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183B1 - 면발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면발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183B1
KR101527183B1 KR1020140156193A KR20140156193A KR101527183B1 KR 101527183 B1 KR101527183 B1 KR 101527183B1 KR 1020140156193 A KR1020140156193 A KR 1020140156193A KR 20140156193 A KR20140156193 A KR 20140156193A KR 101527183 B1 KR101527183 B1 KR 101527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cutting
transfer unit
spee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규
이상복
Original Assignee
(주)맛찬들백미식품
이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맛찬들백미식품, 이상복 filed Critical (주)맛찬들백미식품
Priority to KR1020140156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정 길이로 절단된 절단 면발을 0이 아닌 값을 갖는 제1 속도로 이송하는 제1 이송 유닛과, 상기 제1 이송 유닛이 상기 제1 속도와 상기 제1 속도보다 큰 제2 속도 간에 변속되어 작동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변속 유닛과, 상기 변속 유닛에 의해 상기 제2 속도로 변속된 상기 제1 이송 유닛과 함께 상기 절단 면발을 상기 제2 속도로 이송하는 제2 이송 유닛을 구비하는 이송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이송 유닛으로 이송된 상기 절단 면발의 일 부분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절단 면발의 일 부분이 상기 절단 면발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접히게 하는 폴딩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면발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면발 가공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NOODLE STRIPES}
본 발명은 면발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발은 압연한 면대를 선장으로 절단한 것이다. 면발은 국수용, 우동용, 냉면용, 소면용 등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들이 포장되는 방식은 다양하다. 그들 중 냉면용 면발은 포장재보다 큰 길이를 가지는 면발을 접어서 포장재 내에 집어넣는 방식으로 포장된다.
이때, 면발을 접는 과정은 사람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에 의해, 면발의 접혀진 형태가 일정하기 어렵다. 또한, 면발 접는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면발을 접는 작업은, 면발이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일정 길이로 절단되는 과정에 뒤따른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면발에 대응하여, 작업자는 이동하면서 절단된 면발을 접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면발을 접는 작업을 자동화하여 제품의 균일화 및 경제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면발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면발을 접는 작업에 의해 그 전의 작업의 연속적 흐름이 끊어지지 않게 할 수 있는, 면발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과 관련된 면발 가공 장치는, 설정 길이로 절단된 절단 면발을 0이 아닌 값을 갖는 제1 속도로 이송하는 제1 이송 유닛과, 상기 제1 이송 유닛이 상기 제1 속도와 상기 제1 속도보다 큰 제2 속도 간에 변속되어 작동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변속 유닛과, 상기 변속 유닛에 의해 상기 제2 속도로 변속된 상기 제1 이송 유닛과 함께 상기 절단 면발을 상기 제2 속도로 이송하는 제2 이송 유닛을 구비하는 이송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이송 유닛으로 이송된 상기 절단 면발의 일 부분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절단 면발의 일 부분이 상기 절단 면발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접히게 하는 폴딩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 면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송 유닛의 앞에 배치되고,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연속 면발을 커팅하여 상기 절단 면발을 형성하는 커팅 어셈블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팅 어셈블리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연속 면발을 상기 설정 길이로 커팅하는 커팅 칼날; 및 상기 연속 면발의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연속 면발을 상기 커팅 칼날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 어셈블리는, 상기 절단 면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송 유닛의 앞에 배치되어, 상기 연속 면발이 상기 커팅 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제1 이송 유닛을 향하도록 상기 연속 면발을 이송하는 제3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속 유닛은, 상기 변속 유닛은, 저속 모터와, 상기 저속 모터에 연동되고 상기 제1 이송 유닛과 맞물리는 제1 클러치 베어링을 구비하는 제1 변속 모듈; 및 상기 저속 모터보다 고속으로 작동하는 고속 모터와, 상기 고속 모터에 연동되고 상기 제1 이송 유닛에 대해 상기 제1 클러치 베어링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맞물리는 제2 클러치 베어링을 구비하는 제2 변속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폴딩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이송 유닛 측에 배치되고, 상기 면발의 일 부분을 들어서 상기 면발의 나머지 부분을 향해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딩 어셈블리는, 상기 면발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면발을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와 이격 배치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자전되게 구동하여, 상기 지지바가 원호형 궤적을 따라 회전되게 하는 구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이송 유닛의 다음에 위치하며,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4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폴딩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바가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인접한 롤러들 사이에 위치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상기 이송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라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작동을 조정하는 조정 어셈블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정 어셈블리는, 상기 절단 면발이 상기 제2 이송 유닛에 진입함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면발 센서; 및 상기 면발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 면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뒤에 위치하고 상기 이송 어셈블리의 상측 배치되어, 상기 접혀진 절단 면발의 높이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한 어셈블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면발 가공 장치에 의하면, 면발을 접는 작업이 자동화되어 제품의 균일화 및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면발을 접는 작업에 의해 그 전의 작업의 연속적 흐름이 끊어지지 않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발 가공 장치(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면발 가공 장치(100)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이송 유닛(111) 및 제2 이송 유닛(113)과 변속 유닛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면발 가공 장치(100)의 제어적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면발 가공 장치(100)가 면발을 가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면발 가공 장치(100)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발 가공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발 가공 장치(100)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면발 가공 장치(100)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면발 가공 장치(100)는, 이송 어셈블리(110), 폴딩 어셈블리(130), 커팅 어셈블리(150), 조정 어셈블리(170), 및 제한 어셈블리(190)를 가질 수 있다.
이송 어셈블리(110)는 면발을 진행 방향(F)을 따라 이송하는 구성이다.
이송 어셈블리(110)는 몇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제1 이송 유닛(111), 제2 이송 유닛(113), 제3 이송 유닛(115), 제4 이송 유닛(117), 및 제5 이송 유닛(119)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은 진행 방향(F)을 따라, 제3 이송 유닛(115), 제1 이송 유닛(111), 제2 이송 유닛(113), 제4 이송 유닛(117), 및 제5 이송 유닛(119)의 순서로 배치된다.
구체적 구조로서, 제1 이송 유닛(111) 및 제2 이송 유닛(113)은, 자신의 연장축을 중심으로 자전하도록 구동되는 롤러들과, 상기 롤러들을 감싸는 폐루프를 형성하는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 이송 유닛(115) 및 제4 이송 유닛(117)은 자전 구동되는 롤러들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이송 유닛(117)의 롤러는 제2 이송 유닛(113)의 롤러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제2 이송 유닛(113)의 구동력에 의해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제5 이송 유닛(119)은 앞서의 제1, 제2, 및 제4 이송 유닛(111,113,117)이 조합된 것과 유사한 구성을 간단히 명명한 것이다. 이는 후술할 제한 어셈블리(190)를 기준으로, 그의 전후의 이송 어셈블리들의 세부 구성이 서로 유사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1 이송 유닛(111)은 제3 이송 유닛(115)과 함께 제1 속도로 면발을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이송 유닛(111)은 또한 제2 이송 유닛(113)과 함께 제2 속도로 면발을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속도는 0이 아닌 값을 가질 수 있고, 제2 속도는 제1 속도 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제4 이송 유닛(117)은 제2 이송 유닛(113)과 함께 제2 속도로 면발을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5 이송 유닛(119) 역시 제2 속도로 면발을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이송 유닛(115) 및 제4 이송 유닛(117)의 롤러들과 같이, 면발에 접촉되는 구성의 외면에는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코팅제는 테프론이 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면발이 롤러 등에 들러붙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폴딩 어셈블리(130)는 면발의 일 부분에 힘을 가해 그 일 부분이 면발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접혀지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폴딩 어셈블리(130)는 진행 방향(F)을 따라 제2 이송 유닛(113)의 뒤와, 제5 이송 유닛(119)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폴딩 어셈블리(130)는, 지지바(131), 회전축(133), 및 구동 모듈(135)을 가질 수 있다.
지지바(131)는 면발의 진행 방향(F)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막대일 수 있다. 제2 이송 유닛(113)의 뒤에 위치한 폴딩 어셈블리(130)의 지지바(131)는, 제4 이송 유닛(117)의 롤러(117a)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축(133)은 지지바(131)와 연결되고, 지지바(131)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구동 모듈(135)은 회전축(133)을 자전되게 구동하여, 그 결과 지지바(131)가 원호형 궤적을 따라 회전하게 하는 구성이다.
구동 모듈(135)은 모터와 기어의 조합 등에 의해, 회전축(133)이 자전하게 할 수 있다.
커팅 어셈블리(150)는 제1 이송 유닛(111)의 앞에 배치되어, 면발을 커팅하여 일정 길이로 만드는 구성이다.
커팅 어셈블리(150)는, 커팅 칼날(151)과, 가이드(153)를 가질 수 있다.
커팅 칼날(151)은 회전되는 칼날이다. 이를 위해, 커팅 칼날(151)은 회전 구동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장착된 칼날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153)는 면발의 진행 방향(F)을 따라 면발의 측방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조정 어셈블리(170)는 이송 어셈블리(110)의 작동과 연관되어, 폴딩 어셈블리(130)의 작동을 조정하는 구성이다.
조정 어셈블리(170)는, 면발 센서(171)와, 제어부(173, 도 4)를 가질 수 있다. 면발 센서(171)는 제2 이송 유닛(113)의 진행 방향(F)을 따른 초입에 위치하여, 면발이 제2 이송 유닛(113)에 진입함을 감지하는 구성이다. 면발 센서(171)는 진행 방향(F)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면발 센서(171)가 면발을 순차로 감지함에 의해, 면발의 진입 속도가 계산될 수 있다. 제어부(173)에 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한 어셈블리(190)는 면발이 접혀진 상태에서 일 부분이 들뜨지 않도록 면발의 높이를 제한하는 구성이다. 제한 어셈블리(190)는 제2 이송 유닛(113)의 뒤에 위치한 폴딩 어셈블리(130)의 뒤에 위치하고, 이송 어셈블리(110)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한 어셈블리(190)는, 제2 이송 유닛(113)과 유사하게, 회전 구동되는 롤러들과, 상기 롤러들을 감싸서 폐루프를 형성하는 벨트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이송 어셈블리(110)와 제한 어셈블리(190)의 벨트(또는 롤러) 사이의 간격이 면발의 규정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제1 이송 유닛(111)이 제1 속도와 제2 속도 간에 변속되는 구성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1 이송 유닛(111) 및 제2 이송 유닛(113)과 변속 유닛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이송 어셈블리(110)는 제1 이송 유닛(111)이 제1 속도와 제2 속도 간에 변속되어 작동하게 하는 변속 유닛을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변속 유닛은, 제1 변속 모듈(121)과, 제2 변속 모듈(123)을 가질 수 있다. 제1 변속 모듈(121)은 제1 이송 유닛(111)에 대해 작용하고, 제2 변속 모듈(123)은 제1 이송 유닛(111) 및 제2 이송 유닛(113)에 대해 작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변속 모듈(121)은, 저속 모터(121a)와, 제1 체인(121b)과, 제1 클러치 베어링(121c)을 가질 수 있다. 저속 모터(121a)는 일정 속도의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제1 체인(121b)은 저속 모터(121a) 및 제1 클러치 베어링(121c)을 연결한다. 제1 클러치 베어링(121c)은 제1 이송 유닛(111)의 벨트(111b)에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제2 변속 모듈(123)은, 고속 모터(123a)와, 제2 체인(123b)과, 제2 클러치 베어링(123c)을 가질 수 있다. 고속 모터(123a)는 저속 모터(121a) 보다 큰 속도로 작동한다. 제2 체인(123b)은 고속 모터(123a)와 제2 클러치 베어링(123c), 그리고 제2 이송 유닛(113)의 롤러(113a)를 연결한다. 제2 클러치 베어링(123c)은 제1 이송 유닛(111)의 벨트(111b)에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2 클러치 베어링(123c)은 벨트(11b)를 기준으로 제1 클러치 베어링(121c)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저속 모터(121a)의 작동에 따라, 제1 클러치 베어링(121c)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1 클러치 베어링(121c)은 제1 이송 유닛(111)의 벨트(111b)를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때, 벨트(111b)는 제1 속도로 면발을 이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클러치 베어링(123c)은 공회전을 한다.
저속 모터(121a)의 작동이 정지되고 고속 모터(123a)가 작동되면, 제2 클러치 베어링(123c)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2 클러치 베어링(123c)에 맞물린 제1 벨트(111b)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2 클러치 베어링(123c)과 제2 체인(123b)에 의해 연동된 제2 롤러(113a)도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1 벨트(111b)와 함께 제2 벨트(113b)도 제2 속도로 면발을 이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클러치 베어링(121c)은 자신의 회전 속도를 넘어서는 회전력에 노출된다. 그에 의해, 제1 벨트(111b)는 제1 클러치 베어링(121c)에 대해 슬립(slip)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제1 이송 유닛(111)이 제1 속도로 면발을 이송하게 하거나, 그와 달리 제1 이송 유닛(111) 및 제2 이송 유닛(113)이 제2 속도로 면발을 이송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달리, 저속 모터(121a)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터로 구성한다면, 클러치 베어링(121c, 123c) 없이도 제1 이송 유닛(111)에 대한 변속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면발 가공 장치(100)의 제어에 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면발 가공 장치(100)의 제어적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면발 가공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이송 어셈블리(110), 구동 모듈(135), 면발 센서(171)에 더하여, 제어부(173)와 사용자 입력부(175)를 더 가질 수 있다.
제어부(173)는 면발 센서(171)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폴딩 어셈블리(130) 중 구동 모듈(135)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면발 센서(171)가 복수 개라면, 제어부(173)는 면발이 최초로 감지된 시점과 이후 감지된 시점 간의 차이에서 면발의 진입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3)는 산출된 면발의 진입 속도에 근거하여, 구동 모듈(135)의 가동 속도를 달리할 수 있다. 제어부(173)는 또한, 사용자 입력부(175), 이송 어셈블리(110) 등을 제어한다.
사용자 입력부(175)는 사용자로부터 작동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사용자 입력부(175)는 푸시 버튼, 터치 패드, 조작 횔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5)를 통해 입력된 작동 명령은 제어부(173)로 전송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부(173)는 면발 센서(171)를 통해 면발이 제2 이송 유닛(113)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면, 첫 번째 폴딩 어셈블리(130)의 구동 모듈(135)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73)는 두 번째 폴딩 어셈블리(130)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제어한다.
나아가,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75)를 통해 이송 어셈블리(110)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73)는 이를 근거로 이송 어셈블리(110)의 작동을 멈추거나 개시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면발 가공 장치(100)를 이용한 면발의 가공 방식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면발 가공 장치(100)가 면발을 가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면발 가공 장치(100)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내지 4)을 참조하면, 면발 가공 장치(100)의 옆에는 면발 컨베이어(C)가 배치될 수 있다. 면발 컨베이어(C)는 면발 생성기에서 생성된 면발을 연속적으로 면발 가공 장치(100)에 공급한다. 이때, 면발 컨베이어(C)를 통해 이송되는 면발은 연속적이므로 연속 면발(CN)이라 칭해질 수 있다.
연속 면발(CN)은 제3 이송 유닛(115)의 작동에 의해 커팅 어셈블리(150)로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153)는, 도면상 두 개의 연속 면발(CN) 줄기가 서로 섞이지 않고 커팅 칼날(151)을 향해 진행하도록 안내한다.
커팅 칼날(151)은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연속 면발(CN)을 일정한 길이로 커팅하게 된다. 이렇게 일정 길이로 절단된 면발은 절단 면발(SN)로 칭해질 수 있다.
절단 면발(SN)은 커팅 칼날(151)에 의해 절단되기까지 제1 이송 유닛(111)으로 진행하고 있던 상태이다. 이때, 절단 면발(SN)은 제3 이송 유닛(115)과 제1 이송 유닛(111)에서 동일하게 제1 속도로 이송된다.
절단 면발(SN)이 커팅 칼날(151)에 의해 절단되어 완전한 하나의 독립체가 된 후에, 절단 면발(SN)은 제1 이송 유닛(111) 및 제2 이송 유닛(113)에 의해 제2 속도로 이송된다. 제1 이송 유닛(111)의 속도 변화는 변속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절단 면발(SN)은 제2 이송 유닛(113)을 진입하게 된다. 절단 면발(SN)이 제2 이송 유닛(113)에 진입함은 면발 센서(171)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173)는 폴딩 어셈블리(130)의 구동 모듈(135)을 구동한다. 그에 의해, 폴딩 어셈블리(130)의 지지바(131)는 절단 면발(SN)의 일 부분을 지지한 채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절단 면발(SN)의 일 부분은 나머지 부분에 대해 접혀진 상태가 된다. 일 부분이 접혀진 절단 면발(SN)은 제5 이송 유닛(119) 제한 어셈블리(190)를 통과하며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눌려진다.
이후, 절단 면발(SN)은 제5 이송 유닛(119)에 의해 이송되면서, 제5 이송 유닛(119)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폴딩 어셈블리(130)에 의해 다시 한 번 접혀진다. 이때, 그 폴딩 어셈블리(130)의 지지바(131)는,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절단 면발(SN)은 세 부분으로 나뉘었을 때,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양 단부측 부분이 각각 접혀진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면발 가공 장치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면발 가공 장치 110: 이송 어셈블리
111: 제1 이송 유닛 113: 제2 이송 유닛
115: 제3 이송 유닛 117: 제4 이송 유닛
119: 제5 이송 유닛 121: 변속 유닛
130: 폴딩 어셈블리 131: 지지바
133: 회전축 135: 구동 모듈
150: 커팅 어셈블리 151: 커팅 칼날
155: 가이드 170: 조정 어셈블리
171: 면발 센서 173: 제어부
175: 사용자 입력부 190: 제한 어셈블리

Claims (12)

  1. 설정 길이로 절단된 절단 면발을 0이 아닌 값을 갖는 제1 속도로 이송하는 제1 이송 유닛과, 상기 제1 이송 유닛이 상기 제1 속도와 상기 제1 속도보다 큰 제2 속도 간에 변속되어 작동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변속 유닛과, 상기 변속 유닛에 의해 상기 제2 속도로 변속된 상기 제1 이송 유닛과 함께 상기 절단 면발을 상기 제2 속도로 이송하는 제2 이송 유닛을 구비하는 이송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이송 유닛으로 이송된 상기 절단 면발의 일 부분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절단 면발의 일 부분이 상기 절단 면발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접히게 하는 폴딩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면발 가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면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송 유닛의 앞에 배치되고,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연속 면발을 커팅하여 상기 절단 면발을 형성하는 커팅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면발 가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어셈블리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연속 면발을 상기 설정 길이로 커팅하는 커팅 칼날; 및
    상기 연속 면발의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연속 면발을 상기 커팅 칼날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면발 가공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어셈블리는,
    상기 절단 면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송 유닛의 앞에 배치되어, 상기 연속 면발이 상기 커팅 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제1 이송 유닛을 향하도록 상기 연속 면발을 이송하는 제3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면발 가공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유닛은,
    저속 모터와, 상기 저속 모터에 연동되고 상기 제1 이송 유닛과 맞물리는 제1 클러치 베어링을 구비하는 제1 변속 모듈; 및
    상기 저속 모터보다 고속으로 작동하는 고속 모터와, 상기 고속 모터에 연동되고 상기 제1 이송 유닛에 대해 상기 제1 클러치 베어링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맞물리는 제2 클러치 베어링을 구비하는 제2 변속 모듈을 포함하는, 면발 가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이송 유닛 측에 배치되고, 상기 면발의 일 부분을 들어서 상기 면발의 나머지 부분을 향해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면발 가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어셈블리는,
    상기 면발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면발을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와 이격 배치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자전되게 구동하여, 상기 지지바가 원호형 궤적을 따라 회전되게 하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면발 가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이송 유닛의 다음에 위치하며,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4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폴딩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바가 상기 복수의 롤러 중 인접한 롤러들 사이에 위치하게 구성되는, 면발 가공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라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작동을 조정하는 조정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면발 가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어셈블리는,
    상기 절단 면발이 상기 제2 이송 유닛에 진입함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면발 센서; 및
    상기 면발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면발 가공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면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뒤에 위치하고 상기 이송 어셈블리의 상측 배치되어, 상기 접혀진 절단 면발의 높이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면발 가공 장치.
KR1020140156193A 2014-11-11 2014-11-11 면발 가공 장치 KR101527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193A KR101527183B1 (ko) 2014-11-11 2014-11-11 면발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193A KR101527183B1 (ko) 2014-11-11 2014-11-11 면발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183B1 true KR101527183B1 (ko) 2015-06-10

Family

ID=5350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193A KR101527183B1 (ko) 2014-11-11 2014-11-11 면발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1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9758A (zh) * 2018-10-25 2019-01-11 安徽正宇面粉有限公司 一种湿挂面加工用剪齐机
KR20200082381A (ko) * 2018-12-28 2020-07-08 박종득 면 가공장치
KR20200106257A (ko) 2019-03-04 2020-09-14 전찬갑 면 접이 시스템
KR20210117679A (ko) *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팔도 용기 라면의 슈트장치
KR20220160304A (ko) * 2021-05-27 2022-12-06 이재덕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703B1 (ko) * 1985-03-12 1989-11-25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 가이샤 일정 칫수의 반죽물 스트립 연속 제조 장치
KR200382145Y1 (ko) * 2005-01-31 2005-04-18 이선재 냉면제조기용 면 절단 절곡장치
KR101005116B1 (ko) * 2010-06-25 2010-12-30 장재하 면발 제조 장치
KR101296879B1 (ko) * 2013-04-11 2013-08-14 (주)환희 면 접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703B1 (ko) * 1985-03-12 1989-11-25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 가이샤 일정 칫수의 반죽물 스트립 연속 제조 장치
KR200382145Y1 (ko) * 2005-01-31 2005-04-18 이선재 냉면제조기용 면 절단 절곡장치
KR101005116B1 (ko) * 2010-06-25 2010-12-30 장재하 면발 제조 장치
KR101296879B1 (ko) * 2013-04-11 2013-08-14 (주)환희 면 접이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9758A (zh) * 2018-10-25 2019-01-11 安徽正宇面粉有限公司 一种湿挂面加工用剪齐机
KR20200082381A (ko) * 2018-12-28 2020-07-08 박종득 면 가공장치
KR102186993B1 (ko) * 2018-12-28 2020-12-04 박종득 면 가공장치
KR20200106257A (ko) 2019-03-04 2020-09-14 전찬갑 면 접이 시스템
KR102222781B1 (ko) * 2019-03-04 2021-03-03 전찬갑 면 접이 시스템
KR20210117679A (ko) *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팔도 용기 라면의 슈트장치
KR102315729B1 (ko) 2020-03-20 2021-10-21 주식회사 팔도 용기 라면의 슈트장치
KR20220160304A (ko) * 2021-05-27 2022-12-06 이재덕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KR102665522B1 (ko) * 2021-05-27 2024-05-10 이재덕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183B1 (ko) 면발 가공 장치
US9981400B2 (en) Apparatus for slicing food products and method of providing intermediate sheets
US8062459B2 (en) Velocity-changing apparatus for web
JP6343072B1 (ja) 麺帯圧延装置
JP4982714B2 (ja) スリーブ状のフォイル材料の連続的なフラットストリップからスリーブ状のフォイル包装材料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
CN104118010B (zh) 旋转式冲裁机
KR19980087511A (ko) 저 비질량의 시트형 또는 플레이트형 물품을 위한 롤러 또는 벨트 운반 장치
US201902166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speed cross folding
JP2015098358A (ja) 包装機用のシーリング顎体
JP3103553U (ja) 切断線の両縁部を連結する刻み目を破断する装置
US7302781B2 (en) Band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80089231A (ko) 파우치 커팅기의 오절단 방지장치
JP3943371B2 (ja) 紙おむつの製品カッターユニット、及び紙おむつの切断方法
EP1364901A2 (en) Sheet delivery apparatus
JP4792222B2 (ja) ロールなどから端部の余分な部分を取り除く装置
JP2022529598A (ja) 包装機において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を供給するための供給ユニット
KR20170109868A (ko) 커팅롤러와 이를 이용한 커팅 장치 및 시트 커팅방법
EP1799553B1 (en) Band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17205897A (ja) ゴム供給装置
JPS5986545A (ja) シ−ト状物送り出し装置
JP3225083U (ja) 成形機
JP7184396B1 (ja) カッターユニット
JP7489704B2 (ja) 包装機およびマーク制御方法
JP3752619B2 (ja) スライサーの搬送装置
JP2007210751A (ja) ロールフィ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