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658B1 - 탄성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탄성복합방수공법 - Google Patents

탄성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탄성복합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658B1
KR102470658B1 KR1020220032418A KR20220032418A KR102470658B1 KR 102470658 B1 KR102470658 B1 KR 102470658B1 KR 1020220032418 A KR1020220032418 A KR 1020220032418A KR 20220032418 A KR20220032418 A KR 20220032418A KR 102470658 B1 KR102470658 B1 KR 102470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ayer
waterproof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 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펜테크 filed Critical (주) 펜테크
Priority to KR1020220032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ubber
    • C09D107/02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5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62Synthetic film-forming sub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87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방수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바탕면에 대하여 부직포 또는 직포와 탄성방수재 조성물로 이루어진 중도용 방수도료층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부착성과, 인장강도 및 탄성력의 향상에 의해 바탕면에 작용하는 거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방수성능을 향상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바탕면에 일정두께의 프라이머가 도포된 프라이머층에 포설되는 멤브레인층과, 상기 멤브레인층 상에 일정두께 도포되어 도막의 방수층을 통해 방수성능을 발휘하도록 중도용 방수도료층을 포함하는 탄성복합방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층은, 인장강도 및 탄성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탄성방수재로 조성되고; 상기 탄성방수재 조성물은, 15 ~ 45중량부의 수용성 우레탄-아크릴 에멀젼과; 20 ~ 40중량부의 고무계 라텍스 바인더수지와; 5 ~ 25중량부의 안료와; 0.1 ~ 5중량부의 중공 폴리머분말과; 3 ~ 20중량부의 체질안료와; 0.5 ~ 2중량부의 부착증진제와; 2 ~ 5중량부의 첨가제; 및 3 ~ 10중량부의 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성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탄성복합방수공법{Complex waterproof constructure}
본 발명은 탄성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탄성복합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탕면에 대하여 부직포 또는 직포와 탄성방수재 조성물로 이루어진 중도용 방수도료층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부착성과, 인장강도 및 탄성력의 향상에 의해 바탕면에 작용하는 거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방수성능을 향상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탄성복합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막 방수제는 고무아스팔트, 아크릴고무 또는 아크릴수지 등의 주성분인 에멀젼형과 클로로프렌이나 클로로설폰화폴리에틸렌이 함유된 용액형 우레탄이나 에폭수 수지가 주성분인 반응형이 있으며, 이들 중 고무아스팔트계과 우레탄계 도막 방수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고무아스팔트계 도막 방수제는 아스팔트에 합성고무와 각종 수지를 혼합하여 고분자의 열가소성 성질을 이용하여 급격히 경화시키는 열공법과 합성라텍스에 아스팔트를 유화시킨 후 수분의 증발에 의해 자연 경화시키는 냉공법에 의해 제조되며, 통상 아스팔트에는 스티렌 계통의 중합체, 어탁틱폴리프로필렌,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등이 혼합 사용되고 있다.
우레탄 도막 방수제는 용제형 우레탄계가 많이 사용되며, 최근에는 환경공해나 독성에 대한 작업안전성을 고려하여 폴리우레탄 에멀젼, 폴리우레탄 몰로이드 분산체, 폴리우레탄 수용액 등의 성상으로 수용성 우레탄계 방수제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아직 내구성을 비롯한 물성면에서는 기존 용제형 우레탄계 방수제보다 미흡한 점이 많다.
이러한 도막 방수제는 건축물 등에서의 누수를 방지하고자 하는 기능 이외에, 건축물의 부식과 잡초 및 해충의 서식 방지, 건물 옥상의 화단 조성이나 수목 식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미장성, 급격한 외부 온도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크랙에 대한 저항성 등에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제는 고무 성분이 적어 건축물의 균열을 방지하는 기능을 거의 갖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이액형 무기질 탄성도막제는 현장에서 액상과 파우더를 혼합하는 공정상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면 부정확하게 혼합되어 방수재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며, 매끈한 표면을 가지고 있어 타일 부착 등의 후공정이 원할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복합방수공법은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시트 상에 도막재가 도포된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바탕면에 작용하는 거동에 대한 대응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방수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제10-2043857호(2019.11.12. 공고) 특허 제10-2279044호(2021.07.19.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탕면에 대하여 부직포 또는 직포와 탄성방수재 조성물로 이루어진 중도용 방수도료층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부착성과, 인장강도 및 탄성력의 향상에 의해 바탕면에 작용하는 거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방수성능을 향상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탄성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탕면에 일정두께의 프라이머가 도포된 프라이머층에 포설되는 멤브레인층과, 상기 멤브레인층 상에 일정두께 도포되어 도막의 방수층을 통해 방수성능을 발휘하도록 중도용 방수도료층을 포함하는 탄성복합방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층은, 인장강도 및 탄성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탄성방수재로 조성되고; 상기 탄성방수재 조성물은, 15 ~ 45중량부의 수용성 우레탄-아크릴 에멀젼과; 20 ~ 40중량부의 고무계 라텍스 바인더수지와; 5 ~ 25중량부의 안료와; 0.1 ~ 5중량부의 중공 폴리머분말과; 3 ~ 20중량부의 체질안료와; 0.5 ~ 2중량부의 부착증진제와; 2 ~ 5중량부의 첨가제; 및 3 ~ 10중량부의 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복합방수구조에는,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층에 일정두께 도포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층을 보호하도록 차열성을 가지도록 하는 상도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멤브레인층은,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방수재 조성물의 첨가제는, 0.3 ~ 1중량부의 분산제와; 0.5 ~2중량부의 조막제와; 0.5 ~ 2중량부의 동결방지제와; 0 ~ 0.2 중량부의 소포제; 및 0.3 ~ 1중량부의 증점제;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방수시공하고자 하는 바탕면을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단계와; 상기 바탕면 정리단계를 통해 정리된 바탕면에 일정두께의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와;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를 통해 바탕면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되면, 상기 프라이머층에 멤브레인을 포설시켜 멤브레인층을 형성하는 멤브레인 포설단계와; 상기 멤브레인 포설단계를 통해 프라이머층에 멤브레인의 포설이 완료되면, 상기 멤브레인층에 일정두께의 중도용 방수도료가 도포되되,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는 청구항 제1항에서 청구하는 탄성방수재로 중도용 방수도료층을 형성하는 중도용 방수도료 도포단계; 및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 도포단계를 통해 중도용 방수도료층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층에 일정두께로 상도 코팅을 하는 상도 코팅 도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탕면에 대하여 부직포 또는 직포와 탄성방수재 조성물로 이루어진 중도용 방수도료층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부착성과, 인장강도 및 탄성력의 향상에 의해 바탕면에 작용하는 거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방수성능을 향상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복합방수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복합방수공법의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합방수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면(1)을 기준으로 멤브레인층(10)과, 중도용 방수도료층(20),및 상도 코팅층(30)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바탕면(1) 상에는 멤브레인층(10)을 포설 전에 일정두께를 도포하여 멤브레인층(10)에 대한 부착성이 향상되도록 지지하는 프라이머층(2)이 형성된다.
상기 멤브레인층(10)은 바탕면(1)과 중도용 방수도료층(20) 사이에 구성되어, 상호 부착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층(10)은 부직포, 직포 또는 시트 등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멤브레인층(10)은 공극, 또는 타공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탄성방수재를 도포할 때 함침이 이루어져 부착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재질, 재료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다. 폴리에스터는 내구성이 강하고, 흡습성이 없는 중합체의 일종이다. 이에 따라, 멤브레인층(10)의 상, 하방 각각에 형성되는 중도용 방수도료층(20) 및 프라이머 사이에서 질김성을 강화시켜 결국, 멤브레인층(10)에 대한 부착성을 더욱 증진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부직포의 특성 즉, 서로 뒤 엉키거나 접착하거나 해서 층상화됨에 따른 표면적의 확대로 부착성능을 증진시키도록 한다.
상기 직포는 폴리에스터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섬유로 형성된다. 탄소섬유는 탄성과 강도가 크기 때문에 흔히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운 특성을 가지며, 원료에 따라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피치계, 레이온계로 분류된다.
중도용 방수도료층(20)은 상기 멤브레인층(10) 상에 일정두께로 도포되어, 상기 멤브레인층(10)들의 이음부분에 대한 방수성능을 향상함과 함께, 탄성력 강화로 바탕면(1)에 작용하는 거동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성을 가지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층(20)은 탄성방수재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방수재는 멤브레인층(10)에 2 ~ 3회 도포작업을 수행하여, 1차 도포시 상기 멤브레인층(10)에 함침되어 부착성을 강화하고, 2 ~ 3차 도포시 상기 멤브레인층(10)에 도막이 형성됨에 따라 도막방수성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탄성방수재의 도막두께는 멤브레인층(10) 상에 0.5 ~ 2mm이다.
상기 탄성방수재는 바탕면(1)에 시공된 멤브레인층(10) 상에 도포되어, 탄성력의 증진에 따른 상기 멤브레인층(10)과의 들뜸, 박리감소, 내구성 및 방수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탄성방수재는 15 ~ 45중량부의 수용성 우레탄-아크릴 에멀젼과, 20 ~ 40중량부의 고무계 라텍스 바인더수지와, 5 ~ 25중량부의 안료와, 0.1 ~ 5중량부의 중공 폴리머분말과, 3 ~ 20중량부의 체질안료와, 0.5 ~ 2중량부의 부착증진제와, 2 ~ 5중량부의 첨가제, 및 3 ~ 10중량부의 물을 포함하여 조성된다.
수용성 우레탄-아크릴 에멀젼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유성 고분자에 비하여 작업장 내의 환경적 규제 측면과 작업자의 인체에 무해한 용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안전성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우레탄-아크릴 에멀젼은 우레탄의 특성과 아크릴의 특성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에멀젼으로서,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경도, 내후성, 내약품성, pH안정성, 안료 혼화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우레탄 수지는 촉감, 내염수성, 신장률, 접착특성, 유연성, 마모성 등의 물성이 우수함에 따라, 이들의 결합에 의해 인장강도, 탄성력 및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 경우, 15중량부 미만이면 요구되는 인장강도 및 탄성력 등을 확보할 수 없고, 45중량부 초과하면 다른 조성물의 함량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탄성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고무계 라텍스 바인더수지는 성형성 및 끈기 있고 부드러운 질감을 유지시켜, 바탕면에 작용하는 거동에 대한 대응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부착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고무계 라텍스 바인더수지는 천연고무 라텍스, 클로로프렌고무 라텍스, EVA 라텍스 중 선택된 1종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고무계 라텍스 바인더수지는 10℃ ~ 15℃의 범위에서 유리전이 온도를 가지는 것으로써, 저온에서 우수한 신장률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20중량부 미만이면 수용성 우레탄-아크릴 에멀젼과 함께 탄성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보장할 수 없고, 40중량부를 초과하면 고점성에 의해 교반성능이 저하됨에 따라 균일한 조성물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안료는 물이나 대부분의 유기 용제에 녹지 않고 다른 물질에 색깔을 내게하는 미세분말로서, 작업환경, 사용목적 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색깔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5중량부 미만이면 요구되는 색깔을 얻을 수 없고, 25중량부 초과하면 다른 조성물의 조성비율에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요구되는 인장강도 또는 탄성력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중공 폴리머분말은 아크릴 폴리머로 구성되고, 중앙에 공기가 채워지는 중공구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수용성 우레탄-아크릴 에멀젼 수지와의 친화력으로 부착성을 가지면서 단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내, 외적 열적현상에 대한 대응성으로 들뜸, 박리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중공 폴리머분말은 50 ~ 200㎛의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분산성을 가지도록 한다. 예컨대, 50㎛ 미만이면 조밀한 크기로 인해 단열성을 발휘할 수 없고, 200㎛ 초과하면 조성물 간의 교반성을 간섭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공 폴리머 분말은 0.1중량부 미만이면 요구되는 단열성을 얻을 수 없고, 5중량부 초과하면 단열성이 향상되나, 다른 조성물의 함량에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교반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체질안료는 투명성 백색안료로서, 공기 중에서 백색이지만 굴절률이 적음에 따라 차열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체질안료는 황산바륨(BaSO4)을 주성분으로 하여 중정석을 분쇄하여 제조되거나, 중정석에 황산을 가하여 생기는 침전물인 침강성황산바륨, 탄산칼슘(CaCO3), 생석회에 물을 가하고 탄산가스를 통하여 침전된 침강성 탄산칼슘, 규산소다 수용액에 산을 가하여 침전시킨 것으로 입자크기가 0.01㎛의 미세한 실리카 백(silica white) 등이다. 이 경우, 3중량부 미만이면 단열성능을 얻을 수 없고, 20중량부 초과하면 다른 조성물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부착증진제는 부착력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부착증진제는 아크릴 실란, 에폭시실란, 또는 아미노 실란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 경우, 0.5중량부 미만이면 요구되는 부착성을 확보할 수 없고, 2중량부 초과하면 부착성이 향상되나 점성에 의한 교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첨가제는 탄성방수재의 원활한 교반 및 분산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와, 조막제와, 동결방지제와, 소포제 및 증점제를 포함한다. 이 경우, 2중량부 미만이면 요구되는 성능이 발휘되지 못하고, 5중량부 초과하면 다른 조성물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0.3 ~ 1중량부의 분산제와, 0.5 ~2중량부의 조막제와, 0.5 ~ 2중량부의 동결방지제와, 0 ~ 0.2 중량부의 소포제, 및 0.3 ~ 1중량부의 증점제로 조성되어, 2 ~ 5중량부의 첨가제에 맞춰 적정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탄성방수재에 대한 실시예 1 내지 4로 구분하여, 아래의 표와 같이 조성하였다.
Figure 112022086126922-pat00001
위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탄성방수재를 도막두께 1mm로 도포한 후 인장강도, 신장률, 인열강도, 부착강도를 평가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표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22086126922-pat00002
위의 결과표를 확인한 바와 같이, 수용성 우레탄-아크릴 에멀젼 수지와, 고무계 라텍스 바인더수지와, 물 및 부착증진제 등의 함량에 따라 인장강도, 신장률, 인열강도 및 부착강도에 차이를 가짐을 알 수 있고, 이를 종합해보면, 실시예 4의 경우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도코팅층(30)은 중도용 방수도료층(20) 상에 일정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상도코팅층(30)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외부환경 조건에 따른 바탕면(1)의 열적변형이 방지 또는 최소화되도록 차열성능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상도코팅층(30)은 차열성능과 내후성이 우수한 수용성 우레탄을 주재로 조성된다. 또한, 상기 상도코팅층(30)은 흰색페인트 도료를 포함됨에 따라 차열성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도코팅층(30)은 차열성능을 보강시키기 위해 수용성 우레탄 주재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 ~ 10중량부의 차열재를 포함한다. 즉, 차열재는 체질안료, 중공 폴리머분말, 유리섬유, 폐타이어 분말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탄성복합방수구조를 시공하는 탄성복합방수공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면정리단계(S1)와, 프라이머 도포단계(S2)와, 멤브레인 포설단계(S3)와, 중도용 방수도료 도포단계(S4), 및 상도 코팅 도포단계(S5)로 이루어진다.
바탕면정리단계(S1)는 방수공법이 시공되는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로서, 고압수 또는 공압 등을 이용하여, 바탕면(1)에 생성된 레이턴스, 철물 또는 이물질을 정리한다. 또한, 바탕면(1)의 잔갈림 또는 평탄도를 위해 퍼티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라이머 도포단계(S2)는 상기 바탕면정리단계(S1)를 통해 정리된 바탕면(1)에 일정두께의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는 우레탄 프라이머, 아스팔트 프라이머, 에폭시 프라이머, 수용성 에폭시 프라이머, 수성 아크릴 프라이머 중 선택된 1종을 사용한다.
멤브레인 포설단계(S3)는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S2)를 바탕면(1)에 일정두께의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이 형성되면, 상기 프라이머층(2) 상에 멤브레인을 포설하여 멤브레인층(10)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멤브레인은 일단 각각이 일정넓이 겹침되는 겹침방식 또는 일단 각각이 맞닿도록 하는 맞댐방식 등이 적용된다.
이 경우, 상기 멤브레인층(10)은 부직포 또는 직포로 형성되어, 프라이머층(2)의 프라이머가 일정깊이 함침되게 포설시킴에 따라 상기 프라이머층(2)과의 부착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중도용 방수도료 도포단계(S4)는 상기 멤브레인 포설단계(S3)를 통해 바탕면(1)의 전체면에 멤브레인층(10)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멤브레인층(10) 상에 일정두께의 중도용 방수도료층(2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층(20)은 상술한 탄성방수재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층(20)은 멤브레인층(10)의 부직포 또는 직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멤브레인층(10)과 중도용 방수도료층(20)과의 부착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층(20)의 탄성방수재 조성물에서 제공되는 인장강도와 탄성력에 의해 바탕면(1)에 작용하는 거동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으로 방수성능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도 코팅 도포단계(S5)는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 도포단계(S4)를 통해 방수시트(10) 상에 중도용 방수도료층(20)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층(20)에 일정두께의 상도코팅층(30)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도코팅층(30)은 차열성이 부가됨에 따라 하방의 중도용 방수도료층(20)을 보호함으로써, 방수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탄성방수재를 이용한 탄성복합방수공법은 바탕면(1)에 대하여 멤브레인층(10)과 탄성방수재 조성물로 이루어진 중도용 방수도료층(20)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부착성과, 인장강도 및 탄성력의 향상에 의해 바탕면(1)에 작용하는 거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방수성능을 향상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중도용 방수도료 및 상도코팅을 통해 도시열섬현상 및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차열방수공법 개발로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ESG경영에 부응하며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방수공법을 시행하였다.
이에 따라, 급격한 개발과 도시화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와 기온상승 및 열섬현상 빈도 증가는 여름철 냉방에너지 사용량 급증과 무서운 속도로 변화는 기후에 지구온난화를 막아야 한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고, 도시열섬현상 및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열제어 도료기술 즉, 중도용 방수도료인 탄성방수재 및 상도코팅을 활용하여 건축물 외벽 등에 도장하여 태양에서 발산하는 적외선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뿐만 아니라 열의 내부전달을 차단하여 건축물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는 고기능성 도료로서, 적외선 반사기능 소재응용기술, 고내구성, 내오염성 도료 설계기술, 건축 구조체 적용 차열성능 평가분석 등의 고내구성 차열도료 설계기술은 건축물의 냉방에너지 저감 효과를 발휘하고, 최종적으로 지구온난화에 기인한 기온상승 및 도시의 열섬현상 등의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게 된다.
또한, 건축물 옥상 및 외벽에 시공하여 태양광선에서 발산하는 적외선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뿐만 아니라 열이 내부로 전달되어 건축물 내부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도료에 의해 실내온도 2.5℃ 저감, 냉방에너지 10.2% 저감 등의 효과를 통하여 지구 온난화 등의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도시 열섬현상을 저감하는 효과가 장기간 유지되는 탄소중립 실현 및 기후변화대응 효과를 얻게된다.
또한, 차열성능의 기준을 충족하며 친환경화 및 내구성을 확보한 수용성의 상도코팅과 저온안정성이 우수한 KS F 3211 아크릴고무계 기준을 충족하는 중도용 방수도료는 실내온도 및 냉방에너지 저감에도 기여하였으며 방수성능의 고내구성화 및 차열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물성의 개선효과로 장기간 성능이 유지되어 건축물 및 시설물 냉방에너지 절감 및 방수효과에 따른 도시 탄소중립 실현 및 기후변화대응에 있어 온도 저감 효과가 크고, 고내구성의 방수공법으로 콘크리트의 중성화 방지효과에 따른 건축물의 장수영화에 기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탄성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탄성복합방수공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멤브레인층 20: 중도용 방수도료층
30: 상도 코팅층

Claims (5)

  1. 바탕면에 일정두께의 프라이머가 도포된 프라이머층에 포설되는 멤브레인층과, 상기 멤브레인층 상에 일정두께 도포되어 도막의 방수층을 통해 방수성능을 발휘하도록 중도용 방수도료층을 포함하는 탄성복합방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층은,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포이고;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층은, 인장강도 및 탄성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탄성방수재로 조성되며;
    상기 탄성방수재 조성물은, 15 ~ 45중량부의 수용성 우레탄-아크릴 에멀젼과;
    20 ~ 40중량부의 고무계 라텍스 바인더수지와;
    5 ~ 25중량부의 안료와;
    0.1 ~ 5중량부의 50 ~ 200㎛의 크기인 아크릴 폴리머의 중공 폴리머분말과;
    3 ~ 20중량부의 침강성황산바륨, 침강성 탄산칼슘, 또는 0.01㎛의 미세한 실리카 백(silica white) 중 어느 하나인 체질안료와;
    0.5 ~ 2중량부의 아크릴 실란, 에폭시실란, 또는 아미노 실란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된 부착증진제와;
    2 ~ 5중량부의 첨가제; 및
    3 ~ 10중량부의 물로 조성되고;
    상기 첨가제는, 0.3 ~ 1중량부의 분산제와;
    0.5 ~ 2중량부의 조막제와;
    0.5 ~ 2중량부의 동결방지제와;
    0 ~ 0.2 중량부의 소포제; 및
    0.3 ~ 1중량부의 증점제;
    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복합방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합방수구조에는,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층에 일정두께 도포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층을 보호하도록 차열성을 가지도록 하는 상도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도코팅층은, 수용성 우레탄 주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5 ~ 10중량부의 차열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복합방수구조.
  3. 삭제
  4. 삭제
  5. 방수시공하고자 하는 바탕면을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단계와;
    상기 바탕면 정리단계를 통해 정리된 바탕면에 일정두께의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와;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를 통해 바탕면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되면, 상기 프라이머층에 청구항 제1항에서 청구하는 멤브레인층을 형성하는 멤브레인 포설단계와;
    상기 멤브레인 포설단계를 통해 프라이머층에 멤브레인의 포설이 완료되면, 상기 멤브레인층에 일정두께의 중도용 방수도료가 도포되되,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는 청구항 제1항에서 청구하는 탄성방수재의 조성물로 중도용 방수도료층을 형성하는 중도용 방수도료 도포단계; 및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 도포단계를 통해 중도용 방수도료층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중도용 방수도료층에 청구항 제2항에서 청구하는 상도코팅층을 형성하는 상도 코팅 도포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복합방수공법.
KR1020220032418A 2022-03-16 2022-03-16 탄성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탄성복합방수공법 KR102470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418A KR102470658B1 (ko) 2022-03-16 2022-03-16 탄성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탄성복합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418A KR102470658B1 (ko) 2022-03-16 2022-03-16 탄성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탄성복합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658B1 true KR102470658B1 (ko) 2022-11-25

Family

ID=8423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418A KR102470658B1 (ko) 2022-03-16 2022-03-16 탄성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탄성복합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007B1 (ko) * 2023-10-06 2024-04-08 대경건설산업(주) 2액형 수용성 폴리우레탄 도료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방수 도장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695B1 (ko) * 2017-07-27 2017-10-30 (주)노루페인트 에너지 절감형 탄성 방수도료 조성물, 에너지 절감형 탄성 방수도막 및 에너지 절감형 복합 방수공법
KR102043857B1 (ko) 2019-03-21 2019-11-12 주식회사 켐코텍 탄성 무기질 도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발수 공법
KR102217454B1 (ko) * 2020-06-02 2021-02-19 유도건 절연시트 및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224342B1 (ko) * 2020-08-07 2021-03-05 정성민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79044B1 (ko) 2019-11-18 2021-07-19 송준혁 복합탄성중합체 조성물과 구조보강용 층 그리고 복합탄성중합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695B1 (ko) * 2017-07-27 2017-10-30 (주)노루페인트 에너지 절감형 탄성 방수도료 조성물, 에너지 절감형 탄성 방수도막 및 에너지 절감형 복합 방수공법
KR102043857B1 (ko) 2019-03-21 2019-11-12 주식회사 켐코텍 탄성 무기질 도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발수 공법
KR102279044B1 (ko) 2019-11-18 2021-07-19 송준혁 복합탄성중합체 조성물과 구조보강용 층 그리고 복합탄성중합체의 시공방법
KR102217454B1 (ko) * 2020-06-02 2021-02-19 유도건 절연시트 및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224342B1 (ko) * 2020-08-07 2021-03-05 정성민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007B1 (ko) * 2023-10-06 2024-04-08 대경건설산업(주) 2액형 수용성 폴리우레탄 도료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방수 도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92846B (zh) 一种高强度防水阻燃密封涂料及其制备方法
KR102200896B1 (ko) 수용성 아크릴 우레탄 방수제를 이용한 중성화방지 복합시트 시공방법
CN108675712A (zh) 一种刚柔复合防水材料及施工方法
KR100962573B1 (ko) 열 차단 및 단열성능을 갖는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470658B1 (ko) 탄성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탄성복합방수공법
KR20220079215A (ko) 탄성 도막 침투방수제 제조 방법
CN102628306A (zh) 一种屋面隔热防水复合系统及施工工艺
CN202787536U (zh) 复合型防水保温一体化板
KR101408630B1 (ko) 수용성 복합시트 방수공법
CN104612333A (zh) 轻型屋面系统
CN102381862A (zh) 一种建筑隔热保温涂料
KR10152969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및 단열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및 단열공법
KR102213597B1 (ko) 열 차단성이 우수한 수성 아크릴방수제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싱글 지붕재의 유지보수를 위한 방수 시공방법
CN204691089U (zh) 轻型屋面系统
CN211143561U (zh) 一种外墙防水涂层及墙体结构
KR102525769B1 (ko) 콘크리트 외벽의 중성화 및 미세균열 방지 도장방법
KR102570896B1 (ko)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 방수도장방법
CN105239745B (zh) 一体化墙板及其板缝处理方法
CN207776289U (zh) 一种防水保温屋面系统
KR102280015B1 (ko) 친환경 수화반응경화 무기결합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JP2014529517A (ja) 太陽放射を反射するための防水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並びに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において装飾及び反射層を形成するための水性コーティング
CN205688675U (zh) 一种屋面的防水改造结构
KR102165326B1 (ko) 방수 코팅제
JP5297793B2 (ja) 遮熱性ゴムマット
KR101280985B1 (ko) 벽체용 도막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