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252B1 -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252B1
KR102195252B1 KR1020200014391A KR20200014391A KR102195252B1 KR 102195252 B1 KR102195252 B1 KR 102195252B1 KR 1020200014391 A KR1020200014391 A KR 1020200014391A KR 20200014391 A KR20200014391 A KR 20200014391A KR 102195252 B1 KR102195252 B1 KR 102195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gredients
cutting
storage case
cas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혁
Original Assignee
이수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혁 filed Critical 이수혁
Priority to KR1020200014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10Soup concentrates, e.g. powders or c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4Crank and pi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08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 B26D2011/005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in combination with different kind of cutters, e.g. two serial slitters in combination with a transversal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 B26D2210/04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controlling the volume by pressing the food product, e.g. meat to a predetermined shape before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에 있어서, 건더기 재료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채칼부재를 왕복운동시키면서 건더기 재료의 폭을 줄여 일정한 폭의 재료로 절단하는 폭조절 절단부; 상기 폭조절 절단부로부터 공급되는 건더기 재료를 케이스 내부로 이동시키면서 고온 건조 공기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급하여 건더기 재료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로부터 배출되는 건더기 재료를 이송시키면서 건더기 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길이조절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폭조절 절단부는, 테이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부로부터 제공되는 건더기 재료가 수납되는 제1수납케이스; 상기 제1수납케이스로부터 배출되는 건더기 재료가 상기 테이블을 통과하여 낙하되어 수납되도록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는 제2수납케이스; 상기 제2수납케이스에 수납되는 건더기 재료가 절단되는 동안에 상기 제1수납케이스에 다음의 건더기 재료가 수납되고, 상기 제2수납케이스에 수납되는 건더기 재료의 절단공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1수납케이스에 수납된 건더기 재료를 상기 제2수납케이스 측으로 가압하여 배출시키는 제1가압패널; 상기 제1가압패널을 상기 제2수납케이스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수납케이스에 설치되는 수평가압실린더; 상기 테이블 상부로부터 상기 제2수납케이스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압패널; 상기 제2가압패널을 상기 제2수납케이스 내측으로 가압하여 건더기 재료를 가압하는 수직가압실린더; 및 상기 수직가압실린더 및 상기 제2가압패널에 의해 상기 제2수납케이스 저면으로 돌출되는 건더기 재료의 폭을 줄이도록 절단공정을 진행하는 왕복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 {CUTTING DEVICE FOR RAMEN POWDER OF SOLID INGREDIENT}
본 발명은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면 조리 시에 첨가되는 스프용 건더기를 제조하기 위해 대량의 건더기 재료를 연속적으로 절단하고, 다양한 크기의 건더기 재료의 폭을 줄이면서 절단공정을 진행한 후에 건더기 재료의 길이를 줄이면서 절단공정을 진행하여 라면스프에 포함되는 건더기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수 있는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면과 스프로 구성되어 있고, 간편한 식사 대용식품으로 소비가 계속 증대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다양하고, 라면의 맛은 면과 스프에 의하여 결정된다.
라면은 기름(油)에 튀겨서 만든 면에 분말스프 또는 액상스프를 별도의 포장지로 첨부하여 만든 식품이고, 라면의 제조방법은 소맥분과 배합수를 혼합→제면→증숙→성형→튀김→냉각→스프첨부→포장의 공정을 거쳐 만든다.
라면은 단위 중량 당 열량이 높아서 1개 120g당 520cal 정도이므로 한 끼 식사에서 공급되어야 할 영양을 거의 공급할 수 있고, 라면은 장기간 저장이 가능하므로 비상식량의 대용식량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라면은 식사대용으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어 대중에게 인기있는 인스턴트식품이며, 라면에 대한 기호도 매우 다양하고, 커큐민 효능으로 두뇌활성화와 치매예방에 좋으며 인체에 유익한 영양성분이 많은 강황 또는 울금으로 강황라면 또는 울금라면이 제조되기도 한다.
상기한 요구에 의해 강황 또는 울금 라면스프 제조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라면스프 제조방법은, 라면스프 제조 시 강황분말 또는 울금분말을 종래의 라면스프와 배합비율 1/100~99/100로 배합하여 종래의 라면스프 포장지에 함께 포장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2479호(2017년 06월 27일 공개, 발명의 명칭 : 강황분말 또는 울금분말 라면스프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라면은, 면과 스프로 이루어지고, 스프에는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건더기가 포함되기 때문에 대량의 건더기 재료를 일정한 크기로 연속적으로 절단하여 제공하는 절단장치가 요구되는데, 라면스프에 포함되는 건더기를 일정한 크기로 연속되게 절단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라면 조리 시에 첨가되는 스프용 건더기를 제조하기 위해 대량의 건더기 재료를 연속적으로 절단하고, 다양한 크기의 건더기 재료의 폭을 줄이면서 절단공정을 진행한 후에 건더기 재료의 길이를 줄이면서 절단공정을 진행하여 라면스프에 포함되는 건더기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수 있는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에 있어서, 건더기 재료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채칼부재를 왕복운동시키면서 건더기 재료의 폭을 줄여 일정한 폭의 재료로 절단하는 폭조절 절단부; 상기 폭조절 절단부로부터 공급되는 건더기 재료를 케이스 내부로 이동시키면서 고온 건조 공기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급하여 건더기 재료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로부터 배출되는 건더기 재료를 이송시키면서 건더기 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길이조절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폭조절 절단부는, 테이블 일측에 설치되고, 건더기 재료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건더기 재료가 수납되는 제1수납케이스; 상기 제1수납케이스로부터 배출되는 건더기 재료가 상기 테이블을 통과하여 낙하되어 수납되도록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는 제2수납케이스; 상기 제2수납케이스에 수납되는 건더기 재료가 절단되는 동안에 상기 제1수납케이스에 다음의 건더기 재료가 수납되고, 상기 제2수납케이스에 수납되는 건더기 재료의 절단공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1수납케이스에 수납된 건더기 재료를 상기 제2수납케이스 측으로 가압하여 배출시키는 제1가압패널; 상기 제1가압패널을 상기 제2수납케이스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수납케이스에 설치되는 수평가압실린더; 상기 테이블 상부로부터 상기 제2수납케이스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압패널; 상기 제2가압패널을 상기 제2수납케이스 내측으로 가압하여 건더기 재료를 가압하는 수직가압실린더; 및 상기 수직가압실린더 및 상기 제2가압패널에 의해 상기 제2수납케이스 저면으로 돌출되는 건더기 재료의 폭을 줄이도록 절단공정을 진행하는 왕복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왕복절단부는, 상기 제2수납케이스의 저면에 간격을 유지하며 대향되게 배치되고, 절단된 건더기 재료가 통과하여 낙하되는 홀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수납케이스 사이의 간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절단홀부가 형성되는 채칼부재; 및 상기 채칼부재의 일단부에 제1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채칼부재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상기 채칼부재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왕복전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건조부는, 투입구 및 토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투입구로부터 낙하되는 재료가 안착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벨트컨베이어;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재료를 상기 케이스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벨트컨베이어;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재료를 다시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제3벨트컨베이어;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고온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건더기 재료를 일정한 폭으로 연속적으로 절단하여 제공하는 폭조절 절단부가 구비되므로 다양한 굵기의 건더기 재료를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여 연속되게 공급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라면스프용 건더기를 양산할 수 있어 라면스프용 건더기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건더기 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연속적으로 절단하여 제공하는 길이조절 절단부가 구비되므로 다양한 길이의 건더기 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연속되게 공급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라면스프용 건더기를 양산할 수 있어 라면스프용 건더기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보다 더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는, 일정한 가압력에 의해 건더기 재료를 가압하면서 건더기 재료의 폭을 조절하므로 건더기 재료가 일정한 폭으로 연속되게 절단될 수 있어 라면스프에 포함되는 건더기의 크기가 고르게 유지되고, 사용자가 취식할 때에 필요 이상으로 큰 건더기에 의해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는,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건더기 재료의 이동방향을 따라 절단날이 이동되면서 절단공정이 이루어지므로 절단공정 중에 건더기 재료의 이송이 중단되는 시간이 없어 건더기 재료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건더기 재료의 절단면이 날카롭게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건더기 재료의 날카로운 절단면에 의해 라면을 취식하는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의 폭조절 절단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의 폭조절 절단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의 건조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의 길이조절 절단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의 폭조절 절단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의 폭조절 절단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의 건조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의 길이조절 절단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는, 건더기 재료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채칼부재(86)를 왕복운동시키면서 건더기 재료의 폭을 줄여 일정한 폭의 재료로 절단하는 폭조절 절단부(70)와, 폭조절 절단부(70)로부터 공급되는 건더기 재료를 케이스 내부로 이동시키면서 고온 건조 공기를 케이스 내부로 공급하여 건더기 재료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와, 건조부로부터 배출되는 건더기 재료를 이송시키면서 건더기 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길이조절 절단부(90)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다양한 크기의 건더기 재료를 폭조절 절단부(70)에 공급하면 건더기 재료의 폭이 일정한 폭으로 절단되어 배출되고, 폭조절 절단부(70)로부터 배출되는 건더기 재료는 건조부에 공급되어 고온 건조 공기와 접촉되면서 건더기 재료에 포함되는 수분이 배출된 후에 길이조절 절단부(90)에 공급되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라면스프에 첨가되는 일정한 크기의 건더기를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의 폭조절 절단부(70)는, 테이블(80) 일측에 설치되고, 건더기 재료의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건더기 재료가 수납되는 제1수납케이스(72)와, 제1수납케이스(72)로부터 배출되는 건더기 재료가 테이블(80)을 통과하여 낙하되어 수납되도록 테이블(80) 하부에 설치되는 제2수납케이스(73)와, 제2수납케이스(73)에 수납되는 건더기 재료가 절단되는 동안에 제1수납케이스(72)에 다음의 건더기 재료가 수납되고, 제2수납케이스(73)에 수납되는 건더기 재료의 절단공정이 종료되면 제1수납케이스(72)에 수납된 건더기 재료를 제2수납케이스(73) 측으로 가압하여 배출시키는 제1가압패널(74)과, 제1가압패널(74)을 제2수납케이스(73)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제1수납케이스(72)에 설치되는 수평가압실린더(78)와, 테이블(80) 상부로부터 제2수납케이스(73)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압패널(75)과, 제2가압패널(75)을 제2수납케이스(73) 내측으로 가압하여 건더기 재료를 가압하는 수직가압실린더(76)와, 수직가압실린더(76) 및 제2가압패널(75)에 의해 제2수납케이스(73) 저면으로 돌출되는 건더기 재료의 폭을 줄이도록 절단공정을 진행하는 왕복절단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수납케이스(72)에 건더기 재료를 공급하면 수평가압실린더(78)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제1수납케이스(72)로부터 측 방향으로 배출되는 건더기 재료가 테이블(80)에 형성되는 통과홀부(82)를 지나 테이블(80) 하측으로 낙하되어 제2수납케이스(73)에 수납된다.
이후에, 수평가압실린더(78)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서 제2가압패널(75)이 제2수납케이스(73)의 내부까지 삽입되면서 건더기 재료를 제2수납케이스(73) 저면으로 가압하게 되고, 제2수납케이스(73) 저면에 형성되는 장공부를 통해 건더기 재료가 일부분 노출되고, 노출된 건더기 재료는 왕복절단부의 작동에 의해 폭이 좁고 긴 재료로 절단되어 낙하된다.
본 실시예의 수직가압실린더(76)는 테이블(80)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테이블(80)에 설치되는 지지패널(89)의 상면에 설치되고, 수직가압실린더(76)로부터 출몰되는 로드는 지지패널(89)을 관통하여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가압패널(75)에 연결되며, 제2가압패널(75)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가이드패널(89a)은 지지패널(8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수직가압실린더(76)의 작동에 의해 하강하는 제2가압패널(75)이 측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정확히 하강하면서 제2수납케이스(73)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왕복절단부는, 제2수납케이스(73)의 저면에 간격을 유지하며 대향되게 배치되고, 절단된 건더기 재료가 통과하여 낙하되는 홀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부재(84)와, 가이드부재(84)와 제2수납케이스(73) 사이의 간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절단홀부가 형성되는 채칼부재(86)와, 채칼부재(86)의 일단부에 제1힌지(88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채칼부재(86)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채칼부재(86)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왕복전달축(88)을 포함한다.
여기서, 채칼부재(86)는, 다수 개의 홀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홀부에는 경사지게 상면으로 돌출되는 원형의 칼날이 설치되므로 채칼부재(86)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에는 칼날의 경사진 배면이 건더기 재료에 슬라이딩되어 절단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채칼부재(86)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에 칼날이 건더기 재료와 마찰되면서 건더기 재료를 홀부 지름만큼의 폭으로 절단하여 하측 방향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채칼부재(86)의 일단은 제1힌지(88a)에 의해 왕복전달축(8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왕복전달축(88)의 타단은 편심캠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편심캠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때에 왕복전달축(88)이 타단은 회전운동되고, 제1힌지(88a)를 가이드홈부를 따라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어 채칼부재(86)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왕복 직선운동시키면서 건더기 재료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진행되는 폭 절단공정에 의해 폭이 좁고 긴 모양으로 절단된 건더기 재료는 건조부(50)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되고, 수분이 제거된 건더기 재료는 길이조절 절단부(90)에 제공되어 라면스프에서 요구되는 최종의 크기로 건더기 재료의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건조부(50)는, 투입구(52a) 및 토출구(52b)가 구비되는 본체케이스(52)와, 투입구(52a)로부터 낙하되는 재료가 안착되어 본체케이스(52)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벨트컨베이어(53)와, 제1벨트컨베이어(53)로부터 낙하되는 재료를 본체케이스(52)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벨트컨베이어(54)와, 제2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재료를 다시 본체케이스(52)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제3벨트컨베이어(55)와, 본체케이스(52)의 하부에 설치되어 고온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57)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체케이스(52)의 상부에 형성되는 투입구(52a)를 통해 공급되는 라면스프의 재료가 제1벨트컨베이어(53), 제2벨트컨베이어(54) 및 제3벨트컨베이어(55)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 노즐(57)로부터 분사되는 고온 건조 공기에 라면스프의 재료가 접촉되면서 재료에 포함되는 수분이 배출되어 건조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노즐(57)로부터 분사되는 고온 건조 공기는 캐비닛(10)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배출홀부(58)를 통해 본체케이스(52)로 유입되는 고온 건조 공기가 수분을 흡수하여 배출되고, 제1벨트컨베이어(53), 제2벨트컨베이어(54) 및 제3벨트컨베이어(55)에 권취되는 벨트는 메시망벨트(56)로 이루어지므로 노즐(57)로부터 분사되는 고온 건조 공기는 메시망벨트(56)를 통과하면서 라면스프의 재료와 효과적으로 접촉되면서 건조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건조부(5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건더기 재료는 길이조절 절단부(90)에 공급되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며, 길이조절 절단부(90)로부터 배출되는 라면스프용 건더기는 소용량 포장지에 수납되어 밀봉되고, 라면 포장 시에 면과 함께 대용량 포장지에 수납되어 포장된다.
본 실시예의 길이조절 절단부(90)는, 건조부로부터 공급되는 건더기 재료가 안착되어 이송되는 벨트컨베이어(92)와, 벨트컨베이어(92)의 벨트 내부에 배치되고, 벨트의 상면을 지지하는 벨트지지대(94)와, 건더기 재료가 벨트지지대(94)에 대향되는 부위를 통과할 때에 하강하면서 건더기 재료를 절단하는 절단날(96)과, 절단날(96)을 반복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시키면서 절단작업을 진행하고, 하강하는 절단날(96)이 건더기 재료 이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하강되도록 하여 건더기 재료의 이동을 중단시키지 않는 상태로 절단작업을 진행하는 곡선이송부(97)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벨트컨베이어(92)가 순환운동을 진행하면서 벨트컨베이어(92) 상면에 배치되는 건더기 재료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건더기 재료가 벨트지지대(94)에 대향되는 부분을 지날 때에 곡선이송부(97)의 작동에 의해 절단날(96)이 하강하면서 건더기 재료를 절단하게 된다.
이때, 벨트컨베이어(92)의 저면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벨트지지대(94)에 의해 지지되므로 절단날(96)이 하강하면서 벨트가 팽창되고 건더기 재료가 절단되지 않는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벨트컨베이어(92) 입구 측에는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는 건더기 재료를 길이 방향으로 정렬하여 공급하는 정렬부가 구비되고, 정렬부는, 벨트컨베이어(92)의 양측 단부로부터 벨트컨베이어(92) 중앙부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패널부재와, 패널부재를 벨트컨베이어(92) 중앙측으로 가압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고, 한 쌍의 패널부재는 입구부의 폭이 넓고 배출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벨트컨베이어(92)의 입구로부터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는 건더기 재료가 투입되면 경사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면서 건더기 재료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고, 실린더부재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한 쌍의 패널부재 사이의 폭이 좁아지면서 다수 개의 건더기 재료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절단날(96)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곡선이송부(97)는, 벨트컨베이어(92)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98)와, 구동롤러(98)의 테두리 측에 편심되게 설치되어 구동롤러(98)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측 단부에 절단날(96)이 설치되는 편심지지대(99)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롤러(98)가 외전되면 편심지지대(99)는 구동롤러(98)의 테두리를 따라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되고, 편심지지대(99)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절단날(96)도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편심지지대(99) 단부에 설치되는 절단날(96)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게 편심지지대(99) 단부에 설치되므로 편심지지대(99)가 원을 그리며 회전될 때에 절단날(96)의 칼끝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타원을 그리면서 회전되어 벨트컨베이어(92) 상면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건더기 재료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날(96)의 칼끝이 하측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타원을 그리면서 낙하게 되므로 건더기 재료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건더기 재료를 절단하고, 다시 건더기 재료의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절단날(96)의 하강운동에 의해 건더기 재료의 이동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길이조절 절단부(90)는, 건더기 재료의 이송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건더기 재료를 이송시키는 중에 절단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라면 조리 시에 첨가되는 스프용 건더기를 제조하기 위해 대량의 건더기 재료를 연속적으로 절단하고, 다양한 크기의 건더기 재료의 폭을 줄이면서 절단공정을 진행한 후에 건더기 재료의 길이를 줄이면서 절단공정을 진행하여 라면스프에 포함되는 건더기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수 있는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절단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50 : 건조부 52 : 본체케이스
52a : 투입구 52b : 토출구
53 : 제1벨트컨베이어 54 : 제2벨트컨베이어
55 : 제3벨트컨베이어 56 : 메시망벨트
57 : 노즐 58 : 배출홀부
70 : 폭조절 절단부 72 : 제1수납케이스
73 : 제2수납케이스 74 : 제1가압패널
75 : 제2가압패널 76 : 수직가압실린더
77 : 수평가압실린더 80 : 테이블
82 : 통과홀부 84 : 가이드부재
86 : 채칼부재 88 : 왕복전달축
88a : 제1힌지 89 : 지지패널
89a : 가이드패널 90 : 길이조절 절단부
92 : 벨트컨베이어 94 : 벨트지지대
96 : 절단날 96a : 절단블록
97 : 곡선이송부 98 : 구동롤러
99 : 편심지지대

Claims (3)

  1.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에 있어서,
    건더기 재료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채칼부재를 왕복운동시키면서 건더기 재료의 폭을 줄여 일정한 폭의 재료로 절단하는 폭조절 절단부;
    상기 폭조절 절단부로부터 공급되는 건더기 재료를 케이스 내부로 이동시키면서 고온 건조 공기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급하여 건더기 재료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로부터 배출되는 건더기 재료를 이송시키면서 건더기 재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길이조절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폭조절 절단부는,
    테이블 일측에 설치되고, 건더기 재료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건더기 재료가 수납되는 제1수납케이스;
    상기 제1수납케이스로부터 배출되는 건더기 재료가 상기 테이블을 통과하여 낙하되어 수납되도록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는 제2수납케이스;
    상기 제2수납케이스에 수납되는 건더기 재료가 절단되는 동안에 상기 제1수납케이스에 다음의 건더기 재료가 수납되고, 상기 제2수납케이스에 수납되는 건더기 재료의 절단공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1수납케이스에 수납된 건더기 재료를 상기 제2수납케이스 측으로 가압하여 배출시키는 제1가압패널;
    상기 제1가압패널을 상기 제2수납케이스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수납케이스에 설치되는 수평가압실린더;
    상기 테이블 상부로부터 상기 제2수납케이스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압패널;
    상기 제2가압패널을 상기 제2수납케이스 내측으로 가압하여 건더기 재료를 가압하는 수직가압실린더; 및
    상기 수직가압실린더 및 상기 제2가압패널에 의해 상기 제2수납케이스 저면으로 돌출되는 건더기 재료의 폭을 줄이도록 절단공정을 진행하는 왕복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절단부는,
    상기 제2수납케이스의 저면에 간격을 유지하며 대향되게 배치되고, 절단된 건더기 재료가 통과하여 낙하되는 홀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수납케이스 사이의 간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절단홀부가 형성되는 채칼부재; 및
    상기 채칼부재의 일단부에 제1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채칼부재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상기 채칼부재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왕복전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투입구 및 토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투입구로부터 낙하되는 재료가 안착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벨트컨베이어;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재료를 상기 케이스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벨트컨베이어;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재료를 다시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제3벨트컨베이어;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고온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
KR1020200014391A 2020-02-06 2020-02-06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 KR102195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391A KR102195252B1 (ko) 2020-02-06 2020-02-06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391A KR102195252B1 (ko) 2020-02-06 2020-02-06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252B1 true KR102195252B1 (ko) 2020-12-28

Family

ID=7408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391A KR102195252B1 (ko) 2020-02-06 2020-02-06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2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304A (ko) * 2021-05-27 2022-12-06 이재덕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304A (ko) * 2021-05-27 2022-12-06 이재덕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KR102665522B1 (ko) * 2021-05-27 2024-05-10 이재덕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5138A (en) Food productio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food and novel food product
JP4698352B2 (ja) 米飯食品成形装置
US3828660A (en) Machine for making ice cream cookie sandwiches and similar food products
KR102195252B1 (ko)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
KR20160100676A (ko) 식품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제조 방법
JP4274569B2 (ja) 食品素材の押し出し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074978A (ja) 粉振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米飯食品成形装置
KR101034872B1 (ko) 국수 제조장치
TWI476131B (zh) 用於罐製鮪魚及類似產品的機器及方法
US20100209580A1 (en) Product shaping method and apparatus
JP5661904B1 (ja) 包被食品成形装置及び方法
KR100512922B1 (ko) 어묵으로 만두피를 제작한 만두 제조 시스템
US4536146A (en) Croquette machine
KR101241536B1 (ko) 만두 제조 장치
TWI688339B (zh) 食品材料排出裝置及其運轉方法、包餡食品製造裝置
JP3814686B2 (ja) 米飯食品成形装置
JP2003333979A (ja) 食品成形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型打装置
KR100800571B1 (ko)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
KR101920179B1 (ko) Iqf 돈등심 또는 돈안심 돈까스의 제조방법
CN107691549B (zh) 一种点心一体机
KR101444797B1 (ko) 냉떡국 제조방법
KR102220148B1 (ko) 라면스프 제조방법
CN211430821U (zh) 一种面点分切及托举机构
KR102625124B1 (ko) 식품 입체 빵가루 코팅기
US11896015B1 (en) Wrapping apparatus for making handheld f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