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339B1 -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339B1
KR100690339B1 KR1020050003760A KR20050003760A KR100690339B1 KR 100690339 B1 KR100690339 B1 KR 100690339B1 KR 1020050003760 A KR1020050003760 A KR 1020050003760A KR 20050003760 A KR20050003760 A KR 20050003760A KR 100690339 B1 KR100690339 B1 KR 10069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hole
disk
diamet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293A (ko
Inventor
병 태 곽
곽윤주
Original Assignee
병 태 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병 태 곽 filed Critical 병 태 곽
Priority to KR1020050003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33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connecting networks of the same frequency but supplied from different sources
    • H02J3/06Controlling transfer of power between connected networks; Controlling sharing of load between connected networ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 H05B3/746Protection, e.g. overheat cutoff, hot plate ind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04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containing clay, mud, fango, sand, kaolin clay, volcanic or other inorganic granular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2Ba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44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자동차 차축 단부의 디스크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고정수나사에 타이어와 더불어 장착되어 타이어와 동시에 회전하고 그 테두리부가 노면과 선택적으로 접하여 노면에 대한 타이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타이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타이어휠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판형 디스크프레임과; 상기 고정수나사를 통해 디스크프레임을 타이어휠의 외측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그 단부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며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전체적으로 링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디스크프레임의 외곽부에 설치되며 직경의 조절이 가능하고 필요시 직경을 확장하여 노면을 탄성 가압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편과; 상기 디스크프레임에 지지되며 디스크프레임과 미끄럼방지편을 연결하고 필요에 따라 미끄럼방지편의 직경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는, 타이어의 외측면에 장착된 상태로 그 직경을 확장하여 외주면이 노면을 탄성적으로 찍어누르도록 구성되어 미끄럼방지효과가 좋으며, 도로의 파손이나 소음공해를 야기하지 않고 승차감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직경을 줄이면 노면과 접하지 않으므로 원할 경우 평상시에도 타이어 측부에 장착해 놓을 수 있어 착탈에 따른 수고를 덜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Tire skid preven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가 자동차 타이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타이어에 대한 장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연결너트의 위치 조절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미끄럼방지편지지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다수의 미끄럼방지편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미끄럼방지장치 13:본체 15:미끄럼방지편 15a:본체부
15b:노면접촉부 15c:장공 15d:연장부 15e:연결구멍
21:디스크프레임 21a:프레임본체 21b:통과구멍 21c:파이프지지블록
21d:중앙구멍 21e:장공 21f:가이드레일 21g:암나사구멍
21h:측부장공 21k:레버지지대 21m:측부장공 21n:바닥판부
21p:측벽부 23:연결너트 25:거리조절부 25a:수나사막대
25b:너트부 25c:연결너트 25d:헤드부 25e:목부
27:조절디스크 27a:가이드장공 27b:키홀더 27d:관통구멍
27e:톱니 29:받침블록 29a:고정플렌지 29b:수직관통구멍
31:기어홀더 31a:기어지지면 31b:바닥부 31c:관통구멍
31d:샤프트통과구멍 31e:다각벽 33:미끄럼방지편지지구 33a:베벨기어
33b:길이조절샤프트 33c:하우징 33d:볼트 33e:스프링
33f:샤프트지지너트 33g:너트 35:삽입블록 35a:링형돌기
35b:지지면 35c:관통구멍 35d:기어가압면 37:직경조절기
37a:걸이구멍 37b:이(teeth) 39:디스크조절기 39a:헤드부
39b:토오크전달샤프트 39c:지지판 39d:키홈 41:키
43:고정수나사 45:연결너트 47:슬라이더 47a:수직돌기
47b:수용구 47c:가이드판 51:레버 53:스토퍼
55:커버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타이어 외측면에 장착되어 필요시 그 직경이 확장되어 노면에 대한 타이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타이어 미끄럼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눈길이나 빙판길과 같이 미끄러운 도로에서의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주행을 위해 여러 종류의 미끄럼방지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미끄럼방지장치는 자동차 타이어와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타이어에 감아 사용하는 체인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상기 체인은 미끄럼방지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특히 타이어에 체인을 설치하기가 번거로울 뿐 아니라 자체 내구성도 부족하다. 또한 체인과 노면과의 부딪침에 의해 도로가 쉽게 파손되고 소음이 심하며 승차감도 매우 떨어진다. 아울러 예컨대 빙판길을 주행하다 제설이 완료된 마른 길을 달려야 할 경우 체인을 풀지 않는 이상 체인으로 말미암아 속도를 낼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타이어의 외측면에 장착한 상태로 그 직경을 확장하여 외주면이 노면을 탄성적으로 찍어 누르도록 구성되어 미끄럼방지효과가 좋으며, 도로의 파손이나 소음공해를 야기하지 않고 승차감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직경을 줄이면 노면과 접하지 않으므로 원할 경우 평상시에도 타이어에 장착해 놓을 수 있어 착탈에 따른 수고를 덜 수 있는 타이어 미끄럼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차축 단부의 디스크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고정수나사에 타이어와 더불어 장착되어 타이어와 동시에 회전하고 그 테두리부가 노면과 선택적으로 접하여 노면에 대한 타이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타이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타이어휠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판형 디스크프레임과; 상기 고정수나사를 통해 디스크프레임을 타이어휠의 외측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그 단부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며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전체적으로 링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디스크프레임의 외곽부에 설치되며 직경의 조절이 가능하고 필요시 직경을 확장하여 노면을 탄성 가압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편과; 상기 디스크프레임에 지지되며 디스크프레임과 미끄럼방지편을 연결하고 필요에 따라 미끄럼방지편의 직경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프레임은; 소정두께의 원판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고정수나사를 각각 통과시키고 반지름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장공을 갖는 디스크형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테두리에 일체를 이루며 타이어의 반대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측벽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바닥판부의 중앙에 고정되되 바닥판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고 평평한 상면을 제공하는 받침블록과; 상기 받침블록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면에 접촉 고정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에 일체를 이루며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의 개수와 같은 개수의 평판으로 구성된 다각벽을 포함하고, 상기 다각벽에는 상기 측벽부의 구멍에 일대일 대응하는 샤프트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기어홀더와; 상기 다각벽의 내측영역에 장착되고 그 외측면에는 상기 다각벽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가압면을 구비한 삽입블록과; 상기 삽입블록의 가압면과 다각벽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베벨기어와; 상기 베벨기어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통과구멍을 통해 측벽부 외부로 연장되며 베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그 연장단부에 상기 미끄럼방지편을 단부가 겹쳐진 상태로 지지하는 볼트를 갖는 미끄럼방지편 지지구와, 상기 베벨기어의 상부에 위치하며 베벨기어에 치합하여 외부의 토오크를 베벨기어에 전달함으로써 베벨기어를 회전시키는 직경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삽입블록의 상면에는 일정높이 및 외경을 갖는 링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직경조절기는 상기 링형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부로부터 토오크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다수의 걸이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편지지구는; 상기 베벨기어의 회전중심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통과구멍을 통해 측벽부의 구멍측으로 연장되고 그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길이조절샤프트와, 상기 길이조절샤프트를 그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한 상태로 상기 측벽부의 구멍을 통과하되 구멍에 고정되고 그 연장단부에 상기 볼트를 갖는 파이프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길이조절샤프트에 나사결합하는 너트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너트를 베벨기어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수나사에 나사결합하는 파이프형태의 연결너트와, 상기 연결너트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수나사와 일직선을 이루고 그 자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바닥판부를 사이에 두고 장공을 통해 길이조절부의 단부에 고정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를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헤드부에 고정되며 수직돌기를 갖는 가이드판과,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가이드판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바닥판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 수직돌기를 그 내부에 수용하고 회전함에 따라 수직돌기를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키는 곡선형 가이드장공을 갖는 조절디스크와, 상기 조절디스크에 연결되며 외부에서 상기 조절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토오크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가 자동차 타이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11)는, 자동차(A)의 타이어(T) 바깥쪽면에 타이어와 평행하게 장착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장치(11)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타이어휠(도 3의 TW)을 디스크(도 3의 D)측으로 죄는 너트를 풀고 그 자리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타이어와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11)는, 원판형 본체(13)와, 상기 본체(13)의 외곽부에 다수개가 직렬 연결되어 링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본체(13)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편(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편(15)은 도 7에 도시한 형태를 취하며 다수 개가 일렬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링의 형태를 취한다.
특히 상기 미끄럼 방지장치(11)는 그 직경을 필요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면이 미끄러울 때에는 미끄럼방지편(15)을 외부로 확장하여 미끄럼방지편(15)의 노면프레스부(도 7의 15b)가 노면을 찍어누를 수 있게 하고 필요 없을 경우에는 직경을 축소하여 미끄럼방지편(15)이 노면에 접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같이 미끄럼 방지장치(11)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할 경우 평상시에도 미끄럼 방지장치(11)를 타이어에 장착해 놓을 수 있어 편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에서의 본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장치의 본체(13)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마치 원판형 트래이(tray)의 형태를 취하는 디스크프레임(21)과, 상기 디스크프레임(2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조절디스크(27)와, 받침블록(29)과, 상기 받침블록(29)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어홀더(31)와, 일단부가 상기 기어홀더(31)에 지지되며 상기 디스크프레임(21)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단부에 상기 미 끄럼방지편(15)이 설치되는 미끄럼방지편지지구(33)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프레임(21)은, 일정두께를 갖는 디스크형 바닥판부(21n)와, 상기 바닥판부(21n)의 테두리에 일체를 이루며 도면상 상부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측벽부(21p)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닥판부(21n)의 중앙부에는 일정직경의 구멍(21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21d)의 주변에는 네 개의 암나사구멍(21g)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암나사구멍(21g)은 상기 받침블록(29)을 바닥판부(21n)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29c)가 결합하는 구멍이다.
또한 상기 바닥판부에는 네 개의 장공(21e)도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21e)은 일정폭의 슬릿형 구멍으로서 바닥판부(21n)의 중심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장공(21e)은 거리조절부(25)의 단부를 디스크프레임(21)의 내부공간으로 도입하는 통로이다. 특히 상기 장공(21e)의 개수는 미끄럼 방지장치(11)를 적용할 자동차 차축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나사(도 3의 43) 개수와 같다. 예컨대 자동차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나사의 개수가 다섯 개 일 경우 상기 장공(21e)도 다섯 개이다.
상기 각 장공(21e)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21f)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1f)은 장공(21e)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후술할 슬라이더(도 4의 47)의 가이드판(47c) 양측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직선운동을 가이드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측벽부(21p)에는 다수의 타원구멍(2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원구멍(21b)은 타원형 관통구멍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모두 여덟 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타원구멍(21b)은 바닥판부(21n)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각 위치하며 미끄럼방지편지지구(33)의 하우징(33c)을 그 내부로 통과시킨다. 상기 타원구멍(21b)은 하우징(33c)을 수용한 상태로 고정시켜 하우징(33c)이 축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각 타원구멍(21b)의 외측부에는 하우징지지블록(21c)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지지블록(21c)은 측벽부(21p)의 외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33c)을 통과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21p)에는 하나의 측부장공(21h)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측부장공(21h)은 측벽부(21p)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일정폭의 슬릿으로서 후술할 레버(도 5의 51)를 통과시킨다.
상기 측부장공(21h)의 안쪽에는 레버지지대(21k)가 위치한다. 상기 레버지지대(21k)는 상기 레버(51)가 도 5의 화살표 x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의 회동운동을 위하여 핀결합하는 부위이다.
한편, 상기 디스크프레임(21)을 타이어(T)의 외측부에 장착하기 위한 기구로서 연결너트(23) 및 거리조절부(25)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너트(23)는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형 너트로서 차축 단부에 마련되는 디스크(도 3의 D) 외측면의 고정수나사(43)에 결합한다. 특히 상기 연결너트(23)의 길이는 상기 고정수나사(43)의 길이보다 길어 연결너트(23)가 고정수나사(43)에 완전히 결합하더라도 그 내부의 암나사산이 남는다.
상기 연결너트(23)의 남는 암나사산에는 거리조절부(25)의 수나사막대(25a) 가 나사 결합한다. 상기 거리조절부(25)는 타이어휠(TW)에 대한 디스크프레임(21)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간에 너트(25b)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수나사막대(25a)와, 일단이 상기 수나사막대(25a)에 나사 결합하며 타단부에는 디스크형 헤드부(25d)를 갖는 중공로드(25c)로 구성된다. 상기 중공로드(25c)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그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막대(25a)와 결합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중공로드(25c)에 대한 수나사막대(25a)의 나사 결합정도를 조절하여 타이어휠에 대한 미끄럼 방지장치(1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부(25d)는 상기 중공로드(25c)의 도면상 상단부에 나사 결합하는 원형머리 나사이다. 상기 거리조절부(25)를 디스크프레임(21)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중공로드(25c)와 헤드부(25d)를 분리한 상태로 상기 중공로드(25c)를 장공(21e)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헤드부(25d)가 상기 장공(21e)을 통해 중공로드(25c)에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헤드부(25d)와 중공로드(25c)의 간격이 상기 바닥판부(21n)의 두께와 대응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헤드부(25d) 하부에 위치하는 목부(25e)는 상기 장공(21e)에 접하여 가이드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프레임(21)에 장착되어 있는 거리조절부(25)는 디스크프레임(21)으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다.
상기와 같이 장공(21e)을 따라 헤드부(25d)를 직선 운동시키면 각각의 슬릿(21e)에 지지되어 있는 거리조절부(25)가 디스크프레임(21)의 반지름 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므로, 디스크(D)에 위치하는 고정수나사(43)의 간격이 차량마다 다 르다 하더라도 상기 거리조절부(25)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미끄럼방지장치(11)를 얼마든지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각 가이드레일(21f)의 사이에는 가이드판(47c)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판(47c)은 일정두께의 사각판으로서 그 양측부가 상기 가이드레일(21f)에 접하며 가이드레일(21f)이 정한 경로를 따라 직선 운동한다. 또한 각 가이드레일(21f)에는 수용구(47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용구(47b)는 외부로 개방된 구멍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목부(25e)를 수용 고정한다. 즉 상기 목부(25e)가 상기 수용구(47b)의 내부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헤드부(25d)와 가이드판(47c)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다수의 거리조절부(25)가 동시에 움직여 서로에 대해 진퇴운동 가능하도록 조절디스크(27)와 디스크조절기(39)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판(47c)의 상부에는 수직돌기(47a)가 고정된다. 상기 수직돌기(47a)는 가이드레일(21f)의 사이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후술할 가이드장공(27a)에 끼워진다.
상기 조절디스크(27)는 일정두께를 갖는 원판형 부재로서 그 외곽 테두리부에는 톱니(27e)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관통구멍(27d)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27d)은 후술할 토오크전달샤프트(39b)를 하향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으로서 그 내주면은 상기 받침블록(29)의 외주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블록(29)이 바닥판부(21n)에 결합하고 있는 이상 상기 조절디스크(27)의 회전중심은 흔들릴 염려가 없다.
상기 관통구멍(27d)의 외측에는 키홀더(27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키홀더(27b)는 사각봉 형태의 키(41)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것으로서 조절디스크(27)의 하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키(41)는 조절디스크(27)의 하부에서 상기 키홀더(27b)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조절디스크(27)에는 네 개의 가이드장공(27a)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장공(27a)의 개수는 상기 장공(21e)의 개수와 같아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장공(27a)은 중앙의 관통구멍(27d)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마치 송풍기 팬의 형상처럼 한쪽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장공(27a)은 반지름방향으로 진행함과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를 취한다. 가이드장공(27a)을 상기와 같이 형성한 것은 조절디스크(27)의 회전시 상기 헤드부(25d)가 직선형 장공(21e) 내부에서 도 5의 화살표 t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 할 수 있게 의도된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돌기(47a)가 직선형 장공(21e) 및 가이드장공(27a)에 동시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조절디스크(27)를 예를 들어 화살표 s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 상기 수직돌기(47a)를 화살표 t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절디스크(27)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디스크위치조절기(29)는, 상기 구멍(21d)의 중심에 수직으로 위치하며 그 상단부에 사각의 헤드부(39a)를 갖고 하단부에는 키홈(39d)을 구비하는 토오크전달샤프트(39b)와, 상기 토오크전달샤프트(39b)의 외주면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지지판(39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 지판(39c)은 토오크전달샤프트(39b)에 대해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시킨다.
상기 헤드부(39a)는 사용자가 렌치로 잡아 돌리는 부위이다. 즉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거리조절부(25)의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토오크를 입력하는 부위이다.
또한 상기 키홈(39d)은 상기 키(41)의 일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홈으로서 상기 키홀더(27b)와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키(41)의 양단부는 상기 키홈(39d) 및 키홀더(27b)에 끼워져 토오크전달샤프트(39b)와 조절디스크(27)를 연결시킨다.
특히 상기 지지판(39c)은 후술할 삽입블록(35)의 상면에 지지되어 바닥판부(21n)로부터 일정 높이에 수평 위치한다. 이는 상기 토오크전달샤프트(39b)가 바닥판부(21n)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함을 의미한다.
상기 지지판(39c)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받침블록(29)과 기어홀더(31)와 삽입블록(35)에 대해서를 후술된다.
여하튼 상기와 같이 토오크전달샤프트(39b)가 키(41)를 통해 조절디스크(27)에 연결되므로, 외부에서 상기 헤드부(39a)를 좌우로 회전시켜 상기 거리조절부(25)를 동시에 진퇴 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블록(29)은 중심축부에 수직관통구(29b)가 마련되어 있는 원통형 부재로서 고정나사(29c)를 통해 하단의 고정플렌지(29a)를 바닥판부(21n)에 고정시킴으로써 디스크프레임(21)에 장착된다. 상기 수직관통구(29b)는 상기 토오크전달샤프트(39b)가 하향 통과하는 통로이다.
상기 받침블록(29)의 상면은 평형하며 그 위에 기어홀더(31)를 지지한다. 상기 기어홀더(31)는, 상기 받침블록(29)의 상면에 밀착 고정하며 중앙에 관통구멍(31c)을 갖는 바닥부(31b)와, 상기 바닥부(31b)의 테두리에 일체를 이루며 상부로 연장되어 바닥부(31b)상에 공간을 제공하는 다각벽(31e)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구멍(31c)은 상기 토오크전달샤프트(39b)를 하향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아울러 상기 기어홀더(31)는 일반적인 결합용 나사나 리벳으로 받침블록(29)에 고정된다.
상기 다각벽(31e)은 도면상 상부로 연장되며 외측으로 벌어져 마치 다각형 접시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다각벽(31e)은 후술할 베벨기어(33a)를 소정 각도로 기울여 지지하는 지지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각벽(31e)은 8각형의 형태를 취하여 8개의 평평한 기어지지면(31a)을 제공한다. 상기 각 기어지지면(31a)은 상기 타원구멍(21b)을 향하며 타원구멍에 일대일 대응한다.
특히 상기 각 기어지지면(31a)에는 샤프트통과구멍(3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통과구멍(31d)은 미끄럼방지편지지구(33)의 일부 구성요소인 길이조절샤프트(33b)를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미끄럼방지편지지구(33)에 관한 설명을 먼저 하기로 한다. 상기 미끄럼방지편지지구(33)는 일단이 상기 베벨기어(33a)를 통해 기어홀더(31)에 걸린 상태로 타단부로 미끄럼방지편(도 7의 15)을 잡아 기어홀더(31)에 대한 미끄럼방지편(15)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미끄럼방지편지지구(33)의 길이는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결 국 미끄럼장지편지지구(33)의 길이를 조절하여 미끄럼방지편(15)이 이루는 직경을 필요에 맞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방지편지지구(33)는, 상기 각 기어지지면(3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벨기어(33a)와, 상기 베벨기어(33a)의 회전중심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통과구멍(31d)을 통해 타원구멍(21b)측으로 연장되고 그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길이조절샤프트(33b)와, 상기 길이조절샤프트(33b)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상기 타원구멍(21b)을 통과하는 하우징(33c)과, 상기 하우징(33c)의 연장단부에 고정되는 홀딩볼트(33d)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3c)은 타원형 단면을 갖는 파이프로서 상기 타원구멍(21b)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우징(33c)의 내부 양단에는 샤프트지지너트(33f)와 볼트지지너트(33g)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지지너트(33f)는 상기 길이조절샤프트(33b)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이고, 상기 볼트지지너트(33g)는 홀딩볼트(33d)에 결합하는 너트이다. 또한 상기 샤프트지지너트(33f)와 볼트지지너트(33g)의 사이에는 스프링(33e)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33e)은 압축스프링으로서 양측의 너트(33f,33g)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샤프트지지너트(33f)는 그 외주면이 타원의 형태를 취하여 하우징(33c)의 내주면에 면접하되 하우징(33c)에 대해 고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지지너트(33f)는 하우징(33b) 내에서 회전하지 않고 다만 하우징(33b)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홀딩볼트(33d)에 화살표 F방향의 힘을 가하 면 하우징(33c)이 베벨기어(33a)측으로 이동하여 미끄럼방지편지지구(33)의 길이가 전체적으로 짧아진다. 상기 가압력을 해제하면 스프링(33e)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33a)이 베벨기어(33a)로부터 멀어지며 미끄럼방지편지지구(33)의 길이가 늘어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기어홀더(31)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삽입블록(35)은 볼트나 기타 체결수단을 통해 기어홀더(31) 내부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상기 미끄럼방지편지지구(33)에 화살표 F 방향의 힘이 가해질 때 베벨기어(33a)가 기어홀더(31) 내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어홀더(31)의 중심축부에는 상기 토오크전달샤프트(39b)를 하향 통과시키는 관통구멍(35c)이 마련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기어가압면(35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가압면(35d)은 각각의 기어지지면(31a)에 일대일 대응하며 기어지지면(31a)과의 사이에 상기 베벨기어(33a)를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베벨기어(33a)는 기어지지면(31a)과 기어가압면(35d)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삽입블록(35)의 상면에는 링형돌기(35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형돌기(35a)는 상기 관통구멍(35c)을 그 중심에 갖는 링형돌기로서 그 외주면으로 직경조절기(37)의 지지내주면(37c)을 지지한다. 상기 링형돌기(35a)의 높이는 상기 지지내주면(37c)의 두께보다 높거나 같아야 한다. 또한 상기 링형돌기(35a)의 내측부에는 걸림턱(35m)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턱(35m)은 지지판(39c)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홈이다.
상기 삽입블록(35)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이나 아세탈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직경조절기(37)는 상기 삽입블록(35)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베벨기어(33a)를 축회전시켜, 미끄럼방지편지지구(33)의 길이를 조절하고 그에 따라 미끄럼방지편(15)이 이루는 원의 직경이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직경조절기(37)는, 마치 엎어진 컵의 형태를 취하며 그 중앙부에 상기 링형돌기(35a)를 상향 통과시키는 구멍을 가지고 외곽부 하단에는 상기 베벨기어(33a)에 치합하는 랙기어(37b)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직경조절기(37)는 상기 링형돌기(35a)에 지지되어 그 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다.
상기 랙기어(37b)는 각각의 베벨기어(33a) 상부에서 베벨기어(33a)에 치합한다. 따라서 직경조절기(37)를 회전시키면 이에 치합하고 있는 여덟 개의 베벨기어가 동시에 회전하고 각 미끄럼방지편지지구(33)의 길이가 동시에 조절된다.
상기 직경조절기(37)에 회전 토오크를 인가하기 위하여 직경조절기(37)의 측부에 다수의 걸이구멍(37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이구멍(37a)은 단순한 관통구멍으로서 예컨대 드라이버를 넣어서 돌릴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경조절기(37)를 회전시키는 전용 공구를 제작하여 사용함이 좋다.
도면부호 57은 와셔이다. 상기 와셔(57)는 링형돌기(35a)의 상면에 밀착 결합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걸림턱(35m)에 삽입되어 있는 지지판(39c)과, 길이조절기(37)를 하향 지지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타이어에 대한 장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11)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타이어휠(TW)을 디스크(D)에 압압하던 너트(미도시)를 고정수나사(43)로부터 분리하고 그 자리에 연결너트(23)의 일단부를 결합한다.
또한 상기 연결너트(23)의 결합이 완료된 후 연결너트(23)의 타단부에 거리조절부(25)를 나사 결합한다. 상기 거리조절부(25) 자체의 길이는 중공로드(25c)에 대한 수나사막대(25a)의 결합정도를 조절하여 변화시킬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같다.
아울러 상기 토오크전달샤프트(39a)를 축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장공(21e)에 지지되어 있는 헤드부(25d)를 화살표 p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평행 이동시켜 수나사막대(25a)가 고정수나사(43)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한다.
도 4는 상기 장공(21e)에 거리조절부(25)가 장착 지지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나란한 한 쌍의 가이드레일(21f) 사이에 슬라이더(47)가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끼워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47)의 가이드판(47c)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구(47b)에 상기 헤드부(25d)의 목부(25e)가 끼워진다. 상기한 바와같이 슬라이더(47)는 가이드레일(21f)에 양측부가 지지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하므로 상기 조절디스크(27)의 회전에 의해 헤드부(25d)의 위치가 조절 가능하다.
도 5는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 조절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 한 평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더의 수직돌기(47a)가 직선형 장공(21e) 및 가이드장공(27a)에 동시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토오크전달샤프트(39b)를 축회전시켜 조절디스크(27)를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수직돌기(47a)가 화살표 t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각각의 거리조절부(25)의 간격이 좁아진다. 상기 조절디스크(27)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거리조절부(25)의 간격이 넓어짐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조절디스크(27)가 화살표 s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막기 위하여 스토퍼(53) 및 레버(51)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53)는 디스크프레임(21)의 바닥면부(21n)에 핀으로 연결되며 별도의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화살표 k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부재이다. 상기 스토퍼(53)의 단부(53)는 톱니(27e)의 이 사이에 끼워져 조절디스크(27)가 화살표 s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레버(51)는 그 중간부위가 상기 레버지지대(21k)에 핀 연결되어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스토퍼(53)를 밀어 스토퍼(53)가 톱니(27e)로부터 벋어나게 한다.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미끄럼방지편지지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장치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각 미끄럼방지편(15)은, 다수의 노면프레스부(15b)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5a)와, 상기 본체부(15a)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연장된 연장부(15d)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끄럼방지편(15)은 노면에 직접 접하는 것으로서 내구성을 고려하여 강철로 제작함이 좋다.
상기 본체부(15a)에 형성되어 있는 노면프레스부(15b)는 2열로 배열되며 그 사이에 장공(15c)을 갖는다. 상기 노면프레스부(15b)는 지면을 찍어누르는 것으로서 원통의 형태를 취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15d)는 일정폭을 가지며 이웃하는 미끄럼방지편(15)의 본체부(15a)측으로 연장되어 본체부(15a)의 상면에 접한다. 상기 연장부(15d)의 단부에는 연결구멍(15e)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장공(15c)의 상부에 연결구멍(15e)을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홀딩볼트(33d)가 연결구멍(15e)과 장공(15c)을 차례로 통과하도록 한 후 하우징(33c)에 결합시키면, 미끄럼방지편지지구(33)에 대한 미끄럼방지편(17)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본체부(15a)에 형성된 장공(15c)이 미끄럼방지편(1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로 이웃하는 미끄럼방지편(15)은 겹쳐지는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상대 운동이 가능하다. 즉 미끄럼방지편(15)이 이루는 원호의 직경이 줄거나 늘어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기어홀더(31)의 내부에 삽입블록(35)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삽입블록(35)의 지지면(35d)과 기어홀더(31)의 기어지지면(31a)의 사이에 베벨기어(33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베벨기어(33a)의 회전중심축에 고정되어 있는 길이조절샤프트(33b)는 샤프트통과구멍(31d)을 통해 하향 연장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각 베벨기어(33a)의 상부에 직경조절기(37)가 설치되어 있으며, 직경조절기(37) 하단의 랙기어(37b)가 베벨기어(33a)에 치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직경조절기(37)를 회전시키면 베벨기어(33a)가 종동하고 그에 따라 상기 하우징(33c)이 미끄럼방지편(15)을 끌고 베벨기어(33a)측으로 근접하거나 반대방향으로 멀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판(39c)은 상기 걸림턱(35m)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직경조절기(37)와 함께 와셔(57)에 의해 하향 지지된다.
도면부호 55는 커버이다. 상기 커버(55)는 합성수지나 경금속으로 제작되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형 부재로서, 그 중앙부는 상기 직경조절기(37)의 외주면에 접하고 외곽부 단부는 상기 측벽부(21p)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커버(55)를 보다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나사 등을 적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는, 타이어의 외측면에 장착된 상태로 그 직경을 확장하여 외주면이 노면을 탄성적으로 찍어누르도록 구성되어 미끄럼방지효과가 좋으며, 도로의 파손이나 소음공해를 야기하지 않고 승차감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직경을 줄이면 노면과 접하지 않으므로 원할 경우 평상시에도 타이어 측부에 장착해 놓을 수 있어 착탈에 따른 수고를 덜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자동차 차축 단부의 디스크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고정수나사에 타이어와 더불어 장착되어 타이어와 동시에 회전하고 그 테두리부가 노면과 선택적으로 접하여 노면에 대한 타이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타이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타이어휠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판형 디스크프레임과;
    상기 고정수나사를 통해 디스크프레임을 타이어휠의 외측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그 단부가 부분적으로 겹쳐지며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전체적으로 링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디스크프레임의 외곽부에 설치되며 직경의 조절이 가능하고 필요시 직경을 확장하여 노면을 탄성 가압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편과;
    상기 디스크프레임에 지지되며 디스크프레임과 미끄럼방지편을 연결하고 필요에 따라 미끄럼방지편의 직경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프레임은;
    소정두께의 원판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고정수나사를 각각 통과시키고 반지름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장공을 갖는 디스크형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테두리에 일체를 이루며 타이어의 반대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측벽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바닥판부의 중앙에 고정되되 바닥판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고 평평한 상면을 제공하는 받침블록과;
    상기 받침블록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면에 접촉 고정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에 일체를 이루며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의 개수와 같은 개수의 평판으로 구성된 다각벽을 포함하고, 상기 다각벽에는 상기 측벽부의 구멍에 일대일 대응하는 샤프트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기어홀더와;
    상기 다각벽의 내측영역에 장착되고 그 외측면에는 상기 다각벽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가압면을 구비한 삽입블록과;
    상기 삽입블록의 가압면과 다각벽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베벨기어와;
    상기 베벨기어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통과구멍을 통해 측벽부 외부로 연장되며 베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그 연장단부에 상기 미끄럼방지편을 단부가 겹쳐진 상태로 지지하는 볼트를 갖는 미끄럼방지편 지지구와,
    상기 베벨기어의 상부에 위치하며 베벨기어에 치합하여 외부의 토오크를 베벨기어에 전달함으로써 베벨기어를 회전시키는 직경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블록의 상면에는 일정높이 및 외경을 갖는 링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직경조절기는 상기 링형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부로부터 토오크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다수의 걸이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편지지구는;
    상기 베벨기어의 회전중심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통과구멍을 통해 측벽부의 구멍측으로 연장되고 그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길이조절샤프트와,
    상기 길이조절샤프트를 그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한 상태로 상기 측벽부의 구멍을 통과하되 구멍에 고정되고 그 연장단부에 상기 볼트를 갖는 파이프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길이조절샤프트에 나사결합하는 너트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너트를 베벨기어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수나사에 나사결합하는 파이프형태의 연결너트와, 상기 연결너트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수나사와 일직선을 이루고 그 자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바닥판부를 사이에 두고 장공을 통해 길이조절부의 단부에 고정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를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헤드부에 고정되며 수직돌기를 갖는 가이드판과,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가이드판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바닥판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 수직돌기를 그 내부에 수용하고 회전함에 따라 수직돌기를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키는 곡선형 가이드장공을 갖는 조절디스크와, 상기 조절디스크에 연결되며 외부에서 상기 조절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토오크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1020050003760A 2005-01-14 2005-01-14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100690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760A KR100690339B1 (ko) 2005-01-14 2005-01-14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760A KR100690339B1 (ko) 2005-01-14 2005-01-14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293A KR20060083293A (ko) 2006-07-20
KR100690339B1 true KR100690339B1 (ko) 2007-03-15

Family

ID=3717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760A KR100690339B1 (ko) 2005-01-14 2005-01-14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103B1 (ko) 2010-05-20 2012-02-22 박쌍영 자동차용 염화칼슘 제공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9208A (zh) * 2020-09-22 2020-11-20 四川省弘润丽华建筑垃圾处理有限公司 一种用于轮胎的带状防滑链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2503A (en) 1989-12-27 1994-02-01 Sumitomo Wiring System, Ltd. Anti-skid device for use on pneumatic tires
KR960036672U (ko) * 1995-05-16 1996-12-16 함용덕 차륜 미끄럼 방지구
KR19990039809A (ko) * 1997-11-14 1999-06-05 정몽규 차량의 빙판길 주행용 보조장치
KR20020027452A (ko) * 2001-03-20 2002-04-13 류근원 빙판길 주행용 보조장치
KR20030075470A (ko) * 2002-03-19 2003-09-26 송화석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2503A (en) 1989-12-27 1994-02-01 Sumitomo Wiring System, Ltd. Anti-skid device for use on pneumatic tires
KR960036672U (ko) * 1995-05-16 1996-12-16 함용덕 차륜 미끄럼 방지구
KR19990039809A (ko) * 1997-11-14 1999-06-05 정몽규 차량의 빙판길 주행용 보조장치
KR20020027452A (ko) * 2001-03-20 2002-04-13 류근원 빙판길 주행용 보조장치
KR20030075470A (ko) * 2002-03-19 2003-09-26 송화석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103B1 (ko) 2010-05-20 2012-02-22 박쌍영 자동차용 염화칼슘 제공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293A (ko)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125B1 (ko) 복륜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장치
US11124270B2 (en) Chain guide assembly
US9981511B2 (en) Tire traction devices
KR100690339B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CA2959014A1 (en) Tire traction device mountable to a wheel by gripping the wheel adjacent the side walls of a tire mounted to the wheel
US20060225254A1 (en) Tire chain assembly having a tension adjustment function
KR970001099B1 (ko) 자동차바퀴의 미끄럼방지용 부착물
US4287926A (en) Tire traction device
US20160229240A1 (en) Anti-skid device for tire
US11059335B2 (en) Tire traction devices
US7380578B2 (en) Quick-fit anti-skid system for vehicle wheels and associated device for fixing to the wheel
US4129161A (en) Traction device for tires
US7055230B2 (en) Holding device for timing belt wheel module
KR200168889Y1 (ko)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어 체인
US2561910A (en) Quick adjusting traction device for vehicle wheels
JP7026770B2 (ja) スロットル制御用の調節可能なクランプ機構
EP2050593A1 (en) Anti-skid device with chain length adjustment system
US1764785A (en) Tire chain
KR200295609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용 기구
EP1283116A2 (en) Antiskid device for vehicle wheels
KR200323574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101335279B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20050031680A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KR101324833B1 (ko) 다관절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 및 장착시스템
KR100350240B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