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262A - 방근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근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262A
KR20170076262A KR1020150186310A KR20150186310A KR20170076262A KR 20170076262 A KR20170076262 A KR 20170076262A KR 1020150186310 A KR1020150186310 A KR 1020150186310A KR 20150186310 A KR20150186310 A KR 20150186310A KR 20170076262 A KR20170076262 A KR 20170076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esin
polyethylene
nonwoven fabric
vinyl ace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민정
Original Assignee
신림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네오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림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네오환경 filed Critical 신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6262A/ko
Publication of KR2017007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0/00Agriculture-relat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 시트와, 상기 부직포 시트 상면에 니들펀칭 방식으로 결합 적층된 섬유 시트로 이루어진 복합 시트; 및 상기 복합 시트의 섬유 시트 상면에 적층된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을 포함하는 방근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근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Root barrier shee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ethod of applying said}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녹화 또는 실내 조경시 식물의 뿌리가 방수층을 손상시킴에 따른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방근시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새로운 구조의 방근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옥상 녹화, 생태 통로, 지하주차장, 하수처리장 상부 등과 같이 식물을 식재하는 건축구조물이 증가하면서, 건축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방근층의 조성이 권장되고 있다. 비투수성 콘크리트나 방수층으로 마감된 옥상은 구조상 식물 뿌리가 침입하기 어렵지만 장기적 관점에서는 콘크리트의 균열 등을 통해 식물의 뿌리가 침투하여 방수층을 손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식물의 뿌리는 강하기 때문에 오랜 세월 동안 방수층을 관통하게 되면, 누수 사고를 일으키고, 건축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물 뿌리가 방수층을 파괴하는 것을 막아주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방근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근시트로는, 일례로 상부 재료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한 시트를 들 수 있는데, PET 필름은 인장강도, 파열강도, 인열강도, 내마모성, 내열성은 우수하지만, 내한성이 불량하고, 부서지거나 깨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예로, 방근시트의 주재(主材)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는 열가소성으로 가공성이 우수하지만, 유기휘발성화합물과 같은 환경유해 물질을 배출할 우려가 있으며,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방근시트는 식물과 맞닿아 있으므로 식물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야 하고, 지속적으로 수분과 접촉하기 때문에 환경에 나쁜 성분이나 식물생장에 악영향을 주는 성분이 용출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방근시트는 현장 시공면의 형태에 따라 시트를 재단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시공시에는 이음부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음부의 봉합이 필요하며, 종래 방근시트의 이음부 시공에는 접착제나 점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하거나 열융착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모두에서 접착 불량 문제로 인해, 식물 뿌리가 틈새로 침입할 우려가 많으며, 특히 접착제를 이용한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접착제 성분이 유실되면 물길이 형성되고, 식물의 뿌리가 물길을 따라 계속 생장하면서 통과하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방수층 상부에 방근시트를 설치한 후 이음부를 테이프로 접착하고, 다시 도막 방수를 실시하는 방수방근공법이 개발 적용되고 있다. 방수와 방근 처리를 동시에 시공하는 방근복합공법은 시공절차가 복잡하고, 방수처리가 완료된 기존 건축물이나 일부구간만 조경식물을 식재하는 인공지반에서는 방근층만 별도로 시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38127호 [특허문헌 2] 한국특허등록 제10-0872127호 [특허문헌 3] 한국특허등록 제10-0927774호 [특허문헌 4] 한국특허등록 제10-0659039호 [특허문헌 5] 한국특허등록 제10-0711994호 [특허문헌 6] 한국특허등록 제10-1130828호
본 발명은 내구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이며, 방근성이 우수한 방근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고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근시트를 이용하여 이음부의 봉합성이 우수한 방근시트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고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직포 시트와, 상기 부직포 시트 상면에 니들펀칭 방식으로 결합 적층된 섬유 시트로 이루어진 복합 시트; 및 상기 복합 시트의 섬유 시트 상면에 적층된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을 포함하는 방근시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직포 시트의 하면에 상기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이 적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시트는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섬유 시트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를 혼합한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부직포 시트 상면에 섬유 시트를 적층하고, 니들펀칭하여 복합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섬유 시트의 상면에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은 폴리에틸렌 수지를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을 220~300℃에서 용융시킨 후, 용융된 코팅액을 상기 섬유 시트 상면에 고르게 도포하고 냉각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근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에틸렌비닐아세테트 수지의 혼합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섬유 시트의 상면에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을 적층하고 나서, 상기 부직포 시트의 하면에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방근시트를 바닥면에 포설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근시트를 복수개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방근시트 중 인접하는 방근시트끼리 겹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겹치게 배치된 방근시트의 이음부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를 폴리에틸렌(PE)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또는 상기 폴리에틸렌(PE) 수지와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의 혼합 수지로 용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가 상기 수지에 의해 덮인 채 결합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근시트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근시트는 인장강도 및 내충격성이 뛰어난 복합 섬유시트에, 방근성과 열봉합성이 우수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함유 용융액을 함침하고 일체화하여, 탁월한 인장강도와 내구성, 그리고 방근성을 가진다. 또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으로 인해, 연성이 증가하여 굴곡면에서 시공성이 우수해지며, 방근시트의 이음부를 결합할 때 열봉합성도 우수하다. 다만, 피복층에 포함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연성 및 열가소성은 우수하나 강도가 다소 낮은 단점이 있는데, 섬유 시트가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소재 부직포는 폴리에틸렌 피복층의 인장강도, 파열강도, 인열강도를 동시에 향상시켜 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근시트는 뿌리침입력이 강한 식물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켜 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근시트의 이음부를 열가소성 수지를 녹여 용접하여 일체화시켜 결합하고, 이음부의 말단부를 피복하여 노출되지 않도록 밀봉하여 이음부에서 뿌리가 침입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근시트는 기존의 복잡한 방수방근공법과 달리 방수처리와 별도로 시공 가능하므로 기존 건축물에 간편하게 적용가능하며, 다양한 방수공법과 연계하여 방근층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방근시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시공된 방근시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2. 식물 식재 실험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작한, 방근시트의 이음부를 결합하여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식물이 식재되어 생육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제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방근시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방근시트(1)는 부직포 시트(110)와, 상기 부직포 시트(110)의 상면에 니들펀칭 방식으로 결합 적층된 섬유 시트(120)로 이루어진 복합 시트; 및 상기 복합 시트의 섬유 시트(120) 상면에 적층된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130)을 포함한다.
부직포 시트(110)는 물리적 충격을 흡수하여, 방수층과 방근층을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보호매트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보호 효과를 위해, 중량 150~600g/m2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00~400g/m2이며, 두께는 1.5~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시트(11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된 부직포 시트가 충격 흡수성 및 내구성면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섬유 시트(120)는 방근시트(1)의 형태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부직포 시트(110)와 니들펀칭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복합 시트를 구성한다. 섬유 시트(120)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폴리프로필렌은 소각시에도 환경유해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성 소재인바, 더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섬유 시트(120)의 중량은 50~200g/m2이 바람직하고, 두께는 0.1~0.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130)은 상기 복합시트의 섬유 시트(120) 상면에 함침되어 결합되며, 상기 복합시트의 양면에 결합되어 적층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복합시트의 양면에 적층하는 경우, 부직포 시트(110) 하면의 피복층은 상기 섬유 시트(120) 상면의 피복층보다 두께를 얇게 하여도 된다. 부직포 시트(110) 하면에 피복층이 형성된 방근시트는 방근성 향상과 더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근시트를 방수층 상부에 시공할 때, 방근시트 하면에 형성된 피복층은 방수층과 방근시트의 접착을 더욱 용이하게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130)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은 폴리프로필렌과 마찬가지로 유해물질의 배출이 없어 친환경성이 매우 우수하며, 환경호르몬이 검출되지 않아서 식물 성장에 해를 끼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폴리에틸렌은 크게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나뉘며,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은 녹는점이 높아서 성형이 어렵고 깨지기 쉬운 반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녹는점이 낮아서 성형하기 쉽고, 연성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플라스틱 재료의 표면을 압출 피복하는 성형 공법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용융지수가 3~14로 높아서 시트 표면에 고르게 함침이 가능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130)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며,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혼합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를 공중합한 수지로서, 무독성으로 접착성이 우수하며, 유연성, 탄력성, 강인성, 내충격성,열봉합성,내한성,내스트레스 크랙킹성(크랙 발생 억제) 등이 우수하여 성형가공성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폴리에틸렌 수지에 대해 10~45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함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성형 시 유동성이 향상되고, 저온에서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는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5~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강도를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유사하게 유지하면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의 특성을 접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130)은 바람직하게는 200~750g/m2, 더 바람직하게는 300~400g/m2로 형성되도록 피복액을 도포하고, 상기 피복층의 두께는 0.2~0.8mm가 바람직하고, 0.3~0.4mm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근시트(1)는 부직포 시트(110) 상면에 섬유 시트(120)를 적층한 후, 니들펀칭으로 결합하여 복합 시트를 제조한 후, 섬유 시트(120)의 상면에 또는 복합시트의 양면에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130)을 적층하여 제조된다. 폴리에틸렌 수지 함유 코팅 용융액이 함침되어 결합될 때, 섬유 시트(120)는 피복된 코팅액 냉각 시 수축을 막을 수 있고 피복층이 매끄럽게 형성되게 해 주어, 방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130)은 폴리에틸렌 수지를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을 먼저 용융시킨 후, 용융된 코팅액을 섬유 시트(120) 상면에 고르게 도포한 후, 냉각시키면, 폴리에틸렌 함유 수지 조성물이 함침된 피복층이 얻어진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에틸렌비닐아세테트 수지의 혼합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의 용융 온도는 220~300℃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섬유 시트(120)의 상면에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130)을 적층하고 나서, 상기 부직포 시트(110)의 하면에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을 적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근시트는 아스팔트, 합성 고분자 방수시트, 또는 폴리우레탄, 에폭시, 아크릴 등의 도막 방수재, 또는 복합방수 구조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방수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시공할 수 있다.
방근시트의 성능은 방근 재료의 방근 성능과 더불어 방근시트의 이음부의 결합 방법에 큰 영향을 받는다. 방근시트 이음부의 결합이 불량하면 식재층에서 물길이 생기고, 식물뿌리가 물길을 따라 생장하게 된다. 따라서 이음부 시공을 위해, 종래 방근시트를 겹쳐서 배치한 후 겹침 부위에서 방근시트를 녹여서 융착하는 시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일부 구간의 융착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틈새로 식물뿌리가 침입할 우려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근시트 이음부의 겹침 부위의 말단을 단단하게 덮는 형태로 결합하는 방법을 연구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근시트를 바닥면에 포설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근시트를 복수개 준비하여 목적하는 형태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방근시트 중 인접하는 방근시트끼리 겹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겹치게 배치된 방근시트의 이음부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를 폴리에틸렌(PE)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또는 상기 폴리에틸렌(PE) 수지와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의 혼합 수지로 용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가 상기 수지에 의해 덮인 채 결합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근시트를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근시트 시공 방법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근시트들이 연결되는 말단을 대략 3~15cm 겹치게 배치하여 이음부를 형성하고, 이음부의 말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대략 10~30mm 정도 덮도록 폴리에틸렌(PE)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또는 상기 폴리에틸렌(PE) 수지와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의 혼합 수지를 융착하여 결합시킨다. 시공된 방근시트는 여러 장의 방근시트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음부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는 폴리에틸렌(PE)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또는 상기 폴리에틸렌(PE) 수지와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의 혼합 수지로 충분하게 덮여서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시공된 방근시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방근시트들(1, 1')의 말단을 서로 겹치게 배치하여 형성된 이음부(2)의 말단부(3)에, 폴리에틸렌(PE)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또는 상기 폴리에틸렌(PE) 수지와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의 혼합 수지를 융착시켜, 상기 말단부(3)가 상기 수지(4)에 의해 덮인 채 결합되게 하는 시공 방법을 통해 시공된 방근시트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방근시트의 제조
폭 2m, 350g/m2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부직포 상면에, 폭 2m, 130g/m2의 폴리프로필렌 섬유 시트를 니들펀칭으로 결합하여 복합시트를 제조하였다. 저밀도 폴리에틸렌(한화케미칼, 한국)을 270℃에서 용융하고, 용융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상기 복합시트의 섬유 시트 상면에 450g/m2 기준으로 살포하여 피복층을 만든 후, 상온에서 공기냉각시켰다. 그런 후 롤러를 거쳐 와인더로 권취하여 롤 형태의 방근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2. 방근시트의 시공
인공지반의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을 깨끗이 청소한 후, 바닥면에 방근시트의 부직포 시트 하면이 닿도록 연속적으로 5cm 가량 겹치도록 배치하였다. 방근시트의 연결부위를, 220℃ 용접기로 저밀도 폴리에틸렌(PE) 용접봉을 용융하여 폭 20mm, 두께 10mm로 피복하고, 용융된 폴리에틸렌 수지와 방근시트의 피복층이 잘 부착되도록 롤러로 문질러주었다.
<실험예>
1. 방근시트의 물성 측정
실시예 1 에 따라 제조된 방근시트의 물성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표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근시트는 수직투수계수, 패임저항성 및 충격저항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패임저항성 4는 250N의 하중에서 3곳에서 모두 구멍이 뚫리지 않은 경우로, 중량물을 그대로 놓거나 쌓아도 되는 상태로서, 패임저항성 시험에서 가장 높은 레벨에 해당한다. 충격저항성 2는 구두 보행으로 구멍이 뚫리지 않는 정도의 저항성으로, 방근시트로서의 내구성이 탁월함을 알 수 있다.
2. 식물 식재 실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방근시트의 방근 성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식물을 식재하는 0.8m*0.8m*0.3m(L*D*H)인 내부용기와 내부용기를 감싸는 외부용기를 제조하였다. 내부용기는 구멍이 뚫려있는 형태이며, 외부용기는 뿌리 투과를 관찰할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한 형태로 제조하였다.
방근시트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용기 바닥면 중앙에 T자형 연결부위가 발생하도록 재단하여 용기바닥에 설치하고, 실시예 2와 같이 저밀도 폴리에틸렌(PE) 수지를 용융하여 용접하였으며, 벽체는 바닥모서리에서 용기높이까지 연결되도록 재단한 후 모서리 부분을 실시예 2와 같이 저밀도 폴리에틸렌(PE) 수지를 용융하여 용접하여 제조하였다.
방근시트를 상기 내부용기상에 설치하고, 용기 측면 중 일면의 하단부위에 배수구를 설치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근시트는 물이 통과하지 않으므로, 바닥에 고이는 물을 배출하기 위해 배수구를 설치하였다.
방근시트가 설치된 내부용기를 외부용기에 넣고, 피트모스(대경실업, 한국) 70%와 펄라이트(경동원, 한국) 30%를 부피비로 혼합한 인공토양을 채운 후 시험 식물을 식재하고, 뿌리관통실험을 실시하였다.
식재 수종은 초본류에서 사사조릿대(Pleioblastus pygmaeus), 목본류에서 피라칸타(Pyracantha coccinea)를 선정하였고, 식재 밀도는 초본류 m2당 14주, 목본식물류 m2당 6주로 하였다.
식재 수종의 생육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N-P-K=19-19-19(대성아그로, 한국)인 복합비료를 2개월마다 관주하였으며, 비닐온실에서 생육시켰다. 도 4는 식물이 식재되어 생육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며, 도 5는 실제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실험 결과는 식재 후 2년이 경과하였을 때, 식물뿌리가 관통하였는지 여부와 토양을 제거한 후 뿌리가 방근시트층을 침입하였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관찰 결과, 방근시트의 방근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 뿌리관통: 시험체 내부의 식물뿌리가 방근시트 및 이음부 틈새를 통해 생장하여 시험체 외부에서 시험식물의 뿌리가 관찰되는 경우
* 뿌리침입: 시험체 내부의 식물체와 토양을 제거한 후 시트 및 이음부에서 뿌리가 침입한 경우로, 3mm 이상 뿌리가 침입하였을 때 침입으로 판정함
1, 1': 방근시트
110: 부직포 시트, 120: 섬유 시트, 130: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
2: 이음부
3, 3': 말단부
4: 말단부에 융착결합된 수지

Claims (9)

  1. 부직포 시트와, 상기 부직포 시트 상면에 니들펀칭 방식으로 결합 적층된 섬유 시트로 이루어진 복합 시트; 및
    상기 복합 시트의 섬유 시트 상면에 적층된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을 포함하는 방근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시트의 하면에 상기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근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부직포 시트는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근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시트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근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를 혼합한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근시트.
  6. 부직포 시트 상면에 섬유 시트를 적층하고, 니들펀칭하여 복합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섬유 시트의 상면에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은 폴리에틸렌 수지를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을 220~300℃에서 용융시킨 후, 용융된 코팅액을 상기 섬유 시트 상면에 고르게 도포하고 냉각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근시트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를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의 혼합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근시트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시트의 상면에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을 적층하고 나서, 상기 부직포 시트의 하면에 폴리에틸렌 함유 피복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근시트의 제조방법.
  9. 방근시트를 바닥면에 포설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근시트를 복수개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방근시트 중 인접하는 방근시트끼리 겹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겹치게 배치된 방근시트의 이음부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를 폴리에틸렌(PE)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또는 상기 폴리에틸렌(PE) 수지와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의 혼합 수지로 용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가 상기 수지에 의해 덮인 채 결합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근시트를 시공하는 방법.
KR1020150186310A 2015-12-24 2015-12-24 방근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70076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310A KR20170076262A (ko) 2015-12-24 2015-12-24 방근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310A KR20170076262A (ko) 2015-12-24 2015-12-24 방근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262A true KR20170076262A (ko) 2017-07-04

Family

ID=59357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310A KR20170076262A (ko) 2015-12-24 2015-12-24 방근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62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882B1 (ko) 2021-11-24 2022-07-21 주식회사 로드씰 방근방수 복합시트 제작방법 및 제작장치와 상기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방근방수 복합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882B1 (ko) 2021-11-24 2022-07-21 주식회사 로드씰 방근방수 복합시트 제작방법 및 제작장치와 상기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방근방수 복합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542B1 (ko) 다기능 건축용 단열방수복합시트와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KR102082921B1 (ko) 방수방근용 복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
US3869417A (en) Modification of asphalt with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to improve properties
US4239795A (en) Protective layer for surface seals in building construction, underground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KR101812175B1 (ko) 방수 및 방근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근 공법
KR102006272B1 (ko) 부틸 자착식 방수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CN109057179A (zh) 一种平屋面自能免维修防水系统及其施工方法
CN104264715B (zh) 一种环境工程用复合防水层及其制备和施工方法
KR101042386B1 (ko) 방수 시트, 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및 방수/방근 구조
KR101027655B1 (ko) 옥상 및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방근층을 겸비한 고무아스팔트 적층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02763B1 (ko) 인공지반 녹화용 방근시트
KR20170076262A (ko) 방근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6683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1352857B1 (ko) 차열층이 형성된 자착식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6757B1 (ko) 옥상녹화용 시트
KR101010566B1 (ko) 방수 기능을 갖는 방근 시트층 및 방근 시트층 시공 방법
US20140242361A1 (en) Roof-greening sheet
KR100976427B1 (ko) 인공녹화용 방수-방근 복합재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9243247A (ja) 防水シート材
JP5387473B2 (ja) 防草用防草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939695B1 (ko) 내구성 및 상용성이 향상된 tpu 필름층을 구비한 복합 방수 방근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31544B1 (ko) 방근 시공용 실링제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방근 시공 방법
JP2010209619A (ja) 防草構造体及び防草構造体の施工方法
KR101007560B1 (ko) 다층필름 방근방수 구조
CN216337394U (zh) 一种自粘型tpo耐根穿刺防水卷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