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616A -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 Google Patents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616A
KR20170108616A KR1020160032802A KR20160032802A KR20170108616A KR 20170108616 A KR20170108616 A KR 20170108616A KR 1020160032802 A KR1020160032802 A KR 1020160032802A KR 20160032802 A KR20160032802 A KR 20160032802A KR 20170108616 A KR20170108616 A KR 20170108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nonwoven fabric
waterproofing material
fabric sheet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478B1 (ko
Inventor
김동춘
박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시엔
김동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시엔, 김동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시엔
Priority to KR1020160032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47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8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4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기재 등 방수구조체 표면에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일정한 폭 및 간극을 가지도록 복수개소 도포하고, 상기 간극을 제외한 복수개소의 아스팔트계 방수재 상부에는 부직포시트를 적층하되, 상기 간극의 길이방향으로 접하는 상기 부직포시트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폭으로 루프벨크로파스너를 형성하며, 상기 간극에는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충진한 후, 상기 루프벨크로파스너 상부에 후크벨크로파스너를 결합하여 상기 부직포시트를 일체로 연결한 다음 상기 일체로 연결된 부직포시트 상부에 노출방수재층을 도포하여 다중 적층된 복합 방수구조로서, 상기 벨크로파스너로 결합된 부직포시트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소의 아스팔트계 방수재 사이에 틈새의 발생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누수, 침수와 같은 구조적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Hybrid water proofing structure using asphalt and non-woven fabric sheet comprising non-woven fabric connection hook-and-loop velcro fastener and the method of its construction}
본 발명은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기재 등 방수구조체 표면에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일정한 폭 및 간극을 가지도록 복수개소 도포하고, 상기 간극을 제외한 복수개소의 아스팔트계 방수재 상부에는 부직포시트를 적층하되, 상기 간극의 길이방향으로 접하는 상기 부직포시트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폭으로 루프벨크로파스너를 형성하며, 상기 간극에는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충진한 후, 상기 루프벨크로파스너 상부에 후크벨크로파스너를 결합하여 상기 부직포시트를 일체로 연결한 다음 상기 일체로 연결된 부직포시트 상부에 노출방수재층을 도포하여 다중 적층된 복합 방수구조로서, 상기 벨크로파스너로 결합된 부직포시트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소의 아스팔트계 방수재 사이에 틈새의 발생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누수, 침수와 같은 구조적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상, 지붕, 지하실 등 각종 구조물 바닥, 각종 유체 저장탱크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빗물 등이 스며들었을 경우, 일부가 내부로 침투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주게 되므로 각종 방수재료를 사용하여 지붕, 외벽, 바닥, 저장탱크 등을 방수 시공하고 있다.
상기한 방수 시공공법으로는 아스팔트, 콜타르피치, 우레탄, 에폭시 등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방수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 아스팔트나 콜타르피치를 함침한 종이, 펠트, 천 등 방수시트로 시공면을 덮고, 그 위에 모르타르, 레미콘 등을 타설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방수공법으로서, 한국등록특허 10-0977160에는 바탕기재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바탕기재의 코너부에 부틸합성고무 밴드를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에 무용제형 폴리우레탄 매스틱 방수재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재의 상부에 보호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무용제형 폴리우레탄 매스틱 방수재는 제1액과 제2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액은 우레탄 경화제 15∼40중량%, 연화제 10∼40중량%, 무기질 필러 20∼70중량%, 점착부여제 2∼20중량%, 반응 촉매 0.1∼5중량%, 안료 1∼10중량% 및 기타 첨가제 0.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액은 분자쇄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를 가지는 우레탄 프리폴리머 또는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틸합성고무 밴드는 부틸합성고무 매스틱 조성물을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으로 되는 바형상의 부틸합성고무 밴드로 성형하되, 상기 이등변 삼각형은 등변의 길이가 2∼7cm이고, 꼭지각의 크기가 80∼150°이며, 상기 부틸합성고무 밴드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는 이형층이 구비되고, 상기 부틸합성고무 매스틱 조성물은 부틸고무 10∼30중량%, 연화제 3∼20중량%, 무기질 필러 20∼70중량%, 점착부여제 8∼25중량%, 개질재 4∼15중량% 및 점도 조정제 4.8∼2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제형 폴리우레탄 매스틱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573298에는 기초부재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 상부에 바탕조정제로서 폴리우레아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바탕조정제 상부에 방수용으로서 폴리우레아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탕조정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A액 및 폴리올, 폴리아민 및 폴리아스파틱 에스터를 함유하는 B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A액은 NCO%가 8 내지 20중량%이고, 상기 B액은 폴리올이 5 내지 20중량%이고, 폴리아민이 20 내지 40중량%이고, 폴리아스파틱에스터(polyaspartic ester)가 20 내지 40 중량% 이며, 상기 A액과 B액의 부피비는 1:1이고, 상기 B액에는 실리콘계 소포제, 1.3-BG, 1.4-BD,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가 첨가물로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탕조정제로 폴리우레아를 이용하는 방수공법이 개발된 바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469840에는 MMA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를 교면 바닥면에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MMA수지를 포함하는 방수재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방수층의 상부로 택코팅을 실시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교면 포장 방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S20 단계에서, 상기 방수재는 MMA수지와 골재를 포함하되, 상기 MMA수지는 MMA, PMMA, 우레탄(UR), 불포화 폴리에스테르(UP),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배합하여 고분자 물질화 된 수지이며, 상기 골재는 규사, 탄산칼슘, 자연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방수재는, MMA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골재 100 내지 400중량부, 상기 골재보다 입경이 작은 충진분말 100 내지 300중량부, 경화제 2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면서, 증점제로는 메틸셀롤로오즈(MC)에 수용성 고분자를 도입한 것으로 타 조성들과 혼합 시 즉각적인 증점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수용성 고분자가 용해된 이후에 메틸셀롤로오즈(MC)가 증점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히드록실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계 점성분말 1 내지 3중량부와, 표면장력을 저하시킴으로써 미세균열로의 충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0.5 내지 1중량부가 더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포장 방수공법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막방수재를 사용하여 방수코팅층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시공도 쉽고 가격도 저렴하지만,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면 방수코팅층이 파괴되어 균열이 발생한 부분은 방수효과를 상실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방수시트를 이용한 공법으로서 한국공개특허 10-2010-0046369에는 골조바닥(10)에 소정의 폭(W)과 길이(L)를 가지는 아스팔트 방수시트(S)를 1개의 단위로 하여 독립적으로 시공하는 공법으로서, 상기 골조바닥(10) 전면에 아스팔트 프라이머을 도포하여 아스팔트 프라이머층(11)을 형성하는 프라이머층 형성단계(S1); 상기 아스팔트 프라이머층(11)의 상부에 고온으로 녹인 아스팔트를 길게 도포하여 제1아스팔트층(12)을 형성하는 제1아스팔트층 형성단계(S2); 상기 제1아스팔트층(12) 상에 아스팔트 방수시트(S)와 다른 아스팔트 방수시트(S')를 이격된 상태로 배치하여 압착시키는 아스팔트 방수시트 배치단계(S3); 상기 아스팔트 방수시트(S)와 다른 아스팔트 방수시트(S')의 가장자리 상부 및 이격된 부분으로 돌출되는 제1아스팔트층(12)의 상부를 덮도록 고온으로 녹인 아스팔트를 도포하여 제2아스팔트층(13)을 형성하는 제2아스팔트층 형성단계(S4); 및 상기 제2아스팔트층(13)의 상부면에 비닐(14)을 부착하는 비닐 부착단계(S5);를 포함하는 것 아스팔트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방수시트를 사용하여 방수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수시트가 겹치는 부위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방수시트의 인장 변화에 따라 틈새가 발생하여 역시 누수현상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수현상이 발생할 경우 결함 부분의 발견과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도막방수재를 사용한 방수코팅층, 방수시트를 사용한 방수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을 안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기재 표면에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일정한 폭 및 간극을 가지도록 복수개소 도포하고, 상기 간극을 제외한 복수개소의 아스팔트계 방수재 상부에는 부직포시트를 적층하되, 상기 간극의 길이방향으로 접하는 상기 부직포시트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폭으로 루프벨크로파스너를 형성하며, 상기 간극에는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충진한 후, 상기 루프벨크로파스너 상부에 후크벨크로파스너를 결합하여 상기 부직포시트를 일체로 연결한 다음 상기 일체로 연결된 부직포시트 상부에 상부방수재층을 도포하여 다중 적층된 복합 방수구조로서, 상기 벨크로파스너로 결합된 부직포시트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소의 아스팔트계 방수재 사이에 틈새의 발생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누수, 침수와 같은 구조적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수구조체의 방수구조에 있어서, 방수구조체 표면에 일정한 폭 및 간극을 가지도록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복수개소 도포하여 형성되는 아스팔트계 방수재층과; 상기 간극을 제외한 복수개소의 아스팔트계 방수재층 상부에 부직포시트를 적층하되, 상기 간극의 길이방향으로 접하는 상기 부직포시트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폭 및 얇은 두께로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간극에는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충진한 후, 상기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 상부에 후크벨크로파스너를 결합하여 상기 부직포시트를 일체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위는 단차없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과; 상기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 상부에 상부방수재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상부방수재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간극의 길이방향으로 접하는 상기 부직포시트의 가장자리에 일정 폭 및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와 후크벨크로파스너의 결합 두께는 상기 부직포시트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방수구조체 표면 및 아스팔트계 방수재층 사이에는 아크릴 에멀젼 및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침투식 액체 방수제층이 적층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상부방수재는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폐연마재분말, 순환골재분말, 시멘트분말을 포함하는 무기질계 분체를 혼합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상부방수재는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급결 시멘트를 혼합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상부방수재는 MMA수지(Methyl Metacrylate)에 칼라규사를 혼합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상부방수재는 1액형 또는 2액형 우레탄 바인더에 슬래그 볼(PS Ball) 및 칼라규사를 혼합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구조체 표면에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일정한 폭 및 간극을 가지도록 복수개소 도포하여 아스팔트계 방수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간극을 제외한 복수개소의 아스팔트계 방수재층 상부에 부직포시트를 적층하되, 상기 부직포시트의 상기 간극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는 얇은 두께로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간극에는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충진한 후, 상기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 상부에 후크벨크로파스너를 결합하여 상기 부직포시트를 일체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위는 단차없이 평평하도록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 상부에 상부방수재를 도포하여 상부방수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시공공법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에 의하면, 벨크로파스너로 결합된 부직포시트에 의하여 복수개소로 도포된 아스팔트계 방수재 사이에 틈새의 발생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누수, 침수와 같은 구조적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방수시트를 사용하여 방수시공하는 경우 방수시트가 겹치는 부위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거나 방수시트의 인장 변화에 따라 틈새가 발생하여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방수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 복합 방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 복합 방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방수구조체의 방수구조에 있어서, 방수구조체 표면에 일정한 폭 및 간극을 가지도록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복수개소 도포하여 형성되는 아스팔트계 방수재층과; 상기 간극을 제외한 복수개소의 아스팔트계 방수재층 상부에 부직포시트를 적층하되, 상기 간극의 길이방향으로 접하는 상기 부직포시트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폭 및 얇은 두께로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간극에는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충진한 후, 상기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 상부에 후크벨크로파스너를 결합하여 상기 부직포시트를 일체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위는 단차없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과; 상기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 상부에 상부방수재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상부방수재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극의 길이방향으로 접하는 상기 부직포시트의 가장자리에 일정 폭 및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와 후크벨크로파스너의 결합 두께는 상기 부직포시트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구조체 표면 및 아스팔트계 방수재층 사이에는 아크릴 에멀젼 및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침투식 액체 방수제층이 적층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방수재는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폐연마재분말, 순환골재분말, 시멘트분말을 포함하는 무기질계 분체를 혼합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방수재는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급결 시멘트를 혼합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방수재는 MMA수지(Methyl Metacrylate)에 칼라규사를 혼합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방수재는 1액형 또는 2액형 우레탄 바인더에 슬래그 볼(PS Ball) 및 칼라규사를 혼합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구조체 표면에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일정한 폭 및 간극을 가지도록 복수개소 도포하여 아스팔트계 방수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간극을 제외한 복수개소의 아스팔트계 방수재층 상부에 부직포시트를 적층하되, 상기 부직포시트의 상기 간극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는 얇은 두께로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간극에는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충진한 후, 상기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 상부에 후크벨크로파스너를 결합하여 상기 부직포시트를 일체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위는 단차없이 평평하도록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 상부에 상부방수재를 도포하여 상부방수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시공공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는 방수구조체(101) 표면에 일정한 폭 및 간극을 가지도록 아스팔트계 방수재(104)를 복수개소 도포하여 형성되는 아스팔트계 방수재층(102)과; 상기 간극을 제외한 복수개소의 아스팔트계 방수재층(102) 상부에는 부직포시트(103)를 적층하되, 상기 간극의 길이방향으로 접하는 상기 부직포시트(103)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폭 및 얇은 두께로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105)를 형성하고, 상기 간극에는 아스팔트계 방수재(104)를 충진한 후, 상기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105) 상부에 후크벨크로파스너(106)를 결합하여 상기 부직포시트(103)를 일체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위는 단차없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107)과; 상기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 상부에 상부방수재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상부방수재층(10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수구조체(101)는 콘크리트로 구조물, 발포수지, 목재, 유류 저장탱크, 집수탱크, 하수처리시설, 수영장, 주차장바닥, 정화조, 정수장 및 각종 수처리 구조물, 교량 상판이나 교각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 및 용도의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수구조체(101)의 표면세척작업 등이 완료되면 방수구조체(101) 상에 프라이머로서 침투식 액체 방수제를 도포한다. 상기 침투식 액체 방수제 프라이머는 콘크리트 등의 방수구조체 표면에 침투되어 표면을 강화시키고, 이후 도포되는 아스팔트층과 결합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침투식 액체 방수제 프라이머는 아크릴 에멀젼 및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아크릴에멀젼은 내수성, 내알카리성, 작업성 등이 우수하고 콘크리트, 몰탈미장 등의 바탕면에 깊숙이 침투, 흡수되어 기공, 먼지 등을 바인딩 처리하며 표면을 단단하게 해주며, 상부도포층과의 접착력을 증진시켜주는 역할을 하지만, 방수층의 강도와 조막성능 및 방수성능은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방수층의 강도와 부착성 및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아크릴에멀젼과 함께 사용하게 되면 방수층의 강도와 조막성능, 탄성 및 방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크릴 에멀젼 및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프라이머를 침투식 액체 방수제로 사용한다.
상기 아스팔트계 방수재층(101)을 형성하는 아스팔트계 방수재는 일실시예로서 아스팔트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도포하거나 아스팔트를 방수시트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계 방수재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아스팔트와 프로세스오일을 혼합하여 항상 유연성을 갖도록 조성한 후 고무화수지, 점착부여제를 첨가하여 저온접착 및 습윤부작이 가능하도록 조성한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도포하거나 방수시트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스팔트계 방수재는 아스팔트 30~35중량%, 프로세스오일 10~15중량%, 고무수지 2~8중량%, 점착부여제 2~4중량%, 충진제 10~15중량%, 흐름방지제 25~30중량%로 조성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포식으로 ㅅ시공할 수도 있고, 방수시트형태로 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부직포시트(103)는 2~4mm 두께의 부직포를 사용하며, 상기 간극의 길이방향으로 접하는 상기 부직포시트(103)의 가장자리에 일정 폭 및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105)와 후크벨크로파스너(106)의 결합 두께는 상기 부직포시트의 두께와 동일하여야 평탄면을 이룰 수 있고, 상기 노출방수재층(108)이 형성될 때 단차면 없이 평탄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상부방수재층(108)은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폐연마재분말, 순환골재분말, 시멘트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기질계 분체가 혼합된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를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를 사용하여 상부방수재층(108)을 형성하게 되면,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혼합된 무기질계 분체는 콘크리트 미세 셀(cell) 사이로 침투되어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와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를 증강시키게 되는데, 이때, 무기질계 분체는 폐연마재분말, 순환골재분말, 시멘트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부착강도 및 인장강도가 우수하게 발현되는 이유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의 -COOH기가 고분자 말단에 존재하여 분체의 무기질 재료에 존재하는 양이온(나트륨이온, 칼슘이온, 마그네슘이온 등)과 매우 강력한 이온결합을 형성하므로 강한 부착강도와 인장강도를 발현시키게 되고, 상기 무기질 분체로 인하여 에어포켓이 발생되지 않으며, 표면조도가 우수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는 내균열성이 우수한 유기계 액상수지로서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며, 이때,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과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공중합시키므로써 내균열성 뿐만 아니라 부타디엔고무 라텍스의 접착성 및 탄성을 부가하여 우수한 방수내구성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방수재층(108)은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급결시멘트를 혼합한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급결시멘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속도로 등과 같은 급결이 필요한 부분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방수재층(108)은 MMA수지(Methyl Metacrylate)에 칼라규사를 혼합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며 자연경화할 수 있는 인보도 또는 자전거도로 방수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방수재층(108)은 1액형 또는 2액형 우레탄 바인더에 슬래그 볼(PS Ball) 및 칼라규사를 혼합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칼라규사혼합으로 인해 PS Ball만 섞여있는 그것에 비하여 높은 강도를 나타내고, 검은색의 PS Ball과 칼라규사가 일정비율로 섞여 색상이 발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는 방수구조체 표면에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일정한 폭 및 간극을 가지도록 복수개소 도포하여 아스팔트계 방수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간극을 제외한 복수개소의 아스팔트계 방수재층 상부에 부직포시트를 적층하되, 상기 부직포시트의 상기 간극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는 얇은 두께로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간극에는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충진한 후, 상기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 상부에 후크벨크로파스너를 결합하여 상기 부직포시트를 일체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위는 단차없이 평평하도록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 상부에 노출방수재를 도포하여 노출방수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공공법으로 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방수구조체 102 : 아스팔트계 방수재층
103 : 부직포시트 104 : 아스팔트계 방수재
105 :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 106 : 후크벨크로파스너
107 :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107) 108 : 상부방수재층

Claims (8)

  1. 방수구조체의 방수구조에 있어서, 방수구조체 표면에 일정한 폭 및 간극을 가지도록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복수개소 도포하여 형성되는 아스팔트계 방수재층과; 상기 간극을 제외한 복수개소의 아스팔트계 방수재층 상부에 부직포시트를 적층하되, 상기 간극의 길이방향으로 접하는 상기 부직포시트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폭 및 얇은 두께로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간극에는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충진한 후, 상기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 상부에 후크벨크로파스너를 결합하여 상기 부직포시트를 일체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위는 단차없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과; 상기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 상부에 상부방수재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상부방수재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의 길이방향으로 접하는 상기 부직포시트의 가장자리에 일정 폭 및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와 후크벨크로파스너의 결합 두께는 상기 부직포시트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구조체 표면 및 아스팔트계 방수재층 사이에는 아크릴 에멀젼 및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침투식 액체 방수제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방수재는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폐연마재분말, 순환골재분말, 시멘트분말을 포함하는 무기질계 분체를 혼합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방수재는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고무 라텍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에 급결 시멘트를 혼합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방수재는 MMA수지(Methyl Metacrylate)에 칼라규사를 혼합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방수재는 1액형 또는 2액형 우레탄 바인더에 슬래그 볼(PS Ball) 및 칼라규사를 혼합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8. 방수구조체 표면에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일정한 폭 및 간극을 가지도록 복수개소 도포하여 아스팔트계 방수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간극을 제외한 복수개소의 아스팔트계 방수재층 상부에 부직포시트를 적층하되, 상기 부직포시트의 상기 간극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는 얇은 두께로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간극에는 아스팔트계 방수재를 충진한 후, 상기 루프벨크로파스너 단차부 상부에 후크벨크로파스너를 결합하여 상기 부직포시트를 일체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위는 단차없이 평평하도록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일체연결 부직포시트층 상부에 상부방수재를 도포하여 상부방수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7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시공공법
KR1020160032802A 2016-03-18 2016-03-18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Active KR101881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802A KR101881478B1 (ko) 2016-03-18 2016-03-18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802A KR101881478B1 (ko) 2016-03-18 2016-03-18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616A true KR20170108616A (ko) 2017-09-27
KR101881478B1 KR101881478B1 (ko) 2018-07-25

Family

ID=6003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802A Active KR101881478B1 (ko) 2016-03-18 2016-03-18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4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558B1 (ko) * 2019-02-13 2019-06-14 김재용 바닥재용 친환경 컬러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30139937A (ko) * 2022-03-28 2023-10-06 주식회사 우림테크 불소계 계면활성제가 코팅된 메조포러스 실리카를 함유한 친환경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차열 또는 축열 상도도막재 적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2629433B1 (ko) * 2022-07-27 2024-01-24 김영철 교면방수층의 물성 및 작업성이 향상된 교면방수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832A (ja) * 1993-04-02 1994-10-11 Toda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養生用マット
KR101083645B1 (ko) * 2010-11-04 2011-11-16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방수층의 방수특성과 내마모성이 향상된 방수 공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방수층과 주차장 바닥층
KR101442455B1 (ko) * 2014-03-04 2014-09-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벨크로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469840B1 (ko) * 2014-05-08 2014-12-08 이영임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방수공법
KR101489658B1 (ko) * 2014-07-23 2015-02-06 (주)대한하이텍건설 일체형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832A (ja) * 1993-04-02 1994-10-11 Toda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養生用マット
KR101083645B1 (ko) * 2010-11-04 2011-11-16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방수층의 방수특성과 내마모성이 향상된 방수 공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방수층과 주차장 바닥층
KR101442455B1 (ko) * 2014-03-04 2014-09-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벨크로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469840B1 (ko) * 2014-05-08 2014-12-08 이영임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방수공법
KR101489658B1 (ko) * 2014-07-23 2015-02-06 (주)대한하이텍건설 일체형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558B1 (ko) * 2019-02-13 2019-06-14 김재용 바닥재용 친환경 컬러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30139937A (ko) * 2022-03-28 2023-10-06 주식회사 우림테크 불소계 계면활성제가 코팅된 메조포러스 실리카를 함유한 친환경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차열 또는 축열 상도도막재 적층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2629433B1 (ko) * 2022-07-27 2024-01-24 김영철 교면방수층의 물성 및 작업성이 향상된 교면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478B1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399B1 (ko) 복수의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90283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101733535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KR101744766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KR10194298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와 단열 및 보강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방수 및 보강 복합 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128657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방수를 위한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및 펠트 시트 복합 방수재
US7829149B2 (en) Method of waterproof and floor construction by using thixotropic urethane and fabric sheet
CN112392140A (zh) 地下室防水施工工艺
KR100757501B1 (ko) Tpo 개질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복합방수공법
KR100315181B1 (ko) 2액형 무기질계 탄성 도막 방수재, 이를 사용한 복합 도막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복합 도막 방수시공방법
KR101141629B1 (ko) 실란화합물을 함유하여 습윤면 부착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실란변성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KR101778261B1 (ko) 건축물의 복합 방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108616A (ko)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1156624B1 (ko) 연질 고무아스팔트계 도막재와 그 제조방법
KR101889329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KR101843811B1 (ko)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KR101942977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 및 단열 복합 자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및 단열 복합 시공공법
KR102439435B1 (ko) 도막방수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752214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 아스팔트 및 보강그리드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2017002505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도막
KR101300406B1 (ko) 연질 고무아스팔트계 도막재를 이용한 선택형 비노출 복합방수구조
CN108868186B (zh) 一种管道井与通风井渗漏水修缮系统
KR102047113B1 (ko) 연질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비노출형 3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0907647B1 (ko) 점착성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방수시트
KR101569973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8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7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