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636A -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636A
KR20240013636A KR1020220178998A KR20220178998A KR20240013636A KR 20240013636 A KR20240013636 A KR 20240013636A KR 1020220178998 A KR1020220178998 A KR 1020220178998A KR 20220178998 A KR20220178998 A KR 20220178998A KR 20240013636 A KR20240013636 A KR 20240013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upport
plate
protrusion
foo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윤
Original Assignee
(주)신진마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진마스타 filed Critical (주)신진마스타
Publication of KR20240013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6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A47L15/24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the dishes being placed directly on the conveyors, i.e. not in dish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7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된 식판을 1매씩 균일하고 정확하게 이송컨베이어 측으로 투입할 수 있는 장치이다.

Description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Tray automatic feeding device of Dishwasher's}
본 발명은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프레임(110)을 포함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식판(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재(200);와,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식판(10)의 상부를 지지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식판(10)의 상부 지지를 해제하여 상기 식판(10)을 낙하시키는 식판낙하가이드부재(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급식사업은 2000년대 초반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현재는 일반 학교뿐만 아니라 병원, 기숙사, 공장, 후생기관 등 여러 공공시설물에 정착되어 실행되고 있다.
이러한 급식사업의 시장 규모는 효율적인 경제성과 사용 편의성으로 인해 그 규모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식품 및 유통, 외식사업을 시행하는 기업에서는 상기 급식사업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업확장을 통한 경쟁력 확보 및 차별적인 사업계획을 추진하여 시행함으로써, 미래 급식사업의 전문업체로서 입지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존입목적에 부응하게 된다.
상기 급식사업 확장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각 기업들은 급식을 통한 조리인력 확보 및 서비스 마인드 장착, 다양한 메뉴 개발 및 위생문제 등 다양한 사업 아이템을 구상하여 타사보다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현세이다.
특히, 위생문제는 사람의 건강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음식물의 조리시나 공동으로 사용되는 식기류의 위생상태를 수시로 점검하여 안전한 먹거리와 위생적인 장소와 식기류를 제공해야 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적게는 수백, 많게는 수천명의 급식을 담당해야 하는 사업장에서는 인력으로 인한 공급 초과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식기류의 경우에는, 대량의 상기 식기류를 위생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식기류에 붙은 음식물을 제거하도록 1차적으로 초벌 세척하는 애벌세척기와 상기 애벌세척기에서 세척된 상기 식기류를 더 위생적으로 세척하기 위하여 2차적으로 살균, 소독 및 헹굼, 건조기능을 가진 식기세척기를 포함한 전공정 자동 식기세척기를 구비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식기세척을 전 공정을 자동화하여 사용인력의 최소화 및 많은 양의 식기류를 보다 빠르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식기세척기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5855호)”는 상기 투입구와 연통하며 세척 대상 식기를 상기 투입구로 이송하기 위한 식기 투입기를 포함하고, 상기 식기 투 입기는 상기 투입구의 전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작업 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작업 공간에 설치되며 크기가 서로 다른 다종의 식기를 상기 투입구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상호 이격 거리를 유지하며 나란히 설치되는 제 1 이송벨트와 제 2 이송 벨트;와 상기 제 1 이송벨트 및 제 2 이송벨트를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 롤러;와 상기 회 전 롤러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송벨트 및 제 2 이송벨트는 상기 회전 롤러와 접하여 회동하는 내벨트;와 상기 내벨트와 일정한 폭 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외벨트; 및 상기 내벨트와 외벨트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내벨트와 외 벨트 사이의 폭을 유지하며 탄성에 의해 상기 폭이 변형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 공간의 전단에 설치되며 투입되는 식기의 폭 또는 뒤틀림을 측정하기 위한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식기의 폭 또는 뒤틀림과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교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식기의 종류나 크기에 상관없이 다종의 식기를 식기 세척기의 투입구로 자동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는 본체 상에 거치되는 식기가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 2 이송벨트의 회전력을 통해 이동하는 구조로서, 단순한 회전력을 통해 세척 전 식기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식기가 겹쳐져 이동되거나 불규칙하게 놓여진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식판이 파손 또는 손상되거나, 식판이 균일하게 이송되지 못하여 식기에 묻은 음식물, 이물질 등이 깨끗하게 세척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585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된 식판을 1매씩 균일하고 정확하게 이송컨베이어 측으로 투입할 수 있는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는, 수직프레임(110)을 포함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식판(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재(200);와,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식판(10)의 상부를 지지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식판(10)의 상부 지지를 해제하여 상기 식판(10)을 낙하시키는 식판낙하가이드부재(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판낙하가이드부재(300)는, 회전축(400)이 삽입되는 삽입공(311)이 형성되며, 표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표면 일부에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함몰홈(312)이 형성되며, 내측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공간부(313)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13)에 곡면으로 이루어진 승강가이드돌기(314)가 형성되는 회전체(310)와,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형성되는 힌지부재(320)와, 상기 힌지부(320)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313)에 위치되는 고리형상의 몸체부(33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31)의 선단에 상기 회전체(3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와 접촉되는 접촉돌기부(332)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331)의 말단에 식판(10)을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돌기부(333)가 형성되는 서포트부재(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3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서포트부재(330)는, 상기 접촉돌기부(332)가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와 접촉되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접촉돌기부(332)가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로부터 접촉이 해제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판(10)의 상부가 상기 지지돌기부(333)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홈(312)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서포트부재(3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지돌기부(333)의 지지가 해제되어 상기 함몰홈(312)에 의해 최하단의 식판(10a)은 낙하되고, 나머지 적재된 식판(10b)은 상기 회전체(310)의 표면에 지지되며, 상기 서포트부재(330)가 원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지지돌기부(333)가 상기 적재된 식판(10b)의 상부를 다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직프레임(110)을 포함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식판(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5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식판(10)의 하부를 지지하고, 회전에 따라 식판(10)의 하부 지지를 해제하여 식판(10)을 뒤집어 낙하시키는 식판낙하가이드부재(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식판을 1매씩 균일하고 정확하게 이송컨베이어 측으로 투입할 수 있어 식판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고, 식판의 세척 효율성이 증가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의 구성 중 식판낙하가이드부재의 세부 구성의 모습을 보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를 통해 식판이 낙하되는 과정을 보인 실시예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의 모습을 보인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의 모습을 보인 사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1)는 크게, 하우징(100), 하부지지부재(200) 및 식판낙하가이드부재(30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1)가 작동되도록 외부의 전원인가장치, 센서, 모터, 벨트 및 연동되는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요소들을 구성하고 작동되는 원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하우징(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애벌세척기(미도시)의 일측에 위치되는 일종의 틀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1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식판(10)의 이송을 가이드하고, 후술할 식판낙하가이드부재(300)가 작동되도록 모터, 기어, 벨트 등이 구성된다.
다음으로, 하부지지부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부지지부재(20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적재된 식판(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일종의 돌기로서, 곡면으로 이루어져 식판(10)의 상부가 자유단으로 위치되는 경우, 식판(10)이 상기 하부지지부재(200)를 중심으로 낙하되어 이송컨베이어(미도시)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식판낙하가이드부재(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식판낙하가이드부재(300)는 도 2, 도 3,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식판(10)의 상부를 지지하고, 회전에 따라 식판(10)의 상부 지지를 해제하여 식판(10)을 이송컨베이어(미도시) 측으로 낙하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회전체(310), 힌지부재(320) 및 서포트부재(33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310)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형성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400)과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표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체(310)는 삽입공(311), 함몰홈(312), 공간부(313) 및 승강가이드돌기(3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공(311)은 상기 회전체(310)의 측면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회전축(400)이 삽입결합되어 상기 회전축(400)와 함께 상기 회전체(310)가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함몰홈(312)는 상기 회전체(310)의 표면 일부에 내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지지돌기부(333)에 의해 식판(10)의 상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해제되는 상태로 전환될 때 식판(10)의 상부가 자유단이 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식판(10)이 이송컨베이어(미도시) 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간부(313)는 상기 회전체(3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일종의 공간으로서, 후술할 서포트부재(330)가 삽입되고, 다른 구성요소 없이 상기 공간부(313)에는 후술할 승강가이드돌기(314)만이 결합된다.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는 상기 공간부(313)에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접촉돌기부(332)가 접촉되는 경우, 후술할 서포트부재(330)를 들어 올려(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측면 상, 상기 지지돌기부(333)가 상기 회전체(310)의 외주면보다 외측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해 주어 상기 회전체(310)의 위치에 따라 식판(10)의 상부가 상기 회전체(310)의 표면에 접촉되거나 상기 함몰홈(312)에 걸칠 수 있도록 해 주고, 상기 접촉돌기부(332)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서포트부재(330)를 내려(시계방향으로 회전), 측면 상, 상기 지지돌기부(333)가 상기 회전체(310)의 외주면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해 주어 식판(10)의 상부가 상기 지지돌기부(333)에 지지 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기 힌지부재(320)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부재(330)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서포트부재(33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서포트부재(330)는 상기 힌지부재(3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의 접촉유무에 따라 들려지거나 내려져 식판(10)의 상부를 지지하거나 지지 해제하는 구성요소로서, 몸체부(331), 접촉돌기부(332) 및 지지돌기부(333)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331)는 상기 공간부(313)에 위치되는 “C”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재(3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접촉돌기부(332)와 승강가이드돌기(314)의 접촉 유뮤에 따라 상기 힌지부재(32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접촉돌기부(332)는 상기 몸체부(331)의 선단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체(3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와 접촉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와 접촉이 되면, 상기 몸체부(331)를 들어 올려(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상기 지지돌기부(333)를 상기 회전체(31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와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몸체부(331)를 내려(시계방향으로 회전) 상기 지지돌기부(333)를 상기 회전체(3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지지돌기부(333)는 상기 몸체부(331)의 말단에 함몰형성되어 식판(10)의 상부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접촉돌기부(332)가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와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체(310)의 내측방향에 위치하여 식판(10)을 지지하지 않은 상태가 되고, 상기 접촉돌기부(332)가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체(310)의 외측방향에 위치하여 식판(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를 통해 식판이 낙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접촉돌기부(332)와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는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적재된 식판(10)의 상부가 상기 지지돌기부(333)에 지지되어 식판(10)이 낙하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3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식판(10)의 상부가 상기 지지돌기부(333)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3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접촉돌기부(332)와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가 접촉하기 직전일 경우, 식판(10)의 상부는 상기 함몰홈(312) 주변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도 3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회전체(310)가 계속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접촉돌기부(332)가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와 접촉되어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서포트부재(330)가 들어 올려져(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상기 지지돌기부(333)는 상기 회전체(31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적재된 식판(10) 중 최하단의 식판(10a)은 위치상 함몰홈(312)에 위치한 자유단 상태가 되어 낙하되고, 나머지 적재된 식판(10b)은 상기 회전체(310)의 표면에 지지되어 낙하되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회전체(310)가 계속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접촉돌기부(332)가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로부터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서포트부재(330)는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상기 지지돌기부(333)가 다시 상기 회전체(3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적재된 식판(10b)의 상부를 다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 6 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1)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식판낙하가이드부재(300)가 상부위치에서 하부위치로 변경되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식판(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50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상기 식판낙하가이드부재(300)가 식판(1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식판(10)이 낙하시, 식판(10)이 뒤집혀진 상태로 낙하되는 것이 가능해져 애벌세척기, 이송컨베이어의 구조에 따라 식판(10)의 투입 위치 및 방향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
100: 하우징 110: 수직프레임
200: 하부지지부재
300: 식판낙하가이드부재
310: 회전체 311: 삽입공
312: 함몰홈 313: 공간부
314: 승강가이드돌기
320: 힌지부재
330: 서포트부재 331: 몸체부
332: 접촉돌기부 333: 지지돌기부
400: 회전축
500: 상부지지부재

Claims (5)

  1. 경사진 상태로 적재되는 식판(10)을 하나씩 이송컨베이어 측으로 낙하시키는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1)에 있어서,
    수직프레임(110)을 포함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식판(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재(200);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식판(10)의 상부를 지지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식판(10)의 상부 지지를 해제하여 상기 식판(10)을 낙하시키는 식판낙하가이드부재(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판낙하가이드부재(300)는,
    회전축(400)이 삽입되는 삽입공(311)이 형성되며, 표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표면 일부에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함몰홈(312)이 형성되며, 내측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공간부(313)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13)에 곡면으로 이루어진 승강가이드돌기(314)가 형성되는 회전체(310)와,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형성되는 힌지부재(320)와,
    상기 힌지부재(320)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313)에 위치되는 고리형상의 몸체부(33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31)의 선단에 상기 회전체(3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와 접촉되는 접촉돌기부(332)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331)의 말단에 식판(10)을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돌기부(333)가 형성되는 서포트부재(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3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서포트부재(330)는,
    상기 접촉돌기부(332)가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와 접촉되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접촉돌기부(332)가 상기 승강가이드돌기(314)로부터 접촉이 해제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판(10)의 상부가 상기 지지돌기부(333)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홈(312)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서포트부재(3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지돌기부(333)의 지지가 해제되어 상기 함몰홈(312)에 의해 최하단의 식판(10a)은 낙하되고,
    나머지 적재된 식판(10b)은 상기 회전체(310)의 표면에 지지되며,
    상기 서포트부재(330)가 원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지지돌기부(333)가 상기 적재된 식판(10b)의 상부를 다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1).
  5. 경사진 상태로 적재되는 식판(10)을 하나씩 이송컨베이어 측으로 낙하시키는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1)에 있어서,
    수직프레임(110)을 포함하는 하우징(100);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식판(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재(500);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식판(10)의 하부를 지지하고, 회전에 따라 식판(10)의 하부 지지를 해제하여 식판(10)을 뒤집어 낙하시키는 식판낙하가이드부재(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1).
KR1020220178998A 2022-07-22 2022-12-20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 KR202400136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888 2022-07-22
KR20220090888 2022-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636A true KR20240013636A (ko) 2024-01-30

Family

ID=8971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998A KR20240013636A (ko) 2022-07-22 2022-12-20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36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855B1 (ko) 2013-10-17 2015-06-09 동건화학 주식회사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855B1 (ko) 2013-10-17 2015-06-09 동건화학 주식회사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9175B2 (en) Dish washing apparatus and dish drying apparatus
KR20160049676A (ko) 애벌 일체형 식판 전용 세척시스템
US20230089808A1 (en) Handling module for loading a transport device of a conveyor dishwasher
CN112584732B (zh) 清洁系统和用于清洁待清洁物品的方法
KR101458980B1 (ko) 자동 식기 세척장치
KR20240013636A (ko)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
KR101688389B1 (ko) 식판 직립식 식판자동세척기
KR20190017715A (ko) 식기 및 식판의 회전세척시스템
KR102374097B1 (ko) 자동화 식기 세척 시스템
KR20200016462A (ko) 자동세척용 롤러브러시 장치
KR20120083950A (ko) 식판 자동세척기
KR102575040B1 (ko)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
KR101558998B1 (ko) 애벌용 식판 세척장비
KR101999771B1 (ko) 식기세척기용 식기투입기
JP6510865B2 (ja) 容器テーブルを備える容器の脱水装置
KR100994555B1 (ko) 박막형 제품 세정기
KR101134491B1 (ko) 식기세척기의 식기투입장치
KR101525855B1 (ko)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JP2559835Y2 (ja) 積込み装置のラック検出機構
JP2538273Y2 (ja) 食器洗浄機のラック送り出し機構
JPH0341922A (ja) 食器洗浄装置
KR101486856B1 (ko) 식판거치가이드가 구비된 식판 자동 투입기
US11399693B2 (en) Ergonomic intelligent dishwasher
CN214358703U (zh) 一种杀菌盘自动翻转机
JP2009256031A (ja) 食器整理装置及び食器洗浄機並びに食器洗浄整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