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855B1 -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855B1
KR101525855B1 KR1020130124116A KR20130124116A KR101525855B1 KR 101525855 B1 KR101525855 B1 KR 101525855B1 KR 1020130124116 A KR1020130124116 A KR 1020130124116A KR 20130124116 A KR20130124116 A KR 20130124116A KR 101525855 B1 KR101525855 B1 KR 101525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ware
belt
dishwasher
inlet
convey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709A (ko
Inventor
최숙주
이한영
Original Assignee
동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건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4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855B1/ko
Publication of KR20150044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7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 A47L15/248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relating to the conveyo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의 전단에 구비되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다종의 식기를 자동으로 식기 세척기의 투입구로 투입시키기 위한 식기 인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투입구와 배출구가 구성되며 내부에는 세척 공간과 헹굼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식기를 이동시키면서 단계적으로 세척과 헹굼을 실시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와 연통하며 세척 대상 식기를 상기 투입구로 이송하기 위한 식기 투입기를 포함하며, 상기 식기 투입기는, 상기 투입구의 전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작업 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작업 공간에 설치되며 크기가 서로 다른 다종의 식기를 상기 투입구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A DISH WASHER HAVING DISH IN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의 전단에 구비되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다종의 식기를 자동으로 식기 세척기의 투입구로 투입시키기 위한 식기 인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식기 세척기의 보급으로 하나의 식기 세척기 내에서 세척과 헹굼 및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가정용 자동 식기세척기가 보편적으로 공급되고 있고, 또한 일반 중, 대형 음식점 등에도 이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업소용 식기 자동 세척기 등이 보급되고 있다.
가정용 내지 업소용 식기 세척기와는 달리 주로 공동 급식이 이루어지는 학교나 기업체, 군부대 등에서 식판 형태의 식기를 이용하여 단체 급식하는 대형의 식당에서 사용되는 식판 형태의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한 단계별 자동 식기 세척기도 이미 상당히 보급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단계별 자동 식기 세척기는 통상적으로 사용된 식기를 세척기에 투입하기 전 사람의 손으로 세척하여 잔반(음식물 찌꺼기)을 제거하는 애벌 세척을 거친 다음, 1차 세척된 식기는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식판 지지 구에 의하여 지지 된 상태로 세척실로 이동되어 세척과정을 거친 다음, 헹굼 실로 이동하면서 헹굼수 노즐에 건조촉진제를 투입하여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식기 세척을 완료하게 된다.
1차 또는 2차 세척을 하는 과정은 동일한 세척수를 가지고 세제가 희석된 탱크의 물로 세척펌프가 분사하는 구간을 컨베이어 이송벨트에 식판을 올려 지나가면서 분사압에 의해 세척하는 것이며 헹굼 구간은 탱크 없이 부스타(스팀식, 가스식)를 거쳐 나오는 물을 조그만 분사노즐을 장착하여 건조촉진제(헹굼보조제)를 헹굼 수에 투입하여 식판에 분사 후 건조(열풍)구간을 지나면 세척이 완료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1158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의 종류나 크기에 상관없이 다종의 식기를 식기 세척기의 투입구로 자동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는 투입구와 배출구가 구성되며 내부에는 세척 공간과 헹굼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식기를 이동시키면서 단계적으로 세척과 헹굼을 실시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와 연통하며 세척 대상 식기를 상기 투입구로 이송하기 위한 식기 투입기를 포함하며, 상기 식기 투입기는, 상기 투입구의 전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작업 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작업 공간에 설치되며 크기가 서로 다른 다종의 식기를 상기 투입구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상호 이격 거리를 유지하며 나란히 설치되는 제 1 이송벨트와 제 2 이송벨트; 상기 제 1 이송벨트 및 제 2 이송벨트를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 롤러; 상기 회전 롤러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 이송벨트 및 제 2 이송벨트는, 상기 회전 롤러와 접하여 회동하는 내벨트; 상기 내벨트와 일정한 폭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외벨트; 및 상기 내벨트와 외벨트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내벨트와 외벨트 사이의 폭을 유지하며 탄성에 의해 상기 폭이 변형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외벨트의 외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 공간의 전단에 설치되며 투입되는 식기의 폭 또는 뒤틀림을 측정하기 위한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식기의 폭 또는 뒤틀림과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교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 이송벨트와 제 2 이송벨트의 상호 이격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한 쌍의 회전 롤러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공이 형성되는 유동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유동플레이트의 유동공을 통해 볼트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는 식기의 종류나 크기에 상관없이 다종의 식기를 식기 세척기의 투입구로 자동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투입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정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투입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정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21)와 배출구(22)가 구성되며 내부에는 세척 공간과 헹굼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투입구(21)로부터 투입된 식기(30)를 이동시키면서 단계적으로 세척수와 헹굼수를 공급함으로써 세척과 헹굼을 실시하게 되며, 세척과 헹굼이 완료된 식기는 상기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되어 식기 건조기 내지 식기 배급기로 전달된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20)의 세척 내지 헹굼을 방법 및 구조는 공지 기술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식기 세척기(20)는 세척이 요구되는 식기를 투입구(21)로 자동 이송하기 위한 식기 투입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기 투입기(10)는 세척 대상 식기(30)가 투입되면 이를 일정한 방향으로 상기 식기 세척기(20)의 투입구(21)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투입기(10)는 크기가 서로 다른 다종의 식기(30)는 물론 식기(30)의 인입 위치에 관계없이 식기(30)가 동일한 위치에서 배출되어 안정적으로 식기 세척기(20)의 투입구(21)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기 투입기(10)는 내부에 작업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로 투입된 식기(30)를 상기 식기 세척기(20)의 투입구(21)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복수의 횡프레임과 종프레임의 결합에 의한 직립형 구조를 취하며, 내부에는 상기 이송수단(200)이 구성될 수 있는 작업 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배출구(102)는 상기 식기 세척기(20)의 투입구(21)와 연통하도록 상기 투입구(21)의 전단에 배치된다.
상기 이송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의 작업 공간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크기가 서로 다른 다종의 식기(30)를 상기 투입구(21)로 자동으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이송수단(200)은 컨베이어 구조를 통해 유입된 식기를 일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본체(100)의 양측면에 상호 이격 거리를 유지하며 나란히 설치되는 제 1 이송벨트(210)와 제 2 이송벨트(220), 상기 제 1 이송벨트(210) 및 제 2 이송벨트(220)를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 롤러(230), 상기 회전 롤러(230)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240) 및 상기 구동모터(2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이송벨트(210) 및 제 2 이송벨트(220)는 유입되는 식기(30)의 종류, 크기 및 폭이 서로 다른 다종의 식기류를 구분없이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이중벨트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제 1 이송벨트(210) 및 제 2 이송벨트(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롤러(230)와 접하여 회동하는 내벨트(211, 221), 상기 내벨트(211, 221)와 일정한 폭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외벨트(212, 222) 및 상기 내벨트(211, 221)와 외벨트(212, 222)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내벨트(211, 221)와 외벨트 (212, 222)사이의 폭을 유지하며 탄성에 의해 상기 폭이 변형되도록 하는 스프링(2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스프링(250)의 탄성에 의해 외벨트(212, 222)는 내밸트(211, 221)을 향하여 유동 가능함에 따라 유입되는 식기(30)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이송벨트의 외형이 변형하면서 식기를 유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이송벨트(210) 및 제 2 이송벨트(220)의 외벨트(212, 222) 외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기(251)를 구성하여 식기(30)의 표면을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송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기 투입기(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2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바, 이러한 제어부는 유입된 식기(30)의 폭 또는 식기(30)의 틀어짐을 파악하여 상기 구동모터(240)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 공간의 전단에 설치되며 투입되는 식기의 폭 또는 뒤틀림을 측정하기 위한 감지센서(260)를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감지센서(260)로부터 측정된 식기(30)의 폭 또는 뒤틀림과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구동모터(240)의 회전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교분석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교분석부는 유입된 식기(30)가 기설정된 기준 뒤틀림 값보다 틀어진 경우 제 1 이송벨트(210) 또는 제 2 이송벨트(220) 중 어느 한 이송벨트만을 가동시키도록 하여 식기(30)가 수직 또는 수평이 되도록 정위치시킨 후, 제 1 이송벨트(210) 및 제 2 이송벨트(220)를 함께 가동시킴으로써 정위치된 식기(30)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센서(260)와 비교분석부를 포함하는 제어부에 의해 뒤틀린 식기(30)의 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동 모터(240)의 과부하와 그에 따른 설비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식기(30)를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식기(30)의 정위치 기준값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함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이송벨트(210) 및 제 2 이송벨트(220)의 상호 이격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폭이 과도하게 큰 식기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조정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정수단(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회전 롤러(230)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3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지지플레이트(3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유동공(321)이 형성되는 유동플레이트(320)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310)의 하부에서 상기 유동플레이트(320)의 유동공(321)을 통해 볼트(340)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유동공(321)의 길이 방향만큼 지지플레이트(310)가 고정플레이트(330)로부터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이에 지지되는 회전 롤러(230)와 함께 제 1 이송벨트(210) 및 제 2 이송벨트(220)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과도하게 폭이 큰 식기의 경우에도 상기 조정수단(300)을 조정함으로써 유입 및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식기(30)의 종류와 크기 및 폭이 서로 다른 다종의 식기가 투입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감지하고 구동모터(240)를 가동시켜 제 1 이송벨트(210)와 제 2 이송벨트(220)가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의 감지센서(260)에서 유입된 식기(30)의 뒤틀림을 감지하게 되고, 기준값보다 상대적으로 큰 뒤틀림을 갖는 식기(30)의 경우 비교분석부에서는 구동모터(240)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 1 이송벨트(210) 또는 제 2 이송벨트(220) 중 어느 한 이송벨트만을 회동시켜 상기 식기(30)가 정위치하도록 한 후, 다시 제 1 이송벨트(210)와 제 2 이송벨트(220)를 함께 회동시킨다.
상기 비교분석부에서 뒤틀림이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과정을 생략하며 제 1 이송벨트(210)와 제 2 이송벨트(220)를 정상적으로 회동시켜 식기(30)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이송벨트(210) 및 제 2 이송벨트(220)는 내벨트(211, 221)와 외벨트(212, 222) 및 스프링(250)으로 구성되는 바, 유입되는 식기(30)의 종류 즉, 크기가 작은 국그릇은 물론 식판과 같이 폭이 넓은 식기의 형상에 따라 외벨트(212, 222)가 내벨트(211, 221) 측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구동모터(240)의 과부하 없이도 식기(30)의 크기에 상관없이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이송수단(200)에 의해 이송되는 식기(30)들은 상기 식기 세척기(20)의 투입구(21)와 연통하는 본체(100)의 후단을 통해 상기 투입구(21)로 이송하게 되는 것이며, 식기 세척기(20)의 자동화 구조에 의해 식기 세척기(20)의 투입구(21)를 통해 투입된 식기(30)는 단계적으로 세척 내지 헹굼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식기 세척기(20)의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식기 투입기
100 : 본체 200 : 이송수단
210 : 제 1 이송벨트 220 : 제 2 이송벨트
230 : 회전 롤러 240 : 구동 모터
300 : 조정수단 310 : 지지플레이트
320 : 유동플레이트 321 : 유동공
330 : 고정플레이트

Claims (7)

  1. 투입구와 배출구가 구성되며 내부에는 세척 공간과 헹굼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식기를 이동시키면서 단계적으로 세척과 헹굼을 실시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와 연통하며 세척 대상 식기를 상기 투입구로 이송하기 위한 식기 투입기를 포함하고, 상기 식기 투입기는 상기 투입구의 전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작업 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작업 공간에 설치되며 크기가 서로 다른 다종의 식기를 상기 투입구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상호 이격 거리를 유지하며 나란히 설치되는 제 1 이송벨트와 제 2 이송벨트;와 상기 제 1 이송벨트 및 제 2 이송벨트를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 롤러;와 상기 회전 롤러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송벨트 및 제 2 이송벨트는 상기 회전 롤러와 접하여 회동하는 내벨트;와 상기 내벨트와 일정한 폭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외벨트; 및 상기 내벨트와 외벨트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내벨트와 외벨트 사이의 폭을 유지하며 탄성에 의해 상기 폭이 변형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 공간의 전단에 설치되며 투입되는 식기의 폭 또는 뒤틀림을 측정하기 위한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식기의 폭 또는 뒤틀림과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교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벨트의 외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벨트와 제 2 이송벨트의 상호 이격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한 쌍의 회전 롤러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공이 형성되는 유동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유동플레이트의 유동공을 통해 볼트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KR1020130124116A 2013-10-17 2013-10-17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KR101525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116A KR101525855B1 (ko) 2013-10-17 2013-10-17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116A KR101525855B1 (ko) 2013-10-17 2013-10-17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709A KR20150044709A (ko) 2015-04-27
KR101525855B1 true KR101525855B1 (ko) 2015-06-09

Family

ID=5303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116A KR101525855B1 (ko) 2013-10-17 2013-10-17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8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269A (ko) 2021-09-14 2023-03-21 (주)신진마스타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
KR20240013636A (ko) 2022-07-22 2024-01-30 (주)신진마스타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7782U (ko) * 1989-12-22 1991-09-06
JP3087782B2 (ja) * 1991-11-19 2000-09-11 日本電気株式会社 撮像データ信号伝送方式
KR101286739B1 (ko) * 2011-10-05 2013-07-16 주식회사 대양에스티 식판 애벌세척장치
KR200468608Y1 (ko) * 2012-03-28 2013-08-27 채승병 식기세척기용 식판이송장치
KR101305923B1 (ko) * 2012-06-12 2013-09-17 주식회사프라임 식판 초벌 세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7782U (ko) * 1989-12-22 1991-09-06
JP3087782B2 (ja) * 1991-11-19 2000-09-11 日本電気株式会社 撮像データ信号伝送方式
KR101286739B1 (ko) * 2011-10-05 2013-07-16 주식회사 대양에스티 식판 애벌세척장치
KR200468608Y1 (ko) * 2012-03-28 2013-08-27 채승병 식기세척기용 식판이송장치
KR101305923B1 (ko) * 2012-06-12 2013-09-17 주식회사프라임 식판 초벌 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269A (ko) 2021-09-14 2023-03-21 (주)신진마스타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
KR20240013636A (ko) 2022-07-22 2024-01-30 (주)신진마스타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709A (ko)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624B1 (ko) 애벌 일체형 식판 전용 세척시스템
KR101253000B1 (ko) 식기세척장치
EP2648595B1 (en) Conveyor dishwasher
KR101833765B1 (ko) 식기세척시스템
KR101525855B1 (ko)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JP7194808B2 (ja) 被洗浄物を洗浄するための洗浄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56518B1 (ko) 복합 식판세척기
EP3563940B1 (en) Cup-washing device
KR101487193B1 (ko)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
KR101244379B1 (ko) 식판 자동세척기
KR102286532B1 (ko) 식기 및 식판의 회전 세척시스템
KR101648797B1 (ko) 상자 자동 세척장치
US20180028043A1 (en) Warewasher with radar-based ware detection
KR101226464B1 (ko) 식사도구 자동세척분리장치
KR101301856B1 (ko) 랙타입 식기세척기의 랙 이송장치
CN219720609U (zh) 用于清洁物品的传送式清洁装置
US20180028044A1 (en) Warewasher with ultrasonic-based ware detection
JP2020203033A (ja) 食器皿洗浄装置
JP6552363B2 (ja) 基板乾燥装置および基板処理装置
JP6943374B2 (ja) 食器皿洗浄装置
KR20140120708A (ko) 식기세척 자동화시스템
KR200471301Y1 (ko) 애벌세척기의 식판이송구조
CN205659961U (zh) 一种袋装食品清洗装置
JP7015724B2 (ja) コンベア型洗浄機
EP3260032B1 (en) Warewasher with air assisted prescrap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