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990B1 - 무겹침형 또는 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 - Google Patents

무겹침형 또는 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990B1
KR102523990B1 KR1020220102877A KR20220102877A KR102523990B1 KR 102523990 B1 KR102523990 B1 KR 102523990B1 KR 1020220102877 A KR1020220102877 A KR 1020220102877A KR 20220102877 A KR20220102877 A KR 20220102877A KR 102523990 B1 KR102523990 B1 KR 102523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ayer
sheet
overlapping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주
Original Assignee
삼성엠에프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엠에프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엠에프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2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comprising such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1/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comprising such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02Provisions for preventing vegetational growth, e.g. fungi, algae or m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겹침형 또는 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 뿌리의 침투 및 성장에 의한 건축물의 손상과 방수 기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무겹침형 또는 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시공면 상부에 부착되는 아스팔트 컴파운드층을 포함하는 베이스시트; 및 아크릴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시트들 간의 경계를 덮는 접착층,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 상부에 구비되는 제1방근층을 포함하는 연결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겹침형 또는 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NON-OVERLAPPING OR OVERLAPPING WATERPROOF ANTI-CORROSION SHEET}
본 발명은 무겹침형 또는 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 뿌리의 침투 및 성장에 의한 건축물의 손상과 방수 기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무겹침형 또는 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 주차장 또는 교량 등과 같이 외부 환경에 많이 노출되는 건축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 구조물의 열화(劣化)가 진행되어 구조물의 수명이 현저히 줄어들 뿐만 아니라, 안전성에도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방수 시공이란 상기한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외부에서 물의 유입을 막는 시공 행위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방수 시공에 우레탄 등의 방수액을 시공면에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는데, 시공면의 형태에 따라 방수층의 두께가 불균일하여 최근에는 방수시트를 시공면에 부착하는 방수 시공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은 이웃하는 방수시트를 중첩하여 시공하는 겹침형 방수 시공과, 이웃하는 방수시트가 중첩되지 않도록 부착하는 무겹침형 방수 시공이 있다(이하 등록특허 제10-2222268호 참조).
한편, 최근에는 최근 도시 생태계 및 도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건물의 옥상녹화 또는 실내정원을 조성하는 사업을 많이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옥상녹화 및 실내정원을 가꾸는 것은 토양 생태계의 복원, 냉난방 에너지 절약, 도시 열섬화 현상 완화, 도시 홍수 예방, 공기 정화, 수질 정화, 소음 경감, 도시 경관 향상, 건축물의 내구성 향상 등 환경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 등에서 여러 가지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옥상녹화의 많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옥상녹화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식물의 뿌리가 상기한 방수시트 간의 경계 또는 방수시트를 뚫고 바닥면(시공면)으로 침투하면서 방수층의 파손으로 건축물의 방수에 문제가 발생하고 건축물의 손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식물 뿌리의 침투 및 성장에 의한 건축물의 손상과 방수 기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무겹침형 또는 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시공면 상부에 부착되는 아스팔트 컴파운드층을 포함하는 베이스시트; 및 아크릴 접착제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시트 간의 경계를 덮는 접착층,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 상부에 구비되는 제1방근층을 포함하는 연결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구리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시트는, 상기 아스팔트 컴파운드층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방근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방근층은, 폴리에틸렌(PE)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 상부와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하부에 구비되는 제1필름층, 및 상기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상부에 구비되는 제2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식물 뿌리의 침투 및 성장에 의한 건축물의 손상과 방수 기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방근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방근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방근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방근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방근 시트(S)(무겹침형 또는 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면(C)에 부착되는 무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도 1 참조) 또는 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도 2 참조)로서, 상기한 콘크리트 건축물이 누수와 식물 뿌리 성장에 의한 손상 등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시트'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시트(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방근 시트(S))는 베이스시트(1), 및 연결시트(2)를 포함한다.
베이스시트(1)는 상기한 시공면(C) 상부에 부착되는 아스팔트 컴파운드층(11)을 포함한다.
상기한 시공면(C)은 예시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옥상 등일 수 있다. 상기한 상측(상부, 상단, 상면 등)은 도 1을 기준으로 상측(상부, 상단, 상면 등)을 의미하고, 하측(하부, 하단, 하면 등)은 도 1을 기준으로 하측(하부, 하단, 하면 등)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상술하였듯이 베이스시트(1)는 아스팔트 컴파운드층(11)을 포함한다고 하였는데, 아스팔트 컴파운드층(11)은 자체적으로 접착 성능을 갖는 자착식 방수 시트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자체적으로 점착성 및 방수성을 갖는 소재가 사용된다.
예시적으로 아스팔트 컴파운드층(11)은 아스팔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아스팔트 15∼45중량%, 블론 아스팔트 5∼10중량%, 이소프렌을 주체로 하는 저온/촉매 반응에 의한 점착부여제 15∼25중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15중량% 및 충진제 25∼35중량%를 180∼210℃에서 용융 혼합 분산시켜 얻은 고점도 아스팔트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아스팔트 컴파운드층(11)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아스팔트를 포함하여 방수성을 구비하는 한 다양한 구성이 상기한 구성을 대체하거나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시트(1)는 상기 아스팔트 컴파운드층(11) 상부에 구비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제2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방근층(12)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방근층(12)은 상기 베이스시트(1) 상부에 구비되는 제3필름층(미도시)을 포함하고, 상기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는 제3필름층 상부에 구비되며, 제2방근층(12)은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상부에 구비되는 제4필름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필름층 및 제4필름층은 예시적으로 폴리에틸렌(PE) 재질일 수 있다. 제3필름층은 아스팔트 컴파운드층(11) 상부에 구비되어 아스팔트 컴파운드층(11)을 보호하며 아스팔트 컴파운드층(11)의 형상을 유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방근층(12)의 PET는 제3필름층 및 제4필름층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제3필름층 및 제4필름층은 베이스시트(1)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PET는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가져 베이스시트(1)의 방수성을 부가하며, 산에 대한 내화학성의 특성을 갖고 있다.
특히 PET는 고강도, 고경도, 및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고 있어, 시공면(C)에 시공되는 식물의 뿌리가 베이스시트(1)를 뚫고 시공면(C)으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즉, 본 시트는 PET를 포함하는 베이스시트(1)를 포함하여 건축물의 누수와 식물 뿌리 성장에 의한 손상,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시트는 이웃하는 베이스시트(1)의 일부가 상호 중첩되어 겹침부를 형성되도록 시공면(C)에 부착될 수 있으며(겹침형, 도 2 참조), 다른 예시적으로 베이스시트(1)들이 상호 중첩되지 않고 이웃되게 배치되어 시공면(C)에 부착될 수 있다(무겹침형, 도 1 참조)
이때 건축물 옥상 등에 녹지를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시트(1) 상부에 흙과 식물 등이 설치되는 경우, 식물의 뿌리가 성장함에 따라 이웃하는 베이스시트(1) 간의 경계로 뿌리가 침투하여 성장함으로써, 그 경계가 벌어짐에 따라 건축물에 더 많은 양의 누수가 발생하고 뿌리가 건축물에 침투하여 건축물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후술하는 연결시트(2)는 이웃하는 베이스시트(1)의 경계에 뿌리가 침투하여 성장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연결시트(2)는 아크릴 접착제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베이스시트(1) 간의 경계를 덮는 접착층(21)을 포함한다.
접착층(21)은 상기한 아크릴 접착제 등 이루어지는데, 아크릴 접착제는 공지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와 같이, 베이스시트(1)들은 서로 중첩되어 겹침부를 형성하도록 시공면(C)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러할 경우 본 시트(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의 연결시트(2)는 겹칩부에서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시트(1)의 상측(도 2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베이스시트(1)의 우측 상면)과 상측에 배치된 베이스시트(1)의 하측(도 2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 베이스시트(1)의 좌측 상면)이 형성하는 경계를 덮도록 이웃하는 베이스시트(1)들의 상부에 부착된다.
반대로 도 1과 같이, 베이스시트(1)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이웃되게 배치되어 시공면(C)에 부착되는 경우, 본 시트(무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의 연결시트(2)는 이웃하는 베이스시트(1)들의 사이 경계를 덮도록 베이스시트(1)들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연결시트(2)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221)(PET)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21) 상부에 구비되는 제1방근층(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방근층(22)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한 아크릴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층(21) 상부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221) 하부에 구비되고,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지는 제1필름층(222),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제1방근층(22)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221) 상부에 구비되는 제2필름층(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필름층(222)은 상기한 아크릴 접착제를 보호하고 아크릴 접착제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제1필름층(222) 및 제2필름층(223) 각각은 상술한 제3필름층(미도시) 및 제4필름층(미도시) 각각과 사용 목적이 상응하므로, 상기한 제3필름층(미도시) 및 제4필름층(미도시)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제1방근층(22)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221)(제1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는 제2방근층(12)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와 마찬가지로 수분 흡수율이 낮아서 연결시트(2)의 방수성을 부가할 수 있으며, 더하여 고강도 및 고경도 여서 식물의 뿌리가 연결시트(2)를 뚫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연결시트(2)는 이웃하는 베이스시트(1) 간의 경계를 덮되,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221)를 포함하는 제1방근층(22)을 포함하여 베이스시트(1) 사이의 경계로 뿌리가 침투하고 성장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본 시트의 방수성을 장시간 유지하며 건축물이 뿌리 성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접착층(21)은 구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한 접착층(21)은 상기한 아크릴 접착제와 구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접착층은 아크릴 접착제 100 중량부 대비 구리 0.1 내지 17.6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접착제 100 중량부 대비 구리 0.5 내지 11.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21)에 포함되는 상기한 구리(Coppoer, 銅)는 식물의 생장점을 억제하는 화학적 성분을 내포하고 있다. 즉, 구리는 심근의 생장점을 억제하여 수직으로 활착하려는 뿌리를 더 이상 생장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웃하는 베이스시트(1) 사이 경계를 덮는 연결시트(2)는 그 접착층(21)이 구리를 포함함으로써, 베이스시트(1) 사이 경계로 식물의 뿌리가 침투하여 성장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접착층(21)에 포함되는 구리는 식물의 심근의 성장은 억제하지만 잔뿌리가 많이 형성되도록 하여 식물의 성장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으므로, 본 시트 상부에 설치되는 식물의 성장에는 나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이점 또한 있다.
상기한 구리가 아크릴 접착제 100 중량부 대비, 17.6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식물 뿌리가 베이스시트(1) 간 경계로 침투하여 성장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는 미비한 반면 본 시트의 제조비용을 지나치게 증가시켜 경제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구리가 아크릴 접착제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뿌리가 베이스시트(1) 간 경계에 침투하여 성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베이스시트(1) 및 연결시트(2)는 예시적으로 KS F 4917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KS F 4917을 만족할 수 있다).
한편, 접착층(21)은 아크릴 접착제 100 중량부 대비, 기능성첨가재(G)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즉, 접착층(21)은 아크릴 접착제, 구리, 기능성첨가재(G)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내피재(G1) 0.2 중량부 대비, 헥사데케인(hexadecane)을 포함하는 열완충재(G2) 0.1 중량부,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또는 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이루어지는) 흡음재(G3) 0.3 중량부,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 0.2 중량부, 스프링강을 포함하는(또는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G5) 0.2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피재(G1)는 상기 열완충재(G2)를 감싸는 구형이고, 상기 흡음재(G3)는 상기 내피재(G1)를 감싸되 외면이 반구형의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이고,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상기 흡음재(G3)의 골에 구비되고, 상기 흡음재(G3)는 상기 탄성체(G5)의 내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마루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G5)는 코일 형상이며 상기 삽입홈에 내측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흡음재(G3)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이란 상기 기능성첨가재(G)의 후술하는 단위체(GU)의 중심측을 의미하며, 외측은 상기 중심측에서 방사상 방향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여, 기능성첨가재(G)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내피재(G1)는 구 형상이며, 알루미늄 재질이고, 내측에 후술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한 내피재(G1)는 0.2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내피재(G1)가 0.2 중량부를 초과 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키며, 0.2 중량부 미만인 경우 후술하는 열완충재(G2)를 충분히 감싸지 못해 열완충재(G2)가 소실될 우려가 있다.
흡음재(G3)는 상기한 내피재(G1) 외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폴리에스터를 포함하여 소리 음파를 흡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음재(G3)는 외면(표면)이 반구형의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이어서, 소리 음파와 접촉 면적이 많기 때문에 흡음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흡음재(G3)는 0.3 중량부가 포함되는데, 흡음재(G3)가 0.3 중량부 미만일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흡음 성능이 떨어지고 0.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기능성첨가재(G)의 분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피재(G1)가 상기한 흡음재(G3)의 내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흡음재(G3)를 통과하는 소리 음파가 내피재(G1)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한 흡음재(G3)의 내측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열완충재(G2)는 상기한 내피재(G1)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헥사데케인을 포함할 수 있다.
헥세데케인(C16H34)는 융점이 약 18.2℃인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이다.
상변화물질은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Phase)이 변할 때, 온도의 변화 없이 잠열(Latent heat)의 형태로 외부 요인 없이 능동적으로 열을 저장·방출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상변화가 일어날 때 온도변화 없이 출입하는 열인 잠열(Latent heat)은, 상변화를 수반하지 않고 온도변화를 보이며 출입하는 열인 현열(Sensible heat)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열량을 갖는다. 이 특징을 이용해서 높은 양의 열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온도를 유지 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열완충재(G2)는 상기한 융점을 변화시키기 위해 헥세데케인 이외에 운데칸(Undecane), 도데칸(Dodecane), 트리데칸(Tridecane), 테트라데칸(Tetradecane), 펜타데칸(Pentadecane), 헥사데칸(Hexadecane), 헵타데칸(Heptadecane), 옥타데칸(Octadecane), 노나데칸(Nonadecane) 및 에이코산(Eicosane), 트라이아콘테인(Triacontane)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완충재(G2)의 융점은 상온인 15~25℃ 범위 내에서 조절 될 수 있다.
상기한 열완충재(G2)는 상기한 내피재(G1)의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라서 열완충재(G2)가 고온에서 팽창하거나 또는 저온에서 수축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내피재(G1)의 균열에 따른 열완충재(G2)의 소실 억제와, 소리 음파 반사능의 저하를 억제하여 기능성첨가재(G)의 흡음 성능을 온도 변화에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피재(G1) 및 상기한 흡음재(G3)가 상기한 열완충재(G2)와 연교환을 하여 결과적으로 열완충재(G2)와 접착층(GS)의 아크릴 접착제 및 구리 등과 열교환을 이루도록 하여, 접착층(GS)의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 및 팽창에 따른 균열, 손상, 변형 발생 등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열완충재(G2)는 상술한 바와 같이 0.1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열완충재(G2)가 0.1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내피재(G1)가 특정 온도(예시적으로 15~25℃ 또는 약 18.2℃)에서 벗어나는 걸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으며, 열완충재(G2)가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술한 내피재(G1)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티렌술포닉산을 포함 할 수 있는데, 더하여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피-스티렌술포닉산과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혼합(1:19 비율)하고 UV 경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흡음재(G3) 외측에 구비된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0.2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2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음전하가 충분하지 않으며, 0.2 중량부가 초과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크릴 접착제에 기능성첨가재(G)의 단위체(GU)가 다수 포함될 수 있는데, 도포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단위체(GU)간 정전기적 척력에 의해 상호 밀어내어 아크릴 접착제에서 다수의 단위체(GU)들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흡음재(G3)의 골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이웃하는 단위체(GU)간의 충돌 또는 접착층(21)의 다른 물질과의 충돌을 억제하여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G5)는 상기한 흡음재(G3)의 외부(외면, 표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스프링강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음재(G3)는 마루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G3)는 내측 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구조적을 안정되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G3)는 코일 형상이며 흡음재(G3)의 마루 외측단부에 구비되어 단위체(GU)의 탄성을 부가한다.
따라서 다수의 단위체(GU)가 포함된 접착층(GS)을 교반하는 과정에서 이웃하는 단위체(GU)가 충돌함에 따라 단위체(GU)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고, 코일 형상의 탄성체(G5)가 압축되어 탄성 복원됨에 따라 이웃하는 단위체(GU)가 상호 멀어지도록 하여 접착층(GS)에서 단위체(GU)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예시적으로 접착층(21)의 아크릴 접착제는 교반 상황에서 유동성이 있는 액상, 반고상 상태이고, 교반 이후 또는 제1방근층(22)에 도포 된 후에는 경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방수 방근 시트: S
베이스시트: 1 아스팔트 컴파운드층: 11
제2방근층: 12 연결시트: 2
접착층: 21 제1방근층: 22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221
제1필름층: 222 제2필름층: 223
시공면: C

Claims (4)

  1. 시공면 상부에 부착되는 아스팔트 컴파운드층을 포함하는 베이스시트; 및
    아크릴 접착제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베이스시트들 간의 경계를 덮는 접착층,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 상부에 구비되는 제1방근층을 포함하는 연결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구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시트는,
    상기 아스팔트 컴파운드층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방근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방근층은,
    폴리에틸렌(PE)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 상부와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하부에 구비되는 제1필름층, 및 상기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상부에 구비되는 제2필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 접착제 100 중량부 대비 기능성첨가재(G) 1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내피재(G1) 0.2 중량부 대비, 헥사데케인(hexadecane)을 포함하는 열완충재(G2) 0.1 중량부,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흡음재(G3) 0.3 중량부,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 0.2 중량부, 스프링강을 포함하는 탄성체(G5)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1)는 상기 열완충재(G2)를 감싸는 구형이고, 상기 흡음재(G3)는 상기 내피재(G1)를 감싸되 외면이 반구형의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이고,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상기 흡음재(G3)의 골에 구비되고, 상기 흡음재(G3)는 상기 탄성체(G5)의 내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마루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G5)는 코일 형상이며 상기 삽입홈에 내측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흡음재(G3)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방근 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102877A 2022-08-17 2022-08-17 무겹침형 또는 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 KR102523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877A KR102523990B1 (ko) 2022-08-17 2022-08-17 무겹침형 또는 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877A KR102523990B1 (ko) 2022-08-17 2022-08-17 무겹침형 또는 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990B1 true KR102523990B1 (ko) 2023-04-21

Family

ID=8609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877A KR102523990B1 (ko) 2022-08-17 2022-08-17 무겹침형 또는 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9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7210A (ja) * 2002-02-22 2003-09-05 Denki Kagaku Kogyo Kk 防水層の耐候性保護方法
KR20150060139A (ko) * 2013-11-26 2015-06-03 아진레이어 주식회사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
KR102169941B1 (ko) * 2019-11-27 2020-10-27 삼성엠에프씨 주식회사 무겹침 방수 시트 및 그 시공 방법
JP2022056515A (ja) * 2020-09-30 2022-04-11 セーレン株式会社 防水シート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7210A (ja) * 2002-02-22 2003-09-05 Denki Kagaku Kogyo Kk 防水層の耐候性保護方法
KR20150060139A (ko) * 2013-11-26 2015-06-03 아진레이어 주식회사 구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방근용 도막제와 구리박막이 부착된 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구조의 시공방법
KR102169941B1 (ko) * 2019-11-27 2020-10-27 삼성엠에프씨 주식회사 무겹침 방수 시트 및 그 시공 방법
JP2022056515A (ja) * 2020-09-30 2022-04-11 セーレン株式会社 防水シート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858B1 (ko) 접합부 성형체와 방수방근 시트를 활용한 방수방근 시스템
KR101846423B1 (ko) 차열성이 부여된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재 조성물
KR102523990B1 (ko) 무겹침형 또는 겹침형 방수 방근 시트
WO2001063184A1 (en) Solar collector panel
KR101876136B1 (ko) 중공층을 갖는 압축단열보드를 이용한 노출형 차열 및 단열 방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62730A (ko)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KR102464153B1 (ko) 다기능 변성우레탄 도막재, 이 다기능 변성우레탄 도막재와 함침형 폴리시트재를 이용한 적층형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212207B1 (ko) 접합부 자착식 연결형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시스템
KR101549925B1 (ko)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
KR102141416B1 (ko) 단열베이스방수시트와 탈기코일을 활용한 복합방수 공법
KR102523995B1 (ko) 노출형 방수시트
KR101096757B1 (ko) 옥상녹화용 시트
KR102523991B1 (ko) 반사층을 구비한 방수시트
KR100939695B1 (ko) 내구성 및 상용성이 향상된 tpu 필름층을 구비한 복합 방수 방근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99728B1 (ko) 방수 타일
CN208996229U (zh) 一种预制外挂墙板上下口防水连接结构
CN206050582U (zh) 一种防腐层和储罐
CN209760132U (zh) 能高效抑制水面蒸发和有较强抗风能力的遮阳球
JP2019072856A (ja) 保護シートセット
KR102667358B1 (ko) 옥상 방수공법
KR102107743B1 (ko) 노출형 방수구조 시공방법
KR102082048B1 (ko) 복합 방수 방근층
CN214833583U (zh) 一种卷材防水层构造
KR102382175B1 (ko) 옥상 또는 지붕의 차열 보수 공법
CN214821622U (zh) 一种可外露的热熔卷材表面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