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387B1 - 면발폴딩장치 - Google Patents

면발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387B1
KR101932387B1 KR1020180080926A KR20180080926A KR101932387B1 KR 101932387 B1 KR101932387 B1 KR 101932387B1 KR 1020180080926 A KR1020180080926 A KR 1020180080926A KR 20180080926 A KR20180080926 A KR 20180080926A KR 101932387 B1 KR101932387 B1 KR 101932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in
face
nood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규
Original Assignee
양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규 filed Critical 양동규
Priority to KR1020180080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6Apparatus for filling pieces of dough such as doughnuts
    • A21C9/063Applying a folding, wrapping, rolling 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기존설비에 적용이 용이하고 한 번의 공정으로 면발을 1/3 길이로 손쉽게 접을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공급되는 면발을 접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수평으로 공급된 면발을 후단으로부터 1/3 길이 지점에 이르기까지 하측에서 지지하며, 전단부가 본체의 측면에 축결합되어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전단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본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수평으로 공급된 면발의 상면을 향해 면발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돌출되는 지지핀; 및 상기 회전판의 전단부 전방에 위치하도록 본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수평으로 공급된 면발의 하면을 향해 면발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돌출되는 이동핀;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핀은 돌출되어 면발의 후단으로부터 1/3 길이 지점 상면을 눌러 고정하고, 상기 이동핀은 돌출되어 지지핀에 의해 면발이 고정된 상태에서 후방 상측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면발이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이동핀을 타고 이동되어 전단으로부터 2/3 길이가 절반으로 접히며, 상기 회전판의 후단부는 지지핀에 의해 면발이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된 이동핀에 인접하도록 상방으로 이동되어, 면발이 3단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면발폴딩장치{Folding apparatus for noodle}
본 발명은 면발을 접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면발을 신속하게 접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면발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발이란 밀가루 또는 기타 곡물을 반죽 상태로 가공한 후 압연한 면대를 절단 로울에 의해서 선장으로 절단한 것으로, 면선의 폭에 따라 국수, 우동, 냉면, 메밀국수 그리고 소면으로 구별된다. 이러한 면발은 종래 수작업으로 제조하였으나, 근래에는 면발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그 제조과정이 자동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면발은 반죽기에서 반죽물이 생성되면, 상기 반죽물을 면 성형기에 공급하여 반죽물을 여러 가닥으로 분할하고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면발을 형성한 다음 이를 접은 후 포장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면발을 접음에 있어, 종래에는 절반으로 접는 장치를 이용하였으나, 소형화된 포장이 불가능하였기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6879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는 면발을 1/3 길이로 접을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절단장치에서 면발이 2/3 길이로 접힌 면발을 공급받아 1/3 길이가 되도록 접는 것으로, 면발을 1/3 길이로 접기 위한 구성이 나뉘어져 있어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생산설비에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면 절단장치 모두를 교체하여야 하는바 기존설비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설비에 적용이 용이하고 한 번의 공정으로 면발을 1/3 길이로 손쉽게 접을 수 있는 면발폴딩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면발폴딩장치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공급되는 면발을 접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수평으로 공급된 면발을 후단으로부터 1/3 길이 지점에 이르기까지 하측에서 지지하며, 전단부가 본체의 측면에 축결합되어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전단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본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수평으로 공급된 면발의 상면을 향해 면발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돌출되는 지지핀; 및 상기 회전판의 전단부 전방에 위치하도록 본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수평으로 공급된 면발의 하면을 향해 면발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돌출되는 이동핀;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핀은 돌출되어 면발의 후단으로부터 1/3 길이 지점 상면을 눌러 고정하고, 상기 이동핀은 돌출되어 지지핀에 의해 면발이 고정된 상태에서 후방 상측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면발이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이동핀을 타고 이동되어 전단으로부터 2/3 길이가 절반으로 접히며, 상기 회전판의 후단부는 지지핀에 의해 면발이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된 이동핀에 인접하도록 상방으로 이동되어, 면발이 3단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면발이 3단으로 접힌 다음, 상기 회전판은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핀은 회전판의 후단부와 동일한 간격을 이루면서 함께 이동되어, 3단으로 접힌 면발이 수평상태를 이룬 후, 상기 이동핀과 지지핀은 본체 내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회전판의 상방에서 상하이동가능한 누름판이 더 구비되되, 상기 이동핀과 지지핀이 본체 내로 인입된 후, 상기 누름판은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3단으로 접힌 면발의 상면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접힌 면발을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누름판에 의해 면발이 눌러진 후, 상기 회전판는 후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접힌 면발을 제2 컨베이어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면발을 본체로 공급하는 제1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제1 컨베이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봉 형태를 이루면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롤러가 제1 컨베이어와 회전판 사이에서 다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받은 면발이 롤러와 회전판 상에서 수평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핀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봉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본체에 결합되는 축고정부와, 내부가 빈 봉 형태로 형성되어 축고정부를 감싸면서 회전되도록 구비된 롤링부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핀이 상측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롤링부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판은 공급되는 면발과 나란한 방향을 이루면서 일단부가 본체에 축결합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직교하도록 두 개의 지지바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바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바는 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다수 개가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핀은 면발과 이격된 상태로 돌출된 후, 하방으로 이동하여 면발의 상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면발이 회전판, 이동핀, 지지핀으로 인해 3단으로 접히는바, 한 번의 공정으로 면발을 1/3 길이로 손쉽게 접을 수 있으며, 면 절단기까지만 구성되어 수작업으로 면발을 접는 기존설비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면발을 접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 종래 장치에 비해 간단하고 그 동작 또한 간소화되므로 생산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면 접이장치에 의해 면발이 접히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면발폴딩장치에 면발이 공급되고 접혀진 면발이 나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면발폴딩장치에 적용되는 본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면발폴딩장치에 적용되는 회전판, 지지핀, 이동핀이 면발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면발폴딩장치에 적용되는 지지핀이 동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면발폴딩장치에 적용되는 이동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 내지 도 11,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면발폴딩장치에 의해 면발이 3단으로 접히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면발폴딩장치에 적용되는 누름판이 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에서는 기존설비에 적용이 용이하고 한 번의 공정으로 면발을 1/3 길이로 손쉽게 접을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공급되는 면발을 접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수평으로 공급된 면발을 후단으로부터 1/3 길이 지점에 이르기까지 하측에서 지지하며, 전단부가 본체의 측면에 축결합되어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전단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본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수평으로 공급된 면발의 상면을 향해 면발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돌출되는 지지핀; 및 상기 회전판의 전단부 전방에 위치하도록 본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수평으로 공급된 면발의 하면을 향해 면발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돌출되는 이동핀;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핀은 돌출되어 면발의 후단으로부터 1/3 길이 지점 상면을 눌러 고정하고, 상기 이동핀은 돌출되어 지지핀에 의해 면발이 고정된 상태에서 후방 상측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면발이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이동핀을 타고 이동되어 전단으로부터 2/3 길이가 절반으로 접히며, 상기 회전판의 후단부는 지지핀에 의해 면발이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된 이동핀에 인접하도록 상방으로 이동되어, 면발이 3단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폴딩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면발폴딩장치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14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면발폴딩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발(10)을 접는 본체(A)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A)로 공급되는 면발(10)은 일 예로, 반죽물을 여러 가닥으로 분할하는 면 성형기(D), 상기 성형기(D)로부터 면 절단기(E)까지 연속적으로 연결된 면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F), 상기 이송컨베이어(F)로부터 공급된 면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면발(10)을 형성하는 면 절단기(E)를 순차적으로 거친다.
상기 본체(A)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면발(10)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공급되어, 공급된 면발(10)을 1/3 길이가 되도록 접게 되는데, 이를 위한 구성은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공급된 면발(10)을 후단으로부터 1/3 길이 지점에 이르기까지 하측에서 지지하며 전단부가 본체(A)의 측면에 축결합되어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판(100)과, 상기 회전판(100)의 전단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본체(A)의 측면에 구비되어 수평으로 공급된 면발(10)의 상면을 향해 면발(10)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돌출되는 지지핀(200); 및 상기 회전판(100)의 전단부 전방에 위치하도록 본체(A)의 측면에 구비되어 수평으로 공급된 면발(10)의 하면을 향해 면발(10)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돌출되는 이동핀(30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100)은 일반적인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회전판(100)으로 면발(10)이 용이하게 공급되거나 회전판(100) 상에 놓인 면발(10)을 용이하게 내보낼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회전판(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10)와 회전바(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110)는 공급되는 면발(10)과 나란한 방향을 이루면서 일단부가 본체(A)에 축결합되어 타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회전바(120)는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된 두 개의 지지바(110) 사이에 지지바(110)와 직교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바(120)는 지지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다수 개가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바(1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A)로 공급된 면발(10)은 다수의 지지바(110)를 거치면서 지지바(1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판(100)의 상면에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추후 설명하겠지만 3단으로 접혀져 회전판(100) 상에 놓인 면발(10)이 본체(A)의 후방에 구비된 제2 컨베이어(C)로 용이하게 보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핀(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봉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이 본체(A)에 돌출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핀(200)은 면발(10)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돌출되며, 돌출된 지지핀(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발(10)의 후단으로부터 1/3 길이 지점 상면을 눌러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핀(200)은 돌출시 하방에 놓인 면발(A)의 폭보다 조금 더 길게 형성되어 지지핀(200)에 의해 면발(A) 모두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핀(200)은 돌출되면서 면발(10)의 상면과 접할 수 있으나, 돌출되는 과정에서 일부 면발(10)이 지지핀(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발(10)과 이격된 상태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면발(10)과 이격된 상태로 돌출된 지지핀(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면발(10)의 상면을 눌러 면발(10)을 고정시키게 되는바, 모든 면발(10)이 지지핀(200)에 고정되어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상기 지지핀(200)에 의해 면발(10)의 후단으로부터 1/3 길이 지점 상면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100)의 후단부가 이동된 이동핀(300)에 인접하도록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판(100) 상에 놓인 면발(10) 부분은 지지핀(200)을 기준으로 접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핀(3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발(10)의 하면을 향해 면발(10)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돌출되어, 지지핀(200)에 의해 면발(10)이 고정된 상태에서 후방 상측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면발(10)이 전단으로부터 2/3 길이가 절반으로 접히게 된다. 즉, 면발(10)은 전단으로부터 이동핀(300)이 상측을 향해 이동한 지점까지 1/3 길이를 가지고, 이동된 이동핀(300)과 지지핀(200)까지 1/3 길이를 가지며, 회전판(100)의 상면에서 1/3 길이를 가지면서 3단으로 접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핀(300)은 회전가능하게 구성하여, 면발(10)이 이동핀(300)이 후방 상측을 향해 이동하기 전에 상측에 놓인 면발(10)의 지점을 그대로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면발(10)이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이동핀(300)을 타고 이동된다.
일 예로, 상기 이동핀(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봉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본체(A)에 돌출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축고정부(310)와, 내부가 빈 봉 형태로 형성되어 축고정부(310)를 감싸면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롤링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핀(300)이 후방 상측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롤링부(320)가 회전하여 이동핀(300)이 면발(10)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면발폴딩장치에 의해 면발(10)이 3단으로 접히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A)의 전방에는 면 절단기(E)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면발(10)을 이송하여 본체(A)로 공급하는 제1 컨베이어(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A)는 제1 컨베이어(B)로부터 면발(10)을 수평으로 공급받는다.
상기 본체(A)는 면발(10)을 접기에 앞서, 면발(10)이 제1 컨베이어(B)로부터 벗어나 수평 상태를 이루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A)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태를 이루면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롤러(500)가 제1 컨베이어(B)와 회전판(100) 사이에 다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롤러(500)는 공급되는 면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면발(10)을 접기 전, 상기 회전판(100)은 수평을 이룬다. 따라서, 제1 컨베이어(B)로부터 공급받은 면발(10)은 롤러(500)와 회전판(100) 상에 수평하게 위치된다.
이후, 상기 지지핀(200)이 면발(10)을 향해 돌출되어, 면발(10)의 후단으로부터 1/3 길이 지점 상면을 눌러 고정시킨다. 상기 이동핀(300)도 지지핀(200)과 마찬가지로 면발(10)을 향해 돌출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A)의 후방 상측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면발(10)의 2/3 길이를 절반으로 접으며, 상기 회전판(100)은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면발(10)을 3단으로 접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핀(300)의 회전판(100)의 이동은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어느 한쪽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동핀(300)의 이동에 따른 면발(10)의 당김현상 또는 회전판(100)의 이동에 따른 면발(10)의 당김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핀(300)과 회전판(100)은 동시에 이동을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발(10)이 3단으로 접혀진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00)은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핀(300) 또한 회전판(100)의 후단부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께 이동된다. 즉, 3단으로 접힌 면발(10)은 회전판(100)의 상면에서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며, 면발(10)이 수평상태를 이룬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핀(300)과 지지핀(200)은 본체(A) 내로 인입된다.
면발(10) 사이에 위치하였던 이동핀(300)과 지지핀(200)이 제거됨에 따라 3단으로 접힌 면발(10)을 파지하여 포장 등과 같은 후속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이동핀(300)과 지지핀(200)이 제거된 면발(10)은 면발(10)의 특성에 따라 접힌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지 않을 수도 있는바, 상기 면발(10)을 눌러주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A)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00)의 상방에서 상하이동가능한 누름판(40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판(300)은 이동핀(300)과 지지핀(200)이 본체(A) 내로 인입된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3단으로 접힌 면발(10)의 상면을 눌러 접힌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접힌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는 면발(10)을 파지하여 후속 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으나, 접힘이 완료된 면발(10)을 계속적으로 회전판(100)에서 제거함에 어려움이 있는바, 원활한 후속 공정 진행을 위하여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A)의 후방에서 접힌 면발(10)을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면발(10)은 누름판(400)에 의해 눌러진 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00)의 후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컨베이어(C)로 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컨베이어(C)는 제1 컨베이어(B)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면발폴딩장치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면발을 회전판(100), 지지핀(200), 이동핀(300)이라는 간단한 구성과, 간소화된 동작을 통해 한 번의 공정으로 면발(10)을 1/3 길이가 되도록 3단으로 접을 수 있는바, 생산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면발(10)을 접는 장치가 없는 기존 설비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 : 본체 B : 제1 컨베이어
C : 제2 컨베이어 D : 면 성형기
E : 면 절단기 F : 이송컨베이어
10 : 면발
100 : 회전판 110 : 지지바
120 : 회전바 200 : 지지핀
300 : 이동핀 310 : 축고정부
320 : 롤링부 400 : 누름판
500 : 롤러

Claims (9)

  1.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공급되는 면발(10)을 접는 본체(A)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A)는 수평으로 공급된 면발(10)을 후단으로부터 1/3 길이 지점에 이르기까지 하측에서 지지하며, 전단부가 본체(A)의 측면에 축결합되어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판(100); 상기 회전판(100)의 전단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본체(A)의 측면에 구비되어 수평으로 공급된 면발(10)의 상면을 향해 면발(10)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돌출되는 지지핀(200); 및 상기 회전판(100)의 전단부 전방에 위치하도록 본체(A)의 측면에 구비되어 수평으로 공급된 면발(10)의 하면을 향해 면발(10)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돌출되는 이동핀(300);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핀(200)은 돌출되어 면발(10)의 후단으로부터 1/3 길이 지점 상면을 눌러 고정하고,
    상기 이동핀(300)은 돌출되어 지지핀(200)에 의해 면발(10)이 고정된 상태에서 후방 상측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면발(10)이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이동핀(300)을 타고 이동되어 전단으로부터 2/3 길이가 절반으로 접히며,
    상기 회전판(100)의 후단부는 지지핀(200)에 의해 면발(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된 이동핀(300)에 인접하도록 상방으로 이동되어, 면발(10)이 3단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폴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발(10)이 3단으로 접힌 다음,
    상기 회전판(100)은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핀(300)은 회전판(100)의 후단부와 동일한 간격을 이루면서 함께 이동되어, 3단으로 접힌 면발(10)이 수평상태를 이룬 후,
    상기 이동핀(300)과 지지핀(200)은 본체(A) 내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폴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A)는 회전판(100)의 상방에서 상하이동가능한 누름판(40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이동핀(300)과 지지핀(200)이 본체(A) 내로 인입된 후, 상기 누름판(400)은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3단으로 접힌 면발(10)의 상면을 눌러 접힌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폴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A)의 후방에서 접힌 면발(10)을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C)를 더 포함하되,
    상기 누름판(400)에 의해 면발(10)이 눌러진 후, 상기 회전판(100)는 후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접힌 면발(10)을 제2 컨베이어(C)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폴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A)의 전방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면발(10)을 본체(A)로 공급하는 제1 컨베이어(B)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컨베이어(C)는 제1 컨베이어(B)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폴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A)는 봉 형태를 이루면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롤러(500)가 제1 컨베이어(B)와 회전판(100) 사이에서 다수 개 구비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B)로부터 공급받은 면발(10)이 롤러(500)와 회전판(100) 상에서 수평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폴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핀(30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봉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본체(A)에 결합되는 축고정부(310)와, 내부가 빈 봉 형태로 형성되어 축고정부(310)를 감싸면서 회전되도록 구비된 롤링부(320)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핀(300)이 상측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롤링부(320)가 회전하여 이동핀(300)이 면발(10)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폴딩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100)은 공급되는 면발(10)과 나란한 방향을 이루면서 일단부가 본체(A)에 축결합되는 지지바(110)와, 상기 지지바(110)에 직교하도록 두 개의 지지바(110)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바(12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바(120)는 지지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다수 개가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바(110)에 결합되어, 면발(10)이 회전판(100)으로 용이하게 공급되거나 제2 컨베이어(C)로 용이하게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폴딩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200)은 면발(10)과 이격된 상태로 돌출된 후, 하방으로 이동하여 면발(10)의 상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폴딩장치.
KR1020180080926A 2018-07-12 2018-07-12 면발폴딩장치 KR101932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926A KR101932387B1 (ko) 2018-07-12 2018-07-12 면발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926A KR101932387B1 (ko) 2018-07-12 2018-07-12 면발폴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387B1 true KR101932387B1 (ko) 2018-12-24

Family

ID=6501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926A KR101932387B1 (ko) 2018-07-12 2018-07-12 면발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304A (ko) * 2021-05-27 2022-12-06 이재덕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1443A (ja) 2006-01-10 2007-07-19 Sumio Kayukawa 麺帯折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1443A (ja) 2006-01-10 2007-07-19 Sumio Kayukawa 麺帯折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304A (ko) * 2021-05-27 2022-12-06 이재덕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KR102665522B1 (ko) 2021-05-27 2024-05-10 이재덕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31808A (en) Sanitary napkin machine
KR101932387B1 (ko) 면발폴딩장치
JP3571297B2 (ja) シート材の裁断及び折り目付け装置
JP2017516468A (ja) 一つあるいは複数の生地シートから生地片のブランクを作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6111177B2 (ja) クロワッサン生地環状化装置および方法、クロワッサン生地u字化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クロワッサン製造システム
US2778286A (en) Stripping machines
CN111114015A (zh) 纸蜂窝芯拉伸机
US1571983A (en) Paper-bag machine
CN103422296B (zh) 一种立式毛绒剪花机
US2776610A (en) Cutting and creasing press
KR200382145Y1 (ko) 냉면제조기용 면 절단 절곡장치
CN209649315U (zh) 一种端子裁切装置
JP3165889U (ja) 筋状食品加工機
KR20170141629A (ko) 나일론원사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치간칫솔제작장치.
US2023291A (en) Butter-chip machine
US20080095896A1 (en) Apparatus for making ice cream sandwiches with servo-driven paper feed
CN206913225U (zh) 小麦拉丝蛋白切割装置
US2473656A (en) Machine for forming article supporting pallets for wrapping machines
US1177293A (en) Machine for making felt pads.
CN108098863A (zh) 一种模切刀组件、模切系统及工作方法
CN109849421A (zh) 一种纸箱自动成型机
CN210671863U (zh) 油条制坯成型机
JP7005064B1 (ja) 樹脂成形シート切断装置
CN219257964U (zh) 一种床单贴片打孔折叠包装一体机
CN219004423U (zh) 一种u形钉制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