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850B1 -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 및 그 하단스토퍼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 및 그 하단스토퍼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850B1
KR101523850B1 KR1020130154483A KR20130154483A KR101523850B1 KR 101523850 B1 KR101523850 B1 KR 101523850B1 KR 1020130154483 A KR1020130154483 A KR 1020130154483A KR 20130154483 A KR20130154483 A KR 20130154483A KR 101523850 B1 KR101523850 B1 KR 101523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cross member
rear cross
stopper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철
서정식
Original Assignee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4Vehicle body mounted on resilient suspension for mov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9Joining by deformation
    • B60G2206/82092Joining by deformation by press-fi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 및 그 마운팅 부시의 제작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쪽 끝단부위에 결합되어, 차체 마운팅 너트를 삽입시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를 차체에 체결시키기 위한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에 있어서, 상기 차체 마운팅 너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끝단에 형성된 부시 결합 단에 결합되어 외관을 이루며, 하단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키홈이 형성된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 상기 키홈과 동일한 개수만큼 상향 돌출 형성된 돌기부가 상기 키홈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의 하단에 체결되는 하단 스토퍼; 및 상기 마운팅 너트의 끝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 및 그 하단스토퍼의 제작방법{Mounting bush assembly for rear cross member in vehicle}
본 발명은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 및 그 하단스토퍼의 제작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리어 크로스 멤버와 차체의 체결시 부시타입 구조에서 하단에 이탈방지용으로 별도의 하단스토퍼를 압입형으로 체결한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 차량은 현가 장치(suspension)의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크로스멤버를 설치하는데, 이는 현가장치의 많은 부품들을 지지하면서 차체로 전달되는 횡 방향 하중을 감당하게 된다.
또한 크로스 멤버는 통상, 차량의 전방 부위로 프런트 크로스멤버를 설치하고, 차량의 후방 부위로도 리어 크로스 멤버를 설치해주게 된다. 도 1은 통상의 차량후면과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크로스멤버(2)는 통상적으로, 차체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멤버부재들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용접되어 내부 폐 공간을 형성하면서, 볼트와 너트 및 고무 부시로 이루어진 마운팅 부시(4) 구조를 이용하여 차체쪽으로 체결되어진다.
이와 같은, 크로스멤버 중 리어 크로스 멤버(2)는 차체에 조립 시, 부시가 처지는 것을 막아주며 부시를 지지하여 차체의 흔들림을 개선하도록 마운팅 부시(4)의 하단에 별도의 스토퍼(20)를 조립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스토퍼(20)의 추가는 마운팅 부시를 구성하는 부품수 증가로 관리비가 증가함은 물론, 추가된 부품으로 인한 조립 공수도 늘어나는 불편이 있게 된다.
도 2는 종래 하단스토퍼가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 구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부시(4)의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는 크로스 멤버(2)의 양 끝단에 결합되며,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의 하단으로 하단 스토퍼(20)가 위치하여 체결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마운팅 부시(4)구조의 체결방법은 먼저, 리어 크로스 멤버(2) 끝단에 결합된 마운팅 부시의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에 형성된 삽입홀(11)에,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너트(3)를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별도의 와셔 타입의 스토퍼를 차체 마운팅 너트(3)에 삽입하고, 체결볼트(30)에 의해 최종적으로 체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 구조는 리어 크로스 멤버와 차체간 조립 공정시에 별도의 하단스토퍼와 체결볼트를 동시에 삽입 및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작업자의 작업성이 불합리한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리어 크로스 멤버와 차체간 조립 공정시에 별도의 하단스토퍼와 체결볼트를 동시에 삽입 및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조립시 하단스토퍼를 누락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A/S 발생도가 높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하단 스토퍼를 누락하여 조립할 경우 크로스 멤버의 이탈로 인해 정상적인 차량 주행이 불가능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5150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9240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볼트를 체결하기 전에 먼저 압입형으로 하단스토퍼가 마운팅 부시의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에 장착되기 때문에, 조립공정상에서 작업성 향상 및 부품 누락에 의한 품질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별도로 구성된 기존의 하단스토퍼를 마운팅 부시의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에 사전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 및 그 마운팅 부시의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쪽 끝단부위에 결합되어, 차체 마운팅 너트를 삽입시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를 차체에 체결시키기 위한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에 있어서, 상기 차체 마운팅 너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끝단에 형성된 부시 결합 단에 결합되어 마운팅 부시 외철 파이프을 이루며, 하단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키홈이 형성된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 상기 키홈과 동일한 개수만큼 상향 돌출 형성된 돌기부가 상기 키홈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의 하단에 체결되는 하단 스토퍼; 및 상기 마운팅 너트의 끝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스토퍼는 판형이고, 양단에는 하향 절곡된 꺽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단스토퍼의 넓이는 상기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의 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돌기부 끝단에는 압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는 마운팅 부시 내철 파이프와 마운팅 부시 외철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마운팅 부시 내철 파이프과 상기 마운팅 부시 외철 파이프 사이에 고무재질의 매스가 구비되고, 상기 키홈은 상기 마운팅 부시 내철 파이프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쪽 끝단부위에 결합되어, 차체 마운팅 너트를 삽입시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를 차체에 체결시키기 위한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체 마운팅 너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하단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키홈이 형성된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끝단에 형성된 부시 결합 단에 용접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키홈과 동일한 개수만큼 상향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된 하단스토퍼를 상기 키홈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시켜 상기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에 체결하는 단계; 및 차체 마운팅 너트를 상기 하단스토퍼가 장착된 상기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의 삽입홀에 삽입시키고, 체결볼트를 상기 마운팅 너트의 끝단부에 체결시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의 제작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볼트를 체결하기 전에 먼저 압입형으로 하단스토퍼가 마운팅 부시의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에 장착되기 때문에, 조립공정상에서 작업성 향상 및 부품 누락에 의한 품질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별도로 구성된 기존의 하단스토퍼를 마운팅 부시의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에 사전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통상의 차량후면과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하단스토퍼가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스토퍼가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스토퍼가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시의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시의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시의 하단 스토퍼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스토퍼가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의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100) 구조의 제작방법 및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스토퍼(20)가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100) 구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스토퍼(20)가 마운팅 부시의 하단에 장착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하단스토퍼(2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100)는, 리어 크로스 멤버(2)의 양쪽 끝단부위에 결합되어, 차체 마운팅 너트(3)를 삽입시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2)를 차체에 체결시키기 위한 부재에 해당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 마운팅 너트(3)가 삽입되는 삽입홀(11)이 형성되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2)의 끝단에 형성된 부시 결합 단에 결합되어 외관을 이루며, 하단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키홈(12)이 형성된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 상기 키홈(12)과 동일한 개수만큼 상향 돌출 형성된 돌기부(21)가 상기 키홈(12)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의 하단에 체결되는 하단 스토퍼(20); 및 상기 마운팅 너트(3)의 끝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2)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시(100)의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시(100)의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는 마운팅 부시 내철 파이프(14)와 마운팅 부시 외철 파이프(13)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마운팅 부시 내철 파이프(14)과 마운팅 부시 외철 파이프(13) 사이 공간에 고무(15)재질의 매스가 구비되어 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시(100)의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의 하단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키홈(12)이 형성되어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키홈(12)의 폭과 너비는 후에 설명되는 하단 스토퍼(20)에 형성된 돌기부(21)의 폭, 너비의 크기와 일치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키홈(12)은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의 마운팅 부시 내철 파이프(14)의 하단면 내측에 형성되어 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시(100)의 하단 스토퍼(2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 스토퍼(20)는 기본적으로 판형이고, 양단에는 하향 절곡된 꺽임부(23)가 형성되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하단스토퍼(20)의 넓이는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의 단면적보다 크게 구성된다. 그리고, 돌기부(21) 끝단에는 압입부(22)가 형성되어, 돌기부(21)가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의 키홈(12)에 삽입된 후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기부(21)가 형성된 하단 스토퍼(20)는 1회의 프레스 공정으로 제작되며, 양단에 꺽임부(23)를 구비하여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꺽임부(23)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 양단에는 내부로 삽입된 홈(24)이 형성되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스토퍼(20)에는 한 쌍의 돌기부(21)가 형성되며, 이러한 돌기부(21)가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에 형성된 키홈(12)에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부시타입의 리어 크로스 멤버(2)를 차량 조립 업체에 납품할 당시에 하단 스토퍼(20)가 장착되어 있어 부품이 누락될 우려가 없으며, 차량 조립 업체에서 차체에 리어 크로스 멤버(2) 조립 공정시 기존 별도 구성된 하단 스토퍼(20)의 관여 없이 체결볼트(30) 체결만으로 크로스 멤버(2)를 차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스토퍼(20)가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100)의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리어 크로스 멤버(2)의 양쪽 끝단부위에 결합되어, 차체 마운팅 너트(3)를 삽입시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2)를 차체에 체결시키기 위한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100)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먼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크로스 멤버 납품업체에서, 상기 차체 마운팅 너트(3)가 삽입되는 삽입홀(11)이 형성되고 하단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키홈(12)이 형성된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2)의 끝단에 형성된 부시 결합 단에 용접 결합시키게 된다(S1).
그리고, 리어 크로스 멤버 납품업체에서, 키홈(12)과 동일한 개수만큼 상향 돌출된 돌기부(21)가 형성된 하단스토퍼(20)를 상기 키홈(12)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시켜 상기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에 체결하게 된다(S2). 차체에 리어 크로스 멤버(2) 조립공정이 아닌, 조립공정 전에 이미 하단 스토퍼(20)를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에 장착하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부품누락에 의한 품질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량 조립업체가 리어 크로스 멤버(2)를 납품받게 되면, 차체 마운팅 너트(3)를 상기 하단스토퍼(20)가 장착된 상기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10)의 삽입홀(11)에 삽입시키고(S3), 체결볼트(30)를 상기 마운팅 너트(3)의 끝단부에 체결시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2)를 차체에 고정시키게 된다(S4).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서브 프레임
2:리어 크로스 멤버
3:차체 마운팅 너트
4:종래 마운팅 부시
10:마운팅 부시 어셈블리
11:삽입홀
12:키홈
13:마운팅 부시 외철 파이프
14:마운팅 부시 내철 파이프
15:고무
20:하단스토퍼
21:돌기부
22:압입부
23:꺽임부
24:홈
30:체결볼트
100: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

Claims (5)

  1.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쪽 끝단부위에 결합되어, 차체 마운팅 너트를 삽입시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를 차체에 체결시키기 위한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에 있어서,
    상기 차체 마운팅 너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끝단에 형성된 부시 결합 단에 결합되어 외관을 이루며, 하단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키홈이 형성된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
    상기 키홈과 동일한 개수만큼 상향 돌출 형성된 돌기부가 상기 키홈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의 하단에 체결되는 하단 스토퍼; 및
    상기 마운팅 너트의 끝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스토퍼는 판형이고, 양단에는 하향 절곡된 꺽임부를 가지며,
    상기 하단스토퍼의 넓이는 상기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의 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돌기부 끝단에는 압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는 마운팅 부시 내철 파이프와 마운팅 부시 외철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마운팅 부시 내철 파이프과 상기 마운팅 부시 외철 파이프 사이에 고무재질의 매스가 구비되고,
    상기 키홈은 상기 마운팅 부시 내철 파이프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쪽 끝단부위에 결합되어, 차체 마운팅 너트를 삽입시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를 차체에 체결시키기 위한 제 1항에 따른 리어 크로스 멤버용 마운팅 부시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체 마운팅 너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하단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키홈이 형성된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끝단에 형성된 부시 결합 단에 용접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키홈과 동일한 개수만큼 상향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된 하단스토퍼를 상기 키홈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시켜 상기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에 체결하는 단계; 및
    차체 마운팅 너트를 상기 하단스토퍼가 장착된 상기 마운팅 부시 어셈블리의 삽입홀에 삽입시키고, 체결볼트를 상기 마운팅 너트의 끝단부에 체결시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의 제작방법.
KR1020130154483A 2013-12-12 2013-12-12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 및 그 하단스토퍼의 제작방법 KR101523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483A KR101523850B1 (ko) 2013-12-12 2013-12-12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 및 그 하단스토퍼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483A KR101523850B1 (ko) 2013-12-12 2013-12-12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 및 그 하단스토퍼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850B1 true KR101523850B1 (ko) 2015-05-29

Family

ID=53395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483A KR101523850B1 (ko) 2013-12-12 2013-12-12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 및 그 하단스토퍼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8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144B1 (ko) * 2016-06-08 2017-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서브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KR20230104438A (ko) * 2021-12-31 2023-07-10 서진산업 주식회사 멤버 이탈방지용 마운팅 브라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0599A (ko) * 2008-06-16 2009-12-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토퍼 일체형 부시 앗세이
KR20120053117A (ko) * 2010-11-17 2012-05-2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
KR101240707B1 (ko) * 2011-07-28 2013-03-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부시 스토퍼 결합구조
KR20130068727A (ko) * 2011-12-16 2013-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로스멤버용 마운팅 부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0599A (ko) * 2008-06-16 2009-12-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토퍼 일체형 부시 앗세이
KR20120053117A (ko) * 2010-11-17 2012-05-2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
KR101240707B1 (ko) * 2011-07-28 2013-03-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부시 스토퍼 결합구조
KR20130068727A (ko) * 2011-12-16 2013-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로스멤버용 마운팅 부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144B1 (ko) * 2016-06-08 2017-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서브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
KR20230104438A (ko) * 2021-12-31 2023-07-10 서진산업 주식회사 멤버 이탈방지용 마운팅 브라켓
KR102606437B1 (ko) * 2021-12-31 2023-11-30 서진산업 주식회사 멤버 이탈방지용 마운팅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8128A (ko) 마운팅 유닛
KR101137256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WO2011148893A1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取付構造
KR101523850B1 (ko)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 및 그 하단스토퍼의 제작방법
JP2007308016A (ja) 防振リンクの取付構造
JP2008149888A (ja) パワープラントの支持構造
WO2015194047A1 (ja) スタビライザの取付構造
US6880842B2 (en) Single-piece steering gear bracket and steering gear joint member
KR101563174B1 (ko) 차체 조립용 스터드 볼트유닛
JP2009096320A (ja) 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20190064723A (ko) 자동차용 변속기 마운트
KR102606437B1 (ko) 멤버 이탈방지용 마운팅 브라켓
JP2018070039A (ja) 車両用部材取付構造
KR102529385B1 (ko) 서브 프레임 마운팅구조
KR101339266B1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체
JP6635064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の仮止め構造
KR20060031013A (ko) 차동장치의 마운팅 구조
KR100588082B1 (ko)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완충기
CN110949522B (zh) 副车架结构
JPH06264967A (ja) エンジンマウント
JP5397603B2 (ja) マフラー支持構造
KR101731528B1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마운팅 유닛
KR20120077089A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너트 유닛
KR100448199B1 (ko) 볼트 취부형 크로스 멤버의 스페이서
KR20140014720A (ko) 서브프레임용 부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