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697B1 -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액체를 반냉동 또는 냉동된 형태로 만들거나 전환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액체를 반냉동 또는 냉동된 형태로 만들거나 전환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697B1
KR101527697B1 KR1020147016877A KR20147016877A KR101527697B1 KR 101527697 B1 KR101527697 B1 KR 101527697B1 KR 1020147016877 A KR1020147016877 A KR 1020147016877A KR 20147016877 A KR20147016877 A KR 20147016877A KR 101527697 B1 KR101527697 B1 KR 101527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reezing
frozen
cup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423A (ko
Inventor
알피오 붓체리
Original Assignee
칠 팩터 글로벌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00485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2769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PCT/AU2012/000169 external-priority patent/WO2012113025A1/en
Priority claimed from AU2012902359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2902359A0/en
Application filed by 칠 팩터 글로벌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칠 팩터 글로벌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4013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045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of slush-ice, e.g. semi-frozen bever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08Batch pro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08Batch production
    • A23G9/12Batch production using means for stirring the contents in a non-moving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07Table-war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4Contain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provided with liquid material between doub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for ice-cr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9/00Devices not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and not covered by groups F25D1/00 - F25D7/00; 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D1/00 - F25D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액체 음료를 반냉동 또는 냉동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냉동 음료 디바이스는, 이 액체의 어는점 이하의 어는점을 가지고 있는 제냉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냉 캐비티를 형성하는 내벽 및 외벽을 가지고 있으며, 이때 제냉 재료는 제냉 캐비티 체적의 적어도 60 %를 점유하고 있다. 디바이스의 각 벽은 압축되어 액체로부터 제냉 재료로의 열 전달이 가속될 수 있으며; 또한 이 디바이스는 압축 장치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가 일회용이어야 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압축되기 전에 디바이스를 보호하기 위해서 및/또는 제냉 재료로부터 사용자를 단열하기 위해서 가요성 보호막 또는 외측 용기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냉동 스푼 또는 교반기를 사용하여 냉동 과정을 돕거나 가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액체를 반냉동 또는 냉동된 형태로 만들거나 전환하기 위한 방법{APPARATUS FOR CONVERTING LIQUID INTO AN AT LEAST PARTIALLY FROZEN FORM, AND METHOD OF MAKING OR CONVERTING LIQUID INTO SEMI-FROZEN OR FROZEN FORM}
1.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냉동 음료, 아이스크림, 및 기타 빙과류를 제조하기 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냉동 음료 디바이스의 조작을 위한 개선된 방법 및 냉동 라이너, 및 냉동 음료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냉동 음료, 아이스크림, 및 기타 빙과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반냉동 "슬러리(slurry)" 또는 "슬러시(slushie)" 형태의 냉동 음료 또는 음식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디바이스, 및 장난감 또는 완구로서 사용될 수 있는 냉동 음료 디바이스와 같은 것에 관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2. 정의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냉동"(frozen)이라는 용어는 또한 "반냉동"(semi-frozen) 상태의 물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사용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슬러리"(slurry)라는 용어는 액체/반액체, 액체/냉동, 및/또는 반액체/액체(액체류)의 냉동부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사용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냉동 음료"(frozen beverage), "빙과류"(frozen confections), 및/또는 "냉동 식품"(frozen foods)이라는 용어는 아이스크림, 빙과류, 냉동 요구르트, 콘 아이스크림, 젤라또, 젤리, 푸딩, 빙수(frozen water), 가향 빙수(frozen flavoured water), 냉동 과일 주스, 냉동 과일 드링크, 냉동 우유, 냉동 우유 음료, 냉동 두유 음료, 냉동 알코올 드링크(예컨대, 주정 또는 혼합주), 또는 유사한 냉동 액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젤리"(jelly)라는 용어는 설탕 감미 젤리, 인공 감미 젤리, 인공 가향 젤리 및 과일 주스, 과일 드링크, 소프트 드링크, 우유 또는 두유 드링크, 요구르트, 에너지 드링크 및 이들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젤리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용기"(container)라는 용어는 절첩 및/또는 접합될 수 있는 모든 가요성 용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또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al polyurethane),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실리콘,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플라스틱 시트, 알루미늄 포일 및 알루미늄 시트와 같은 금속 시트, 골판지, 방수지 또는 방수지 시트와 같은 셀룰로스계 재료, 및 이들의 혼합물(예컨대, 라미네이트)을 포함한다.
"용기"(container)라는 용어는 또한 캔, 병, 컵, 베개 모양 밀봉 팩, 종이 상자, 거싯 팩(gusseted pack), 쿼트로팩(quatropakTM), 저부 중첩 팩, 끈 달린 팩, 샤셋 팩(sachet pack), 유로슬롯(EuroslotTM) 팩, 라운드 홀 팩(Round Hole Pack), 및 멀티 팩(Multi Pack)을 포함하는 모든 패키지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다.
3. 종래 기술
주의 사항: 이하의 설명은 배경 정보의 형태일 뿐이며, 전지구 상의 어디에서도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CGK, common general knowledge)을 진술하는 것으로는 간주되어서는 아니된다.
다년간에 걸쳐서, 음료 회사는 동네 골목 상점, 스포츠 시설 및 오락 시설 등에서 바로 팔릴 수 있고, 캔 또는 병에 담긴 모든 형태의 음료를 포함하는 조미제가 첨가된 자가 취식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냉동 음료를 제조하고자 시도하고 있었다.
현재로서는, 이런 유형의 시판되는 제품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1. 첫번째 유형은 제냉에 의해서 냉동되는 플라스틱, 골판지, 또는 알루미늄 용기를 사용하고, 또한, 이후에 냉동고에서 드링크를 꺼내서 녹인 다음에 소비하였다. 이런 유형의 제품의 단점에는 드링크가 냉동된 얼음 덩어리로 동결된다는 점, 드링크가 녹을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점; 및 드링크가, 냉동될 수 있는 현재로서는 주로 과일 주스인 유형의 음료로 제한된다는 점이 포함된다.
2. 두번째 유형은, 예를 들면, 코카 콜라(Coca-Cola®), 펩시 콜라(Pepsi Cola®), 및 슈웹스(Schweppes®) 레모네이드(Lemonade)와 같은 널리 알려진 음료의 냉동 음료(또는, 소위 "슬러리" 형태의 드링크)를 컵 또는 기타 용기로 분배하는 "슬러리" 머신에 기초하고 있다. 이들 드링크는 일반적으로 슬러피(Slurpees®), 아이시즈(Icees®), 또는 슬러시(Slushies®)로 알려져 있다.
이들 "슬러리"(slurrry) 머신은 제조하고 설치하는데 매우 고가였으며, 예컨대, 가정용으로 적합하지 않았으며, (칵테일과 같은) 알코올성 음료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슬러리"류 음료를 제조하는데 적합하지 않았으며, 또한 단일 머신으로부터 분배될 수 있는 조미제의 갯수가 제한(예컨대, 2 - 4 개)되었다.
국제 특허 출원 PCT/AU2005/001895(= 국제 공개 공보 WO 2006/063401)(출원인: 붓체리 알피오(Bucceri Alfio))는 용기 내의 액체를 반냉동 슬러리 또는 냉동 얼음 입자로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이 냉동 디바이스는 두 개의 가요성 벽 사이에 제냉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또한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설계된 컵이다.
컵의 벽 사이에 위치하는 제냉제는 소금과 물, 또는 유사한 염수 형태의 용액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 용액의 어는 온도를 낮추고 있었다. 제냉제는 벽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기는 형성된 컵의 두 벽을 밀봉하기 전에 제거된다.
이런 방식으로, 제냉제가 컵(cup) 또는 베슬(vessel), 또는 기타 냉동 수단의 측벽 상으로 높이 분배될 수 있도록 벽 사이에 진공이 형성되고, 음료가 추가된 다음 냉각 또는 냉동된다.
컵은 이후에 소비자의 손에 의해서 소정 시간 동안 압축되어지며, 음료는 신속하게 냉각되거나, 또는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냉동되어질 수 있다. 이 음료는 이후에 소비될 수 있다.
이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벽 캐비티 사이의 제냉재는 중력에 의해서 컵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고, 또한 가요성이 있으면서 유연한 내벽 상에 압력을 생성하게 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내벽은 실리콘, TPU(thermal polyurethane), PE(polyethylene), EVA(ethylene vinyl 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박판 알루미늄, 구리박, 또는 식품 등급의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재료와 같은 가요성의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문제는 장치의 동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또한 컵의 냉동 및 이 컵의 압축 중에, 이 문제를 간단하게 알아 차리기 힘들었으며, 이 디바이스는 매우 양호하게 동작하였고 또한 이들 과정 중에 행해지도록 설계된 것들을 행하고 있었다.
실제로는, 이 작동 가능하고 혁신적인 제품을 가능하게 한 것은 컵의 가요성 내벽 상의 액체 제냉제의 압력이었다.
장치의 사용 중에, 제냉제를 포함하고 있는 이중 컵은 냉동고에서 냉동되고, 또한 컵 벽 사이의 전체 빈 공간을 액체 냉각제로 충전하여 컵의 저부로부터 상부까지 내측 컵의 전체 부분으로의 열 전달이 확실하게 발생하도록 하였다.
제냉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분포되어 있으므로, 컵을 뒤집은 자세, 즉 컵을 뒤집어서 냉동하는 것에 의해서, 냉동고 내에서, 제냉제가 쉽게 또한 효과적으로 퍼질 수 있도록 보장하였다.
이후에, 소비자가 냉동고에서 이 컵을 잡아서 이 컵을 냉액체로 충전하고 측면을 압축하는 경우, 열 전달에 의해서 장치의 내벽 상에 형성되어 있는 얼음 결정이 밀려 나오게 되어 컵 상부에 떠 다니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슬러시 드링크를 제조함에 있어서 컵은 완벽하게 또한 효과적으로 동작함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그렇게 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료를 소비하는 중에 컵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발생되는 문제는 제냉제가 얼음에서 액체 상태로 전환되면서 냉기를 내놓기 때문에 컵 내벽 사이의 제냉제가 녹으면서 중력에 의해서 컵의 저부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냉동 음료를 소비하고 또한 냉동 음료의 상당량이 컵 내에서 줄어들도록 하기 때문에 컵의 내벽은 저부에서 팽창하게 된다.
이는 가요성의 내벽의 상단이 컵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게 되고, 한편 이와 동시에 하부 내의 액체 제냉제가 내벽을 가압하기 때문에 컵의 저부에서 돌출하게 된다.
이 작용의 결과, 완벽하게 형성된 내벽은 이제 내벽의 저부가 컵 내에 남아있는 잔존 냉동 음료 주위를 압축하고 있는 상태에서 와인 잔의 형태를 닮게 된다.
이는 가요성 내벽의 속성이기 때문에, 그 결과는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탄성 가요성 재료의 속성 때문에 여전히 스푼을 조작하여 압축부를 지나서 남아있는, 예를 들면, 15 % 내지 20 %의 냉동 음료를 소비하고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압축부에 의해서 초래되는 다른 문제는 이 압축부 및 내벽 저부 상으로의 액체 제냉제의 압력 때문에 컵의 세척이 더욱 곤란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국제 특허 출원 PCT/AU2008/001923(= 국제 공개 공보 WO 2009/079721)(출원인: 붓체리 알피오(Bucceri Alfio))은 폐쇄 가능한 용기 내의 액체를 반냉동 슬러리 또는 냉동 얼음 입자로 전환하기 위한 다른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때 변형 가능한 박벽(thin wall)을 갖는 냉동 디바이스는, 이 변형 가능한 벽 상에 얇은 층의 얼음/얼음 결정을 형성하기 위한 제냉제를 포함하고 있고, 얼음 결정은 흔들거나/돌리거나 및/또는 용기를 압축하거나 및/또는 탈착 가능한 뚜껑에 의해서 용기 내의 액체를 교반하는 것에 의해서 박벽으로부터 분리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디바이스와의 경험으로부터 이들 디바이스와 관련된, 예컨대, 용기로부터 냉동 음료의 배출이 곤란할 수 있다는 것 및/또는 냉동 주기가 너무 느려서 사용자들에게 수용될 수 없다는 몇 가지 제약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 기술의 디바이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적어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목적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밀봉 가능하게 함께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냉 캐비티를 형성하는 외벽 및 내벽,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냉 캐비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하며, 상기 액체의 어는 온도 미만에서 냉각되도록 동작하여 상기 액체가 상기 내벽과 접촉하게 되는 경우 반냉동 슬러리 및/또는 냉동 입자를 형성하도록 상기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하는 제냉 재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반냉동 또는 냉동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벽 및 내벽은 상기 디바이스의 상단에서 입구부 주위에 함께 밀봉되고, 상기 입구부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도록 및/또는 상기 슬러리 및/또는 냉동 입자를 배출하도록 동작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냉 캐비티는 상기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상기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냉 캐비티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내벽을 둘러싸는 일련의 반폐쇄 컬럼과 함께 형성되어 있다(또한 이 디바이스의 중심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수직축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컬럼은 상기 디바이스의 상부에서 폐쇄되고 또한 밀봉되어 있지만,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저부에서는 개방되어 있으며, 이때 컬럼은 상기 디바이스의 저벽과 당접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컬럼은 디바이스 내의 냉동 격실을 향해서 내향으로 지향되고 내벽에 의해서 한정되는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 삼각 형상, 또는 기타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냉동 격실은 액체를 적어도 반냉동 상태로 수용하고 있다. 볼록한 형상 또는 기타 형상의 내벽은 액체로부터 제냉 캐비티 또는 캐비티들 내의 제냉 재료로의 열 전달에 이용될 수 있는 냉동 격실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며, 따라서 냉동 격실 내에서의 액체의 냉동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의 외벽은 압축될 수 있고 또한 저온에서 사용하여도 가요성이 있는 알루미늄,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형태의 복합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 외벽은 발포체(foam), 고무(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EVA(ethylene vinyl 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단열 재료로 덮이거나 이들 재료로 구성되어 컵에 대한 단열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의 내벽은 가요성 플라스틱, 가요성 알루미늄, 또는 가요성 복합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선택된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물을 담아 마실 수 있고, 저온에서 가요성이 있고, 높은 열 전달 능력을 가지고 있고, 내구성이 있고 강인하며,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용접 또는 다른 방식으로 외벽 재료에 접합될 수 있다. 내벽용으로 바람직한 재료는 음식 등급이면서 0.1 mm와 같이 두께가 얇은 폴리에틸렌이다. 다른 바람직한 재료는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내벽 및 외벽에 의해서 생성되는 컬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냉 캐비티는, 예컨대, 물에 소금, 설탕,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염화 칼슘을 혼합한 부동액 믹스(antifreeze mix), 및/또는 기타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되고 안전한 부동액 제품과 같은 제냉 재료로 충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주 림은, 상기 외벽 및 내벽의 상부가 열 용접, RF 용접(radio frequency welding, 고주파 용접), 초음파 용접, 접착제 또는 기타 적절한 밀봉 방법에 의해서 함께 밀봉된 채로 상기 입구부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링은 상기 외주 림에 인접하여 제공되거나, 또는 그 일부를 형성하여, 상기 액체가 부분적으로 냉동됨에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가 압축되거나 기타 변형될 때 상기 입구부의 변형을 제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벽 및 내벽의 상부는 클램프 고정 또는 다른 방식으로 함께 고정될 수 있는 한 쌍의 상기 안정화 링 사이에 클램프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바이스의 적어도 상기 내벽은 상기 입구부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하단까지 수렴하며, 여기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측면으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원추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바이스는 컵, 캔, 콘(cone), 또는 박스(box)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박스는 직사각형, 삼각형, 정사각형, 육각형 또는 유사한 형상일 수 있으며, 또한 절첩 가능한 납작한 팩(flat-pack)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디바이스의 일회용 버전을 위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술한 상기 내벽용의 상기 재료로 제조되는 상기 외벽 및 내벽을 모두 가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일회용 디바이스는 "압축 가능한" 보호관, 또는 외측 컵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보호관 또는 외측 컵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용기 내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구부리거나 압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술한 상기 외벽용의 상기 재료로 제조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외주 림은 상기 보호관 또는 외측 컵의 입구부에 고정되며, 상기 입구부는 외주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어셈블리는 상기 외주 림을 상기 외주 플랜지에 고정하며, 여기에서 상기 잠금 어셈블리는 상기 외주 림 또는 상기 외주 플랜지와 함께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자동으로 동작하여 디바이스를 수동으로 압축하지 않도록 하는 압축 장치(또는 머신)를 제공한다. 따라서, 또한, "슬러시"(slushy) 드링크, 냉동 드링크, 아이스크림 등을 만드는 즐거움이 개선될 수 있고, 및/또는 기타 공지되고 안전한 부동액 제품을 이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의 일회용 버전을 위해서, 보호관 또는 외측 컵은 압축 장치로부터 제거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일회용 디바이스를 수용(또한 장치 또는 머신 내로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압축 장치 내에 압축 격실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축 장치는 두 개의 동작 메커니즘, 예를 들면, 1 내지 5 초의 간격으로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측벽을 압축하는 압축 메커니즘, 및 각각의 압축 사이에서, 예를 들면, 45° - 180°에 걸쳐서 상기 디바이스를 회전시키는 저부에서의 회전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있다. 다르게는, 압축 장치는 서로에 대해서 90°로 배치된 두 개의 압축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교대로 동작한다. 이들 메커니즘은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해서 압축 장치 내에 압축 장치 내의 소켓, 또는 압축 격실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장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으며, 또는 전력 공급 장치에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또한 다양한 서로 다른 형상/크기의 컵에 대해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냉동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디바이스 내의 제냉 재료를 냉동하는 단계;
냉동되어질 액체로 디바이스의 냉동 격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하는 단계;
디바이스를 뚜껑 또는 덮개로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단계;
상기 압축 장치의 상기 압축 격실 내에 디바이스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액체로부터 제냉 재료로의 열 전달을 보조하여 액체가 적어도 반냉동될 수 있도록 일정 기간 동안 압축 장치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체는 냉드링크(cold drink) 또는 온드링크(warm drink), 또는 상술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냉동 음료, 빙과 또는 냉동 식품과 같은 냉동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분말 및 우유 및/또는 물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정 기간은 타이머에 의해서 제어되며, 여기에서 타이머는 제품에 소요되는 점도에 따라서 설정되고, 또한 이 기간이 길어지면 최종 제품의 점도는 더 높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1 내지 5 분이 지나면, 소요되는 점도에 따라서, 냉동 장치는 동작을 멈추게 되고, 또한 냉동 장치로부터 간단하게 냉동 음료, 젤리, 냉동 요구르트, 푸딩 또는 아이스크림을 꺼내어 이를 소비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및 선택적으로 뚜껑)는 세척하여 재활용하거나; 또는 일회용 제품으로서 제조된 경우에는 폐기할 수 있다. 재활용 디바이스를 위해서는, 재활용을 위해서 이 디바이스를 냉동고 내로 다시 넣어져 위치시킬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뒤집은 자세로 넣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디바이스는 함께 포개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디바이스 내의 냉동 격실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시트 또는 백(bag)과 같은 임시 라이너(liner)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백은 냉동 제품을 단기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에 있어서, 냉동 음료는, 예컨대 대량 작업에 있어서, 압축 장치 내에서 압축되거나; 또는 손이나 기타 수단에 의해서 압축될 수 있는 냉동 백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동 백은 상술한 디바이스의 내벽으로 적합한 것과 같은 재료로 제조되는 외벽 및 내벽을 가지고; 또한, 일회용 (압축) 컵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컬럼 및 제동 재료를 포함하는 냉동 캐비티를 구비하고 있다. 냉동 백은 더 큰 (예컨대, 200 % +) 규모에서 일회용 컵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회용 라이너, 예컨대 0.1 mm 폴리에틸렌 시트(또는 GLADWRAP®)는 냉동시킬 액체를 냉동 백에 수용하기 전에 냉동 백에 제공될 수 있다.)
냉동 백은 내부의 냉동 격실을 대한 밀봉 가능한 입구부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입구부는 밀봉되어 냉동될 무공기/무이산화탄소 혼합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 또는 냉동 백 내의 액체의 냉동은 냉동 스푼 또는 교반기를 사용하여 액체를 교반하는 것 및/또는 디바이스 또는 냉동 백의 내벽을 긁는 것에 의해서 가속될 수 있으며, 스푼 또는 교반기는 상술한 제냉 재료로 적어도 일부가 충전된 중공 몸체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실시예는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완전하게 이해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한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수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다른 음료 냉동 디바이스의 제 1 실시예의 상면 및 측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반냉동 액체를 포함하고 있는 도 1 및 도 2의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음료 냉동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4의 냉동 디바이스에 보호관(sheath) 또는 외측 용기를 결합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는 냉동 디바이스를 보호관 또는 외측 용기 내에 고정하기 위한 잠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9의 액체가 반냉동 또는 완전 냉동된 냉동 디바이스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냉동 디바이스의 제 3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바로 구입할 수 있는" 컵 또는 용기를 갖는 제 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일회용 컵 또는 용기를 갖는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일회용 용기 내의 디바이스의 제 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복수개의 제 5 실시예의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 6 실시예의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얼음 또는 아이스크림용 원추형 용기와 결합된 제 6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 7 실시예의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 7 실시예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나타내는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용기의 뚜껑 및 몸체부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냉동고 내에서 "포개어져" 있는 제 7 실시예의 복수의 디바이스를 나타내고 있는 개략도이다.
도 24는 각각 도 21 및 도 20의 용기 및 냉동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냉동 얼음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용기에 제 8 실시예의 디바이스가 함께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26은 종래 기술의 냉동 디바이스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사한 개략 상면도이다.
도 28a는 종래 기술의 디바이스의 상면도이다.
도 2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29a 및 도 29b는 냉동 디바이스 내의 액체로부터의 열 전달을 위해 벽 면적이 늘어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일회용 플라스틱 시트 라이너를 구비한 일회용 냉동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냉동 스푼에 의해서 교반되고, 또한 추가적으로 냉각되는 냉동 디바이스 내의 냉동 액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2는 구형 헤드를 갖는 교반기 상에 형성되는 냉동 음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 및 도 34는 도 32의 교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다른 교반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6은 스푼 형상의 교반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교반기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 38은 헤드에 캐릭터가 형성된 교반기의 사시도이다.
도 39a 내지 도 39d는, 예컨대 요구르트 통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도 38에 도시된 종류의 교반기가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은 핸들을 갖는 냉동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2는 그 정면 사시도이다.
도 43은 그 상부 평면도로, 압축 메커니즘이 후퇴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유사한 상부 평면도로, 압축 메커니즘이 연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는 냉동 장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믹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압축 컵의 형태로서의 냉동 디바이스에 아이스크림 믹스를 붓는 것을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로, 압축 컵을 냉동 장치 내에 위치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은 압축 장치 내에서 제조되는 아이스크림 배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8 내지 도 52는 압축 장치를 사용하여 아이스크림을 제조하는 것을 나타내는 유사한 도면이다.
도 53은 압축 컵의 개략적인 측면도 및 제 2 실시예의 압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4는 각각 압축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원추형의 보호막 또는 외측 컵의 상부 및 저부 사시도이다.
도 55는 선택적인 탈착 가능한 덮개 또는 뚜껑을 구비한 보호막 또는 외측 컵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56은 도 54 및 도 55의 보호막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아이스크림 또는 빙과류의 사이도이다.
도 57은 냉동 음료 등을 제조하기 위한 냉동 백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8은 제조 방법 중에 수작업으로 압축되어지는 냉동 백을 나타내는 유사한 도면이다.
도 59는 도 57 및 도 58의 냉동 백 내에서 제조되는 얼음을 나타내는 유사한 도면이다.
주의 사항: 표기법, 설명, 치수, 체적, 범위, 백분율, 상표, 기타 도면 상의 표시 부호 또는 소재 등은 모두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디바이스(10)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이 디바이스(10)는 외벽(11) 및 내벽(12)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냉 캐비티(13)를 형성하도록 함께, 예를 들어, RF 용접(radio frequency welding, 고주파 용접)되어 있다.
벽(11, 12)은 PE(polyethylene) 또는 기타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되어질 액체, 예를 들면 음료를 수용하는 냉동 격실(15)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상단에서의 입구부(14)를 가지고 있다.
제냉 캐비티(13)는 벽(11, 12)의 용접부(16)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컬럼"(column)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또한 입구부(14)의 바로 아래쪽으로부터 연장이 시작되어, 하단벽(17)까지 연장되어 있다. 컬럼의 수직축은 디바이스의 중심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냉동 격실(15)은 입구부(14)로부터 하향으로 하단벽(17)까지 적어도 일부 수렴되어 있다.
제냉 캐비티(13)는 염수와 같은 제냉 재료(20)로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80 % - 95 % 범위 내로) 충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냉 재료(20)의 체적은 냉동 격실(15) 내에 수용되어지는 액체의 체적의 대략 60 % 내지 80 %이며, 제냉 재료(20)는 제냉 캐비티(13)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다면, 각각의 컬럼은 그 인접하는 컬럼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컬럼은 각각의 제냉 캐비티(13)를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375 mL 내지 400 mL의 체적을 갖는 탄산 음료에 대해서 적어도 부분적인 냉각을 설명하자면, 제냉 캐비티(13) 내의 여덟 개의 40 mL 체적의 컬럼 내에 320 mL의 제냉 재료(20)가 제공될 수 있다.
냉장고 또는 냉동고 내에서 냉동시킨 다음에, 디바이스(10)를 꺼내어 냉동 격실(15) 내로 액체 음료를 부어 넣는다. 내벽(12)과의 접촉에 의해서, 액체 음료는 적어도 반냉동 음료(30)로의 전환이 진행되며, 사용자는 벽(11, 12)을 압축하여 냉동을 발생시킨다. 이 압축은 반냉동 음료 입자가 내벽(12)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멀리 이동하는데 도움을 주어 음료로부터 제냉 재료(20)로의 열 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튜브 형상 연장부(18)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벽(11) 상의, 입구부(14)의 상부에서, 액체 및/또는 냉동 음료(30)를 둘러싸기 위한 접힘 덮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제 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디바이스(110)는 실질적으로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외벽 및 내벽(111, 112), 및 제냉 캐비티(113)를 가지고 있다.
외주 림(140)은 입구부(114)를 둘러싸고 있고 또한 디바이스(110)가 압축되면서 한편으로는 액체가 냉동 격실(115)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될 때 입구부(114)의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또는 폐쇄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외주 림(140)은 함께 또한 안정화 링(141)에 RF 용접(radio frequency welding, 고주파 용접)되는 외벽 및 내벽(111, 112)의 외향 전도 상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 보호관, 컵, 또는 외측 용기(150)에 결합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컵(150)은 외주 플랜지(152)에 의해서 둘러싸여진 입구부(151)를 가지고 있다. 컵(150)은 하향 수렴식 측벽(153) 및 저벽(154)을 가지고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10)는 상부 링 및 저부 링(161, 162), 및 선택적인 제 3 링(163)을 갖는 잠금 어셈블리(160)에 의해서 컵(150) 내에 고정되어 있다. 저부 링(162)은 상부 링(161) 상의 상보적인 내부 나사산(165)에 의해서 결합 가능한 외부 나사산(164)을 가지고 있다. 상부 링(161) 상의 외부 나사산(166)은 디바이스(110) 내의 냉동 음료에 대한 접근을 위한 상부 개구(171)를 갖는 덮개(170) 상의 내부 나사산(167)과 결합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110)는 컵(150)의 입구부(151) 내로 삽입되고 또한 외주 림(140)은 외주 플랜지(152)와 결합하게 된다. 상부 및 저부 링(161, 162)은 컵(150) 내의 디바이스(110)를 고정하도록 나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일부 응용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역전된 L 단면을 갖는 제 3 링(163)은 디바이스(110)의 입구부(114) 내에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외주 림(140) 및 상부 링(161) 사이에 클램프 고정되어 액체가 디바이스(110) 내에 위치한 다음에 컵(150)의 측벽(153)이 압축됨에 따라서 입구부(114)(및 입구부(151))의 변형에 대항하는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5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의 디바이스(210)는 일반적으로 제 2 실시예의 디바이스(110)의 구조와 유사하며, 다만 한 쌍의 안정화 링(241, 242)이, 예를 들면 초음파 용접에 의해서 함께 고정되어, 내벽 및 외벽(211, 212)의 상부를 함께 클램프 고정하여, 입구부(214)에 대한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도 9는 제냉 재료가 냉동되기 전의 디바이스(210)를 나타내고 있고; 반면에 도 10 및 도 11은 냉동고로부터 디바이스(210)를 제거하여 사용할 준비가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히 입구부(214)가 실질적으로 막혀 있지 않아서, 냉동 격실(215)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액체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음(도 10 참조)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동 격실(215)은 최대 면적의 내벽(212)에 의해서 둘러 싸여서 액체로부터 제냉 재료(220)로의 최상의 열 전달을 제공한다. 도 12 및 도 13은 디바이스(210)가, 예를 들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된 종래의 "바로 구입할 수 있는" 컵(250)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컵(250)은 덮개(27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덮개는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종류의) 스푼을 통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액체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앙 구멍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외주 림(240)은 컵(250) 상의 외부 플랜지(251) 및 덮개(270) 상의 환형벽(271) 사이에 고정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컵(250) 및 덮개(270)는 나사 결합, 용접, 클램프 결합 또는 기타 다른 방법으로 함께 고정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일회용 컵(280)과 결합한 디바이스(210)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디바이스(210) 및 컵(280)의 측벽 사이에 한정된 캐비티 내에 종이 또는 플라스틱 라벨(290)이 위치하고 있다.
도 15에 있어서, 액체(L)는 탈착 가능한 덮개(미도시)에 의해서 일회용 컵(280)과 결합한 디바이스 내에 유지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6은 디바이스(310)가 일회용 컵(350)에 용접되어 있는 제 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디바이스의 입구부는 컵(350)의 입구부(351)에 용접되고 또한, 예컨대, 디바이스(310) 내의 슬러리를 보호 및/또는 유지하기 위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으로 접히거나, 또는 안으로 접힐 수 있는 튜브 형상의 연장부(318)를 가지고 있다.
도 17은 컵(350)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는 디바이스(410)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외주 림(440)은 컵(350) 상의 외주 플랜지(351)에 용접되어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고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디바이스는 각각의 입구부로부터 하향으로 작은 각도의 테이퍼를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디바이스(510)가 "실질적으로 원추형" 구조를 갖는 제 6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이 디바이스(510)는 적절한 액체 믹스로부터의 아이스크림 또는 냉동 얼음을 제조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510)는 절첩 가능한 연장부(518)를 가지고 있거나 덮개(570)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디바이스(510)에 있어서, 각각의 제냉 캐비티(513)는 하향으로 테이퍼져서, 대부분의 제냉 재료(520)가 냉동 챔버 부분을 둘러싸도록 보장하며, 이 냉동 챔버는 냉동되어질 벌크 액체 믹스(또는 물)를 포함하고 있다.
도 20에 도시된 제 7 실시예의 디바이스(610)는 디바이스(510)와 유사하며, 일회용 또는 재활용 가능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610)는 냉동고 내에 (또는 창고 내에) 함께 "포개어져" 있을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610)는 나사 결합되는 덮개(670)와 결합되는 일회용 용기(650)와 함께 사용 가능하며, 또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 립(lip) 플랜지(671A)를 갖는 다른 덮개(670A)가 용기(650) 내에 디바이스(610)를 유지하기 위해서 용기(65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4는 각각 도 21 및 도 20의 디바이스(610) 및 용기(650)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냉동 얼음/빙과류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는 디바이스(710)의 제 8 실시예를 구비하는 용기(750)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디바이스(710)는 도 1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식으로 용기(750)에 용접되어 있다.
용기(760)의 저부에 탭(tap)이 제공되어 디바이스(710) 내의 냉동되지 않은 임의의 액체가 배출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대비한 본 발명의 장점에 대해서는 도 26 내지 도 29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디바이스(d)에서의 염수 또는 기타 제냉 재료(r)는 외벽 및 내벽(ow, iw) 사이의 제냉 캐비티(c) 내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바이스(D)는 냉동 챔버(F) 주위에 복수의 제냉 캐비티(C) 내의 제냉 재료(R)를 가지고 있다. 제냉 캐비티(C)는 냉동 챔버(F) 내로 연장되며, 여기에서 내벽(IW)은 반원형이거나, 실질적으로 (도면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형, 또는 기타 볼록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대비한 본 발명의 장점은 다음을 포함(하지만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한다:
a) 액체와의 접촉에 있어서 증가된 유효 표면적에 기인하는 더 신속한, 예를 들면 최대 4 배 신속한 액체의 냉각;
b) 제냉 재료가 냉동 챔버의 실질적으로 전체 높이로 연장됨;
c) 제냉 캐비티에 제냉제를 추가하였을 때 내벽의 내측으로의 붕괴에 의해서 디바이스의 입구부가 제한받지 않음;
d) 냉동 챔버의 실제 체적이 최대로 유지되며, 따라서 각각의 조작 주기에 있어서, 디바이스 내에 더 많은 액체를 위치시키고 또한 냉동시킬 수 있음;
e) 냉동 챔버가 중력에 의한 "모래 시계" 형상을 채택한 내벽에 의해서 압축되지 않기 때문에, 소비를 위해서 반냉동 슬러리가 더욱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음.
f) 디바이스의 세척이 더욱 용이해짐;
g) 디바이스의 사용이 더욱 용이해짐;
h) 디바이스를 일회용 또는 "바로 구입할 수 있는" 용기 또는 컵과 함께 사용할 수 있음;
i) 일회용 제품 자체로 제조하는 코스트로 디바이스를 제조할 수도 있고, 또는 다수회 재활용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음;
j) 디바이스 및/또는 컵 또는 용기는 종래 기술의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들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료, 금속(예를 들면, 알루미늄) 박, 또는 기타 가요성 열 전달 가능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컵은 심지어 종이나 골판지와 같은 재료로도 제조될 수 있음;
k) 디바이스는 컵 또는 용기 내에 결합되거나, 또는 일체로 되도록 제공될 수 있음; 및
l) 최대 열 전달을 위해서 제냉 재료가 항상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냉동 챔버 주위에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액체가 냉동되어감에 따른 냉동고의 배치 및/또는 디바이스의 방향은 중요하지 않음.
냉동 디바이스는 각 회에 사용된 다음에, 세척되어야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GLAD WRAP®이라는 상표로 판매되는 임시 라이너(180)를 냉동 디바이스(D) 내에 결합시키고, 이에 따라서 냉동 격실의 벽과 액체가 접촉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라이너(180)는 나중의 소비를 위해서 냉동 음료의 임시 저장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냉동 디바이스 내의 액체의 냉동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도 31 내지 도 39d를 참조하여 후술되어지는 예시의 스푼 또는 교반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스푼 또는 교반기는 추가적인 제냉 재료 소스를 제공하며, 한편으로는 냉동 격실의 벽으로부터 냉동 입자가 밀려 나와서 새로운 액체가 벽과 접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종래 기술의 머신은 견고한(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 벽을 갖는 두 개의 컵 형상의 베슬을 사용하여 아이스크림, 또는 유사한 물품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제 1 베슬은 0 ℃ 미만의 어는점을 갖는 염수를 생산하기 위해서 각빙/암염/물 혼합물로 충전되었으며; 또한 냉동될 액체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제 2 베슬은 이 염수와 접촉하도록 제 1 베슬의 상부 상에 삽입되었다. 제 2 베슬은 스푼에 의해서 흔들리거나 긁혀지며, 또한 견고한 제 2 베슬의 벽의 내면 상에 형성된 결과의 냉동 슬러리는, 예를 들면 아이스크림과 같은 냉동 제품으로서 긁혀 나오게 된다. 이 머신은 효과적인 염수를 생산하기 위해서 얼음/암염/물의 정확한 혼합물을 필요로 하였기 때문에 조작하기에 복잡하였으며; 또한 각각의 조작 주기에서 매우 작은 체적의 냉동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뿐이었다.
냉동되어야 할 액체의 체적이 작은 경우에는, 스푼 또는 교반기가 냉동 디바이스 자체로 동작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냉동 음료는 스푼 또는 교반기 상에 형성되고 또한 바로 소비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액체를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베슬(vessel) 또는 용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어지는 바와 같이, 스푼 또는 교반기는 다양한 형상 및/또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단열 핸들을 포함하고 있다.
도 31은 냉동되어질 냉동 음료(205)를 포함하고 있는 컵(201) 내에 냉동 스푼(202)이 어떻게 위치하고 있는 지를 도시하고 있다. 음료로부터 스푼 보울(204)의 냉동된 외측면으로의 열 전달은 냉동 슬러리가 형성되도록 하며, 사용자는 이 냉동 슬러리를 소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210)은 단열 핸들(206)에 의해서 보호된다.
도 32는 교반기(220)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냉동 슬러리(222)는 나사 접속식 디바이스(224)에 의해서 단열 핸들(223)에 연결되는 구형 볼(221) 상에 형성되어 있다. 단열 핸들(223)은 사용자의 손가락(225)을 보호한다.
도 33 및 도 34는 또 다른 냉동 교반기(230)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구상체(231) 및 핸들(232)은 제냉 재료(234)로 충전되고 있으며; 여기에서, 핸들(232)은 단열 덮개 또는 보호관(233)을 가지고 있다.
도 35는 제냉 재료(243)로 충전되어 있고 절연 핸들(242)을 가진 중공 몸체부(241)를 구비한 단일한 튜브 형상의 냉동 교반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6 및 도 37은 스푼 형상의 교반기(250)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환형의 보울(bowl) 형상의 헤드(252)는 중앙 홀(251)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서 헤드(252) 및 핸들(253)은 제냉 재료(255)로 충전되어 있다. 핸들(252)은 단열 덮개(254)를 가지고 있다. 헤드(252) 내의 홀(251)은 사용자가 교반기(250)를 집어서 냉동 슬러리를 먹기 전에 용기(미도시) 내로 냉동되지 않은 액체를 되돌릴 수 있도록 한다.
도 38은 냉동 교반기(260)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캐릭터가 형성된 냉동 헤드(261)는 용기 내의 액체로부터 핸들(263)(및 선택적으로 냉동 헤드(261))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제냉 재료로의 열 전달에 의해서 생성된 냉동 슬러리(미도시)로 덮혀 있다.
도 39a 내지 도 39d는 상술한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냉동 교반기(270)의 사용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교반기(270)는 제냉 재료(273)로 충전된 중공 몸체부(271), 및 단열 캐릭터 핸들(272)을 가지고 있다. 교반기(270)의 몸체부(271)를 요구르트(274) 통 안에 담그면 몸체부(271) 상에 냉동 요구르트 슬러리(275)가 생성된다.
도 40은 냉동 장치(285)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냉동될 액체를 포함하고 있는 냉동 디바이스는 핸들(282)을 구비한 중공 몸체부(281) 내에 위치하게 되며, 냉동 장치(285)는 해머 또는 망치의 외양을 가지고 있다. 핸들(282)을 잡은 뒤에, 사용자가 몸체부(281)의 단면(端面)(284)을, 예를 들면 벤치나 테이블과 같은 표면(미도시)에 때려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액체를 요동시키면 액체가 냉동 슬러리로 전환된다.
아이스크림 또는 유사한, 예를 들면 젤리와 같은 빙과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소비될 음료 또는 기타 빙과류 또는 음식을 냉동시키기 위한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더 큰 열 전달 속도가 필요하다.
도 41 내지 도 44, 및 도 48 내지 도 51을 참조하면, 유리한 제 1 실시예의 압축 장치(1010)는 예를 들면, 머신(1010) 내의 냉동 격실(1023)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홀(1022)을 갖는 상부벽(1021)을 갖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중공 머신 몸체부(1020)를 가지고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온-오프"(on-off) 스위치 및/또는 조절 가능한 타이머와 같은 조작 제어부(1024)는 머신 몸체부(1020)의 전면벽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어 패널(1025) 상에 제공된다. (조작 제어부는 또한 압축 메커니즘의 이동 거리 및/또는 회전 메커니즘의 회전 속도(압축 메커니즘 및 회전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후술함) 및/또는 기타 선택적인 메커니즘(후술함)을 위한 조절 가능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10)는 배터리 또는 상용 전원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또한 머신 몸체부(1020)는 튼튼하고 또한 세척하기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3의 제 2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회전 메커니즘(1030)은 상부벽(1021) 내의 홀(1022)과 공축으로 정렬되어 있는 압축 격실(1023)의 저부에 장착된다. 회전 메커니즘(1030)은 다양한 속도의 모터(미도시)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회전 평판(또는 턴테이블)(1031)을 가지고 있으며, 모터는 조작 제어부(1024)에 의해서 제어되어진다(도 42 참조).
압축 격실(1023) 내의 압축 메커니즘(1040)은 한 쌍의 죠(jaw)(또는 플레이트)(1041)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압축 격실(1023) 내에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으며, 또한 조작 제어부(1024)에 의해서 마찬가지로 제어되는 왕복 액추에이터(1042) 상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 메커니즘(1030) 및 압축 메커니즘(1040)은 동작 가능하게 링크되며, 따라서 로터리 턴테이블(1031)은 매회 압축 메커니즘(1040)이 동작하고 또한 압축 죠(1041)가 그 후퇴 위치에 위치시킨 이후에 매번 압축 격실(1023) 내에 위치한 압축 컵(1060)을, 예를 들면 30°/45°/60°/90°/120°/180° 회전시킨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턴테이블(1031) 및 압축 죠(1041)는 적어도 반냉동되어야 할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압축 컵(1060)(도 41 및 도 42 참조)의 재활용 가능한 형태를 직접 조작할 수도 있고; 또는 압축 격실 내에 수용되는 보호관 또는 외측 컵(1050)(도 41 및 도 42 참조)을 통해서 일회용 압축 컵을 간접적으로 조작할 수도 있으며, 보호관 또는 외측 컵(1050)은 압축 컵(1060)의 일회용 형태를 수용하고 있고 또한 두 개 부품의 연결 해제 가능한 잠금 링 조립체(1051)(매번 사용 후에는 세척할 수 있음)(도 41 및 도 46 참조)를 통해서 일회용 압축 컵(1060)의 입구부에 대해서 림에 연결 해제 가능하게 고정 가능하다.
보호관 또는 외측 컵(1050)은 원통형 - 도 52 참조; 또는 원추형 - 도 54 및 도 55 참조; 또는 기타 적절한 형상일 수 있으며; 또한, 예컨대 실리콘 플라스틱(또는 상술한 기타 재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8 및 도 49를 참조하면, 압축 컵(1060)은 재활용 컵이든 또는 일회용 컵이든 간에 보호관 또는 외측 컵(1050)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축 컵(1060)이 재활용 컵인 경우, 외벽은, 예컨대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편으로 내벽은, 예컨대 TPU(thermal polyurethane)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면에, 압축 컵(1060)이 일회용 컵인 경우, 외벽 및 내벽은 모두 상술한 바와 같이 TPU 또는 유사한 재료로 형성된다.
외벽 및 내벽은 림에서, 예컨대 RF 용접(radio frequency welding, 고주파 용접)에 의해서 함께 용접되어 있으며; 및 또한 이격된 위치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조인트를 따라서 함께 용접되어 외벽 및 내벽에 의해서 한정되는 제냉 캐비티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중공) 컬럼을 형성하며, 여기에서 외측 및 내측 저벽은 컬럼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는 하부 제냉 캐비티부를 형성하도록 상호 접속되어 있지 않다.
압축 컵(1060) 내의 냉동 격실(1069)(도 46 및 도 47 참조)은 내벽 및 입구부에 의해서 한정되어 있다.
제냉 캐비티는 염수와 같은 제냉 재료로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80 % - 95 % 범위 내로) 충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냉 재료의 체적은 냉동 격실(1069)(도 46 및 도 47 참조) 내에 수용되어지는 액체의 체적의 대략 60 % 내지 80 %이며, 제냉 재료는 제냉 캐비티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375 mL 내지 400 mL의 탄산 음료의 경우, 제냉 캐비티 내에 320 mL의 제냉 재료가 제공될 수 있다.
머신(1010)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아이스크림(1070), 및 냉각 컵(1060)은, 물 및/또는 우유(또는 우유 분말)를 포함하는 액체 혼합물(1071)로부터 제조되며, 여기에 도 45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팩(P)으로 판매되는 가향 믹스(믹스류)를 추가한다.
도 4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호관 또는 외측 컵(105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일회용 압축 컵(1060) 내로 액체 아이스크림 혼합물(1071)을 부어 넣고; 또한 머신(1010)(도 41 및 도 42 참조) 내에서 처리한 다음, 후술하겠지만, 도 4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비될 아이스크림(1070)을 생산하게 된다. 일회용 압축 컵(1060)은 제냉 재료가, 예를 들어 -20 ℃ 미만으로 냉동되는 냉동고(미도시)에서 꺼내어진다.
도 4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체 아이스크림 혼합물을 갖는) 보호관 또는 외측 컵(1050) 및 일회용 압축 컵(1060)은 주요 (하부) 부분이 냉동 격실(1023) 내에 수용되어 있는 채로 머신(1010) 내에 위치하게 된다.
머신(1010)이 조작되도록 설정되고, 또한 압축 메커니즘(1040) 및 회전 메커니즘(1030)은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도 52 및 도 5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체 아이스크림 혼합물(1071)이 아이스크림으로 처리될 때까지 보호관 또는 외측 컵(1050)/압축 컵(1060)/액체 아이스크림 혼합물(1071)을, 예를 들어 4 분간 압축/회전/압축/회전시킨다(도 46 내지 도 52 참조).
머신(1010)의 조작 중에, 오퍼레이터는 도 5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종 아이스크림(1070)의 공기 혼입을 돕기 위해서 스푼(1079)(도 46 참조)을 사용하여 냉동되어 가는 혼합물(1071)을 교반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이 혼합물은 적절한 공기 혼입기에 의해서 및/또는 액체의 공기 혼입을 개선하는 소량의 탄산 수소 나트륨(sodium bicarbonate)과 같은 재료를 첨가하여 공기가 혼입되도록 할 수 있다.
머신(1010)으로부터 보호관 또는 외측 컵(1050) 및 일회용 압축 컵(1060)을 분리하고; 또한 보호관 또는 외측 컵(1050)으로부터 일회용 압축 컵(1060)을 분리한다. 보호관 또는 외측 컵(1050)은 세척되어, 처리될 다음번의 액체 아이스크림 혼합물(1071)을 갖는 일회용 압축 컵(1060)을 수용할 수 있다. 아이스크림(1070)은 압축 컵(1060)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소비되거나 또는 소비를 위해서 용기(1069)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일회용 압축 컵(1060)이 비워진 이후에, 이 컵은, 예를 들어, 쓰레기 통에 폐기될 수 있다.
압축 컵(1060)이 재활용 가능하고, 또한 아이스크림(1070)이 소비되거나 다른 용기(1069)에 위치한 경우, 재활용 가능한 압축 컵(1060)을 세척하고, 건조할 수 있으며, 또한 이후에 냉동고로 다시 넣어져 제냉 재료(1068)를 재냉동할 수 있다. 재활용 가능한 압축 컵(1060)이 원추형인 경우, 또는 테이퍼진 벽을 갖는 경우, 냉동고 내에서 포개어져서 저장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3은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일회용 압축 컵(1160)이 머신(1110)의 냉동 격실 내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보호관(1150)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회전 메커니즘(1130)의 턴테이블(1131)은 보호관(1150)을 지지하고 있고, 이 보호관은 압축 메커니즘(1140)의 죠(1141)에 의해서 내측으로 압축된다. 보호관(1150)은 턴테이블(1131)에 고정될 수도 있고, 또한 머신(1110) 몸체부의 상부벽에 밀봉 가능하게 접속되어 액체 혼합물의 누출에 대해서 머신(1110)의 내부가 보호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 장치(1110)를 사용하여 한번에, 예를 들면 5 리터 이상을 제조하는 경우, 제냉 재료는 냉동 격실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제냉 캐비티에 접속된 호스(1180)에 의해서 순환될 수 있으며, 제냉 재료는 응축기/열 교환기/펌프 조립체(1190)에 의해서 냉각되고, 또한 순환된다.
냉동되어질 액체는 제 1 탱크(1191)에 저장된 분말 가향제 또는 향료와 제 2 탱크(1192)에 저장된 물 또는 우유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탱크(1191 및 1192)는 믹서 장치(1193)에 접속되어 있고, 여기에서 아웃풋(1196)은 혼합물을 압축 컵(1160)으로 공급한다. 믹서 장치(1193)는 소형 팬 또는 공기 펌프와 같은 기포 발생기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 기포 발생기는 혼합될 때 및/또는 냉동될 때 액체를 관통하여 주변 공기의 정상 흐름을 강제하여 최종 냉동 (아이스크림) 제품의 체적을 증대(이는 30 %(v/v)로부터 50 %(v/v)의 공기일 수 있음)시킬 수 있다. 다르게는, 냉동됨에 따라서 액체에 기포를 생성시키는 교반기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압축 장치(1010, 1110)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메커니즘(1030, 1130)은 생략될 수 있고; 또한 이 장치는 90°로 배치된 한 쌍의 압축 메커니즘(1040, 114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한 쌍의 압축 메커니즘(1040, 1140)은 압축 컵(1060, 1160)의 한 쌍의 대향 측벽을 교대로 압축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한 쌍의 죠(1041, 1141)에 대한 액추에이터의 타이밍은 장치(1010, 1110)용 제어 시스템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도 54 및 도 55는, 측벽(1251)은 저부에서 폐쇄되어 있고, 또한 입구부(1253) 주위의 외주 림(1252)에서 일회용 압축 컵을 수용하는 격실(1254)까지 연장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원추형인 보호관(1250)을 도시하고 있다. 보호관(1250)에는, 예를 들면, "아이스크림 트위스트" 형상의 선택적인 뚜껑(1255)이, 외부 림(1252)에 결합된 두 개 부품의 연결 해제 가능한 잠금 조립체(1256)를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
다수회 재사용되도록 설계된 보호관(1250)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강인하고" 가요성이 있는 재료로 제조된다.
도 41 내지 도 56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개인 소비를 위한 아이스크림, 또는 기타 냉동 음식 또는 음료의 생산에 관한 것이다.
도 57 내지 도 59는 한번에 대량으로 생산하기에 적합한 냉동 백(1360)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냉동 백(1360)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이며, 외벽 및 내벽(1363, 1364)(및 외측 저벽 및 내측 저벽)은 일회용 압축 컵(1060)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재료/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된다. 제냉 캐비티(1367)는 상호 접속된 (중공) 컬럼(1366)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일회용 압축 컵(1060)에서와 같이, 제냉 재료(1368)를 포함하고 있다. 냉동 격실(1369)은 선택적으로 입구부(1362)를 밀봉하는 탈착식 및/또는 분리 가능한 클립 또는 슬라이드 수단에 의해서 밀봉 가능하게 폐쇄될 수 있다. 다르게는, 가요성 덮개 또는 뚜껑을 사용하여 입구부(1362)를 밀봉할 수도 있다.
제냉 재료(1368)가 냉동고 내에서 냉동된 다음에는, 냉동고로부터 냉동 백(1360)이 제거되며; 냉동되어질 액체는 냉동 격실(1369) 내에 위치하게 되고; 또한 입구부(1362)는 밀봉된다.
도 5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냉동 격실 내의 액체 내의 열이 제냉 재료(1368)로 전달될 때까지 냉동 백(1360)을 압축하며, 또한 액체는 최소한 반냉동되어, 예를 들어 얼음(1390)과 같은 "슬러리"(slurry), 또는 기타 필요에 따라서 냉동 음식 또는 음료를 생성한다.
가향될 수 있는 얼음(1390)은, 예를 들면, 눈사람, 공, 기타 적절한 형상(미도시)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반냉동 슬러리가 분리되면, 냉동 백(1360)을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또한 다음 작업을 위해서 냉동고로 되돌린다.
머신(1010, 1110)에 대해서 상술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냉동 백(1360)을 수용하고, 압축하기 위한 용량을 갖는 냉동 격실을 구비한 머신(1010)을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비자는 Nespresso®와 같은 제품을 통해서 마실 커피(또는 유사한 음료)를 집에서 만드는 것을 즐겨왔으며, 그 때문에 각각의 분말이 분리되기 쉬운 플라스틱 또는 금속박 캡슐로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커피 분말이 서로 다른 향 또는 커피 블렌드가 가능하였다. 선택된 커피 블렌드 캡슐을 전용 커피 머신에 위치시키고, 또한 물 및/또는 우유와 혼합하여 가정용 전용 커피를 제조한다.
유사하게, 본 발명은 냉동 디저트, 슬러시 드링크, 냉동 요구르트, 젤리, 푸딩의 제조에 대해서 Nespresso®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경험 및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특별한 하드 아이스크림 또는 소프트 아이스크림을 다양한 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분리되기 쉬운 캡슐 또는 카트리지에 혼합물을 액체 또는 분말 형태로; 또는 냉동 머신 내의 혼합 챔버에 접속된 벌크 용기 또는 탱크로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또한 혼합 챔버는 기계와 관련된 적절한 저장 격실 또는 탱크로부터 물 및/또는 우유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머신은 냉동 컵에 대해서 관련된 냉동 장치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향을 선택하고, 또한 대응하는 향의 믹스 캡슐 또는 카트리지 중의 하나를 머신에 위치시키거나, 선택 가능한 옵션으로부터 향을 선택한다. 오퍼레이터는 냉동 장치로부터 압축 컵을 취할 수 있으며 또한 이 압축 컵을 머신의 냉동 격실 내의 보호관 또는 외측 컵 내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면, 원하는 제품의 원하는 점도에 대한 압축 주기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냉동 사이클을 진행한다. 머신은 캡슐 또는 카트리지, 또는 벌크 용기 또는 탱크로부터 방출되는 향 믹스를 혼합 챔버 내의 물 및/또는 우유와 혼합하며; 또한 이 액체 혼합물을 압축 컵에 분배한다. 이후에, 머신은 액체 혼합물이 적어도 반냉동되기 전까지 선택된 기간 동안 보호관 및 압축 컵을 압축하고 회전시킨다. 압축 컵은 제거될 수 있으며 또한 다음에 소비될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공정이 반복된다.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장치가 상술한 종류의 적어도 반냉동 음식 또는 음료의 생산에 대한 단순하고, 효과적이며, 비용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며; 또한 이 방법은 생산되는 단일 제품에도 적용 가능하고; 또는 전용 분배/냉동기에 의해서도 달성되며; 또는 이들의 어디에서도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방법에 영향을 미치기에 적합한 머신을 제공한다.
또한, 소비자가 단일 냉동 머신을 구입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풍미 분말 또는 액체를 판매함으로써 미래의 수입원을 제공할 수 있다.
수년 동안, 젤리는 분말상 젤라틴과 뜨거운 물을 혼합하여 만들어져 왔으며, 이후에 냉장고에서 식혀서 젤리를 만들었다. 미합중국에서는, 보편적인 상품이 Jell-O®로 알려져 있으며, 이 상품은 분말의 형태로 판매되고 있었으며, 또한 다양한 서로 다른 색상 및 향의 제품을 입수할 수 있다.
젤리 제품은 분말로 오며 또한 분말 젤라틴 및 Equal®과 같은 설탕 또는 인공 감미료를 포함하는 향미제를 포함하고 있다. 뜨거운 물에 녹인 다음에, 식히고, 그리고 굳힌다. 과일, 채소, 휘핑 크림, 또는 기타 재료를 첨가하여 멋진 스낵을 만들어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Jell-O®는 먹기 전에 냉동되어야 하며, 일단 완전하게 고정되면, 스푼으로 먹는 것이 정상적이다.
또한 넌젤라틴 푸딩 및 젤리와 유사한 파이 필링 제품도 있다. 푸딩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들을 우유를 넣고 스토브 위에서 요리한 다음, 더 굳게 고정되기 전까지 뜨겁거나 차가운 것을 먹을 수 있다. Jell-O® 또한 인스턴트 푸딩 제품으로, 단순히 차가운 우유와 혼합한 다음, 이후에 식힌 것이다. 파이 필링을 제조하기 위해서, 동일한 제품은 액체를 더 적게 하여 준비한다.
이런 형태의 제품의 단점은 냉각시키기 위해서 냉장고 속에 결과의 혼합물을 놓아두고 냉각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혼합물로부터 열이 제거되고 또한 젤리가 굳어서 형상을 나타내기 전까지 6 시간이 소요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냉동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해서 제공되는 신속 냉동에 의해서 젤리가 형성되며; 또한 이 젤리는 가요성 컵의 외측을 압축하거나 또는 압축하지 않아도 1 내지 5 분에 만들어질 수 있다.
순식간에 제조되는 이 젤리는 냉동 컵으로부터 바로 소비될 수도 있고, 또는 신속한 소비 또는 저장을 위해서 뒤집은 다음에 냉동 컵 또는 다른 용기로부터 배출되었다.
냉동 컵은 재활용을 위해 세척될 수 있거나; 또는 일회용일 수 있다. 재활용 버전의 냉동 컵은 재활용을 위해서 냉동고 내로 다시 넣어져 위치될 수 있다.
젤리를 제조하기 위해서, 냉동 컵 또는 용기의 제냉 캐비티는 부동액으로 충전된다.
부동액 믹스의 체적은 컵의 전체 체적의 60 % 내지 100 %의 범위 내에 있으며; 또한 바람직한 체적은 전체 체적의 66 % 퍼센트이다. 더 많은 부동액(염수)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더 많은 냉동 잠재력이 가능해지며, 이는 더 많은 젤리 혼합물이 (끓는점에서) 냉동될 컵 내로 추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른 바람직한 부동액 믹스는 87 %(v/v)의 물과 13 %(v/v)의 식품 등급의 프로필렌 글리콜 및 염화 나트륨(소금) 혼합 믹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냉동 컵의 제조 중에, 빈 공간이 부동액 믹스로 충전되는 경우, 임의의 과잉 공기는 배출되고 또한 제냉 캐비티 내에는 반진공이 형성된다.
냉동 컵은 냉동 또는 초저온 냉동에 의해서 냉동된다. 일단 컵 내의 부동액이 냉동되면, 컵은 고온의 액체를 이 컵의 상부에 부어 넣어 젤리 혼합물로 충전된다.
이때, 또는 붓는 중에, 냉동 컵은 압축, 흔듬, 진동, 회전 또는 유사한 수단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교반되어 혼합물을 교반하고 또한 이 젤리 혼합물을 단시간에 소비 가능한 젤리 또는 기타 빙과류로 전환될 수 있다. 이 시간은 15 초 정도로 매우 짧을 수도 있지만; 부동액 믹스가 -20 ℃에서 완전하게 냉동되고 또한 젤리 혼합물이 초기에 100 ℃인 경우에는 60 초 내지 180 초가 평균이 될 수 있다.
일단 고온의 액체가 젤리로 전환되면, 이 제품은 냉동 창고에 위치하게 되거나 즉시 소비될 수 있다.
젤리(또는 임의의 기타 냉동 제품)를 생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냉동되어질 액체의 양, 종류 및 온도, 및 냉동되는 것이 바람직한 전체 백분율에 따라서 결정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냉동 컵 또는 용기는 플라스틱 롤, 골판지 또는 알루미늄 시트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형성되며, 절첩되고 또한 열 용접되어 냉동 용기를 형성하고, 이 냉동 용기는 이후에 염(salt)과 소프트 드링크 또는 염과 물의 부동액으로 충전된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냉동 용기는 개별적인 납작한 팩(flat pack)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팩은 이후에 수동으로 또는 기계로 절첩되고 또한 열 접합 또는 용접되어 용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용기는 음료 충전 밀봉기에 의해서 용이하게 충전되고 밀봉되어 제품 생산을 완수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또한 단일 사용자 규모에서 적어도 반상업적인 생산 규모까지,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및 저렴하게 광범위한 냉동 (또는 반냉동) 음료, 빙과류 또는 냉동 음식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달된 자라면 본 발명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도 설명되고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이 지극히 당연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Claims (40)

  1.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외측 보호관; 및
    상기 외측 보호관 내에 수용 가능한 냉동 디바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냉동 디바이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냉 재료로 충전되고 또한 상기 액체가 수용되도록 하는 공간이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냉 재료는 상기 액체의 어는 온도 미만으로 냉각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외측 보호관 및 상기 냉동 디바이스는 모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될 수 있거나 다르게 변형될 수 있어, 상기 액체와 상기 냉동 디바이스 사이의 접촉을 촉진하고 또한 상기 액체를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냉동 디바이스가 외주 림을 구비하거나, 상기 외측 보호관이 외주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냉동 디바이스 또는 외측 보호관이 압축되거나 다르게 변형되는 경우, 상기 외주 림 또는 상기 외주 플랜지의 변형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링을 더 구비하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 디바이스는 함께 밀봉 가능하게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냉 캐비티를 형성하는 외벽 및 내벽을 구비하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냉 캐비티는 상기 냉동 디바이스의 상기 내벽의 일부 및 상기 외벽의 일부를 함께 밀봉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 복수의 컬럼으로 분리되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및 상기 내벽은 상기 냉동 디바이스의 입구부 주위에 함께 밀봉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입구부는 냉동 디바이스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입구부는 또한 상기 액체를 수용하도록 또는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를 배출하도록 동작 가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냉 캐비티는 상기 냉동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상기 상단 및 하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은 반폐쇄되어 상기 냉동 디바이스의 상기 하단에서 또는 상기 상단에서 개방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냉동 디바이스의 상기 하단 및 상기 상단의 모두에서 개방되어 있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은 상기 장치의 냉동 격실을 향해서 내향으로 지향되고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 삼각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냉동 격실은 상기 액체가 수용되는 상기 냉동 디바이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직축은 상기 냉동 디바이스의 중심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호관은 발포체(foam), 고무, 실리콘 고무, EVA(ethylene vinyl 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열 재료로 덮이거나 이들 재료로 구성되어 상기 냉동 디바이스에 대한 단열을 제공하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 디바이스는 가요성 플라스틱, 가요성 알루미늄, 또는 가요성 복합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재료는 물을 담아 마실 수 있고; 저온에서 가요성이 있고; 높은 열 전달 능력을 가지고 있고; 또는 내구성이 있고 강인한 재료인,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냉 재료는 부동액 믹스이며, 이 부동액 믹스는 소금, 설탕,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염화 칼슘이 혼합된 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 디바이스가 컵, 캔, 통(tub) 또는 콘(cone)의 구조를 가지고 있거나, 상기 외측 보호관이 컵, 캔, 통 또는 콘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 디바이스 및 상기 외측 보호관은 각각 상기 냉동 디바이스 및 상기 외측 보호관의 하단을 향해서 각각 내향으로 테이퍼진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있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냉동 디바이스를 상기 외측 보호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냉동 디바이스의 외주 림을 상기 외측 보호관의 외주 플랜지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클램프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함께 결합시킬 수 있는 복수의 링을 구비하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뚜껑 또는 덮개가 하나 이상의 상기 링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링은 상기 냉동 디바이스 또는 외측 보호관이 압축되거나 다르게 변형되는 경우, 상기 냉동 디바이스의 상기 외주 림 또는 상기 외측 보호관의 상기 외주 플랜지의 변형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19. 청구항 1의 상기 장치를 사용하여, 액체를 반냉동 또는 냉동된 형태로 만들거나 전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동 디바이스 내의 상기 제냉 재료를 상기 액체의 어는 온도 미만으로 냉각하는 단계;
    상기 액체가 상기 냉동 디바이스와 접촉하게 되도록 상기 액체를 상기 장치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외측 보호관 및 상기 냉동 디바이스의 벽을 압축하거나, 변형시키거나 또는 굽히는 것에 의해서 또는 상기 장치를 흔드는 것에 의해서 상기 액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되도록 상기 액체를 요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체를 반냉동 또는 냉동된 형태로 만들거나 전환하기 위한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젤리의 생산을 위해서, 승강된 온도에서 상기 장치 내에 젤리 혼합물을 위치시키고 또한 급속 냉각시키는, 액체를 반냉동 또는 냉동된 형태로 만들거나 전환하기 위한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KR1020147016877A 2012-02-22 2013-02-22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액체를 반냉동 또는 냉동된 형태로 만들거나 전환하기 위한 방법 KR101527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AU2012/000169 WO2012113025A1 (en) 2011-02-21 2012-02-22 Improved method and cup for operation of frozen beverage device
WOPCT/AU2012/000169 2012-02-22
AU2012902359A AU2012902359A0 (en) 2012-06-06 Spoon Apparatus for making frozen beverages
AU2012902359 2012-06-06
AU2012904927A AU2012904927A0 (en) 2012-11-12 Intsant Jelly maker cup
AU2012904927 2012-11-12
AU2012905691A AU2012905691A0 (en) 2012-12-21 Frozen beverage device
AU2012905691 2012-12-21
AU2013900264 2013-01-29
AU2013900264A AU2013900264A0 (en) 2013-01-29 Automatic Frozen Beverage and Ice Cream Machine
AU2013900429A AU2013900429A0 (en) 2013-02-07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ice cream or other frozen confections
AU2013900429 2013-02-07
PCT/AU2013/000163 WO2013123561A1 (en) 2012-02-22 2013-02-22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frozen beverages, ice cream and other frozen confec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423A KR20140136423A (ko) 2014-11-28
KR101527697B1 true KR101527697B1 (ko) 2015-06-16

Family

ID=4900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877A KR101527697B1 (ko) 2012-02-22 2013-02-22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액체를 반냉동 또는 냉동된 형태로 만들거나 전환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9689606B2 (ko)
EP (1) EP2809175B3 (ko)
JP (1) JP6420154B2 (ko)
KR (1) KR101527697B1 (ko)
CN (2) CN105876066A (ko)
AU (1) AU2013224631B2 (ko)
CA (1) CA2856313C (ko)
CL (1) CL2014001321A1 (ko)
DE (2) DE202013012256U1 (ko)
DK (1) DK2809175T6 (ko)
EA (1) EA030579B1 (ko)
ES (1) ES2630727T7 (ko)
HK (1) HK1191514A1 (ko)
HR (1) HRP20170127T4 (ko)
IL (1) IL232683A (ko)
MX (1) MX351404B (ko)
NZ (1) NZ625336A (ko)
PH (1) PH12014502087B1 (ko)
PL (1) PL2809175T5 (ko)
PT (1) PT2809175T (ko)
SG (1) SG11201402642WA (ko)
WO (1) WO2013123561A1 (ko)
ZA (1) ZA2014037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05243D0 (en) 2012-03-26 2012-05-09 Kraft Foods R & D Inc Packaging and method of opening
GB2511559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GB2511560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CN105076653A (zh) * 2014-05-20 2015-11-25 深圳海川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减速器传动的新型冰淇淋机
US10674742B2 (en) * 2015-01-06 2020-06-09 Tangent Foods International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ice cream
MX2017012149A (es) * 2015-03-20 2018-02-21 Meltz Llc Metodo y sistema para crear un producto alimenticio o bebible líquido comestible a partir de contenidos liquidos congelados.
CN106802039A (zh) * 2015-11-25 2017-06-06 杭州三花家电热管理系统有限公司 冷却装置及其控制方法、控制系统
BR112018075973A2 (pt) * 2016-06-13 2019-04-02 Joseph Company International, Inc. recipiente de bebidas auto-refrigerador contendo uma unidade de troca de calor utilizando um sistema de dióxido de carbono líquido e um sistema de ativação de torção superior
US11425919B2 (en) * 2016-08-01 2022-08-30 Joseph Morris Shapiro Bouncing/active ice cream maker
GB2556050B (en) * 2016-11-14 2020-03-25 Cooper Robert Snow mould
WO2018206550A1 (en) * 2017-05-09 2018-11-15 Nestec S.A. Method for preparing a cold beverage
CN107374252A (zh) * 2017-08-31 2017-11-24 广西驰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泡芝麻糊的水杯
CN107674653B (zh) * 2017-08-31 2021-02-26 宁波利时日用品有限公司 一种环保蓄冷液、环保蓄冷液的用途以及速冷饮料杯
WO2019050979A1 (en) * 2017-09-08 2019-03-14 Altenburg Krysten MODELING CLAY CONTAINER
GB2567690B (en) * 2017-10-23 2019-10-23 Robert Ingam Philip Cooling elements and cooling assemblies comprising same
CN108271914A (zh) * 2017-12-20 2018-07-13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冷冻饮品及其制备工艺和装置
US10245522B1 (en) * 2018-04-27 2019-04-02 Brett M. Williams Snowman maker
JP6603364B1 (ja) * 2018-05-16 2019-11-06 株式会社テックスイージー 容器入り飲料温度調節装置
IT201800009409A1 (it) * 2018-10-12 2020-04-12 Motor Power Company Srl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prodotti alimentari liquidi o semiliquidi e relativo metodo di realizzazione
EP3979807A1 (en) * 2019-06-05 2022-04-13 Tondini, Angelo Ice cream machine
WO2021007145A1 (en) * 2019-07-08 2021-01-14 Taylor Commercial Foodservice, Llc Fitting for extrusion of frozen food product
DE102019121809A1 (de) * 2019-08-13 2021-02-18 Djulsan Alijevic Vorrichtung für die gekühlte Aufbewahrung von Lebensmittel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95668A (en) * 1974-03-01 1977-12-21 Tournaire Sa Collar assemblies for containers
KR200390845Y1 (ko) * 2005-05-10 2005-07-28 야호코리아주식회사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용기 구조
WO2006063401A1 (en) * 2004-12-14 2006-06-22 Alfio Bucceri Frozen beverage and ice making machines
JP2010042836A (ja) * 2008-08-12 2010-02-25 Yoshinobu Toyomura 二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32859A (en) * 1962-12-17 1966-06-15 Arthur Merrick Stoner Cooling device
US3685507A (en) 1970-11-02 1972-08-22 Readi Temp Heat transfer unit
DE2308515A1 (de) * 1973-02-21 1974-08-22 Rido Busse Einfrierbare einheit fuer getraenke o. dgl
US4183226A (en) * 1977-07-18 1980-01-15 Freeze Sleeves Of America, Inc. Refrigerated beverage holder
US4324111A (en) 1980-06-19 1982-04-13 Jerry B. Gallant Freezing gel containment structure and method
US4357809A (en) * 1980-10-31 1982-11-09 That Distributing Company, Inc. Cooling arrangement including a gel
FR2558939A1 (fr) * 1984-01-31 1985-08-02 Andre Guy Ustensile pour le rafraichissement de liquides, notamment de boissons
US4723974A (en) 1985-07-26 1988-02-09 Ammerman Stephen W Transporting container for an amputated extremity
US4741176A (en) * 1987-05-07 1988-05-03 Johnson Mark D Beverage cooler
JPS6416559A (en) 1987-07-10 1989-0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vice for preparing ice cream
JPH0669826B2 (ja) 1988-01-15 1994-09-07 バーンウェル キース 飲料容器の冷熱収容容器及び該収容容器に用いられる冷却媒体インサート部材
US5235819A (en) 1988-03-02 1993-08-17 Pallet-Cooler Kb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tributing materials
US4882914A (en) 1989-03-08 1989-11-28 Haines Keeley Susan M Beverage cooler
JPH0310176U (ko) * 1989-06-12 1991-01-30
US5269368A (en) 1991-08-05 1993-12-14 Vacu Products B.V. Rechargeable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beverage or other object
US5243835A (en) 1992-07-27 1993-09-14 Padamsee Riaz A Thermally insulated bottl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JPH06327421A (ja) * 1993-05-21 1994-11-29 Maameido:Kk ゼラチン入りゼリー類及びゼラチン入りゼリー類の製造方法
WO1996009507A2 (en) * 1994-09-22 1996-03-28 Scottish & Newcastle Plc Beverage container
IE950051A1 (en) * 1995-01-25 1996-08-07 Robert Johannas Cornelius Kouw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exible panel
US5926508A (en) 1995-02-21 1999-07-20 Koos Technical Services, Inc. Communication scheme using non-coherent frequency detection of trellis-based coding of plural transmission frequencies per baud
EP0966220B1 (en) 1997-02-04 2003-10-08 Tineke Charlotte Kouwenberg A device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a container
JPH11115972A (ja) 1997-10-13 1999-04-27 Bridgestone Sports Co Ltd 保冷バッグ
US6082114A (en) * 1998-04-09 2000-07-04 Leonoff; Christopher A. Device for heating and cooling a beverage
JP2000146391A (ja) 1998-11-02 2000-05-26 Torai Company:Kk 容器入り食品の保冷・保温具
US6412300B2 (en) * 2000-01-11 2002-07-02 Progressive International Corp. Stay cold beverage vessel
US20030024937A1 (en) 2001-08-01 2003-02-06 Hart Kenneth C. Inflatable cooler with at least one removable printable exterior surface
GB2383122A (en) * 2001-12-11 2003-06-18 Dawn Yvonne Lloyd-Davy A temperature regulator
EP1562009A1 (en) 2004-02-06 2005-08-10 Thermagen S.A. Actuating device for self cooling packaging
US7781006B2 (en) * 2004-11-17 2010-08-2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Frozen food production
JP2006200813A (ja) * 2005-01-20 2006-08-03 Saito Research Institute Inc 冷凍具
CA2743162A1 (en) 2007-12-24 2009-07-02 Alfio Bucceri Frozen beverage device
JP2009268587A (ja) 2008-05-01 2009-11-19 Kenichi Tomonaga 食器内容物冷却器具
JP3154863U (ja) * 2009-08-17 2009-10-29 スケーター株式会社 シャーベット形成用カップ
TWM383372U (en) 2010-02-04 2010-07-01 chao-qi Chen Double-layered thermal cup
WO2012113025A1 (en) * 2011-02-21 2012-08-30 Alfio Bucceri Improved method and cup for operation of frozen beverage device
US8539777B2 (en) 2011-03-28 2013-09-24 Daven Lee Henry Can cool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95668A (en) * 1974-03-01 1977-12-21 Tournaire Sa Collar assemblies for containers
WO2006063401A1 (en) * 2004-12-14 2006-06-22 Alfio Bucceri Frozen beverage and ice making machines
KR200390845Y1 (ko) * 2005-05-10 2005-07-28 야호코리아주식회사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용기 구조
JP2010042836A (ja) * 2008-08-12 2010-02-25 Yoshinobu Toyomura 二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809175T5 (pl) 2019-12-31
SG11201402642WA (en) 2014-10-30
CA2856313C (en) 2016-04-12
MX351404B (es) 2017-10-12
HK1191514A1 (zh) 2014-08-01
NZ625336A (en) 2015-03-27
EA030579B1 (ru) 2018-08-31
JP6420154B2 (ja) 2018-11-07
CA2856313A1 (en) 2013-08-29
PL2809175T3 (pl) 2017-05-31
DK2809175T6 (da) 2019-06-24
EA201400899A1 (ru) 2015-01-30
JP2015507933A (ja) 2015-03-16
HRP20170127T1 (hr) 2017-03-24
CN103402365B (zh) 2016-03-23
US9689606B2 (en) 2017-06-27
DK2809175T3 (da) 2017-02-20
EP2809175B1 (en) 2016-11-23
US20150253067A1 (en) 2015-09-10
MX2014009817A (es) 2015-04-13
EP2809175A4 (en) 2015-04-15
HRP20170127T4 (hr) 2019-10-04
KR20140136423A (ko) 2014-11-28
PT2809175T (pt) 2017-02-13
ZA201403719B (en) 2015-05-27
CL2014001321A1 (es) 2015-04-17
EP2809175B3 (en) 2019-03-13
WO2013123561A1 (en) 2013-08-29
ES2630727T7 (es) 2019-11-12
AU2013224631B2 (en) 2015-11-12
IL232683A (en) 2015-03-31
CN105876066A (zh) 2016-08-24
DE202013012256U1 (de) 2015-11-13
PH12014502087A1 (en) 2014-11-24
CN103402365A (zh) 2013-11-20
PH12014502087B1 (en) 2014-11-24
ES2630727T3 (es) 2017-08-23
IL232683A0 (en) 2014-07-31
EP2809175A1 (en) 2014-12-10
AU2013224631A1 (en) 2014-06-12
DE13751562T1 (de)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697B1 (ko) 액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된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액체를 반냉동 또는 냉동된 형태로 만들거나 전환하기 위한 방법
US11021319B2 (en) System for providing a single serving of a frozen confection
US10426180B1 (en) System for providing a single serving of a frozen confection
US20210145021A1 (en) Machine,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ice cream or chilled desserts on demand
US10334868B2 (en) System for providing a single serving of a frozen confection
US8151577B2 (en) Frozen beverage device
GB2335972A (en) A cooling container
CA3088305A1 (en) System for providing a single serving of a frozen confection
WO2008058106A2 (en) Dispensing apparatus
WO2005070271A2 (en) Blend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30280385A1 (en) Half-product, product and implement for manufacturing a milkshake
AU2011236097A1 (en) Frozen beverage device
WO2022235921A1 (en) Thermal conditioning and material handling method for dislodged frozen beverage contents
US20180192673A1 (en) Beverage Cooling and Flavoring System
KR20140091625A (ko) 개선된 음료 제빙장치의 작동방법 및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714

Effective date: 2015110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200008486;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224

Effective date: 2016122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