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5470A -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75470A KR20030075470A KR1020020014714A KR20020014714A KR20030075470A KR 20030075470 A KR20030075470 A KR 20030075470A KR 1020020014714 A KR1020020014714 A KR 1020020014714A KR 20020014714 A KR20020014714 A KR 20020014714A KR 20030075470 A KR20030075470 A KR 200300754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ing
- guide
- vehicle
- slider
- gea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23—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radial arms for supporting the ground engaging parts on the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4—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the ground-engaging part being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타이어휠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상기 타이어휠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원판상의 휠결합체와; 상기 휠결합체의 판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실린더와, 상기 각 가이드실린더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정역회전 가능한 가이드샤프트를 갖는 가이드유닛과;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나선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실린더를 따라 상기 타이어휠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 단부에 마련되는 접지용 스파이크를 갖는 미끄럼방지유닛과; 상기 휠결합체의 중앙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각 가이드샤프트를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차량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유닛과; 상기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어 구동제어유닛의 제어동작을 조작하는 조작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눈길이나 결빙노면 등에서 차량의 미끄러짐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고,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간단히 스위치를 조작하여 자동적으로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눈길이나 결빙노면 등에 상관없이 차량의 미끄러짐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고,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간단한 스위치의 조작으로 차량의 미끄럼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차량의 타이어는 눈길 등의 미끄러운 노면에서 접지력이 현격하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운전자들은 스노우타이어나 스노우체인 등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스노우타이어의 경우에는 눈길에서의 미끄럼방지에 한계가 있으며, 특히, 결빙된 눈길에서는 접지력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스노우체인의 경우 운전자가 차에서 내려 타이어에 일일이 장착하고 해체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눈길이나 결빙노면 등에서 차량의 미끄러짐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고,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스위치를 간단히 조작하여 차량의 미끄럼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가이드유닛 및 미끄럼방지유닛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2의 구동유닛 및 구동제어유닛 확대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미끄럼 방지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휠결합체 20 : 가이드유닛
21 : 가이드실린더 23 : 가이드샤프트
30 : 미끄럼방지유닛 31 : 슬라이더
33 : 스파이크 35 : 완충부재
40 : 구동유닛 41 : 피동기어
42 : 제1원동기어 43 : 제2원동기어
44 : 기어지지축 45 : 작동관체
47 : 복귀스프링 50 : 구동제어유닛
51 : 제1구동레버 53 : 제2구동레버
55 : 지지브래킷 57 : 제1솔레노이드
58 : 제2솔레노이드 59 : 연결케이블
52 : 조작스위치
상기 목적은 차량의 타이어휠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휠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원판상의 휠결합체와; 상기 휠결합체의 판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실린더와, 상기 각 가이드실린더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정역회전 가능한 가이드샤프트를 갖는 가이드유닛과;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나선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실린더를 따라 상기 타이어휠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 단부에 마련되는 접지용 스파이크를 갖는 미끄럼방지유닛과; 상기 휠결합체의 중앙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각 가이드샤프트를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차량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유닛과; 상기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어 구동제어유닛의 제어동작을 조작하는 조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휠결합체의 중앙영역을 향하는 상기 각 가이드실린더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각 가이드샤프트에 결합되는 복수의 피동기어와, 상기 휠결합체의 중앙에 비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기어지지축과, 상기 피동기어의 양측에서 상기 기어지지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제어유닛으로부터 각각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리는 제1 및 제2원동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원동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원동기어로 전달되는 상기 구동제어유닛의 구동력이 해재되면 상기 제1 및 제2원동기어를 상기 피동기어로부터 이격시키는 복귀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원동기어와 상기 기어지지축 사이에서 상기 구동제어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한 회동 캠작용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원동기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리도록 하는 작동관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제어유닛은 상기 기어지지축의 축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관체를 회동시키는 제1구동레버와, 상기 기어지지축의 축선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원동기어중 다른 하나를 캠작용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리도록 하는 제2구동레버와, 상기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구동레버를 각각 회동시키는 제1 및 제2솔레노이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파이크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영역에 마련되는 스파이크완충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실린더 사이영역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완충스프링을 갖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스파이크는 삼각요철형상을 가지며, 내측에 탄성체의 접지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가지고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1)는, 차량(도 7의 "2")의 타이어휠(도 7의 "5")에 결합되는 휠결합체(10)와, 휠결합체(10)의 판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유닛(20)과, 각 가이드유닛(20)에 결합되어 타이어휠(5)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미끄럼방지유닛(30)과, 미끄럼방지유닛(30)을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유닛(40)과, 구동유닛(4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유닛(50)을 포함한다.
휠결합체(10)는 타이어휠(5)에 거의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원판상으로 마련된다. 휠결합체(10)의 중앙영역에는 구동유닛(40)을 설치하기 위한 원형의 구동유닛설치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휠결합체(10)는 타이어휠(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차량(2)의 진행에 따라 회전하게된다. 여기서, 타이어휠(5)의 결합방법은 도 7과 같이, 휠결합체(10)와 타이어휠(5)을 볼트와 너트로 결합시키는 볼트체결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후크홈과 후크 등으로 결합시키는 맞물림결합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2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결합체(10)의 판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실린더(21)와, 각 가이드실린더(21)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정역 회전하는 가이드샤프트(23)로 구성된다.
각 가이드실린더(21)는 휠결합체(10)의 구동유닛설치구(15)의 연부로부터 휠결합체(10)의 외측 둘레연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 가이드실린더(21)는 휠결합체(10)의 외측을 향하는 외향 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구동유닛설치구(15)를 향하는 내향 단부가 차단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실린더(21)의 외향 단부에는 미끄럼방지유닛(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121)이 내향 돌출되어 있고, 내향 단부에는 가이드샤프트(23)와 후술할 피동기어(41)의 결합을 위한 샤프트공(125)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샤프트(23)는 가이드실린더(21)의 내측 길이보다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갖도록 제작된다. 이 가이드샤프트(23)는 가이드실린더(21)의 샤프트공(125)을 통과한 일측 단부가 구동유닛(40)의 피동기어(41)와 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 샤프트에는 외주면의 일영역으로부터 가이드실린더(21)의 외향 단부를 향하는 단부까지 수나사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부(123)는 미끄럼방지유닛(30)의 슬라이더(31)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나선체결된다.
미끄럼방지유닛(3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실린더(21)에 수용되어 휠결합체(10)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31)와, 슬라이더(31)의 외향 단부에 마련되는 노면접지용 스파이크(33)와, 스파이크(33)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35)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더(31)는 가이드실린더(21)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더본체(131)와, 슬라이더본체(131)의 내향 단부(휠결합체(10)의 구동유닛설치구(15)를 향하는 쪽)영역에 설치되어 가이드샤프트(23)에 나선 체결되는 샤프트결합부재(13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본체(131)의 외향 단부에는 스파이크(33)의 결합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볼트통과공(433)과, 스파이크걸림턱(431)이 내향 돌출되어 있는데, 이 스파이크걸림턱(431)은 후술할 스프링지지편(337)과 함께 스파이크(33)의 결합을 위한 삽입홈(432)을 형성한다. 그리고, 슬라이더본체(131)의 내향 단부영역의 내측면에는 샤프트결합부재(133)의 설치를 위한 가이드홈(43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가이드홈(435)은 샤프트결합부재(133)의 설치뿐만 아니라 후술할 제1슬라이더완충스프링(333)의 완충작용시 샤프트결합부재(133)의 완충구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슬라이더본체(131)의 내향 단부영역 외측면에는 슬라이더(3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실린더(21)의 걸림턱(121)에 대응하는 스토퍼(437)가 돌출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더본체(131)의 내부공간은 후술할 스파이크완충스프링(331)과 제1슬라이더완충스프링(333)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간 격벽(439)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샤프트결합부재(133)는 내경면이 가이드샤프트(23)의 수나사부(123)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로 형성되어 있는 나선결합체(531)와, 나선결합체(531)의 내향 단부영역(휠결합체(10)의 중앙영역을 향하는 쪽)에 형성된 지지편(533)을 갖는 부시형상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때, 지지편(533)의 각 모서리 영역에는 슬라이더본체(131)의 가이드홈(435)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535)가 마련된다. 이 샤프트결합부재(133)는 가이드샤프트(23)에 나선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샤프트(23)가 회전하면 슬라이더본체(131)를 가이드샤프트(23)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스파이크(33)는 슬라이더본체(131)의 외향 단부영역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결합부(231)와, 슬라이더결합부(231)의 외향 단부에 형성되어 노면에 접지되는 노면접지부(23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결합부(231)의 삽입단부에는 슬라이더본체(131)의 스파이크걸림턱(431)과 스프링지지편(337)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432)에 삽입되도록 삽입돌기(53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결합부(231)에는 장공상의 볼트공(53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노면접지부(233)는 삼각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과도한 노면접지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 재질의 접지부재(235)가 삽입되어 있다.
이 스파이크(33)는 슬라이더본체(131)의 외향 단부에 형성된 볼트통과공(433)과 슬라이더결합부(231)의 볼트공(539), 그리고, 슬라이더본체(131)의 외향 단부에 결합되는 스파이크이탈방지편(137)의 볼트통과공(139)으로 삽입된 스파이크결합볼트(236)에 의해 완충작용 가능하게 슬라이더(31)에 결합된다. 이러한, 스파이크(33)는 마모시 교환이 가능하다.
완충부재(35)는 스파이크(33)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충시키는 스파이크완충스프링(331)과, 스파이크(33)로부터 슬라이더(31)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충시키는 제1 및 제2슬라이더완충스프링(333,335)을 갖는다.
스파이크완충스프링(331)은 슬라이더본체(131)의 외향측 수용공간 내에서 가이드샤프트(23)를 둘러싸도록 수용되어 스파이크(33)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 스파이크완충스프링(331)의 상단부에는 스파이크(33)를 지지함과 동시에 스파이크완충스프링(33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프링지지편(337)이 마련되어 있다.
제1슬라이더완충스프링(333)은 슬라이더본체(131)의 내향측 수용공간(중간격벽(439)과 샤프트결합부재(133)사이) 내에서 가이드샤프트(23)를 둘러싸도록 수용된다. 이 제1슬라이더완충스프링(333)은 스파이크완충스프링(331)에서 감쇠되지 않고 슬라이더(31)로 전달되는 충격을 1차적으로 완충시킨다. 즉, 스파이크완충스프링(331)에서 감당하지 못한 스파이크(33)의 접지력이 슬라이더(31)로 전달되면서 슬라이드가 내향측으로 밀리면 제1슬라이드완충스프링(333)이 슬라이더본체(131)의 중간 격벽(439)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충격을 감쇠시키는 것이다. 이때, 슬라이더본체(131)의 완충작용 구간은 슬라이더본체(131)의 내향측 단부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435)의 길이구간에 해당한다.
제2슬라이더완충스프링(335)은 슬라이더(31)와 가이드실린더(21) 사이영역에서 가이드샤프트(23)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이 제2슬라이더완충스프링(335)은 스파이크완충스프링(331)과 제1슬라이더완충스프링(333)에서 감쇠되지 않은 나머지 잔류 충격 및 진동을 완충시킨다.
구동유닛(4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샤프트(23)에 결합되는 피동기어(41)와, 피동기어(41)의 양측에 각각 비회전 상태로 배치되어 피동기어(41)에 맞물림 및 맞물림해제 되는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와, 휠결합체(10)의 회전축선을 형성하며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를 비회전상태로 지지하는 기어지지축(44)과,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와 기어지지축(44)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원동기어(42)와 제2원동기어(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어지지축(44)의 축선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작동관체(45)와,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를 피동기어(41)로부터 맞물림해제 위치로 탄성 이격시키는 복귀스프링(47)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동기어(41)는 베벨기어로 마련되어 가이드샤프트(23)에 결합된다. 이 피동기어(41)는 기어지지축(44)의 축선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샤프트(23)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 중 어느 하나에 맞물린 상태에서 차량(2)의 진행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샤프트(23)가 회전하면서 슬라이더(31)가 휠결합체(10)의 반경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된다.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는 피동기어(41)와 마찬가지로 베벨기어로 마련된다. 이들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의 둘레연부에는 피동기어(41)의 기어잇에 대응하는 기어잇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기어지지축(44)이 통과하는 축통과부(141a,141b)가 부시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축통과부(141a,141b)의 양측에는 축선방향을 따라 장공상의 축결합공(143a,14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통과부(141a,141b)의 내경면에는 부분 나선상의 캠프로파일홈(145a,145b)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통과부(141a,141b)에 인접한 영역에는 후술할 복귀스프링(47)의 결합을 위한 스프링삽입공(147a,147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는 피동기어(41)를 사이에 두고 기어잇이 상호 대향하게 위치하도록 기어지지축(44)에 결합된다. 이때, 각 원동기어(42,43)의 축통과부(141a,141b)에 형성되어 있는 캠프로파일홈(145a,145b)은 나선방향의 상호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
기어지지축(44)은 휠결합체(10)의 구동유닛설치구(15) 중앙에 비회전되도록설치되는데, 이는 기어지지축(44)의 일단부가 일측면에 결합되는 회전디스크(11)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후술할 구동제어유닛(50)은 지지브래킷(55)에 고정됨으로써 가능하다. 이때, 기어지지축(44)의 일단부와 회전디스크(11) 사이에는 구름베어링(13)이 개재된다. 그리고, 이 기어지지축(44)의 외주면에는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가 비회전 결합되기 위한 핀삽입공(241)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어지지축(44)의 타단부에는 후술할 제1 및 제2레버와 지지브래킷(55)의 이탈방지를 위한 C링결합홈(243)과 지지브래킷(55)의 회전방지돌기에 대응하는 고정홈(245)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관체(45)는 기어지지축(44)과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개재된다. 이 작동관체(45)의 일단부에는 제1원동기어(42)의 캠프로파일홈(145a)에 대응하는 캠프로파일돌기(343)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후술할 제1구동레버(51)의 작용돌기(155)가 삽입되는 작용홈(3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작동관체(45)의 중간영역에는 외주면 둘레방향을 따라 장공상으로 한 쌍의 핀통과공(345)이 형성되어 있다.
복귀스프링(47)은 제1원동기어(42)와 제2원동기어(43) 사이에서 각 원동기어(42,43)의 축통과부(141a,141b)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를 피동기어(41)로부터 탄성 이격시킨다. 이 복귀스프링(47)의 양단부는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의 스프링삽입공(147a,147b)에 삽입된다.
이들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와, 기어지지축(44), 작동관체(45), 복귀스프링(47)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를 피동기어(41)의 양측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작동관체(45)를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의 축통과공에 삽입한다. 이때, 복귀스프링(47)은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 사이에 미리 개재시킨다. 그런 다음, 기어지지축(44)을 작동관체(45)에 삽입하고 결합핀(49)을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의 축결합공(143a,143b)과 작동관체(45)의 핀통과공(345)과 기어지지축(44)의 핀삽입공(241)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작동관체(45)는 핀통과공(345) 길이에 대응하는 범위 에서 기어지지축(4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는 축결합공(143a,143b) 길이에 대응하는 범위에서 기어지지축(44)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렇게 조립된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와, 기어지지축(44), 작동관체(45), 복귀스프링(47)은 기어지지축(44)과 작동관체(45)의 말단부에 구동제어유닛(50)의 제1 및 제2구동레버(51,53)와 지지브래킷(55)을 결합한 다음 C링(240)을 기어지지축(44)의 C링결합홈(243)에 결합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는 복귀스프링(47)의 반발력에 의해 피동기어(41)로부터 이격된다.
구동제어유닛(5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40)의 작동관체(45)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레버(51)와, 제2원동기어(43)를 피동기어(41)측으로 가압하는 제2구동레버(53)와, 기어지지축(44)의 비회전되도록 고정지지하는 지지브래킷(55)과, 제1구동레버(51) 및 제2구동레버(53)를 각각 회동시키는 한 쌍의 제1 및 제2솔레노이드(57,58)와, 제1 및 제2구동레버(51,53)와 양 솔레노이드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케이블(59)과, 양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조작하는조작스위치(52)로 구성된다.
제1구동레버(51)는 기어지지축(44)의 말단부에 끼워지는 삽입링부(151)와, 삽입링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레버부(153)를 가지고 있다. 삽입링부(151)의 내측에는 작동관체(45)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작용홈(341)에 맞물리는 작용돌기(15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부(153)에는 연결케이블(59)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5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구동레버(51)는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어 작동관체(45)를 회동시킨다.
제2구동레버(53)는 작동관체(45)의 말단부 영역에 끼워지는 끼움링부(251)와, 끼움링부(251)로부터 제2원동기어(43)의 축통과부(41b) 측으로 돌출된 캠프로파일돌기(253)와, 끼움링부(251)로부터 외향 연장된 회동레버부(255)를 갖는다. 이 회동레버부(255)에도 연결케이블(59)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5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구동레버(53)는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어 제2원동기어(43)를 피동기어(41)측으로 가압한다.
지지브래킷(55)은 기어지지축(44)의 말단부에 끼워지는 고정링부(351)와, 고정링부(351)로부터 외향 연장된 지지부(353)를 갖는다. 고정링부(351)의 내측에는 기어지지축(44)의 말단부에 형성된 고정홈(245)에 맞물리는 축고정돌기(35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353)에는 제1 및 제2구동레버(51,53)로부터 솔레노이드를 향하는 양 연결케이블(59)을 지지하는 케이블지지홈(35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솔레노이드(57,58)는 타이어휠(5)에 인접한 차체(도 7의 "3")의 일영역에 설치된다. 이들 제1 및 제2솔레노이드(57,58)는 전원공급에 의해 구동하여 연결케이블(59)을 당기거나 당김 해제 함으로써, 제1 및 제2구동레버(51,53)를 회동시키거나 회동해제시킨다.
조작스위치(52)는 차량(2)의 내부에서 운전석과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이 조작스위치(52)는 양 솔레노이드로 전달되는 전원공급을 단속하여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1)의 작동을 도 3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겨울철에 본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1)를 차량(2)의 타이어휠(5)에 결합한 상태에서 차량(2)을 운행할 때에는, 도 3과 같이, 구동유닛(40)의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가 피동기어(4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스파이크(33)의 위치는 도 8a와 같이, 타이어(6)의 둘레를 벗어나지 않는 위치를 유지한다. 그리고, 작동관체(45)의 캠프로파일돌기(343)와 제2구동레버(53)의 캠프로파일돌기(253)는 각각 제1 및 제2원동기어(42,43)의 캠프로파일홈(145a,145b)에 부분적으로 접한다.
이러한 상태로 차량(2)을 운행하다가 눈길을 만나게 되면 운전자는 차량(2) 내부에서 조작스위치(52)를 조작하여 제1솔레노이드(57)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제1솔레노이드(57)의 구동력이 연결케이블(59)을 당겨서 제1구동레버(51)를 회동시킨게 된다. 제1구동레버(51)가 회동되면 작동관체(45)가 기어지지축(44)에 대해 회동하면서 작동관체(45)의 캠프로파일돌기(343)가 제1원동기어(42)의 캠프로파일홈(145a)을 따라 회동한다. 이에 의해, 제1원동기어(42)는 도 6과 같이, 피동기어(41)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제1원동기어(42)와 피동기어(41)가 맞물린 상태에서 차량(2)을 진행시키면 타이어휠(5)의 회전에 따라 휠결합체(10)가 회전하면서 각 피동기어(41)들이 비회전하는 제1원동기어(42)에 맞물림회전한다. 그러면, 가이드샤프트(23)가 정회전함과 동시에, 가이드샤프트(23)에 나선체결된 슬라이더(31)가 도 6과 같이, 타이어휠(5)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파이크(33)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6)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스파이크(33)가 돌출되면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이 해제되면서 복귀스프링(47)의 반발력에 의해 제1원동기어(42)는 도 3과 같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차량(2)을 운행하면 눈길 등 미끄러운 노면에서 차량(2)이 미끄러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눈길 등의 미끄러운 노면을 벗어나서 스파이크(33)를 원위치로 철회할 때는 운전자가 차량(2) 내부에서 조작스위치(52)를 조작하여 제2솔레노이드(58)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제2솔레노이드(58)의 구동력이 연결케이블(59)을 당겨서 제2구동레버(53)를 회동시킨게 된다. 제2구동레버(53)가 회동되면 제2구동레버(53)의 캠프로파일돌기(253)가 제2원동기어(43)의 캠프로파일홈(145b)을 따라 회동한다. 이에 의해, 제2원동기어(43)는 도 7과 같이, 피동기어(41)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제2원동기어(43)와 피동기어(41)가 맞물린 상태에서 차량(2)을 진행시키면 타이어휠(5)의 회전에 따라 휠결합체(10)가 회전하면서 각 피동기어(41)들이 비회전하는 제2원동기어(43)에 맞물림 회전한다. 그러면, 가이드샤프트(23)가 역회전함과 동시에, 가이드샤프트(23)에 나선체결된 슬라이더(31)가 도 7과 같이,타이어휠(5)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스파이크(33)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6)의 외측으로부터 복귀한다. 그리고, 스파이크(33)가 복귀되면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이 해제되면서 복귀스프링(47)의 반발력에 의해 제2원동기어(43)는 도 3과 같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미끄럼방지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간편하게 스위치조작만으로 타이어 외측으로 스파이크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눈길이나 모래밭 등의 미끄러운 노면을 간단하게 벗어날 수 있다.
특히, 눈이 많이 오는 겨울철에는 운전자가 추운 외부에서 스노우체인을 타이어에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차량운행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눈길이나 결빙노면 등에 상관없이 차량의 미끄러짐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고,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간단한 스위치 조작하여 자동적으로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 차량의 타이어휠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에 있어서,상기 타이어휠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원판상의 휠결합체와;상기 휠결합체의 판면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실린더와, 상기 각 가이드실린더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정역회전 가능한 가이드샤프트를 갖는 가이드유닛과;상기 가이드샤프트에 나선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실린더를 따라 상기 타이어휠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 단부에 마련되는 접지용 스파이크를 갖는 미끄럼방지유닛과;상기 휠결합체의 중앙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각 가이드샤프트를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유닛과;상기 차량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유닛과;상기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어 구동제어유닛의 제어동작을 조작하는 조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동유닛은상기 휠결합체의 중앙영역을 향하는 상기 각 가이드실린더의 일측 단부에서상기 각 가이드샤프트에 결합되는 복수의 피동기어와,상기 휠결합체의 중앙에 비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기어지지축과,상기 피동기어의 양측에서 상기 기어지지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제어유닛으로부터 각각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리는 제1 및 제2원동기어와,상기 제1 및 제2원동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원동기어로 전달되는 상기 구동제어유닛의 구동력이 해재되면 상기 제1 및 제2원동기어를 상기 피동기어로부터 이격시키는 복귀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원동기어와 상기 기어지지축 사이에서 상기 구동제어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한 회동 캠작용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원동기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리도록 하는 작동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구동제어유닛은상기 기어지지축의 축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관체를 회동시키는 제1구동레버와,상기 기어지지축의 축선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원동기어중 다른 하나를 캠작용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리도록 하는 제2구동레버와,상기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구동레버를 각각 회동시키는 제1 및 제2솔레노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스파이크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영역에 마련되는 스파이크완충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실린더 사이영역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완충스프링을 갖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스파이크는 삼각요철형상을 가지며, 내측에 탄성체의 접지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4714A KR100511602B1 (ko) | 2002-03-19 | 2002-03-19 |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4714A KR100511602B1 (ko) | 2002-03-19 | 2002-03-19 |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5470A true KR20030075470A (ko) | 2003-09-26 |
KR100511602B1 KR100511602B1 (ko) | 2005-08-31 |
Family
ID=3222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14714A KR100511602B1 (ko) | 2002-03-19 | 2002-03-19 |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11602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0339B1 (ko) * | 2005-01-14 | 2007-03-15 | 병 태 곽 |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
KR101219362B1 (ko) * | 2011-03-09 | 2013-01-09 | 한수호 |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
KR101316844B1 (ko) * | 2007-12-13 | 2013-10-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험로탈출장치 |
KR101423041B1 (ko) * | 2013-03-28 | 2014-07-25 | 손양달 | 자동차바퀴 부착용 미끄럼방지장치 |
WO2015030515A1 (ko) * | 2013-08-29 | 2015-03-05 | 주식회사 바로그생각 | 미끄럼 방지 타이어 |
KR101532218B1 (ko) * | 2013-02-25 | 2015-06-30 | 손정률 |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
WO2017042687A1 (en) * | 2016-07-05 | 2017-03-16 | Universidad Tecnológica De Panamá | Anti-skid device for vehicle wheels |
KR101896190B1 (ko) * | 2017-08-30 | 2018-09-07 | 이문수 | 자동차 바퀴 미끄럼 방지장치 |
KR20220069167A (ko) * | 2020-11-19 | 2022-05-27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비공기입 타이어 |
CN115382136A (zh) * | 2022-08-16 | 2022-11-25 | 杭州申弘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自主脱离打滑作业区域的消防搜救车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1473B1 (ko) | 2013-02-27 | 2014-08-20 | 주식회사 에스엠모터스 | 차량용 휠 부착 미끄럼방지장치 |
KR101662314B1 (ko) * | 2015-05-30 | 2016-10-10 | 김하얀 | 자동차용 무선 미끄럼 방지장치 |
KR20170073841A (ko) * | 2015-12-20 | 2017-06-29 | 김대희 | 자동차 타이어 장착되는 전자동 스노우체인 |
KR102673709B1 (ko) * | 2022-03-02 | 2024-06-10 |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63202U (ko) * | 1986-10-15 | 1988-04-26 | ||
KR970057345U (ko) * | 1996-04-15 | 1997-11-10 | 송영기 | 차량의 이상노면 주행시 보조장치 |
KR100276614B1 (ko) * | 1997-11-14 | 2001-01-15 | 정몽규 | 차량의 빙판길 주행용 보조장치 |
KR200233374Y1 (ko) * | 2001-03-20 | 2001-10-08 | 류근원 | 빙판길 주행용 보조장치 |
KR200270816Y1 (ko) * | 2002-01-21 | 2002-04-06 | 이관민 | 자동차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
-
2002
- 2002-03-19 KR KR10-2002-0014714A patent/KR10051160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0339B1 (ko) * | 2005-01-14 | 2007-03-15 | 병 태 곽 |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
KR101316844B1 (ko) * | 2007-12-13 | 2013-10-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험로탈출장치 |
KR101219362B1 (ko) * | 2011-03-09 | 2013-01-09 | 한수호 |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
KR101532218B1 (ko) * | 2013-02-25 | 2015-06-30 | 손정률 |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
KR101423041B1 (ko) * | 2013-03-28 | 2014-07-25 | 손양달 | 자동차바퀴 부착용 미끄럼방지장치 |
WO2015030515A1 (ko) * | 2013-08-29 | 2015-03-05 | 주식회사 바로그생각 | 미끄럼 방지 타이어 |
WO2017042687A1 (en) * | 2016-07-05 | 2017-03-16 | Universidad Tecnológica De Panamá | Anti-skid device for vehicle wheels |
KR101896190B1 (ko) * | 2017-08-30 | 2018-09-07 | 이문수 | 자동차 바퀴 미끄럼 방지장치 |
KR20220069167A (ko) * | 2020-11-19 | 2022-05-27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비공기입 타이어 |
CN115382136A (zh) * | 2022-08-16 | 2022-11-25 | 杭州申弘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自主脱离打滑作业区域的消防搜救车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11602B1 (ko) | 2005-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11602B1 (ko) |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 |
US7174935B2 (en) | Automatic safety tire device | |
US5524725A (en) | Automatic chain tension adjustor | |
US5540267A (en) | Traction device for wheeled vehicles | |
CA2881174C (en) | Ice adaptive tire system | |
EA014032B1 (ru) | Средство натяжения для устройств противоскольжения и улучшения силы сцепления | |
CA3158340A1 (en) | Anti-skid device | |
WO2015164099A9 (en) | Tire traction devices | |
US6021860A (en) | Vehicle dislodging system | |
KR20010070555A (ko) | 스노우 체인 자동 착탈 장치 | |
KR200249301Y1 (ko) | 스노우 체인 자동 착탈 장치 | |
KR102689390B1 (ko) | 자동차 바퀴 미끄럼 방지장치 | |
US20100193263A1 (en) | Traction apparatus to improve winter operation of rubber tracks on endless track vehicles | |
KR200323574Y1 (ko) |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 |
US20030051966A1 (en) | Clutch assembly | |
KR100582717B1 (ko) | 타이어 체결용 미끄럼 방지구 | |
KR200336620Y1 (ko) | 자동차의 휠 미끄럼 방지 장치용 아암 | |
KR200386236Y1 (ko) | 타이어 미끄럼 방지구 | |
KR100648250B1 (ko) |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 |
KR200330284Y1 (ko) | 자동차용 휠의 미끄럼 방지 장치 | |
KR100568801B1 (ko) | 차량용 타이어 | |
KR920001824Y1 (ko) | 차륜 미끄럼 방지구 | |
KR20060010687A (ko) | 차량용 보조바퀴 | |
KR200389701Y1 (ko) | 미끄럼방지장치용 휠보호장치 | |
KR200353469Y1 (ko) | 자동 장착이 가능한 타이어 미끄럼 방지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17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