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717B1 -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717B1
KR102231717B1 KR1020200114731A KR20200114731A KR102231717B1 KR 102231717 B1 KR102231717 B1 KR 102231717B1 KR 1020200114731 A KR1020200114731 A KR 1020200114731A KR 20200114731 A KR20200114731 A KR 20200114731A KR 102231717 B1 KR102231717 B1 KR 10223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ayer
crack
acrylic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재
Original Assignee
권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재 filed Critical 권영재
Priority to KR1020200114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물 바탕면의 균열 부위에 방수용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균열 부위에 프라이머층이 구성되는 단계와; 프라이머층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균열보강층이 구성되는 단계와; 균열보강층의 상층에 섬유시트가 부착되는 단계와; 섬유시트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보강방수층이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아크릴도막방수재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에, 폴리실록산, 2-브로모뷰탄,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클로로아세틱에시드, 메틸싸이클로펜탄 및 1,2-디브로모-1,2-디페닐에탄을 포함하는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Crack waterproof method using fiber reinforced sheet}
본 발명은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옥상 바닥이나 벽체 등의 바탕면의 크랙을 섬유시트에 아크릴도막방수재를 함침하여 보강되도록 하고 아크릴도막방수재에 의해 방수 성능 및 접착 성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붕, 바닥, 지하 주차장 등에는 습기가 건물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공사를 실시한다. 이러한 방수공사를 수행하는 방수공법에는 도막방수공법, 시트방수공법, 복합방수공법이 있으나 최근에는, 도막방수와 시트방수를 복합화한 복합방수공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복합방수공법에 이용되는 방수시트는 통상적으로 방수재료로 형성된 방수층과 부직포층을 부직포로 처리되도록 제작되며, 다만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재료를 복합하여 제작되기도 한다. 복합기능의 방수시트로는 스티로폼 등의 통상의 단열재를 방수층과 일체화한 단열 방수시트가 있으나, 이러한 단열 방수시트는 통상의 단열재를 그대로 적용했던 관계로 두께가 두꺼운 단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0983618호 등에, 두께가 얇고 새로운 단열 방수시트로서 알루미늄 피막 방수시트가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종래의 방수시트는, 열반사층이 알루미늄에 의한 열반사막으로 구성되고, PVC층이 PE폼을 포함한 방수층으로 구성되며, 부직포층이 부직포로 구성되고, 상기 부직포에 의한 부직포층의 아래층으로 부직포에 열융착된 필름층이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필름층이 알루미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고, 상기 부직포와 필름층이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PVC층의 방수층보다 연장 돌출된 날개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필름층의 날개부 아래에 날개접착층과 이형지가 마련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수시트는, 콘크리트 표면과 방수시트의 가장자리 부분이 쉽게 박리되거나 탈락되는 문제점있고, 이러한 경우 균열 부위를 커버하고 있는 방수용 프라이머와 균열 부위 사이의 틈새를 통해 수분이나 습기가 침투하여 누수를 유발하거나 균열 부위를 메우고 있는 방수용 프라이머 자체가 탈락하여 방수 기능을 완전히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상 바닥이나 벽체 등의 바탕면의 크랙을 섬유시트에 아크릴도막방수재를 함침하여 보강되도록 하고 아크릴도막방수재에 의해 방수 성능 및 접착 성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물 바탕면의 균열 부위에 방수용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균열 부위에 프라이머층이 구성되는 단계와; 프라이머층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균열보강층이 구성되는 단계와; 균열보강층의 상층에 섬유시트가 부착되는 단계와; 섬유시트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보강방수층이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아크릴도막방수재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에, 폴리실록산, 2-브로모뷰탄,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클로로아세틱에시드, 메틸싸이클로펜탄 및 1,2-디브로모-1,2-디페닐에탄을 포함하는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아크릴도막방수재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실록산 60-80 중량부, 2-브로모뷰탄 50-7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40-60 중량부, 클로로아세틱에시드 30-50 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20-40 중량부 및 1,2-디브로모-1,2-디페닐에탄 10-3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도막방수재는, 80 ℃-100 ℃에서 5-8 시간 용해되면서 교반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옥상 바닥이나 벽체 등의 바탕면의 크랙을 섬유시트에 아크릴도막방수재를 함침하여 보강되도록 하고 아크릴도막방수재에 의해 방수 성능 및 접착 성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첨부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은, 구조물의 바탕면(S)의 균열(C) 부위에 방수용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균열(C) 부위에 프라이머층(10)이 구성되는 단계와, 프라이머층(10)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균열보강층(20)이 구성되는 단계와, 균열보강층(20)의 상층에 섬유시트(30)가 부착되는 단계와, 섬유시트(30)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보강방수층(40)이 구성되는 단계 등을 포함한다.
방수용 프라이머는, 구조물의 바탕면(S)의 균열(C) 부위에 도포되어 균열보강층(20), 섬유시트(30) 및 보강방수층(40)의 구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가용성과 침투성이 우레탄 실란트, 에폭시 수지, 에나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크릴도막방수재는, 구조물의 바탕면(S) 균열(C) 부위에 도포시 또는 섬유시트(30)에 도포시 보강 기능 및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에 폴리실록산, 2-브로모뷰탄,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클로로아세틱에시드, 메틸싸이클로펜탄 및 1,2-디브로모-1,2-디페닐에탄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아크릴 도막방수재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실록산 60-80 중량부, 2-브로모뷰탄 50-7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40-60 중량부, 클로로아세틱에시드 30-50 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20-40 중량부 및 1,2-디브로모-1,2-디페닐에탄 10-30 중량부가 혼합된 후, 80 ℃-100 ℃에서 5-8 시간 용해되는 것을 통해 제조된다.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흡착 및 접착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들과의 혼합시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여 단기간 내에 상기 조성물들이 프리폴리머로 전환되도록 하고 반응을 종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폴리실록산은, 상기 조성물들과의 혼합시 구조물의 표면과의 접착력이나 코팅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80 중량부가 혼합되는데, 상기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구조물의 표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되거나 탄셍겔의 코팅도가 너무 작아지게 되고, 상기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착력은 강해지나 탄성겔의 코팅도가 너무 커지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범위의 중량부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브로모뷰탄은, 소정의 점도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70 중량부가 혼합되는데, 상기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혼합되는 조성물들의 전반적인 점도가 너무 작아져 시공성이 저하되고, 상기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점도가 너무 커져 교반성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범위의 중량부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는, 아크릴 점착층(50)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에스테르가가 62-72이고, 산가가 2.0 이하인 것을 통하여 높은 압축강도를 제공하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60 중량부가 혼합되는데, 상기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발수성이 저하되고, 상기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착성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범위의 중량부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로로아세틱에시드는, 오버랩 부분(A)과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50 중량부가 혼합되는데, 상기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열반사층(10)과 PVC층(20) 표면과의 접착력이 저하되고, 상기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조성물들과의 교반성이 저하되고 시공 온도에 영향을 받게 되어 오히려 접착 기능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범위의 중량부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틸싸이클로펜탄은, 아크릴 점착층(50)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40 중량부가 혼합되는데, 상기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혼합물의 저장 안정성이 저조하게 되어 아크릴 점착층(50)의 접착 강도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고, 상기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혼합물의 점도가 높아져 교반성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범위의 중량부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디브로모-1,2-디페닐에탄은, 보습 또는 방수 기능을 통해 열교환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30 중량부가 혼합되는데, 상기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보습성과 투습성이 저하되고, 상기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들뜸 현상이 발생되어 오히려 투습성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범위의 중량부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아크릴도막방수재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에 폴리실록산, 2-브로모뷰탄,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클로로아세틱에시드, 메틸싸이클로펜탄 및 1,2-디브로모-1,2-디페닐에탄 등을 혼합한 후, 80 ℃-100 ℃에서 5-8 시간 동안 용해 및 교반되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온도와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 팽윤율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온도와 시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시트(30)는, 구조물의 바탕면(S)의 균열(C) 부위를 직접 커버하여 균열(C) 부위가 보강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일예로, 나일론 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천에 고어텍스를 엷은 막 형태로 접착한 고어텍스원단을 적절한 크기로 재단한 것이 좋고, 보강방수층(40)이 쉽게 박리되거나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섬유시트(30)는, 부직포 등과 같은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섬유시트(30)는, 균열보강층(20)의 상면에 접착 또는 부착 구성되는 경우에는, 균열보강층(20)의 아크릴도막방수재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접착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상면에 보강방수층(40)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보강방수층(40)의 아크릴도막방수재가 소정의 깊이로 함침되는 것통하여 향상된 접착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의 효과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구조물 바탕면(S)의 균열(C) 부위에 방수용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균열(C) 부위에 프라이머층(10)이 구성되고, 프라이머층(10)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균열보강층(20)이 구성되며, 균열보강층(20)의 상층에 섬유시트(30)가 부착되고, 섬유시트(30)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보강방수층(40)이 구성된다.
여기서, 아크릴도막방수재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실록산 60 중량부, 2-브로모뷰탄 5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40 중량부, 클로로아세틱에시드 30 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20 중량부 및 1,2-디브로모-1,2-디페닐에탄 10 중량부가 혼합된 후, 80 ℃에서 5 시간 용해되어 제조된다.
구조물 바탕면(S)의 균열(C) 부위에 방수용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균열(C) 부위에 프라이머층(10)이 구성되고, 프라이머층(10)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균열보강층(20)이 구성되며, 균열보강층(20)의 상층에 섬유시트(30)가 부착되고, 섬유시트(30)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보강방수층(40)이 구성된다.
여기서, 아크릴도막방수재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실록산 70 중량부, 2-브로모뷰탄 6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50 중량부, 클로로아세틱에시드 40 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30 중량부 및 1,2-디브로모-1,2-디페닐에탄 20 중량부가 혼합된 후, 90 ℃에서 7 시간 용해되어 제조된다.
구조물 바탕면(S)의 균열(C) 부위에 방수용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균열(C) 부위에 프라이머층(10)이 구성되고, 프라이머층(10)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균열보강층(20)이 구성되며, 균열보강층(20)의 상층에 섬유시트(30)가 부착되고, 섬유시트(30)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보강방수층(40)이 구성된다.
여기서, 아크릴도막방수재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실록산 80 중량부, 2-브로모뷰탄 7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60 중량부, 클로로아세틱에시드 50 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40 중량부 및 1,2-디브로모-1,2-디페닐에탄 30 중량부가 혼합된 후, 100 ℃에서 8 시간 용해되어 제조된다.
구조물 바탕면(S)의 균열(C) 부위에 방수용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균열(C) 부위에 프라이머층(10)이 구성되고, 프라이머층(10)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균열보강층(20)이 구성되며, 균열보강층(20)의 상층에 섬유시트(30)가 부착되고, 섬유시트(30)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보강방수층(40)이 구성된다.
여기서, 아크릴도막방수재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실록산 50 중량부, 2-브로모뷰탄 4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30 중량부, 클로로아세틱에시드 20 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10 중량부 및 1,2-디브로모-1,2-디페닐에탄 5 중량부가 혼합된 후, 60 ℃에서 2 시간 용해되어 제조된다.
구조물 바탕면(S)의 균열(C) 부위에 방수용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균열(C) 부위에 프라이머층(10)이 구성되고, 프라이머층(10)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균열보강층(20)이 구성되며, 균열보강층(20)의 상층에 섬유시트(30)가 부착되고, 섬유시트(30)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보강방수층(40)이 구성된다.
여기서, 아크릴도막방수재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실록산 90 중량부, 2-브로모뷰탄 8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70 중량부, 클로로아세틱에시드 60 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50 중량부 및 1,2-디브로모-1,2-디페닐에탄 40 중량부가 혼합된 후, 120 ℃에서 10 시간 용해되어 제조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아크릴도막방수재에 의한 방수공법의 참고예 또는 평가예로서, 시중에 유통되는 폴리우레탄 방수제 제품(등록특허 10-1771248호에 따라 제조된 제품)과 비교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95147114-pat00001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도막방수제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력, 응집력, 내수성 및 내용제성 등의 물성 특성이 우수하여, 섬유시트의 박리가 억제되고 방수 성능 및 접착 성능이 우수한 방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구조물 바탕면(S)의 균열(C) 부위에 방수용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균열(C) 부위에 프라이머층(10)이 구성되는 단계와;
    프라이머층(10)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도포되어 균열보강층(20)이 구성되는 단계와;
    균열보강층(20)의 상층에 섬유시트(30)가 함침 부착되는 단계와;
    섬유시트(30)의 상층에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 도포되어 보강방수층(40)이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아크릴도막방수재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에, 폴리실록산, 2-브로모뷰탄,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클로로아세틱에시드, 메틸싸이클로펜탄 및 1,2-디브로모-1,2-디페닐에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아크릴도막방수재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실록산 60-80 중량부, 2-브로모뷰탄 50-7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40-60 중량부, 클로로아세틱에시드 30-50 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20-40 중량부 및 1,2-디브로모-1,2-디페닐에탄 10-3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아크릴도막방수재는,
    80 ℃-100 ℃에서 5-8 시간 용해되면서 교반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
KR1020200114731A 2020-09-08 2020-09-08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 KR10223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731A KR102231717B1 (ko) 2020-09-08 2020-09-08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731A KR102231717B1 (ko) 2020-09-08 2020-09-08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717B1 true KR102231717B1 (ko) 2021-03-23

Family

ID=75223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731A KR102231717B1 (ko) 2020-09-08 2020-09-08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7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468B1 (ko) * 2006-04-04 2007-03-02 (주)성우이앤씨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크랙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장치
KR101549925B1 (ko) * 2014-07-30 2015-09-03 주식회사페트로산업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
KR101989549B1 (ko) * 2018-11-22 2019-06-14 권영재 수성 아크릴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131031B1 (ko) * 2017-03-28 2020-08-05 주식회사 네버톤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468B1 (ko) * 2006-04-04 2007-03-02 (주)성우이앤씨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크랙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장치
KR101549925B1 (ko) * 2014-07-30 2015-09-03 주식회사페트로산업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
KR102131031B1 (ko) * 2017-03-28 2020-08-05 주식회사 네버톤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989549B1 (ko) * 2018-11-22 2019-06-14 권영재 수성 아크릴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762B1 (ko) 방수시트 이음부위 보강을 위한 폴리우레탄 탄성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41262B1 (ko) 시공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착식 노출형 아스팔트 방수 시트의 제조 및 복합 방수시공방법
KR101006473B1 (ko) 자착식 방수시트
US4897313A (en) Primer/membrane waterproofing system
KR102221528B1 (ko) 수성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보강시트를 이용한 pvc시트 벽체 마감공법
KR102231717B1 (ko) 아크릴도막방수재가 함침된 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 방수공법
KR102322582B1 (ko)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00813B1 (ko) 수팽창성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적층식 노출 및 비노출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960738B1 (ko) 수성 아크릴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슁글의 날림 방지 및 방수시공공법
KR102215611B1 (ko) 아크릴 점착제, 아크릴 점착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 이음부위 보강공법
KR101964444B1 (ko) 내구성이 우수한 pvc 방수시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N109025075A (zh) 波纹沥青防水板
JP2021105332A (ja) 防水シー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S6329557Y2 (ko)
JPS59136246A (ja) 粘着層付き防水シ−ト
KR20170108616A (ko)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2328996B1 (ko) 지용성 고무화아스팔트 도막방수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US4162237A (en) Cement for wall and floor coverings and the like
JP3060967U (ja) 防黴建材
KR102331333B1 (ko) 열공법 고무화아스팔트 도막방수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KR100342204B1 (ko) 수용성 아크릴 고무계 도막방수제
JPS63304080A (ja) 止水材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止水方法
JP2534064B2 (ja) 目地付粘着シ−ト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0000906A (ja) 透湿性防水シート
CN2250371Y (zh) 多功能防水卷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