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193B1 -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 - Google Patents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193B1
KR101487193B1 KR20130093007A KR20130093007A KR101487193B1 KR 101487193 B1 KR101487193 B1 KR 101487193B1 KR 20130093007 A KR20130093007 A KR 20130093007A KR 20130093007 A KR20130093007 A KR 20130093007A KR 101487193 B1 KR101487193 B1 KR 101487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nveyor
sensor sensing
sprock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진
정충호
Original Assignee
(주)신진마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진마스타 filed Critical (주)신진마스타
Priority to KR20130093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7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 A47L15/248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relating to the conveyo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일단에서 상방향으로 타단까지 경사지게 형성는 제1 컨베이어(200);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의 상단측에 구비되는 제1 센서(260);와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식판토출가이드(600);와 상기 식기세척기(20) 내부에 구성된 제2 컨베이어(700)의 선단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제3 스프로킷(710)의 일측면과 연계되는 제2 센서감지부재(730);와 상기 식기세척기(20)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센서감지부재(730)의 외주연과 상응하여 구비되는 제2 센서(740);와 상기 제1 센서(260)와 제2 센서(740)의 감지한 신호를 전달받아 제1 모터(500)의 출력을 제어하는 주제어장치(90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에 의하면, 학교 또는 후생기관에 구비된 기존의 식기세척기에 애벌세척기를 더 설치하여 상기 애벌세척기와 식기세척기에 각각 구성되는 컨베이어의 구동 속도를 동일하게 호환하여 일체형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식판의 세척 전 공정을 자동화하여 상기 식판을 더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The Tuning control unit equipped with Dish-washing equipment}
본 발명은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는 애벌세척기(10)의 컨베이어와 식기세척기(20)의 컨베이어가 상호 연계되어 구동되는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1)에 있어서,
상기 애벌세척기(10) 내부에 인입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식판(30)이 인입되도록 식판인입부(11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일단에서 상방향으로 타단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단면에 평면으로 형성되는 식판가압부(211)와 상기 식판가압부(211)에 연장되어 평면으로 형성되는 식판거치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밀대부재(210)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말단측 상단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식판지지대(2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래킹부재(220)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선단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스프로킷(230)과 말단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제2 스프로킷(24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스프로킷(230)의 일측면과 연계되는 제1 센서감지부재(25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1 컨베이어(200);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의 상단측에 구비되는 제1 센서(260);와 상기 제1 컨베이어(200)의 상측에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상단세척솔(300);과 상기 제1 컨베이어(200)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상단세척솔(300)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하단세척솔(400);과 상기 제1 스프로킷(230)과 연결되는 제1 모터(500);와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타단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일단에서 평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식판토출평면부(610)를 포함하는 식판토출가이드(600);와 상기 식기세척기(20) 내부에 구성된 제2 컨베이어(700)의 선단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제3 스프로킷(710)의 일측면과 연계되는 제2 센서감지부재(730);와 상기 제3 스프로킷(710)과 연결되는 제2 모터(800);와 상기 식기세척기(20)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센서감지부재(730)의 외주연과 상응하여 구비되는 제2 센서(740);와 상기 제1 센서(260)와 제2 센서(740)의 감지한 신호를 전달받아 제1 모터(500)의 출력을 제어하는 주제어장치(9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체급식을 시행하고 있는 학교 또는 후생기관 등의 공공시설물의 식당에는 인력 절약 및 편의성을 증대하고자 사용된 식판을 기계적으로 자동 세척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기 특허문헌 1의 “식판 세척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1283호)는 일측에 식판투입구와 타측에 식판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세척실과 헹굼실 및 건조실이 각각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식판 배출구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하우징 하부에 형성된 배수통으로 구성되는 식판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의 일면과 연계되어 배수통 내부의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세척수공급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공급펌프와 연결되는 제1 연결관이 세척실의 하부에 설치된 분배관에 연결되며, 상기 분배관 일면에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1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배출구 단부에 일단면이 연접되어 링타입의 클램프에 의해 실링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수평형의 제1 세척수분사암이 구비되고, 상기 분배관 상부의 일면에 분배관 내부와 연통되어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관의 상부 일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된 제2 배출구 단부에 일단면이 연접되어 링타입의 클램프에 의해 실링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수평형의 제2 세척수분사암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상기 식판을 세척, 헹굼 및 건조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며,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쉽게 변경, 조립하여 수직이나 수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식판을 상황에 맞게 인입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된 상기 식판에 큰 이물질이나 잔음식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상기 식판의 애벌 세척을 할 수 있는 기능이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식판을 인력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일일이 애벌 세척 작업을 함으로써 발생되는 시간적, 편의적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 2의 “식판 애벌세척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6140호)는 식판이 유입되는 입구 및 그 시판이 유출되는 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식판이 올려지는 것으로서 상기 식판이 입구로 이송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가 설치된 입구테이블과 상기 출구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출구를 빠져나오는 식판이 올려지는 출구테이블과 상기 입구와 출구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식판이 올려지며, 동일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다수의 구동롤러를 가지는 롤러구동컨베이어와 상기 롤러구동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앙상부브러쉬와 상기 롤러구동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중앙상부브러쉬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하부브러쉬 및 후방하부브러쉬와 상기 구동롤러컨베이어의 상부에서 상기 중앙상부브러쉬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식판을 상기 롤러구동컨베이어의 구동롤러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전, 후방 가압롤러유니트와 상기 다수의 구동롤러가 상기 식판이 상기 출구측으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그 구동롤러들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중앙상부브러쉬, 전방하부브러쉬 및 후방하부브러쉬를 함께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중앙상부브러쉬 및 전방하부브러쉬, 후방하부브러쉬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브러쉬풀리에 결합되는 제1 결합축과 상기 제1 결합축의 맞은편의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축과 상기 중앙상부브러쉬 및 전방하부브러쉬, 후방하부브러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결합축과 제2 결합축에 각각 결합되는 브러쉬축부와 상기 케이스에 착탈되어 애벌세척 중 상기 식판에서 분리되는 음식물찌꺼기를 거르는 거름판과 상기 롤러구동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상기 식판의 상부 및 하부로 애벌세척용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된 상기 식판의 애벌 세척은 가능해 졌으나, 상기 식판을 다시 인력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일일이 상기 식기세척기의 식판투입구로 인입해야 한다는 사용 편의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각 다른 제조업체를 통해 만들어진 상기 식판 애벌세척기와 식판세척기를 같이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 상기 식판 애벌세척기와 식판 세척기에 각각 구성되는 컨베이어의 구동 속도가 동일하지 않아 상기 식판이 상기 식판 애벌세척기의 출구테이블에서 상기 식판 세척기의 식판투입구로 정확히 인입되어 상기 식판의 세척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대단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1283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614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학교 또는 후생기관에 구비된 기존의 식기세척기에 애벌세척기를 더 설치하여 상기 애벌세척기와 식기세척기에 각각 구성되는 컨베이어의 구동 속도를 동일하게 호환하여 일체형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식판의 세척 전 공정을 자동화하여 상기 식판을 더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는 애벌세척기(10)의 컨베이어와 식기세척기(20)의 컨베이어가 상호 연계되어 구동되는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1)에 있어서,
상기 애벌세척기(10) 내부에 인입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식판(30)이 인입되도록 식판인입부(11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일단에서 상방향으로 타단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단면에 평면으로 형성되는 식판가압부(211)와 상기 식판가압부(211)에 연장되어 평면으로 형성되는 식판거치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밀대부재(210)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말단측 상단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식판지지대(2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래킹부재(220)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선단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스프로킷(230)과 말단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제2 스프로킷(24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스프로킷(230)의 일측면과 연계되는 제1 센서감지부재(25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1 컨베이어(200);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의 상단측에 구비되는 제1 센서(260);와 상기 제1 컨베이어(200)의 상측에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상단세척솔(300);과 상기 제1 컨베이어(200)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상단세척솔(300)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하단세척솔(400);과 상기 제1 스프로킷(230)과 연결되는 제1 모터(500);와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타단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일단에서 평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식판토출평면부(610)를 포함하는 식판토출가이드(600);와 상기 식기세척기(20) 내부에 구성된 제2 컨베이어(700)의 선단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제3 스프로킷(710)의 일측면과 연계되는 제2 센서감지부재(730);와 상기 제3 스프로킷(710)과 연결되는 제2 모터(800);와 상기 식기세척기(20)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센서감지부재(730)의 외주연과 상응하여 구비되는 제2 센서(740);와 상기 제1 센서(260)와 제2 센서(740)의 감지한 신호를 전달받아 제1 모터(500)의 출력을 제어하는 주제어장치(9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 외주연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센서감지영역부(251);와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의 측면에 타공되어 형성되는 제1 연결공(252)과 제2 연결공(253);과 상기 제2 센서감지부재(730)에 구비되되, 상기 제2 센서감지부재(730) 외주연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와 상기 제2 센서감지부재(730)의 측면에 타공되어 형성되는 제3 연결공(732)과 제4 연결공(733);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는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의 중심점이 상기 제1 스프로킷(230)의 중심점과 평면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센서감지부재(730)는 상기 제2 센서감지부재(730)의 중심점이 상기 제3 스프로킷(710)의 중심점과 평면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는 상기 제3 스프로킷(710)의 중심점으로부터 수직선상 상기 제2 컨베이어(700)와 만나는 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3 스프로킷(710)이 한바퀴 회전하는 동안 이동되는 패그(75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학교 또는 후생기관에 구비된 기존의 식기세척기에 애벌세척기를 더 설치하여 상기 애벌세척기와 식기세척기에 각각 구성되는 컨베이어의 구동 속도를 동일하게 호환하여 일체형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식판의 세척 전 공정을 자동화하여 상기 식판을 더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의 구성 중 제1 컨베이어의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의 구성 중 밀대부재가 구동되는 모습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의 구성 중 제1 센서감지부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의 구성 중 제2 센서감지부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의 작동되는 모습을 보인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의 구성 중 제1 센서감지부재와 제2 센서감지부재의 센서가 감지되는 부분(A, B)과 센서가 감지되지 않는 부분(C, D)의 범위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는 크게, 하우징(100)과 제1 컨베이어(200), 상단세척솔(300), 하단세척솔(400), 식판토출가이드(600), 제2 센서감지영역부(730), 제2 센서(740) 및 주제어장치(90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하우징(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측에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설치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면에는 식판(30)이 인입되어 애벌 세척 공정을 이룰 수 있도록 식판인입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식판인입부(110)의 후면에는 세척 될 상기 식판(30)을 거치시킬 수 있는 평면 형상의 식판수납부(120)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애벌 세척 공정이 마무리되는 상기 식판(30)이 자연스럽게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배출되도록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면에는 식판토출부(1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컨베이어(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컨베이어(200)는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일단에서 상방향으로 타단까지 수평면으로부터 7°∼ 8°사이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200)에 거치된 상기 식판(30)이 후술할 상단세척솔(300)과 하단세척솔(400)에 의해 세척되도록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컨베이어(200)는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밀대부재(210), 래킹부재(220), 제1 스프로킷(230), 제2 스프로킷(240), 제1 센서감지부재(250), 제1 센서(260)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밀대부재(2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밀대부재(21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컨베이어(200) 내측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밀대부재(210) 2개를 하나의 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각의 상기 밀대부재(210)의 위치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식판(30)을 상기 제1 컨베이어(200) 상면에 올려놓았을 때, 상기 식판(30) 저면의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대응하는 타측면에 상응하는 상기 제1 컨베이어(200)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식판(30)이 애벌 세척 공정을 마무리한 후, 상기 식판토출부(130)로 배출되어 후술할 식판토출가이드(600)의 경사면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식판(30)이 편심없이 상기 식판토출가이드(600)의 경사면과 평면상 일치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밀대부재(210)의 상단면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식판(30)의 저면과 맞닿도록 형성된 식판가압부(211)와 식판거치부(212)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판가압부(211)는 상기 밀대부재(210)의 말단측 상단면에 평면으로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식판(30)이 애벌 세척 공정을 마무리하고 상기 식판토출부(130)로 배출되어 상기 식판토출가이드(600)로 이동되어 질 때, 상기 식판가압부(211)와 맞닿아 있는 상기 식판(30)의 말단측 저면부를 들어올려 밀어줌으로써, 일반 래킹(미도시)이 상기 식판(30)을 밀기만 하였을 때보다, 일정하고 빠르게 인입 각도(α)를 형성하여, 식기세척기(2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패그(750) 사이에 외부로의 이탈없이 대단히 정확하게 인입되어 다음 세척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식판거치부(212)는 상기 식판가압부(211)에 연장되어 평면으로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식판(30)과 맞닿아 상기 식판토출부(130)와 식판토출가이드(600)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래킹부재(2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래킹부재(22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말단측 상단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식판지지대(2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베이어(200) 내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200)에 거치된 식판(30)이 애벌 세척 공정으로 인하여 전, 후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게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스프로킷(2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스프로킷(230)은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200) 내부의 선단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200)가 구동되도록 제1 모터(500)와 연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 스프로킷(2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스프로킷(240)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200) 내부의 말단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200)가 원활히 구동되도록 상기 제1 스프로킷(230)을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센서감지부재(2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는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의 중심점이 상기 제1 스프로킷(230)의 중심점과 평면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20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제1 스프로킷(230) 중 한 곳의 일측면과 연계되어 상기 제1 모터(500)가 구동되었을 때, 상기 제1 스프로킷(230)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의 외주연에 연장되어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센서감지영역부(25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센서감지영역부(251)는 상기 제1 모터(500)의 분당회전수 또는 상기 제1 스프로킷(230)의 형상 등에 따라 그 외주연의 길이가 변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의 측면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연결공(252) 및 제2 연결공(253)을 타공하여, 상기 제1 스프로킷(230) 또는 기어(미도시) 등의 연결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센서(2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센서(260)는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의 상단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센서감지영역부(251)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센서감지영역부(251)와 제1 센서(260)의 감지거리의 범위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단세척솔(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단세척솔(300)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200)의 상측에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단세척솔(300)은 다양한 두께를 가진 다른 식판(미도시)이 상기 제1 컨베이어(200)에 거치 되더라도, 상기 다른 식판(미도시)의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상단세척솔(300)을 상, 하로 수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하단세척솔(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단세척솔(400)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2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상단세척솔(300)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세척솔(400) 또한, 상기 상단세척솔(300)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두께를 가진 다른 식판(미도시)이 상기 제1 컨베이어(200)에 거치 되더라도, 상기 다른 식판(미도시)의 두께를 고려하여 하단세척솔(400)을 상, 하로 수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식판토출가이드(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식판토출가이드(500)는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식판토출부(130)에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타단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식판(30)을 상기 식기세척기(20)에 구성된 제2 컨베이어(70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식판토출가이드(600)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식판토출가이드(600) 일단에서 연장된 평면부로 형성되는 식판토출평면부(610)이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식판(30)이 상기 제1 컨베이어(200)를 떠나 상기 식판토출부(130)를 통해 상기 식기세척기(20) 방향으로 이동될 때, 토출되는 상기 식판(30)을 가이드 해 줄 뿐만 아니라, 상기 밀대부재(210)에 의해 상기 식판(30)의 말단측 저면부를 들어 올려질 때, 상기 식판(30)의 선단측 저면부가 상기 식판토출평면부(510)에 접촉, 지지되어 보다 원활하게 상기 식판토출가이드(600)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식판(30)을 토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제2 센서감지부(7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센서감지부(73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식기세척기(20) 내부에 구성된 제2 컨베이(700) 내부의 선단 양측에 형성되는 제3 스프로킷(710) 중 한 곳의 일측면과 연계되어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2 모터(800)가 구동되었을 때, 상기 제3 스프로킷(710)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센서감지부(730)는 상기 제2 센서감지부재(730)의 중심점과 상기 제2 스프로킷(710)의 중심점이 평면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센서감지부재(730)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2 센서감지부재(730)의 외주연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3 스프로킷(710)의 중심점으로부터 수직선상 상기 제2 컨베이어(700)와 만나는 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3 스프로킷(710)이 한바퀴 회전하는 동안 이동되는 패그(75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형성되는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3 스프로킷(710)이 한바퀴 회전하는 동안 상기 패그(750)가 8개 이동되면 상기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의 개수는 8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센서감지부재(730)의 측면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3 연결공(732) 및 제2 연결공(733)을 타공하여, 상기 제3 스프로킷(710) 또는 기어(미도시) 등의 연결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 센서(7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센서(74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센서(260)와 동일한 장비로서, 상기 식기세척기(2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와 제2 센서(740)의 감지거리의 범위 또한 선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주제어장치(9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주제어장치(900)는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센서(260)를 통해 상기 제1 센서감지영역부(251)의 구동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2 센서(740)를 통해 상기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의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 모터(50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서술한 기능을 포함하도록 상기 주제어장치(900)를 구성하고 프로그래밍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6 또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2 모터(800)가 작동되어 구동하게 되면, 상기 제2 모터(800)와 연결되는 상기 제3 스프로킷(710)이 회동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700)가 구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스프로킷(71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센서감지부재(730) 또한 동시에 상기 제3 스프로킷(720)과 동일하게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식기세척기(20) 내부에 설치된 제2 센서(740)는 회동 중인 상기 제2 센서감지부재(730)에 형성된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를 인식(도 7 (b)의 A가 이에 해당되며 후술부터는 A구동신호로 표시함.)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와 같이 구동이 진행될 때, 동시에 상기 제1 모터(500) 또한 작동되어 상기 제1 모터(500)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스프로킷(230)이 회동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200)가 구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스프로킷(23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 또한 동시에 상기 제1 스프로킷(230)과 동일하게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애벌세척기(10) 내부에 설치된 제1 센서(260) 또한 회동 중인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에 형성된 제1 센서감지영역부(251)를 인식(도 7 (a)의 B가 이에 해당되며 후술부터는 B구동신호로 표시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센서감지영역부(251)를 인식한 상기 제1 센서(260)는 A구동신호를,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를 인식한 상기 제2 센서(740)는 B구동신호를 각각 상기 주제어장치(900)로 송신하게 된다.
한편, 상기 주제어장치(900)는 상기 A구동신호와 B구동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A구동신호와 B구동신호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컨베이어(200)와 제2 컨베이어(700)의 구동속도가 동일한 것임을 나타냄으로써, 상기 주제어장치(900)는 상기 B구동신호를 그대로 전달받아 상기 제1 모터(500)를 제어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A구동신호와 B구동신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컨베이어(200)와 제2 컨베이어(700)의 구동속도가 동일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주제어장치(900)는 상기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의 인식범위인 A와 불인식범위인 D 및 상기 제1 센서감지영역부(251)의 인식범위인 B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의 불인식범위인 C값을 제어하여 상기 제1 모터(500)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1 컨베이어(200)와 제2 컨베이어(700)의 구동속도를 동일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
10: 애벌세척기
20: 식기세척기
30: 식판
100: 하우징
110: 식판인입부
120: 식판수납부
130: 식판토출부
200; 제1 컨베이어
210: 밀대부재
211: 식판가압부 212: 식판거치부
220: 래킹부재
221: 식판지지대
230: 제1 스프로킷
240: 제2 스프로킷
250: 제1 센서감지부재
251: 제1 센서감지영역부 252: 제1 연결공
253: 제2 연결공
260: 제1 센서
300: 상단세척솔
400: 하단세척솔
500: 제1 모터
600: 식판토출가이드
610: 식판토출평면부
700: 제2 컨베이어
710: 제3 스프로킷
720: 제4 스프로킷
730: 제2 센서감지부재
731: 제2 센서감지영역부 732: 제3 연결공
733: 제4 연결공
740: 제2 센서
750: 패그
800: 제2 모터
900: 주제어장치
A: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의 인식범위
B: 제1 센서감지영역부(251)의 인식범위
C: 제1 센서감지부재(250)의 불인식범위
D: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의 불인식범위

Claims (3)

  1. 애벌세척기(10)의 컨베이어와 식기세척기(20)의 컨베이어가 상호 연계되어 구동되는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1)에 있어서,
    상기 애벌세척기(10) 내부에 인입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식판(30)이 인입되도록 식판인입부(11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일단에서 상방향으로 타단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단면에 평면으로 형성되는 식판가압부(211)와 상기 식판가압부(211)에 연장되어 평면으로 형성되는 식판거치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밀대부재(210)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말단측 상단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식판지지대(2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래킹부재(220)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선단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스프로킷(230)과 말단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제2 스프로킷(24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스프로킷(230)의 일측면과 연계되는 제1 센서감지부재(25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1 컨베이어(2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의 상단측에 구비되는 제1 센서(260);
    상기 제1 컨베이어(200)의 상측에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상단세척솔(300);
    상기 제1 컨베이어(200)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상단세척솔(300)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하단세척솔(400);
    상기 제1 스프로킷(230)과 연결되는 제1 모터(500);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타단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일단에서 평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식판토출평면부(610)를 포함하는 식판토출가이드(600);
    상기 식기세척기(20) 내부에 구성된 제2 컨베이어(700)의 선단 양측 내부에 형성되는 제3 스프로킷(710)의 일측면과 연계되는 제2 센서감지부재(730);
    상기 제3 스프로킷(710)과 연결되는 제2 모터(800);
    상기 식기세척기(20)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센서감지부재(730)의 외주연과 상응하여 구비되는 제2 센서(740);
    상기 제1 센서(260)와 제2 센서(740)의 감지한 신호를 전달받아 제1 모터(500)의 출력을 제어하는 주제어장치(9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 외주연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센서감지영역부(251)와 상기 제2 센서감지부재(730) 외주연에 하나 이상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를 더 구성하고,
    상기 주제어장치(900)는 상기 제1 센서(260)를 통해 상기 제1 센서감지영역부(251)의 구동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2 센서(740)를 통해 상기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의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 모터(500)의 출력을 제어하되,
    상기 제1 센서(260)를 통해 상기 주제어장치(900)로 전달되는 상기 제1 센서감지영역부(251)의 구동신호와 상기 제2 센서(740)를 통해 상기 주제어장치(900)로 전달되는 상기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의 구동신호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컨베이어(200)와 제2 컨베이어(700)의 구동속도가 동일한 것임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센서(260)를 통해 상기 주제어장치(900)로 전달되는 상기 제1 센서감지영역부(251)의 구동신호와 상기 제2 센서(740)를 통해 상기 주제어장치(900)로 전달되는 상기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의 구동신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의 인식범위(A)와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의 불인식범위(D) 및 상기 제1 센서감지영역부(251)의 인식범위(B)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센서감지부재(250)의 불인식범위(C)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모터(500)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컨베이어(200)와 제2 컨베이어(700)의 구동속도를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1).
  2. 삭제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감지영역부(731)는 상기 제3 스프로킷(710)의 중심점으로부터 수직선상 상기 제2 컨베이어(700)와 만나는 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3 스프로킷(710)이 한바퀴 회전하는 동안 이동되는 패그(75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1).
KR20130093007A 2013-08-06 2013-08-06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 KR101487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3007A KR101487193B1 (ko) 2013-08-06 2013-08-06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3007A KR101487193B1 (ko) 2013-08-06 2013-08-06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193B1 true KR101487193B1 (ko) 2015-02-02

Family

ID=5258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3007A KR101487193B1 (ko) 2013-08-06 2013-08-06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1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440A (ko) * 2015-02-11 2017-08-04 명순승 식판투입기에 구비된 식판승강공급장치
CN107601021A (zh) * 2017-10-26 2018-01-19 高达食品设备有限公司 一种传送装载装置及其装载方法
CN107745949A (zh) * 2017-11-14 2018-03-02 浙江万丰摩轮有限公司 一种轮毂翻板式预清洗线自动传输装置
WO2020070272A1 (de) * 2018-10-05 2020-04-09 Meiko Maschinenbau Gmbh & Co. Kg Reinigungssystem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reinigungsgu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5611A (en) * 1981-04-23 1982-10-28 Daifuku Co Ltd Synchronizing control device for several conveyors
KR200460298Y1 (ko) 2011-12-27 2012-05-16 안준 식판 처리시스템
KR101253000B1 (ko) * 2011-12-02 2013-04-15 최숙주 식기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5611A (en) * 1981-04-23 1982-10-28 Daifuku Co Ltd Synchronizing control device for several conveyors
KR101253000B1 (ko) * 2011-12-02 2013-04-15 최숙주 식기세척장치
KR200460298Y1 (ko) 2011-12-27 2012-05-16 안준 식판 처리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440A (ko) * 2015-02-11 2017-08-04 명순승 식판투입기에 구비된 식판승강공급장치
KR101894838B1 (ko) * 2015-02-11 2018-09-05 명순승 식판투입기에 구비된 식판승강공급장치
CN107601021A (zh) * 2017-10-26 2018-01-19 高达食品设备有限公司 一种传送装载装置及其装载方法
CN107745949A (zh) * 2017-11-14 2018-03-02 浙江万丰摩轮有限公司 一种轮毂翻板式预清洗线自动传输装置
WO2020070272A1 (de) * 2018-10-05 2020-04-09 Meiko Maschinenbau Gmbh & Co. Kg Reinigungssystem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reinigungsgu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193B1 (ko) 동조제어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장비
KR101679624B1 (ko) 애벌 일체형 식판 전용 세척시스템
US20190167065A1 (en) Dishwashing system and robot device
US11819175B2 (en) Dish washing apparatus and dish drying apparatus
US9962059B2 (en) Warewasher wash arm filter arrangement
KR102039975B1 (ko) 식기 세척기용 식기 이송장치와,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KR101556518B1 (ko) 복합 식판세척기
KR20150009179A (ko) 터널식 용기 세정장치
CN107971263A (zh) 移动终端清洁装置
KR101554510B1 (ko) 탈착이 용이한 식판 분리 공급장치
CN104812284A (zh) 用于清洗厨房用具的自动机器
KR101244379B1 (ko) 식판 자동세척기
KR20190017715A (ko) 식기 및 식판의 회전세척시스템
KR20200016462A (ko) 자동세척용 롤러브러시 장치
JP2012000355A (ja) 食器洗い機
KR101558998B1 (ko) 애벌용 식판 세척장비
KR100308454B1 (ko) 수저세척기
KR101335914B1 (ko) 식기세척기의 식판 세척장치
KR101525855B1 (ko) 식기 투입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KR20200144999A (ko) 식기 및 식판의 회전 세척시스템
KR20130036821A (ko) 식판 애벌세척장치
JP2005118210A (ja) 食器洗浄機
KR20150039938A (ko) 업다운 방식의 대용량 식기세척기
KR20170001155U (ko) 불판세척기
TWM525717U (zh) 洗碗機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