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775B1 -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 Google Patents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775B1
KR102341775B1 KR1020190171603A KR20190171603A KR102341775B1 KR 102341775 B1 KR102341775 B1 KR 102341775B1 KR 1020190171603 A KR1020190171603 A KR 1020190171603A KR 20190171603 A KR20190171603 A KR 20190171603A KR 102341775 B1 KR102341775 B1 KR 102341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riction
tread
unit
roa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9622A (ko
Inventor
서동희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1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77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2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having ground-engaging plate-lik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트레드부의 외주면을 따라 트레드부와 노면과의 슬립(slip)을 저감시키는 복수개의 마찰블럭이 구비됨으로써, 완충부가 과도하게 변형됨에도, 노면으로 견인력 및 제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노면의 특성에 따라 마찰블럭을 트레드부의 외주면 내측으로 인입시키거나 트레드부의 외주면 외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AIRLESS TIRE FOR IMPROVE FRICTION WITH ROAD SURFACE}
본 발명은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차량 주행시에 차체, 탑승자, 화물 등의 무게로 인해 상당한 압력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의 형상 등으로 인해 차체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 등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고, 이와 같은 조건에서도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노면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가해지는 압력에 견디고 완충작용을 하면서 그 본래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타이어는 공기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기압 타이어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공기충진식 타이어는 충진된 공기의 압력에 따라 그 작용, 효과에 상당한 차이가 발생되고, 펑크가 발생한 경우 그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 등의 주행에 어려움이 있고, 수명이 짧은 문제점 등이 있다.
특히, 공기압 타이어는 차량 등의 주행중에 펑크로 인한 교통사고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충진식 타이어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에어리스 타이어(Airless tire)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에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에어리스 타이어가 종래에도 다양하게 제안되었다.
초기단계의 에어리스 타이어는 자전거 등과 같이 하중을 적게 받는 조건에서 사용이 가능한 형태의 것으로서 내구성과 복원력이 우수한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을 사용해서 타이어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었다.
현재는 에어리스 타이어에 대한 기술이 상당히 발전되어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 구조의 에어리스 타이어도 안출 되었는데, 그 중 미국 등록특허 제5494090호, 미국 등록특허 제7143797호, 한국특허 제10-1990-0015355호 등이 있다.
이러한 에어리스 타이어는, 지면에 접촉되는 원통형의 지면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지면접촉부보다 작은 원주를 그리면서 지면접촉부의 안쪽에 위치되어 있는 회전축고정부를 갖고, 지면접촉부와 회전축고정부를 연결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허니컴 형태의 스포크 완충부를 갖는 형태의 비공기압 에어리스 타이어로 되어있다.
여기서, 허니컴 형태의 스포크 완충부를 갖는 종래의 에어리스 타이어는 압력이나 충격을 받아 스포크 완충부가 과도하게 변형되어(통상 일그러지는 형태로 변형됨) 노면으로 견인력 및 제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스포크 완충부가 과도하게 변형됨에도, 노면으로 견인력 및 제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에어리스 타이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트레드부의 외주면을 따라 트레드부와 노면과의 슬립(slip)을 저감시키는 복수개의 마찰블럭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완충부가 과도하게 변형됨에도, 노면으로 견인력 및 제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에어리스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면의 특성에 따라 마찰블럭을 트레드부의 외주면 내측으로 인입시키거나 트레드부의 외주면 외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는 에어리스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외주면에 인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트레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트레드부와 노면과의 슬립(slip)을 저감시키는 복수개의 마찰블럭; 및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마찰블럭이 상기 트레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트레드부의 외주면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마찰블럭을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블럭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찰블럭은, 상기 블럭제어모듈와 밀착되어 상기 블럭제어모듈에 의해 회전되는 블럭지지부; 상기 블럭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블럭지지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트레드부의 외주면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트레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인출되어 노면과 밀착되는 블럭돌기부; 및 상기 블럭지지부 또는 블럭돌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트레드부에 결합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는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블럭지지부는, 상기 트레드부의 회전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전후방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전후방 일측 또는 양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블럭제어모듈과 밀착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블럭제어모듈은,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외측면이 상기 마찰블럭과 밀착되어 회전시 상기 마찰블럭을 회전시키는 회전제어부;를 포함하는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제어부는,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본체; 및 복수개가 상기 회전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형성되어 복수개의 상기 마찰블럭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본체의 회전시 상기 마찰블럭과 밀착되어 상기 복수개의 마찰블럭을 회전시키는 제어돌기;를 포함하는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트레드부의 외주면을 따라 트레드부와 노면과의 슬립(slip)을 저감시키는 복수개의 마찰블럭이 구비됨으로써, 완충부가 과도하게 변형됨에도, 노면으로 견인력 및 제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노면의 특성에 따라 마찰블럭을 트레드부의 외주면 내측으로 인입시키거나 트레드부의 외주면 외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주행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마찰블럭이 트레드부로부터 인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동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마찰블럭이 트레드부로부터 인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돌기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에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주행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마찰블럭이 트레드부로부터 인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동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마찰블럭이 트레드부로부터 인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돌기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10)는, 트레드부(101); 트레드부(101)의 외주면에 인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결합되고, 트레드부(101)의 외주면으로부터 인출되어 트레드부(101)와 노면과의 슬립(slip)을 저감시키는 복수개의 마찰블럭(103); 및 트레드부(101)의 내측에 구비되며, 마찰블럭(103)이 트레드부(101)의 외주면으로부터 인출되거나 트레드부(101)의 외주면으로 인입되도록 마찰블럭(103)을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블럭제어모듈(1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트레드부(101)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마찰블럭(103)이 인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트레드부(101)는 복수개의 마찰블럭(103)이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블럭결합부(107)가 형성된다.
여기서, 블럭결합부(107)는 마찰블럭(103)이 관통 결합되도록 경방향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면에 마찰블럭(10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부(109)가 함몰 또는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블럭결합부(107)는 트레드부(10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면서 동시에, 트레드부(101)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복수개의 마찰블럭(103)은 트레드부(101)의 외주면에 인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마찰블럭(103)은 앞서 설명한 복수개의 블럭결합부(107)에 삽입되어, 필요에 따라 블럭결합부(107)로부터 인출되거나 블럭결합부(107)로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블럭(103)은 블럭결합부(107)로 인입시 트레드부(101)의 외주면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블럭결합부(107)로부터 인출시 단부가 노면과 밀착되어 견인력 및 제동력이 향상되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부채꼴 모양으로 이뤄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마찰블럭(103)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마찰블럭(103)은, 블럭제어모듈(105)과 밀착되어 블럭제어모듈(105)에 의해 회전되는 블럭지지부(201); 블럭지지부(201)로부터 연장되고, 블럭지지부(201)가 회전됨에 따라 트레드부(101)의 외주면으로 인입되거나 트레드부(101)의 외주면으로부터 인출되어 노면과 밀착되는 블럭돌기부(203); 및 블럭지지부(201) 또는 블럭돌기부(203)로부터 연장되어 트레드부(101)에 결합되는 회전축부(205);를 포함한다.
먼저, 블럭지지부(201)는 블럭제어모듈(105)의 구동시 블럭제어모듈(105)과 밀착되거나 이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블럭지지부(201)는 트레드부(101)의 회전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전후방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전후방 일측 또는 양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블럭제어모듈(105)과 밀착 또는 이격되는 경사면(207);을 포함한다.
즉, 블럭지지부(20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부(101)의 회전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전후방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블럭제어모듈(105)에 의해 회전시 블럭제어모듈(105)의 제어돌기(209)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도면상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블럭지지부(201)는 경사면(207)이 제어돌기(209)와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 제어돌기(209)에 의해 블럭결합부(107)로 인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어서, 블럭돌기부(203)는 블럭지지부(201)로부터 연장되고, 블럭지지부(201)가 회전됨에 따라 전후방 일측 또는 타측 단부가 트레드부(101)의 외주면으로부터 인출되어 노면과 밀착된다.
이러한 블럭돌기부(203)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블럭돌기부(203)는 트레드부(101)의 회전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전후방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전후방 일측 또는 양측에, 블럭지지부(201)의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면(21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블럭돌기부(203)는 전후방 일측에 제1돌기(213)가 형성되고 전후방 타측에 제2돌기(215)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돌기(213)는 블럭제어모듈(105)의 일방향으로 구동시 블럭결합부(107)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노면과 밀착된다.
예를 들어, 제1돌기(2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시(ex : 트레드부(10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트레드부(101)의 외주면으로부터 인출되어 견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돌기(2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시(ex : 트레드부(101)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 트레드부(101)의 외주면으로부터 인출되어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회전축부(205)는 블럭지지부(201) 또는 블럭돌기부(203)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데, 도면들에서는 회전축부(205)가 블럭돌기부(203)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회전축부(205)는 트레드부(1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회전축부(205)는 블럭결합부(107)의 양측에 형성된 축결합부(109)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계속해서, 블럭제어모듈(105)은 트레드부(101)의 내측에 구비되어 마찰블럭을 회전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블럭제어모듈(105)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블럭제어모듈(105)은, 트레드부(101)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시 외측면이 마찰블럭(103)과 밀착되어 마찰블럭(103)을 회전시키는 회전제어부(217);를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회전제어부(217)는, 트레드부(101)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본체(219); 및 복수개가 회전본체(219)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형성되어 복수개의 마찰블럭(103) 사이에 삽입되고, 회전본체(219)의 회전시 마찰블럭(103)과 밀착되어 복수개의 마찰블럭(103)을 회전시키는 제어돌기(209);를 포함한다.
먼저, 회전본체(219)는 트레드부(101)의 내측에 구비되며, 후술할 동력전달부(223)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회전본체(219)는 내측에 동력전달부(223)가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면에 동력전달부(223)의 외측면과 결합되는 기어홈(225)이 형성된다.
이어서, 복수개의 제어돌기(209)는 회전본체(219)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 이격형성되어, 복수개의 마찰블럭(103) 사이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어돌기(209)는 회전본체(219)의 회전시 마찰블럭(103)의 제1돌기(213) 또는 제2돌기(215)가 트레드부(101)로부터 인출되도록, 마찰블럭(103)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제어돌기(209)는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블럭지지부(201)의 어느 한쪽 경사면(207)과 밀착되면서 제1돌기(213)가 트레드부(10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찰블럭(103)을 회전시키고,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블럭지지부(201)의 다른 한쪽 경사면(207)과 밀착되면서 제2돌기(215)가 트레드부(10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찰블럭(103)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제어돌기(209)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돌기(209)는 회전본체(219)가 회전되는 경우, 단부 모서리 부분이 블럭지지부(201)의 경사면(207)과 밀착되면서 마찰블럭(103)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제어돌기(209)는 회전시 경사면(207)과 밀착되는 각각의 단부 모서리에 마찰저감부재(501)가 구비된다.
이러한 마찰저감부재(501)는 각각의 제어돌기(209)의 모서리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마찰블럭(103)을 회전시키는 경우 경사면(207)에 밀착되면서 회전되어 마찰블럭(103)과의 마찰을 저감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블럭제어모듈(105)은, 회전제어부(217)의 내측에 삽입되고, 구동부(227)에 의해 회전되어 회전제어부(217)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223);를 포함한다.
이러한 동력전달부(223)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력전달부(223)는, 회전제어부(217)의 내측에서 구동부(227)에 의해 회전되는 본체부(231); 및 본체부(23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회전제어부(217)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기어(233);를 포함한다.
본체부(231)는 회전제어부(217)의 내측에 구비되어 구동부(227)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데, 여기서 구동부(227)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기어(233)는 본체부(2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회전제어부(217)의 내측면과 결합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회전본체(219)의 내측면에 형성된 기어홈(225)과 맞물림되어 본체부(231)의 회전시 회전제어부(217)를 회전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실시예는 구동부(227)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부는 구동부(227)를 일방향으로 구동시켜 동력전달부(223), 회전제어부(217)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데, 이때 제1돌기(213)가 블럭결합부(107)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노면과 밀착된다.
반대로, 제어부는 구동부(227)를 타방향으로 구동시켜 동력전달부(223), 회전제어부(217)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데, 이때 제2돌기(215)가 블럭결합부(107)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노면과 밀착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주행시(ex : 트레드부(10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돌기(213)가 트레드부(10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동부(227)를 일방향 구동시켜 견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는 제동시(ex : 트레드부(101)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 제2돌기(215)가 트레드부(10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동부(227)를 타방향으로 구동시켜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가 구동부(227)를 구동시키지 않는 경우, 제1돌기(213) 및 제2돌기(215)가 블럭결합부(107)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트레드부(101)의 외주면을 따라 트레드부(101)와 노면과의 슬립(slip)을 저감시키는 복수개의 마찰블럭(103)이 구비됨으로써, 완충부가 과도하게 변형됨에도, 노면으로 견인력 및 제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노면의 특성에 따라 마찰블럭(103)을 트레드부(101)의 외주면 내측으로 인입시키거나 트레드부(101)의 외주면 외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101 : 트레드부
103 : 마찰블럭
105 : 블럭제어모듈
107 : 블럭결합부
109 : 축결합부
201 : 블럭지지부
203 : 블럭돌기부
205 : 회전축부
209 : 제어돌기
211 : 테이퍼면
213 : 제1돌기
215 : 제2돌기
217 : 회전제어부
219 : 회전본체
223 : 동력전달부
225 : 기어홈
227 : 구동부
231 : 본체부
233 ; 결합기어
501 : 마찰저감부재

Claims (7)

  1.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외주면에 인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결합되고, 부채꼴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트레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트레드부와 노면과의 슬립(slip)을 저감시키는 복수개의 마찰블럭; 및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마찰블럭이 상기 트레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트레드부의 외주면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마찰블럭을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블럭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마찰블럭은,
    상기 블럭제어모듈과 밀착되어 상기 블럭제어모듈에 의해 회전되는 블럭지지부; 및
    상기 블럭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블럭지지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트레드부의 외주면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트레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인출되어 노면과 밀착되는 블럭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럭돌기부는,
    전후방 일측에 제1돌기가 형성되고 전후방 타측에 제2돌기가 형성되되, 주행시 상기 제1돌기가 상기 트레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인출되고, 제동시 상기 제2돌기가 상기 트레드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블럭은,
    상기 블럭지지부 또는 블럭돌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트레드부에 결합되는 회전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지지부는,
    상기 트레드부의 회전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전후방 폭이 점차 줄어들도록 전후방 일측 또는 양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블럭제어모듈과 밀착 또는 이격되는 경사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제어모듈은,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시 외측면이 상기 마찰블럭과 밀착되어 상기 마찰블럭을 회전시키는 회전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부는,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본체; 및
    복수개가 상기 회전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형성되어 복수개의 상기 마찰블럭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본체의 회전시 상기 마찰블럭과 밀착되어 상기 복수개의 마찰블럭을 회전시키는 제어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제어모듈은,
    상기 회전제어부의 내측에 삽입되고,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회전제어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제어부의 내측에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제어부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KR1020190171603A 2019-12-20 2019-12-20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KR102341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603A KR102341775B1 (ko) 2019-12-20 2019-12-20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603A KR102341775B1 (ko) 2019-12-20 2019-12-20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622A KR20210079622A (ko) 2021-06-30
KR102341775B1 true KR102341775B1 (ko) 2021-12-22

Family

ID=7660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603A KR102341775B1 (ko) 2019-12-20 2019-12-20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7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904B1 (ko) * 2021-07-22 2023-08-30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스파이크를 구비한 에어리스 타이어
KR20240018156A (ko) 2022-08-02 2024-02-1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교체형 스포크가 구비된 비공기입 타이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723B1 (ko) * 2018-11-21 2019-03-19 김동철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362B1 (ko) * 2011-03-09 2013-01-09 한수호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723B1 (ko) * 2018-11-21 2019-03-19 김동철 드리프트 방지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622A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0351B2 (en) Airless tire
KR102341775B1 (ko) 노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리스 타이어
CN108688406B (zh) 半充气轮胎及半充气轮胎的制造方法
JP6347774B2 (ja) エアレスタイヤ
US20180126790A1 (en) Tire Tread Comprising A Block Having A Plurality Of Cutouts
US20180236823A1 (en) Pneumatic Vehicle Tyres
US4253512A (en) Low pressure cordless and tubeless tire
US11305592B2 (en) Pneumatic vehicle tire
KR20070062312A (ko) 차륜 구조
CN104118269A (zh) 一种防爆缓冲车轮
KR102137829B1 (ko) 가변형 타이어
KR20130037808A (ko) 차량용 비공기압 타이어
KR101722715B1 (ko) 비공기입 타이어
US20180281526A1 (en) Tire Tread Comprising A Block Having A Plurality Of Cutouts
KR101885277B1 (ko) 소음저감용 타이어
JP2005125880A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230019706A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1663634B1 (ko) 미끄럼 방지용 보조 바퀴
US20180134094A1 (en) Tire Tread Comprising A Block Having A Plurality Of Cutouts
KR20180031242A (ko) 타이어 슬립 방지 수단을 갖는 타이어
KR101951441B1 (ko) 비 공기식 차륜
KR20210035559A (ko) 공기입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69885B1 (ko) 형상 변환이 가능한 타이어
US11072210B2 (en) Pneumatic vehicle tyres
KR101866499B1 (ko) 비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