
KR1020170099475A KR20180018361A (ko) 2016-08-11 2017-08-07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475A Division KR20180018361A (ko) 2016-08-11 2017-08-07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030A KR20190014030A (ko) 2019-02-11
KR102274249B1 true KR102274249B1 (ko) 2021-07-07

Family

ID=6116238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474A KR101946845B1 (ko) 2016-08-11 2017-08-07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필터집합체
KR1020170099475A KR20180018361A (ko) 2016-08-11 2017-08-07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1020170102229A KR101946852B1 (ko) 2016-08-11 2017-08-11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KR1020190010618A KR102274249B1 (ko) 2016-08-11 2019-01-28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474A KR101946845B1 (ko) 2016-08-11 2017-08-07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필터집합체
KR1020170099475A KR20180018361A (ko) 2016-08-11 2017-08-07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1020170102229A KR101946852B1 (ko) 2016-08-11 2017-08-11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33379B2 (ko)
EP (1) EP3498362A4 (ko)
KR (4) KR101946845B1 (ko)
WO (1) WO20180307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0885A4 (en) * 2016-09-29 2020-04-29 Amogreentech Co., Ltd. FLAT PLATE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LAT PLATE FILTER MODULE COMPRISING SAME
KR101882982B1 (ko) * 2018-05-29 2018-07-27 (주)씨앤씨엔텍 수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분리막 및 활성탄 코팅된 부직포
KR102078591B1 (ko) * 2018-08-28 2020-02-19 한국전력공사 가스분리용 평판형 분리막 모듈
KR102257024B1 (ko) * 2019-05-24 2021-05-27 (주)송산피엔이 리프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BE1029894B1 (nl) * 2021-10-29 2023-06-05 Blue Foot Membranes Nv Filtratiemembraanmodule
JP7363951B2 (ja) 2022-03-23 2023-10-18 株式会社明電舎 濾過システム及び濾過処理設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037B1 (ko) 2004-02-04 2004-12-03 주식회사 코레드 수처리용 평막 모듈
JP4122868B2 (ja) 2002-07-05 2008-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気体分離膜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765A (ja) * 1994-09-26 1996-04-09 Nitto Denko Corp 膜分離装置
JP2001029952A (ja) * 1999-07-23 2001-02-06 Kubota Corp 浸漬型膜分離装置
DE60017360T2 (de) * 1999-11-18 2005-12-22 Zenon Environmental Inc., Oakville Überlaufverfahren und getauchtes membranfiltrationssystem zu dessen durchführung
KR100552637B1 (ko) * 2004-07-22 2006-02-21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간편 조립형 오폐수 처리용 침지식 분리막 유니트 장치
KR101130463B1 (ko) 2005-12-30 2012-03-27 주식회사 효성 침지형 평막모듈
KR20080062664A (ko) * 2006-12-29 2008-07-03 주식회사 효성 평막모듈
KR101331675B1 (ko) 2007-10-12 2013-11-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중공사막 모듈의 장착 시스템 및 그 방법
JP5376424B2 (ja) 2007-11-28 2013-12-25 株式会社クボタ 浸漬型膜分離装置
KR100988838B1 (ko) 2008-06-24 2010-10-20 주식회사 디엠퓨어텍 수처리용 막 모듈 및 이 막 모듈이 적용된 여과장치
KR101196794B1 (ko) 2009-11-05 2012-11-05 주식회사 코레드 멤브레인 모듈 및 멤브레인 모듈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침지식 막분리장치
KR101242080B1 (ko) 2010-12-03 2013-03-11 이소라 수처리장치
KR20120133600A (ko) 2011-05-31 2012-12-11 최송휴 중공사막모듈의 유동이 방지되는 분리막 유니트
KR101281642B1 (ko) * 2011-05-31 2013-07-03 강문신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TWI428168B (zh) 2011-09-27 2014-03-01 Wang Yung Chuan Lee Anti - fouling device for membrane filter
US9278317B2 (en) * 2011-12-09 2016-03-08 Lotte Chemical Corporatio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with miniskeins in miniheaders having a zig-zag configuration
US20130221546A1 (en) 2012-02-29 2013-08-29 Veolia Water Solutions & Technologies Support Flat Sheet Membrane Module
WO2014010554A1 (ja) * 2012-07-10 2014-01-16 東レ株式会社 エレメントユニット、分離膜モジュール、分離膜エレメントの着脱方法
EP2926887B1 (en) 2012-11-27 2021-01-27 Toray Industries, Inc. Separation membrane module
BR112015019842B1 (pt) 2013-02-18 2021-08-17 Amogreentech Co., Ltd Aparelho de filtro que usa o meio de filtr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2868B2 (ja) 2002-07-05 2008-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気体分離膜ユニット
KR100459037B1 (ko) 2004-02-04 2004-12-03 주식회사 코레드 수처리용 평막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09972A1 (en) 2019-07-11
KR20190014030A (ko) 2019-02-11
KR101946845B1 (ko) 2019-02-13
EP3498362A1 (en) 2019-06-19
US10933379B2 (en) 2021-03-02
KR20180018360A (ko) 2018-02-21
KR20180018361A (ko) 2018-02-21
EP3498362A4 (en) 2020-04-22
KR101946852B1 (ko) 2019-02-13
WO2018030725A1 (ko) 2018-02-15
KR20180018439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249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102020787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모듈
KR20230034256A (ko) 흡입식 평판형 필터
KR102455788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필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US11471833B2 (en) Flat-plate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lat-plate filter module comprising same
KR102593603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평판형 필터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02669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102602671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102602664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102602668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102591625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KR102591620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KR102164890B1 (ko) 중력식 정수장치
KR102591622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KR102603560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US20220356095A1 (en) Mbr system
KR102323141B1 (ko) 수처리용 관형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KR102565050B1 (ko) 염색폐수 내 섬유형 미세플라스틱 여과용 필터여재,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및 필터장치
KR20240102578A (ko)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KR20140047919A (ko) 침지형 평막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