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218B1 -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218B1
KR101532218B1 KR1020130019787A KR20130019787A KR101532218B1 KR 101532218 B1 KR101532218 B1 KR 101532218B1 KR 1020130019787 A KR1020130019787 A KR 1020130019787A KR 20130019787 A KR20130019787 A KR 20130019787A KR 101532218 B1 KR101532218 B1 KR 10153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wheel
braking
automobi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955A (ko
Inventor
손정률
Original Assignee
손정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률 filed Critical 손정률
Priority to KR1020130019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218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0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03Vehicle mounted non-skid chains actuated by centrifugal force
    • B60B39/006Vehicle mounted non-skid chains actuated by centrifugal force characterised by a control system for the actuation of the rotating chain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23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radial arms for supporting the ground engaging parts on th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261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 B60C27/0269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acting on the wheel, e.g. on the rim or wheel bo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2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having ground-engaging plate-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타이어와 체결되는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홀을 포함하는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바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홀 각각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 바디에 체결되는 제동 실린더; 및 상기 제동 실린더에 체결되고 상기 제동 실린더의 왕복 동작에 의해 상기 자동차의 제동 보조 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상기 프레임 홀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Sliding Prevention Apparatus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가 눈길이나 빗길에서의 제동시 또는 눈길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제동 거리를 짧아지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눈길이나 빗길에서의 제동시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며, 이때 제동장치가 잠금상태가 되어 조향능력을 상실하게 되므로 많은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눈길에서 자동차 타이어에 미끄럼이 발생하여 자동차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제동장치의 하나로서 ABS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는데, 이러한 ABS는 제동시에 조향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는 있으나 제동거리가 짧아지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눈길이나 빗길 등에서의 제동시 ABS는 그리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실정이므로, 눈길이나 빗길 등에서의 제동시 제동거리를 짧아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한편, 눈길에서 타이어에 미끄럼이 발생하여 자동차가 전진 또는 후진 할 수 없을 때, 자동차 타이어를 보조하여 눈길에서 미끄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눈길이나 빗길 등에서의 제동시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제동거리를 짧아지도록 하는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타이어와 체결되는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홀을 포함하는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바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홀 각각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 바디에 체결되는 제동 실린더; 및 상기 제동 실린더에 체결되고 상기 제동 실린더의 왕복 동작에 의해 상기 자동차의 제동 보조 또는 미끄럼방지를 위해 상기 프레임 홀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바디는 정중앙에 상기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를 상기 자동차 타이어와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 휠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 휠은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 휠과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휠을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체결부 각각은 뚫린 홀(hole)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 휠,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휠 및 타이어 결합 휠을 동시에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결 휠은 상기 프레임 바디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타이어와 체결되는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홀을 포함하는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바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홀 각각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 바디에 체결되는 제동 실린더; 상기 제동 실린더의 왕복 동작에 의해 상기 자동차의 제동 보조 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상기 프레임 홀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한 돌기 바디; 및 상기 돌기 바디와 상기 제동 실린더를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제동 실린더는 자동차 내부에 있는 사용자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에 제어 신호를 받아 동작한다.
또는, 상기 제동 실린더는 자동차 내부에 위치한 제동 감지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며, 상기 제동 감지 센서는 특정 시간 동안의 미리 결정된 제동 거리가 입력되어 있어, 제동 시에 상기 미리 결정된 제동 거리를 지나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제동 실린더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에 의하면, 눈길이나 빗길 등에서의 제동시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제동거리를 짧아지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에 의하면, 눈길에서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타이어 셋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B-B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C-C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타이어 셋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자동차 타이어 셋(10)은 자동차 타이어(200),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100) 및 타이어 결합 휠(300)을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100)는 상기 자동차 타이어(200)에 도 1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결합되며, 도 1에서는 휠 형태의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예컨대, 다각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자동자 미끄럼방지장치(100)는 미리 결정된 간격의 복수개의 프레임 홀(1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100)에 대해서는 도 2에 단면도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타이어 결합 휠(300)은 상기 자동차 타이어(200)의 휠과 결합하며, 상기 타이어 결합 휠(300)의 제1 체결부(310)와 상기 자동차 타이어(200)의 휠에 위치한 제2 체결부(210)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나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체결부(220)는 제1 체결부(310)아 나사를 통해 체결되지 않고 있으나, 반드시 제3 체결부(220)가 제1 체결부(310)와 체결되지 않는 것은 아니고, 도 1처럼 제1 체결부(310)가 제2 체결부(210)와 체결될 때에는 제3 체결부(220)는 제1 체결부(310)와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제1 체결부(310)가 제2 체결부(210)와 체결되지 않을 때에는 제3 체결부(220)는 제1 체결부(310)와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이유는 제2 체결부(210)와 제3 체결부(220)가 교번적으로 위치하고 있고,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제1 체결부(310)의 개수가 제2 체결부(210)와 제3 체결부(220)를 합한 개수보다 작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100)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100)는 원형의 휠 형태이며, 외부 프레임(150)과 프레임 홀(11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100)는 상기 외부 프레임(150)을 지지하는 프레임 바디(140)를 포함한다.
도 2와 같이, 상기 프레임 홀(110)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 바디(140)에 체결되며 돌출되는 돌기를 가지는 제동 실린더(130)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동 실린더(130)는 자동차 제동을 보조하고자 할 때 상기 프레임 홀(110) 외부로 돌출되어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자동차 제동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눈길에서 자동차 타이어가 미끄러질 때, 상기 프레임 홀(110) 외부로 돌출되어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눈길에서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동 실린더(130)는 실린더와 같이 왕복 피스톤 반복 운동을 통해 돌기가 상기 프레임 홀(1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100)의 중앙의 체결 휠(120)에는 제4 체결부(121) 및 제5 체결부(122)가 원형의 형태로 교번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4 체결부(121) 또는 제5 체결부(122)는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210) 또는 제3 체결부(220)와 나사를 통해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제2 체결부(210) 및 제3 체결부(220)와 유사하게, 제1 체결부(310)가 제4 체결부(121)와 체결될 때에는 제5 체결부(122)는 제1 체결부(310)와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제1 체결부(310)가 제4 체결부(121)와 체결되지 않을 때에는 제5 체결부(122)는 제1 체결부(310)와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제4 체결부(121) 또는 제5 체결부(122)는 뚫린 홀(hole)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 휠(120),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휠 및 타이어 결합 휠(300)을 동시에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100)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5은 도 4의 B-B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100)는 원형의 휠 형태이며, 외부 프레임(150)과 프레임 홀(11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100)는 상기 외부 프레임(150)을 지지하는 프레임 바디(140)를 포함한다.
도 4와 같이, 상기 프레임 홀(110)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 바디(140)에 체결되며 돌출되는 돌기를 가지는 제동 실린더(130)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동 실린더(130)는 자동차 제동을 보조하고자 할 때 상기 프레임 홀(110) 외부로 돌출되어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자동차 제동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눈길에서 자동차 타이어가 미끄러질 때, 상기 프레임 홀(110) 외부로 돌출되어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눈길에서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동 실린더(130)는 실린더와 같이 왕복 피스톤 반복 운동을 통해 돌기가 상기 프레임 홀(1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100)의 중앙의 체결 휠(120)에는 제5 체결부(122)가 원형의 형태로 위치하며, 상기 제5 체결부(122)는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210) 또는 제3 체결부(220)와 나사를 통해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중앙의 체결 휠(120)에는 제5 체결부(122)가 제1 체결부(310)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제5 체결부(122)는 상기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 휠(120) 및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휠을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체결 휠(120)은 프레임 바디(14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휠(120)이 프레임 바디(140)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체결 휠(120)이 자동차 타이어(200)의 내부로 보다 많이 삽입될 수 있고, 나사 결합되는 부분이 늘어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자동차 타이어와 결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100)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7은 도 6의 C-C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100)는 원형의 휠 형태이며, 외부 프레임(150)과 프레임 홀(11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100)는 상기 외부 프레임(150)을 지지하는 프레임 바디(140)를 포함한다.
도 4와 같이, 상기 프레임 홀(110)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 바디(140)에 체결되며 돌기 바디(170)를 스프링(160)을 통해 결합하는 제동 실린더(130)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160)은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에 돌기(171) 및 돌기 바디(170)의 과도한 파손을 방지하고, 과도한 제동을 통한 예기치 않은 문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돌기 바디(171)는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171)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171)는 자동차 제동을 보조하고자 할 때 상기 프레임 홀(110) 외부로 돌출되어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자동차 제동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눈길에서 자동차 타이어가 미끄러질 때, 상기 프레임 홀(110) 외부로 돌출되어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눈길에서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동 실린더(130)는 실린더와 같이 왕복 피스톤 반복 운동을 통해 상기 돌기(171)가 상기 프레임 홀(1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100)의 중앙의 체결 휠(120)에는 제5 체결부(122)가 원형의 형태로 위치하며, 상기 제5 체결부(122)는 제1 체결부(310) 및 제2 체결부(210) 또는 제3 체결부(220)와 나사를 통해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처럼 중앙의 체결 휠(120)에는 제5 체결부(122)가 제1 체결부(310)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5 체결부(122)는 상기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 휠(120) 및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휠을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체결 휠(120)은 프레임 바디(14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휠(120)이 프레임 바디(140)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체결 휠(120)이 자동차 타이어(200)의 내부로 보다 많이 삽입될 수 있고, 나사 결합되는 부분이 늘어날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자동차 타이어와 결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제1 체결부(310) 내지 제5 체결부(122)의 개수는 도면들에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의 변형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개수의 변형이 허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동 실린더(130)의 동작은 자동차 내부에 있는 사용자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 신호를 받아 수동 동작할 수 있으며, 또한 자동차에 포함되는 제동 감지 센서(미도시)의 센싱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동 감지 센서(미도시)는 특정 시간 동안의 미리 결정된 제동 거리가 입력되어 있어, 제동 시에 상기 미리 결정된 제동 거리를 지나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제동 실린더(13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자동차 타이어 셋
100: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110: 프레임 홀
120: 체결 휠
121: 제4 체결부
122: 제5 체결부
130: 제동 실린더
140: 프레임 바디
150: 외부 프레임
160: 스프링
170: 돌기 바디
171: 돌기
200: 자동차 타이어
210: 제2 체결부
220: 제3 체결부
300: 타이어 결합 휠
310: 제1 체결부

Claims (11)

  1. 자동차 타이어와 체결되는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홀을 포함하는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바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홀 각각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 바디에 체결되는 제동 실린더; 및
    상기 제동 실린더에 체결되고 상기 제동 실린더의 왕복 동작에 의해 상기 자동차의 제동 보조 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상기 프레임 홀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는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내측에 체결되고,
    상기 프레임 바디는,
    정중앙에 상기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를 상기 자동차 타이어와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 휠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휠은 상기 프레임 바디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휠 중심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휠은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 휠과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휠을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부 각각은
    뚫린 홀(hole)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 휠,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휠 및 타이어 결합 휠을 동시에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5. 삭제
  6. 자동차 타이어와 체결되는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홀을 포함하는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바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홀 각각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 바디에 체결되는 제동 실린더;
    상기 제동 실린더의 왕복 동작에 의해 상기 자동차의 제동 보조 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상기 프레임 홀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한 돌기 바디; 및
    상기 돌기 바디와 상기 제동 실린더를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는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내측에 체결되고,
    상기 프레임 바디는,
    정중앙에 상기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를 상기 자동차 타이어와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 휠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휠은 상기 프레임 바디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휠 중심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휠은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 휠과 상기 자동차 타이어의 휠을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9. 삭제
  10.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실린더는
    자동차 내부에 있는 사용자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에 제어 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11.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실린더는
    자동차 내부에 위치한 제동 감지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며,
    상기 제동 감지 센서는
    특정 시간 동안의 미리 결정된 제동 거리가 입력되어 있어, 제동 시에 상기 미리 결정된 제동 거리를 지나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제동 실린더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KR1020130019787A 2013-02-25 2013-02-25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KR101532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787A KR101532218B1 (ko) 2013-02-25 2013-02-25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787A KR101532218B1 (ko) 2013-02-25 2013-02-25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955A KR20140105955A (ko) 2014-09-03
KR101532218B1 true KR101532218B1 (ko) 2015-06-30

Family

ID=5175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787A KR101532218B1 (ko) 2013-02-25 2013-02-25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723B1 (ko) * 2018-11-21 2019-03-19 김동철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470A (ko) * 2002-03-19 2003-09-26 송화석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KR101066440B1 (ko) * 2010-04-20 2011-09-21 김용화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470A (ko) * 2002-03-19 2003-09-26 송화석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KR101066440B1 (ko) * 2010-04-20 2011-09-21 김용화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955A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463B1 (ko) 자동차의 제동 보조 장치
KR101532218B1 (ko)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CN105799434A (zh) 汽车淤陷自救装置及自救方法
KR101557940B1 (ko) 스노우 체인
KR101858017B1 (ko) 차량용 스노우 체인
US20180229556A1 (en) Tire with retractable studs
KR101462787B1 (ko) 결속 및 분리가 가능한 차량용 스노우체인
CN105856987B (zh) 一种雪橇式车轮防滑陷卡板
US1403270A (en) Antiskid device
KR100930023B1 (ko) 스터드 홀 개량 스노우 타이어
US2433567A (en) Emergency tire chain for trucks
KR101181945B1 (ko) 타이어 밀림방지장치
JP3124113U (ja) タイヤ用滑止具
KR100648250B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101386580B1 (ko)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KR200344431Y1 (ko) 자동차바퀴용 스노우밴드
RU2604374C2 (ru) Блокиратор для сдвоенных колес
KR101812073B1 (ko) 차량용 스노우 체인
KR101702610B1 (ko) 이중결속 스노우체인
KR100534006B1 (ko) 자동차용 조립식 스노우 체인
US1668584A (en) Tool to facilitate mounting vehicle springs upon the vehicle chassis
KR200298066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US2596248A (en) Vehicle driving chain
US1474526A (en) Nonskid chain
KR101521865B1 (ko) 차량용 스노우체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