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665B1 -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 Google Patents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665B1
KR102079665B1 KR1020190109600A KR20190109600A KR102079665B1 KR 102079665 B1 KR102079665 B1 KR 102079665B1 KR 1020190109600 A KR1020190109600 A KR 1020190109600A KR 20190109600 A KR20190109600 A KR 20190109600A KR 102079665 B1 KR102079665 B1 KR 102079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kaolin
weight
mixture
mixed
c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현티엠
최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현티엠, 최현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현티엠
Priority to KR1020190109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 C01B39/14Type A
    • C01B39/18Type A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t least one aluminium silicate or aluminosilicate of a clay type, e.g. kaolin or metakaolin or its exotherm modification or alloph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9/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ring member
    • C08L39/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0Homopolymers or copolymers according to C08L39/00 - C08L49/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26Natural polymers, natural resins or derivatives thereof according to C08L1/00 - C08L5/00, C08L89/00, C08L93/00, C08L97/00 or C08L99/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열화된 콘크리트 구체와의 접착성 향상 및 염화이온물의 침투성을 방지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성을 향상시킨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크릴 폴리머(AP) 30∼45중량%, 고활성 메타카올린(HMK) 25∼40중량%, 마이크로 셀룰로우스 파이버(MCF) 2∼5중량%, 아타플자이트(AG) 1∼3중량%, 에틸렌글리콜(EG) 0.1∼0.5중량%, 소포제(DF) 0.3∼1.0중량%, 폴리비닐피로리돈(PVP) 1.0∼2.0중량%, 물 20∼30중량%를 포함하는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이 보수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Crack-repairing compound having high elasticit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아크릴계 균열보수재의 열화가 방지되고, 열화된 콘크리트와의 접착성이 향상되며, 인장강도와 신장율 및 염화물이온 침투저항성이 우수한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우수한 내구성으로 인해 반영구적 구조물의 건설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부동침하, 블리딩 또는 응력의 과다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크고 작은 균열이 발생한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해양 환경에 오랜 기간 노출될 경우 해수의 작용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침식되고 철근이 부식을 일으키며 체적 팽창에 의해 콘크리트가 균열 및 박리를 일으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겨울철에는 콘크리트가 동결 및 융해 작용으로 인해 콘크리트의 파손이 발생하기도 하고,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오랜기간 노출될 경우 중성화 현상으로 인해 내부 철근이 부식되고 콘크리트가 균열 또는 탈락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균열은 그 균열이 발생한 위치와 균열의 폭 및 깊이에 따라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철근 부식 등을 통한 열화의 원인이 되거나, 내구성을 저하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원인들 외에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알칼리골재반응, 동결융해·염해·화학적 침식, 공장 폐수 및 생활하수 등에 의해서도 철근이 부식되고 콘크리트가 손상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원인들에 의해 내부 철근이 부식되고 콘크리트가 균열 또는 탈락된 경우 그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그것을 복원시켜야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균열주입재가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폭이 미세한 균열을 보수하기 위한 재료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합성수지계인 에폭시이다. 에폭시는 압축강도와 인장강도가 높고, 다양한 점도로 제작할 수 있으며, 강도가 조기에 발현되고 접착력이 우수하여 구조물의 균열 보수·보강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폭시는 시공 초기에는 큰 접착강도를 나타내지만, 건조에 의한 수축 및 열팽창 등에서 콘크리트와 이질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접착 성능이 저하되어 신·구 콘크리트 접착면에서 탈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취급이 다소 복잡하고 적절한 온도관리가 필요하며, 화재시 내화성능에 문제가 있고, 습윤면에서는 경화가 잘 되지 않아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와 에폭시의 건조 수축율, 탄성계수, 열팽창계수 및 강도등의 물성 차이로 인해서 부가적인 응력이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단가가 비싸고 특정 에폭시의 경우에는 인체에 유해성을 줄 수도 있어 취급이 매우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64064(2010.06.08)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03136(2013.08.28)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45170(2015.08.1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14735(2018.10.29)
본 발명의 목적은 열화된 콘크리트 구체와의 접착성 향상 및 염화이온물의 침투성을 방지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성을 향상시킨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크릴 폴리머(AP) 30∼45중량%, 고활성 메타카올린(HMK) 25∼40중량%, 마이크로 셀룰로우스 파이버(MCF) 2∼5중량%, 아타플자이트(AG) 1∼3중량%, 에틸렌글리콜(EG) 0.1∼0.5중량%, 소포제(DF) 0.3∼1.0중량%, 폴리비닐피로리돈(PVP) 1.0∼2.0중량%, 물 20∼30중량%를 포함하는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이 보수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고탄성형 균열보수재는 고온단시간 소성된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어, 기존의 균열보수재에 비해 깊은 침투성과 높은 휨강도를 구비하고 있을뿐 아니라, 종래 균열보수재에 의한 보수공법과 대비할 경우, 프라이머도포 및 메쉬소재 보강재의 접착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관리 및 시공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고탄성형 균열보수재는 아타플자이트(attapulgite)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어, 별도의 증점제 없이도 다량의 물에 의해 흐름성을 맞출 수 있을 뿐 아니라, 많은 양의 수분을 잡으면서도 수분의 표면에 차단막을 형성하지 않는 아타플자이트의 특성에 의해 크랙저항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고, 일정한 경화속도를 유지하여 표면에 주름이 지는 경우가 없으며, 표면상태가 양호하여 2차 도막처리시 수려한 미관을 나타낼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염화물 이온 침투저항성 시험에 대한 결과를 보인 그래프 예시도
본 발명은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하여 종래의 아크릴수지의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고 균열보수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반영구적인 보수가 가능하고 특수실리케이트를 활용하여 열화된 콘크리트의 구체를 강화하여 균열보수재와의 접착성능을 향상시켜 더욱 완벽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보수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형 균열보수재는, 아크릴 폴리머(AP) 30∼45중량%, 고활성 메타카올린(HMK) 25∼40중량%, 마이크로 셀룰로우스 파이버(MCF) 2∼5중량%, 아타플자이트(AG) 1∼3중량%, 에틸렌글리콜(EG) 0.1∼0.5중량%, 소포제(DF) 0.3∼1.0중량%, 폴리비닐피로리돈(PVP) 1.0∼2.0중량%, 물 20∼3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Tg = -20∼-30℃의 수용성 아크릴 폴리머로, 탄성력과 유연성이 뛰어나며 기타 부재료와 콘크리트 하지면에 대한 접착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수용성 아크릴 폴리머는 Tg 가 낮을 경우, 탄성의 특성을 구비하고 있으나, Tg -30℃ 미만의 수지가 첨가될 경우, 경화속도가 늦추어지는 현상이 초래된다. 특히, 본 발명의 고탄성형 균열보수재는 시멘트와 혼화되지 않은 상태의 수지액만을 함침하기 때문에 Tg -30℃ 미만의 수지가 첨가될 경우, 피막 등이 형성되어 내충격성이 약화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고활성 메타카올린은 380℃∼430℃에서 10∼20분간 가열하여 정제시킨 원료를 소성온도 950℃∼1,000℃로, 1∼2분 소성시킨 다음, 급냉(수냉)한 것을 의미한다. 즉, 이와 같이 고온에서 짧은시간 동안 소성하여 급냉(고압물분사방식)시킨 고활성 메타카올린은 과소성으로 인한 비정질성을 잃지 않게 되어, 많은 양의 비정질 SiO2 를 구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콘크리트의 잉여 Ca(OH)2 에 대한 처리 능력이 증대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 사용되어지고 있는 메타카올린은 로터리 킬른에서 소성온도 700℃∼800℃로 약 60∼240분 동안 소성되고, 고반응성 메타카올린은 로터리 킬른에서 소성온도 700℃∼900℃에서 약 20∼60분 동안 소성되어진 것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이와 같은 메타카올린과 고반응성 메타카올린은 과소성반응에 의해 활성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고활성 메타카올린은 종래 메타카올린 및 고반응성 메타카올린에 비해 짧은 시간에 고온소성 및 급냉(고압물분사 냉각방식)하도록 되어 있어, 과소성으로 인한 비정질성을 잃지 않고, 많은 양의 비정질 SiO2 를 구비하게 되어, 콘크리트의 잉여 Ca(OH)2 에 대한 처리 능력이 약 2배정도 증대되어 콘크리트 열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종래의 메타카올린 및 고반응성 메타카올인은 카올린 광물의 탈수형(Al2Si2O7)으로, 카올린 광물을 600℃∼800℃로 가열했을 때 볼 수 있으며 아주 희미한 X선 반사를 나타내지만, 1) 메타카올린의 SiO2 는 Na2CO3 용액에 의해 매우 조금밖에 녹지 않고, 2) 비결정질 알루미나는 700℃∼800℃에서 γ알루미나가 되지만 메타카올린으로부터 γ-알루미나의 생성에는 900℃∼950℃를 필요로 하고 있어, 메타카올린 중의 SiO2, Al2O3 는 비결정질 상태의 실리카, 알루미나의 성질과 다른 점이 있다.
즉, 일반적인 메타카올린 및 고반응성 메타카올린은 통상적으로, 1g 당 Ca(OH)2 약 500∼700g을 처리하는 능력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고활성 메타카올인은 짧은시간동안의 고온소성 및 급냉을 통해, 많은 양의 비정질 SiO2 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1g 당 약 1,000∼1,400g의 잉여 Ca(OH)2 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고활성도)을 구비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산화탄소(CO2) 배출량 또한 일반적인 메타카올린 및 고반응성 메타카올린에 비해 약 1/3 이하에 불과하여, 친환경성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메타카올린 및 고반응성 메타카올린을 구비하는 기존의 균열 보수재들은 세피오라이트나 탄산칼슘, 활석분말 등을 사용하여 충진재 이외의 역할을 못했으나, 본 발명의 고활성 메타카올린은 공기 중에 있는 기타 유해가스 혹은 콘크리트 열화 중에 배출되는 Ca(OH)2 등을 기본의 메타카올린에 비해 약 2배 이상 처리하는 능력이 있어 고활성 메타카올인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고탄성형 균열보수재는 콘크리트의 열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Ca(OH)2 은 방치하게 되면, 가용화되어 표면으로 이동되며, 표면이동에 의해 다공성 및 투과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고활성 메타카올린은 Ca(OH)2 과의 포졸란 반응이 고속화되도록 되어 있어, 수산화칼슘의 안정화를 가져오고, 다공성 및 투과성을 감소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투과성의 감소에 의해, 콘크리트의 철근보강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염화물 이온과 같은 이존 종의 침투를 차단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활성 메타카올린은 Ca(OH)2 에 대한 우수한 처리능력 뿐 아니라, 염화물 이온의 이동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활성 메타카올인은, 기존에 사용되어지는 압축공기에 의한 급냉방식이 아니라, 수분함유 압축공기 100부피%내에 물 25∼45부피%(나머지가 압축공기) 즉, 공기(압축공기) 55∼75부피%, 물 25∼45부피%로 이루어진 수분함유 압축공기에 의해 급냉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 물의 체적량이 25% 미만일 때 급냉효과가 낮아져서 비정질성을 갖추지 못하게 되고, 물의 체적량이 45% 를 초과할 경우, 잉여 수분으로 인해 일부 반응성을 잃게 되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적당한 수분을 함유한 압축공기로 아토마이징한 메타카올린은 오랜 에이징 기간을 대신하는 효과가 있다. 즉, 메타카올린은 생산한 후에 에이징이 약 6개월에서 1년도 지난 제품이 더 좋은 반응을 하게되는데 이는 이온의 안정화에 의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적당한 수분을 함유한 압축공기로 아토마이징한 메타카올린은 이러한 오랜 에이징 기간을 대신하는 효과가 있다 .
상기 고활성 메타카올린은 25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인장 및 부착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4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다른 구성성분의 첨가량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전체 물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고활성 메타카올인은 많은 양이 첨가될 경우, Ca(OH)2 처리능력 및 염화물 침투방지 효과에 큰차이가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적정범위내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 셀룰로우스 파이버는, 셀룰로우스 파이버를 마이크로 단위까지 분쇄한 것으로, 수분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여 내외부의 경화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작업시 힘을 가했을 때는 유연한 움직임을 보이다가 안착한 후에는 응집력이 생겨 균열보수재의 처짐을 방지하며, 콘크리트 표면에서 급격하게 수분을 흡수하여 접착력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마이크로 셀룰로우스 파이버는 아크릴 폴리머(AP)와의 혼합에 의해 표면 건조 저항성 및 부착강도를 증진시켜 경질화로 인해 내충격성이 약화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마이크로 셀룰로우스 파이버는, 2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작업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적정범위내에서 첨가된다.
상기 아타플자이트(AG)는, 무기계 증점 및 응집재로써, 균열보수재의 점도를 높이고 물과의 접촉에 의해 겔화되어 재료분리 현상을 막아주는 기능을 구비한다.
특히, 아타플자이트(attapulgite)는 수분의 흐름성을 용이하게 하여 증점제 없이도 다량의 물에 의해 모르타르의 흐름성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많은 양의 수분을 잡으면서도 수분의 표면에 차단막을 형성하지 않아, 보습성이 유지되면서도 수분이동이 용이하여, 수분이탈에 의한 크랙저항성이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즉, 상기 아타플자이트는 수분이동 차단막이 형성되지 않아, 수분의 이동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모르타르 경화체의 표면과 내부의 건조속도에 차이가 발생되지 않아, 크랙현상이 현저하게 저감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아타플자이트는 흡수시에도 부피변형이 없어 안정된 경화체를 만들 수 있다. 즉, 아타플자이트와 유사한 벤토나이트 계열의 무기증점제는 흡수시 부피가 팽창하였다가 수분이 이탈되면 다시 서서히 원상복귀하는 성질을 구비하고 있어 본 발명과 같이, 수분의 이동을 용이하게 사용되는 목적으로는 사용될 수 없다.
또한, 상기 아타플자이트는 벤토나이트보다 규산분이 많고, 알루미나 성분이 적은 특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다공성을 구비하여 모르타르내의 각종 중금속을 흡수제거하는 기능도 함께 구비한다.
상기 아타플자이트(attapulgite)는 1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3중량% 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초기강도 및 초결시간이 지연되므로, 적정범위내에서 첨가된다.
상기 에틸렌글리콜(E.G)은, 내한성 즉, 동결방지기능의 부여하여 저온에서도 얼지않고 안정적으로 경화반응이 일어나도록 유지해주는 것으로, 아크릴 폴리머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로 침투하여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소포제는 혼합물 내에 기포를 없애주어 미관이 수려해지며, 수밀성을 높여줌으로써 내구성 또한 높여주는 것으로, 0.3 중량%보다 적게 첨가될 경우 기포 제거 효과가 적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원래 가지고 있는 기능이 저하되므로, 적정범위내에서 첨가된다. 이와 같은 소포제는 균열보수재에 사용되어지는 공지의 소포제가 첨가되어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폴리비닐피로리돈((Polyvinyl pyrrolidone, 수용성 고분자)은, 소량의 첨가에도 피막형성능력이 뛰어나 보습력을 보호하고, 형성된 필름은 흡습성을 구비하게 되어, 2차 도막 시 도막재 수분과의 반응에 의해 부착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피로리돈은 아크릴 폴리머와 함께 바인더의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폴리비닐피로리돈은, 1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아크릴폴리머와의 가교결합의 유도역할이 부족하여 부착강도가 떨어지고, 2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PVP의 특성상 표면의 점탄성적 Tg 값이 상승하면서 부착강도는 향상되지만 탄성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적정범위내에서 첨가된다.
상기 물은 작업성을 확보해주며 제품 생산 시 혼합성을 높여준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고탄성형 균열보수재는, 아크릴 폴리머, 아타플자이트, 물이 혼합되어 혼합액이 형성되는 혼합액 형성단계;
고활성 메타카올린, 마이크로 셀룰로우스 파이버, 폴리비닐피로리돈, 소포제를 혼합기에 넣고 5분이상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물 형성단계;
혼합액과 혼합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혼합단계 후, 에틸렌 글리콜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최종혼합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단계는 혼합물에 혼합액의 70중량%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1차혼합단계; 1차혼합단계 후, 혼합액의 20중량%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2차혼합단계; 2차혼합단계 후, 혼합액의 10중량%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3차혼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액 형성단계와 혼합물 형성단계는, 아타플자이트의 특성을 고려한 것으로, 아타플자이트는 특성상 점도가 100cps 이상의 용액에 혼합할 경우 응집력으로 인해 뭉침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균열보수재의 표면이 거칠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지므로, 본 발명은 아타플자이트가 혼합된 혼합액과 분말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분리형성한 후, 이를 혼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물에 혼합액을 한번에 넣어 혼합하게 될 경우, 뭉침현상이 발생되게 되므로, 혼합단계 시, 혼합물에 혼합액을 다수번 나누어 투입혼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각각의 혼합단계 즉, 1,2,3차 혼합단계 마다 약 3∼8분, 바람직하게는 각 단계마다 약 5분정도 혼합/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분말화되어 있는 성분들의 뭉침현상이 최소화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혼합액 형성단계는 고속혼합기에 의해 이루어지고, 혼합물 형성단계는 리브타입의 혼합기에 의해 이루어지며, 각각의 단계는 분당 60∼100회의 속도로 5분이상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활성 메타카올린은 380℃∼430℃에서 10∼20분간 가열하여 정제시킨 원료를 소성온도 950℃∼1,000℃로, 1∼2분 소성시킨 다음, 급냉(수냉)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고활성 메타카올인은, 공기(압축공기) 55∼75부피%, 물 25∼45부피%의 혼합분사에 의해 급냉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에 의한 균열보수방법을 설명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손상부위에 대한 커팅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하지면 정리단계;
고탄성형 균열보수재를 균열 또는 손상부위에 도포하는 균열보수재 도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탄성형 균열보수재는, 아크릴 폴리머(AP) 30∼45중량%, 고활성 메타카올린(HMK) 25∼40중량%, 마이크로 셀룰로우스 파이버(MCF) 2∼5중량%, 아타플자이트(AG) 1∼3중량%, 에틸렌글리콜(EG) 0.1∼0.5중량%, 소포제(DF) 0.3∼1.0중량%, 폴리비닐피로리돈(PVP) 1.0∼2.0중량%, 물 20∼30중량%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탄성형 균열보수재는 삼각단면형상을 구비하는 가압형 고무헤라에 의해 균열 또는 손상부위에 도포/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탄성형 균열보수재를 이용한 균열보수공법은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에 마이크로 셀룰로우스 파이버가 함유되어 있어, 수분의 이동이 자유롭고, 프라이머 도포가 필요하지 않을 뿐 아니라, 건조속도 균일하여 높은 인장강도를 발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균열보수공법은 하지면 정리, 프라이머 도포, 부족한 인장력을 보충하기 위한 거즈 혹은 매쉬 형태의 보조재 부착, 균열보수재를 도포가 이루어지는 종래 균열보수공법에 비해, 공정이 현저하게 단축되어 시공품질이 향상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1
아크릴 폴리머(AP) 40중량%(400㎏), 아타플자이트(AG) 2중량%(20㎏), 에틸렌글리콜(EG) 0.2중량%(2㎏), 물 23중량%(230㎏), 고활성 메타카올린(HMK, 분말도 5,000㎠/g) 30중량%(300㎏), 마이크로 셀룰로우스 파이버(MCF) 3중량%(30㎏), 소포제(DF) 0.6중량%(6㎏), 폴리비닐피로리돈(PVP) 1.2중량%(12㎏)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에 대한 인장강도와 파단시 신장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1]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고탄성형 균열보수재는, 고활성 메타카올린, 마이크로 셀룰로오스 파이버, 소포제, 폴리비닐피로이돈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아타플자이트, 아크릴 폴리머, 물로 이루어진 혼합액을 3번(70%,20%,10%)에 걸쳐 나누어 각각 5분정도 혼합/교반(분당 약 80 회 정도)한 후, 에틸렌글리콜을 투입하여 다시 5분간 혼합/교반하여 제조한 것이 사용되었다.
이때, Plain 은 시중에 판매되어지고 있는 아크릴계 탄성크랙보수재, 대비군1은 메타카올린(소성온도 : 700∼800℃, 소성시간 60∼240분, 자연냉각, 분말도 5,000㎠/g)이 첨가된 균열보수재, 대비군2는 고반응성 메타카올린(소성온도 : 700∼900℃, 소성시간 20∼60분, 고압물분사 냉각, 분말도 5,000㎠/g)이 첨가된 균열보수재이다.
[표1]
Figure 112019091225586-pat00001
[표1]에서와 같이, Plain(아크릴계 탄성크랙보수재)는 경량필러의 사용으로 신장율을 좋으나 부착강도가 높지 않고 염화물 이온 침투저항성이 낮아 콘크리의 2차 부식을 방지에 본 발명과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비군1(메타카올린)은, 초기강도에 적극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으며, 대비군2(고반응성 메타카올린)는 대비군1(메타카올린)보다 반응성이 높아 조기강도 어느 정도 기여하나 본 발명(고활성 메타카올린) 만큼 적극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대비군2는 신장율이 높지 않아 대비군1에 비해 인장강도가 비해 높게 측정되고 있으나, 인장강도가 높은데 반하여 신장율이 작게 발현되어지므로, 다시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표1]에서와 같이, 메타카올린 또는 고반응성 메타카올린은 장시간 소성함으로써 과소성 반응에 의해 활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사려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사용함으로써 침상결정질의 형태가 아크릴폴리머와 더욱 강력한 결합을 이루고 자외선이나 대기중의 가스로 인해 아크릴 폴리머의 결합력이 약해지고 공극이 생길 때 쯤에 메타카올린은 콘크리트 열화로 인해 내부에서 용출되는 Ca(OH)2와 결합하여 C-S-H Gel+ettringite를 생성, 또 하나의 경화체가 형성되면서 구조체의 수밀도를 높여줌으로써 기존의 제품들보다 인장강도와 신장율 모두 높일 수 있으므로 고성능, 고내구성의 제품을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염화물 이온 침투저항성 시험에 대한 결과를 보인 그래프로, 메타카올린이 첨가될 경우, 염화물 이온 침투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으며, 대비군1 및 대비군2에 비해, 본 발명의 염화물 침투성이 현저하게 낮게 나옴을 알 수 있다.
즉, 기존 콘크리트 내에서 용출되는 수산화칼슘은 페이스트에서 처리하지 않고 방치하면 가용화되어 표면으로 이동하여 페이스트의 다공성 및 투과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고활성 메타카올린과의 포졸란 반응의 고속화는 시멘트질 제품으로서 수산화칼슘의 안정화를 가져오고, 따라서 다공성 및 투과성을 감소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감소된 투과율은 콘크리트의 철근 보강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염화물 이온과 같은 이온 종의 침투 방지에 효과적이어서 도 1 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염화물 침투성이 현저하게 낮게 나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2
소성시간과 온도를 다르게 처리한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도록 고탄성형 균열보수재를 형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인장,부착성능(단기)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2]에 나타내었다.
이때, Plain 은 메타카올린(소성온도 : 700∼800℃, 소성시간 60∼240분, 자연냉각, 분말도 5,000㎠/g), MKB-1 은 미리 400℃로 가열하여 정제된 상태의 메타카올린을 각 900℃로 30분 동안 소성한 후, 바로 고압 물분사 냉각방식(급냉)으로 아토마이징한 시료를 분쇄(분말도 5,000㎠/g)한 것, MKB-2 은 미리 400℃로 가열하여 정제된 상태의 메타카올린을 1,000℃로 10분 동안 소성한 후, 바로 고압 물분사 냉각방식(급냉)으로 아토마이징한 시료를 분쇄(분말도 5,000㎠/g)한 것, MKB-3은 미리 400℃로 가열하여 정제된 상태의 메타카올린을 1,000℃로 2분 동안 소성한 후, 바로 고압 물분사 냉각방식(급냉)으로 아토마이징한 시료를 분쇄(분말도 5,000㎠/g) 것이 첨가된 균열보수재로, 각각의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에 대한 메타카올린을 제외한 다른 구성성분 및 배합비율은 실시예1에 따른 균열보수재의 배합을 사용하였다.
[표2]
Figure 112019091225586-pat00002
[표2]에서와 같이, 단기강도에서는 과소성된 메타카올린 MKB-1, MKB-2 가 MKB-3에 비해 부착강도와 인장강도가 모두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메타카올린이 과소성될 경우, 오히려 활성도가 떨어지고 초기 반응속도가 저하되어짐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단기강도에 현저한 차이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7)

  1. 수용성 아크릴 폴리머(Tg = -20∼-30℃) 30∼45중량%, 아타플자이트(AG) 1∼3중량%이 혼합되어 혼합액이 형성되고,
    고활성 메타카올린(HMK) 25∼40중량%, 마이크로 셀룰로우스 파이버(MCF) 2∼5중량%, 폴리비닐피로리돈(PVP) 1.0∼2.0중량%, 소포제(DF) 0.3∼1.0중량%가 혼합기에서 5분이상 혼합되어 혼합물이 형성되며, 상기 혼합액과 혼합물이 혼합된 후, 에틸렌글리콜(EG) 0.1∼0.5중량%가 투입혼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고활성 메타카올린은, 380℃∼430℃에서 10∼20분간 가열되어 정제시킨 원료가 소성온도 950℃∼1,000℃로, 1∼2분 소성된 다음, 공기(압축공기) 55∼75부피%, 물 25∼45부피%으로 이루어진 수분함유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해 급냉되어진 것이고,
    상기 혼합액과 혼합물은, 혼합물에 혼합액의 70중량%가 투입혼합되는 1차혼합단계; 1차혼합단계 후, 혼합액의 20중량%가 투입혼합되는 2차혼합단계; 2차혼합단계 후, 혼합액의 10중량%가 투입혼합되는 3차혼합단계;에 의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손상부위에 대한 커팅 및 이물질이 제거되는 하지면 정리단계;
    청구항 1 에 따른 고탄성형 균열보수재가 균열 또는 손상부위에 도포되는 균열보수재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를 이용한 보수공법.
  7. 삭제
KR1020190109600A 2019-09-04 2019-09-04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2079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600A KR102079665B1 (ko) 2019-09-04 2019-09-04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600A KR102079665B1 (ko) 2019-09-04 2019-09-04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665B1 true KR102079665B1 (ko) 2020-02-20

Family

ID=69647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600A KR102079665B1 (ko) 2019-09-04 2019-09-04 고활성 메타카올린을 이용한 고탄성형 균열보수재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66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710A (ko) * 2005-03-24 2006-09-28 정시영 교량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교면방수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교면방수 방식공법
KR100964064B1 (ko) 2009-12-28 2010-06-16 인천메트로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균열주입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공법 및 그 장치
KR101303136B1 (ko) 2013-06-18 2013-09-09 여용득 친환경 아크릴계 균열 주입제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콘크리트 보수공법
KR101545170B1 (ko) 2015-04-02 2015-08-19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폴리머 개질 조강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549925B1 (ko) * 2014-07-30 2015-09-03 주식회사페트로산업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
KR101851207B1 (ko) * 2016-12-02 2018-04-25 자암건설(주)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부착성을 향상시킨 보수보강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 공법
KR101860528B1 (ko) * 2017-09-29 2018-05-23 주식회사 원만 경량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공법
KR101914735B1 (ko) 2018-04-18 2018-11-02 (주)경룡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균열 억제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유지 보수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710A (ko) * 2005-03-24 2006-09-28 정시영 교량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교면방수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교면방수 방식공법
KR100964064B1 (ko) 2009-12-28 2010-06-16 인천메트로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균열주입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공법 및 그 장치
KR101303136B1 (ko) 2013-06-18 2013-09-09 여용득 친환경 아크릴계 균열 주입제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콘크리트 보수공법
KR101549925B1 (ko) * 2014-07-30 2015-09-03 주식회사페트로산업 경량 단열 복합방수방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복합방수 구조체
KR101545170B1 (ko) 2015-04-02 2015-08-19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폴리머 개질 조강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851207B1 (ko) * 2016-12-02 2018-04-25 자암건설(주)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부착성을 향상시킨 보수보강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 공법
KR101860528B1 (ko) * 2017-09-29 2018-05-23 주식회사 원만 경량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공법
KR101914735B1 (ko) 2018-04-18 2018-11-02 (주)경룡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균열 억제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유지 보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61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복구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724062B1 (ko)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심층 미세 균열 억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KR101959437B1 (ko) 친환경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1710300B1 (ko)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초속경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면 보수 및 포장 공법
KR101665945B1 (ko)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노면, 활주로 노면 및 엘형 측구 열화 부위 보수 보강 공법
KR101637987B1 (ko) 열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단면복구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KR101832164B1 (ko) 구조물 보수·보강용 자기 치유성 친환경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206301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 공법
KR100886515B1 (ko) 친환경성 고강도 경량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보수공법
KR101814960B1 (ko) 속경성, 내구성 및 방수성을 갖는 콘크리트 단면 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 복구 공법
KR10089549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중성화 및 염해 방지용 시멘트 모르타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공법
KR100816891B1 (ko) 콘크리트 공극구조 개선을 위한 무기계 마이크로 퍼티와수용성 세라믹 도장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도장시공방법
KR101460498B1 (ko) 자기 보수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2133427B1 (ko) 염분침투저항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라텍스 개질 속경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공법
KR102068714B1 (ko) 내중성화 속경성 보수보강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법
KR101634367B1 (ko) 수지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방수공법
KR101663690B1 (ko) 도로 측구 및 소파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1670413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75490B1 (ko) 시멘트 혼합물용 이온 고정화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단면보수용 이온 고정화형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그리고 그 모르타르 조성물을 활용한 고내구성 콘크리트 단면보수 공법
KR10203158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화학적 침식방지 보수몰탈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화학적 침식방지 보수공법
KR101802698B1 (ko)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도로 측구 및 도막 바닥 보수보강 공법
KR101616103B1 (ko) 염해와 동해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보수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방법
KR101621199B1 (ko)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소파부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소파부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184419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2178145B1 (ko) 단면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