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357B1 -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 프레임으로부터 커버판을 들어올리고 장입 구멍 프레임을 클리닝하기 위한, 석탄 장입 카트 상의 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 프레임으로부터 커버판을 들어올리고 장입 구멍 프레임을 클리닝하기 위한, 석탄 장입 카트 상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357B1
KR101529357B1 KR1020107018309A KR20107018309A KR101529357B1 KR 101529357 B1 KR101529357 B1 KR 101529357B1 KR 1020107018309 A KR1020107018309 A KR 1020107018309A KR 20107018309 A KR20107018309 A KR 20107018309A KR 101529357 B1 KR101529357 B1 KR 101529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ver plate
lifter
clean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295A (ko
Inventor
프란즈-요세프 쉬커
랄프 크노히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인더스트리얼 솔루션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인더스트리얼 솔루션스 아게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인더스트리얼 솔루션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111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1/00Charging devices
    • C10B31/02Charging devices for charging vertically
    • C10B31/04Charging devices for charging vertically coke ovens with horizontal cha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5/00Doors or closures for coke ovens
    • C10B25/20Lids or closures for charging holes
    • C10B25/24Lids or closures for charging holes for ovens with horizontal cha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2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4Removing incrustations by mechanic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5/00Doors or closures for coke ovens
    • C10B25/02Doors; Door frames
    • C10B25/08Closing and opening the doors
    • C10B25/14Devices for lifting do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1/00Charg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1/00Charging devices
    • C10B31/02Charging devices for charging vert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2Removing incrust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 프레임으로부터 커버판을 들어올리고 장입 구멍 프레임을 클리닝하기 위한, 석탄 장입 카트 상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의 기본 구성은 리프팅 자석(5)을 지닌 지지 아암(4)을 구비하는 커버판용 리프터(3)와, 클리닝 헤드(7)를 지닌 지지 아암(4')을 구비하는 프레임 클리너(6), 그리고 지지 아암(4, 4')의 수직 방향 조정을 위한 리프팅 유닛(8, 8')을 포함한다. 커버판용 리프터(3)와 프레임 클리너(6) 각각은 캐리지(12, 12')를 이용하여, 리프팅 자석(5) 또는 클리닝 헤드(7)가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13)과 정렬되는 작동 위치(A)와 장입 구멍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비작동 위치(B)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지(12, 12')는 제1 축을 따라 석탄 장입 카트의 저부측의 레일(14)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프레임(15)과, 이 이동 프레임(15)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16)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16)은 이동 프레임(15)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제2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되고, 상기 커버판용 리프터(3) 및/또는 프레임 클리너(6)를 위한 리프팅 유닛(8, 8')은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 프레임으로부터 커버판을 들어올리고 장입 구멍 프레임을 클리닝하기 위한, 석탄 장입 카트 상의 장치{DEVICE ON A COAL CHARGING CAR FOR LIFTING COVERS FROM FILLING HOLE FRAMES IN THE FURNACE ROOF OF A COKE FURNACE AND FOR CLEANING THE FILLING HOLE FRAMES}
본 발명은 코크스 노(爐)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 프레임으로부터 커버판을 들어올리고 장입 구멍 프레임을 클리닝하기 위한, 석탄 장입 카트 상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리프팅 자석을 지닌 지지 아암을 구비하는 커버판용 리프터와, 클리닝 헤드를 지닌 지지 아암을 구비하는 프레임 클리너, 그리고 지지 아암의 수직 방향 조정을 위한 리프팅 유닛을 포함하며, 커버 리프터와 프레임 클리너 각각은 캐리지를 이용하여, 리프팅 자석 또는 클리닝 헤드가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과 정렬되는 작동 위치와 장입 구멍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비작동 위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상적인 경우에,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들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석탄 장입 카트의 이동 방향으로 정렬된다. 코크스 노에 대한 실제 조건은 이러한 이상적인 경우로부터 자주 벗어난다. 특히 구형 코크스 노에서, 양 축에서의 장입 구멍의 위치 편차는 종종 ± 50 mm이고, 이 위치 편차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센터링 보조 기구를 이용하여 보상될 수 없다. 이로 인해, 장입 구멍의 커버판은 더 이상 자동으로 들어올릴 수 없으며, 이후 장입 구멍 프레임으로 자동 삽입될 수 없고, 장입 구멍 프레임의 클리닝은 또한 더 이상 만족스럽게 기능하지 않는다. 코킹 플랜트(coking plant) 작동에 있어서, 이러한 방식의 석탄 장입 카트의 자동 시퀀스가 중단되는 일이 발생하고, 노동 집약적인 조정이 필요하다. 또한, 노 커버 상의 장입 구멍 프레임은, 커버판용 리프터와 프레임 클리너가 적절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빈번히 재정렬되어야만 하다. 이에 따라, 코킹 플랜트 작동을 위해 현저한 유지 관리비가 소요된다.
장입 구멍 프레임으로부터 커버판을 들어올리고 석탄 장입 프레임을 클리닝하기 위한 장치를 석탄 장입 장치와 통합하는 것이 EP 1 293 552 B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는 출구측 장입 텔레스코우프를 지닌 수평 방향 컨베이어 스크류를 구비하여 작동 유닛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 유닛은 석탄 장입 카트의 저부측 상의 2개의 축에서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공지된 방법과 관련하여, 수평 방향 컨베이어 스크류는 석탄 장입 카트의 저부측 상의 런어웨이에서 안내되는 조정 캐리지 상에 매달린다. 수평 방향 컨베이어 스크류는 조정 캐리지의 프로파일 상에서 이 런어웨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커버판용 리프터와 프레임 클리너는 작동 유닛의 이중축 조정에 의해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의 특정 위치에 맞춰질 수 있다. 공지의 구성을 이용하여, 커버판용 리프터의 리프팅 자석과 프레임 클리너의 클리닝 헤드는, 이들이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과 정렬되는 작동 위치로 올 수 있다. 그러나, 공지의 구성은 석탄 장입 카트의 저부측 상의 석탄 출구 사이에 큰 바닥 공간을 요구하는데, 그 이유는 보상기를 이용하는 수평 방향 컨베이어 스크류의 유입측 단부 상에 부착되기 때문이며, 상기 보상기는 작동 유닛이 2개의 축에서의 작동 유닛의 측방향 조정 이동을 보상해야만 한다. 이러한 설치 공간이 항시 이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공지의 장치는 기존의 코크스 노 설비를 개장하는 데 적합하지 않거나 단지 제한적으로만 적합하다.
본 발명은 서두에서 설명한 의도된 용도를 갖고, 작은 공간을 요구하며, 장입 구멍의 큰 위치 편차를 보상할 수 있고, 기존의 코크스 노 설비를 개장하는 데 적합한 장치를 특정하는 목적을 주안점으로 한다.
서두에서 설명한 특징을 갖는 장치로부터 나아가, 상기 목적은 제1 축을 따라 캐리지가 석탄 장입 카트의 저부측의 레일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프레임과, 이 이동 프레임 내측에 배치되고, 이동 프레임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제2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되는 지지 프레임, 그리고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커버판용 리프터 및/또는 프레임 클리너용 리프팅 유닛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지지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은 서로 수직인 2개의 축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장입 구멍 프레임의 위치 편차는 이동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의 단계적이고 순차적인 이동에 의해 또는 이들 구성 요소의 동시 조정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이동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리지의 설치 높이는, 구형 코크스 노도 역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개장될 수 있도록 낮다.
이동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평면에 배치된다. 그러한 구성으로 인해 이동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리지의 전체 높이가 매우 낮아진다. 이동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은 편의상 U자형 프로파일로부터 조립되고, 이동 프레임의 U자형 프로파일에서 주행하는 롤러가 지지 프레임에 장착된다. 이동 프레임에도 역시 롤러가 장착되며, 이동 프레임은 석탄 장입 카트의 수평 방향 컨베이어 스크류 아래에 체결되는 런어웨이에서 주행한다. 이동 프레임을 위한 레일은 바람직하게는, 거더(girder)를 이용하여 석탄 장입 카트 상에 매달리고 측방향으로 개방된 U자형 프로파일로 이루어진다. 이동 프레임 상에 장착된 롤러는 일측부가 개방되어 있는 U자형 프로파일에 맞물리고, 이들 레일에서 주행한다.
유압 액추에이터가 바람직하게는 지지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의 수평 방향 조정 이동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거리 측정 장치가 장착된 유압 액추에이터가 지지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에 부착된다.
유압 액추에이터는 석탄 장입 카트의 기계 컨트롤러에 접속 가능하며, 이 기계 제어기에는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의 위치에 대한 위치 내역이 저장되어 있다. 이상적인 위치로부터 x 및 y 방향으로의 장입 구멍 프레임의 편차는 측정 기술을 이용하여 모든 장입 구멍 프레임에서 탐지되고 석탄 장입 카트의 기계 제어기에 저장된다. 각각의 노 챔버와 각각의 장임 구멍 프레임에 대한 이러한 편차의 할당으로 인해, 커버판용 리프터와 프레임 클리너는, 커버판용 리프터의 리프팅 자석 및/또는 프레임 클리너의 클리닝 헤드가 장입 구멍 프레임에 대해 중앙에 배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할당된 캐리지의 위치 설정 이동에 의해 위치 설정될 수 있고, 순수한 수직 이동에 의해 커버 상으로 및/또는 장입 구멍 프레임 내로 하강될 수 있다. 장치의 극심한 경사 위치와 진자 운동이 생략되어, 장치의 모든 구성 요소가 최적으로 기능하고 장입 구멍 커버판은 안전하게 상승될 수 있거나/있고 프레임 내로 다시 삽입될 수 있으며, 장입 구멍 프레임은 신뢰성 있게 클리닝될 수 있다. 사실상 통상적이고 사고 방지의 관점에서의 위험을 나타내는, 장입 구멍 커버판 상의 센터링 보조 기구가 생략된다. 커버판용 리프터와 프레임 클리너의 위치 교정을 위한 캐리어의 이중축 조정 이동은 대안으로서 석탄 장입 카트의 이동 중에 이미 수행될 수도 있고, 장입이 행해지는 노 챔버 상의 석탄 장입 카트의 위치 설정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압 액추에이터가 광 측정 장치와 협동하며, 상기 광 측정 장치는 석탄 장입 카트 상에 배치되고 장입 구멍의 실제 위치를 탐지한다. 측정된 데이터는 유압 실린더의 제어기에 직접 전송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는 커버판용 리프터의 캐리지와 프레임 클리너의 캐리지를 장입 구멍 프레임의 위치로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판용 리프터와 프레임 클리너를 위한 리프팅 유닛이 항당된 캐리지의 지지 프레임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지지 프레임에 대해 작용하는 액추에이터에는 이 경우에 거리 측정 장치가 장착되고, 이 액추에이터는 요구되는 교정을 고려하면서, 커버판용 리프터 및/또는 프레임 클리너가 장입 구멍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는 비작동 위치로부터 장착 구멍 상의 작동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특정 위치 설정 스트로크는 교정되는 위치 편차의 함수이며, 장착 구멍마다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장착 구멍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커버판용 리프터/프레임 클리너의 이동과 교정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분리된다. 이 경우, 커버판용 리프터와 프레임 클리너를 위한 리프팅 유닛 각각은, 할당된 캐리지의 지지 프레임 내부에서 지지 프레임의 프로파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주행부에 체결된다. 주행부는 바람직하게는 지지 프레임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에 따라 주행부의 이동이 지지 프레임의 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유압 액추에이터는 캐리지에 대해 작용하며, 이 유압 액추에이터는 할당된 지지 프레임 상에 지지되며, 각기 장착 구멍 상의 작동 위치와 장착 구멍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비작동 위치 사이의 영구 설정 가능한 위치 설정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커버판용 리프터와 프레임 클리너를 이동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x 및 y 방향으로의 모든 교정 이동과 작동 위치와 비작동 위치 사이의 이동은 분리된다.
커버 리프터와 프레임 클리너의 캐리지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이동 프레임을 구비하며, 이 이동 프레임들은 공간적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있고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캐리지들의 공간적 분리로 인해 구성 조건에 대해 유연하게 맞춰지게 되고, 이는 구형 코킹 플랜트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개장되어야만 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구성 조건이 이를 허용하면, 캐리지를 위해 공유 이동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프레임에 관하여 2개의 대안이 생긴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판용 리프터와 프레임 클리너를 위한 지지 프레임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거리 측정 유닛이 장착된 별도의 위치 설정 구동부를 이용하여 공유 이동 프레임 내측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제2 변형예에 따르면, 커버판용 리프터와 프레임 클리너는 또한 공유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이 공유 지지 프레임은 이동 가능하고, 거리 측정 유닛이 장착된 위치 설정 구동부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커버판용 리프터와 프레임 클리너의 리프팅 유닛은 각각의 주행부에 체결되고, 상기 주행부는 지지 프레임 내측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커버판용 리프터(3)와 프레임 클리너(6)가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 상에서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하고, 예정된 기본 위치로부터의 x 방향 및 y 방향으로의 장입 구멍의 작동 가능하게 관련된 위치 편차를 보상할 수 있다.
도 1은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 프레임으로부터 커버판을 들어올리고 장입 구멍 프레임을 클리닝하는, 석탄 장입 카트의 저부측 상의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후에는, 단독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단일 도면에는,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 프레임(2)으로부터 커버판(1)을 들어올리고, 장입 구멍 프레임(2)을 클리닝하는, 석탄 장입 카트(도시하지 않음)의 저부측 상의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의 기본 구성은 리프팅 자석(5)을 지닌 지지 아암(4)을 구비하는 커버판용 리프터(3)와, 클리닝 헤드(7)를 지닌 지지 아암(4')을 구비하는 프레임 클리너(6), 그리고 지지 아암(4, 4')의 수직 방향 조정을 위한 리프팅 유닛(8, 8')을 포함한다. 커버판용 리프터(3)와 프레임 클리너(6)는 장입 유닛(9)의 양측부 상에 배치되며, 장입 유닛은 석탄 장입 카트의 저부측 상에 배치되고 수평 방향 컨베이어 스크류(10)와 장입 텔레스코우프(11)를 포함한다. 커버판용 리프터(3)와 프레임 클리너(6) 각각은 캐리어(12, 12')를 이용하여, 리프팅 자석(5) 또는 클리닝 헤드(7)가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13)과 정렬되는 작동 위치(A)와 장입 구멍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비작동 위치(B)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커버판용 리프터(3)를 위한 캐리지(12)와 프레임 클리너(6)를 위한 캐리지(12')는 대체로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구현된다. 이들 캐리지 각각은 제1 축(y)을 따라 석탄 장입 카트의 저부측의 레일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프레임(15)과, 이동 프레임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16)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이동 프레임(15)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제2 축(x)을 따라 이동 프레임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커버판용 리프터(3)를 위한 리프팅 유닛(8)과 프레임 클리너(6)를 위한 리프팅 유닛(8')은 캐리지(12, 12')의 지지 프레임(16) 상에 각각 배치된다.
도면으로부터, 이동 프레임(15)과 지지 프레임(16)이 하나의 평면에 배치된다는 것이 자명하다. 2개의 프레임(15, 16)은 U자형 프로파일로 구성된다. 이동 프레임(15)의 U자형 프로파일에서 주행하는 롤러(17)는 지지 프레임(16) 상에 장착된다. 이동 프로파일(15)을 위한 레일(14)도 역시 U자형 프로파일로 구성되며, 상기 레일은 거더(18)를 이용하여 석탄 장입 카트(도시하지 않음) 상에 매달리고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레일(14)에서 주행하는 롤러(19)는 이동 프레임(15) 상에 장착된다. 이동 프레임(15)과 이 이동 프레임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16)은 x 방향 및 y 방향으로의 수평 방향 조정 이동을 허용하는 캐리지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프레임(15)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14)은 석탄 장입 카트의 이동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편, 지지 프레임(16)은 이동 프레임(15) 상에서 노 챔버의 축(x축) 방향으로, 석탄 장입 카트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고정은 구성 조건의 기능이다. 구성 조건에 따라, 이동 프레임(15)을 안내하는 레일(14)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 프레임(16)이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 편리할 수 있다.
거리 측정 장치가 장착된 유압 액추에이터(20)가 지지 프레임(16)과 이동 프레임(15)에 부착된다. 유압 액추에이터(20)는 석탄 장입 카트의 기계 컨트롤러에 접속 가능하며, 이 기계 컨트롤러에는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13)의 위치에 대한 위치 내역이 저장된다. 대안으로서, 유압 액추에이터(20)는 광 측정 유닛과 협동할 수 있으며, 상기 광 측정 유닛은 석탄 장입 카트 상에 배치되고 장입 구멍(13)의 위치를 탐지한다. 도면에 도시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버판용 리프터(3)와 프레임 클리너(6)의 리프팅 유닛(8, 8')은 주행부 캐리지(21, 21')에 체결되며, 상기 주행부 캐리지는 지지 프레임(16)의 프로파일을 따라, 할당된 캐리지(12, 12')의 지지 프레임(16) 내측에서 지지 프레임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유압 액추에이터(22)는 주행부(21, 21')에 대해 작용하여, 상기 주행부는 할당된 지지 프레임(16) 상에 지지되고, 각기 장입 구멍 상의 작동 위치(A)와 장입 구멍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비작동 위치(B) 사이의 영구 설정 가능한 위치 설정 스트로크(a, b)를 이용하여 커버판용 리프터(3)와 프레임 클리너(6)를 이동시킨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버판용 리프터(3)와 프레임 클리너(6)를 위한 캐리지(12, 12') 각각은 이동 프레임을 구비하고, 이 이동 프레임들은 공간적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있으며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구성 조건이 허용한다면, 캐리지(12, 12')는 또한 공유 이동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공유 이동 프레임에 프레임 클리너와 커버판용 리프터를 위한 지지 프레임(16)이 배치되고, 이 지지 프레임은 이동 프레임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커버판용 리프터(3)와 프레임 클리너(6)가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 상에서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하고, 예정된 기본 위치로부터의 x 방향 및 y 방향으로의 장입 구멍의 작동 가능하게 관련된 위치 편차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형 코크스 플랜트에서, 위치 편차의 크기는 종종 x축 및 y축 모두에서 ± 100 내지 150 mm이다. 장입 구멍 프레임(2)에 관한 수평 방향 위치 편차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측정되고, 각각의 장입 구멍에 대해서 석탄 장입 카트 상의 기계 컨트롤러에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갱신된다. 석탄 장입 카트는 코크스 노의 코 커버 상에서 이동되며, 장입 구멍에 관한 위치 편차를 고려하지 않고 노 챔버로의 장입을 위해 장입 구멍(13)으로 지정된 미리 정해진 지점에 위치 설정된다. 커버판용 리프터(3)와 프레임 클리너(6)는 후속하여 장입 구멍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비작동(B) 위치로부터 장입 구멍에 인접한 작동 위치(A)로 이동되고, 커버판용 리프터(3)의 리프팅 자석(5) 및/또는 프레임 클리너(6)의 클리닝 헤드(7)가 커버/장입 구멍 프레임에 센터링되게 배향되도록 캐리어(12, 12')의 이중축 보상 이동에 의해 위치 설정된다. 제1 단계에서, 리프팅 자석(5)은 장입 구멍 커버판 상으로 하강되고 작동된다. 장입 구멍 커버판은 장입 구멍(13)으로부터 들어올려지고 비작동 위치(B)로 이동된다. 다음 단계에서, 프레임 클리너(6)의 클리닝 헤드가 장입 구멍 프레임(2)으로 하강되고 장입 구멍이 클리닝된다. 클리닝이 종료되고 프레임 클리너(6)가 다시 비작동 위치로 이동된 후, 장입 텔레스코우프(11)가 하강되고, 코크스 노 챔버에 공급 석탄이 장입된다. 장입 절차가 종료되고 장입 구멍 커버판이 커버판용 리프터에 의해 재삽입되고 난 후, 캐리지(12. 12')의 이동 프레임(15)이 다시 그 시작 위치로 이동되며, 이러한 과정은 석탄 장입 카트가 석탄 저장고로 이동하는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커버판용 리프터와 프레임 클리너는 이제 다시, 장입을 위해 다음 노 챔버에서 재조정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다.
1 : 커버판
2 : 장입 구멍 프레임
3 ; 커버판용 리프터
4, 4' : 지지 아암
5 : 리프팅 자석
6 : 프레임 클리너
7 : 클리닝 헤드
13 : 장입 구멍
8, 8' : 리프팅 유닛
12, 12' : 캐리지
14 : 레일
15 : 이동 프레임
16 : 지지 프레임
20 : 유압 액추에이터

Claims (14)

  1.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 프레임으로부터 커버판을 들어올리고 장입 구멍 프레임을 클리닝하기 위한, 석탄 장입 카트 상의 장치로서,
    리프팅 자석(5)을 지닌 지지 아암(4)을 구비하는 커버판용 리프터(3)와,
    클리닝 헤드(7)를 지닌 지지 아암(4')을 구비하는 프레임 클리너(6), 그리고
    상기 지지암(4, 4')의 수직 방향 조정을 위한 리프팅 유닛(8, 8')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판용 리프터(3)와 프레임 클리너(6) 각각은 캐리지(12, 12')를 이용하여, 리프팅 자석(5) 또는 클리닝 헤드(7)가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13)과 정렬되는 작동 위치(A)와 장입 구멍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비작동 위치(B)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12, 12')는 이동 프레임(15)과, 이 이동 프레임(15)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16)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15)은 제1 축을 따라 석탄 장입 카트의 저부측의 레일(14)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16)은 이동 프레임(15)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제2 축을 따라 이동 프레임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되며, 상기 커버판용 리프터(3) 또는 프레임 클리너(6)를 위한 리프팅 유닛(8, 8')은 지지 프레임(16) 상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판용 리프터(3)와 프레임 클리너(6)를 위한 리프팅 유닛(8, 8')은 각각 주행부(21, 21')에 체결되며, 상기 주행부는 할당된 캐리지(12, 12')의 지지 프레임(16) 내측에서 지지 프레임의 프로파일을 따라, 지지 프레임(16)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15)과 지지 프레임(16)은 하나의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15)과 지지 프레임(16)은 U자형 프로파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16) 상에는 이동 프레임(15)의 U자형 프로파일에서 주행하는 롤러(17)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15)을 위한 레일(14)은 U자형 프로파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은 거더(girder)(18)를 이용하여 석탄 장입 카트 상에 매달리고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일측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기 레일(14)에서 주행하는 롤러(19)는 이동 프레임(15)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16)과 이동 프레임(15)에는, 거리 측정 장치가 장착된 유압 액추에이터(2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는 석탄 장입 카트의 기계 제어기에 접속되고, 상기 기계 제어기에는,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13)의 위치에 관한 위치 내역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20)는 광 측정 유닛과 함께 협동하며, 상기 광 측정 유닛은 석탄 장입 카트 상에 배치되고 장입 구멍(13)의 위치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유압 액추에이터(22)가 상기 주행부(21, 21')에 대해 작용하고,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는 할당된 지지 프레임(16) 상에서 지지되고, 장입 구멍에 있는 작동 위치(A)와 장입 구멍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비작동 위치(B) 사이의 영구 설정 가능한 위치 설정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커버판용 리프터(3)와 프레임 클리너(6) 각각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용 리프터(3)와 프레임 클리너(6)의 캐리지(12, 12')는 각각 이동 프레임(15)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15)들은 서로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있고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12, 12')는 공유 이동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클리너(6)와 커버판용 리프터(3)를 위한 지지 프레임(16)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별도의 위치 설정용 구동부(20)를 이용하여 위치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설정 구동부에는 거리 측정 유닛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용 리프터(3)와 프레임 클리너(6)는 공유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기 공유 지지 프레임은 거리 측정 유닛이 장착된 위치 설정용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 가능하고 정확하게 위치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판용 리프터(3)와 프레임 클리너(6)를 위한 리프팅 유닛(8, 8')은, 지지 프레임 내측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별도의 주행부(21, 21')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07018309A 2008-02-07 2009-01-24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 프레임으로부터 커버판을 들어올리고 장입 구멍 프레임을 클리닝하기 위한, 석탄 장입 카트 상의 장치 KR101529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08291.0 2008-02-07
DE102008008291A DE102008008291B3 (de) 2008-02-07 2008-02-07 Vorrichtung an einem Kohlefüllwagen zum Abheben von Deckeln aus Fülllochrahmen in der Ofendecke eines Koksofens und zum Reinigen der Fülllochrahmen
PCT/EP2009/000460 WO2009097984A2 (de) 2008-02-07 2009-01-24 Vorrichtung an einem kohlefüllwagen zum abheben von deckeln aus füllochrahmen in der ofendecke eines koksofens und reinigen der füllochraham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295A KR20100111295A (ko) 2010-10-14
KR101529357B1 true KR101529357B1 (ko) 2015-06-16

Family

ID=4067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309A KR101529357B1 (ko) 2008-02-07 2009-01-24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 프레임으로부터 커버판을 들어올리고 장입 구멍 프레임을 클리닝하기 위한, 석탄 장입 카트 상의 장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8714899B2 (ko)
EP (1) EP2245116B1 (ko)
JP (1) JP5502758B2 (ko)
KR (1) KR101529357B1 (ko)
CN (1) CN101939403B (ko)
AR (1) AR070565A1 (ko)
AU (1) AU2009211901B2 (ko)
BR (1) BRPI0907369A2 (ko)
CA (1) CA2713851A1 (ko)
CL (1) CL2009000172A1 (ko)
DE (1) DE102008008291B3 (ko)
MX (1) MX2010008303A (ko)
PL (1) PL2245116T3 (ko)
RU (1) RU2485165C2 (ko)
TW (1) TWI472604B (ko)
UA (1) UA98998C2 (ko)
WO (1) WO2009097984A2 (ko)
ZA (1) ZA20100560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1158A (zh) * 2016-09-20 2017-02-08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顶装焦炉入炉煤堆密度的压实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7731B2 (en) 2005-05-30 2013-02-05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Peritoneal dialysis fluid
DE102008008291B3 (de) * 2008-02-07 2009-07-09 Uhde Gmbh Vorrichtung an einem Kohlefüllwagen zum Abheben von Deckeln aus Fülllochrahmen in der Ofendecke eines Koksofens und zum Reinigen der Fülllochrahmen
DE102008008713B4 (de) * 2008-02-11 2013-04-25 Thyssenkrupp Uhde Gmbh Vorrichtung zum Befüllen von Ofenkammern eines Koksofens
DE102010010184A1 (de) 2010-03-03 2011-09-08 Uhd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kokung von Kohlemischungen mit hohen Treib-druckeigenschaften in einem "Non-Recovery"- oder "Heat-Recovery"-Koksofen
DE102013019053A1 (de) * 2013-11-15 2015-05-21 Hude Gmbh Koksofenbedienungsmaschinen, die ein Türwerkzeug aufweisen
CN103725297A (zh) * 2013-12-31 2014-04-16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导烟车的清扫装置
JP6297015B2 (ja) * 2015-09-28 2018-03-20 アイシン高丘株式会社 溶解材料供給装置
CN105131982A (zh) * 2015-09-28 2015-12-09 大连华锐重工焦炉车辆设备有限公司 一种捣固焦炉u型管导烟车用炉孔清扫装置
CN108856020B (zh) * 2018-07-31 2023-10-10 山西阳光焦化集团股份有限公司 焦炉炉盖清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0563A (ja) * 1991-11-25 1993-06-08 Sumitomo Heavy Ind Ltd 石炭装入車用装入部の掃除装置、その位置合わせ装置およびその位置合わせ方法
EP1293552A2 (de) * 2001-09-14 2003-03-19 Thyssen Krupp EnCo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chickung von Koksöfen einer Koksofenbatteri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63667A1 (ru) * 1939-01-13 1943-11-30 Л.Н. Лицин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ехан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дверных рам и уборки концов на коксовых печах
US3160573A (en) * 1961-07-31 1964-12-08 K Bureau Koksohimmash Giprokok Machine for removal and mounting of covers of the coke oven loading manholes and forsubsequent removal of coal charge around these manholes
DE2318345A1 (de) * 1973-04-12 1974-10-31 Kloeckner Humboldt Deutz Ag Einrichtung zum magnetischen abheben der fuellochdeckel von verkokungskammeroefen
US3955232A (en) * 1974-06-06 1976-05-11 Koritsu Kikaikogyo Co., Limited Coke oven cleaner
DE3016418C2 (de) * 1980-04-29 1985-08-14 Bergwerksverband Gmbh Vorrichtung für das Öffnen, Schließen und Reinigen der Füllöcher von durch Kohleförderer beschickbaren Koksöfen
DE3316936A1 (de) * 1983-05-09 1984-11-15 Dr. C. Otto & Co Gmbh, 4630 Bochum Einrichtung zum abheben und aufsetzen der fuellochdeckel an horizontalkammer-verkokungsoefen und zum reinigen der dichtflaechen
RU1789547C (ru) * 1990-07-24 1993-01-23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им.А.И.Целикова Механизм дл чистки дверцы и планирного лючка двери коксовой камеры
US5917600A (en) * 1997-06-18 1999-06-29 Cybo Robots, Inc Displacement sensor
EP0903393B1 (de) * 1997-09-23 2001-12-05 Thyssen Krupp EnCoke GmbH Kohlefüllwagen zum Befüllen von Verkokungskammern einer Koksofenbatterie
US5941445A (en) * 1997-11-24 1999-08-24 Bethlehem Steel Corporation Apparatus for refurbishing a coke oven doorjamb
DE10113891C2 (de) * 2001-03-21 2003-07-17 Thyssen Krupp Encoke Gmbh Vorrichtung zum Ausheben von Ofentüren eines Verkokungsofens
CN2908502Y (zh) * 2006-04-21 2007-06-06 住重机器系统株式会社 炉框扫除装置
DE102007046804B4 (de) * 2007-09-29 2010-01-14 Uhde Gmbh Reinigungsvorrichtung für den Rahmen einer Koksofenkammer
DE102008008291B3 (de) * 2008-02-07 2009-07-09 Uhde Gmbh Vorrichtung an einem Kohlefüllwagen zum Abheben von Deckeln aus Fülllochrahmen in der Ofendecke eines Koksofens und zum Reinigen der Fülllochrahm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0563A (ja) * 1991-11-25 1993-06-08 Sumitomo Heavy Ind Ltd 石炭装入車用装入部の掃除装置、その位置合わせ装置およびその位置合わせ方法
EP1293552A2 (de) * 2001-09-14 2003-03-19 Thyssen Krupp EnCo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chickung von Koksöfen einer Koksofenbatteri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1158A (zh) * 2016-09-20 2017-02-08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顶装焦炉入炉煤堆密度的压实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005606B (en) 2011-11-30
UA98998C2 (ru) 2012-07-10
EP2245116B1 (de) 2014-07-02
CL2009000172A1 (es) 2009-12-18
WO2009097984A2 (de) 2009-08-13
JP2011511140A (ja) 2011-04-07
CA2713851A1 (en) 2009-08-13
DE102008008291B3 (de) 2009-07-09
AU2009211901B2 (en) 2013-01-10
WO2009097984A3 (de) 2009-11-12
AR070565A1 (es) 2010-04-21
TWI472604B (zh) 2015-02-11
US8714899B2 (en) 2014-05-06
BRPI0907369A2 (pt) 2015-07-14
RU2010137116A (ru) 2012-03-20
RU2485165C2 (ru) 2013-06-20
AU2009211901A1 (en) 2009-08-13
JP5502758B2 (ja) 2014-05-28
EP2245116A2 (de) 2010-11-03
MX2010008303A (es) 2010-11-12
PL2245116T3 (pl) 2015-02-27
TW201002809A (en) 2010-01-16
CN101939403B (zh) 2013-05-15
CN101939403A (zh) 2011-01-05
US20110030157A1 (en) 2011-02-10
KR20100111295A (ko)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357B1 (ko)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 프레임으로부터 커버판을 들어올리고 장입 구멍 프레임을 클리닝하기 위한, 석탄 장입 카트 상의 장치
RU248412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блоков обслуживания углезагрузочного вагона на загрузочных отверстиях коксовой печи
JP2011511140A5 (ko)
KR101548030B1 (ko) 코크스로의 노 챔버 장입 장치
CN101759015B (zh) 滑架随行机构
CN104070852A (zh) 记录装置
CN112074630B (zh) 具有改进的基本构造的、用于开松压紧的纤维包的开包机
KR101222487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모듈 설치 장치
JP5442640B6 (ja) コークス炉の炉室に石炭を満たす装置
KR200310343Y1 (ko) 코크스 오븐 연소실 온도 측정장치_
TWI433920B (zh) 用於對煉焦爐之爐室進料之裝置
WO2017168311A1 (en) System for feeding coke-producing ovens, system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heating chambers of a coke-producing oven and charging car for a coke- producing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