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304A -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 Google Patents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304A
KR20220160304A KR1020210068358A KR20210068358A KR20220160304A KR 20220160304 A KR20220160304 A KR 20220160304A KR 1020210068358 A KR1020210068358 A KR 1020210068358A KR 20210068358 A KR20210068358 A KR 20210068358A KR 20220160304 A KR20220160304 A KR 20220160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odles
cutting
folding
noodl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5522B1 (ko
Inventor
이재덕
Original Assignee
이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덕 filed Critical 이재덕
Priority to KR1020210068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52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 면류 제조장치에서 제조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각종 면류를 포장 규격에 맞춰 일정 길이로 절단한 후 3단으로 접어 특정 형태의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는, 직육면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면의 후측 및 전측에는 벨트 컨베이어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로울러로 이루어지고, 일측 로울러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커터가 설치되어, 소정 구동수단을 매개로 회전되면서 해당 로울러를 거쳐 공급되는 면류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소정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되는 롤러 컨베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절단수단을 통해 절단된 일정 길이의 면류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측 및 전측 컨베이어 밸트 상에 각각 설치되어, 일정 길이로 절단된 면류의 이송 시 접이 작업을 위한 특정 지점을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센서 및 제 2센서로 이루어진 센싱수단과; 다수 개의 바(bar)가 나란하게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상부로 소정 면류가 위치되면 해당 면류가 180° 접혀지도록 일측 바(bar)를 기준으로 180° 회전된 후 복귀되는 제 1회전바 및 제 2회전바로 이루어진 접이수단 및; 장치의 온.오프 제어 및 상기 절단수단과 이송수단과 접이수단의 동작을 위해 각 구동수단에 대한 제어를 행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면류가 상기 접이수단을 매개로 3단으로 접혀져 배출되도록 장치 전반에 대한 일련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CUTTING AND FOLDING APPARATUS FOR NOODLE}
본 발명은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면류 제조장치에서 제조되어 공급되는 각종 면류를 포장 규격에 맞춰 일정 길이로 절단한 후 3단으로 접어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메밀 가루를 주원료로 하는 냉면은 메밀가루와 함께 소맥분 및 전분 등을 배합하여 반죽이 만들어진 후, 해당 반죽이 소정 면류 제조장치를 통과하면서 일정 온도의 열과 압력이 가해진 상태로 분창으로 배출됨에 따라 제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소정 면류 제조장치의 분창으로 배출되어 제조된 냉면 등의 면발은 팬 등의 냉각장치를 매개로 한 후처리 공정을 거친 후, 일정 길이로의 절단 및 절첩,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포장된 상태로 완제품의 유통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소정 면류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냉면을 비롯한 각종 면류의 포장을 위해, 해당 면류를 일정 길이를 갖도록 자동으로 절단 및 절첩하도록 제공되는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에 있어서는, 컨베이어 등의 이송수단을 매개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해당 면류의 절단 및 절첩 과정에서 각 제품마다 균일한 길이 및 형상으로 접혀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또한 면류의 절단 및 절첩 속도도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전체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947744호 국내 등록특허 제10-2186993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182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정 면류 제조장치에서 제조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각종 면류를 포장 규격에 맞춰 일정 길이로 절단한 후 3단으로 접어 특정 형태의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는, 직육면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면의 후측 및 전측에는 벨트 컨베이어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로울러로 이루어지고, 일측 로울러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커터가 설치되어, 소정 구동수단을 매개로 회전되면서 해당 로울러를 거쳐 공급되는 면류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소정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되는 롤러 컨베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절단수단을 통해 절단된 일정 길이의 면류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측 및 전측 컨베이어 밸트 상에 각각 설치되어, 일정 길이로 절단된 면류의 이송 시 접이 작업을 위한 특정 지점을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센서 및 제 2센서로 이루어진 센싱수단과; 다수 개의 바(bar)가 나란하게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상부로 소정 면류가 위치되면 해당 면류가 180° 접혀지도록 일측 바(bar)를 기준으로 180° 회전된 후 복귀되는 제 1회전바 및 제 2회전바로 이루어진 접이수단 및; 장치의 온.오프 제어 및 상기 절단수단과 이송수단과 접이수단의 동작을 위해 각 구동수단에 대한 제어를 행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면류가 상기 접이수단을 매개로 3단으로 접혀져 배출되도록 장치 전반에 대한 일련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단 상측에는 소정 면류 제조장치에서 제조된 면류가 해당 장치 측으로 공급된 후 상기 절단수단 측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로울러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이수단을 구성하는 각 회전바는 그 단면이 반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상측에는 판형의 부재 양측이 절곡되어 그 정면이 "┏┓" 형상을 갖는 브라켓트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접이수단은 상기 브라켓트의 하단 측에 위치하며, 상기 브라켓트의 후단 및 전단에는 실린더를 매개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이송되는 면류를 상측에서 누르는 가압판 및 이송되는 면류의 전단이 맞닿는 가림판이 설치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단에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의 출구 측 하부에는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가 설치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출구 측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보조 프레임을 매개로 소정 구동수단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판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판의 상측에 해당되는 상기 보조 프레임의 일정 지점에는 멈춤판이 형성되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3단으로 접혀져 배출되는 면류는 상기 이동판에 탑재되어 이동된 후 상기 멈춤판에 맞닿아 자유낙하 되면서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에 탑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의 길이방향 일측을 따라서는 소정 구동수단을 매개로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 상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외력을 인가하는 바(bar) 형상의 밀대가 설치되어,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에 탑재된 다수 개의 면류를 소정 냉각수단 측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면류 제조장치에서 제조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각종 면류를 포장 규격에 맞춰 일정 길이로 절단한 후 3단으로 접혀지도록 함에 따라, 특정 형태의 면류 제품을 신속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때,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면류의 접이 작업 시, 누름판 또는 가림판으로 면을 고정시킨 후 접이 작업이 실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면이 삐뚤어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3단으로 접혀질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균일한 형태를 갖는 보다 고품질의 면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3단으로 접혀져 배출되는 다량의 면류는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 및 그 일측에 설치된 밀대를 매개로 매우 간편하게 냉각 컨베이어 등의 후처리 장치 측으로 이송이 가능함에 따라, 기존의 수작업에 의한 작업 방법을 대체하여 인건비의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을 달성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 및 후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에 적용되는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를 통해 소정 면류에 대한 절단 및 접이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 및 후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는, 소정 면류 제조장치에서 제조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각종 면류를 포장 규격에 맞춰 일정 길이로 절단한 후 3단으로 접어, 특정 면류 제품을 균일한 형태로 신속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는, 대략 직육면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면의 후측 및 전측에는 각각 벨트 컨베이어(12,14)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10)의 일정 지점에 절단수단(20)과, 롤러 컨베이어(30)로 이루어진 이송수단과, 제 1센서(40) 및 제 2센서(42)를 포함하는 센싱수단과, 소정 브라켓트(52)를 매개로 설치되는 접이수단 및, 제어수단(70) 등이 일체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소정 면류(100)가 그 상면을 따라 이송되면서 절단 및 접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후측 및 전측에 각각의 구동모터(12a,14a)를 매개로 동작되는 벨트 컨베이어(12,14)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벨트 컨베이어(12,14) 상호 간의 사이에는 상기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롤러 컨베이어(3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절단수단(20)의 설치를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후단 양측에는 각각 일정 높이의 측판(16)이 형성되고, 한 쌍의 로울러(20a,20b)는 그 양단이 상기 측판(16)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호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일측 로울러(20b)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커터(22)가 설치된 절단용 로울러로 제공되어, 그 하측에 구비된 구동모터(22a)로부터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면서 한 쌍의 로울러(20a,20b) 사이를 거쳐 공급되는 면류(100)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도록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절단용으로 제공되는 로울러(20b)와 인접한 일정 지점에는 컷팅작업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근접센서(28)가 설치되어, 해당 로울러(20b)는 저속 회전상태에서 상기 근접센서(28)로부터의 신호 발생 시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공급되는 면류(100)에 대한 절단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절단수단(20)을 통해 절단되는 면류(100)의 길이는 절단용 로울러(20b)의 회전 속도를 통해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후단 상측에 구비된 측판(16)을 통해서는 한 쌍의 가이드로울러(2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정 면류 제조장치에서 제조된 후 이송장치(200)를 통해 공급되는 면류(100)가 상기 절단수단(20) 측으로 연속 공급되게 가이드 작용을 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로울러(24)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격벽(26)을 통해 면류가 가이드되는 경로를 두 개로 분할하도록 이루어져, 해당 면류 절단 및 접이장치를 통해서는 동시에 한 쌍의 면류(100)에 대한 절단 및 접이작업이 실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롤러 컨베이어(3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소정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절단수단(20)을 통해 절단된 일정 길이의 면류(100)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되, 상기 롤러 컨베이어(30)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로울러는 타이밍벨트(32)를 통해 구동모터(30a)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종래에 체인 및 고무링을 사용하는 동력전달수단과 비교하여 윤활제 사용에 따른 위생상의 문제점 및 장시간 사용에 따른 마모의 문제점 등을 해소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센상수단은 제 1센서(40) 및 제 2센서(4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후측 및 전측에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12,14) 상의 일정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절단수단(20)에서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면류(100)의 접이 작업을 위한 특정 지점을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접이수단(50)은 상기 롤러 컨베이어(30)의 상측에 설치되는 소정 브라켓트(52)를 매개로 설치되어 제공되는데, 상기 브라켓트(52)는 판형의 부재 양측이 절곡되어 그 정면이 대략 "┏┓"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트(52) 하단의 전측 및 후측에 접이수단(50)을 형성하는 제 1회전바(60) 및 제 2회전바(62)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1회전바(60) 및 제 2회전바(62)는 각각 동일한 길이 및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바(bar)가 나란하게 배열된 형태로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고, 일측에 위치된 한 개의 바(bar)는 구동모터(60a,62a)와 연결되어 회전축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제 1회전바(60) 및 제 2회전바(62)의 상측으로 소정 면류가 위치되면 해당 면류가 180° 접혀지도록 회전축 기능을 수행하는 일측 바(bar)를 기준으로 180° 회전된 후 복귀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 1회전바(60) 및 제 2회전바(62)를 형성하는 각 바(bar)는 그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52)의 후단 및 전단에는 각각 공압실린더(54a,56a)를 매개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이송되는 면류(100)를 상측에서 누르는 가압판(54) 및 이송되는 면류(100)의 전단이 맞닿는 가림판(56)이 대략 직사각판 형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1센서(40)의 검출신호에 따른 면의 접이 작업 시, 상기 롤러 컨베이어(30)의 동작이 멈춘 상태에서 상기 가압판(54)이 하강하여 면류(100)의 일정 지점을 상측에서 가압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제 1회전바(60)를 통한 첫번째 접이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 면류(100)의 첫번째 접이작업이 완료되어 이송되면서, 상기 제 2센서(42)의 검출신호에 따른 면의 접이 작업 시에는 상기 롤러 컨베이어(30)의 동작이 멈춘 상태에서 상기 가림판(56)이 하강하여 면류(100)의 전단을 막아 고정시킨 후 상기 제 2회전바(62)를 매개로 한 두번째 접이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공압실린더(54a,56a)를 매개로 상.하 이동 가능한 구조로 가압판(54) 및 가림판(56)이 상기 브라켓트(52)에 설치됨과 아울러, 구동모터(60a,62a)를 매개로 제 1회전바(60) 및 제 2회전바(62)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브라켓트(52)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접이수단(50)은 상기 브라켓트(52)를 매개로 모듈화된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간편하게 다수 개의 나사를 체결 또는 해체하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브라켓트(52)를 포함하는 일체의 부품들을 설치 또는 탈착시킬 수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해 해당 장치의 유지보수 및 청소 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70)은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어박스로서, 다수 개의 조작버튼 및 표시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상태에서, 장치의 온.오프 제어를 비롯하여 상기 절단수단(20)과 이송수단(30)과 접이수단(50)의 동작을 위해 각 구동모터 및 공압실린더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면서,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면류(100)가 상기 접이수단(50)을 매개로 3단으로 접혀져 배출되도록 장치 전반에 대한 일련의 제어를 행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전측에 제공되는 벨트 컨베이어(14)의 출구 측 하부에는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80)가 설치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전단에는 그 평면이 대략 "┗┛" 형상을 갖는 보조 프레임(9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90) 내에는 공압실린더(92a)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판(92)이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이동판(92)의 상측에 해당되는 일정 지점에는 대략 사각판이나 띠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멈춤판(94)이 설치되어 제공된다.
이에, 상기 벨트 컨베이어(14)로부터 3단으로 접혀져 배출되는 면류(100)는 상기 이동판(92)에 탑재된 상태로 전방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된 후, 상기 이동판(92)이 연속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멈춤판(94)에 맞닿으면서 자유낙하 되어,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80)에 탑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80)의 길이방향 일측을 따라서는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80)와 대응되는 길이의 대략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 밀대(82)가 설치되고, 상기 밀대(82)는 공압실린더(82a)와 연계되어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80) 상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외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80) 상에 3단으로 접혀진 상태로 제조가 완료된 다수 개의 면류(100)가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밀대(82)로부터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80)에 탑재된 다수 개의 면류는 그 전방에 구비된 냉각 컨베이어 등의 냉각장치(300)나 건조장치 등으로 동시에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참조부호 18은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80)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밀대(82)로부터 외력을 인가받은 면류가 원활하게 상기 냉각장치(300) 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어 제공되는 경사판을 나타낸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는, 소정 면류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냉면을 비롯하여 쫄면이나 당면, 떡, 과자 등을 비롯한 다양한 제품군에 적용될 수가 있으며, 각 면류(100)의 특성에 따른 상기 제어수단(70)의 구동 제어를 통해 그 이송속도 및 절단길이 등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를 매개로 연속 공급되는 소정 면류(100)의 절단 및 접이 과정이 실시되는데 있어서는, 먼저 다양한 형태의 면류 제조장치(도시안됨)에서 제조된 면류 제품이 소정 이송장치(200)를 경유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측에 구비된 가이드로울러(24)에 유도되면서 연속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로울러(24)를 거쳐 연속 공급되는 면류(100)는 절단수단(20)을 형성하는 한 쌍의 로울러(20a,20b) 사이를 통과하면서 일측 로울러(20b)에 구비된 커터(22)를 통해 일정 길이로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5a 참조).
이때, 상기 커터(22)가 구비된 절단용 로울러(20b)는 인접한 지점에 구비된 근접센서(28)의 검출신호에 기초한 상기 제어수단(70)의 제어에 따라 그 회전속도가 조절되면서 일정 길이로 해당 면류(100)의 절단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절단수단(20)을 통해 일정 길이로 절단된 면류(1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후측에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12)를 통해 일정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송된 후 상기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롤러 컨베이어(30) 측으로 진입하게 되며,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구비된 제 1센서(40)에서는 해당 면류(100)의 첫번째 접이작업을 위한 위치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수단(7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롤러 컨베이어(30)가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압판(54)의 하강을 위한 공압실린더(54a)의 제어 및 상기 제 1회전바(60)의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60a)의 제어를 통해 해당 면류(100)에 대한 첫번째 접이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도 5b 및 도 5c 참조).
첫번째 접이작업이 완료된 해당 면류(100)는 상기 롤러 컨베이어(30)를 매개로 일정 거리만큼 재이동이 이루어진 후, 상기 제 2센서(42)에서는 해당 면류의 두번째 접이작업을 위한 위치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수단(7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어수단(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롤러 컨베이어(30)의 정지, 가림판(56)의 하강, 제 2회전바(62)의 회전이 수행되면서 해당 면류(100)에 대한 두번째 접이작업이 실시될 수 있게 된다(도 5d 및 도 5e 참조).
상기 제 1회전바(60) 및 제 2회전바(62)를 매개로 두번의 접이작업이 완료된 해당 면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전측에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14)에 탑재되어 전방으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5f 참조).
또, 상기 밸트 컨베이어(14)에 탑재되어 이송된 면류(100)는 해당 벨트 컨베이어(14)의 출구 측에서 상기 이동판(92) 상면에 탑재된 상태로 전방으로 일정 거리만큼 추가로 이동된 후, 상기 이동판(92)이 연속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멈춤판(94)의 작용에 의해 자유낙하 되면서,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80) 측에 탑재될 수 있게 된다(도 4의 (가) 내지 (다)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이송장치(200)를 통해 연속 공급되는 면류에 대한 절단 및 접이작업을 거쳐 3단으로 접힌 다수 개의 면류(100) 제품이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80)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80)에 구비된 공압실린더(82a)가 자동 또는 수동조작에 따라 조작됨에 따라,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80)에 탑재된 다수 개의 면류 제품은 대략 바(bar) 형상을 갖는 밀대(82)의 외력에 의해 그 전방에 설치된 냉각 컨베이어 등의 냉각장치(300)나 소정 건조장치 등으로 동시에 이동되어, 해당 면류(100) 제품에 대한 후처리 공정이 진행될 수 있게 된다(도 4의 (가) 내지 (다) 참조).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베이스프레임, 12a,14a,22a,30a, 60a,62a: 구동모터,
12,14: 벨트 컨베이어, 16: 측판,
18: 경사판, 20: 절단수단,
20a,20b: 로울러, 22: 커터,
24: 가이드로울러, 26: 격벽,
28: 근접센서, 30: 롤러 컨베이어,
32: 타이밍밸트, 40: 제 1센서,
42: 제 2센서, 50: 접이수단,
52: 브라켓트, 54: 가압판,
54a,56a,82a,92a: 공압실린더, 56: 가림판,
60: 제 1회전바, 62: 제 2회전바,
70: 제어수단, 80: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
82: 밀대, 90: 보조 프레임,
92: 이동판, 94: 멈춤판,
100: 면류, 200: 이송장치,
300: 냉각장치.

Claims (6)

  1. 직육면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면의 후측 및 전측에는 벨트 컨베이어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로울러로 이루어지고, 일측 로울러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커터가 설치되어, 소정 구동수단을 매개로 회전되면서 해당 로울러를 거쳐 공급되는 면류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소정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되는 롤러 컨베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절단수단을 통해 절단된 일정 길이의 면류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측 및 전측 컨베이어 밸트 상에 각각 설치되어, 일정 길이로 절단된 면류의 이송 시 접이 작업을 위한 특정 지점을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센서 및 제 2센서로 이루어진 센싱수단과;
    다수 개의 바(bar)가 나란하게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상부로 소정 면류가 위치되면 해당 면류가 180° 접혀지도록 일측 바(bar)를 기준으로 180° 회전된 후 복귀되는 제 1회전바 및 제 2회전바로 이루어진 접이수단 및;
    장치의 온.오프 제어 및 상기 절단수단과 이송수단과 접이수단의 동작을 위해 각 구동수단에 대한 제어를 행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면류가 상기 접이수단을 매개로 3단으로 접혀져 배출되도록 장치 전반에 대한 일련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단 상측에는 소정 면류 제조장치에서 제조된 면류가 해당 장치 측으로 공급된 후 상기 절단수단 측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로울러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수단을 구성하는 각 회전바는 그 단면이 반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상측에는 판형의 부재 양측이 절곡되어 그 정면이 "┏┓" 형상을 갖는 브라켓트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접이수단은 상기 브라켓트의 하단 측에 위치하며, 상기 브라켓트의 후단 및 전단에는 실린더를 매개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이송되는 면류를 상측에서 누르는 가압판 및 이송되는 면류의 전단이 맞닿는 가림판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단에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의 출구 측 하부에는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가 설치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출구 측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보조 프레임을 매개로 소정 구동수단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판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판의 상측에 해당되는 상기 보조 프레임의 일정 지점에는 멈춤판이 형성되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3단으로 접혀져 배출되는 면류는 상기 이동판에 탑재되어 이동된 후 상기 멈춤판에 맞닿아 자유낙하 되면서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에 탑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의 길이방향 일측을 따라서는 소정 구동수단을 매개로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 상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외력을 인가하는 바(bar) 형상의 밀대가 설치되어, 상기 완제품 이송 컨베이어에 탑재된 다수 개의 면류를 소정 냉각수단 측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KR1020210068358A 2021-05-27 2021-05-27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KR102665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358A KR102665522B1 (ko) 2021-05-27 2021-05-27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358A KR102665522B1 (ko) 2021-05-27 2021-05-27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304A true KR20220160304A (ko) 2022-12-06
KR102665522B1 KR102665522B1 (ko) 2024-05-10

Family

ID=8440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358A KR102665522B1 (ko) 2021-05-27 2021-05-27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52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149U (ko) * 1997-12-19 1999-07-15 양재신 슬래트 컨베이어의 스크랩 자동배출장치
KR100947744B1 (ko) 2009-04-03 2010-03-17 최종묵 면 절단장치
KR101527183B1 (ko) * 2014-11-11 2015-06-10 (주)맛찬들백미식품 면발 가공 장치
KR20170091823A (ko) 2016-02-01 2017-08-10 주식회사 풀무원 다방향 글루텐 형성이 가능한 면류 제품 제조 장치
KR101932387B1 (ko) * 2018-07-12 2018-12-24 양동규 면발폴딩장치
KR20200106257A (ko) * 2019-03-04 2020-09-14 전찬갑 면 접이 시스템
KR102186993B1 (ko) 2018-12-28 2020-12-04 박종득 면 가공장치
KR102195252B1 (ko) * 2020-02-06 2020-12-28 이수혁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149U (ko) * 1997-12-19 1999-07-15 양재신 슬래트 컨베이어의 스크랩 자동배출장치
KR100947744B1 (ko) 2009-04-03 2010-03-17 최종묵 면 절단장치
KR101527183B1 (ko) * 2014-11-11 2015-06-10 (주)맛찬들백미식품 면발 가공 장치
KR20170091823A (ko) 2016-02-01 2017-08-10 주식회사 풀무원 다방향 글루텐 형성이 가능한 면류 제품 제조 장치
KR101932387B1 (ko) * 2018-07-12 2018-12-24 양동규 면발폴딩장치
KR102186993B1 (ko) 2018-12-28 2020-12-04 박종득 면 가공장치
KR20200106257A (ko) * 2019-03-04 2020-09-14 전찬갑 면 접이 시스템
KR102195252B1 (ko) * 2020-02-06 2020-12-28 이수혁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5522B1 (ko)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4988B2 (ja) 食品素材の移載方法および移載装置
JPH10165081A (ja) 有芯食品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US3565014A (en) Automatic tortilla-making machines
US2345310A (en) Article assembling and feeding machine
JPS5835657B2 (ja) ヤクミノモリツケソウチ
KR101296879B1 (ko) 면 접이장치
US6739445B2 (en) Multi-conveyor system
KR20220160304A (ko)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KR100974617B1 (ko) 성형팬에서 케이크 시트를 분리하는 장치
US3238826A (en) Endless belt conveyor for intermittently conveying sheet material
CN217049101U (zh) 一种鲜湿米粉包装运输装置
EP08452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continuous dough strip
JPS6362168B2 (ko)
JP3165889U (ja) 筋状食品加工機
KR101444797B1 (ko) 냉떡국 제조방법
KR102186993B1 (ko) 면 가공장치
US20070137143A1 (en)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groups of roll products
KR101600542B1 (ko) 제함기용 박스이송장치
US3592328A (en) Transfer and orienting mechanism for articles
US2648421A (en) Unloading conveyer
KR200285591Y1 (ko) 해태 조미기
CN215206880U (zh) 一种动态排片装置
CN215207229U (zh) 一种用于卫生用品堆垛装置
CN219708210U (zh) 一种布料机的非接触式定位装置
CN220255528U (zh) 一种面包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