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187B1 -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187B1
KR101528187B1 KR1020130144218A KR20130144218A KR101528187B1 KR 101528187 B1 KR101528187 B1 KR 101528187B1 KR 1020130144218 A KR1020130144218 A KR 1020130144218A KR 20130144218 A KR20130144218 A KR 20130144218A KR 101528187 B1 KR101528187 B1 KR 101528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pper
weight
film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0139A (ko
Inventor
강용석
Original Assignee
아진레이어 주식회사
강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진레이어 주식회사, 강용석 filed Critical 아진레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4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18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02Provisions for preventing vegetational growth, e.g. fungi, algae or mo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는 구리수용액을 건조시켜 얻은 구리분말을 아스팔트, 스틸렌 부타디엔 스틸렌 고무, 감광수지, 증점 안정화제, 경화촉진제, 폴리프로필렌 섬유, 실리카메탈, 돌로마이트, 탄산칼슘과 함께 교반하여 제조되며,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는, 기본 방수시트(110) 일측면 겹침부에 구리박막(120)이 길이방향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은 1차 도막제 도포단계, 시트부착단계, 2차 도막제 도포단계, 시트적층단계, 3차 도막제 도포단계, 필름테이프부착단계, 방수테이프부착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시트에 부착된 띠 모양의 세로 방향 구리박막(120a)과 가로 방향 구리박막(120b), 그리고 방근용 도막제(200), PET필름테이프(300) 및 방수테이프(400)를 이용해 견고한 적층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방근성능을 높이고, 이와 더불어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using material made of copper solution for root-proof and root-proof sheet with a thin copper film}
본 발명은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 방수시트의 사이드랩 부위에 띠 모양의 구리박막(120)을 부착시킴으로써 방근기능이 개선된 방근시트(100)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서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200)를 도포하여 시트를 접착시킴으로써 들뜸현상을 방지하고 틈새를 채우는 수밀한 방근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옥상 녹화를 위한 구조의 방근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200)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100)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 생태계 및 도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건물의 옥상녹화 또는 실내정원을 조성하는 사업을 많이 하고 있는데, 이는 옥상녹화 및 실내정원을 가꾸는 것은 토양 생태계의 복원, 냉난방 에너지 절약, 도시 열섬화 현상 완화, 도시 홍수 예방, 공기 정화, 수질 정화, 소음 경감, 도시 경관 향상, 건축물의 내구성 향상 등 환경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 등에서 여러 가지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옥상녹화의 많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옥상녹화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식물의 뿌리가 바닥면으로 침투하면서 방수층의 파손으로 건축물의 방수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즉, 옥상 또는 실내에 심은 식물의 뿌리가 방근시트를 뚫고 들어가서 그 하부에 있는 방수층까지 파손시켜 방수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큰 문제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 개발이 시행되는 중이며 하기 특허문헌1인 "방근시트와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 복합방근 구조의 시공방법"(등록특허 제 10-0872127 호)과 같이 방수 및 방근을 위한 복합시트가 발명되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트의 겹침부에 생기는 틈새 또는 방근시트의 접합부에서 들뜸이나 박리현상이 일어고 식물 뿌리가 그러한 틈새나 접합부 사이로 침투하여 여전히 방수 및 방근층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허문헌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72127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시트의 겹침부에 띠 모양의 구리박막(120)을 부착하여 더 효과적인 방근기능을 수행하는 방근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구리박막(120)이 부착된 시트의 겹침부(130)나 시트와 바닥면(10) 사이에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200)를 도포하여 접착시킴으로써 접합부의 들뜸이나 박리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겹침부(130)에 도포된 도막제를 건조시킨 후, 그 상부에 피이티(PET)필름테이프(300) 및 부틸고무 방수테이프(400)를 부착하여 보호함으로써 방수 및 방근기능이 효과적으로 개선된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200)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100)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은 구리수용액을 건조시켜 얻은 구리분말의 35~80 중량부를 아스팔트 32~55 중량부, 스틸렌 부타디엔 스틸렌 고무 0.46~1.9 중량부, 감광수지 15~25 중량부, 증점 안정화제 1.2~2.5 중량부, 경화촉진제 0.8~1.0 중량부, 폴리프로필렌 섬유 0.15~0.22 중량부, 실리카메탈 0.12~0.18 중량부, 돌로마이트 1.5~2.3 중량부, 탄산칼슘 35~45 중량부와 함께 교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근용 도막제와 두께가 1~2㎜인 고분자 합성수지 필름시트의 하부에 두께가 2~3㎜ 정도인 아스팔트 컴파운드 층을 합지하되, 상기 아스팔트 컴파운드 층은 부직포의 양면에 아스팔트 컴파운드를 함침시켜 제작된 기본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본 방수시트 상면의 세로방향 겹침부에 길이방향으로 폭이 40~50㎜이고 두께가 40~50㎛인 띠 모양의 구리박막(120)을 부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100)를 이용하며, 상기 방근용 도막제(200)를 상기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의 면적으로 두께가 1~3㎜가 되도록 바닥면에 도포하는 1차 도막제 도포단계, 구리박막이 부착된 제1 방근시트를 도포된 상기 방근용 도막제 상부에 부착시키는 시트부착단계, 상기 제1 방근시트에 부착된 구리박막이 일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리박막의 표면 중간지점에서부터 외부로 상기 방근용 도막제를 부착될 시트의 면적으로 두께가 1~3㎜가 되도록 겹침부와 외부 바닥면에 도포하는 2차 도막제 도포단계, 상기 2차 도막제 도포단계에 의해 도포된 상기 방근용 도막제의 상부에 구리박막이 부착된 제2 방근시트를 상기 제1 방근시트에 부착된 구리박막의 상부가 일부 노출되도록 부착 및 적층시키는 시트적층단계, 상기 제1 방근시트와 제2 방근시트가 겹쳐져서 구성된 겹침부와 일부 노출된 상기 제1 방근시트에 부착된 구리박막의 상부에 상기 방근용 도막제를 한번 더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3차 도막제 도포단계, 상기 3차 도막제가 도포된 상부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테이프(300)를 60~80㎜ 폭으로 부착하는 필름테이프부착단계, 상기 도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테이프 상부에 방수테이프(400)를 70~90㎜ 폭으로 부착하는 방수테이프부착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리수용액은 정제수 95~98 중량부 대비 탄산나트륨 수화물 1~2 중량부, 염화나트륨 0.1~0.15 중량부, 산화철 0.003~0.005 중량부를 교반하여 용해액을 제조하고, 상기 용해액 100중량부에 청수 80~95 중량부, 산화구리 250~420 중량부, 알코올 5~12 중량부를 넣고 교반하여 산화구리를 용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 도막제 도포단계 및 시트적층단계에 있어서, 상기 2차 도막제 도포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방근시트에 부착된 구리박막(120) 폭의 ⅓~½ 이 노출되도록 상기 방근용 도막제(200)를 도포하고, 상기 시트적층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방근시트에 부착된 구리박막(120) 폭의 ⅓~½ 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2 방근시트를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는, 제1 방근시트 상면의 가로방향 겹침부(130b)에 폭이 40~50㎜이고 두께가 40~50㎛인 띠 모양의 가로 구리박막(120b)이 더 부착되고, 상기 방근구조의 시공방법은, 상기 2차 도막제 도포단계 부터 상기 방수테이프부착단계까지 동일한 순서대로 상기 가로 구리박막(120b) 및 가로방향 겹침부(130b)에 대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리박막(120)이 부착된 방근시트(100)는 시트의 겹침부에 세로 또는 가로방향으로 띠 모양의 구리박막(120)을 부착하여 더 효과적인 방근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리박막(120)이 부착된 방근시트의 겹침부(130)에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200)를 도포하거나 방근시트와 바닥면 사이에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200)를 도포하여 접착시킴으로써 접합부의 들뜸이나 박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포된 도막제 상부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테이프(300)와 부틸고무 방수테이프(400)를 부착하여 이중 또는 삼중으로 방수 및 방근층을 보호함으로써 더 효과적인 방수 및 방근기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물의 훼손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띠 모양의 구리박막(120)이 세로방향 겹침부(130a)에 부착된 방근시트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띠 모양의 구리박막(120)이 세로 및 가로방향의 겹침부(130a, 130b)에 하나씩 부착된 방근시트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방근시트가 시공된 방근구조의 단면도.
도 4은 도 3의 시공과정 순서도.
도 5a는 금속을 바로 첨가하여 제작된 도막제 사용시 금속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b는 본 발명에 사용된 구리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 사용시 금속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200)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100)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과 단계로 이루어 진다.
먼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구리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200)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100)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구리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200)는 아스팔트, 스틸렌 부타디엔 스틸렌 고무, 감광수지, 증점 안정화제, 경화촉진제, 폴리프로필렌 섬유, 실리카메탈, 돌로마이트, 탄산칼슘, 구리수용액을 건조시켜 얻은 구리분말을 함께 교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컷백 아스팔트, 블로운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그 중에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방수시트에 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로서, 방수시트와의 친화도가 높아 경화 시 방수시트와 일체화됨으로써 강한 방수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상기 아스팔트는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2~55 중량부가 포함된다.
상기 스틸렌 부타디엔 스틸렌 고무는 접착기능을 하며,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46~1.9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틸렌 부타디엔 스틸렌 고무는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블록공중합체이며, 스틸렌 블럭, 부타디엔 블럭, 스틸렌 블럭 순으로 배열되는 고분자이다. 상기 스틸렌 부타디엔 스틸렌 고무에서 스틸렌 블럭은 스틸렌 부타디엔 스틸렌 고무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며, 부타디엔 블럭은 스틸렌 부타디엔 스틸렌 고무를 고무처럼 거동시킨다.
상기 감광수지(Photo resist)는 방향족 비스아지드(bis-azide), 메타크릴산 에스텔(methacrylic acid ester), 계피산 에스텔 등이 있으며 빛이 닿으면 화학변화를 일으켜 빛이 닿은 부분만 불용화하여 레지스트가 남는 특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2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점 안정화제는 점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불용성분의 안정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셀룰로스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2.5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촉진제는 경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혼합제로서 염화칼슘이나 염화마그네슘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0.8~1.0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보강제로서 밀도 및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고 부착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5~0.22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메탈(Silica metal)은 규소철 등의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로부터 포집된 마이크로실리카 입자이며, 시멘트 및 콘크리트 제품, 내화물, 폴리머에 첨가되는 물질이다. 상기 실리카메탈은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2~0.18 중량부로 본 발명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름성이 향상되도록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로마이트는 탄산석회와 탄산마그네슘이 1:1로 복 탄산염을 이룬다. 돌로마이트가 본 발명에 첨가되면 내화물의 수명이 연장되고 건축물 보호에 유리한 효과가 발휘된다. 상기 효과를 위하여 특히 상기 돌로마이트을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1.5~2.3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칼슘은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35~45 중량부로 첨가되며, 충전제로써 채움비중을 증가시키고 접합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구리 수용액을 건조하여 얻은 구리분말은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35~80 중량부로 첨가되며, 상기 구리수용액은 정제수, 탄산나트륨 수화물, 염화나트륨, 산화철을 교반하여 1차 용해액을 제조하고, 상기 1차 용해액에 청수, 산화구리, 알코올을 넣고 구리성분이 모두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만들어진 2차 용해액이다.
상기 구리 수용액의 구성성분이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제수는 용매로써 총 중량부 대비 95~98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나트륨 수화물 및 염화나트륨은 물에 녹아 염기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상기 산화구리의 용해를 돕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1차 혼합액 총 중량부 대비 탄산나트륨 수화물은 1~2중량부, 염화나트륨은 0.1~0.1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철은 산화철(Ⅱ)·산화철(Ⅲ)·사산화삼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상기 산화철은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3~0.00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철은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어 자외선에 의해 부식되거나 균열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청수는 용매로써 2차 용해액인 구리수용액의 총 중량부 대비 80~95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구리는 방근작용을 하는 성분으로써 산화구리(Ⅰ), 산화구리(Ⅱ)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본 발명에서는 산화구리(Ⅱ)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화구리는 상기 구리 수용액 총 중량 대비 250~42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금속 구리와 여러 구리 화합물들은 항균 및 살균 성질을 보인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무려 355가지의 구리 합금이 정기적으로 청소만 한다면 2시간 이내에 병원균의 99.9%를 죽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리 표면에는 생물이 붙어서 번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따개비나 홍합이 달라붙지 못하도록 오래 전부터 배 바닥에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의 피막을 입혀왔다. 지금은 구리 피막 대신에 방오 도료(antifouling paint)를 많이 사용하는데, 여기에 산화구리(Ⅰ)와 같은 구리 화합물이 들어가기도 한다. 그리고 물고기 양식장에서는 구리 합금으로 된 그물망을 사용하여 망에 여러 생물이 부착되는 것을 막고 항균 효과도 내고 있다. 또한 구리 실이 들어간 섬유는 항균 섬유로 사용된다. 이러한 향균 및 살균작용은 식물의 뿌리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질소 고정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식물 뿌리의 성장을 저지하게 된다.
상기 알코올은 용매로서 용해성능이 좋으며, 본 발명에서는 2차 용해액 제조시 첨가되며 2차 용해액의 총 중량부 대비 5~12 중량부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방근용 도막제 제작 시, 금속 또는 구리분말을 바로 첨가하여 방근용 도포제를 제조할 경우, 도 5a 와 같이 구리의 분포가 불규칙하고 분말이 뭉치게 되어 틈이 발생하고 그 틈새로 식물 뿌리가 관통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작된 방근용 도막제를 바닥면에 도포할 경우, 도 5b 와 같이 용융되었던 미세구리분말이 구리가루일 때보다 매우 균일하게 분포되어 더 큰 방근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100)는 아스팔트 컴파운드, 부직포, 고분자 합성수지 필름을 합지하여 제조된 기본 방수시트(110) 표면의 길이방향의 겹침부에 접착용 핫 멜트를 도포하고, 상기 도포된 핫멜트의 상부에 구리박막(120)을 부착하여 제조된다.
상기 아스팔트 컴파운드는 아스팔트를 주재료로 하여 고무, 충전제 등의 재료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께가 약 2㎜ 정도인 아스팔트 컴파운드 층이 되도록 하되, 부직포가 중간층에 위치하고 아스팔트 컴파운드가 부직포의 양면에 함침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합성수지 필름시트의 구성성분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수지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본 발명에서는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이 강하고 내약품성 및 환경 친화성을 가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합성수지 필름시트는 100~120㎛의 두께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상기 아스팔트 컴파운드와 부직포 및 합성수지 고분자 필름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기본 방수시트(110)에 관한 구성 및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접착용 핫 멜트는 구리박막을 상기 기본 방수시트 상부에 접착시키기 위한 재료이며, 시트 상면의 세로방향 겹침부(130a)에 5~20㎜의 폭으로 도포한다.
상기 구리박막(120)은 더 효과적인 방근성능을 위해 상기 기본 방수시트(110) 상면의 세로 또는 가로방향 겹침부(!30)에 부착하는 구성으로 시트와 시트의 겹침부에 생성되는 틈새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구리 자체의 향균 및 살균 능력으로부터 식물 뿌리의 성장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길이가 기본 방수시트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 정도이며 폭이 40~50㎜이고 두께가 40~50㎛인 구리박막(120)을 상기 도포된 부착용 핫 멜트 상부에 접착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200)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100)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은 도3와 도4을 참조하여 보면 크게 1차 도막제 도포단계, 시트부착단계, 2차 도막제 도포단계, 시트적층단계, 3차 도막제 도포단계, 필름테이프부착단계, 방수테이프부착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차 도막제 도포단계는 방근용 도막제(200a)를 부착될 시트의 면적만큼 두께가 1~3㎜가 되도록 바닥면에 도포하는 단계이다. 상기 방근용 도막제가 방근성능을 발휘하면서도 접착제 역할을 하여 바닥면과 시트가 잘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바닥면과 시트 간의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시트부착단계로, 준비된 제1 방수 및 방근시트(100a)를 도포된 상기 방근용 도막제(200a) 상부에 부착시키는 단계이다. 들뜨는 부분이 없도록 꼼꼼히 부착시켜준다.
다음은 2차 도막제 도포단계로, 바닥면에 설치된 상기 제1 방근시트(100a)의 일측면 겹침부에 부착된 구리박막(120a)이 일부 노출되도록, 상기 구리박막 표면의 중간지점에서부터 외부 바닥면으로 방근용 도막제(200b)를 바르는 단계이다. 바르는 면적은 다음 단계에서 부착될 시트의 면적 만큼이며 두께가 1~3㎜가 되도록 균일하게 도포한다. 특히, 상기 2차 도막제 도포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방근시트에 부착된 구리박막 폭의 ⅓~½ 이 노출되도록 상기 방근용 도막제(200b)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적층단계는 상기 2차 도막제 도포단계에 의해 도포된 상기 방근용 도막제(200b)의 상부에 제2 방근시트(100b)를 부착 및 적층시키는 단계로 시트가 비뚤어 지지 않게 잘 맞추고, 바닥면과 들뜸이 없도록 꼼꼼히 부착시키며, 특히, 상기 제1 방근시트에 부착된 구리박막(120a) 폭의 ⅓~½ 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2 방근시트를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은, 3차 도막제 도포단계로 상기 세로방향 겹침부(130a)와 상기 제1 방근시트에 부착된 구리박막(120a)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겹침부와 그 주변부의 틈새를 매워주도록 방근용 도막제(200c)를 한번 더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다음은, 필름테이프부착단계로 3차 도막제가 도포된 상부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테이프(300)를 60~80㎜ 폭으로 부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테이프(300)는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이 강하고 내약품성 및 환경 친화성을 가지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3차 도막제 도포단계 후에 건조된 방근용 도막제(200c) 상부에 60~80㎜ 폭으로 부착시켜 시트 겹침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 후에, 상기 도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테이프(300) 상부에 한번 더 방수테이프(400)를 부착하는 방수테이프부착단계가 있다. 상기 방수테이프(400)는 부틸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부착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테이프(300) 상부에 70~90㎜ 폭으로 부착시켜 시트 겹침부를 한층 더 보호하며 방수 및 방근기능을 한다.
한편, 세로방향으로도 시트를 적층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도 2와 같이 상기 구리박막(120a)이 부착된 방근시트(100)의 가로방향 겹침부(130b)에 폭이 40~50㎜이고 두께가 300~400㎛인 띠 모양의 구리박막(120b)을 가로로 부착하고, 상기 방근구조의 시공방법 중 상기 2차 도막제 도포단계부터 상기 방수테이프부착단계까지 동일한 순서대로 상기 가로로 부착된 구리박막(120b) 및 가로방향 겹침부(130b)에 대하여 실행하여 방근구조를 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트는 일정한 크기가 정해져 있으므로 시트를 겹쳐서 시공하며 따라서 시트의 겹침부가 생긴다. 이때 상기 겹침부에 생기는 틈새로 식물 뿌리가 침투하여 방수 및 방근구조를 훼손시키고 건축물에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시트와 시트의 세로 또는 가로방향 겹침부에 구리박막(120)과 구리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200),필름테이프(300) 및 방수테이프(400)를 이용해 견고한 적층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방근성능을 높이고, 이와 더불어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바닥면
100: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 (100a, 100b)
110: 기본 방수시트
120: 구리박막 (120a, 120b)
130: 겹침부 (130a: 세로반향 겹침부, 130b: 가로방향 겹침부)
200: 구리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 (200a, 200b, 200c)
300: PET필름테이프
400: 부틸고무 방수테이프

Claims (4)

  1. 구리수용액을 건조시켜 얻은 구리분말의 35~80 중량부를 아스팔트 32~55 중량부, 스틸렌 부타디엔 스틸렌 고무 0.46~1.9 중량부, 감광수지 15~25 중량부, 증점 안정화제 1.2~2.5 중량부, 경화촉진제 0.8~1.0 중량부, 폴리프로필렌 섬유 0.15~0.22 중량부, 실리카메탈 0.12~0.18 중량부, 돌로마이트 1.5~2.3 중량부, 탄산칼슘 35~45 중량부와 함께 교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근용 도막제;와
    두께가 1~2㎜인 고분자 합성수지 필름시트의 하부에 두께가 2~3㎜ 정도인 아스팔트 컴파운드 층을 합지하되, 상기 아스팔트 컴파운드 층은 부직포의 양면에 아스팔트 컴파운드를 함침시켜 제작된 기본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본 방수시트 상면의 세로방향 겹침부에 길이방향으로 폭이 40~50㎜이고 두께가 40~50㎛인 띠 모양의 구리박막을 부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
    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근용 도막제를 상기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의 면적으로 두께가 1~3㎜가 되도록 바닥면에 도포하는 1차 도막제 도포단계;
    구리박막이 부착된 제1 방근시트를 도포된 상기 방근용 도막제 상부에 부착시키는 시트부착단계;
    상기 제1 방근시트에 부착된 구리박막이 일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리박막의 표면 중간지점에서부터 외부로 상기 방근용 도막제를 부착될 시트의 면적으로 두께가 1~3㎜가 되도록 겹침부와 외부 바닥면에 도포하는 2차 도막제 도포단계;
    상기 2차 도막제 도포단계에 의해 도포된 상기 방근용 도막제의 상부에 구리박막이 부착된 제2 방근시트를 상기 제1 방근시트에 부착된 구리박막의 상부가 일부 노출되도록 부착 및 적층시키는 시트적층단계;
    상기 제1 방근시트와 제2 방근시트가 겹쳐서 구성된 겹침부와 일부 노출된 상기 제1 방근시트에 부착된 구리박막의 상부에 상기 방근용 도막제를 한번 더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3차 도막제 도포단계;
    상기 3차 도막제가 도포된 상부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테이프를 60~80㎜ 폭으로 부착하는 필름테이프부착단계;
    상기 도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테이프 상부에 방수테이프를 70~90㎜ 폭으로 부착하는 방수테이프부착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구리수용액은 정제수 95~98 중량부 대비 탄산나트륨 수화물 1~2 중량부, 염화나트륨 0.1~0.15 중량부, 산화철 0.003~0.005 중량부를 교반하여 용해액을 제조하고, 상기 용해액 100중량부에 청수 80~95 중량부, 산화구리 250~420 중량부, 알코올 5~12 중량부를 넣고 교반하여 산화구리를 용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
  2. 삭제
  3. 청구항 제1항의 2차 도막제 도포단계 및 시트적층단계에 있어서,
    상기 2차 도막제 도포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방근시트에 부착된 구리박막 폭의 ⅓~½ 이 노출되도록 상기 방근용 도막제를 도포하고, 상기 시트적층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방근시트에 부착된 구리박막 폭의 ⅓~½ 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2 방근시트를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
  4. 청구항 제1항에서,
    상기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는, 제1 방근시트 상면의 가로방향 겹침부에 폭이 40~50㎜이고 두께가 40~50㎛인 띠 모양의 가로 구리박막이 더 부착되고, 상기 방근구조의 시공방법은, 상기 2차 도막제 도포단계 부터 상기 방수테이프부착단계까지 동일한 순서대로 상기 가로 구리박막 및 가로방향 겹침부에 대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
KR1020130144218A 2013-11-26 2013-11-26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 KR101528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218A KR101528187B1 (ko) 2013-11-26 2013-11-26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218A KR101528187B1 (ko) 2013-11-26 2013-11-26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139A KR20150060139A (ko) 2015-06-03
KR101528187B1 true KR101528187B1 (ko) 2015-06-12

Family

ID=5350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218A KR101528187B1 (ko) 2013-11-26 2013-11-26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81929A1 (de) * 2020-10-09 2022-04-13 ZinCo Durchwurzelungsschutz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121B1 (ko) * 2018-01-24 2018-06-20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방수, 방근 점착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216859B1 (ko) * 2018-11-16 2021-02-23 주식회사 성문화학 라돈 차단 효과가 우수한 방수시트
KR102051845B1 (ko) * 2019-01-24 2019-12-05 (주)확실한방수 고분말도 파우더 및 ? 파이버를 포함하는 수용성 탄성 도막 방수제 및 니들 펀칭으로 제조된 섬유 부직포를 포함하는 메쉬형 섬유 보강 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 및 공법
KR102097655B1 (ko) * 2019-07-11 2020-05-27 (주)확실한방수 이음부가 없는 수용성 복합 방수구조 및 시공방법
KR102206357B1 (ko) * 2019-12-12 2021-01-22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금속분말이 포함된 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KR102523990B1 (ko) * 2022-08-17 2023-04-21 삼성엠에프씨 주식회사 무겹침형 또는 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544B1 (ko) * 2009-06-05 2012-04-04 이상윤 방근 시공용 실링제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방근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544B1 (ko) * 2009-06-05 2012-04-04 이상윤 방근 시공용 실링제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방근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81929A1 (de) * 2020-10-09 2022-04-13 ZinCo Durchwurzelungsschutz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139A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187B1 (ko)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
KR102006272B1 (ko) 부틸 자착식 방수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KR101881318B1 (ko)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 이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이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US8900718B2 (en) Roofing membran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ES2208566T3 (es) Material de tapajuntas para tejados en forma de placa laminada.
JP5326496B2 (ja) 遮熱性防水シート
KR101042386B1 (ko) 방수 시트, 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및 방수/방근 구조
KR101027655B1 (ko) 옥상 및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방근층을 겸비한 고무아스팔트 적층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US870316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microbial growth
US20120115380A1 (en) Channel and water storage liner
JP5357408B2 (ja) 防蟻シート
JP2009196910A (ja) 植物成長抑制組成物並びにそれからなるシート及び充填材
KR102470658B1 (ko) 탄성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탄성복합방수공법
JPH08198384A (ja) 屋外貯蔵タンクの雨水浸入防止用被覆材
JP2011152102A (ja) 長期アルカリ性安定被膜、および長期アルカリ性安定被膜を用いた動物を飼育する建築物の防疫方法
KR101006493B1 (ko) 방근시트
US9538762B2 (en) Antimicrobial delivery system for roof coverings
KR20130004682A (ko) 100% 냉공법이 가능한 아스팔트 방수시트, 도막형 프라이머, 아스팔트 실란트 및 벽체용 도막제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JP2009185482A (ja) 目地部および/または亀裂部用防草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50128075A (ko) 철근 방청 덮개
KR20200007338A (ko) 복합 방수 방근층의 시공방법
KR20120139148A (ko) 벽체용 도막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96511B1 (ko)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
KR101374845B1 (ko) 아스팔트 실란트와 부틸고무 재질의 시트를 이용한 이중 복합 방수 시공방법
JP5422173B2 (ja) 農業用被覆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