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925B1 -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 - Google Patents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925B1
KR101549925B1 KR1020140097113A KR20140097113A KR101549925B1 KR 101549925 B1 KR101549925 B1 KR 101549925B1 KR 1020140097113 A KR1020140097113 A KR 1020140097113A KR 20140097113 A KR20140097113 A KR 20140097113A KR 101549925 B1 KR101549925 B1 KR 101549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ing
waterproof layer
waterproof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봉신
김도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페트로산업
곽봉신
김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페트로산업, 곽봉신, 김도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페트로산업
Priority to KR102014009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건축구조물의 옥상에 단열과 방수 시공을 한번에 할 수 있는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콘크리트 옥상 노출면 상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 상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1차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도막방수층 상에 충분한 두께와 신장율을 가지는 단열방수재를 도포하여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방수층 상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2차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 {Composite waterproofing mthod and composite waterproofing structure having light weight and improved insulating property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 건축구조물의 옥상에 단열과 방수 시공을 한번에 할 수 있는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콘크리트 옥상 노출면 상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 상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1차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도막방수층 상에 충분한 두께와 신장율을 가지는 단열방수재를 도포하여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방수층 상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2차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열방수층과 도막방수층을 일체화시켜 단열과 방수를 모두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열층이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여 바탕면 작업이 필요 없어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단열층의 경량화로 건물에 하중을 주지 않아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단열층이 일정한 신장율을 가지고 있어 건축물의 거동에 능동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며, 현장 도포가 가능하여 굴곡 부위에도 시공성이 우수하고 이음부가 없어 높은 단열, 방수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건물 옥상의 누수는 콘크리트의 노화, 건물의 진동 및 수축팽창 등에 의해 건물 옥상에 파손이나 균열이 일어나고, 이로 인하여 방수층이 파손됨으로 인해 주로 발생한다.
특히, 옥상의 콘크리트면은 7~8월에는 영상 50~80℃까지 올라가고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는 한냉기에 속해 영하 15℃이하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열교 현상으로 인해 옥상 콘크리트는 수명을 5년을 넘기지 못하고 크랙이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누수의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고 건물의 단열 효과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옥상에 도막방수공법 및 시트방수공법 등을 사용하여 유지보수를 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도막방수공법은 성분자체는 우수한 물성을 지니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3mm 이하로 시공되어 시공두께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며, 노후된 건축물의 경우 누름층을 다시 타설하거나 누름층을 철거하여 부실한 콘크리트 모체를 보수하는 등 바탕면 처리의 선 작업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 작업시 발생되는 막대한 폐기물 및 누름층 철거시 사용되는 장비의 하중 및 진동으로 인해 노후한 건축물에 크랙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시공된 방수층의 두께가 얇아 재노화 또한 빨리 진행되게 된다.
한편, 시트방수공법의 경우에는 아스팔트계 시트, PVC계 시트, EPDM계 시트등이 사용되어 두께에 대한 신뢰성을 가지지만, 시트와 시트간 이음부위, 코너부위, 드레인 부위 등에 시공이 어렵고 까다로워 시공 하자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누수가 발생되면 누수된 물이 시트와 바닥면 사이의 빈 공간으로 침투하여 흐르므로 인해 누수부위를 찾아 부분 보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존의 방수 공법들은 방수만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왔기 때문에 태양열의 실내유입을 방지하는 차열기능 및 건축물 내부의 냉, 온기의 손실을 방지하는 단열기능은 부족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단열 복합 방수들이 개발되었으며, 주로 우레탄 및 우레아 폼 단열재를 옥상에 분사하여 설치하거나 가교폴리에틸렌 단열재를 설치 후 방수재를 도포하는 방식들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우레탄 폼 단열재를 분사하여 설치하는 경우 별도의 장비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기가 힘들고 단열층의 신장율이 없어 방수효과가 떨어지며 가연성 물질이므로 화제에 매우 취약하며 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및 스티렌 폼 단열재의 경우 굴곡부위가 많은 옥상부위에는 재단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가 어렵고, 콘크리트 바탕면과 단열층과의 접착이 어려워 접촉면의 수밀성이 확보되지 않아 방수효과가 떨어지며, 방수재와 단열재의 이질적인 재질차이로 접착력이 떨어져 변형이 쉽게 일어나거나 단열재 이음부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13-0117745호 (공개일: 2013.10.28) 한국특허공개 제2014-0012571호 (공개일: 2014.02.0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열방수층과 도막방수층을 일체화시켜 단열과 방수를 모두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열층이 충분한 두께를 형성하여 바탕면 작업이 필요 없어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단열층의 경량화로 건물에 하중을 주지 않아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단열층이 일정한 신장율을 가지고 있어 건축물의 거동에 능동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복합방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규격화된 단열재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의 여건에 맞게 일정한 형태와 모양을 갖도록 단열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굴곡이 심한 부분도 설치가 쉽고 이음부가 없어 균일한 단열 및 방수 효과를 가지는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복합방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옥상 노출면 상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 상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1차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도막방수층 상에 버미큐라이트 또는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단열방수재를 도포하여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방수층 상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2차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열방수재가 버미큐라이트 또는 펄라이트와 바인더를 2:1~5: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버미큐라이트는 900~1100℃에서 가열 팽창시킨 것이고, 상기 펄라이트는 650~850℃에서 가열 팽창시킨 것으로서, 상기 버미큐라이트 또는 펄라이트의 입경이 0.2~3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인더는 i)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 수지 결합재 100 중량부, ⅱ) 메타카올린 25~35 중량부, ⅲ) 탄산칼슘 또는 산화티탄 필러 25~35 중량부, 및 ⅳ) 에틸셀루로스, 폴리아크릴레이트, 실리콘계 소포제, 이소티아졸린 유도체 및 부틸린옥사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질재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ⅴ) 접착증진제 1~3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증진제는 친유성기 및 친수성기를 모두 갖는 양이온계, 음이온계,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또는 -OH, -COOH, -NH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극성공유결합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방수층은 5~30mm의 두께로 도포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1차 도막방수층의 두께는 0.5~1.5mm 이고, 상기 2차 도막방수층의 두께는 1~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1,2차 도막 방수재는 유성 또는 수성의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 도막방수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구조체로서, 프라이머 층, 상기 프라이머 층 상에 형성된 1차 도막방수층, 상기 1차 도막방수층 상에 형성된 버미큐라이트 또는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단열방수층, 및 상기 단열방수층 상에 형성된 2차 도막방수층을 포함하는 경량 단열 복합방수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경량 단열 복합방수 구조체는 열전도율이 0.03~0.10 kcal/mh℃이고, 밀도가 0.2~0.7g/㎤ 이며, 상기 단열방수층과 1, 2차 도막방수층 사이의 접착 강도가 15~30kg/㎠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방수공법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는 두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바탕면 작업이 필요 없어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단열층의 경량화로 건물에 하중을 주지 않아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단열층이 일정한 신장율을 가지고 있어 건축물의 거동에 능동적으로 대응 가능하며, 현장의 여건에 맞게 일정한 형태와 모양을 갖도록 단열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굴곡이 심한 부분도 설치가 쉽고 이음부가 없어 균일하고 높은 단열 및 방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 본 발명의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순서도
도 2 - 본 발명의 경량 단열 복합방수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를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존의 단열 복합방수공법들은 주로 우레탄 및 우레아 폼 단열재를 옥상에 분사하여 설치하거나 가교폴리에틸렌 단열재를 설치 후 방수재를 도포하는 방식들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우레탄 폼 단열재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기가 힘들고 단열층의 신장율이 없어 방수효과가 떨어지며 가연성 물질이므로 화제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스티렌 폼 단열재의 경우 콘크리트 바탕면과 접착이 어려워 방수효과가 떨어지며, 방수재와 단열재의 이질적인 재질차이로 인해 변형이나 파괴가 쉽게 일어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1차 및 2차 도막방수층 사이에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되, 가열팽창된 버미큐라이트 또는 펄라이트와 높은 신장율과 접착성을 구현할 수 있는 바인더를 혼합한 단열방수재를 충분한 두께로 도포함으로써, 두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단열층의 경량화 및 신장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 옥상 노출면 상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 상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1차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도막방수층 상에 버미큐라이트 또는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단열방수재를 도포하여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방수층 상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2차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단계를 자세히 살펴본다.
상기 프라이머는 콘크리트 옥상 노출면에 대한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도포되는 것으로서,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다양한 프라이머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우레탄계 프라이머 또는 아크릴계 프라이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에는 상기 프라이머 상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1차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데, 상기 도막방수재는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다양한 재질의 도막방수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단열방수층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유성 또는 수성의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 도막방수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도막방수층은 1차적인 방수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단열방수층과의 접착력을 증대시키며, 콘크리트 모체의 수분 증발에 따른 기포 현상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두께는 0.5~1.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너무 작으면 방수효과 및 접착력 증대 효과를 얻기가 어려우며, 너무 크면 전체 방수복합체의 두께 및 밀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1차 도막방수층 상에는 버미큐라이트 또는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단열방수재를 도포하여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는데, 상기 단열방수재는 버미큐라이트 또는 펄라이트와 바인더를 2:1~5: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바인더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아지면 단열효과가 떨어지고 전체 단열방수층의 밀도가 너무 높아지게 되며, 상기 바인더의 혼합비율이 너무 낮아지면 도막방수층과의 접착력 및 신장성이 떨어져 방수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상기 버미큐라이트와 펄라이트는 단열 효과를 위하여 가열팽창된 것이 사용되며, 충분한 단열효과와 경량화를 위하여 상기 버미큐라이트는 900~1100℃에서 가열 팽창시킨 것이 사용되고, 상기 펄라이트는 650~850℃에서 가열 팽창시킨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미큐라이트 또는 펄라이트의 입경이 0.2~3mm 인 것이 사용되는 데, 상기 입경이 0.2mm 미만이면 충분한 단열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상기 입경이 3mm를 초과하면 입자가 너무 커서 시공두께가 너무 두꺼워지며 시공 표면이 거칠어 그 위에 도포되는 방수재의 균일한 두께 확보가 어렵게 된다.
한편, 상기 바인더는 제1,2 도막방수층과 높은 접착성을 가지면서 높은 신장성을 가질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실시예로 i)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 수지 결합재 100 중량부, ⅱ) 메타카올린 25~35 중량부, ⅲ) 탄산칼슘 또는 산화티탄 필러 25~35 중량부, 및 ⅳ) 에틸셀루로스, 폴리아크릴레이트, 실리콘계 소포제, 이소티아졸린 유도체 및 부틸린옥사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질재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 수지 결합재는 수분의 이동 및 침입을 차단하고 도막방수층과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지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방수성능 및 신장성이 감소하게 되며, 너무 많은 경우에는 표면 경도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세테이트의 중합 반응 결과 얻어진 생성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NCO 말단을 가지는 프리폴리머를 만든 후 쇄연장제를 가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지의 점도는 500~ 10,000cps, 비중 1~1.5, 평균입자 크기는 0.3~2.0 ㎛, pH 7 ~ 8인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타카올린은 카올린 광물을 600 ~ 800℃ 정도로 열처리를 하여 활성을 부여한 것으로, 주요성분은 SiO2, Al2O3, Fe2O3이며, 평균입자의 크기는 1~ 3㎛이다. 상기 메타카올린은 내구성 및 부착강도를 향상시켜 단열방수층의 들뜸을 방지한다. 메타카올린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단열방수층의 신장성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필러는 일정한 두께의 도막을 생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탄산칼슘 또는 산화티탄(TiO2) 등으로 구성되며, 그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그 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너무 많은 경우에는 단열방수층의 신장성을 감소시켜 콘크리트면의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개질재는 저장 안정성 및 작업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메틸셀루로스, 에틸셀루로스, 폴리아크릴레이트, 실리콘계 소포제, 이소티아졸린 유도체, 부틸린옥사이드 등과 같이, 방부재, 증점제, 소포제 등을 사용한다. 상기 개질재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슬러리에 기포가 발생되어 매끈한 도막 표면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롤러나 붓 등에 의한 시공성이 저하된다.
한편, 상기 바인더는 ⅴ) 접착증진제 1~3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접착증진제는 친유성기 및 친수성기를 모두 갖는 양이온계, 음이온계,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또는 -OH, -COOH, -NH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극성공유결합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 실시예로 PAAE(Polyoxyethylene Alkyl Aryl Ether), PAE(Polyoxy ethylene Alkyl Ether), 소르비탄 지방산(Sorbitan Fatty Acid Ester),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스터(Polyoxyethylene Alkyl Ester),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민(Polyoxyethylene Alkyl Amine), 알킬 에스터(Alkyl Ester), 알킬 포스페이트(Alkyl Phosphates), 알킬 설포시네이트(Alkyl Sulfosuccinates), 알킬 다이메틸 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Alkyl Dimethyl benzyl Ammonium Chlorides), 알킬 암모늄 염(Alkyl Ammonium Salts), 다이메틸 알킬 베타인(Dimethyl Alkyl Betains), 아민옥사이드(Amineoxide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분자 단위체들이 고분자 폴리머 혼합물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만들어진 혼합물에 상기 접착증진제를 투입하면 상기 접착증진제가 혼합물의 표면을 코팅하듯이 감싸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접착증진제의 전하를 띤 부분에 물 분자가 닿게 되면, 물 분자의 큰 유전상수로 인하여 상기 접착증진제의 물 분자 사이에 정전기적 인력이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물 분자와의 접착 효과가 나타나게 되며, 따라서 제1차 또는 2차 도막방수층의 일부분에 누수가 일어난 경우에도 도막방수층과의 분리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단열방수층은 5~30mm, 바람직하게는 15~25mm의 충분한 두께를 가지도록 도포 시공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본 발명의 단열방수층은 현장 도포가 가능하여 굴곡 부위에도 시공성이 우수하고 이음부가 없어 높은 단열, 방수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단열방수층의 두께가 너무 낮으면 충분한 단열효과를 얻기 어렵고 시공성이 떨어지며, 너무 두꺼우면 효과에 비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단열 방수층 상에는 다시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2차 도막방수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2차 도막방수층은 상기 단열방수층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방수하는 역할을 하며, 1차 도막방수층과 동일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차 도막방수층의 두께는 1~3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두께가 방수효과 및 보호 효과를 얻기가 어려우며, 너무 크면 전체 방수복합체의 두께 및 밀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2차 도막 방수재는 다양한 재질의 도막방수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단열방수층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유성 또는 수성의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 도막방수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도막방수층은 필요에 따라 노출용 도막방수재가 사용되거나 노출용 탑코팅이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시공된 상기 경량 단열 복합방수 구조체는 열전도율이 0.03~0.10 kcal/mh℃ 정도로 낮아 단열 효과가 뛰어나며, 밀도가 0.2~0.7g/㎤ 정도로 경량화되어 충분한 두께를 가지면서도 건물에 하중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단열방수층과 1,2차 도막방수층 사이의 접착 강도가 15~30kg/㎠ 정도로 높아 종래 단열재들이 방수층과 접착이 잘 되지 않아 이음부가 파쇄되고 이탈 또는 변형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복합방수공법에 의하여 다양한 두께로 시공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물성 시험을 실시하여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비교를 위하여 우레탄, 아크릴 도막방수재와 콘크리트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1차 도막 방수층과 2차 도막 방수층은 표 2의 물성 평가에서 사용된 일반 아크릴계 및 우레탄계 도막방수재를 사용하였으며, 그 두께는 각각 1mm, 2mm로 형성하였다. 단열방수층은 1000℃에서 가열 팽창한 버미큐라이트와 아크릴 수지 결합재 100 중량부, 메타카올린 30 중량부, 탄산칼슘 필러 30 중량부, 개질제 3 중량부, 접착증진제 2 중량부를 포함하는 바인더를 3: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접착강도 측정은 단열방수층이 파열될시 그때까지의 최고점을 나타내며, 시편두께는 시편의 5곳을 측정한 평균치임)
구분 단열
방수층mm
열전도율
kcal/mh℃
접착 강도kg/㎠ 시편 밀도
g/㎤
콘크리트
/1차방수층
1차방수층
/단열방수층
단열방수층
/2차방수층
실시예1 5 0.093 27 30 27 0.68
실시예2 10 0.082 15 16 16 0.60
실시예3 15 0.075 17 20 16 0.52
실시예4 20 0.065 15 16 14 0.43
실시예5 25 0.047 22 22 23 0.38
실시예6 30 0.039 26 26 15 0.25
구분 시편 두께
(mm)
열전도율
kcal/mh℃
시편 밀도
g/㎤
우레탄 2~5 0.14~0.20 1.0~1.7
아크릴 2~5 0.12~0.16 1.0~1.6
콘크리트 - 1.41~1.45 2.5~3.5
상기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복합방수체는 열전도율이 일반 도막방수재에 비하여 상당히 낮아 단열효과가 뛰어나고, 방수층의 비중도 매우 낮아 건물에 하중부담을 줄 염려가 없으며 종류별 방수재 및 바인더 간의 접착 강도 또한 매우 우수하여 시공 후 들뜸 현상 등의 하자를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콘크리트 2 : 프라이머
3 : 1차 도막방수층 4 : 단열방수층
5 : 2차 도막방수층

Claims (10)

  1. 콘크리트 옥상 노출면 상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 상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1차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도막방수층 상에 버미큐라이트 또는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단열방수재를 도포하여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열방수층 상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2차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버미큐라이트는 900~1100℃에서 가열 팽창시킨 것이고, 상기 펄라이트는 650~850℃에서 가열 팽창시킨 것으로서, 상기 버미큐라이트 또는 펄라이트의 입경이 0.2~3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방수재가 버미큐라이트 또는 펄라이트와 바인더를 2:1~5:1의 비율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i)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 수지 결합재 100 중량부, ⅱ) 메타카올린 25~35 중량부, ⅲ) 탄산칼슘 또는 산화티탄 필러 25~35 중량부, 및 ⅳ) 에틸셀루로스, 폴리아크릴레이트, 실리콘계 소포제, 이소티아졸린 유도체 및 부틸린옥사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질재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ⅴ) 접착증진제 1~3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접착증진제는 친유성기 및 친수성기를 모두 갖는 양이온계, 음이온계,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또는 -OH, -COOH, -NH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극성공유결합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방수층이 5~30mm의 두께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도막방수층이 0.5~1.5mm의 두께로 도포되고, 상기 2차 도막방수층은 1~3mm의 두께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2차 도막 방수재가 유성 또는 수성의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 도막방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9.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구조체로서,
    프라이머 층, 상기 프라이머 층 상에 형성된 1차 도막방수층, 상기 1차 도막방수층 상에 형성된 버미큐라이트 또는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단열방수층, 및 상기 단열방수층 상에 형성된 2차 도막방수층을 포함하는 경량 단열 복합방수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열전도율이 0.03~0.10 kcal/mh℃이고, 밀도가 0.2~0.7g/㎤ 이며, 상기 단열방수층과 1, 2차 도막방수층 사이의 접착 강도가 15~30k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단열 복합방수 구조체.
KR1020140097113A 2014-07-30 2014-07-30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 KR101549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113A KR101549925B1 (ko) 2014-07-30 2014-07-30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113A KR101549925B1 (ko) 2014-07-30 2014-07-30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925B1 true KR101549925B1 (ko) 2015-09-03

Family

ID=5424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113A KR101549925B1 (ko) 2014-07-30 2014-07-30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9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1140A (zh) * 2016-08-11 2016-11-16 苏州园林发展股份有限公司 文物古建筑屋面保温防水的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80007510A (ko) * 2016-07-13 2018-01-23 씨앤텍플러스 주식회사 단열 보완형 복합 방수구조
KR102079665B1 (ko) * 2019-09-04 2020-02-20 주식회사 성현티엠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2231717B1 (ko) * 2020-09-08 2021-03-23 권영재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510A (ko) * 2016-07-13 2018-01-23 씨앤텍플러스 주식회사 단열 보완형 복합 방수구조
KR101863704B1 (ko) * 2016-07-13 2018-06-07 씨앤텍플러스 주식회사 단열 보완형 복합 방수구조
CN106121140A (zh) * 2016-08-11 2016-11-16 苏州园林发展股份有限公司 文物古建筑屋面保温防水的结构及其施工方法
CN106121140B (zh) * 2016-08-11 2018-06-22 苏州园林发展股份有限公司 文物古建筑屋面保温防水的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079665B1 (ko) * 2019-09-04 2020-02-20 주식회사 성현티엠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2231717B1 (ko) * 2020-09-08 2021-03-23 권영재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925B1 (ko)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
KR101902830B1 (ko) 도막재와의 결합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4중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복합방수공법
US20080102243A1 (en) Laminate fire retardant systems and uses
KR100942521B1 (ko)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 단열 도막방수 공법
CN108084917A (zh) 用于金属屋面的自粘防水卷材及其制造方法
KR101600072B1 (ko)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방수시트
KR100962573B1 (ko) 열 차단 및 단열성능을 갖는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WO2007148990A1 (en) Steam-proof wallboards for damp room
KR101525825B1 (ko) 고강도 외단열 방수복합공법
KR20180037512A (ko) 박막 방수층이 포함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KR20200000973A (ko) 복합 방수층
KR102409959B1 (ko) 수용성 방수재를 이용한 복합시트 방수공법
KR20130096927A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와 고분자 복합시트의 일체화 방수 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1843811B1 (ko)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KR102207899B1 (ko) 습윤면에 부착 가능한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 및 보수보강공법
ES2967532T3 (es) Capa de soporte de un panel de aislamiento para construcción
KR101876136B1 (ko) 중공층을 갖는 압축단열보드를 이용한 노출형 차열 및 단열 방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00406B1 (ko) 연질 고무아스팔트계 도막재를 이용한 선택형 비노출 복합방수구조
KR101005564B1 (ko) 내벽 단열 도막재 및 이를 이용한 내벽 단열도막층 시공방법
RU2679530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KR101482747B1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루핑시트
KR101332646B1 (ko)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0564909B1 (ko) 수계 도료를 이용한 단열 및 난연성의 탄성 방수 또는 방식도막의 형성공법
KR102071458B1 (ko) 친환경 도막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20130004682A (ko) 100% 냉공법이 가능한 아스팔트 방수시트, 도막형 프라이머, 아스팔트 실란트 및 벽체용 도막제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