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117A -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117A
KR20120053117A KR1020100114198A KR20100114198A KR20120053117A KR 20120053117 A KR20120053117 A KR 20120053117A KR 1020100114198 A KR1020100114198 A KR 1020100114198A KR 20100114198 A KR20100114198 A KR 20100114198A KR 20120053117 A KR20120053117 A KR 20120053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sleeve
stopper
bush
hol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2334B1 (ko
Inventor
박은규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334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4Vehicle body mounted on resilient suspension for mov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차량의 바디와 서브프레임을 결합시키기 위해서 바디와 서브프레임 양단에 설치되는 각각의 부시 형태가 일측은 원형형상이고 타측은 슬롯형상으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어서, 일측과 타측에 사용되는 부시를 따로 생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서브프레임(10) 양단에 구비되며 중앙에 부시결합홀(110)이 형성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부시결합홀(110)에 끼워져 고정되며 탄성을 가지는 연질소재로 형성되고 중앙에 인너 슬리브결합홀(210)이 구비되는 부시(200);와 부시(200)의 인너 슬리브결합홀(210)에 끼워져 고정되며, 바닥 중앙에 볼트통과홀(610)이 구비되는 인너 슬리브(600);와 인너 슬리브(200) 위에 놓이며, 중앙에 형성된 체결부삽입홀을 통해 인너 슬리브(200)의 볼트통과홀(210) 하부에서 끼워지는 고정볼트(400)의 선단이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스토퍼;와 볼트체결홀(510)이 구비된 체결부(520)가 스토퍼(300)의 체결부삽입홀에 끼워지도록 저면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스톱퍼(300)를 관통하는 고정볼트(400)에 의해 체결되는 바디샤프트(500);로 이루어져 차량의 서브프레임과 바디 사이에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차량의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에 있어서, 인너 슬리브(600)는 볼트통과홀(610)을 가로와 세로의 지름이 다른 장방형으로 형성하여 인너 슬리브(600)가 결합된 부시(200)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스토퍼는 체결부(520)와의 사이에 갭이 별로 없는 원형의 체결부삽입홀(350)을 가진 스토퍼(300);와 체결부(520)와의 사이에 일정 간격의 편차흡수용 갭(780)이 형성되도록 장방형의 체결부삽입홀(750)을 가진 스토퍼(700);로 이원화시켜 형성하여, 스토퍼(300)(700) 선택에 따라 부시(200)를 좌우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Sub frame structur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량의 바디와 서브프레임을 결합시킬 때, 바디와 서브프레임의 조립시 발생되는 편차에 의해 발생하는 바디와 서브프레임 간의 충격과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바디와 서브프레임 간의 편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각각 형태가 다르게 형성되는 한쌍의 부시를 동일 형태의 부시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부시 내부에 구비되는 인너 슬리브에 장방형의 볼트통과홀을 형성하고 인너 슬리브 상부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각각 다른 2가지 형태로 형성하여 동일한 형태의 부시에 각각 다른 형태의 스토퍼만 결합시킴으로써, 차량의 바디와 서브프레임의 양단에 동일한 부시를 사용하여 제품의 생산공정을 단순화시키고 부품의 호환성을 향상시 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서브프레임과 바디를 결합시킬 때, 바디와 서브프레임이 결합되는 곳의 충격과 진동을 방지하게 위해서 부시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바디와 서브프레임의 양단에 설치되는 부시 내부의 인너 슬리브가 사브프레임과 바디 간의 충격과 진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서브프레임 부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즉, 차량의 서브프레임과 사이의 양단에 설치되는 부시(60) 내부의 인너 슬리브(40)(50)와, 인너 슬리브(40)(50) 상부에 설치되는 스토퍼(30)(70)가 각각 다른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 1 과 같이 바디와 서브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는 부시(60)의 인너 슬리브(40) 및 스토퍼(30)와 바디와 서브프레임의 타단에 설치되는 부시(60)의 인너 슬리브(50) 및 스토퍼(70)가 별도로 형성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바디와 서브프레임 사이의 양단에 설치되는 부시 내부의 인너 슬리브와, 인너 슬리브 상부에 설치되는 스토퍼의 형태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있어서 부품의 호환성과 작업성이 떨어지고 제품의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의 호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부시 내부에 구비되는 인너 슬리브에 장방형의 볼트통과홀을 형성하고 인너 슬리브 상부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각각 다른 2가지 형태로 형성하여 동일한 형태의 부시에 각각 다른 형태의 스토퍼만 결합시킴으로써, 바디와 서브프레임 사이의 양단에 설치되는 부시 내부의 인너 슬리브와, 인너 슬리브 상부에 설치되는 스토퍼의 형태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있어서 부품의 호환성과 작업성이 떨어지고 제품의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서브프레임 양단에 구비되며 중앙에 부시결합홀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부시결합홀에 끼워져 고정되며 탄성을 가지는 연질소재로 형성되고 중앙에 인너 슬리브결합홀이 구비되는 부시;와 부시의 인너 슬리브결합홀에 끼워져 고정되며, 바닥 중앙에 볼트통과홀이 구비되는 인너 슬리브;와 인너 슬리브 위에 놓이며, 중앙에 형성된 체결부삽입홀을 통해 인너 슬리브의 볼트통과홀 하부에서 끼워지는 고정볼트의 선단이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스토퍼;와 볼트체결홀이 구비된 체결부가 스토퍼의 체결부삽입홀에 끼워지도록 저면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스톱퍼를 관통하는 고정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바디샤프트;로 이루어져 차량의 서브프레임과 바디 사이에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차량의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에 있어서, 인너 슬리브는 볼트통과홀을 가로와 세로의 지름이 다른 장방형으로 형성하여 인너 슬리브가 결합된 부시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스토퍼는 체결부와의 사이에 갭이 별로 없는 원형의 체결부삽입홀을 가진 스토퍼;와 체결부와의 사이에 일정 간격의 편차흡수용 갭이 형성되도록 장방형의 체결부삽입홀을 가진 스토퍼;로 이원화시켜 형성하여, 스토퍼 선택에 따라 부시를 좌우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인너 슬리브의 볼트통과홀 상부 사방에 스토퍼고정홈을 형성하고, 스토퍼의 체결부삽입홀 사방에는 인너 슬리브의 스토퍼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하여, 스토퍼가 인너 슬리브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인너 슬리브에 형성되는 스토퍼고정홈은 볼트고정홀의 상부 일부분에만 형성하며, 인너 슬리브의 스토퍼고정홈은 스토퍼 고정돌기의 대응부분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부시 내부에 구비되는 인너 슬리브에 장방형의 볼트통과홀을 형성하고 인너 슬리브 상부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각각 다른 2가지 형태로 형성하여 동일한 형태의 부시에 각각 다른 형태의 스토퍼만 결합시킴으로써 차량의 바디와 서브프레임을 결합시킬 때, 바디와 서브프레임의 조립시 발생되는 편차에 의해 발생하는 바디와 서브프레임 간의 충격과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바디와 서브프레임 간의 편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각각 형태가 다르게 형성되는 한쌍의 부시를 동일 형태의 부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차량의 바디와 서브프레임의 양단에 동일한 부시를 사용하여 제품의 생산공정을 단순화시키고 부품의 호환성을 향상시 킬 수 있도록 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서브프레임 부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의 모습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의 모습을 보여주는 결합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의 스토퍼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의 스토퍼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의 스토퍼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의 모습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의 모습을 보여주는 결합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의 스토퍼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의 스토퍼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의 스토퍼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서브프레임(10) 양단에 구비되며 중앙에 부시결합홀(110)이 형성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부시결합홀(110)에 끼워져 고정되며 탄성을 가지는 연질소재로 형성되고 중앙에 인너 슬리브결합홀(210)이 구비되는 부시(200);와 부시(200)의 인너 슬리브결합홀(210)에 끼워져 고정되며, 바닥 중앙에 볼트통과홀(610)이 구비되는 인너 슬리브(600);와 인너 슬리브(200) 위에 놓이며, 중앙에 형성된 체결부삽입홀을 통해 인너 슬리브(200)의 볼트통과홀(210) 하부에서 끼워지는 고정볼트(400)의 선단이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스토퍼;와 볼트체결홀(510)이 구비된 체결부(520)가 스토퍼(300)의 체결부삽입홀에 끼워지도록 저면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스톱퍼(300)를 관통하는 고정볼트(400)에 의해 체결되는 바디샤프트(500);로 이루어져 차량의 서브프레임과 바디 사이에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차량의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에 있어서, 인너 슬리브(600)는 볼트통과홀(610)을 가로와 세로의 지름이 다른 장방형으로 형성하여 인너 슬리브(600)가 결합된 부시(200)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토퍼는 체결부(520)와의 사이에 갭이 별로 없는 원형의 체결부삽입홀(350)을 가진 스토퍼(300);와 체결부(520)와의 사이에 일정 간격의 편차흡수용 갭(780)이 형성되도록 장방형의 체결부삽입홀(750)을 가진 스토퍼(700);로 이원화시켜 형성하여, 스토퍼(300)(700) 선택에 따라 부시(200)를 좌우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인너 슬리브(600)의 볼트통과홀(610) 상부 사방에 스토퍼고정홈(630)을 형성하고, 스토퍼(300)(700)의 체결부삽입홀(350)(750) 사방에는 인너 슬리브(600)의 스토퍼고정홈(63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360)(760)를 구비하여, 스토퍼(300)(700)가 인너 슬리브(6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인너 슬리브(600)에 형성되는 스토퍼고정홈(630)은 볼트고정홀(610)의 상부 일부분에만 형성하며, 인너 슬리브(600)의 스토퍼고정홈(630)은 스토퍼(300)(700) 고정돌기(360)(760)의 대응부분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바디(20)와 서브프레임(10) 사이의 양단에 설치되어 바디(20)와 서브프레임(10)의 진동과 충격을 방지시키는 부시를 호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부시(200)는 부시결합홀(110)이 중앙에 형성되며 차량의 서브프레임(10) 양단에 구비되는 프레임(1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부시(200) 내부에는 바디(20)와 서브프레임(10)의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연질소재로 형성되는 인너 슬리브(600)가 구비되며, 인너 슬리브(600) 상부에는 스토퍼가 놓이게 되는 것이다.
스토퍼 상부에는 바디샤프트가 놓이게 되며, 고정볼트(400)가 인너 슬리브(600)의 볼트통과홀(610)을 통해 바디샤프트(500)의 볼트체결홀(510)과 결합되어 바디(20)와 서브프레임(10)을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인너 슬리브(600)에 형성되는 볼트통과홀(610)을 가로와 세로의 지름이 다른 장방형으로 형성하고, 스토퍼는 바디샤프트(500)의 체결부(520)와의 사이에 갭이 없는 원형의 체결부삽입홀(350)을 가진 스토퍼(300)와, 바디샤프트(500) 체결부(520)와의 사이에 일정간격의 편차흡수용 갭(780)이 형성되도록 장방형의 체결부삽입홀(750)을 가진 스토퍼(700)로 각각 이원화시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인너 슬리브(600)의 볼트통과홀(610)을 장방형으로 형성하고, 스토퍼(300)(700)를 이원화시킴으로써, 단일형태의 인너 슬리브(600)에 각각의 스토퍼(300)(700)를 결합시켜 차량의 바디(20)와 서브프레임(10)에 구비되는 한쌍의 부시(200)를 좌우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차량의 서브프레임(10)과 바디(20)의 양단 사이에 구비되는 부시의 일단에 원형의 인너 슬리브와 스토퍼가 사용되던 부시에는 동일형태의 인너 슬리브(600)에 갭이 없는 형태의 스토퍼(300)를 사용하고, 서브프레임(10)과 바디(20)의 양단 사이에 구비되는 부시의 타단에는 장방형인 슬롯형태의 인너 슬리브와 스토퍼가 사용되던 부시에는 동일형태의 인너 슬리브(600)에 일정간격의 편차흡수용 갭(780)이 있는 스토퍼(700)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토퍼(300)(700)가 인너 슬리브(6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인너 슬리브(600)의 볼트통과홀(610) 상부 사방에 스토퍼고정홈(630)을 형성하고 스토퍼(300)(700)의 체결부삽입홀(350)(750) 사방에 인너 슬리브(600)의 스토퍼고정홈(63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360)(760)를 구비하여, 인너 슬리브(600)의 스토퍼고정홈(630)에 스토퍼(300)(700)의 고정돌기(360)(760)를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인너 슬리브(600)에 형성되는 스토퍼고정홈(630)은 볼트고정홀(610)의 상부 일부분에만 형성하고, 인너 슬리브(600)의 스토퍼고정홈(630)은 스토퍼(300)(700) 고정돌기(360)(760)의 대응부분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여 인너 슬리브(600)가 서브프레임(10)과 바디(20)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서브프레임 20 : 바디
100 : 프레임 110 : 부시결합홀
200 : 부시 210 : 인너 슬리브결합홀
300 : 스토퍼 350 : 체결부삽입홀
360 : 고정돌기 400 : 고정볼트
500 : 바디샤프트 510 : 볼트체결홀
520 : 체결부 600 : 인너 슬리브
610 : 볼트통과홀 700 : 스토퍼
750 : 체결부삽입홀 760 : 고정돌기
780 : 편차흡수용 갭

Claims (4)

  1. 차량의 서브프레임(10) 양단에 구비되며 중앙에 부시결합홀(110)이 형성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부시결합홀(110)에 끼워져 고정되며 탄성을 가지는 연질소재로 형성되고 중앙에 인너 슬리브결합홀(210)이 구비되는 부시(200);와
    부시(200)의 인너 슬리브결합홀(210)에 끼워져 고정되며, 바닥 중앙에 볼트통과홀(610)이 구비되는 인너 슬리브(600);와
    인너 슬리브(200) 위에 놓이며, 중앙에 형성된 체결부삽입홀을 통해 인너 슬리브(200)의 볼트통과홀(210) 하부에서 끼워지는 고정볼트(400)의 선단이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스토퍼;와
    볼트체결홀(510)이 구비된 체결부(520)가 스토퍼(300)의 체결부삽입홀에 끼워지도록 저면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스톱퍼(300)를 관통하는 고정볼트(400)에 의해 체결되는 바디샤프트(500);
    로 이루어져 차량의 서브프레임과 바디 사이에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차량의 서브프레임 부시구조에 있어서,
    인너 슬리브(600)는 볼트통과홀(610)을 가로와 세로의 지름이 다른 장방형으로 형성하여 인너 슬리브(600)가 결합된 부시(200)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스토퍼는 체결부(520)와의 사이에 갭이 별로 없는 원형의 체결부삽입홀(350)을 가진 스토퍼(300);와 체결부(520)와의 사이에 일정 간격의 편차흡수용 갭(780)이 형성되도록 장방형의 체결부삽입홀(750)을 가진 스토퍼(700);로 이원화시켜 형성하여,
    스토퍼(300)(700) 선택에 따라 부시(200)를 좌우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인너 슬리브(600)의 볼트통과홀(610) 상부 사방에 스토퍼고정홈(630)을 형성하고,
    스토퍼(300)(700)의 체결부삽입홀(350)(750) 사방에는 인너 슬리브(600)의 스토퍼고정홈(63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360)(760)를 구비하여,
    스토퍼(300)(700)가 인너 슬리브(6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인너 슬리브(600)에 형성되는 스토퍼고정홈(630)은 볼트고정홀(610)의 상부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인너 슬리브(600)의 스토퍼고정홈(630)은 스토퍼(300)(700) 고정돌기(360)(760)의 대응부분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
KR1020100114198A 2010-11-17 2010-11-17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 KR101152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198A KR101152334B1 (ko) 2010-11-17 2010-11-17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198A KR101152334B1 (ko) 2010-11-17 2010-11-17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117A true KR20120053117A (ko) 2012-05-25
KR101152334B1 KR101152334B1 (ko) 2012-06-11

Family

ID=4626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198A KR101152334B1 (ko) 2010-11-17 2010-11-17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3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850B1 (ko) * 2013-12-12 2015-05-29 서진산업 주식회사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 및 그 하단스토퍼의 제작방법
KR20180048046A (ko) * 2016-11-02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및 서브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307A (ko) * 2001-07-19 2003-0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프레임상의 탑재구조
JP4720265B2 (ja) 2005-04-08 2011-07-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懸架装置
KR20090083136A (ko) * 2008-01-29 2009-08-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서브프레임 고정장치
JP5244668B2 (ja) 2009-03-25 2013-07-2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構造物の取付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850B1 (ko) * 2013-12-12 2015-05-29 서진산업 주식회사 하단스토퍼가 압입형으로 결합되는 리어 크로스 맴버용 마운팅 부시 및 그 하단스토퍼의 제작방법
KR20180048046A (ko) * 2016-11-02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및 서브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2334B1 (ko) 201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063B1 (ko) 볼 조인트 일체형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암 및 그 제조 방법
US9889889B2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shock absorber housing
KR100980714B1 (ko) 차량용 휠하우스 기구
CN106427550B (zh) 一种变速箱悬置
CN204506477U (zh) 发动机左悬置
KR101152334B1 (ko)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
KR20170099258A (ko)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KR20150118668A (ko) 트레일링암 부시
KR100986086B1 (ko) 마운팅 부시유닛
KR101745004B1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KR101636212B1 (ko) 자동차용 프레임 마운팅 구조
CN204387590U (zh) 发动机安装底座
KR20140032276A (ko) 차량용 롤로드
CN204506473U (zh) 发动机左右悬置
KR101682809B1 (ko) 자동차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KR20140014720A (ko) 서브프레임용 부시
KR100738379B1 (ko)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의 회전 방지 구조
KR102663663B1 (ko) 차량 크로스멤버용 부시
KR20180105016A (ko)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CN205769149U (zh) 一种美化护板
KR101776531B1 (ko) 차량용 멤버부재의 마운팅장치
KR20090120714A (ko) 러버 마운트 장치
KR101723747B1 (ko) 자동차용 댐퍼 스트럿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회전 방지구조
KR20210136283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160069719A (ko) 상단 플라스틱 스트라이커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