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040B1 -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040B1
KR102575040B1 KR1020210122360A KR20210122360A KR102575040B1 KR 102575040 B1 KR102575040 B1 KR 102575040B1 KR 1020210122360 A KR1020210122360 A KR 1020210122360A KR 20210122360 A KR20210122360 A KR 20210122360A KR 102575040 B1 KR102575040 B1 KR 102575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inks
dishwasher
support
links
loa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9269A (ko
Inventor
김창윤
Original Assignee
(주)신진마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진마스타 filed Critical (주)신진마스타
Priority to KR1020210122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0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A47L15/24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the dishes being placed directly on the conveyors, i.e. not in dish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7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 A47L15/248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relating to the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B65G59/062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escapement-lik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 전 다수개의 식기가 적재된 상태에서 최하단부터 식기를 하나씩 이송컨베이어로 낙하시켜 효율적인 식기 세척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Dishwasher automatic plate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식판(50)이 적재되는 적재부(110)과, 상기 적재부(110)의 양쪽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설치부(120, 12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설치부(120, 120`)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적재부(110)에 적재된 최하단의 식판(50`)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여 최하단의 식판(50`)을 상기 이송컨베이어(20)로 낙하시키는 동시에 최하단의 식판(50`) 상에 적재된 식판(50)을 지지하는 식판낙하가이드부(200, 2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식판낙하가이드부(200, 200`)을 작동시키는 구동부(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급식사업은 2000년대 초반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현재는 일반 학교뿐만 아니라 병원, 기숙사, 공장, 후생기관 등 여러 공공시설물에 정착되어 실행되고 있다.
이러한 급식사업의 시장 규모는 효율적인 경제성과 사용 편의성으로 인해 그 규모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식품 및 유통, 외식사업을 시행하는 기업에서는 상기 급식사업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업확장을 통한 경쟁력 확보 및 차별적인 사업계획을 추진하여 시행함으로써, 미래 급식사업의 전문업체로서 입지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존입목적에 부응하게 된다.
상기 급식사업 확장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각 기업들은 급식을 통한 조리인력 확보 및 서비스 마인드 장착, 다양한 메뉴 개발 및 위생문제 등 다양한 사업 아이템을 구상하여 타사보다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현세이다.
특히, 위생문제는 사람의 건강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음식물의 조리시나 공동으로 사용되는 식기류의 위생상태를 수시로 점검하여 안전한 먹거리와 위생적인 장소와 식기류를 제공해야 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적게는 수백, 많게는 수천명의 급식을 담당해야 하는 사업장에서는 인력으로 인한 공급 초과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식기류의 경우에는, 대량의 상기 식기류를 위생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식기류에 붙은 음식물을 제거하도록 1차적으로 초벌 세척하는 애벌세척기와 상기 애벌세척기에서 세척된 상기 식기류를 더 위생적으로 세척하기 위하여 2차적으로 살균, 소독 및 헹굼, 건조기능을 가진 식기세척기를 포함한 전공정 자동 식기세척기를 구비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식기세척을 전 공정을 자동화하여 사용인력의 최소화 및 많은 양의 식기류를 보다 빠르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식기세척기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5855호)”는 상기 투입구와 연통하며 세척 대상 식기를 상기 투입구로 이송하기 위한 식기 투입기를 포함하고, 상기 식기 투 입기는 상기 투입구의 전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작업 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작업 공간에 설치되며 크기가 서로 다른 다종의 식기를 상기 투입구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상호 이격 거리를 유지하며 나란히 설치되는 제 1 이송벨트와 제 2 이송 벨트;와 상기 제 1 이송벨트 및 제 2 이송벨트를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 롤러;와 상기 회 전 롤러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송벨트 및 제 2 이송벨트는 상기 회전 롤러와 접하여 회동하는 내벨트;와 상기 내벨트와 일정한 폭 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외벨트; 및 상기 내벨트와 외벨트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내벨트와 외 벨트 사이의 폭을 유지하며 탄성에 의해 상기 폭이 변형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 공간의 전단에 설치되며 투입되는 식기의 폭 또는 뒤틀림을 측정하기 위한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식기의 폭 또는 뒤틀림과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비교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식기의 종류나 크기에 상관없이 다종의 식기를 식기 세척기의 투입구로 자동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는 본체 상에 거치되는 식기가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 2 이송벨트의 회전력을 통해 이동하는 구조로서, 단순한 회전력을 통해 세척 전 식기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식기가 겹쳐져 이동되거나 불규칙하게 놓여진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식기 세척시, 식기에 묻은 음식물, 이물질 등이 깨끗하게 세척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585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 전 다수개의 식기가 적재된 상태에서 최하단부터 식기를 하나씩 이송컨베이어로 낙하시키는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는, 내측에 식판(50)이 적재되는 적재부(110)과, 상기 적재부(110)의 양쪽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설치부(120, 12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설치부(120, 120`)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적재부(110)에 적재된 최하단의 식판(50`)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여 최하단의 식판(50`)을 상기 이송컨베이어(20)로 낙하시키는 동시에 최하단의 식판(50`) 상에 적재된 식판(50)을 지지하는 식판낙하가이드부(200, 2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식판낙하가이드부(200, 200`)을 작동시키는 구동부(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부(110)의 하부는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110)과 상기 설치부(120, 120`) 사이에 구획플레이트(121, 121`)가 형성되며, 상기 구획플레이트(121, 121`)에는 노출공(122, 122`)이 다수개가 타공형성되어 상기 적재부(110)과 연통되고, 상기 설치부(120, 120`)의 내측에는 축회전되되, 일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메인샤프트(123, 123`)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의 노출된 부분에 결합되는 회전링크(124, 1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판낙하가이드부(200, 200`)은,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와 함께 회전하는 기어링크(210, 210`)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상부측에 상기 기어링크(210, 210`)와 치합되어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이동하는 제1 지지부재(220, 22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하부측에 상기 기어링크(210, 210`)와 치합되어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재(220, 220`)와 반대로 전진 또는 후진이동하는 제2 지지부재(230, 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220, 220`)는, 상기 기어링크(210, 210`)와 맞물리는 제1 렉기어(221, 221`)가 형성되고, 일측 선단에 돌출형성되되, 소정의 경사로 이루어진 경사지지턱(222, 222`)이 형성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노출공(122, 122`)을 통과하며, 상기 제2 지지부재(230, 230`)는, 하부에 상기 기어링크(210, 210`)와 맞물리는 제2 렉기어(231, 231`)가 형성되고, 일측에 그 상부가 평면으로 이루어진 지지블럭(232, 232`)이 형성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노출공(122, 122`)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모터(310)가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110)의 외측에 상기 모터(310)의 기어부(311)와 체인(320)으로 연결되는 구동롤러(330)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롤러(330)의 상부측 상기 적재부(110)의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레일(34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40)에 연결되는 이동블럭(350)이 형성되며, 선단은 상기 이동블럭(350)에 힌지연결되고, 말단은 상기 구동롤러(330)에 각각 힌지연결되어 상기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상,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메인축부재(360)가 형성되고, 선단은 상기 메인축부재(360)에 각각 힌지연결되고, 말단은 상기 회전링크(124, 124`)에 각각 힌지연결되어 상기 메인축부재(360)의 상, 하방향 이동에 따라 각각의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를 회전시키는 가이드축부재(370, 37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적재부(110)의 외측에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스프라켓(21)과 체인(320)으로 연결되는 메인스프라켓(330`)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스프라켓(330`)의 표면에는 상기 메인스프라켓(330`)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d1)되는 위치에 제1 편심축(33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링크(124)의 표면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링크(124)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편심(d1)과 동일한 수평거리(d2)에 제2 편심축(124a)이 위치되고, 다른 상기 회전링크(124`)의 표면의 상측에 형성되되, 다른 상기 회전링크(124`)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편심(d1)과 동일한 수평거리(d3)에 제3 편심축(124b)이 위치되며,, 선단은 상기 제1 편심축(331`)에 각각 힌지연결되고, 말단은 상기 제2 편심축(124a) 및 상기 제3 편심축(124b)에 각각 힌지연결되어 상기 메인스프라켓(330`)의 회전운동에 따라 각각의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를 회전시키는 가이드축부재(370`, 37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2 지지부재의 유동적인 작동을 통해 세척 전 다수개의 식기가 적재된 상태에서 최하단부터 식기를 하나씩 이송컨베이어로 낙하시켜 효율적인 식기 세척이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의 전체 모습을 보인 내부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의 작동되는 과정을 보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의 내부 모습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의 구성 중 제1, 2 지지부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의 측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의 전체 모습을 보인 내부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의 작동되는 과정을 보인 실시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1)는 크게, 하우징(100), 식판낙하가이드부(200) 및 구동부(300)로 이루어진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1)가 작동되도록 외부의 전원인가장치, 센서, 모터, 벨트 및 연동되는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진 것으로서, 상기 구동요소들을 구성하고 작동되는 원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일부는 동일한 구조 또는 동일한 작동을 하는 구성요소들(기어링크(210, 210`), 제1 지지부재(220, 220`), 가이드축부재(370, 370`) 등)이 대칭구조로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중복 설명을 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하우징(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 1, 도 2 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식기세척기(10)의 일측 상부에 위치되는 일종의 틀로서, 적재부(110) 및 설치부(120, 120`)로 구성된다.
상기 적재부(11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적재부(110)에는 다수개의 식판(50)이 적재된 상태로 위치된다.
한편, 상기 적재부(110)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식판(50)이 2개의 구역에서 적재될 수 있도록 2분할로 구획될 수도 있다.
상기 설치부(120, 120`)는 상기 적재부(110)의 양쪽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적재부(110)의 하부는 개구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적재부(110)과 상기 설치부(120, 120`) 사이에는 구획플레이트(121, 1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적재부(110)과 상기 설치부(120, 120`)의 공간분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구획플레이트(121, 121`)에는 노출공(122, 122`)이 다수개가 타공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노출공(122, 122`)은 상기 적재부(110)과 연통되어 후술할 경사지지턱(222, 222`) 또는 지지블럭(232, 232`)이 작동에 따라 상기 노출공(122, 122`)을 통과하여 상기 적재부(110)에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설치부(120, 120`)의 내측에는 축회전되는 메인샤프트(123, 123`)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는 후술할 가이드축부재(370, 370`)의 작동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의 선단 또는 말단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노출된 부분에는 회전링크(124, 124`)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링크(124, 124`)와 힌지결합되는 가이드축부재(370, 370`)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다음으로, 식판낙하가이드부(200, 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식판낙하가이드부(200, 200`)는 도 2, 도 6 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설치부(120, 120`)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노출공(122, 122`)을 통해 상기 적재부(110)에 적재된 최하단의 식판(50`)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여 최하단의 식판(50`)을 상기 이송컨베이어(20)로 낙하시키는 동시에 최하단의 식판(50`) 상에 적재된 식판(5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기어링크(210, 210`), 제1 지지부재(220, 200`) 및 제2 지지부재(230, 230`)로 구성된다.
상기 기어링크(210, 210`)는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와 함께 회전하고, 후술할 제1 렉기어(221, 221`)와 제2 렉기어(231, 231`)가 각각 치합되어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의 회전방향에 따라 후술할 제1 지지부재(220, 220`)를 전진시킴과 동시에 후술할 제2 지지부재(230, 230`)를 후진시키거나 상기 제1 지지부재(220, 220`)를 후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 지지부재(230, 230`)를 전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지지부재(220, 220`)는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상부측에 상기 기어링크(210, 210`)와 치합되어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재(230, 230`)와는 반대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이동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렉기어(221, 221`)과 경사지지턱(222, 2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렉기어(221, 221`)은 상기 기어링크(210, 210`)와 맞물려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경사지지턱(222, 222`)이 전진하거나 후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경사지지턱(222, 222`)은 상기 제1 지지부재(220, 220`)의 일측 선단에 소정의 경사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로서, 상기 경사지지턱(222, 222`)은 상기 노출공(122, 122`)을 통과하여 최하단의 식판(50`)의 저면을 지지하고, 또는 상기 지지블럭(232, 232`)이 최하단의 식판(50`)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노출공(122, 122`)을 통과하여 최하단의 식판(50`) 상의 식판(50)의 측면으로 진입한 후 식판(50)의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지지부재(230, 230`)는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하부측에 상기 기어링크(210, 210`)와 치합되어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재(220, 220`)와 반대로 전진 또는 후진이동하는 구성요소로서, 제2 렉기어(231, 231`)과 지지블럭(232, 2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렉기어(231, 231`)은 상기 제1 렉기어(221, 221`)와 마찬가지로 상기 기어링크(210, 210`)와 맞물려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블럭(232, 232`)이 전진하거나 후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지지블럭(232, 232`)은 상기 제2 지지부재(230, 230`)의 일측에 그 상부가 평면으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로서, 상기 지지블럭(232, 232`)은 상기 경사지지턱(222, 222`)이 후진한 상태에서 상기 노출공(122, 122`)을 통과하여 식판(50`)의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구동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300)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식판낙하가이드부(200, 200`)을 작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모터(310), 구동롤러(330), 가이드레일(340), 이동블럭(350), 메인축부재(360), 가이드축부재(370, 3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31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구동롤러(330)는 상기 적재부(110)의 외측에 상기 모터(310)와 체인(320)으로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모터(310)의 구동력으로 인해 회전하고, 회전력을 통해 후술할 메인축부재(360)를 상,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340)은 상기 구동롤러(330)의 상부측 위치의 상기 적재부(110)의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일종의 레일로서, 후술할 이동블럭(350)이 결합되어 상기 이동블럭(35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블럭(350)은 상기 가이드레일(34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축부재(360)의 선단과 힌지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메인축부재(36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축부재(360)는 선단은 상기 이동블럭(350)에 힌지연결되고, 말단은 상기 구동롤러(330)에 각각 힌지연결되어 상기 구동롤러(330)의 회전력에 의해 상,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메인축부재(360)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 이동에 따라 후술할 가이드축부재(370, 370`)를 당기거나 미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축부재(370, 370`)는 선단은 상기 메인축부재(360)에 힌지연결되고, 말단은 상기 회전링크(124, 124`)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메인축부재(360)의 상, 하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가이드축부재(370, 370`)의 작동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의 회전방향이 결정되고,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기어링크(210, 2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기어링크(210, 210`)와 연결된 상기 제1 지지부재(220, 220`)와 상기 제2 지지부재(230, 230`)의 상기 경사지지턱(222, 222`)와 상기 지지블럭(232, 232`)이 서로 엇갈리게 상기 노출공(122, 122`)을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300)의 다른 일실시예로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메인스프라켓(330`), 제1, 2, 3 편심축(331`, 124a, 124b) 및 가이드축부재(370a, 370b)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스프라켓(330`)은 상기 적재부(110)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기어로서,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스프라켓(21)과 체인(320`)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메인스프라켓(330`)의 표면에는 도 10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스프라켓(330`)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편심(d1) 위치에 제1 편심축(331`)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제1 편심축(331`)에는 후술할 각각의 가이드축부재(370a, 370b)가 서로 반대방향(하나는 우측, 다른 하나는 좌측)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2 편심축(124a)은 상기 회전링크(124)의 표면의 하측부분에 돌출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도 11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링크(124)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편심(d1)과 동일한 수평거리(d2)의 오른쪽 하측 대각선 부분에 형성되어 왼쪽에 위치되는 상기 가이드축부재(370a)의 말단과 힌지연결됨으로써, 상기 메인스프라켓(3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축부재(370a)에 의해 상기 회전링크(124)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호(弧)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3 편심축(124b)은 상기 회전링크(124)의 반대쪽에 구비되는 다른 상기 회전링크(124`)의 표면의 상측부분에 돌출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도 11을 기준으로, 다른 상기 회전링크(124`)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편심(d1)과 동일한 수평거리(d3)의 오른쪽 상측 대각선 부분에 형성되어 오른쪽에 위치되는 상기 가이드축부재(370b)의 말단과 힌지연결됨으로써, 상기 메인스프라켓(3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축부재(370b)에 의해 다른 상기 회전링크(124`)가 상기 회전링크(124)와 반대방향으로 호(弧)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가이드축부재(370a, 370b)는 선단은 상기 제1 편심축(331`)에 각각 힌지연결되고, 말단은 상기 제2 편심축(124a) 및 상기 제3 편심축(124b)에 각각 힌지연결되어 상기 메인스프라켓(330`)의 회전운동에 따라 각각의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가이드축부재(370a, 370b)의 작동 및 기능은 앞서 서술한 상기 가이드축부재(370, 370`)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의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메인축부재(350)가 상부측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노출공(122, 122`)을 통과한 상기 경사지지턱(222, 222`)은 최하단의 식판(50`)의 저면 지지한 상태를 이룬다.
이후,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330)가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되면, 회전력에 의해 상기 메인축부재(360)가 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축부재(370, 370`)가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축부재(370, 370`)와 연결된 상기 회전링크(124, 1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링크(124, 1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 및 상기 기어링크(210, 210`)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상부에 맞물려 있는 상기 제1 렉기어(221, 221`)에 의해 상기 경사지지턱(222, 222`)은 상기 노출공(122, 122`)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하부에 맞물려 있는 상기 제2 렉기어(231, 231`)에 의해 상기 지지블럭(232, 232`)는 상기 노출공(122, 122`)을 통과하여 최하단의 식판(5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330)가 시계방향으로 한바퀴를 회전하게 되면, 회전력에 의해 상기 메인축부재(360)가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축부재(370, 370`)가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축부재(370, 370`)와 연결된 상기 회전링크(124, 1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링크(124, 1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 및 상기 기어링크(210, 210`)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하부에 맞물려 있는 상기 제2 렉기어(231, 231`)에 의해 상기 지지블럭(232, 232`)는 상기 노출공(122, 122`)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최하단의 식판(50`)은 이송컨베이어(20)로 낙하하게 되고,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상부에 맞물려 있는 상기 제1 렉기어(221, 221`)에 의해 상기 경사지지턱(222, 222`)은 상기 노출공(122, 122`)을 통과하여 최하단의 식판(50`) 상의 식판(50)의 측면으로 진입한 후 식판(5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의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메인축부재(350)가 상부측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노출공(122, 122`)을 통과한 상기 경사지지턱(222, 222`)은 최하단의 식판(50`)의 저면 지지한 상태를 이룬다.
이후,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330)가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되면, 회전력에 의해 상기 메인축부재(360)가 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축부재(370, 370`)가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축부재(370, 370`)와 연결된 상기 회전링크(124, 1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링크(124, 1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 및 상기 기어링크(210, 210`)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상부에 맞물려 있는 상기 제1 렉기어(221, 221`)에 의해 상기 경사지지턱(222, 222`)은 상기 노출공(122, 122`)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하부에 맞물려 있는 상기 제2 렉기어(231, 231`)에 의해 상기 지지블럭(232, 232`)는 상기 노출공(122, 122`)을 통과하여 최하단의 식판(5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330)가 시계방향으로 한바퀴를 회전하게 되면, 회전력에 의해 상기 메인축부재(360)가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축부재(370, 370`)가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축부재(370, 370`)와 연결된 상기 회전링크(124, 1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링크(124, 1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 및 상기 기어링크(210, 210`)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하부에 맞물려 있는 상기 제2 렉기어(231, 231`)에 의해 상기 지지블럭(232, 232`)는 상기 노출공(122, 122`)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최하단의 식판(50`)은 이송컨베이어(20)로 낙하하게 되고,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상부에 맞물려 있는 상기 제1 렉기어(221, 221`)에 의해 상기 경사지지턱(222, 222`)은 상기 노출공(122, 122`)을 통과하여 최하단의 식판(50`) 상의 식판(50)의 측면으로 진입한 후 식판(5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
10: 식기세척기 20: 이송컨베이어
21: 스프라켓
30: 세척솔 40: 분사노즐
50, 50`: 식판
100: 하우징
110: 적재부 120, 120`: 설치부
121, 121`: 구획플레이트 122, 122`: 노출공
123, 123`: 메인샤프트 124, 124`: 회전링크
200, 200`: 식판낙하가이드부
210, 210`: 기어링크 220, 220`: 제1 지지부재
221, 221`: 제1 렉기어 222, 222`: 경사지지턱
230, 230`: 제2 지지부재 231, 231`: 제2 렉기어
232, 232`: 지지블럭
300: 구동부
310: 모터 320: 체인
330: 구동롤러 340: 가이드레일
350: 이동블럭 360: 메인축부재
370, 370`: 가이드축부재
124a: 제2 편심축 124b: 제3 편심축
320`: 체인 330`: 메인스프라켓
331`: 제1 편심축 370a, 370b: 가이드축부재

Claims (6)

  1. 삭제
  2. 식기세척기(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어 적재된 식판(50)을 하나씩 상기 식기세척기(10)의 이송컨베이어(20)로 낙하시키는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1)에 있어서,
    내측에 식판(50)이 적재되는 적재부(110)과, 상기 적재부(110)의 양쪽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설치부(120, 12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설치부(120, 120`)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적재부(110)에 적재된 최하단의 식판(50`)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여 최하단의 식판(50`)을 상기 이송컨베이어(20)로 낙하시키는 동시에 최하단의 식판(50`) 상에 적재된 식판(50)을 지지하는 식판낙하가이드부(200, 2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식판낙하가이드부(200, 200`)을 작동시키는 구동부(300);로 구성되며,
    상기 적재부(110)의 하부는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110)과 상기 설치부(120, 120`) 사이에 구획플레이트(121, 121`)가 형성되며,
    상기 구획플레이트(121, 121`)에는 노출공(122, 122`)이 다수개가 타공형성되어 상기 적재부(110)과 연통되고,
    상기 설치부(120, 120`)의 내측에는 축회전되되, 일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메인샤프트(123, 123`)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의 노출된 부분에 결합되는 회전링크(124, 124`)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모터(310)가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110)의 외측에 상기 모터(310)의 기어부(311)와 체인(320)으로 연결되는 구동롤러(330)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롤러(330)의 상부측 상기 적재부(110)의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레일(34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40)에 연결되는 이동블럭(350)이 형성되며,
    선단은 상기 이동블럭(350)에 힌지연결되고, 말단은 상기 구동롤러(330)에 각각 힌지연결되어 상기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상,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메인축부재(360)가 형성되고,
    선단은 상기 메인축부재(360)에 각각 힌지연결되고, 말단은 상기 회전링크(124, 124`)에 각각 힌지연결되어 상기 메인축부재(360)의 상, 하방향 이동에 따라 각각의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를 회전시키는 가이드축부재(370, 37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판낙하가이드부(200, 200`)은,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샤프트(123, 123`)와 함께 회전하는 기어링크(210, 210`)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상부측에 상기 기어링크(210, 210`)와 치합되어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이동하는 제1 지지부재(220, 22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하부측에 상기 기어링크(210, 210`)와 치합되어 상기 기어링크(210, 2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재(220, 220`)와 반대로 전진 또는 후진이동하는 제2 지지부재(230, 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220, 220`)는,
    상기 기어링크(210, 210`)와 맞물리는 제1 렉기어(221, 221`)가 형성되고,
    일측 선단에 돌출형성되되, 소정의 경사로 이루어진 경사지지턱(222, 222`)이 형성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노출공(122, 122`)을 통과하며,
    상기 제2 지지부재(230, 230`)는,
    하부에 상기 기어링크(210, 210`)와 맞물리는 제2 렉기어(231, 231`)가 형성되고,
    일측에 그 상부가 평면으로 이루어진 지지블럭(232, 232`)이 형성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노출공(122, 122`)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1).
  5. 삭제
  6. 삭제
KR1020210122360A 2021-09-14 2021-09-14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 KR102575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360A KR102575040B1 (ko) 2021-09-14 2021-09-14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360A KR102575040B1 (ko) 2021-09-14 2021-09-14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269A KR20230039269A (ko) 2023-03-21
KR102575040B1 true KR102575040B1 (ko) 2023-09-06

Family

ID=8580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360A KR102575040B1 (ko) 2021-09-14 2021-09-14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0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077B1 (ko) 2019-10-23 2020-05-26 주식회사아풍오닉스 식판 자동 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494A (ko) * 2011-08-17 2013-02-27 성기수 식판 자동 공급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식판 자동 세척 시스템
KR101525855B1 (ko) 2013-10-17 2015-06-09 동건화학 주식회사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077B1 (ko) 2019-10-23 2020-05-26 주식회사아풍오닉스 식판 자동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269A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20726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assifying,washing,sanitizing,and drying soiled dish and holloware items
US11819175B2 (en) Dish washing apparatus and dish drying apparatus
US5329952A (en) Apparatus for washing dishes
KR101361221B1 (ko) 식기세척기의 식판 이송장치
KR20190017715A (ko) 식기 및 식판의 회전세척시스템
US20230089808A1 (en) Handling module for loading a transport device of a conveyor dishwasher
JP7194808B2 (ja) 被洗浄物を洗浄するための洗浄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60049676A (ko) 애벌 일체형 식판 전용 세척시스템
KR102575040B1 (ko) 식기세척기의 식판자동투입장치
KR101688389B1 (ko) 식판 직립식 식판자동세척기
KR101940772B1 (ko) 식판 자동 투입장치
KR20180076484A (ko) 식판용 식기 세척기
CN113208405B (zh) 一种用于全自动炒菜机的接菜架
KR101999771B1 (ko) 식기세척기용 식기투입기
KR101065616B1 (ko) 식판 세척기
US5564882A (en) Device for conveying and turning trays loaded with utensils
CN209996232U (zh) 容器餐具清洗设备
KR102636302B1 (ko) 자동화 식기 세척 시스템
JPH0341922A (ja) 食器洗浄装置
KR101558998B1 (ko) 애벌용 식판 세척장비
KR20240013636A (ko) 애벌세척기의 식판자동 투입장치
KR19990008617U (ko) 식반기의 자동세척장치
KR100994555B1 (ko) 박막형 제품 세정기
KR200471301Y1 (ko) 애벌세척기의 식판이송구조
KR102259823B1 (ko) 자동화 식기 세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