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048B1 -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 Google Patents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1048B1 KR101461048B1 KR20140011955A KR20140011955A KR101461048B1 KR 101461048 B1 KR101461048 B1 KR 101461048B1 KR 20140011955 A KR20140011955 A KR 20140011955A KR 20140011955 A KR20140011955 A KR 20140011955A KR 101461048 B1 KR101461048 B1 KR 1014610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frame
- hollow fiber
- module
- membra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에서 있어서, 분리막 프레임을 연결하는 양측 상모듈지지프레임의 중간에 상모듈지지프레임과 연통되도록 보강프레임을 구비하고 흡입압력이 분리막 프레임에 결합된 중공사막모듈의 특정 부분에 집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중공사막모듈의 폐색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강프레임에 형성되는 흡입관, 상기 분리막 프레임을 연결하는 양측 하모듈지지프레임 상면에 결합되어 중공사막모듈의 헤더 하단 외주를 잡아줌으로써 중공사막모듈의 원주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대, 상기 분리막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는 산기관에 공기구멍을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하되 중심에는 다른 공기구멍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폭기량이 다른 공기구멍에 비해 더 많게 분출하는 대공기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폐수나 하수를 처리하고 정화하는 침지식 막분리시스템의 분리막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막 유니트를 소형화 및 경량화 할 수 있도록 보호판을 제거한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침지식 막분리장치는 생물학적 공정이나 물리화학적 공정으로 오폐수에 포함된 용존오염물질과 미생물 및 부유물질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여과함으로써 오폐수를 정화하는 장치이다.
침지식 막분리장치에서 분리막은 일반적으로 중공사막을 사용하는데, 한정된 공간내에서 처리용량을 높이고 집적화 하기 위해 중공사막을 수백 내지 수천개씩 한데 모아 일체로 묶은 중공사막모듈을 사용한다.
중공사막은 외주면 전체에 작은 기공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흡입하면 기공을 통해 입자가 작은 물은 흡수되고 기공보다 입자가 큰 오염물질은 흡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폐수를 정화한다.
중공사막모듈에는 항상 상당한 압력이 걸려 있고, 기공에 붙어 있는 오염물질을 털어내지 않으면 사용중에 기공이 막혀서 정화능력이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중공사막모듈의 하부에 산기관을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공기를 폭기시켜 줌으로서 기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분리막 유니트의 전체 외면에는 중공사막모듈을 보호하면서 폭기시 한정된 공간내에서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보호판이 설치되어 있다.
보호판은 중공사막모듈을 보호하고 폭기시킬 때 한정된 공간의 유동성을 높여주어 기공에 달라붙은 오염물질을 쉽게 털어낼 수는 있지만, 분리막 유니트의 크기를 줄이기 어렵게 만들고 경량화에도 불리할 수 밖에 없다.
게다가 보호판에 의한 한정된 공간은 그 공간의 유동성을 높여주는데는 효과적이지만, 보호판 근처에서는 보호판에 부딪혀 반발하는 공기압에 의해 폭기압이 상쇄되어 특정 부분에서는 공기압이 작용하지 않아 오히려 기공에 달라붙은 오염물질이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 된다.
또한, 분리막 유니트는 현장에 설치시 기중기와 같은 기계장치를 통해 매어 달아 들어올려 지면 보다 낮은 오폐수 처리장으로 내려놓게 내는데 그 과정에서 흔들리면 목적하는 위치에 놓기가 어려우므로 분리막 유니트의 4개 모서리 부분에 미리 가이드봉을 임시로 설치하고 그 가이봉을 따라 내려가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분리막 유니트는 설치작업이 까다로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리막 프레임을 감싸는 보호판을 제거하여 분리막 유니트를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하고, 흡입구를 중공사막모듈에 가해지는 압력차이가 최소화되는 곳에 형성하여 중공사막모듈의 폐색현상을 지연시키며, 중공사막모듈의 원주방향 회전을 방지하여 중공사막모듈의 손상 및 중공사막모듈간의 간섭현상을 방지하고, 분리막 프레임의 양측에 가이드브라켓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분리막 유니트의 현장 설치시 가이드봉 이용이 원활하도록 하여 설치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에서 있어서,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에서 있어서, 분리막 프레임을 연결하는 양측 상모듈지지프레임의 중간에 상모듈지지프레임과 연통되도록 보강프레임을 구비하고 흡입압력이 분리막 프레임에 결합된 중공사막모듈의 특정 부분에 집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중공사막모듈의 폐색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강프레임에 형성되는 흡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리막 프레임을 연결하는 양측 하모듈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중공사막모듈의 헤더를 잡아줌으로써 중공사막모듈의 원주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리막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는 산기관에 공기구멍을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하되 중심에는 다른 공기구멍 보다 크게 형성하여 폭기량이 다른 공기구멍에 비해 더 많게 분출하는 대공기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리막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는 산기관에 공기구멍을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하되 중심에 형성되는 공기구멍 사이의 간격은 다른 공기구멍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게 형성하여 폭기량이 산기관의 중심에서 더 많이 분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막 프레임의 상하단에는 고정판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에 상호 대향되어 두개의 격자판이 형성되어 상기 격자판으로 가이드봉이 들어오면 격자판 사이의 이격공간 내에서 가이드봉의 좌우 이동을 제한시켜 분리막 유니트를 오폐수처리장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있도록 해주는 가이드 브라켓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대에는 중공사막모듈 각각의 헤더 하단의 외주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사막모듈의 수에 대응되는 헤더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더홈의 모서리 부분에는 헤더가 삽입될 때 간섭이 방지되도록 여유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대공기구멍은 중심에서 2 ~ 5개를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고, 그 직경을 다른 공기구멍에 비해 1 ~ 2mm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산기관의 중심에 형성되는 공기구멍 사이의 간격은 다른 공기구멍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게 형성하여 폭기량이 산기관의 중심부에서 더 많이 분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막 유니트를 감싸는 보호판이 없어서 분리막 유니트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는데 유리하고, 산기관의 중심에 다른 공기구멍 보다 상대적으로 큰 대공기구멍을 수개 형성하여 폭기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면서 집중시켜 폐색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판이 없기 때문에 보호판에 의해 반발하는 공기압에 의해 폭기압이 상쇄되는 부분이 있었는데 이러한 부분이 없어져 특정 부분의 폐색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입관이 모듈지지프레임의 중간을 연결하는 보강프레임의 중간에 형성되어 각각의 중공사막모듈에 균일한 흡입압력을 인가함으로써 흡입압력 불일치에 의한 폐색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가동중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폭기시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중공사막모듈에 유동이 발생되어도 중공사막모듈의 헤더를 잡아주는 유동방지대가 구비되어 있어서 원주방향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중공사막의 간섭현상도 방지되고 중공사막모듈의 손상도 방지된다.
게다가 분리막 프레임의 상하단 중심에 가이드 브라켓이 형성되어 있어서, 분리막 유니트를 현장에 설치시 분리막 유니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봉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신속하고 안전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유니트로서 중공사막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유니트로서 중공사막모듈이 제외되고 유동방지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유니트의 중공사막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유니트의 주요부 상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유니트의 산기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유니트의 산기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유니트로서 중공사막모듈이 제외되고 유동방지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유니트의 중공사막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유니트의 주요부 상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유니트의 산기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유니트의 산기관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리막 유니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는 분리막 프레임(100)과 분리막프레임과 연결되어 구조를 지탱하면서 중공사막모듈이 조립되는 상하 모듈지지프레임(200a,200b) 및 중공사막 모듈(400)에 공기를 폭기시키는 산기관(300)으로 이루어진다.
상하 모듈지지프레임(200a,200b)은 분리막 프레임의 상하단에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두개가 나란히 형성되는데, 상모듈지지프레임(200a)의 내부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연통되어 있고, 상하 모듈지지프레임(200a,200b)의 대향면에는 다수의 모듈지지공(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모듈지지프레임의 모듈지지공(202)은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모듈지지프레임(200a)의 모듈지지공(202)에는 중공사막모듈(400)의 상단에 형성되는 유입구(420)가 끼워져 조립되고, 하모듈지지프레임(200b)의 모듈지지공(202)에는 중공사막모듈의 하단에 형성되는 지지구(425)가 끼워져 조립된다.
중공사막모듈(400)은 도 3과 같이, 양측으로 이격된 두개의 헤더(410)사이에 다수의 중공사막(430)이 결합된 것이다. 헤더(410)의 내부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연속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모든 중공사막(430)과 연통되어 있어서 헤더(410)의 내부공간에 흡입 압력이 작용하면 중공사막(430)의 미세한 기공(도시되지 않음)을 통해서 기공 보다 작은 유체(정수된 물)가 유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헤더의 상하단에는 모듈지지공에 조립될 수 있도록 유입구(420)와 지지구(425)가 형성되고, 유입구(420)는 중공되어 유체가 통과하는 것으로서 각형으로 제작하여 원주방향 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지만 각형은 구조적 특성상 수밀이나 기밀을 유지하는데 매우 불리하므로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구(425)에는 유체를 통과시키는 중공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기밀이나 수밀의 유지가 필요없어 각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각형은 방향이 정해져 있어서 조립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중공사막모듈에 장치의 진동이나 수류에 의해서 토크(회전력)가 걸릴때 얇아서 구조적 강도가 약한 지지구(425)에 그 토크가 집중되므로 피로파괴가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지지구(425)도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측의 상모듈지지프레임(200a) 사이에는 구조를 강화시키면서 상모듈지지프레임(200a)과 연통되는 보강프레임(250)이 형성된다.
보강프레임(250)의 중간에는 흡입관(500)이 형성된다. 이 흡입관(500)에는 흡입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어 특정압력으로 흡입함으로써 오폐수로부터 중공사막(430)을 통해 정수 된다. 이때 흡입압력이 모든 중공사막(430)에 일정하게 미치게 하는 것은 중공사막(430)의 기공이 막히지 않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흡입관(500)이 형성된 위치에서 가까운 곳의 중공사막(430) 일수록 흡입압력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미치므로, 흡입관(500)이 상모듈지지프레임(200a)의 한쪽에 치우쳐 있으면 가장 먼곳의 중공사막(430)에서는 다른 중공사막(430) 보다 더 빠른 폐색 현상이 나타난다. 흡입관(500)을 두개 또는 여러개 형성하여 거리에 따른 압력차이를 최소화 시킬 수도 있지만 흡입장치에 연결된 각각의 흡입관(500)의 미세한 압력차이만 있어도 상호간에 압력간섭현상이 발생하여 제기능을 할 수 없으므로 연통되어 있는 하나의 유체라인에 두개 이상의 흡입관(500)의 설치는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양측의 상모듈지지프레임(200a)과 연통되면서 그 중간에 위치하여 흡입장치를 통해 인가되는 중공사막모듈(400)간의 압력차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산기관(300)은 분리막 프레임(100)의 저부에서 공기를 상향으로 지속적으로 폭기시킴으로써 중공사막(430)에 달라붙은 오염물질을 털어내 기공이 막히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산기관(300)에는 다수의 공기구멍(310)이 도 5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구멍(310)의 크기는 7mm 인데 중앙의 세개는 8mm로써 다른 공기구멍(310) 보다 1mm 큰 대공기구멍(312)이 형성된다. 공기구멍(310)을 통해 상당한 압력으로 폭기 시키므로 1mm 차이는 폭기량이 다른 공기구멍에 비해서 20 ~ 40% 많다. 이는 폭기량을 중공사막모듈의 중앙에 집중시켜 보호판이 없어 한정된 폐쇄공간을 형성할 수 없는 부분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공기구멍(310)의 크기는 분리막 유니트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대공기구멍의 크기도 공기구멍(310)의 크기보다 1 ~ 3mm 범위내에서 가감할 수 있으며 그 수도 3개가 바람직하지만 2 ~ 5개로 가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와 같이 산기관의 중앙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공기를 분출시키기 위해 공기구멍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더 크게 하는 것 말고도 도시된 "A" 부분과 같이 공기구멍(310) 사이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더 좁게 하여 공기구멍(310)의 수를 늘림으로써 더 많은 폭기량을 얻을 수도 있다. 즉 산기관의 중심 부분에서 좌우 양측 부분 보다 20 ~ 40% 정도 폭기량이 많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 산기관 중심부분의 공기구멍(310)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개수를 늘리는 것 외에 분리막 유니트가 실제 설치되는 현장조건에 따라 기존에 슬러지 배출구로 사용했던 하나의 산기관 까지 이용하여 두 개의 산기관(300) 모두에 공기를 유입시켜 양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산기관 중심부에서 충돌하여 중심부의 공기압력이 높아지도록 함으로서 결국에 중심부에서 더 많은 공기가 공기구멍(31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분리막 프레임(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모듈지지프레임(200b)에는 두께가 3mm 정도인 유동방지대(600)가 볼트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유동방지대(600)는 그 위에 안착되는 중공사막모듈(400)을 단단히 잡아주어 원주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헤더홈(610)이 형성된다. 헤더홈(610)은 헤더(410)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헤더(410)의 하단이 삽입된 후 유격이 없어야 하므로 가공오차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각형인 헤더(410)의 하단이 삽입될 때 모서리 부분이 가공오차에 따른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모서리 부분에 작은 여유공(6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방지대(600)에는 하나 이상의 볼트구멍(bh)을 형성하고 하모듈지지프레임(200b)에 볼트구멍에 대응되는 볼트구멍(bh)을 형성하여 유동방지대(600)를 볼트를 이용하여 풀고 조이면서 간단히 결합시키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유동방지대(600)는 중공사막모듈(400)이 지지구(425)를 축으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중공사막모듈(4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중공사막(430)을 필요 이상으로 긴장시키지 않으면서 중공사막(430)간의 간섭도 방지한다.
분리막 프레임(100)의 상하부 양측에는 도 1, 도 2 같이 가이드브라켓이 형성된다. 가이드 브라켓(700)은 분리막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판(710)과, 고정판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두개의 격자(720)로 이루어진다. 격자(720)는 상호 대향되어 가이드봉의 지름보다 1 ~ 3cm 넓은 이격 공간을 갖는 것으로 그 이격공간에 가이드봉(도시되지 않음)이 들어오면 분리막 유니트를 설치장소에 내려놓을 때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잡아준다. 격자(720) 사이의 이격거리를 1 ~ 3cm 보다 더 짧거나 길게 하수도 있으나, 이격거리가 1cm 이하이면 현장 설치시 가이드봉을 이격공간에 진입시킬 때 공간이 좁아 시간이 오래 걸리고, 3cm 이상이면 가이드봉이 이격공간에 쉽게 진입을 하지만 진입후 유격이 많아서 요동이 심해지거나 정위치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 된다.
마찬가지로 격자(720)의 돌출길이가 길수록 가이드봉이 이격공간에 진입된 후 설치 작업중 격자 사이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데 유리하지만 주변의 다른 구성부와의 간섭이 많아지므로, 돌출되는 격자의 길이도 가이드봉의 지름보다 3 ~ 5cm 정도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브라켓(700)은 분리막 프레임(100)의 상하부 중심에 형성하지 않으면 기중기 등의 기계장치로 분리막 유니트를 들어올린 후 가이드봉이 이격공간에 진입했을 때 편심이 발생되어 분리막 유니트가 기울어지는 등 설치 작업이 불편해진다. 따라서 가이드 브라켓(700)은 분리막 프레임(100)의 상하 중심에 형성하여 두 가이드브라켓(700) 간에 일직선상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 브라켓(700)이 형성되어 있으면 분리막 프레임(100)의 설치작업이 빨라지고 용이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리막 유니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은 분리막 유니트를 오폐수처리장소에 침지시킨 후 오폐수가 유입되면 흡입관(500)에 흡입장치를 연결하여 특정 압력으로 흡입한다.
장치가 가동되면 흡입관(500) - 상모듈지지프레임(200a) - 중공사막모듈의 헤더(410) - 중공사막(430)의 연속되는 유체라인을 통해 중공사막(430)에 흡입압력이 전달되면, 중공사막(430)의 기공을 통해 기공 보다 입자가 큰 오염물질은 남아 있고, 작은 입자인 물만 기공으로 유입되어 지속적으로 정수 된다.
흡입관(500)은 양측 상모듈지지프레임(200a)에 설치된 각각의 중공사막모듈(400)에 흡입관(500)과의 거리에 따른 압력의 차이는 있지만 모듈지지프레임(200a)의 중간에 보강프레임(250)이 형성되고 그 중간에 흡입관(50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측 상모듈지지프레임(200a)의 거리별 압력차이가 발생 되지 않아 폐색을 상대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다.
분리막 유니트에는 보호판이 없으므로 분리막 프레임(1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중공사막(430)을 향해 공기를 폭기 시키더라도 열린 공간이어서 한정된 공간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기공에 달라붙은 오염물질을 털어내는데 불리할 수 있지만, 산기관(300)에 형성된 공기구멍(310)중 중심의 3개의 대공기구멍(312)은 다른 공기구멍(310)에 비해 커서 폭기량이 중공사막모듈(400)의 중앙에 상당량 집중된 후 전방향으로 분산되므로 한정된 공간을 제공하는 보호판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고, 보호판이 있으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공기압과 폭기되는 공기압이 상쇄되는 특정 부분의 중공사막 기공은 더 쉽게 폐색될 수 있는데, 공간이 열려 있으므로 이러한 특정부분의 폐색도 방지된다.
장치가 가동되면 흡입장치 및 공기를 폭기시키는 산기관(300)에 의해 분리막 유니트 전체에 요동이 발생하고, 특히 산기관(300)에서 분출하는 폭기에 의해 수류가 형성되어 요동하면서 중공사막모듈(400)이 전방향으로 요동하는 충격력을 받게 된다. 중공사막모듈(400)이 충격력을 받게되면 상하 방향으로는 상하 모듈지지프레임(200a,200b)에 의해 단단히 지지되어 있으므로 유동없이 고정되어 있지만, 원주방향으로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헤더(410)의 유입구(420) 및 지지구(425)가 회전축이 되어 미세하지만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유동방지대(600)의 헤더홈(610)에 헤더의 하단 외주가 단단히 잡혀 있어 그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중공사막모듈(400)의 원주방향 회전이 방지된다. 중공사막모듈(400)의 회전은 유입구(420) 및 지지구(425)을 포함한 헤더(410)의 손상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헤더(410)가 회전되면서 중공사막을 필요 이상으로 긴장시킴으로써 오래 사용하면 중공사막(430)이 끊어질 수도 있고 다른 중공사막(430)간의 간섭으로 표면 손상이 빨라질 수 있는데 헤더의 회전이 방지되어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헤더홈이 헤더의 하단 전체 외주를 잡고 있기 때문에 토크가 구조적 강도가 높은 헤더 전체에 분산되므로 유입구(420) 및 지지구(425)의 피로파괴도 방지할 수 있다.
100 : 분리막 프레임 200a : 상모듈지지프레임
200b : 하모듈지지프레임 202 : 모듈지지공
250 : 보강프레임 300 : 산기관
310 : 공기구멍 312 : 대공기구멍
400 : 중공사막모듈 410 : 헤더
420 : 유입구 425 : 지지구
430 : 중공사막 500 : 흡입구
600 : 유동방지대 610 : 헤더홈
620 : 여유공 700 : 가이드브라켓
710 : 고정판 720 : 격자
200b : 하모듈지지프레임 202 : 모듈지지공
250 : 보강프레임 300 : 산기관
310 : 공기구멍 312 : 대공기구멍
400 : 중공사막모듈 410 : 헤더
420 : 유입구 425 : 지지구
430 : 중공사막 500 : 흡입구
600 : 유동방지대 610 : 헤더홈
620 : 여유공 700 : 가이드브라켓
710 : 고정판 720 : 격자
Claims (7)
-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에서 있어서,
분리막 프레임을 연결하는 상모듈지지프레임과 연통되도록 보강프레임을 구비하고, 양측 상모듈지지프레임의 거리별 압력차이가 발생되지 않고, 흡입압력이 분리막 프레임에 결합된 중공사막모듈의 특정부분에 집중되지 않도록 상기 보강프레임에 형성되는 흡입관(500);
상기 분리막 프레임을 연결하는 하모듈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중공사막모듈의 헤더를 잡아 줌으로써 중공사막모듈의 원주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대(600);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방지대는 중공사막모듈의 헤더가 삽입될 수 있도록 헤더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더홈의 모서리 부분에는 헤더가 삽입될 때 간섭이 방지되도록 여유공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막 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는 산기관(300)에 다수의 공기구멍을 형성하되,
중심에 형성되는 공기구멍을 다른 공기구멍 보다 크게 하여 폭기량이 다른 공기구멍에 비해 더 많이 분출되도록 대공기구멍을 포함하거나,
중심에 형성되는 공기구멍 사이의 간격을 다른 공기구멍 사이의 간격 보다 더 좁게 형성하여 중심에서 폭기량이 더 많이 분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프레임의 상하단에는 고정판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에 상호 대향되어 두개의 격자판이 형성되어 상기 격자판으로 가이드봉이 들어오면 격자판 사이의 이격공간 내에서 가이드봉의 좌우 이동을 제한시켜 분리막 유니트를 오폐수처리장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있도록 해주는 가이드 브라켓(7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공기구멍(312)은 중심에서 2 ~ 5개를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고, 그 직경을 다른 공기구멍에 비해 1 ~ 2mm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11955A KR101461048B1 (ko) | 2014-02-03 | 2014-02-03 |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11955A KR101461048B1 (ko) | 2014-02-03 | 2014-02-03 |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1048B1 true KR101461048B1 (ko) | 2014-11-13 |
Family
ID=5229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11955A KR101461048B1 (ko) | 2014-02-03 | 2014-02-03 |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1048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4924B1 (ko) | 2015-04-01 | 2015-09-22 | 씨제이대한통운 (주) | 중공사막모듈 손상 방지를 위한 유동방지용 분리막 유니트 |
KR20190019646A (ko) | 2017-08-18 | 2019-02-27 | 옥수금속(주) |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
CN111871213A (zh) * | 2020-08-21 | 2020-11-03 | 常州科德水处理成套设备有限公司 | 一种自清洗智能超滤膜池装置 |
KR20230062972A (ko) | 2021-11-01 | 2023-05-09 | 씨제이대한통운 (주) | 중공사막모듈 폐색방지를 위한 개량형 분리막 프레임 |
KR20230168378A (ko) | 2022-06-07 | 2023-12-14 | 씨제이대한통운 (주) | 중공사막모듈 손상 방지를 위한 유동방지용 분리막 유니트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3977Y1 (ko) * | 2002-08-05 | 2002-11-04 | 대한통운 주식회사 | 오·폐수용 분리막 유니트의 산기장치 |
KR200402163Y1 (ko) * | 2005-08-29 | 2005-11-28 | 대한통운 주식회사 |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
KR20090085760A (ko) * | 2008-02-05 | 2009-08-10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분리막 생물반응조의 폭기 방법 |
KR20120133600A (ko) * | 2011-05-31 | 2012-12-11 | 최송휴 | 중공사막모듈의 유동이 방지되는 분리막 유니트 |
-
2014
- 2014-02-03 KR KR20140011955A patent/KR1014610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3977Y1 (ko) * | 2002-08-05 | 2002-11-04 | 대한통운 주식회사 | 오·폐수용 분리막 유니트의 산기장치 |
KR200402163Y1 (ko) * | 2005-08-29 | 2005-11-28 | 대한통운 주식회사 |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
KR20090085760A (ko) * | 2008-02-05 | 2009-08-10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분리막 생물반응조의 폭기 방법 |
KR20120133600A (ko) * | 2011-05-31 | 2012-12-11 | 최송휴 | 중공사막모듈의 유동이 방지되는 분리막 유니트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4924B1 (ko) | 2015-04-01 | 2015-09-22 | 씨제이대한통운 (주) | 중공사막모듈 손상 방지를 위한 유동방지용 분리막 유니트 |
KR20190019646A (ko) | 2017-08-18 | 2019-02-27 | 옥수금속(주) |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
KR102073039B1 (ko) * | 2017-08-18 | 2020-02-04 | 옥수금속(주) |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
CN111871213A (zh) * | 2020-08-21 | 2020-11-03 | 常州科德水处理成套设备有限公司 | 一种自清洗智能超滤膜池装置 |
KR20230062972A (ko) | 2021-11-01 | 2023-05-09 | 씨제이대한통운 (주) | 중공사막모듈 폐색방지를 위한 개량형 분리막 프레임 |
KR20230168378A (ko) | 2022-06-07 | 2023-12-14 | 씨제이대한통운 (주) | 중공사막모듈 손상 방지를 위한 유동방지용 분리막 유니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1048B1 (ko) | 침지식 막분리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 |
AU2015227016B2 (en) | Enclosure assembly and filtration module for filtering fluid | |
KR101713927B1 (ko) | 카세트 타입용 mbr 분리막의 여과장치 | |
JP5803293B2 (ja) | 散気装置 | |
KR20080110862A (ko) | 막 엘리먼트, 막 유닛 및 다단 적층 막 유닛 | |
KR101382473B1 (ko) | 중공사 분리막 모듈의 유체 분배 장치 | |
US20080011677A1 (en) | Wastewater treating system | |
JP2008194680A (ja) | 膜分離ユニット | |
CN102596374B (zh) | 膜模块、膜单元和膜分离装置 | |
US20220088540A1 (en) | Membrane filter | |
JP5845673B2 (ja) | 散気装置 | |
CN109562331A (zh) | 虹吸式散气装置、膜分离活性污泥装置、水处理方法 | |
KR102055679B1 (ko) |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경량 분리막 유니트 | |
KR101559122B1 (ko) | 조립분해 용이한 수처리용 멤브레인 장치 | |
US20140083921A1 (en) | Mobile fluid treatment system and associated apparatus | |
CA2825744C (en) | Membrane separation device with air bubble group splitting member | |
JP2007203254A (ja) | 膜分離式水浄化装置用の膜モジュール | |
KR100856385B1 (ko) | Mbr용 분리막 모듈 지지프레임 | |
JP6060762B2 (ja) | 水処理装置 | |
KR102622671B1 (ko) | 중공사막모듈 폐색 방지를 위한 개량형 분리막 유니트 | |
WO2018012178A1 (ja) | 散気ユニット及び濾過装置 | |
JP2003112017A (ja) | 濾過膜モジュールおよび造水方法 | |
WO2015092835A1 (ja) | 膜分離装置 | |
KR20190090460A (ko) |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 |
WO2016044304A2 (en) | Tower filtration module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