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580B1 -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580B1
KR101386580B1 KR1020110099213A KR20110099213A KR101386580B1 KR 101386580 B1 KR101386580 B1 KR 101386580B1 KR 1020110099213 A KR1020110099213 A KR 1020110099213A KR 20110099213 A KR20110099213 A KR 20110099213A KR 101386580 B1 KR101386580 B1 KR 101386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ire
slip
hook
coupl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117A (ko
Inventor
이재상
Original Assignee
이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상 filed Critical 이재상
Priority to KR102011009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580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8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strip form, e.g. metallic combs, rubber strips of different wear resistance
    • B60C11/185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strip form, e.g. metallic combs, rubber strips of different wear resistance of metal comb form, lamellar shaped or blade-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03Mounting aids, e.g. auxiliary tensioning tools, slotted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06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 B60C27/065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acting on the tread portion, e.g. special fixing agents, fastened in the groove of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1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having tensioning means
    • B60C27/1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having tensioning means resilient pre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는 타이어의 외면에 감싸져 장착되도록 직사각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고, 양쪽 끝단에 체결부가 형성되거나 또는 양쪽 끝단이 없이 링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에어챔버가 형성되도록 외피와 내피로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스파이크 및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타이어에 장착되었을때 조여져 결속됨으로써 고정력을 갖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ANTISKID APPARATUS}
본 발명은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겨울철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주행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교통 사고를 방지하도록 타이어에 장착시켜 사용되는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폭설을 만나게 되면 도로에 쌓인 눈이 다져지면서 얼게 되어 빙판길이 되므로 통상 주행용의 타이어는 미끄러짐이 발생되어 교통사고가 유발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타이어에 착용하여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스노우 체인과 같은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차량용 스노우 체인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12626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우레탄 소재를 이용하여 노면과 접촉하는 한쪽 면에 크고 작은 다수개의 스파이크(1, 1,‥)와 돌기가 부설되는 체인(2) 및 상기 다수개의 체인(2, 2,‥)이 일정 거리 간격으로 고정 배치되는 사이드와이어(3)가 동일한 소재에 의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사출물로 되는 스노우체인(10)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탈부착이 어렵고, 착용한 후 주행시 떨림과 소음이 발생되기 때문에 매우 저속으로 운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타이어에 장착이 용이하고, 장착 후 주행 속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또 주행시 소음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도록 한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의 외면에 감싸져 장착되도록 직사각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고, 양쪽 끝단에 체결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에어챔버가 형성되도록 외피와 내피로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에어챔버와 통하는 공기주입구가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양쪽 끝단에 체결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끼워지도록 본체의 타단에 형성된 제2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챔버는 내부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되 상기 격벽이 외피와 내피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외피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파이크는 외피 내에 매립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삽입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결합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타이어에 장착되었을때 조여져 결속됨으로써 고정력을 갖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밴드; 상기 밴드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튜브; 상기 튜브에 삽입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양끝단을 결합시켜 록킹시키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결합되며 끼움홈이 형성된 소켓;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소켓에 끼워져 끼움홈에 결합되는 선단부; 상기 선단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스프링 탄성에 의해 출몰작동되어 상기 끼움홈과 결합 및 해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에 장착이 용이하고, 장착 후 주행 속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또 주행시 소음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주행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에 적용되는 '스파이크'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에 적용되는 '스파이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A1)는, 타이어(100)의 트레드(110)에 감싸져 장착되도록 직사각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고, 양쪽 끝단에 체결수단이 형성되며, 내부에 에어챔버(106)가 형성되도록 외피(101)와 내피(102)로 구성된 본체(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타이어(100)의 트래드(110)에 밀착되도록 직사각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며, 에어챔버(106)가 내부에 형성되도록 외피(101)와 내피(102)로 된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에어챔버(106)에 통하는 공기주입구(11)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는 직사각형의 형상이며, 그 폭이 타이어(100)의 트래드(110) 보다 넓게 형성되고, 그 단면이 대략 만곡진 호형으로 형상으로 이루어져 타이어(100)에 장착하였을때 트래드(110)를 완전히 감싸도록 한다.
특히 본체(1)의 장변측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단턱(13)이 형성되어 타이어(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단턱(13)에 에어챔버(106)와 통하는 공기주입구(1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체(1)의 장변측의 말단부와 단턱(13)의 말단부에는 봉형상으로 두껍게 마감처리하여 마감부를 형성함으로써 타이어(100)와 장착되었을때 밀착력이 증가되도록 하여 벗겨짐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에어챔버(106)는 공기주입구(11)를 통해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외피(101)와 내피(102)가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이며, 에어챔버(106)의 내부에는 다수의 격벽(103)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103)이 외피(101)와 내피(102)를 연결하도록 에어챔버(106) 내에 다수로 형성됨으로써 외피(101)가 좌우측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격벽(103)이 없을 경우 외피(101)가 내피(102)와 에어챔버(106)로 인해 이격된 상태이므로 주행 중 외피(101)가 좌우측방향으로 미끄러짐이 발생되어 정상적인 주행을 방해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격벽(103)을 다수로 형성하여 외피(101)를 붙잡아주도록 하였다.
상기 본체(1)의 내피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다수의 침핀(18)이 형성되거나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고 이면지로 부착된다.
즉 상기 다수의 침핀(18)이 타이어(100)의 트래드(110)에 박히거나 또는 접착제의 접착에 의해 타이어(100)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고정력이 월등히 강화될 수 있다.
상기 본체(1)는 차량 타이어(100)의 원주길이 보다 약간 큰 원주길이를 갖도록 하여 직사각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고, 양쪽 끝단에 체결수단이 형성되어 타이어(100)의 트래드(110)에 감싸진 후 체결수단을 체결시켜 고정된다. 상기 체결수단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 본체(1)에는 타이어(100)의 정확한 정지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감지장치(17)가 마련된다.
상기 감지장치(17)는 본체(1)의 정중앙에 부착된 감지센서(172)와, 상기 감지센서(172)와 연결되어 알람을 발생하며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갖는 박스(174)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를 갖는 박스(174)에는 감지센서(172)의 신호를 받는 수신부와, 신호가 수신되면 부저를 울려 알람을 발생하는 스피커 및 온/오프 제어용 스위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체(1)를 지면에 깔아놓되 타이어(100)의 앞쪽에 진행방향으로 깔아놓은 후 차량을 최소의 속력으로 전진시켜 타이어(100)가 감지센서(172)에 도달하면 감지된 신호를 받아 알람이 발생되므로 이때 차량을 정지시킨다. 알람은 스위치를 오프시켜 끈다.
그러면 타이어(100)가 밟고 지나간 부위는 내피(102)에 형성된 침핀(18)이 타이어(100)의 트래드(110)에 꽂혀져 밀착되므로, 아직 밟지 않은 부위를 타이어(100)의 트래드(110)에 감싼 후 체결수단을 결합시킨다.
상기 체결수단은 본체(1)의 양단부에 각기 형성된 제1 및 제2체결부(14,15)이며, 상기 제1 및 제2체결부(14,15)가 끼움결합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즉 체결수단은 본체(1)의 일단에 형성된 제1결합부(14)와, 상기 제1결합부(14)에 끼워지도록 본체(1)의 타단에 형성된 제2결합부(15) 및 상기 제1결합부(14)와 제2결합부(15)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핀(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본체(1)의 일단에 돌출된 텅(41); 상기 텅(41)이 삽입되도록 본체(1)의 타단에 형성된 장착홈(42);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홈(42)의 내부에 출몰작동되는 후크(43)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4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후크(43)의 출몰작동을 제어하도록 본체(1)의 타단에 노출된 버튼(45)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43)가 끼워지도록 상기 텅(41)에는 후크홈(46)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수단은 통상의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이 적용되며, 버튼(45)을 누르면 후크(43)가 인입되고, 버튼(45)을 놓으면 탄성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43)가 인출되어 텅(41)의 후크홈(46)에 걸려져 고정되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스파이크(12)가 형성된다.
상기 스파이크(12)는, 외피(101)에 부착된 케이싱(121); 상기 케이싱(121) 내에 삽입된 스프링(122); 상기 스프링(122)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싱(121)에 결합된 돌기(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주행시 돌기(123)가 빙판에 접촉되면 박히도록 하고, 딱딱한 아스팔트에서는 돌기(123)가 인입되도록 하여 주행 소음을 절감토록 하였다.
즉 종래 스파이크는 항상 돌출된 형상이므로 빙판 주행시에는 상관없으나 아스팔트에 진입하여 주행하는 경우 딱딱한 스파이크가 아스팔트에 부딪치면서 소음이 과다하게 발생되고 떨림 현상도 초래하게 되므로 속력을 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딱딱한 아스팔트의 주행시에는 돌기가 스프링의 수축에 의해 케이싱 내부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돌기와 아스팔트의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소음 및 떨림 발생을 감소시켜 주행감이 향상될 수 있고 가속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122)은 빙판에서는 돌기(123)가 인입되지 않을 정도로 수축 탄성을 가지며, 딱딱한 아스팔트에서는 돌기(123)가 인입될 수 있도록 수축 탄성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A2)는, 타이어(100)에 장착되었을때 조여져 결속됨으로써 고정력을 갖도록 하는 고정장치(3)가 상기 본체(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는 상술한 제1실시예(A1)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장치(3)는, 상기 본체(1)의 외주면에 형성된 밴드(32); 상기 밴드(32)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튜브(34); 상기 튜브(3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와이어(36); 상기 와이어(36)의 양끝단에 형성되어 록킹되는 록킹장치(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밴드(32)는 대략 본체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며, 일정 폭을 갖도록 한 것이고, 탄력성을 갖고 있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신축성을 갖는다.
따라서 록킹장치(38)를 록킹시키는 과정에서 당기는 힘이 발생되어 밴드(32)가 늘어남으로써 타이어(100)의 외면을 감싸면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록킹장치(3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36)의 일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끼움홈(370)이 형성된 소켓(37); 상기 와이어(36)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소켓(37)에 끼워져 끼움홈(370)에 결합되는 선단부(39); 상기 선단부(39)의 내부에 장착되어, 스프링(394) 탄성에 의해 출몰되어 상기 끼움홈(370)에 결합 및 해제되는 스토퍼(39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와이어(36)의 일단에 스토퍼(39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끼움홈(370)을 갖는 소켓(37)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370)에 대응되도록 와이어(36)의 타단에는 콘 형상의 선단부(39)가 장착된다.
상기 선단부(39)의 내부에는 후크형상의 스토퍼(391)가 내장되며, 또 스토퍼(391)에 연결된 평철(392)의 끝단에는 버튼(393)이 형성되어 선단부(39)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선단부(39)의 내측에는 상기 버튼(393) 및 평철(39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버튼(45)의 누름에 따라 수축 또는 신장되어 스토퍼(391)를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394)이 내장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A3)는, 타이어(100)의 트레드(110)에 장착되도록 타이어의 원주길이보다 약간 큰 원주길이를 갖도록 링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에어챔버(106)가 형성되도록 외피(101)와 내피(102)로 구성된 본체(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C)는 타이어(100)의 트래드(110)에 끼워져 장착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C)의 내부에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에어챔버(106)가 형성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단턱(13)이 형성되어 타이어(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며, 상기 단턱(13)에 공기주입구(11)가 형성된다.
또 본체(1C)에는 타이어(100)의 정확한 정지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감지센서(172) 및 박스(174)로 구성된 감지장치(17)가 형성된다. 상기 감지센서(172) 및 박스(174)는 상술한 제1실시예(A1)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체(1C)의 감지장치(17)가 상부를 향하도록 하여 상부부터 타이어(100)의 상부에 씌워 장착하고, 양측부위를 타이어(100)에 씌워 장착한다.
이후 차량을 최소의 속력으로 전진시켜 감지센서(172)가 지면에 도달하여 알람이 발생되면 차량을 정지시킨다. 알람은 스위치를 오프시켜 끈다.
따라서 아직 씌워지지 않은 본체(1C)의 일부위가 상부로 이동되므로 이를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어(100)에 씌워 결합시킨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본체 11 : 공기주입구
12 : 스파이크 13 : 단턱
14 : 제1체결부 15 : 제2체결부
16 : 고정핀 17 : 감지장치
18 : 침핀 36 : 와이어
37 : 소켓 38 : 록킹장치
39 : 선단부 100 : 타이어
101 : 외피 102 : 내피
103 : 격벽 110 : 트래드

Claims (15)

  1. 타이어의 트레드에 감싸져 장착되며, 내부에 형성된 에어챔버에 공기가 충진되어 팽창되면서 타이어에 밀착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직사각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고, 양쪽 끝단에 체결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에어챔버가 형성되도록 외피와 내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타이어의 외측에 결속되어 고정력을 갖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타이어의 정확한 정지위치를 감지하도록 감지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폭이 타이어의 트래드 보다 넓게 형성되고, 단면이 만곡진 호형으로 형상이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타이어의 외면을 감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챔버는 내부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피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다수의 침핀이 형성되거나 또는 접착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끼워지도록 본체의 타단에 형성된 제2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에 돌출된 텅;
    상기 텅이 삽입되도록 본체의 타단에 형성된 장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의 내부에 출몰작동되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후크의 출몰작동을 제어하도록 본체의 타단에 노출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가 끼워지도록 상기 텅에는 후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본체의 정중앙에 부착된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알람을 발생하며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갖는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외피 내에 매립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삽입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결합된 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밴드;
    상기 밴드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튜브;
    상기 튜브에 삽입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양끝단을 결합시켜 록킹시키는 록킹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결합되며 끼움홈이 형성된 소켓;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소켓에 끼워져 끼움홈에 결합되는 선단부;
    상기 선단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스프링 탄성에 의해 출몰작동되어 상기 끼움홈과 결합 및 해제되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KR1020110099213A 2011-09-29 2011-09-29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KR101386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213A KR101386580B1 (ko) 2011-09-29 2011-09-29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213A KR101386580B1 (ko) 2011-09-29 2011-09-29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117A KR20110115117A (ko) 2011-10-20
KR101386580B1 true KR101386580B1 (ko) 2014-04-18

Family

ID=4502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213A KR101386580B1 (ko) 2011-09-29 2011-09-29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13305A1 (en) * 2018-07-03 2020-01-09 Douglas Merrill Herbert Skid avoidance training ti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613A (ja) * 1995-11-30 1997-06-10 Tsutomu Kudou タイヤ巻嵌型スライドピン付脱着トレッドベルト及びスノータイヤ
KR20010025943A (ko) * 1999-09-02 2001-04-06 유병수 밴드형 자동차 바퀴용 미끌림방지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613A (ja) * 1995-11-30 1997-06-10 Tsutomu Kudou タイヤ巻嵌型スライドピン付脱着トレッドベルト及びスノータイヤ
KR20010025943A (ko) * 1999-09-02 2001-04-06 유병수 밴드형 자동차 바퀴용 미끌림방지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13305A1 (en) * 2018-07-03 2020-01-09 Douglas Merrill Herbert Skid avoidance training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117A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512B1 (ko) 분리형 구조를 가진 차량용 스노우체인
US89792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traction of vehicle wheels
KR101557940B1 (ko) 스노우 체인
KR101386580B1 (ko) 눈길 미끄럼 방지장치
KR200426951Y1 (ko) 자동차용 겨울철 미끄럼방지기구
JP2014198550A (ja) 走行中でもスパイクの出し入れが出来るスパイクタイヤ
KR101181945B1 (ko) 타이어 밀림방지장치
JPH082223A (ja) タイヤ滑り止め装置
KR100581776B1 (ko)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장치
KR200374310Y1 (ko) 자동차바퀴용 스노우밴드
KR101521865B1 (ko) 차량용 스노우체인
KR20130033166A (ko) 스노우 벨트 및 이의 보조 체결 장치
KR20140000975U (ko) 눈길 미끄럼 방지용 타이어 커버
KR200474032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KR200441376Y1 (ko) 이륜차용 스노우 체인
KR200270504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결합부
KR20150055157A (ko) 자동차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장치
KR100329552B1 (ko) 자동차용 타이어 체인 보관구조
KR200318710Y1 (ko)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장치
JPH067925Y2 (ja) タイヤ滑止具の連結具
JPH11245632A (ja) 自動車用タイヤ
KR20110010403U (ko) 스노우체인
KR200293580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결합부
JPH0611202Y2 (ja) タイヤ滑止具の連結具
KR200276438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마찰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