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163Y1 -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163Y1
KR200402163Y1 KR20-2005-0024777U KR20050024777U KR200402163Y1 KR 200402163 Y1 KR200402163 Y1 KR 200402163Y1 KR 20050024777 U KR20050024777 U KR 20050024777U KR 200402163 Y1 KR200402163 Y1 KR 200402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diffuser
membrane
fram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송휴
강문신
정동환
Original Assignee
대한통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통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통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4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1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163Y1/ko
Priority to CNB2006101042257A priority patent/CN100484614C/zh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분리막 유니트의 각 구성들을 볼트 체결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분리막 유니트의 구조가 단순함은 물론 제작 및 설치 작업이 보다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분리막 유니트는, 복수개의 프레임 본체와, 집수관과 고정부가 결합된 복수개의 분리막과, 프레임 본체의 상, 하부 양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상, 하부 고정부와, 프레임 본체의 상부 양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결합부재와, 한 쌍의 상부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송수관과, 각 집수관과 송수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송수관과 결합되는 배출헤더가 구비된 분리막 프레임; 복수개의 산기관 몸체와, 산기관 몸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재와, 한 쌍의 하부 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급관과, 각 공급관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노즐공을 갖는 복수개의 노즐과, 상기 각 공급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산기헤더 및 슬러지배출헤더와, 슬러지배출헤더를 개폐하는 밸브가 구비된 산기관;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THE HIGH EFFICIENCY MEMBRANE UNIT FOR ADVANCED SEWAGE AND WASTE WATER TREATMENT}
본 고안은 하수와 오폐수를 처리하는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의 분리막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분리막 유니트의 설치 및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은 생물학적공정이나 물리적공정으로 하수와 오폐수에 포함된 용존오염물질과 미생물 및 부유물질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여과 처리함에 따라 상기 하수와 오폐수를 깨끗하게 정화하는 시스템이다.
상기의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은 여러 개의 반응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반응조 중 상기 침지식막분리시스템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유기오염물질, 용존오염물질 등과 같은 오염물질 및 인성분물질을 상기 원수 내의 미생물이 먹어치워 제거함과 함께 상기 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걸러내어 제거하도록 하는 막분리 호기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막분리 호기조 내에는 상기 호기조 내의 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걸러내어 상기의 원수를 깨끗한 상태로 정화 처리하도록 상기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복수개의 분리막이 결합된 분리막 유니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의 막분리 호기조 내에 설치된 분리막 유니트의 구조가 복잡 다단하여 상기 분리막 유니트의 제작이 복잡함은 물론 상기 분리막 유니트의 제작에 매우 어려움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분리막 유니트를 제작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분리막 유니트의 분리막 프레임과 산기관의 결합 및 각 구성들 간의 결합이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분리막 유니트의 운반 및 운송의 어려움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운반된 분리막 유니트를 현장에 설치하기 위한 작업 또한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분리막 유니트의 각 구성들간의 결합이 용접에 의해 이루어짐은 물론 많은 용접작업으로 인해 상기 분리막 유니트 및 각 구성들이 용접에 따른 변형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분리막 유니트의 불량이 발생됨은 물론 제품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분리막 유니트의 각 구성에 따른 구조를 변경함과 함께 상기 각 구성들을 볼트체결방식으로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 분리막 유니트의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상기 분리막 유니트의 제작 및 설치 작업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수 및 오·폐수를 정화 처리하도록 하는 분리막 유니트에 있어서, 사면을 각각 막아 외관을 형성함과 함께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테두리에 복수개의 체결공을 갖는 복수개의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 내에 설치되어 원수 내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복수개의 분리막과, 상기 각 분리막의 상부에 결합되어 분리막을 통과한 처리수를 집수하는 양측에 집수공을 갖는 집수관과, 상기 각 분리막의 하부에 결합되어 분리막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 하부 양측에 각각 볼트 체결되는 프레임 상, 하부 고정부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위치됨은 물론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상부 결합공을 갖는 상부 결합부재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송수관과, 상기 각 집수관과 각 송수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각 집수관과 송수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송수관과 연결됨은 물론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분리막 유니트의 외부로 배출되는 처리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헤더가 구비된 분리막 프레임; 상기 분리막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막 프레임의 각 분리막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면을 각각 막아 외관을 형성함과 함께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테두리에 복수개의 체결공을 갖는 복수개의 산기관 몸체와, 상기 산기관 몸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위치됨은 물론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하부 결합공을 갖는 하부 결합부재와, 상기 산기관 몸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 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급관과, 상기 산기관 몸체 내에 각 공급관과 결합되어 각 공급관으로부터 보내지는 공기를 분리막 프레임으로 공급하도록 복수개의 노즐공을 갖는 복수개의 노즐과, 상기 각 공급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됨은 물론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공급관으로 보내지는 외부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산기헤더와, 상기 각 공급관의 타측에 각각 연결됨은 물론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공급관과 각 노즐 내의 슬러지를 배출하도록 하는 슬러지배출헤더와, 상기 슬러지배출헤더의 소정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슬러지배출헤더를 개폐하는 밸브가 구비된 산기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막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분리막 유니트의 분리막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분리막 프레임의 상부측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분리막 유니트의 산기관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분리막 유니트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하수와 오·폐수를 깨끗한 처리수로 정화 처리하는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의 구성 중 상기 하수와 오·폐수 내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걸러내도록 막분리 호기조 내에는 부유물질을 걸러내어 하수와 오·폐수를 처리수로 정화 처리하도록 하는 분리막 유니트(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막 유니트(1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크게, 하수와 오·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걸러내도록 하는 분리막 프레임(100)과,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브로아에서 보내지는 외부 공기를 분리막 프레임(100)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산기관(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막분리 호기조의 외측에는 흡인펌프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흡인펌프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펌핑력에 의해 상기 분리막 유니트(10)를 통과하여 깨끗하게 정화 처리된 처리수는 상기 막분리 호기조의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배출된 처리수는 분리막 유니트(10)와 연결 설치된 흡인라인으로 유입되어 흐르면서 흡인펌프를 통과하여 처리수조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의 각 분리막 폐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막분리 호기조의 외측에 설치된 브로아에서 발생되는 공기는 분리막 유니트(10)의 산기관(200)으로 보내짐과 함께 상기 산기관(200)에서 분리막 프레임(100)으로 공기가 공급된다.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하수 및 오·폐수를 정화 처리하는 분리막 유니트(10)의 분리막 프레임(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본체(11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프레임 본체(110)는 도 2에서와 같이 분리막 프레임(100)의 사면을 막도록 각각 사면에 위치되어 서로 결합됨은 물론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테두리는 분리막 프레임(100)을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테두리에는 각 프레임 본체(110)를 서로 연결 결합하도록 볼트가 각각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공(11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110)는 도면상 전, 후 프레임 본체(110)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됨은 물론 좌, 우 프레임 본체(110)도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전, 후 프레임 본체(110)는 좌, 우 프레임 본체(110)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집수관에 배출되는 처리수를 처리하는 부재 등의 설치가 보다 원활함은 물론 상기의 구성 등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전, 후, 좌, 우 프레임 본체(110)는 보는 위치에 따라서 바뀔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프레임 본체(110)의 크기도 위치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 본체(110)에는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강도를 보강함과 함께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형상 변경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대(111)가 더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보강대(111)는 프레임 본체(110)가 용접에 따른 물리적 변형을 최소하기 위하여 스폿(spot) 용접하거나 또는 볼트 체결방식을 사용한다.
상기의 보강대(111)는 프레임 본체(110)에 설치하거나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프레임 본체(110)의 사용 목적이나 효과 및 설치 조건, 사용자의 요구 등에 따라 다양하게 프레임 본체(110)를 구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레임 본체(110) 내에는 하수 및 오·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걸러내도록 미세한 구멍을 갖는 복수개의 분리막(120)이 결합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분리막(120)의 상부에는 분리막(120)의 상부를 지지 고정함과 함께 분리막(120)을 통과하여 흐르는 깨끗한 상태의 처리수를 모으는 즉, 집수하는 집수관(121)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분리막(120)의 하부에는 분리막(120)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부(12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집수관(121)의 양측에는 상기 집수관(121) 내로 집수되어 흐르는 처리수를 상기 분리막 프레임(110)의 외부 즉, 분리막 유니트(1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집수공(12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상부 양측에는 각 집수관(121)을 고정함과 함께 처리수를 분리막 유니트(1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프레임 상부 고정부(15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프레임 상부 고정부(150)의 양측에는 분리막 프레임(100)의 양측 프레임 본체(110)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110a)과 일치됨과 함께 상기 각 체결공(110a)과 일치된 상태에서 볼트가 삽입 체결되도록 하는 상부 지지공(15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각 프레임 상부 고정부(150)의 하부면에는 각 분리막(120)의 집수관(121)의 양측이 각각 끼워져 지지 고정됨은 물론 상기 지지 고정되는 각 분리막(120)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의 상부 고정부재(151)가 결합되어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하부 양측에는 각 고정부(122)를 고정하도록 하는 프레임 하부 고정부(160)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프레임 하부 고정부(160)의 양측에는 분리막 프레임(100)의 양측 프레임 본체(110)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110a)과 일치됨과 함께 상기 각 체결공(110a)과 일치된 상태에서 볼트가 삽입 체결되도록 하는 하부 지지공(16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각 프레임 하부 고정부(160)의 상부면에는 각 분리막(120)의 고정부(122)의 양측이 각각 끼워져 지지 고정됨은 물론 상기지지 고정되는 각 분리막(120)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의 하부 고정부재(16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상, 하부 고정부재(151,161)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상, 하부 고정부재(151,161)는 도 5와 도 7에서와 같이, 외면은 집수관(121)과 고정부(122)가 각각 원활하게 삽입 및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이나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작업 목적이나 효과 및 제작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각 상, 하부 고정부재(151,161)는 프레임 상, 하부 고정부(150,160)의 하, 상면에 볼트 체결되도록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공(151a,161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고정공(151a,161a)의 일측 즉, 도면상 상기 상부 고정부재(151)의 고정공(151a) 하부측과 상기 하부 고정부재(161)의 고정공(161a) 상부측에는 상기 각 고정공(151a,161a)으로 삽입 체결되는 볼트 머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단턱(151b,16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단턱(151b,161b)은 고정공(151a,162a)에 삽입 체결되는 볼트를 보다 손쉽게 결합 및 분리함은 물론 체결된 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각이나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작업 목적이나 효과 및 제작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부 결합부재(140)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상부 결합부재(140)는 도면상에서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각 상부 결합부재(140)는 도 3와 도 4에서와 같이,“ㄱ”자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결합부재(140)는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의 각 구성 중 프레임 상부 고정부 및 후술할 송수관과 분리막 프레임 가이드 부재 등이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상기의 형상뿐만 아니라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각 상부 결합부재(140)의 각 면에는 상기 각 상부 결합부재(140)가 프레임 본체(110) 및 각 구성들과의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되게 복수개의 상부 결합공(14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상부 결합부재(140)의 상부에 각각 위치됨은 물론 상기 상부 결합부재(140)의 상면에 양측이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각 집수관(121)으로부터 보내지는 처리수가 유입됨과 함께 상기 유입된 처리수를 분리막 유니트(10)의 외부로 배출 즉, 이송하도록 하는 송수관(13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송수관(130)과 집수관(121) 사이에는 상기 집수관(121)으로부터 송수관(130)으로 처리수가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집수관(121)과 송수관(13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송수관(130)의 양측 하부에는 상기 각 상부 결합부재(140)와 각 송수관(130)이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각 상부 결합부재(140)의 일면과 접촉됨은 물론 상기 각 상부 결합부재(140)의 각 결합공(140a)과 일치되어 볼트가 삽입 체결되는 복수개의 앵글공(131a)을 갖는 앵글(131)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송수관(130)의 저면에는 상기 집수관(121)으로부터 보내지는 처리수가 각 연결부재(180)를 통과하여 송수관(13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유입공(13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송수관(130)의 일측에는 송수관(130) 내의 처리수를 분리막 유니트(1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공을 갖는 플랜지(132)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각 연결부재(180) 구성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송수관(130)의 각 유입공(130a)에 끼워져 삽입 결합 고정되는 홀더(18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홀더(181)에 일단이 끼워져 결합됨과 함께 타단이 집수관(121)의 집수공(121a)에 끼워져 삽입 결합되어 상기 집수관(121)에서 송수관(130)으로 처리수를 보내도록 상기 처리수의 유로 역할을 하는 연결부(18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홀더(181)측의 연결부(182) 외주면에는 홀더(181)와 연결부(182)의 결합을 견고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홀더(181)와 연결부(182) 사이로 처리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탄성을 갖는 실링(184)이 삽입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18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의 프레임 본체(110) 상부 양측에는 상기 송수관(130)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설치됨은 물론 상기 각 상부 결합부재(140)에 각각 결합되어 막분리 호기조 내로 삽입되는 분리막 유니트(10) 즉, 분리막 프레임(100)을 안내하도록 하는 가이드부(171)를 갖는 분리막 프레임 가이드 부재(1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171)는 분리막 프레임 가이드 부재(170)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리막 프레임 가이드 부재(170)의 양측에는 각 상부 결합부재(140)의 상부 결합공(140a)과 일치되어 볼트가 삽입 체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공(17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의 일측에 위치됨과 함께 상기 각 송수관(130)의 일측에는 상기 각 송수관(130)으로부터 보내지는 처리수를 분리막 유니트(1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헤더(19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배출헤더(190)의 양 단부에는 상기 배출헤더(190)의 방향 전환 및 부품의 교환, 교체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송수관(130)의 플렌지(132)와 접촉됨은 물론 볼트 체결되는 플렌지(19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의 프레임 본체(110) 상부측에 위치한 각 체결공(110a)에는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을 막분리 호기조에서 빼내거나 넣을 때 사용되는 인양장치의 고리가 걸어지는 아이볼트(a)가 복수개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본체(100) 상부 중앙부에는 분리막 프레임(100)을 막분리 호기조에서 빼내거나 넣도록 하기 위한 호이스트와 같은 인양장치가 프레임 본체(110)나 각 분리막(120) 등과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하는 차단대(11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차단대(112)의 양단부에는 상기 프레임 본체(110)에 차단대(112)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각 체결공(110a)과 일치되어 볼트가 삽입 체결되는 차단공(11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산기관(200)은 외관을 형성하는 산기관 몸체(2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산기관 몸체(210)는 상기 산기관(200)의 사면을 막도록 사면에 각각 위치되어 서로 결합됨은 물론 상기 산기관(200)의 테두리는 산기관(200)을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산기관 몸체(210)의 테두리에는 각 산기관 몸체(210)을 서로 연결 결합하도록 볼트가 각각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공(210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의 프레임 본체(110) 하부에 형성된 각 체결공(110a)과 상기 산기관(200)의 산기관 몸체(210) 상부에 형성된 각 체결공(210a)은 일치되며 상기 일치된 각 체결공(110a,210a)에 볼트 체결함에 따라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과 산기관(200)은 결합된다.
상기 산기관 몸체(210)는 도면상 전, 후 산기관 몸체(210)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됨은 물론 좌, 우 산기관 몸체(210)도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전, 후 산기관 몸체(210)는 좌, 우 산기관 몸체(210)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공급관이나 노즐 등의 설치가 보다 원활함은 물론 상기 각 구성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전, 후, 좌, 우 산기관 몸체(210)는 보는 위치에 따라서 바뀔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산기관 몸체(210)의 크기도 위치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한편, 산기관 몸체(210)에는 상기 산기관 몸체(210)의 강도를 보강함과 함께 상기 산기관 몸체(210)의 형상 변경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대(211)가 더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보강대(211)는 산기관 몸체(210)가 용접에 따른 물리적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스폿(spot) 용접하거나 볼트 체결방식을 사용한다.
상기의 보강대(211)는 산기관 몸체(210)에 설치하거나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산기관 몸체(210)의 사용 목적이나 효과 및 설치조건, 사용자의 요구 등에 따라 다양하게 산기관 몸체(210)를 구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산기관 몸체(210)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산기관 몸체(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부 결합부재(220)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하부 결합부재(220)는 도면상에서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각 하부 결합부재(220)는 도 5에서와 같이,“ㄱ”자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결합부재(220)는 상기 산기관(200)의 각 구성 중 후술할 공급관과 산기관 가이드 부재 등이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상기의 형상뿐만 아니라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각 하부 결합부재(220)의 각 면에는 상기 하부 결합부재(220)가 산기관 몸체(210) 및 각 구성들과의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되게 복수개의 하부 결합공(22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산기관 몸체(210)의 양측에는 상기 하부 결합부재(220)의 상면에 위치됨은 물론 상기 하부 결합부재(220)의 상면에 양측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어 브로아에서 보내지는 공기가 유입되는 중공의 공급관(230)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공급관(230)에는 공급관(230) 내의 공기가 공급관(2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공급공(23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공급관(230)의 양측에는 외부에서 보내지는 공기가 공급관(230)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공(230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의 공급관(230)의 양측에는 상기 각 하부 결합부재(220)의 상면에 위치된 각 공급관(230)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각 공급관(230)의 양측 외면을 각각 감싸면서 상기 각 하부 결합부재(220)의 상면에 형성된 각 하부 결합공(220a)에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U자형 볼트(290)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U자형 볼트(290)의 양단부에는 너트(291)가 각각 체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산기관 몸체(210) 내에는 상기 각 공급관(230)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됨과 함께 상기 유입된 공기를 분리막 프레임(100)의 각 분리막(120)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각 공급관(23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각 공급관(230)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노즐(2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노즐(240)의 저면부에는 상기 각 노즐(240) 내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노즐공(240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노즐(240)의 양단부는 상기 각 공급관(230) 내의 공기가 각 공급공(230a)을 통해 각 노즐(240) 내로 각각 유입되도록 상기 각 공급관(230)의 각 공급공(230a)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산기관 몸체(210) 내의 하부에는 각 노즐(240)을 지지함은 물론 상기 산기관 몸체(210)의 변형 방지 및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지지대(25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지지대(250)의 양단부에는 상기 산기관 몸체(210)에 각 지지대(250)가 각각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산기관 몸체(210)의 체결공(210a)과 일치되어 볼트가 삽입 체결되는 지지공(25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산기관(200)의 산기관 몸체(210) 양측에는 상기 각 하부 결합부재(220) 사이에 위치됨은 물론 상기 각 하부 결합부재(220)에 결합되어 막분리 호기조 내로 삽입되는 분리막 유니트(10) 즉, 산기관(200)을 안내하도록 하는 가이드부(261)를 갖는 산기관 가이드 부재(26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261)는 산기관 가이드 부재(260)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산기관 가이드 부재(260)의 양측에는 각 하부 결합부재(220)의 각 하부 결합공(220a)과 일치되어 볼트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공(26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공급관(230)의 일측에는 브로아에서 보내지는 공기가 각 공급관(230) 내로 유입되도록 브로아에서 보내지는 공기의 유로 역할을 하는 산기헤더(270)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공급관(230)의 타측에는 각 공급관(230)과 각 노즐(240) 내의 슬러지를 산기관(200)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슬러지배출헤더(280)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각 공급관(230)의 양측에는 산기헤더(270)와 슬러지배출헤더(280)가 한 쌍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공급관(230)의 양측에 한 쌍으로 결합된 산기헤더(270)와 슬러지배출헤더(280)는 상기 각 공급관(230)의 양측에 서로 엇갈리도록 위치 즉, 산기관 몸체(210)를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도록 하는데, 이는 각 공급관(230)과 각 노즐(240) 내로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됨은 물론 슬러지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각 슬러지배출헤더(280)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각 슬러지배출헤더(280)를 각각 개폐하도록 하는 밸브(281)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의 밸브(281)는 수동으로 조작하는 수동 밸브를 설치하거나 또는,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조작되는 전동 밸브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작업 목적이나 효과 및 설치조건 등에 따라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과 산기관(200)이 결합된 분리막 유니트(10)의 상부에는 상기 분리막 유니트(10)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다른 분리막 프레임(100)을 다단으로 적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이 작동되면 상기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 내로 유입된 원수는 각 조를 통과하면서 상기 원수에 포함된 용존오염물질, 부유물질, 미생물 등을 걸러내거나 제거하여 깨끗한 상태의 처리수로 정화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막분리호기조 내의 분리막 유니트(10)는 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및 미생물 등이 걸러짐과 함께 상기 분리막 유니트(10)의 각 분리막이 폐색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즉,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의 작동에 따라 흡인펌프와 브로아가 작동되고, 상기 브로아에서 보내지는 외부 공기는 분리막 유니트(10)의 산기관(200)으로 공급된다.
상기 공급된 외부 공기는 산기관(200)에서 상기 분리막 유니트(10)의 분리막 프레임(100)으로 보내짐에 따라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에 설치된 각 분리막의 폐색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흡인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막분리 호기조 내의 원수가 각 분리막을 통과하면서 상기 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및 미생물이 각 분리막(120)의 표면에 걸러지므로 상기 원수는 깨끗한 상태의 처리수로 정화 처리된다.
상기의 분리막 유니트(10)는 분리막 프레임(100)과 산기관(20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과 산기관(200)의 각 구성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의 외관은 사면에 프레임 본체(110)가 각각 위치되고, 상기 위치된 각 프레임 본체(110)의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110a)을 일치시킨 후 상기 각 체결공(110a)에 볼트를 각각 삽입하여 체결함에 따라 상기 각 프레임 본체(110)는 서로 결합된다.
상기의 프레임 본체(110)의 상, 하부 양측에는 프레임 상, 하부 고정부(150,160)가 각각 결합된다.
즉, 상기 각 프레임 상, 하부 고정부(150,16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상, 하부 지지공(150a,160a)과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각 체결공(110a)이 일치됨에 따라 상기 일치된 각 상, 하부 지지공(150a,160a)과 각 체결공(110a)에 볼트를 각각 삽입 체결함에 따라 상기 각 프레임 상, 하부 고정부(150,160)는 프레임 본체(110)의 상, 하부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각 프레임 상, 하부 고정부(150,160)의 상, 하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의 각 상, 하부 고정부재(151,161)를 위치시킨 후 상기 각 상, 하부 고정부재(151,161)의 각 고정공(151a,161a)을 프레임 본체(110)의 각 체결공(110a)과 일치시킨 다음 볼트를 각각 삽입 체결함에 따라 상기 각 상, 하부 고정부재(151,161)는 각 프레임 상, 하부 고정부(150,160)의 상,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각 상, 하부 고정부재(151,161) 사이에 각 분리막(120)의 집수관(121)과 고정부(122)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각 분리막(120)은 프레임 본체(110) 내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각 프레임 상부 고정부(150)의 각 상부 고정부재(151) 사이에 각 분리막(120)의 집수관(121)이 각각 삽입 위치됨에 따라 상기 각 분리막(120)의 상부는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 하부 고정부(160)의 각 하부 고정부재(161) 사이에 각 분리막(120)의 고정부(122)가 각각 삽입 위치됨에 따라 상기 각 분리막(120)의 하부는 고정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상부 양측에 한 쌍을 이루는 상부 결합부재(140)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볼트 결합되어 있는데, 즉 상기 각 상부 결합부재(140)의 각 상부 결합공(140a)과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각 체결공(110a)이 일치되고, 상기 일치된 각 상부 결합공(140a)과 각 체결공(110a)에 볼트를 삽입 체결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상부 양측에 각 상부 결합부재(140)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의 프레임 본체(110)의 상부 양측에 한 쌍으로 이루도록 결합된 각 상부 결합부재(140)의 상면에는 각 송수관(130)의 양측 하부면이 접촉됨과 함께 상기 각 송수관(130)의 양측 하부에 형성된 각 앵글(131)과 상기 각 상부 결합부재(140)의 측면이 접촉된다.
상기 각 상부 결합부재(140)의 각 상부 결합공(140a)과 각 송수관(130)의 각 앵글(131)에 형성된 각 앵글공(131a)이 일치되면, 상기 일치된 각 상부 결합공(140a)과 각 앵글공(131a)에 볼트를 삽입 체결하므로 상기 각 상부 결합부재(140)에서 각 송수관(130)이 착탈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각 분리막(120)의 집수관(121)과 상기 송수관(130)은 복수개의 연결부재(180)에 의해 서로 연결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송수관(130)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입공(130a)에 상기 각 연결부재(180)의 홀더(181)를 각각 삽입 체결한다.
상기 각 유입공(130a)의 내면과 상기 홀더(181)의 일측 외면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홀더(181)는 각 유입공(130a)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각 집수관(121)의 집수공(121a)에 상기 각 연결부재(180)의 연결부(182) 타단을 각각 끼워 삽입 결합함과 함께 상기 각 연결부(182)의 일단을 홀더(181) 내로 각각 끼워 삽입 결합함으로서, 상기 각 연결부재(180)에 의해 집수관(121)과 송수관(130)은 서로 연결된다.
상기 각 송수관(130)의 일측에는 배출공을 갖는 플렌지(132)가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송수관(130)의 각 플렌지(132)는 배출헤더(190)의 플렌지(191)와 맞닿은 상태에서 볼트 체결됨에 따라 상기 각 송수관(130)과 배출헤더(190)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을 이루는 각 상부 결합부재(140)에는 상기 각 송수관(130)보다 더 돌출된 위치에는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을 분리막 호기조 내로 삽입 및 탈거시킬 때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의 삽탈을 안내하도록 하는 가이드부(171)를 갖는 분리막 프레임 가이드 부재(170)가 착탈 가능하도록 볼트 체결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 본체(100) 상부 중앙부에는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각 체결공(110a)과 일치되는 차단공(112a)을 갖는 차단대(112)가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구성의 결합에 의해 분리막 프레임(100)의 제작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산기관(200)의 외관은 사면에 산기관 몸체(210)가 각각 위치되고, 상기 위치된 각 산기관 몸체(210)의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210a)을 각각 일치시킨 후 상기 각 체결공(210a)에 볼트를 각각 삽입하여 체결함에 따라 상기 각 산기관 몸체(210)는 착탈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된다.
그런 후, 상기 산기관 몸체(210)의 하부 양측에 하부 결합부재(220)를 각각 위치시키고 나서 상기 산기관 몸체(210)의 각 체결공(210a)과 상기 각 하부 결합부재(220)의 하부 결합공(220a)을 일치시킨 다음 상기 일치된 각 체결공(210a)과 각 하부 결합공(220a)에 볼트를 삽입 체결함에 따라 상기 산기관 몸체(210)의 하부 양측에 상기 각 하부 결합부재(2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각 하부 결합부재(220)의 상부에 놓여지도록 상기 산기관 몸체(210)의 양측에 공급관(230)을 각각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각 공급관(230)의 양측에 U자형 볼트(290)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U자형 볼트(290)의 양단부를 상기 각 하부 결합부재(220)의 하부 결합공(220a)에 삽입하고 상기 U자형 볼트(290)의 양단부에 너트(291)를 각각 체결함에 따라 상기 각 공급관(230)은 상기 산기관 몸체(210)의 양측에 위치된 상태로 각 하부 결합부재(2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 때, 상기 각 공급관(230)에는 복수개의 노즐공(240a)을 갖는 노즐(240)이 복수개 결합되는데, 즉 상기 각 공급관(230) 사이에 복수개의 노즐(240)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시키고 나서 상기 각 공급관(230)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급공(230a)에 각 노즐(240)의 양단부를 결합한다.
상기 복수개의 노즐(240)이 결합된 공급관(230)을 상기 하부 결합부재(220)의 상부에 위치시켜 결합한다.
상기 산기관 몸체(230) 내의 하부에는 상기 산기관 몸체(210)의 각 체결공(210a)과 일치되는 지지공(250a)에 볼트를 삽입 체결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25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산기관 몸체(210)의 양측에는 상기 각 공급관(230)보다 더 돌출되도록 상기 분리막 호기조 내로 삽입 및 탈거되는 산기관(200)의 삽탈을 안내하도록 하는 가이드부(261)를 갖는 산기관 가이드 부재(260)가 상기 각 하부 결합부재(220)에 결합된다.
즉, 상기 각 하부 결합부재(220)의 각 하부 결합공(220a)에 상기 산기관 가이드 부재(260)의 가이드공(260a)을 일치시킨 후 상기 일치된 각 하부 결합공(220a)과 가이드공(260a)에 볼트를 삽입 체결함에 따라 상기 각 산기관 가이드 부재(260)는 각 하부 결합부재(22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상기 각 공급관(230)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공(230b)과 연통되도록 상기 공급관(230)의 일측에 산기헤더(270)가 결합됨과 함께 상기 각 공급관(230)의 타측에 형성된 유입공(230b)과 연통되도록 상기 공급관(230)의 타측에 슬러지배출헤더(280)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각 공급관(230)에 결합된 산기헤더(270)와 슬러지배출헤더(280)는 상기 산기관 몸체(210)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엇갈리도록 즉,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도록 상기 각 공급관(230)의 양측에 설치한다.
그러므로, 상기 각 공급관(230) 내로 브로아에서 보내지는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공급관(230) 내의 슬러지 및 각 노즐(240) 내의 슬러지를 각 슬러지배출헤더(280)를 통해 산기관(20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상기 각 슬러지배출헤더(280)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각 슬러지배출헤더(280)를 개폐하는 밸브(281)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분리막 유니트(10)가 작동되어 원수를 처리수로 정화 처리할 때에는 각 밸브(281)는 닫혀있고, 상기 각 공급관(230)과 각 노즐(240) 내의 슬러지를 배출할 때에는 상기 산기헤더(270)를 통해 보내지는 공기가 각 공급관(230)과 각 노즐(240) 내를 흐르면서 슬러지를 함께 각 슬러지배출헤더(280)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각 밸브(281)를 연다.
그러므로, 상기 각 슬러지배출헤더(280)의 밸브(281)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공급관(230) 내로 브로아에서 보내지는 외부 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공급됨은 물론 상기 공급된 외부 공기를 각 공급관(230)에서 각 노즐(240) 내로 원활하게 보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슬러지배출헤더(280)의 밸브(281)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상기 브로아에서 보내지는 외부 공기는 각 공급관(230)과 각 노즐(240) 내를 흐르면서 상기 각 공급관(230)과 각 노즐(240) 내의 슬러지를 포함한 상태로 상기 각 슬러지배출헤더(280)를 통해 산기관(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산기헤더(270) 및 슬러지배출헤더(280)의 개폐는 한 개 또는 두 개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산기관(200)의 효율을 향상시켜 분리막 유니트(10)의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상기 각 공급관(230)과 각 노즐(240) 내의 슬러지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함이다.
상기 각 구성의 결합에 의해 산기관(200)의 제작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분리막 프레임(100)과 산기관(200)의 각 구성들이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의 각 프레임 본체(110) 하부에 형성된 각 체결공(110a)과 상기 산기관(200)의 각 산기관 몸체(210) 상부에 형성된 각 체결공(210a)을 각각 일치시킨 후 상기 일치된 각 체결공(110a,210a)에 볼트를 삽입 체결하면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과 산기관(200)이 결합됨에 따라 분리막 유니트(10)의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과 산기관(200)의 각 구성간의 결합 순서 및 방법은 상술한 방법 이외에 작업 목적이나 효과 및 현장 여건 등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리막 프레임(100)과 산기관(200)의 제작이 완료된 분리막 유니트(1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과 산기관(200)이 볼트 체결된 분리막 유니트(10)는 인양장치에 의해 들어져서 막분리 호기조 내로 넣어진다.
즉,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의 프레임 본체(110) 상부면에 형성된 각 체결공(110a)에 아이볼트(a)를 각각 체결한 후 상기 각 아이볼트(a)에 인양장치의 고리를 걸은 다음 상기 인양장치를 상, 하로 올리고 내리도록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분리막 유니트(10)는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의 분리막 프레임 가이드 부재(170)에 형성된 가이드부(171)와 상기 산기관(200)의 산기관 가이드 부재(260)에 형성된 가이드부(261)에 의해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막분리 호기조 내로 원활하게 삽입 및 탈거된다.
상기 막분리 호기조 내로 분리막 유니트(10)가 넣어져 고정된 상태에서 침지식막분리시스템을 작동시키게 되면 브로아를 통해 분리막 유니트(10)의 산기관(200)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흡인펌프의 작동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막분리 호기조 내의 원수는 분리막 프레임(100)의 각 분리막(120)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각 분리막(120)을 통과한 처리수는 집수관(121)으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처리수는 상기 집수관(121) 내를 흐르면서 복수개의 집수공(121a)을 통해 집수관(121)으로부터 배출되어 송수관(130)으로 보내진다.
이 때, 상기 집수관(121) 내의 처리수는 상기 각 연결부재(180)를 통해 송수관(130)으로 흐르게 된다.
즉, 집수관(121)의 각 집수공(121a)에 결합된 상기 각 연결부재(180)의 홀더(181)로 처리수가 유입되어 상기 연결부재(180)의 연결부(182) 내를 흐르면서 상기 연결부(182)에 결합된 송수관(130)의 유입공(130a)을 통해 송수관(130)으로 처리수가 유입된다.
상기 송수관(130)으로 유입된 처리수는 배출헤더(190)로 흐르면서 상기 배출헤더(190)를 통해 분리막 프레임(100)의 외부로 배출되어 처리수조에 담겨지게 된다.
한편, 브로아에서 보내지는 외부 공기는 산기헤더(270)를 통해 산기관(200)의 각 공급관(230)으로 보내지고, 상기 보내진 외부 공기는 상기 각 공급관(230)의 공급공(230a)을 통해 각 공급관(230)에서 배출된다.
상기 배출된 공기는 각 공급관(230)과 결합된 각 노즐(240) 내로 유입되어 흐르면서 각 노즐(240)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공(240a)을 통해 산기관(200)으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배출되는 공기는 상승하면서 상기 분리막 프레임(200)의 각 분리막(120)에 붙어 있는 부유물질 등과 같은 이물질을 떼어냄과 동시에 상기 각 분리막(120)에 부유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분리막 프레임(100)과 산기관(200)으로 구성되어 원수 내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제거 및 걸러내어 깨끗한 상태의 처리수로 정화 처리하도록 하는 분리막 유니트(10)의 작동은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이 작동되는 동안 계속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의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분리막 유니트의 분리막 프레임과 산기관을 볼트 체결함과 함께 상기 분리막 프레임의 각 구성 및 산기관의 각 구성을 볼트 체결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분리막 유니트의 구조를 단순화시z킬 뿐만 아니라 상기 분리막 유니트의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상기 분리막 유니트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분리막 유니트를 제작 및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설치에 따른 인력 손실을 줄임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분리막 유니트의 각 구성이 분리 가능함에 따라 상기 각 구성의 운반 및 운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좁은 공간에서도 분리막 유니트의 제작 및 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분리막 유니트의 각 구성을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하므로 인해, 상기 분리막 유니트의 각 구성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분리막 유니트의 불량률을 낮춤에 따라 상기 분리막 유니트의 질이 향상됨은 물론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특별한 기술이 없는 작업자도 손쉽고 간단하게 분리막 유니트를 설치 및 결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분리막 유니트에서 집수관과 송수관을 연결하도록 홀더와 연결부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사용함으로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집수관과 송수관의 연결 결합 및 분리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견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분리막 유니트의 분리막 프레임과 산기관에 가이드부를 각각 설치함에 따라 막분리 호기조 내로 분리막 유니트 즉, 분리막 프레임이나 산기관의 삽입/탈거 즉, 침지 및 인양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분리막 유니트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 제품 즉,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새롭고 높아짐에 따라 상기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 향상 및 구매의욕이 고취되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막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분리막 유니트의 분리막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분리막 프레임의 상부측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 분리막 유니트의 산기관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분리막 유니트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분리막 유니트 100: 분리막 프레임
110: 프레임 본체 120: 분리막
130: 송수관 140: 상부 결합부재
150: 프레임 상부 고정부 151: 상부 고정부재
160: 프레임 하부 고정부 161: 하부 고정부재
170: 분리막 프레임 가이드 부재 171: 가이드부
180: 연결부재 190: 배출헤더
200: 산기관 210: 산기관 몸체
220: 하부 결합부재 230: 공급관
240: 노즐 250: 지지부재
260: 산기관 가이드 부재 261: 가이드부
270: 산기헤더 280: 슬러지배출헤더
281: 밸브

Claims (14)

  1. 하수 및 오·폐수를 정화 처리하도록 하는 분리막 유니트에 있어서,
    사면을 각각 막아 외관을 형성함과 함께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테두리에 복수개의 체결공을 갖는 복수개의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 내에 설치되어 원수 내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복수개의 분리막과, 상기 각 분리막의 상부에 결합되어 분리막을 통과한 처리수를 집수하는 양측에 집수공을 갖는 집수관과, 상기 각 분리막의 하부에 결합되어 분리막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 하부 양측에 각각 볼트 체결되는 프레임 상, 하부 고정부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위치됨은 물론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상부 결합공을 갖는 상부 결합부재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송수관과, 상기 각 집수관과 각 송수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각 집수관과 송수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송수관과 연결됨은 물론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분리막 유니트의 외부로 배출되는 처리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헤더가 구비된 분리막 프레임;
    상기 분리막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막 프레임의 각 분리막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면을 각각 막아 외관을 형성함과 함께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테두리에 복수개의 체결공을 갖는 복수개의 산기관 몸체와, 상기 산기관 몸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위치됨은 물론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하부 결합공을 갖는 하부 결합부재와, 상기 산기관 몸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 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급관과, 상기 산기관 몸체 내에 각 공급관과 결합되어 각 공급관으로부터 보내지는 공기를 분리막 프레임으로 공급하도록 복수개의 노즐공을 갖는 복수개의 노즐과, 상기 각 공급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됨은 물론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공급관으로 보내지는 외부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산기헤더와, 상기 각 공급관의 타측에 각각 연결됨은 물론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공급관과 각 노즐 내의 슬러지를 배출하도록 하는 슬러지배출헤더와, 상기 슬러지배출헤더의 소정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슬러지배출헤더를 개폐하는 밸브가 구비된 산기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 상, 하부 고정부의 하, 상부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복수개의 상, 하부 고정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각 상, 하부 고정부재에 의해 각 분리막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각 분리막의 각 집수관과 각 고정부가 끼워져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각 상, 하부 고정부재는,
    프레임 하, 상부 고정부의 상, 하부면에 볼트 체결되도록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 고정공의 일측에는 삽입 체결되는 볼트 머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단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각 송수관의 하부에 형성된 각 유입공에 끼워져 삽입 결합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일단이 끼워져 결합됨과 함께 타단이 각 집수관에 형성된 집수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홀더 측의 연결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와 연결부 사이의 틈을 방지하는 실링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송수관의 양측 하부에는 상기 각 송수관이 상부 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 결합부재의 각 체결공과 일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앵글공을 갖는 앵글이 각각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6.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막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는 한 쌍을 이루는 상부 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막분리 호기조 내로 삽탈되는 상기 분리막 프레임의 삽탈을 안내하도록 중앙부에 가이드부를 갖는 분리막 프레임 가이드 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7. 제 1 항에 있어서,
    각 프레임 본체에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강도를 보강함과 함께 형상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보강대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8.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프레임 본체가 결합된 분리막 프레임의 상부 중앙부에는 인양장치와 각 분리막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대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9. 제 1 항에 있어서,
    각 공급관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각 공급관을 양측을 감쌈과 함께 각 하부 결합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각 하부 결합공에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U자형 볼트를 설치하고, 상기 U자형 볼트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너트를 설치하여 상기 U자형 볼트와 너트에 의해 한 쌍을 이루는 하부 결합부재의 상면에 상기 각 공급관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산기관의 하부 양측에는 한 쌍을 이루는 하부 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막분리 호기조 내로 삽탈되는 상기 산기관의 삽탈을 안내하도록 중앙부에 가이드부를 갖는 산기관 가이드 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각 산기헤더와 각 슬러지배출헤더는 산기관 몸체를 기준으로 하여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도록 상기 각 공급관의 양측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슬러지배출헤더에 결합된 밸브는 전동밸브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각 산기관 몸체에는 상기 산기관 몸체의 강도를 보강함과 함께 형상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보강대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산기관 몸체 내의 하부에는 각 노즐을 지지함은 물론 산기관 몸체의 변형 방지 및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지지대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KR20-2005-0024777U 2005-08-29 2005-08-29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KR200402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777U KR200402163Y1 (ko) 2005-08-29 2005-08-29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CNB2006101042257A CN100484614C (zh) 2005-08-29 2006-08-03 污废水处理用分离膜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777U KR200402163Y1 (ko) 2005-08-29 2005-08-29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163Y1 true KR200402163Y1 (ko) 2005-11-28

Family

ID=3781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777U KR200402163Y1 (ko) 2005-08-29 2005-08-29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2163Y1 (ko)
CN (1) CN100484614C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513B1 (ko) 2007-06-01 2009-02-26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침지형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여과막 모듈의 적층을 위한다층 구조의 여과막 모듈 가이드
KR101114503B1 (ko) 2008-12-04 2012-02-1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부유물 수거장치
KR101461048B1 (ko) * 2014-02-03 2014-11-13 씨제이대한통운 (주)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US9446970B2 (en) 2009-02-24 2016-09-20 Mitsubishi Rayon Co., Ltd. Membrane module unit and assembly method, disassembly method, and maintenance method for same, and water-treatment apparatus
KR101770964B1 (ko) * 2015-03-20 2017-08-25 (주)필로스 수처리 장치
KR101769453B1 (ko) * 2017-01-19 2017-09-05 현대건설주식회사 슬러지배출을 위한 거대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장치
KR20190019646A (ko) 2017-08-18 2019-02-27 옥수금속(주)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KR102037420B1 (ko) * 2019-06-20 2019-10-28 김성종 분리막 적용 효율을 극대화한 분리막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침지형 분리막 모듈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86924A1 (en) * 2007-05-10 2008-11-20 Toray Industries, Inc. Submerged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diffuser tube structure
JP5733206B2 (ja) * 2010-03-15 2015-06-10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被処理水の濾過方法
EP2572775A4 (en) 2010-05-19 2014-08-13 Mitsubishi Rayon Co FASTENING ELEMENT AND MEMBRANE MODULE UNIT
CN115475531A (zh) * 2021-05-31 2022-12-16 株式会社 三一Enc 分离膜模块单元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513B1 (ko) 2007-06-01 2009-02-26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침지형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여과막 모듈의 적층을 위한다층 구조의 여과막 모듈 가이드
KR101114503B1 (ko) 2008-12-04 2012-02-1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부유물 수거장치
US9446970B2 (en) 2009-02-24 2016-09-20 Mitsubishi Rayon Co., Ltd. Membrane module unit and assembly method, disassembly method, and maintenance method for same, and water-treatment apparatus
KR101461048B1 (ko) * 2014-02-03 2014-11-13 씨제이대한통운 (주)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KR101770964B1 (ko) * 2015-03-20 2017-08-25 (주)필로스 수처리 장치
KR101769453B1 (ko) * 2017-01-19 2017-09-05 현대건설주식회사 슬러지배출을 위한 거대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장치
KR20190019646A (ko) 2017-08-18 2019-02-27 옥수금속(주)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KR102037420B1 (ko) * 2019-06-20 2019-10-28 김성종 분리막 적용 효율을 극대화한 분리막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침지형 분리막 모듈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84614C (zh) 2009-05-06
CN1923725A (zh) 200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2163Y1 (ko)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US20170173538A1 (en) Enclosure assembly and filtration module for filtering fluid
US7731848B2 (en) Cartridge module of hollow fiber membranes
CN207973586U (zh) 一种市政污水净化装置
CN106630138A (zh) 一体式气体内循环厌氧折流板膜生物反应器
JP3602349B2 (ja) 中空糸膜型分離装置及び移動式中空糸膜型分離装置
CN215161813U (zh) 一种用于水体净化处理的微滤机
CN212076619U (zh) 污水净化再利用装置
KR200373515Y1 (ko) 산기관 폐색방지가 가능한 분리막유니트장치
KR101685356B1 (ko)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시스템
CN209704862U (zh) 一种新型多功能排污泵
KR200426865Y1 (ko) 립필터 방식을 활용한 하천수의 수질정화장치
CN219765011U (zh) 一种水处理纳滤膜组件
CN219835071U (zh) 一种工厂化循环水养殖生物滤池连续自动排污系统
CN221061910U (zh) 负载光触媒的净化器
CN218811187U (zh) 一种排水过滤回收结构
CN220589579U (zh) 一种uf超滤膜池
CN218931906U (zh) 一种模块化膜处理净水装置
CN211078809U (zh) 石油及化工废水一体化处理设备
CN221217553U (en) Environment-friendly waste water purifying device
CN221217537U (en) Pipeline type multi-stage filtering water purifier
CN219885749U (zh) 一种焦化蒸氨废水除油分离装置
CN112915626B (zh) 一种高压水蒸气不停机在线反冲洗压载水处理装置
CN216236306U (zh) 一种垃圾渗滤液膜处理器
CN211920973U (zh) 一种用于制备纯净水的反渗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