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723B1 -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 Google Patents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723B1
KR101959723B1 KR1020180144048A KR20180144048A KR101959723B1 KR 101959723 B1 KR101959723 B1 KR 101959723B1 KR 1020180144048 A KR1020180144048 A KR 1020180144048A KR 20180144048 A KR20180144048 A KR 20180144048A KR 101959723 B1 KR101959723 B1 KR 101959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ft
vehicle
tire
insertion body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철
Original Assignee
김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철 filed Critical 김동철
Priority to KR102018014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723B1/ko
Priority to PCT/KR2019/012433 priority patent/WO20201058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08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involving lugs or rings taking up wear, e.g. chain links, chain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1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signal- transmitting means on the wheel
    • B60C23/0411Piezoelectric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86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comprising additional sensors in the wheel or tyre mounted monitoring device, e.g. movement sensors, microphones or earth magnetic fiel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068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the ground-engaging part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1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having tensioning means
    • B60C27/1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having tensioning means resilient pre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가 개시된다.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는, 지면과 접촉되는 트레드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트레드부의 표면 방향으로 개구되는 작동홀이 형성되는 삽입 바디와, 삽입 바디의 내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드리프트 발생 조건에서 삽입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어 지면에 회전 접촉되는 마찰 돌부와, 삽입 바디에 설치되어 차량의 드리프트 발생 조건에서 마찰 돌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차량의 드리프트 발생 조건을 확인하여 가압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DRIFT PREVENTION TIRE}
본 발명은 차량의 급격한 회전 등의 비정상 운행 과정에서 과도한 드리프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선회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이 원하는 주행코스보다 바깥쪽으로 밀려나가는 드리프트 아웃(Drift out)인 언더스티어가 발생하면 차량은 원하는 선회궤적에서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되어 차량의 안정성을 해치게 된다.
이때, 드리프트의 작동요건을 살펴보면 차량의 속도가 60km/h 이상에서만 작동하는 것으로 주차시나 유턴시 드리프트락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제어시스템에서는 언더스티어시 후륜 내측 휠에 제동력을 가하여 차량의 안쪽으로 작용하는 보상 모멘트를 생성시킴으로써 차량이 원하는 궤적에서 바깥쪽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시켜 차량을 안정적으로 주행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차량의 급격한 회전 등의 비정상 운행이 발생되는 경우, 타이어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이 저하되어 드리프트가 과도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6-003605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급격한 회전 등의 비정상 운행이 발생되는 경우, 타이어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을 유지하도록 하여, 드리프트가 과도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면과 접촉되는 트레드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트레드부의 표면 방향으로 개구되는 작동홀이 형성되는 삽입 바디와, 삽입 바디의 내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드리프트 발생 조건에서 삽입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어 지면에 회전 접촉되는 마찰 돌부와, 삽입 바디에 설치되어 차량의 드리프트 발생 조건에서 마찰 돌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차량의 드리프트 발생 조건을 확인하여 가압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가압부는, 일측은 작동홀의 내부에서 마찰 돌부의 타측에 로드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압 실린더부재일 수 있다.
제어부는, 차량의 드리프트 조건을 센싱하는 차량 센서와, 차량 센서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드리프트 조건으로 확인되면 상기 구동부를 구동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센서는, 잠김방지 제동장치(ABS, anti-lock brake system), 차체자세제어장치(ESP, Electronic Stability Program), 타이어 중앙 공기 공급 체계 (CTIS)의 작동 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타이어에는 가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발전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드리프트 조건에서 타이어의 외부로 마찰돌부가 지면에 마찰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바, 과도한 드리프트 발생을 억제하여 차량 운행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삽입 바디에 마찰 돌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삽입 바디에 마찰 돌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삽입 바디에서 마찰 돌부의 돌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삽입 바디에서 마찰 돌부의 돌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삽입 바디에 마찰 돌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삽입 바디에 마찰 돌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100)는, 지면과 접촉되는 트레드부(11a)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트레드부(11a)의 표면 방향으로 개구되는 작동홀이 형성되는 삽입 바디(10)와, 삽입 바디(10)의 내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드리프트 발생 조건에서 삽입 바디(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지면에 회전 접촉되는 마찰 돌부(14)와, 삽입 바디(10)에 설치되어 차량의 드리프트 발생 조건에서 마찰 돌부(14)를 가압하는 가압부(16)와, 차량의 드리프트 발생 조건을 확인하여 가압부(16)를 구동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삽입 바디(10)는 타이어(11)의 라운드 형상의 트레드부(11a)의 둘레를 따라 타이어(1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 바디(10)는 타이어(11)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간에 인접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삽입 바디(10)는 타이어(11)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타이어(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타이어의 재질과 동일 또는 유사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삽입 바디(10)는 타이어의 지면과 접촉하는 둘레 즉, 트레드부(11a)의 외부 방향으로 개구된 작동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작동홀(12)은 삽입 바디(10)에 서로간에 이격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홀(12)은 직사각형으로 삽입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작동홀(12)은 삽입 바디(10)의 저면에 장공홀 형상으로 삽입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홀(12)이 형성되는 것은 후술하는 마찰 돌부(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마찰 돌부(14)는 작동홀(1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의 드리프트 발생 조건에서 일부분이 작동홀(12)의 외부로 돌출되어, 지면에 마찰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마찰 돌부(14)는 작동홀(12)의 내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고 연결되고, 타측은 타이어의 라운드 형상에 대응한 곡률의 라운드 형상으로 굴곡되어 작동홀(1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마찰 돌부(14)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지면과 접촉 과정에서 접촉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소정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 돌부(14)는 가압부(16)의 가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 돌출될 수 있다.
가압부(16)는 후술하는 제어부(20)의 제어 작동에 따라 마찰 돌부(14)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압부(16)는, 일측은 작동홀(12)의 내부에서 마찰 돌부(14)의 타측에 로드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압 실린더부재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가압부와 가압 실린더부재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가압 실린더부재(16)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어부(20)의 제어 작동에 따라 로드의 전진 또는 후진 작동되어 마찰 돌부(14)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삽입 바디에서 마찰 돌부의 돌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삽입 바디에서 마찰 돌부의 돌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돌부(14)는 가압 실린더부재(16)의 가압력에 따라 타이어의 트레드부(11a)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바, 급커브 등과 같이 차량의 급격한 회전이 발생되는 드래프트 조건에서 지면과 접촉되어 마찰력을 유지하도록 돌출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는 가압 실린더부재(16)로 적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력에 의해 로드의 전후진 작동이 가능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가압 실린더부재(16)는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차량의 드리프트 조건을 센싱하는 차량 센서(21)와, 차량 센서(21)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드리프트 조건으로 확인되면 가압 실린더부재(16)를 구동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23)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센서(21)는, 잠김방지 제동장치(ABS, anti-lock brake system), 차체자세제어장치(ESP, Electronic Stability Program), 타이어 중앙 공기 공급 체계 (CTIS)의 작동 상태를 센싱하여 전자제어유닛(23)으로 전송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차량 센서(21)는 잠김방지 제동장치(ABS)와 차체자세제어장치(ESP)와 타이어 중앙 공기 공급 체계(CTIS) 등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여, 차량의 급커브 등의 비정상 운행 상태의 여부를 확인하여 전자제어유닛(23)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제어유닛(2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잠김방지 제동장치(ABS, anti-lock brake system), 차체자세제어장치(ESP, Electronic Stability Program), 타이어 중앙 공기 공급 체계 (CTIS)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여, 기설정된 드리프트 발생 조건에 대응하는 차량 운행 상태로 확인되면, 가압 실린더부재(16)를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실린더부재(16)는 차량 드리프트 조건에서 전자제어유닛(23)의 구동 제어에 따라 로드의 전진이 발생되는 바, 마찰 돌부(14)가 타이어의 트레드부(11a)의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찰 돌부(14)가 차량의 드리프트 조건에서 지면에 마찰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바, 차량의 급격한 운행 조건에서 과도한 드리프트 발생을 억제하여 차량 운행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타이어에는 타이어 공기압 psi 기술을 이용하여 유압기변기와, 가스콤프레서 등을 구비하고, 자기장 N/S극, 12V 또는 24V의 전류를 이용한 무선감지기능을 갖는 구성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200)에는 가압부(16)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발전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발전부(110)는 차량의 운행중 타이어의 회전에 의해 발전 구동되는 것으로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자(111)와 고정자(111)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퀴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자(11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회전 작동 과정에서 자체 발전이 가능하여, 가압부(16)의 구동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삽입 바디 11...타이어
11a..트레드부 12...작동홀
14...마찰 돌부 16...가압부, 가압 실린더부재
20...제어부 21...차량 센서
23...전자제어유닛 110..발전부
111..고정자 113..회전자

Claims (5)

  1. 지면과 접촉되는 트레드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트레드부의 표면 방향으로 개구되는 작동홀이 형성되는 삽입 바디;
    상기 삽입 바디의 내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드리프트 발생 조건에서 상기 삽입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어 지면에 회전 접촉되는 마찰 돌부;
    상기 삽입 바디에 설치되어 차량의 드리프트 발생 조건에서 상기 마찰 돌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차량의 드리프트 발생 조건을 확인하여 상기 가압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는, 일측은 상기 작동홀의 내부에서 상기 마찰 돌부의 타측에 로드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압 실린더부재인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드리프트 조건을 센싱하는 차량 센서; 및
    상기 차량 센서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드리프트 조건으로 확인되면 상기 가압 실린더부재를 구동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을 포함하는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센서는, 잠김방지 제동장치(ABS, anti-lock brake system), 차체자세제어장치(ESP, Electronic Stability Program), 타이어 중앙 공기 공급 체계 (CTIS)의 작동 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 전송하는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에는 상기 가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발전부가 설치되는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KR1020180144048A 2018-11-21 2018-11-21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KR101959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048A KR101959723B1 (ko) 2018-11-21 2018-11-21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PCT/KR2019/012433 WO2020105858A1 (ko) 2018-11-21 2019-09-25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048A KR101959723B1 (ko) 2018-11-21 2018-11-21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723B1 true KR101959723B1 (ko) 2019-03-19

Family

ID=6590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048A KR101959723B1 (ko) 2018-11-21 2018-11-21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9723B1 (ko)
WO (1) WO202010585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858A1 (ko) * 2018-11-21 2020-05-28 김동철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JP2021020667A (ja) * 2019-07-24 2021-02-18 Tdk株式会社 スマート車輪エネルギーハーベスタ
KR20210079622A (ko) * 2019-12-20 2021-06-30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955A (ko) * 2013-02-25 2014-09-03 손정률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KR20160036052A (ko) 2013-08-02 2016-04-01 꽁빠니 제네날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 사전 결정된 속도의 주행 조건에서 타이어를 모델링하는 방법
KR101663634B1 (ko) * 2015-06-09 2016-10-0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미끄럼 방지용 보조 바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10346A1 (de) * 1976-03-12 1977-09-15 Gottfried Ries Vorrichtung zum verhueten des gleitens der raeder von kraftfahrzeugen
JP2001088520A (ja) * 1999-09-24 2001-04-03 Kenji Hanabusa ダブルタイヤ用スリップ防止機
KR100603015B1 (ko) * 2004-07-28 2006-07-24 임용근 차량용 보조바퀴
KR101959723B1 (ko) * 2018-11-21 2019-03-19 김동철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955A (ko) * 2013-02-25 2014-09-03 손정률 자동차 미끄럼방지장치
KR20160036052A (ko) 2013-08-02 2016-04-01 꽁빠니 제네날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 사전 결정된 속도의 주행 조건에서 타이어를 모델링하는 방법
KR101663634B1 (ko) * 2015-06-09 2016-10-0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미끄럼 방지용 보조 바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858A1 (ko) * 2018-11-21 2020-05-28 김동철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JP2021020667A (ja) * 2019-07-24 2021-02-18 Tdk株式会社 スマート車輪エネルギーハーベスタ
JP6997259B2 (ja) 2019-07-24 2022-01-17 Tdk株式会社 スマート車輪エネルギーハーベスタ
KR20210079622A (ko) * 2019-12-20 2021-06-30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KR102341775B1 (ko) * 2019-12-20 2021-12-22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5858A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723B1 (ko)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BR9907816B1 (pt) sistema central de enchimento de pneus para um veÍculo de trabalho sustentado por um conjunto de rodas inflÁveis, veÍculo de trabalho que tem um recipiente para receber um material e pelo menos um pneu inflÁvel e mÉtodo para regular a pressço de pneu.
CN101161488A (zh) 用于使移动装置的轮胎适应特定行驶情况的方法和设备
JP6896648B2 (ja) 車両の負荷を見積もる方法
EP2196336B1 (en) Tyre inflation pressure control system
WO2003000510A3 (en) Device for inflating vehicle tyres
US6412525B1 (en) Device for filling or deflating a tire of a vehicle, especially of a tractor
US2018037051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braking system capable of carrying out the parking brake function
JPH0891169A (ja) 車両の総合制御装置
JP2003165400A (ja) スリップ状態関連量取得装置および前後力制御装置
SE9704138L (sv) Tryckluftsdriven nivåregleringsanordning, särskilt för motorfordon
US6561320B2 (en) Automatically operated antiskid apparatus for automobile tires
KR101033325B1 (ko) 휠 스피드 센서 장치
JP2006199286A (ja) 軽量転動組立体及びesp装置を有するシステム
KR100188587B1 (ko) 자동차 타이어의 편마모 방지방법
KR102443734B1 (ko) 차량 급정지시 런 플랫 타이어의 공기압 배출장치
KR100200413B1 (ko) 타이어의 횡력 검출장치
KR100391658B1 (ko) 자동차의 보조브레이크장치
KR100569987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드럼 탈거장치
WO2021132386A1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0167917B1 (ko) 자동차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
KR20040035257A (ko) 차량의 수막현상 방지장치
JP2003300402A (ja) 自動車用空気入りタイヤ
KR100380462B1 (ko) 자동차의 안티락브레이크장치
JPH0895601A (ja) 車両の総合制御装置の故障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