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381A - 면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면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381A
KR20200082381A KR1020180172927A KR20180172927A KR20200082381A KR 20200082381 A KR20200082381 A KR 20200082381A KR 1020180172927 A KR1020180172927 A KR 1020180172927A KR 20180172927 A KR20180172927 A KR 20180172927A KR 20200082381 A KR20200082381 A KR 20200082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cutting
transfer
convey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993B1 (ko
Inventor
박종득
Original Assignee
박종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득 filed Critical 박종득
Priority to KR1020180172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9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4/00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로 면을 절단하는 작업 및 면을 3단으로 접는 작업을 균일하고 정확하게 연속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면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가 장착되어 압출된 면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면 공급장치와, 면 공급장치로 공급되어진 면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면의 길이방향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절단장치와,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면을 3단으로 접는 접이장치와, 이송장치 내지 접이장치를 구동시키는 복수의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절단장치로 안내하는 제1이송 컨베이어와, 절단되어진 상태의 면을 접이장치로 안내하는 제2이송 컨베이어와, 면이 접힌 상태로 배출되는 제3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절단장치는 제1이송 컨베이어와 제2이송 컨베이어의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접이장치는 절단장치에 의하여 절단되기 이전에 1차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접이장치와, 절단장치에 의하여 절단이 이루어진 이후에 2차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접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압출성형된 면이 컨베이어들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어 길이 편차가 발생하지 않고 이송되는 과정에서 절단 및 접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와 제3이송 컨베이어를 제1이송 컨베이어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이송되도록 하여 절단하고 접는 시간을 단축하도록 하고, 감속클러치를 활용하여 속도편차가 발생하는 구조임에도 동일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장치의 간소화를 구현하며, 절단장치의 구동을 위한 모터를 독립구성함으로써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면 가공장치{noodles Processing machine}
본 발명은 식품으로 사용되는 면을 절단하고 접기 위한 면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길이로 면을 절단하는 작업 및 면을 3단으로 접는 작업을 균일하고 정확하게 연속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면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은 밀가루나 메밀 등 곡물로 반죽한 상태의 재료를 가늘고 긴 형태의 면으로 성형하여 냉면이나 쫄면, 국수와 같은 면요리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면을 성형하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하였으나, 근래에는 면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면을 뽑아 사용한다.
면 제조장치는 반죽된 원료를 성형기에 공급하여 여러 가닥의 면을 성형하고, 면을 필요한 길이만큼 일정한 길이로 재단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면을 접어서 포장한 후 출하된다.
하지만, 기존에는 연속압출되는 면을 정량 포장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대하여 특허 제947744호(2010.03.08.)에서는 상부로부터 연속압출되어 낙하되는 면을 적정길이로 반복 절단할 수 있도록 하고, 절단이 이루어질 때 면이 낙하되는 자중에 의하여 면이 이송되면서 접히도록 한 가공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렇게 면이 자중에 의하여 낙하될 때 면을 절단하는 방식은 반으로 접는 방식에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길이가 긴 면의 경우 자동 포장이 불가능하고, 수작업에 의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낙하에 의한 방식으로 면이 공급될 때 절단 및 접는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중에 의하여 면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많고 안정된 모양으로 고르게 접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면이 압출성형에 의하여 낙하될 때 먼저 면을 절단하고, 절단되어진 면을 이송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접는 방식의 면 가공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렇게 면을 먼저 자른 이후에 면을 접는 방식은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먼저, 면을 절단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는, 면이 압출 성형될 때 면이 가이드에 안착된 상태에서 절단이 이루어지지만, 면 전체가 가이드에 안착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절단이후, 낙하되는 과정에서 모양이 틀어지거나 면 줄기 각각의 탄성에 의하여 기장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중량의 차이를 야기시켜 제품의 균일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절단 이후 이송과정에서 접을 때의 문제는, 이미 절단과정에서 미세하게 기장이 뒤틀린 상태에서 면을 접으며 접힌 모양들이 제각기 다를 뿐만 아니라, 3단으로 접을 경우에는 그 비틀린 모양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나게 된다.
특히, 면을 절단하고 접는 장치는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하나의 이송 컨베이어에 병력라인으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재단된 면의 길이가 위치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균일한 중량으로 정확한 형상으로 접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접는 구조를 위해서는 이송 컨베이어가 일시 정지해야 하기 때문에 3단으로 접는 작업은 정지되는 횟수가 많고, 특히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이송속도를 빨리하면서도 접기 직적에 이송 컨베이어를 급정거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면이 밀리면서 병렬로 배치된 면 각각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므로 접히는 모양이 제각각이 될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면의 기장차이가 발생하면 브레이크 방식에 의하여 밀리면서 면의 위치 또한 달라지기 때문에 중량을 정량화하기 어려움은 물론, 접힌 형상을 동일한 형태로 균일하게 접는 것이 매우 어려워서 출하되는 제품 제각각마다 중량이나 형상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별도의 스토퍼를 마련하여 면이 이송될 때 설정한 위치에 멈춰지도록 한 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하기에는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기계조작을 통하여 이러한 틀어짐 등을 보정할 수는 있지만, 종래의 기계장치들이 대부분 캠방식에 의하여 기계가 연동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장치설계자나 전문 기술자가 아닌 이상 조작 및 보정을 전혀 할 수없다.
특히, 면 제조 공정 현장에 있는 작업자들은 여성이나 기계에 대해서는 미숙련자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조작 및 보정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정비 기술자에게 의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원되기 이전 까지의 정비시간동안에는 작업이 중단되므로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단하는 작업과 접는 작업을 이송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면의 길이가 달라지거나 접힌 형태가 서로 달라지지 않도록 하여 정량 및 균일하게 소분되어진 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기계장치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작동제어가 간편하여 누구나 쉽게 조작가능한 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가이드가 장착되어 압출된 면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면 공급장치와, 면 공급장치로 공급되어진 면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면의 길이방향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절단장치와,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면을 3단으로 접는 접이장치와, 이송장치 내지 접이장치를 구동시키는 복수의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절단장치로 안내하는 제1이송 컨베이어와, 절단되어진 상태의 면을 접이장치로 안내하는 제2이송 컨베이어와, 면이 접힌 상태로 배출되는 제3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절단장치는 제1이송 컨베이어와 제2이송 컨베이어의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접이장치는 절단장치에 의하여 절단되기 이전에 1차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접이장치와, 절단장치에 의하여 절단이 이루어진 이후에 2차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접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압출성형된 면이 컨베이어들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어 길이 편차가 발생하지 않고 이송되는 과정에서 절단 및 접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와 제3이송 컨베이어를 제1이송 컨베이어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이송되도록 하여 절단하고 접는 시간을 단축하도록 하고, 감속클러치를 활용하여 속도편차가 발생하는 구조임에도 동일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장치의 간소화를 구현하며, 절단장치의 구동을 위한 모터를 독립구성함으로써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면 가공장치에 의하면, 낙하시키는 면을 절단하는 방식이 아닌, 면이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절단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면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절단길이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고 동일한 길이로 재단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재단되어진 면의 중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길이로 재단되어진 면을 이송과정에서 두 단계로 접어서 이송시키므로 면의 접힌 상태의 외관의 동일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면이 접힌 상태에서 별도의 프레스 장치가 없이도 면을 접어 누를 수 있어 기계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컨베이어의 이송속도를 달리함으로써 대기시간을 최소화하여 생산과정에서 딜레이가 발생하지 않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각각의 구동장치 및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활용하여 면의 재단 길이 컨베이어의 속도 등을 조작할 수 있으며, 그 조작이 수치화되므로 컨트롤패널을 이용한 조작이 매우 용이하고, 기계기술자가 아니더라도 간단한 교육만으로도 현장에서 작업자가 쉽게 조작하여 설정변경 등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생산중단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면 가공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면 가공장치가 압출성형기 및 진동컨베이어에 의하여 면 공급을 받도록 장착된 연결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면 가공장치의 측면 구조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면 가공장치의 내부 장치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면 가공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면 공급장치의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절단장치의 구조도
도 11은 도 10의 절단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2은 본 발명의 접이장치의 구조도
도 13은 도 12의 접이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면 가공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가 장착되어 압출된 면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면 공급장치(100)와, 면 공급장치로 공급되어진 면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200)와,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면의 길이방향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절단장치(300)와,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면을 3단으로 접는 접이장치(400)와, 이송장치 내지 접이장치를 구동시키는 복수의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면 공급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된 원료를 면으로 성형하여 절단하는 작업과 접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출성형기(10))로 압출성형 한 후 면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면을 털어주면서 이송시키는 진동 컨베이어(20)를 경유하여 압출된 면이 이송되도록 하고, 그 진동 컨베이어(20)의 말단에는 면이 하부측으로 낙하되면서 안정적으로 이송장치(200)의 컨베이어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110)가 장착 구성될 수 있다.
이송장치(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공급장치에서 압출성형되어 공급되어진 면을 절단장치 및 접이장치로 안내하기 위한 장치로서, 압출성형된 면 자체 그대로 이송되어지는 제1이송 컨베이어(210)와, 절단장치(300)에 의하여 절단되고 후술하는 제1접이장치(410)에 의하여 접혀진 상태의 면을 제2접이장치(420)로 안내하는 제2이송 컨베이어(220)와, 면이 3단으로 접힌 상태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제3이송 컨베이어(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210)와 제2이송 컨베이어(220) 및 제3이송 컨베이어(230)는 구동장치(500)의 제1모터(510)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잇으며, 이를 위하여 제1이송 컨베이어(210), 제2이송 컨베이어(220), 제3이송 컨베이어(230)는 구동장치(500)의 제1모터(510)와 연동롤러(512) 및 연동벨트(514)로 연동되게 장착되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제1이송 컨에이어(210)는 제2이송 컨베이어(220)와 제3이송 컨베이어(230)에 의하여 이송되는 면이 다음 공정에까지 도달할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1이송 컨베이어(210), 제2이송 컨베이어(220), 제3이송 컨베이어(230)의 속도가 모두 동일한 속도일 경우, 제2이송 컨베이어(220)와 제3이송 컨베이어(230)의 이송길이가 길수록 대기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이송 컨베이어(220)와 제3이송 컨베이어(230)는 제1이송 컨베이어(210)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이송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제1이송 컨베이어(210), 제2이송 컨베이어(220), 제3이송 컨베이어(23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500)의 제1모터(510)와 연동롤러(512) 및 연동벨트(514)로 연동되게 장착된 상태이므로 이와 같이 연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210)의 속도를 더 느리게 하기 위해서 구동축(212)에는 감속클러치를 장착하여 제1이송 컨베이어의 속도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하나의 모터, 즉 제1모터(510)만으로 전체 이송장치(200)를 구동할 경우 발생하는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하고, 각 연동구조를 갖는 각각의 컨베이어들 간의 속도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구동장치(500)는 구동출력을 증가시키고 설정된 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보조모터(510-1)를 더 장착하고, 보조모터(510-1)가 연동롤러(512) 및 연동벨트(514)에 의하여 제1모터(510) 및 이송장치(200)와 교차 연결되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절단장치(300)는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 성형되어 공급되는 면이 이송장치(200)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소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절단장치(300)는 절단날(310)과, 절단날을 회전시키는 회동축(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절단장치(300)는 제1이송 컨베이어(210)와 제2이송 컨베이어(220)의 사이에 장착되어 면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회동축(320)은 면 절단길이 설정을 위하여 독립제어가 가능하도록 제2모터(520)에 연결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절단날(310)는 반죽원료를 이용하여 압출성형된 면을 절단하기 위한 구조로서, 날카로움을 요구하지는 않으며 면을 눌어 절단되도록 일정한 강도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의 판이 사용될 수 있다.
절단날(310)은 회동축(320)의 일단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회동축(320)에 장착대(330)가 구비되고, 그 장착대(330)에 절단날(310)이 장착될 수 있다.
절단날(310)은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필요한 경우 분리, 세척이 가능하며, 면의 종류에 따라 절단날(310)의 깊이를 달리 하도록 조절구(332)에 의한 장착깊이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절단날(310)의 직하방에는 하단에는 절단날(310)이 회전할 때 맞물려 면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대면롤러(34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 대면롤러(340)에 의하여 면을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음은 물론 절단되어진 면의 단부가 쳐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대면롤러(340)는 이송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제1모터(510)와 연동되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2이송 컨베이어(220)의 이송속도와 동일하게 이송 안내되어질 수 있다.
접이장치(40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되어지는 면을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1접이장치(410)와 제2접이장치(420)로 구성되어 면을 길이방향으로 두 번 접어서 3단으로 접힘 구조를 갖도록 출하될 수 있다.
상기 접이장치(400)는 절단장치에 의하여 절단되기 이전에 1차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접이장치(410)와, 절단장치(300)에 의하여 절단이 이루어진 이후에 2차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접이장치(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압출성형된 면이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절단 및 접힘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1접이장치(410)는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210)와 절단장치(300)의 절단날(310)에 의하여 면이 절단되는 지점의 사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2접이장치(420)는 제2이송 컨베이어(220)와 제3이송 컨베이어(230)의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접이장치(410)와 제2접이장치(420)는 절첩축(411,421)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절첩작동하는 절첩대(412,422)와, 그 절첩대의 하부에 배치되되 제1모터와 연동되어 절첩된 상태의 면을 이송하는 이송롤(414,4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첩대(412,422)는 면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양측바가 구비되고 그 양측바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현수바가 장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롤(414,424)은 복수의 이송롤이 병렬연결되고, 그 복수의 이송롤 중 어느 하나의 축이 제1모터(510)와 연결되어 작동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이송롤들은 제1모터와 연결된 이송롤과 기어로 맞물려 연동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연동롤러(512)와 연동벨트(514)의 장착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전체 이송라인의 이송속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면 가공장치의 장치구성에 따른 작동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면 공급장치(100)를 통하여 압출성형된 면이 공급될 때 가이드(110)에 의하여 이송장치(200)의 상면에 안착되며, 이때 가이드(110)는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측에서 낙하에 의한 방식으로 면이 공급될 때 면이 자중에 의하여 가이드의 표면에 밀착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이송장치에 의하여 면이 이송되면서 면을 당겨서 이송장치의 컨베이어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면 공급장치(100)에 의하여 이송장치(200)로 안내되어진 면은 이송장치(200)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절단작업 및 접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송장치(200)는 면을 절단하고 접는 작업을 위하여 복수의 컨베이어들로 분리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이 3단으로 분리 구성된 컨베이어들에 의하여 면이 공급된다.
제1이송 컨베이어(210)는 제1모터(510)에 의하여 구동되어 면이 이송되며, 제1이송 컨베이어(210)가 제1모터(510)에 의하여 구동될 때 제1이송 컨베이어(210)의 구동축(212)에 감속클러치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1모터(510)의 회전 RPM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RPM으로 회전되어 비교적 저속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절단장치(300)가 위치하는 부근에는 면의 이송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가 장착되어 면의 진입이 센서를 통하여 확인되면(이때, 진입되는 면은 제1접이장치(410)에서 접힌 상태의 면일 수 있다.) 제어부로 신호를 송출하고, 신호를 인가받은 때로부터 제1모터(510)의 회전수를 계산하여 일정 회전수에 도달하면 제1모터(510)의 작동을 중지시켜 면의 이송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는 수신부 송신부로 구성된 포토센서이거나 거리차이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근접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의 신호를 활용하하여 절단장치(300)를 가동시켜 면을 절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에서 신호를 감지한 순간으로부터 제1모터(510)의 회전수가 20바퀴에 도달하면 제1모터(510)의 회전이 중지되고, 이와 함께 절단장치(300)의 절단날(310)을 이용하여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10바퀴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2모터(520)를 동작시켜 절단장치(300)의 회전축이 가동되도록 하고, 20바퀴에 도달하는 시점, 즉 면의 이송이 중지되는 시점에 근접할 때 절단날(310)에 의하여 면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모터(510)를 서보모터로 사용하면 이송장치의 속도제어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면의 이송을 일시 중지시키기 직전에 감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감속된 상태에서 면의 이송이 중지되기 때문에 면이 안착된 상태가 유동될 우려가 없이 동일한 길이로 절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송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역방향으로 미세하게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절단되어진 면의 단부가 제1접이장치(410)의 절첩대(412)에 더욱 근접하게 위치가 복원될 수 있으며, 절첩대(412)의 최외곽에 위치한 현수대가 면의 끝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접을 수 있게 되므로 접은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고 균일한 형태로 접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모터(510)는 엔코더를 이용한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면마다 기장이 다른 것들을 역방향 회전을 통하여 정렬시킨 후 접을 수 있도록 하여 면의 끝부분이 정렬된 상태에서 균일한 형태로 접을 수 있다.
또한, 절단장치(300)를 제2모터(520)로 독립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면의 절단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면 가공장치의 전체 이송구조 및 이송속도를 조정할 필요없이 제2모터(520)만을 간단하게 조작하여 제어함으로써 면의 절단 길이 등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절단장치(300)에는 복수의 센서를 마련하여 신호가 인가되면 회전이 이루어지고, 면을 절단하는 순간 다른 신호에 의하여 제1모터 및 보조모터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이송 컨베이어(210)의 작동이 중지될 경우에도 압출성형기(10) 및 진동컨베이어(20)는 지속적으로 면이 공급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1이송 컨베이어(210)의 작동이 중지되면 공급되는 면이 면 공급장치(100)의 가이드(110)의 만곡된 면에 밀착되면서 제1이송 컨베이어(210)의 재작동에 의하여 면이 이송될 때 들뜬 부분이 없기 때문에 제1이송 컨베이어(210)의 상면에 완전히 밀착되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면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210)에서의 이송 중지는, 면의 절단이 이루어지는 직후에 제1이송 컨베이어(210)를 이용한 이송이 중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이송이 중지된 상태에서 제1접이장치(410)가 작동하여 면을 접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센서에서 감지한 신호 또는 별도의 작동센서를 구비하여 제1접이장치(410)의 작동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으며, 제1접이장치(410)가 절첩축(411)에 의하여 회전되어 절첩대(412)가 절첩작동하면서 면을 접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절첩축(411)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부(41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구동부(415)는 180°범위 내에서 왕복 작동할 수 있게 구비되어 면을 접은 이후에 원상태로 복원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접이장치(410)가 동작하기 이전에는 절첩대(412)의 현수바가 복수의 이송롤(414)들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구동부(415)에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절첩대(412)가 작동하면서 이송롤들 상단에 위치한 면을 접게 되고, 면을 접은 이후에는 절첩대(412)가 역방향으로 절첩된 후 원위치로 복원되어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면의 전단부가 절단된 상태에서 면이 한 번 접힌 상태가 되고, 그 이후에 제1모터(510)가 재동작함에 따라 절단장치(300)의 대면롤러(340) 및 제2이송 컨베이어(220)에 의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220)로 진입한 면은 후단이 다시 절단장치(300)에 의하여 절단되어 하나의 소분된 면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송장치(200), 절단장치(300), 접이장치(400), 구동장치(500)의 동작이 동시적 반복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연속으로 절단하고 접는 공정이 반복된다.
또한,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220)는 제1이송 컨베이어(210)의 이송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송하여 제2접이장치(420)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선순위로 가공되는 면의 후단이 절단장치(300)에서 절단된 직후 제1접이장치(410)가 작동하면서 후순위로 가공되는 면을 접을 수 있게 되며, 이 제1접이장치(410)가 작동되는 동안에 선순위로 가공되는 면은 빠른 속도로 제2이송 컨베이어(220)에 의하여 이송되어 제1접이장치(410)가 작동한 직후 연달아 제2접이장치(420)가 작동하여 선순위로 가공되는 면의 후단을 접어 3단으로 접힌 상태로 가공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딜레이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접이장치(420)에서 3단으로 접혀진 면은 제3이송 컨베이어(230)에 의하여 배출되거나 다음 공정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3이송 컨베이어(230)의 말단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작업대가 마련되어 접혀진 면을 작업자가 분리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10: 압출성형기
20: 진동컨베이어
100: 면공급장치
200: 이송장치
210: 제1이송 컨베이어
220: 제2이송 컨베이어
230: 제3이송 컨베이어
300: 절단장치
310: 절단날
320: 회동축
330: 장착대 332: 조절구
340: 대면롤러
400: 접이장치
410: 제1접이장치 411: 절첩축 412: 절첩대
414: 이송롤 415: 구동부
420: 제1접이장치 421: 절첩축 422: 절첩대
424: 이송롤 425: 구동부
500: 구동장치
510: 제1모터 500-1: 보조모터
512: 연동롤러 514: 연동벨트
520: 연동벨트

Claims (7)

  1. 가이드가 장착되어 압출된 면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면 공급장치(100)와,
    면 공급장치로 공급되어진 면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200)와,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면의 길이방향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절단장치(300)와,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면을 3단으로 접는 접이장치(400)와,
    이송장치 내지 접이장치를 구동시키는 복수의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200)는 절단장치로 안내하는 제1이송 컨베이어(210)와, 절단되어진 상태의 면을 접이장치로 안내하는 제2이송 컨베이어(220)와, 면이 접힌 상태로 배출되는 제3이송 컨베이어(230)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장치(300)는 제1이송 컨베이어와 제2이송 컨베이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접이장치(400)는 절단장치에 의하여 절단되기 이전에 1차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접이장치(410)와, 절단장치에 의하여 절단이 이루어진 이후에 2차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접이장치(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압출성형된 면이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절단 및 접힘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220)와 제3이송 컨베이어(230)는 제1이송 컨베이어(210)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이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가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제1이송 컨베이어(210), 제2이송 컨베이어(220), 제3이송 컨베이어(230)는 구동장치(500)의 제1모터(510)와 연동롤러(512) 및 연동벨트(514)로 연동되게 장착되어 구동되고,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의 구동축(212)에는 감속클러치가 장착되어 제1이송 컨베이어의 속도제어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가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500)는 구동출력을 증가시키고 설정된 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보조모터(510-1)가 더 장착되고, 보조모터(510-1)는 연동롤러(512) 및 연동벨트(514)에 의하여 제1모터(510) 및 이송장치(200)와 교차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가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300)는 절단날(310)과, 절단날을 회전시키는 회동축(320)을 포함하고, 절단장치는 제1이송 컨베이어(210)와 제2이송 컨베이어(220)의 사이에 장착되어 면 절단이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축(320)은 면 절단길이 설정을 위하여 독립제어가 가능하도록 제2모터(520)에 연결 구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가공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접이장치(400)는,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210)와 절단장치(300)의 절단날(310)에 의하여 면이 절단되는 지점의 사이에 제1접이장치(410)가 장착되고, 제2이송 컨베이어(220)와 제3이송 컨베이어(230)의 사이에 제2접이장치(420)가 장착되며, 제1접이장치(410)와 제2접이장치(420)는 절첩축(411,421)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절첩작동하는 절첩대(412,422)와, 그 절첩대의 하부에 배치되되 제1모터와 연동되어 절첩된 상태의 면을 이송하는 이송롤(414,4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가공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414,424)은 복수의 이송롤이 병렬연결되고, 그 복수의 이송롤 중 어느 하나의 축이 제1모터(510)와 연결되어 작동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이송롤들은 제1모터와 연결된 이송롤과 기어로 맞물려 연동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가공장치.
KR1020180172927A 2018-12-28 2018-12-28 면 가공장치 KR102186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927A KR102186993B1 (ko) 2018-12-28 2018-12-28 면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927A KR102186993B1 (ko) 2018-12-28 2018-12-28 면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381A true KR20200082381A (ko) 2020-07-08
KR102186993B1 KR102186993B1 (ko) 2020-12-04

Family

ID=71600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927A KR102186993B1 (ko) 2018-12-28 2018-12-28 면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9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522B1 (ko) 2021-05-27 2024-05-10 이재덕 면류 절단 및 접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183B1 (ko) * 2014-11-11 2015-06-10 (주)맛찬들백미식품 면발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183B1 (ko) * 2014-11-11 2015-06-10 (주)맛찬들백미식품 면발 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993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4090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food dough
JP2561140B2 (ja) 軽接触給送装置
JP4919339B2 (ja) 食品生地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JP4854988B2 (ja) 食品素材の移載方法および移載装置
KR101670711B1 (ko) 식품생지 신장장치 및 식품생지 신장방법
KR20200082381A (ko) 면 가공장치
KR101042639B1 (ko) 포자 만두의 성형장치 및 자동정렬 공급시스템
JP2001341096A (ja) 切断線の両縁部を連結する刻み目を破断する装置
JP5495330B2 (ja) 生地分割装置および方法
US58717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ntinuous dough strip of a constant width
JP3811814B2 (ja) 食品生地片の搬送成形方法および装置
EP2164334B1 (en) Line, method and processing station for forming dough disks such as pizza bases or the like
JP2001095468A (ja) 食品生地成形システム
JP2018078856A (ja) 巻寿司連続製造装置
JP3440017B2 (ja) 計量生地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4708171B2 (ja) 原木パンの切断整列装置
KR102449822B1 (ko) 생면 제조 공정 시스템
JP7224698B1 (ja) 麺の重量制御装置
US20120137844A1 (en) Device and method for cutting food products
JP2019062857A (ja) 棒状食材の供給方法及び棒状食材の供給装置
KR20170071877A (ko) 가공품 자동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BR102022018380A2 (pt) Dispositivo e método para fornecer um fluxo de produto com produtos alimentícios mutuamente alinhados em substratos de produto
JP2514728Y2 (ja) 飯成形供給装置
JPH03112821A (ja) 製びん機における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