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128A - 마운팅 유닛 - Google Patents

마운팅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128A
KR20190068128A KR1020170168215A KR20170168215A KR20190068128A KR 20190068128 A KR20190068128 A KR 20190068128A KR 1020170168215 A KR1020170168215 A KR 1020170168215A KR 20170168215 A KR20170168215 A KR 20170168215A KR 20190068128 A KR20190068128 A KR 20190068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ing
hardware
joining end
join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021B1 (ko
Inventor
한민욱
남기성
이문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021B1/ko
Priority to DE102018119259.2A priority patent/DE102018119259A1/de
Priority to US16/102,567 priority patent/US10661836B2/en
Priority to JP2018167871A priority patent/JP7149777B2/ja
Priority to CN201821681123.6U priority patent/CN209064197U/zh
Publication of KR2019006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4Projectio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마운팅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운팅 유닛은 차체의 멤버류에 구성되어 샤시 부품을 체결하기 위한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2장의 판재를 다단 절곡한 상태로, 각각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상호 접합하여 양측 접합부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사각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멤버류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공간부에서, 양단이 상기 2장의 판재에 각각 접합되어 고정되며, 내부에 나사탭이 형성되는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운팅 유닛{MOUNTING UNIT}
본 발명은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멤버류에 구성되어 샤시 부품을 체결할 수 있는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멤버류, 예를 들어, 사이드 멤버 등은 통상적으로 박스형태의 단면구조로 형성되어 차량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차량의 멤버류는 길이가 길고, 크기도 크기 때문에 최소 2군데 이상의 부위가 차체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멤버류는 차체와의 조립 시, 가공오차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조립공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볼트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의 정홀 및 볼트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슬롯홀과 확공홀들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한 멤버류에 샤시 부품, 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 등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마운팅 유닛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마운팅 유닛은 마운팅 브라켓과 마운팅 볼트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마운팅 볼트는 마운팅 브라켓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끼워진 상태로, CO2 용접 등에 의해 용접 접합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 볼트는 냉간단조 또는 열간단조 성형을 통하여 제작되며, 일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부에 의해 마운팅 브라켓의 관통홀 둘레에 지지된 상태로 용접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마운팅 유닛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과 마운팅 볼트를 각각 제작하여 용접 공정 후, 차량에 적용되어 공정수 및 중량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마운팅 유닛은 CO2 용접의 특성상 용접 시 일어나는 열영향부의 발생으로 인한 변형 등 외관품질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브라켓과 하드웨어로 구성된 별물로 제작한 후, 차체의 각종 멤버류에 장착되어 샤시 부품을 체결함으로써, 공용화가 가능한 마운팅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브라켓 내부에 하드웨어를 삽입한 상태로, 양 단부를 프로젝션 용접함으로써, 용접 품질을 확보함과 동시에, 작업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마운팅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의 멤버류에 구성되어 샤시 부품을 체결하기 위한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2장의 판재를 다단 절곡한 상태로, 각각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상호 접합하여 양측 접합부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사각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멤버류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공간부에서, 양단이 상기 2장의 판재에 각각 접합되어 고정되며, 내부에 나사탭이 형성되는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마운팅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수평한 상태에서, 상면을 형성하고, 일단부가 상향 절곡되어 제1 접합단을 형성하며, 중앙부 일측에서 하향 절곡되어 일측면을 형성하되, 상기 일측면의 하단부를 제2 접합단으로 형성하는 제1 판재, 및 수평한 상태에서, 하면을 형성하고, 중앙부 일측에서 상향 절곡되어 타측면을 형성하되, 상기 타측면의 상단부를 제3 접합단으로 형성하며, 타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제4 접합단을 형성하는 제2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단과 상기 제3 접합단을 접합하여 제1 접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접합단과 상기 제4 접합단을 접합하여 제2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수평한 상태에서,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의 양측이 각각 하향 절곡되어 상부 양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양 측면의 각 단부가 각각 수평방향 외측방으로 절곡되어 제1, 제2 접합단을 형성하는 제1 판재 및 수평한 상태에서, 하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면의 양측이 각각 상향 절곡되어 하부 양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양 측면의 각 단부가 각각 수평방향 외측방으로 절곡되어 제3, 제4 접합단을 형성하는 제2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단과 상기 제3 접합단을 접합하여 제1 접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접합단과 상기 제4 접합단을 접합하여 제2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평한 상태에서, 상면을 형성하고, 양 단부가 각각 상향 절곡되어 제1 접합단과 제2 접합단을 형성하는 제1 판재 및 수평한 상태에서, 하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면의 양측이 각각 상향 절곡되어 양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양 측면의 각 단부가 제3, 제4 접합단으로 형성되어 제2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단과 상기 제3 접합단을 접합하여 제1 접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접합단과 상기 제4 접합단을 접합하여 제2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웨어는 양단 둘레에 용접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과 하면의 각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둘레에 상기 용접돌기를 통하여 프로젝션 용접되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웨어는 상기 나사탭이 양단까지 관통된 홀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웨어는 상단 중앙에 원뿔대 형상의 끼움단이 형성되고, 하단 둘레에 용접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상기 끼움단이 끼워져 프로젝션 용접되고, 상기 하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둘레에 상기 용접돌기를 통하여 프로젝션 용접되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웨어는 상기 나사탭이 하단 측으로만 관통된 홀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웨어는 상단이 원뿔 형상의 돌출단으로 형성되고, 하단 둘레에 용접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심홀에 상기 돌출단이 끼워진 상태로 프로젝션 용접되고, 상기 하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둘레에 상기 용접돌기를 통하여 프로젝션 용접되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웨어는 상기 나사탭이 하단 측으로만 관통된 홀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2장의 판재를 다단 절곡하여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접합되는 하드웨어를 별물로 제작하여 차체의 각종 멤버류에 장착한 후, 샤시 부품을 체결함으로써, 공용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브라켓 내부에 하드웨어를 장착하여 양 단부를 2장의 판재 각각에 프로젝션 용접함으로써, 작업 공정을 단순화하며, 구조적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하드웨어의 양 단부를 양단가공을 통해 제작함으로써, 제조공정을 줄이고, 깨끗한 용접 좌면의 확보가 가능하여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운팅 유닛에 적용되는 제1 내지 제3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운팅 유닛에 적용되는 제1 내지 제3 하드웨어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마운팅 유닛은 차체의 멤버류에 구성되어 샤시 부품을 체결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마운팅 유닛은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어 상기 사이드 멤버에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더불어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사이드 멤버와 서브 프레임 이외의 차체의 멤버류와 샤시 부품 사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마운팅 유닛은 브라켓과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운팅 유닛에 적용되는 제1 내지 제3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운팅 유닛(1)에 적용되는 제1 브라켓(10)은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2장의 판재(10a, 10b)를 다단 절곡한 상태로, 각각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상호 접합하여 양측 접합부(13a, 13b)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브라켓(10)은 제1 판재(10a) 및 제2 판재(10b)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 판재(10a)은 일단부에 제1 접합단(11a)을 형성하고, 타단부에 제2 접합단(11b)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합단(11a)과 제2 접합단(11b) 사이에 상면(15a) 및 일측면(17a)을 형성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판재(10a)는 수평한 상태에서, 상면(15a)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판재(10a)는 일단부가 상향 절곡되어 제1 접합단(11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 판재(10a)는 중앙부 일측에서 하향 절곡되어 일측면(17a)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판재(10a)는 상기 일측면(17a)의 하단부를 제2 접합단(11b)으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2 판재(10b)는 일단부에 제3 접합단(11c)을 형성하고, 타단부에 제4 접합단(11d)을 형성하며, 상기 제3 접합단(11c)과 제4 접합단(11d) 사이에 하면(15b) 및 타측면(17b)을 형성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 판재(10b)는 수평한 상태에서 하면(15b)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 판재(10b)는 중앙부 일측에서 상향 절곡되어 타측면(17b)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 판재(10b)는 타측면(17b)의 상단부를 제3 접합단(11c)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2 판재(10b)는 타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제4 접합단(11d)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2 브라켓(10)의 제1 판재(10a)와 제2 판재(10b)는 상기 제1 접합단(11a)과 제3 접합단(11c)을 접합하여 제1 접합부(13a)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접합단(11b)과 제4 접합단(11d)을 접합하여 제2 접합부(13b)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접합부(13a)는 상측에 위치하고 제2 접합부(13b)는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접합부(13a)와 제2 접합부(13b)의 위치는 설계상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제1 브라켓(10)은 내부에 사각의 공간부(S)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브라켓(10)은 차체의 멤버류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운팅 유닛(1)에 적용되는 제2 브라켓(10)은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2장의 판재(10a, 10b)를 다단 절곡한 상태로, 각각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상호 접합하여 양측 접합부(13a, 13b)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브라켓(10)은 제1 판재(10a) 및 제2 판재(10b)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 판재(10a)는 일단부에 제1 접합단(11a)을 형성하고, 타단부에 제2 접합단(11b)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합단(11a)과 제2 접합단(11b) 사이에 상면(15a) 및 상부 양 측면(19a)을 형성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판재(10a)는 수평한 상태에서, 상면(15a)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판재(10a)는 상면(15a)의 양측이 각각 하향 절곡되어 상부 양 측면(19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 판재(10a)는 상기 상부 양 측면(19a)의 각 단부가 각각 수평방향 외측방으로 절곡되어 제1 접합단(11a)과 제2 접합단(11b)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2 판재(10b)는 일단부에 제3 접합단(11c)을 형성하고, 타단부에 제4 접합단(11d)을 형성하며, 상기 제3 접합단(11c)과 제4 접합단(11d) 사이에 하면(15b) 및 하부 양 측면(19b)을 형성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 판재(10b)는 수평한 상태에서, 하면(15b)을 형성한다.
상기 제2 판재(10b)는 상기 하면(15b)의 양측이 각각 상향 절곡되어 하부 양 측면(19b)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 판재(10b)는 상기 하부 양 측면(19b)의 각 단부가 각각 수평방향 외측방으로 절곡되어 제3 접합단(11c)과 제4 접합단(11d)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2 브라켓(10)의 제1 판재(10a)와 제2 판재(10b)는 상기 제1 접합단(11a)과 제3 접합단(11c)을 접합하여 제1 접합부(13a)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접합단(11b)과 제4 접합단(11d)을 접합하여 제2 접합부(13b)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2 브라켓(10)은 내부에 사각의 공간부(S)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 브라켓(10)은 차체의 멤버류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운팅 유닛에 적용되는 제3 브라켓(10)은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2장의 판재(10a, 10b)를 다단 절곡한 상태로, 각각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상호 접합하여 양측 접합부(13a, 13b)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3 브라켓(10)은 제1 판재(10a) 및 제2 판재(10b)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 판재(10a)는 양 단부에 제1 접합단(11a)과 제2 접합단(11b)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 접합단(11a)과 제2 접합단(11b) 사이에 상면(15a)을 형성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판재(10a)는 수평한 상태에서 상면(15a)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판재(10a)는 양 단부가 각각 상향 절곡되어 제1 접합단(11a)과 제2 접합단(11b)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2 판재(10b)는 양 단부에 제3 접합단(11c)과 제4 접합단(11d)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3 접합단(11c)과 제4 접합단(11d) 사이에 하면(15b) 및 양 측면(17a, 17b)을 형성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 판재(10b)는 수평상태에서 하면(15b)을 형성한다.
상기 제2 판재(10b)는 상기 하면(15b)의 양측이 각각 상향 절곡되어 일측면(17a)과 타측면(17b)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 판재(10b)는 상기 일측면(17a)과 타측면(17b)의 각 단부가 제3 접합단(11c) 및 제 4 접합단(11d)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1 판재(10a)와 제2 판재(10b)는 상기 제1 접합단(11a)과 제3 접합단(11c)을 접합하여 제1 접합부(13a)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접합단(11b)과 제4 접합단(11d)을 접합하여 제2 접합부(13b)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3 브라켓(10)은 내부에 사각의 공간부(S)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3 브라켓(10)은 차체의 멤버류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운팅 유닛에 적용되는 제1 내지 제3 하드웨어의 사시도이다.
상기 제1 내지 제3 하드웨어는 도 1 내지 도 3에 기재된 제1 내지 제3 브라켓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운팅 유닛(1)에 적용되는 제1 하드웨어(20)는 제1 또는 제2 또는 제3 브라켓(10, 이하, 편의 상 브라켓이라 함)의 공간부(S)에 장착된다.
상기 제1 하드웨어(20)는 양단이 2장의 판재(10a, 10b)에 각각 접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 하드웨어(20)는 양단 둘레에 용접돌기(21)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하드웨어(20)는 상기 브라켓(10)의 상면(15a)과 하면(15b)의 각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H1)의 둘레에 상기 용접돌기(21)를 통하여 용접 접합된다.
이때, 상기 용접은 프로젝션 용접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하드웨어(20)는 프로젝션 용접을 통해 양단이 한번의 공정으로 브라켓(10)에 대하여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드웨어(20)는 내부에 양단까지 관통된 홀(2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홀(27)의 내주면에는 나사탭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하드웨어(20)는 샤시 부품과 볼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운팅 유닛(1)에 적용되는 제2 하드웨어(20)는 상단 중앙에 원뿔대 형상의 끼움단(2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하드웨어(20)는 상단이 폐쇄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 상측으로 돌출된 끼움단(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하드웨어(20)는 하단 둘레에 용접돌기(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 하드웨어(20)는 브라켓(10)의 상면(15a)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H1)에 상기 끼움단(23)이 끼워져 용접 접합된다.
또한, 상기 제2 하드웨어(20)는 상기 브라켓(10)의 하면(15b)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H1)의 둘레에 상기 용접돌기(21)를 통하여 용접 접합된다.
이때, 상기 용접은 프로젝션 용접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하드웨어(20)는 프로젝션 용접을 통해 양단이 한번으이 공정으로 브라켓(10)에 대하여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드웨어(20)는 내부에 하단 측으로만 관통된 홀(2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홀(27)의 내주면에는 나사탭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하드웨어(20)는 샤시 부품과 볼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운팅 유닛(1)에 적용되는 제3 하드웨어(20)는 상단이 원뿔 형상의 돌출단(25)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3 하드웨어(20)는 상단이 폐쇄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 상측 중앙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돌출단(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하드웨어(20)는 상기 하단 둘레에 용접돌기(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3 하드웨어(20)는 브라켓(10)의 상면(15a)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심홀(H2)에 상기 돌출단(25)이 끼워져 용접 접합된다.
또한, 상기 제3 하드웨어(20)는 상기 브라켓(10)의 하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H1)의 둘레에 상기 용접돌기(21)를 통하여 용접 접합된다.
이때, 상기 용접은 프로젝션 용접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하드웨어(20)는 프로젝션 용접을 통해 양단이 한번의 공정으로 브라켓(10)에 대하여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하드웨어(20)는 내부에 하단 측으로만 관통된 홀(2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홀(27)의 내주면에는 나사탭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3 하드웨어(20)는 샤시 부품과 볼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마운팅 유닛(1)은 제1 내지 제3 브라켓(10)과 제1 내지 제3 하드웨어(20)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브라켓(10)과 제1 내지 제3 하드웨어(20)의 종류를 선택하여 상호 접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하드웨어(2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브라켓(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합될 시, 상기 브라켓(10)의 상면(15a)과 하면(15b) 각각에 관통홀(H1)을 형성한 후, 상기 관통홀(H1)에 대하여 양단 둘레에 형성된 용접돌기(21)를 삽입하여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하드웨어(2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브라켓(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합될 시, 상기 브라켓(10)의 상면(15a)과 하면(15b) 각각에 관통홀(H1)을 형성한 후, 상기 관통홀(H1)에 대하여 양단에 형성된 끼움단(23)과 용접돌기(21)를 삽입하여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하드웨어(2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브라켓(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합될 시, 상기 브라켓(10)의 상면(15a)과 하면(15b) 각각에 중심홀(H2)과 관통홀(H1)을 형성한 후, 상기 중심홀(H2)과 관통홀(H1)에 대하여 각각 상기 제3 하드웨어(20)의 돌출단(25)과 용접돌기(21)를 삽입하여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마운팅 유닛(1)은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의 내부에 하드웨어(20)가 접합된 별물로 제작한 후, 차체의 멤버류에 장착되어 샤시 부품을 체결함으로써, 부품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마운팅 유닛(1)은 상기 브라켓(10)의 내부에 하드웨어(20)를 장착하여 양 단부에 프로젝션 용접함으로써, 용접 품질을 확보함과 동시에, 작업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마운팅 유닛(1)은 상기 하드웨어(20)의 상단과 하단을 브라켓(10)을 이루는 2장의 판재(10a, 10b)에 각각 접합함으로써, 구조적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마운팅 유닛(1)은 상기 하드웨어(20)의 양 단부를 양단가공을 통해 제작함으로써, 제조공정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마운팅 유닛 10: 브라켓
10a: 제1 판재 10b: 제2 판재
11a: 제1 접합단 11b: 제2 접합단
11c: 제3 접합단 11d: 제4 접합단
13a: 제1 접합부 13b: 제2 접합부
15a: 상면 15b: 하면
17a: 일측면 17b: 타측면
19a: 상부 양 측면 19b: 하부 양 측면
20: 하드웨어 21: 용접돌기
23: 끼움단 25: 돌출단
27: 홀 S: 공간부
H1: 관통홀 H2: 중심홀

Claims (10)

  1. 차체의 멤버류에 구성되어 샤시 부품을 체결하기 위한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2장의 판재를 다단 절곡한 상태로, 각각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상호 접합하여 양측 접합부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사각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멤버류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공간부에서, 양단이 상기 2장의 판재에 각각 접합되어 고정되며, 내부에 나사탭이 형성되는 하드웨어;
    를 포함하는 마운팅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수평한 상태에서, 상면을 형성하고, 일단부가 상향 절곡되어 제1 접합단을 형성하며, 중앙부 일측에서 하향 절곡되어 일측면을 형성하되, 상기 일측면의 하단부를 제2 접합단으로 형성하는 제1 판재; 및
    수평한 상태에서, 하면을 형성하고, 중앙부 일측에서 상향 절곡되어 타측면을 형성하되, 상기 타측면의 상단부를 제3 접합단으로 형성하며, 타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제4 접합단을 형성하는 제2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단과 상기 제3 접합단을 접합하여 제1 접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접합단과 상기 제4 접합단을 접합하여 제2 접합부를 형성하는 마운팅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수평한 상태에서,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의 양측이 각각 하향 절곡되어 상부 양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양 측면의 각 단부가 각각 수평방향 외측방으로 절곡되어 제1, 제2 접합단을 형성하는 제1 판재; 및
    수평한 상태에서, 하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면의 양측이 각각 상향 절곡되어 하부 양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양 측면의 각 단부가 각각 수평방향 외측방으로 절곡되어 제3, 제4 접합단을 형성하는 제2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단과 상기 제3 접합단을 접합하여 제1 접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접합단과 상기 제4 접합단을 접합하여 제2 접합부를 형성하는 마운팅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수평한 상태에서, 상면을 형성하고, 양 단부가 각각 상향 절곡되어 제1 접합단과 제2 접합단을 형성하는 제1 판재; 및
    수평한 상태에서, 하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면의 양측이 각각 상향 절곡되어 양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양 측면의 각 단부가 제3, 제4 접합단으로 형성되어 제2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단과 상기 제3 접합단을 접합하여 제1 접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접합단과 상기 제4 접합단을 접합하여 제2 접합부를 형성하는 마운팅 유닛.
  5.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는
    양단 둘레에 용접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과 하면의 각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둘레에 상기 용접돌기를 통하여 프로젝션 용접되어 접합되는 마운팅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는
    상기 나사탭이 양단까지 관통된 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마운팅 유닛.
  7.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는
    상단 중앙에 원뿔대 형상의 끼움단이 형성되고, 하단 둘레에 용접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상기 끼움단이 끼워져 프로젝션 용접되고, 상기 하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둘레에 상기 용접돌기를 통하여 프로젝션 용접되어 접합되는 마운팅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는
    상기 나사탭이 하단 측으로만 관통된 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마운팅 유닛.
  9.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는
    상단이 원뿔 형상의 돌출단으로 형성되고, 하단 둘레에 용접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심홀에 상기 돌출단이 끼워진 상태로 프로젝션 용접되고, 상기 하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둘레에 상기 용접돌기를 통하여 프로젝션 용접되어 접합되는 마운팅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는
    상기 나사탭이 하단 측으로만 관통된 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마운팅 유닛.
KR1020170168215A 2017-12-08 2017-12-08 마운팅 유닛 KR102429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215A KR102429021B1 (ko) 2017-12-08 2017-12-08 마운팅 유닛
DE102018119259.2A DE102018119259A1 (de) 2017-12-08 2018-08-08 Montageeinheit
US16/102,567 US10661836B2 (en) 2017-12-08 2018-08-13 Mounting unit
JP2018167871A JP7149777B2 (ja) 2017-12-08 2018-09-07 マウンティングユニット
CN201821681123.6U CN209064197U (zh) 2017-12-08 2018-10-17 安装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215A KR102429021B1 (ko) 2017-12-08 2017-12-08 마운팅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128A true KR20190068128A (ko) 2019-06-18
KR102429021B1 KR102429021B1 (ko) 2022-08-03

Family

ID=6662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215A KR102429021B1 (ko) 2017-12-08 2017-12-08 마운팅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61836B2 (ko)
JP (1) JP7149777B2 (ko)
KR (1) KR102429021B1 (ko)
CN (1) CN209064197U (ko)
DE (1) DE1020181192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720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레일의 와셔 장착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1837B2 (en) * 2017-03-30 2020-05-26 Honda Motor Co., Ltd. Door hinge standoff structure
KR102429021B1 (ko) * 2017-12-08 2022-08-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마운팅 유닛
USD989828S1 (en) * 2021-06-10 2023-06-20 Sungwoo Hitech Co., Ltd. Tape guide part for spot welding machine
WO2023122363A1 (en) 2021-12-23 2023-06-29 Illumina Software, Inc. Dynamic graphical status summaries for nucelotide sequencing
US20230215515A1 (en) 2021-12-23 2023-07-06 Illumina Software, Inc. Facilitating secure execution of external workflows for genomic sequencing diagnostics
WO2023129764A1 (en) 2021-12-29 2023-07-06 Illumina Software, Inc. Automatically switching variant analysis model versions for genomic analysis applications
FR3138896A1 (fr) * 2022-08-22 2024-02-23 Psa Automobiles Sa Train arrière de véhicule automobile fixé sur une doublure du longeronn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68989A1 (en) * 2010-10-14 2013-07-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fastening structure
US20150375808A1 (en) * 2014-06-30 2015-12-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oor load structure for vehicle body to frame mount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0955A (ko) * 1973-06-27 1975-03-05
JPH0245879U (ko) * 1988-09-26 1990-03-29
JPH0840313A (ja) * 1994-07-29 1996-02-13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フロントサイドフレーム構造
EP1032524B1 (en) 1997-11-17 2002-01-16 Cosma International Inc. Projection welded panel spac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0006834A (ja) 1998-06-25 2000-01-11 Toyota Motor Corp スタッドボルトの固定構造
JP2000229581A (ja) * 1999-02-10 2000-08-22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取付部構造
JP4136827B2 (ja) * 2003-08-22 2008-08-20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トラックの荷台構造
JP2006142361A (ja) 2004-11-24 2006-06-08 Toyota Motor Corp 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の接合部の構造
US20060196752A1 (en) * 2005-02-24 2006-09-07 Kilby Bradley K Body mount skid assembly
JP2007218288A (ja) 2006-02-14 2007-08-30 Honda Motor Co Ltd ウェルドナット
JP4032313B2 (ja) 2006-02-16 2008-01-16 好高 青山 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用ボルトおよびその溶接方法
JP5215917B2 (ja) 2009-03-30 2013-06-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JP5608391B2 (ja) 2010-02-26 2014-10-1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抵抗溶接の接合構造と接合方法
JP5668421B2 (ja) * 2010-11-10 2015-02-1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アッパーフレーム
US8925991B2 (en) * 2011-06-08 2015-0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inforced frame-to-body attachment
KR20130027247A (ko) * 2011-09-07 2013-03-15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US9090293B1 (en) * 2014-06-26 2015-07-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rgo bed support assembly for a truck
US9221500B1 (en) * 2014-06-26 2015-12-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ush tube and support structure for a pickup truck bed
US9073586B1 (en) * 2014-06-27 2015-07-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verse sill reinforcement for a truck bed and method of making a sill reinforcement
US9707905B2 (en) * 2015-08-11 2017-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inforcement for pickup truck floor pan
US9840289B2 (en) * 2016-02-16 2017-1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uck bed spacer
JP6235637B2 (ja) 2016-02-29 2017-11-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US9994262B1 (en) * 2017-01-19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argo bed system
JP6514248B2 (ja) * 2017-02-17 2019-05-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の下部構造
KR102429021B1 (ko) * 2017-12-08 2022-08-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마운팅 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68989A1 (en) * 2010-10-14 2013-07-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fastening structure
US20150375808A1 (en) * 2014-06-30 2015-12-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oor load structure for vehicle body to frame mou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720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레일의 와셔 장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04478A (ja) 2019-06-27
US10661836B2 (en) 2020-05-26
KR102429021B1 (ko) 2022-08-03
JP7149777B2 (ja) 2022-10-07
US20190176890A1 (en) 2019-06-13
CN209064197U (zh) 2019-07-05
DE102018119259A1 (de)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8128A (ko) 마운팅 유닛
US10196096B2 (en)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US9707644B2 (en) Method for connecting two vehicle components and/or two non-vehicle components
US11358646B2 (en) Vehicle body forming structure and vehicle body using the same
US20170036706A1 (en) Vehicle body assembly and method of joining vehicle body components
JP2011256958A (ja) 防振装置、及び、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
US8322500B2 (en) Shock absorber housing
US11066108B2 (en) Damper housing for vehicle
CN106895061B (zh) 用于副架的装配螺栓
KR101286678B1 (ko) 차체 조립용 스터드 볼트유닛
US9352706B2 (en) Assembly of vehicle structural components at a common joint
JP3941501B2 (ja) 車体前部骨格構造および車体前部骨格の結合方法
KR101563174B1 (ko) 차체 조립용 스터드 볼트유닛
KR20160080362A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JP2005041598A (ja) エレベータ用パネルの補強部材
KR101488210B1 (ko)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KR20190051378A (ko) 프론트 엔드 모듈 용 캐리어 유닛
JP2010215231A (ja) デッキクロスメンバの締結ブラケット
KR20170024383A (ko) 차체 멤버 체결 구조체
JP2017136877A (ja) 車体前部構造
JP2014190518A (ja) 接合部補強用カラーの取付構造
JP4937040B2 (ja) アッパーサポート
JP6508136B2 (ja) 車両前部構造
KR20200038749A (ko) 차량용 클립
JP4413029B2 (ja) 車体フレ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